KR100859213B1 - 중앙집중형 슬러지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중앙집중형 슬러지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9213B1
KR100859213B1 KR1020070039354A KR20070039354A KR100859213B1 KR 100859213 B1 KR100859213 B1 KR 100859213B1 KR 1020070039354 A KR1020070039354 A KR 1020070039354A KR 20070039354 A KR20070039354 A KR 20070039354A KR 100859213 B1 KR100859213 B1 KR 100859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drying
hot air
shaft
central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9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소림
최낙운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세원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세원산업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세원산업
Priority to KR1020070039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92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9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9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8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thermal conditio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러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중앙에 집중하여 하나의 축으로 다단에 걸쳐서 슬러지의 함수율을 낮추고 열풍 등 바람에 의한 건조과정을 거쳐 종단에는 슬러지의 무게 및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한 중앙집중형 슬러지 건조장치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체의 중심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어 동력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축과, 상기 본체의 상부에 슬러지를 투입하기 위하여 형성된 슬러지 투입구와, 상기 슬러지 투입구의 하부에 설치되어 투입된 슬러지를 받는 웨어박스와, 상기 웨어박스로부터 흘러넘치는 슬러지를 받으며, 일부가 절개되어 슬러지가 낙하할 수 있는 부채꼴 형상의 절개홈이 형성되며, 배수틈이 형성되도록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분할봉으로 이루어지는 분할판과, 상기 분할판 상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분할판 상에 있는 슬러지를 긁어모아 상기 절개홈으로 떨어뜨리는 제1스크래퍼와, 상기 분할봉 사이에 형성된 배수틈으로 통과되어 떨어지는 물을 받는 배수통과, 상기 분할판의 절개홈을 통하여 떨어지는 슬러지를 공급받아 열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열에 의해 슬러지를 건조하고, 슬러지가 낙하할 수 있는 부채꼴 형상의 낙하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축을 따라 상하로 다단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건조판과, 상기 건조판 상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건조판에서 건조되고 있는 슬러지를 긁어 모아 상기 낙하홈으로 떨어뜨리는 제2스크래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슬러지, 건조, 축, 열풍기, 스크래퍼

Description

중앙집중형 슬러지 건조장치{SLUG DRYING MACHINE USING ONE AXI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앙집중형 슬러지 건조장치.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판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판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판.
도 6은 본 발명에서의 건조판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의 열풍 분할기.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축 20: 모터
30: 슬러지 투입구 40: 웨어박스
50: 제1스크래퍼 51: 스크래퍼봉
60: 분할판 62: 절개홈
64: 배수틈 66: 분할봉
70: 배수통
71: 배수밸브 80: 제2스크래퍼
90: 건조판
92: 낙하홈 100: 배출 격벽
110: 열풍관 111: 열풍밸브
120: 스크류 컨베이어 130: 잔열 회수구
140: 수취기 150: 열풍기
160: 열풍 분할기 161: 열풍 공급홀
본 발명은 슬러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앙에 집중하여 하나의 축으로 다단에 걸쳐서 슬러지의 함수율을 낮추고 열풍 등 바람에 의한 건조과정을 거쳐 종단에는 슬러지의 무게 및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한 중앙집중형 슬러지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는 슬러지 건조장치의 가장 큰 특징은 스크류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다단에 걸쳐서 슬러지를 건조시켜 가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각종 열풍, 냉풍, 고온 고열, 스팀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슬러지의 함수율을 낮추는 방법으로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장치의 가장 큰 특징은 상기 슬러지의 흐름이 지그재그 형태로 이동하는 것으로 하나의 스크류 컨베이어를 통과하는 동안 건조과정이 이루어지고,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에서 배출되는 슬러지를 받아 다시 반대편 방향으로 슬러지를 이송시켜 가면서 슬러지를 건조시키는 과정을 지속적으로 반복하는 과정을 수차례 내지는 수십차례 이상 반복함으로써 슬러지를 건조시켜 가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의 가장 큰 특징은 수평이동과 하강 이동과정이 지속하여 반복적 으로 진행된다는 것에 있고, 상기 슬러지를 건조시키기 위하여 열풍을 공급할 경우에는 결국 다층으로 설치되어 있는 모든 스크류 컨베이어 전체에 각각 별도의 열풍 공급구를 형성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다.
즉 이러한 단점은 전열을 사용하거나 스팀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작용하여 각 측면으로 슬러지를 이송시키는 모든 스크류 컨베이어에 별도의 열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별도로 설치되도록 모든 설비가 각각의 스크류 컨베이어에 설치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설치방법의 단점은 기본적으로 열을 회수하는 과정에 있어서 나타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스크류 컨베이어에 열을 공급하고 다시 열을 회수하는 과정에 일정부분 열 손실이 발생하게 되어서, 각각의 스크류 컨베이어로부터 열을 사용한 이후에 다시 회수하여 가열하여 공급하기 위한 중간 과정에 열이 손실되는 문제가 있고, 전열을 이용하여 직접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를 가열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한번 가열된 열로 인하여 가열된 공기 및 증기가 함유하고 있는 열을 회수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으므로, 중앙 집중형으로 하여 한번 가열된 열을 다단계를 거쳐서 사용하고 종단에 슬러지 건조를 위해 사용한 열을 다시 회수할 때도 하나의 라인을 통해서 곧바로 회수할 수 있도록 하면 잔열 회수에 있어서 더욱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중앙집중형태의 슬러지 건조장치를 제안함에 있어 하나의 축상에 다단계로 슬러지를 건조시켜 가는 과정에 하나의 열원을 사용함에 있어 바람직하게는 열풍기의 고열로 공기를 가열하 고 가열된 고온의 열이 대기중의 공기보다 가벼워 위로 상승하는 특성과 고온 고압의 열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면서 발생 되는 열을 지속적으로 아래에서 위로 공급함으로써 슬러지를 원하는 바까지 건조시킬 수 있을 정도의 다단으로 설치된 판과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지속적인 건조단계를 거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슬러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앙에 집중하여 하나의 축으로 다단에 걸쳐서 슬러지의 함수율을 낮추고 열풍 등 바람에 의한 건조과정을 거쳐 종단에는 슬러지의 무게 및 부피를 최소화 하기 위한 중앙집중형 슬러지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슬러지 건조를 중앙에 집중하여 처리함으로써 슬러지 건조과정을 단일화하여 슬러지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슬러지 건조장치에 있어서, 슬러지를 투입하여 건조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중심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어 동력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축과, 상기 본체의 상부에 슬러지를 투입하기 위하여 형성된 슬러지 투입구와, 상기 슬러지 투입구의 하부에 설치되어 투입된 슬러지를 받는 웨어박스와, 상기 웨어박스로부터 흘러넘치는 슬러지를 받으며, 축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일부가 절개되어 슬러지가 낙하할 수 있는 부채꼴 형상의 절개홈이 형성되며, 방사상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수분이 통과되는 배수틈이 형성되도록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분할봉으로 이루어지는 분할판과, 상기 분할판 상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분할판 상에 있는 슬러지를 긁어모아 상기 절개홈으로 떨어뜨리는 제1스크래퍼와, 상기 분할봉 사이에 형성된 배수틈으로 통과되어 떨어지는 물을 받는 배수통과, 상기 분할판의 절개홈을 통하여 떨어지는 슬러지를 공급받아 열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열에 의해 슬러지를 건조하고, 축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일부가 절개되어 슬러지가 낙하할 수 있는 부채꼴 형상의 낙하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축을 따라 상하로 다단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건조판과, 상기 건조판 상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건조판에서 건조되고 있는 슬러지를 긁어 모아 상기 낙하홈으로 떨어뜨리는 제2스크래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슬러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앙에 집중하여 하나의 축으로 다단에 걸쳐서 슬러지의 함수율을 낮추고 열풍 등 바람에 의한 건조과정을 거쳐 종단에는 슬러지의 무게 및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한 중앙집중형 슬러지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 및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앙집중형 슬러지 건조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슬러지를 이송하여 본체(1)에 투입하여 중력에 의하여 낙하하는 과정에서 슬러지가 건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먼저, 상기 본체(1)의 중앙을 따라 세로로 축(10)이 위치하고 상기 축(10)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20)가 위치하여 동력을 공급받아 상기 축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슬러지 투입구(30)로 슬러지를 투입하면 슬러지는 웨어박스(40)로 1차 투입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웨어박스의 역할은 충분한 양의 슬러지가 투입되게 되면 웨어박스에서 넘쳐 흘러나가 떨어지게 된다.
상기 웨어박스(40)는 슬러지를 균일하게 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부 모서리가 톱니 모양의 홈(42)이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일방향에서 슬러지가 투입된다 하더라도 홈(42)을 통하여 전체적으로 슬러지를 분할하여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구조는 일반형태의 박스로서 슬러지가 투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이며, 상기 박스의 상부 모서리는 톱니 모양의 홈(42)이 형성되어 있어서, 홈 사이를 통하여 슬러지가 외부로 유출되는 구조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렇게 웨어박스(40)에서 넘친 슬러지는 원형의 분할판(60)에 떨어지게 되는데, 이때 분할판 상부에는 반지름 방향으로 제1스크래퍼(50)가 설치되어 있어서 분할판(60)에 떨어진 슬러지를 상기 제1스크래퍼(50)가 회전하면서 더욱 골고루 분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웨어박스(40)로부터 넘치게 되는 슬러지는 분할판(60)에 일차적으로 공급되고 이차적으로 제1스크래퍼(50)에 의해 골고루 분산시키면서 이동시키게 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때 상기 분할판(60)은 원형의 판 형태로서, 원형 형상의 중심인 축(10)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절개되어 부채꼴 형상의 절개홈(62)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제1스크래퍼(50)가 이동시킨 슬러지는 상기 절개홈(62)을 통하여 하부의 건조판(90)으로 떨어지게 된다.
또한, 도 2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할판(60)은 다수개의 역삼각형의 분할봉(66)이 원주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직경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도록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분할봉(66) 사이 간격은 슬러지로부터 빠져나오는 물이 통과하는 배수틈(64)이 되며, 분할판(60) 상에서 회전하는 제1스프래퍼(50)에는 상기 배수틈(64) 사이로 삽입되어 이동되어 배수틈이 막히지 않도록 스크래퍼 봉(5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스크래퍼(50)는 2개 이상 다수개를 설치하여 지속적으로 분할판이 막히지 않도록 하는 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슬러지를 골고루 분산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구성이라 하겠다.
분할판(60)은 일차적으로 슬러지가 함유하고 있는 다량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슬러지 부유물은 분할판(60)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되는 절개홈(62)을 통해서 하부로 떨어지며, 슬러지로부터 배출되는 수분은 분할봉(66) 사이에 형성되는 배수틈(64)을 통하여 하부로 떨어지게 되고, 하부로 떨어지는 수분은 분할봉 아래에 설치된 배수통(70)에 적재되게 되며, 배수통의 일측에 설치되는 배수밸브(71)를 통해 외부로 적절히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절개홈(62)을 통하여 하부로 떨어진 슬러지는 일차적으로 수분이 제거된 상태이고, 주성분은 슬러지 부유물들로서 일정 크기 이상의 형체가 있으며 고체이던지 젤 형상으로 유동적으로 그 형상이 변형될 수 있는 것이던지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스펀지 또는 종이류 등 그 종류는 상기 슬러지가 주로 생활 오수로 구성되기 때문에 다양한 구성들로 구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슬러지가 절개홈(62)를 통하여 하부로 떨어지면, 절개홈 하부에는 건조판(90)이 있는데, 이때 상기 건조판(90)은 세로로 2단 이상 다단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겠고,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판(90)은 상기 분할판과 마찬가지로 원형의 판 형태로서, 축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절개되어 부채꼴 형상의 낙하홈(92)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제1스크래퍼가 이동시킨 슬러지는 낙하홈(92)을 통하여 하단의 건조판(90)으로 떨어지게 된다. 또한, 건조판(60)에는 다수개의 열풍 공급홀(113)이 뚫려 있어서 하부로부터 온풍이 공급되어 상기 슬러지를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구성이라 하겠다.
이렇게 건조판(90)으로 떨어진 슬러지는 건조판 상에 설치된 제2스크래퍼(80)에 의해 골고루 분산되게 되는데, 여기에서 제2스크래퍼(80)는 슬러지를 골고루 분산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하면서 슬러지를 건조하기 용이하게 하여야 하기 때문에 각 단마다 하나만 설치하는 것이 더욱 오랫동안 상기 슬러지를 각 단마다 머무를 수 있도록 할 수 있어서, 각 단마다 하나의 제2스크래퍼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구성이라 하겠다.
이렇게 다단을 거쳐서 하부로 건조되면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건조판(90)에는 낙하홈(92)을 형성시켜 제2스크래퍼(80)의 동작에 의해 슬러지가 낙하홈(92)을 통하여 하부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게 우수한 구성일 것이며, 최하단에는 배출격벽(100)을 형성시켜 건조된 슬러지를 스크류 컨베이어(120)를 통해 배출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겠다.
이렇게 배출되는 건조된 슬러지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해서 스크류 컨베이어(120)을 통해 일정 공간으로 슬러지를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가장 중요한 쟁점 중의 하나인 상기 슬러지를 건조하기 위해서 필요한 열은 열풍기(150)를 통해서 공급하는 것이 우수한 효과를 기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열풍기(150)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을 골고루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열풍 분할기(160)를 설치하는 것 또한 우수한 구성 중의 하나라고 하겠다.
이와 같이 공급되는 열풍은 하단으로부터 최상단까지 열풍이 이동하면서 슬러지를 건조시키고 슬러지를 낙하시키기 위한 낙하홈(92) 및 절개홈(62) 등이 충분히 넓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열풍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은 큰 무리가 없다.
이와 함께 본체(1) 상부까지 이동한 열풍은 이미 슬러지를 건조시키기 위해 사용되었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수분을 함유하게 되는데, 이때에도 어느 정도의 열은 함유하고 있어서 이를 회수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잔열회수구(130)를 설치하여 두는 것이 우수한 구성을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잔열 회수구를 통해 이동하는 열풍은 수취기(140)를 통해 상기 열풍이 함유하고 있는 수분을 제거하고 다시 열풍구로 공급되어 가열시킴으로써 슬 러지를 건조시키는데 효과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본 발명의 구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열풍기(150)로부터 공급되는 열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상기 열풍기 또는 기타 열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열을 히트파이프 또는 서모사이폰과 같은 열 전달 능력이 우수한 장치를 도입함으로써 그 목적을 달성하게 되는데, 우수하기 때문에 상기 열풍기 또는 기타 열 공급 장치와 상기 히트파이프 또는 서모사이폰을 각 슬러지 건조장치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 있어서의 특징은 히트파이프 또는 서모사이폰의 특징은 열 전도율이 백금의 500배 정도 구리의 1200배 정도의 속도와 그 효율은 92.8% 정도의 효율을 보이는 등 그 효과가 우수하여 열을 손실 없이 목적지 까지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열풍기 또는 이와 상응하는 버너 등과 같은 열 공급원으로부터 열을 발생시켜 슬러지 건조판까지 전송할 경우 더욱 효과적으로 슬러지를 건조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는 각종 파이프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나 서모사이폰의 경우 서모사이폰에 사용하기 위한 파이프는 진공상태를 유지하고 그 내부에는 대략 파이프 대비 4% 정도의 작동유체를 포함시켜 열을 파이프를 통해서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열풍기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을 직접 건조판(90)에 전달하기 위하여 열풍관(110)을 열풍기와 각 건조판(90)과 직접 연결하여 열풍을 제공하는 방법도 가능하며, 열풍 분할기(160)와 열풍관(110)을 동시에 설치하여 두 가지 기능을 동시에 사용하는 방법도 필요에 따라 가능한 방법 중의 하나라고 하겠다.
또한, 상기 열풍관(110)에는 열풍관에서 건조판으로 분지되는 중간에 열풍 밸브(111)을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열풍을 차단하거나 공급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건조판을 물청소할 수 있도록 급수시설을 설치하여 노즐을 설치하거나 하여 상기 건조판 위에서 슬러지가 건조되면서 달라붙는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을 것이며, 때에 따라서는 상기 건조판을 수작업으로 청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출입구를 설치하는 것도 우수한 대안중의 하나라고 하겠다.
이와 함께 상기 건조판에 열풍을 공급하기 위하여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판(90) 하단부에 열풍 공급기(112)를 직접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열풍 공급기는 사각 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우수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상기 열풍 공급기에는 열풍 공급홀(113)을 설치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열을 건조판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열풍 공급기는 단지 열풍을 공급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상기 건조판을 더욱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 및 4는 본 발명에서의 분할판(60)으로서, 상기 분할판(60)은 삼각형의 분할봉(66)를 원형 형태로 다수개 구부려서 구현한 것으로 상기 분할봉(66) 사이에는 일정 거리가 이격되어 배수틈(64)이 형성되어 있으며, 배수틈(64)를 통해서 슬러지가 함유하고 있는 수분이 하부로 낙하되고, 상기 분할봉이 이격되어 있는 거리, 즉 배수틈(64)보다 큰 슬러지 부유물들은 상기 분할판(60) 상에 남게 되며, 남아있는 부유물은 제1스크래퍼(50)에 의해 이동하여, 도면에 제시된 바와 같이 분할판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한 절개홈(62)를 통하여 하부로 낙하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분할판(60)의 측면도이다.
이때 상기 분할봉(66) 사이의 간격에 의해 형성되는 배수틈(64)에는 슬러지의 부유물들이 끼어서 간격이 메워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스크래퍼(50)에는 배수틈(64) 사이로 삽입되어 이동될 있도록 다수개의 스크래퍼 봉(51)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서의 분할판(60)의 설치 측면도로서, 상기 분할판(60)의 절개홈 이외의 하부에는 배수통(70)이 위치하게 되며, 상기 배수통(70)은 상기 배수틈(64)으로 슬러지로부터 배출된 수분이 떨어질 때 이를 모아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외측으로 경사져 있는 것이 우수하며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배수통 외측에 배수밸브(71)를 설치하여 상기 수분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단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구성 중의 하나라고 하겠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판(90)으로서, 바람직한 구성으로는 상기 건조판(90) 역시 분할판과 마찬가지로 원형 형상의 일부가 부채꼴 형태로 절개된 낙하홈(92)이 형성되는데, 상기 낙하홈(92)을 통하여 슬러지가 하부로 낙하할 수 있으며, 또한 건조판(90)에는 일정한 열풍 공급홀(113)을 구성하여 상기 열풍 공급홀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하부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이 지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구성이라 하겠다.
상기 건조판(90) 상에는 하나 이상의 제2스크래퍼(80)가 설치되어, 제2스크래퍼(80)는 상기 건조판 상에서 지속적으로 회전하면서 슬러지를 이동시켜 건조시키면서 낙하홈(92)으로 슬러지를 낙하시키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서의 열풍 분할기(600)로서, 상기 열풍 분할기(60)는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열풍기로부터 열풍을 공급받아 열풍을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 내로 열풍을 공급하여 슬러지를 건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에서 건조판에 열을 공급하는 방식은 단지 열풍을 직접 전달하는 방법도 가능하며, 이때에 열풍홀의 유무는 큰 의미는 없고 상기 열풍홀이 없다고 하더라도 낙하홈으로 열풍이 공급될 수 있으며, 이와는 다른 방법으로 상기 건조판에 직접 열을 공급하기 위하여, 열풍기의 열을 직접 관을 통해 건조판까지 연결하여 직접 열을 공급할 경우 상기 관은 열풍을 공급하는 관으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건조판의 구조를 더욱 강건하게 지지하여 주는 역할 까지도 수행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열풍기를 사용하지 않고 열선을 건조판에 설치하여 가열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하겠다.
이와 함께 건조판에 열을 가하여 슬러지를 건조시키는 과정에 건조된 슬러지가 상기 건조판에 붙어서 건조판의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는 세척을 통해 상기 건조판을 세척할 수 있도록 급수장치와 세척장치를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한 실시예 중의 하나라고 하겠다.
전체적으로 본 발명은 슬러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슬러지 건조장치에 있어서, 슬러지를 투입하여 건조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1)와, 상기 본체의 중심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어 동력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축(10)과, 상기 본체의 상부에 슬러지를 투입하기 위하여 형성된 슬러지 투입구(30)와, 상기 슬러지 투입구의 하부에 설치되어 투입된 슬러지를 받는 웨어박스(40)와, 상기 웨어박스로부터 흘러넘치는 슬러지를 받으며, 축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일부가 절개되어 슬러지가 낙하할 수 있는 부채꼴 형상의 절개홈(62)이 형성되며, 방사상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수분이 통과되는 배수틈(64)이 형성되도록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분할봉(66)으로 이루어지는 분할판(60)과, 상기 분할판(60) 상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분할판 상에 있는 슬러지를 긁어모아 상기 절개홈(62)으로 떨어뜨리는 제1스크래퍼(50)와, 상기 분할봉 사이에 형성된 배수틈(64)으로 통과되어 떨어지는 물을 받는 배수통(70)과, 상기 분할판의 절개홈(62)을 통하여 떨어지는 슬러지를 공급받아 열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열에 의해 슬러지를 건조하고, 축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일부가 절개되어 슬러지가 낙하할 수 있는 부채꼴 형상의 낙하홈(92)이 형성되어 있으며, 축을 따라 상하로 다단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건조판(90)과, 상기 건조판 상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건조판에서 건조되고 있는 슬러지를 긁어 모아 상기 낙하홈으로 떨어뜨리는 제2스크래퍼(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슬러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중앙에 집중하여 하나의 축으로 다단에 걸쳐서 건조판을 설치하여 슬러지의 함수율을 낮추고 열풍 등 바람에 의한 건조과정을 거쳐 종단에는 슬러지의 무게 및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한 중앙집중형 슬러지 건조장치를 달성하여, 슬러지 건조를 중앙에 집중하여 처리함으로써 슬러지 건조과정을 단일화하여 슬러지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슬러지 건조장치에 있어서,
    슬러지를 투입하여 건조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1)와;
    상기 본체의 중심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어 동력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축(10)과;
    상기 본체의 상부에 슬러지를 투입하기 위하여 형성된 슬러지 투입구(30)와;
    상기 슬러지 투입구의 하부에 설치되어 투입된 슬러지를 받는 웨어박스(40)와;
    상기 웨어박스로부터 흘러넘치는 슬러지를 받으며, 축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일부가 절개되어 슬러지가 낙하할 수 있는 부채꼴 형상의 절개홈(62)이 형성되며, 방사상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수분이 통과되는 배수틈(64)이 형성되도록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분할봉(66)으로 이루어지는 분할판(60)과;
    상기 분할판(60) 상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분할판 상에 있는 슬러지를 긁어모아 상기 절개홈(62)으로 떨어뜨리는 제1스크래퍼(50)와;
    상기 분할봉 사이에 형성된 배수틈(64)으로 통과되어 떨어지는 물을 받는 배수통(70)과;
    상기 분할판의 절개홈(62)을 통하여 떨어지는 슬러지를 공급받아 열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열에 의해 슬러지를 건조하고, 축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일부가 절개되어 슬러지가 낙하할 수 있는 부채꼴 형상의 낙하홈(92)이 형성되어 있으며, 축을 따라 상하로 다단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건조판(90)과;
    상기 건조판 상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건조판에서 건조되고 있는 슬러지를 긁어 모아 상기 낙하홈으로 떨어뜨리는 제2스크래퍼(8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형 슬러지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박스(40)의 상부 모서리는 톱니 모양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형 슬러지 건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크래퍼(50)에는 상기 배수틈 사이로 삽입되어 이동되어 배수틈이 막히지 않도록 다수개의 스크래퍼봉(5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형 슬러지 건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본체 내의 잔열을 회수하기 위한 잔열회수구(130)와 상기 잔열회수구를 통해 이동하는 열풍을 회수하여 재사용하는 수취기(14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형 슬러지 건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 공급장치는 열풍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형 슬러지 건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판 중 최하단의 건조판 하단에는 건조되어 낙하되는 슬러지를 배출시키기 위한 스크류 컨베이어(12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형 슬러지 건조장치.
KR1020070039354A 2007-04-23 2007-04-23 중앙집중형 슬러지 건조장치 KR100859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354A KR100859213B1 (ko) 2007-04-23 2007-04-23 중앙집중형 슬러지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354A KR100859213B1 (ko) 2007-04-23 2007-04-23 중앙집중형 슬러지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9213B1 true KR100859213B1 (ko) 2008-09-18

Family

ID=40023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9354A KR100859213B1 (ko) 2007-04-23 2007-04-23 중앙집중형 슬러지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921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437B1 (ko) * 2008-12-29 2011-10-06 유한회사 원진엔비텍 중앙 집중형 슬러지 건조장치
KR101257901B1 (ko) 2010-10-05 2013-04-24 유한회사 원진엔비텍 히트파이프와 열매체유 보일러를 사용하는 슬러지 건조장치
KR101261021B1 (ko) 2010-11-12 2013-05-06 유한회사 원진엔비텍 건조효율을 증대시킨 슬러지 건조장치
KR101932677B1 (ko) * 2018-05-18 2018-12-26 인워터솔루션 주식회사 연속식 슬러지 건조기
CN109179582A (zh) * 2018-09-13 2019-01-11 江苏金曼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电化学极板刮垢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6559A (ja) * 1996-01-23 1997-07-31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乾燥装置
JPH11263979A (ja) 1998-01-14 1999-09-28 Tokyo Yogyo Co Ltd 積層型加熱処理装置
KR20000052013A (ko) * 1999-01-28 2000-08-16 김성훈 슬러지 건조장치
JP2002130949A (ja) 2000-10-17 2002-05-09 Kudo Kensetsu Kk 竪型多段乾燥炉
JP2005114327A (ja) 2003-10-03 2005-04-28 Kurieteikku Corp 乾燥方法と乾燥装置
KR20050119968A (ko) * 2004-06-17 2005-12-22 조병완 고체연료의 가열 분쇄 연소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6559A (ja) * 1996-01-23 1997-07-31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乾燥装置
JPH11263979A (ja) 1998-01-14 1999-09-28 Tokyo Yogyo Co Ltd 積層型加熱処理装置
KR20000052013A (ko) * 1999-01-28 2000-08-16 김성훈 슬러지 건조장치
JP2002130949A (ja) 2000-10-17 2002-05-09 Kudo Kensetsu Kk 竪型多段乾燥炉
JP2005114327A (ja) 2003-10-03 2005-04-28 Kurieteikku Corp 乾燥方法と乾燥装置
KR20050119968A (ko) * 2004-06-17 2005-12-22 조병완 고체연료의 가열 분쇄 연소방법 및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437B1 (ko) * 2008-12-29 2011-10-06 유한회사 원진엔비텍 중앙 집중형 슬러지 건조장치
KR101257901B1 (ko) 2010-10-05 2013-04-24 유한회사 원진엔비텍 히트파이프와 열매체유 보일러를 사용하는 슬러지 건조장치
KR101261021B1 (ko) 2010-11-12 2013-05-06 유한회사 원진엔비텍 건조효율을 증대시킨 슬러지 건조장치
KR101932677B1 (ko) * 2018-05-18 2018-12-26 인워터솔루션 주식회사 연속식 슬러지 건조기
CN109179582A (zh) * 2018-09-13 2019-01-11 江苏金曼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电化学极板刮垢装置
CN109179582B (zh) * 2018-09-13 2021-08-31 江苏金曼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电化学极板刮垢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4175B1 (ko) 체류시간을 증대시킨 슬러지 건조장치
KR101070437B1 (ko) 중앙 집중형 슬러지 건조장치
KR100859213B1 (ko) 중앙집중형 슬러지 건조장치
KR100792596B1 (ko) 마른고추 세척장치
CN206226948U (zh) 一种农业种子清洗除杂干燥装置
CN109138031A (zh) 一种用于沟渠淤泥处理设备
CN109646975A (zh) 一种聚合物脱挥装置
KR100847111B1 (ko) 원형스크린 건조장치
JP2001324269A (ja) 伝熱式竪型乾燥装置
KR100459814B1 (ko) 습식 마늘박피장치
CN207904111U (zh) 一种废水污泥处理设备
KR101908722B1 (ko) 수평 회전형 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
BR102013022785A2 (pt) Aparelho de filtro de disco giratório e métodos relacionados
KR100539160B1 (ko) 슬럿지 건조장치
KR100958724B1 (ko) 수직 회전 액상 폐수 건조장치
JP2017526836A (ja) 除雪装置
US2641536A (en) Flake removal for solvent extraction towers
KR200431416Y1 (ko) 드럼스크린을 갖는 수조식 골재선별장치
CN105819648B (zh) 底部干燥式污泥干化装置和方法
CN208332964U (zh) 一种恒温型往复式烘干机
KR101379759B1 (ko) 미세조류 여과장치
US2841238A (en) Electrical precipitator
KR102264122B1 (ko)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 타워 형상의 기능성 슬러지 건조장치
CN220110568U (zh) 一种化工材料分离器
KR0168035B1 (ko) 폐액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