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0469Y1 - 슬러지처리용 스크레이퍼(30)를 갖춘 쓰레기분리수조 - Google Patents

슬러지처리용 스크레이퍼(30)를 갖춘 쓰레기분리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0469Y1
KR200390469Y1 KR20-2005-0011414U KR20050011414U KR200390469Y1 KR 200390469 Y1 KR200390469 Y1 KR 200390469Y1 KR 20050011414 U KR20050011414 U KR 20050011414U KR 200390469 Y1 KR200390469 Y1 KR 2003904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separation tank
scraper
aggregat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14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의철
Original Assignee
교하환경 주식회사
교하플랜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하환경 주식회사, 교하플랜트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교하환경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14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04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04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04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02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using shaken, pulsated or stirred beds as the principal means of separation
    • B03B5/1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using shaken, pulsated or stirred beds as the principal means of separation on jigs
    • B03B5/22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using shaken, pulsated or stirred beds as the principal means of separation on jigs using pulses generated by liquid inj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2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6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water impulse

Landscapes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슬러지처리용 스크레이퍼를 갖춘 쓰레기분리수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분쇄된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미분과 폐목재 등을 쓰레기 분리수조(40)의 쓰레기 또는 분쇄된 골재 투입부(10)로 투입한 후 골재 투입부(10)의 일측부 하방에 설치된 노즐장치(50)를 작동시켜 골재가 투입되는 방향으로 고압으로 물을 분사시켜 부피가 큰 폐목재 등과 같이 부유된 쓰레기를 물흐름방향으로 이동시켜 분리시키는 한편 물흐름방향에 직각방향으로 작동되는 컨베이어(20)에 의해 쓰레기와 분리된 골재를 이동시키고, 쓰레기 분리수조(40)의 하부에 적층되는 슬러지를 컨베이어(20) 하부에 장치된 스크레이퍼(30)에 의해 분리수조(40) 외부로 걷어올림으로써 폐골재에 포함된 쓰레기와 골재의 분리가 향상되고 쓰레기 분리수조(40)의 물을 제거하기 위해 조업을 중단하지 않고도 슬러지의 제거가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슬러지처리용 스크레이퍼(30)를 갖춘 쓰레기분리수조{WASTES SEPARATING TANK WITH A SCRAPER FOR TREATING SLUDGES}
본 고안은 슬러지처리용 스크레이퍼를 갖춘 쓰레기분리수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쓰레기 분리수조에 투입된 후 비중차이에 의해 분리된 골재가 컨베이어로 이송될 때 쓰레기분리수조에 투입되는 분쇄된 건설폐기물의 투입방향(원료공급방향)과 노즐장치의 물분사방향을 동일방향으로 일치시킴으로써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미분과 폐목재 등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한편 쓰레기분리수조의 바닥면에 적층되는 슬러지를 컨베이어 하부에 그리고 쓰레기 분리수조의 바닥면에 인접설치되는 스크레이퍼에 의해 간헐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쓰레기분리수조의 물을 제거하지 않고도 슬러지를 간단히 제거할 수 있어 물의 사용이 절약되는 효과를 갖는 쓰레기 분리수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건설폐기용 골재를 비중차이에 의해 분리처리하기 위한 쓰레기 분리수조(1)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된 건설폐기물을 처리하도록 물이 채워진 분리수조(8)와, 이 분리수조(8) 내에 설치되어 분리된 골재를 이송하는 컨베이어(5)와, 분리수조(8)의 일측에 형성된 건설폐기물 투입부(3)와, 분리수조(8)에 투입된 건설폐기물이 컨베이어(5)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건베이어이송방향에 직각방향으로 설치된 폐목재이송방지판(9)과 물을 분사하는 노즐장치(4)와, 이 노즐장치(4)와 대향되고 분리수조(8)의 일측단부에 설치되어 부피가 큰 폐목재 등을 외부로 배출하는 세퍼레이터(2)와, 분리수조(8)의 바닥면에 적층되는 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7) 등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통상의 쓰레기 분리수조(1)는 건설폐기물 투입부(3)를 통하여 계속하여 분쇄된 건설폐기물이 투입되고 이의 직각방향으로 설치된 노즐장치(4)로부터 물분사가 이루어져서 세퍼레이터(2)를 통하여 쓰레기가 배출되는 한편 컨베이어(5)의 상방에 소정 높이로 설치된 폐목재이송방지판(9)에 의해 컨베이어(5)측으로 폐목재가 이송되는 것이 방지되고, 비중에 의해 분리된 소정 크기의 골재 만이 골재배출부(6)로 이송되어야 하는 것이 정상적이다.
그러나, 쓰레기 분리수조(8)의 투입부(3)를 통해 투입되는 건설폐기물의 투입방향과 컨베이어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된 노즐장치(4)로부터 분사되는 물분사방향에 의한 수조의 물 흐름방향에 의해 분리수조(8)의 표면에 부유된 쓰레기의 이동방향이 교차하므로 연속으로 투입되는 골재에 의해 부유된 쓰레기가 수중으로 내려가거나 천조각 등이 골재에 의해 가라앉아 컨베이어(5)에 의해 골재와 같이 이송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쓰레기 분리수조(8)의 투입부(3)로 투입되는 분쇄된 건설폐기물의 분리가 불완전하게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그리고, 노즐장치(4)로부터 분사되는 물분사방향과 컨베이어(5)의 이송방향이 상호 반대방향이므로 노즐장치(4)로부터 분사되는 물분사방향의 흐름이 방해되는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또한, 분쇄된 건설폐기물은 골재에 미분, 흙 등이 부착되어 있으므로 분리수조(8)의 바닥에 슬러지가 적층되므로 정기적으로 분리수조(8)의 물을 배출한 후 바닥에 쌓여있는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켜 주어야 하므로 슬러지제거 작업이 번거로웠을 뿐만 아니라 분리수조(8) 내의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해 반드시 골재분리작업을 정지시켜야 하므로 골재 분리 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슬러지제거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쓰레기분리수조에 투입되는 방향과 노즐의 물분사방향을 동일하게 구성하여 골재와 폐목재 등의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쓰레기 분리수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쓰레기 분리수조를 정지시킴이 없이 슬러지처리를 간헐적으로 행할 수 있는 쓰레기 분리수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쓰레기 분리수조의 물을 제거하지 않고도 슬러지 처리를 행할 수 있는 쓰레기 분리수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이와 같은 목적은 분쇄된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폐목재, 미분, 흙 등을 비중차에 의해 골재와 분리시키기 위해 건설폐기물이 물이 채워진 수조에 투입되어 분리된 후 컨베이어에 의해 골재가 이송되는 통상의 쓰레기분리수조에 있어서,
분쇄된 건설폐기물이 투입되는 투입부의 하방에 설치되어 컨베이어의 이송방향에 직각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노즐장치를 설치하고,
컨베이어의 하부에 그리고 쓰레기분리수조의 바닥부에 인접하여 스크레이퍼를 설치함으로써 달성된다.
노즐장치에 의해 분사되는 물의 방향은 분리수조에 투입되는 건설폐기물의 투입방향과 동일하다.
노즐장치의 대향부에 설치된 쓰레기배출부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슬러지처리용 스크레이퍼를 갖춘 쓰레기분리수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3 및 도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슬러지처리용 스크레이퍼를 갖춘 쓰레기분리수조는 쓰레기 투입부를 통해 분리수조(40)로 투입되는 분쇄된 쓰레기를 비중처리하여 골재와 폐목재, 미분, 흙 등을 분리시키기 위해 분리수조(40) 내에 물이 채워진다.
그리고, 분리된 골재는 분쇄된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부를 통해 하방으로 낙하되는 골재 등이 이송되도록 투입부 하방으로부터 분리수조(40) 외부로 돌출되게 상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컨베이어(20)에 의해 분리수조(40) 외부로 배출된다.
컨베이어(20)의 하방에는 분리수조(40) 내의 바닥부에 쌓이는 슬러지를 분리수조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바닥부에 인접하게 스크레이퍼(30)가 설치된다. 이 스크레이퍼(30)는 통상적으로 체인(C)으로 구동되며, 바닥부에 적층되는 슬러지를 긁어서 배출하도록 분리수조(40)의 폭보다 조금 작은 폭과 소정 높이를 갖고 소정 간격으로 연속 배치된 지지판(30a)과 이 지지판(30a)에 수직으로 블레이드(30b)를 포함한다.
이 지지판(30a)의 블레이드(30b)는 분리수조(40) 바닥부에 적층된 슬러지를 긁어서 모은 후 분리수조(40) 외부로 슬러지를 배출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쓰레기를 포함하는 분쇄된 건설폐기물이 투입되는 분리수조(40)의 골재 투입부(10) 일측면에는 다수의 노즐장치(50)가 설치된다.
이 노즐장치(50)는 분리수조(40)에 투입되는 분쇄된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폐목재와 같은 부유물질을 불어서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분쇄된 건설폐기물이 투입되는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여 골재 투입부(10)의 낙하지점으로부터 배출부(60) 측으로 신속히 밀어냄으로써 부유된 폐목재 등이 낙하되는 골재에 의해 분리수조(40) 내로 가라앉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5는 컨베이어(20)와 스크레이퍼(30)의 배치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로서, 컨베이어(20)의 벨트 폭은 스크레이퍼(30)의 블레이드(30b)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또한, 스크레이퍼(30)의 블레이드(30b)는 분리수조(40)의 바닥부에 적층되는 슬러지를 긁어서 배출할 수 있도록 블레이드(30b)의 폭은 분리수조(40)의 폭 보다 조금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레이드(30b)는 체인으로 구동되고, 소정 간격으로 체인에 결합된다. 미설명부호 31은 구동스프라켓이고, 32는 피동스프라켓이며, 32는 체인의 장력을 조절 및 블레이드(30b)를 분리수조(40)의 바닥부에 인접되게 안내하기 위한 중간 스프라켓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슬러지처리용 스크레이퍼를 갖춘 쓰레기분리수조는 분쇄된 쓰레기가 분리수조(40)의 골재 투입부(10)를 통하여 소정 높이로 물이 채워진 분리수조(40)내로 투입되면 골재 투입부(10)에 인접하여 분리수조(40)의 일측에 설치된 다수의 노즐장치(50)에서 물이 분사되어 분리수조(40) 내에 부유된 폐목재 등을 배출부로 신속히 불어내는 한편 골재 투입부(10) 하방으로 낙하되는 골재는 노즐장치(50)의 물 분사방향에 직각방향으로 이송되고 분리수조(40) 내에 위치된 컨베이어(20)의 상부에 낙하되어 분리수조(40)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분쇄된 건설폐기물의 분리작업에 의해 분리수조(40) 내의 바닥부에 슬러지가 소정량 적층되는 경우 스크레이퍼(30)를 작동시켜서 바닥부에 적층된 슬러지를 블레이드(30b)로 긁어서 분리수조(40) 외부로 배출시킨다. 물론 이와 같이 스크레이퍼(30)를 작동시킬 때 종래와 같이 분리수조(40) 내의 물을 배출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컨베이어(20)의 작동을 중단시킴이 없이 스크레이퍼(30)를 독립적으로 작동시켜서 슬러지를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분쇄된 건설폐기물의 분리작업이 중단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본 고안의 슬러지처리용 스크레이퍼를 갖춘 쓰레기분리수조는 통상의 쓰레기분리수조에 투입되는 분쇄된 건설폐기물의 투입방향으로 물분사방향을 일치시키고 골재가 이송되는 컨베이어의 하부 위치되고 바닥부에 인접하여 스크레이퍼를 설치하여 수조의 물을 배출시키지 않고 슬러지를 긁어서 수조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분쇄된 건설 폐기물 골재에 포함된 목재, 미분, 흙 등의 분리가 확실히 이루어지게 함은 물론 물을 배출시키기 위해 조업을 중단하지 않고 스크레이퍼를 주기적으로 작동시켜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어서 작업효율이 상승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1은 종래의 쓰레기분리수조의 평면도.
도2는 도1의 측면도.
도3은 본 고안의 평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측면도.
도5는 컨베이어와 스크레이퍼(30)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골재 투입부 20: 컨베이어
30: 스크레이퍼 40: 골재분리조
50: 노즐장치 60: 폐목재 등 배출부

Claims (4)

  1. 분쇄된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폐목재, 미분, 흙 등을 비중차에 의해 골재와 분리시키기 위해 건설폐기물이 물이 채워진 분리수조(40)의 골재 투입부(10)를 통해서 투입되어 분리된 골재가 컨베이어(20)에 의해 분리수조(40) 외부로 이송되는 통상의 쓰레기분리수조에 있어서,
    분쇄된 건설폐기물이 투입되는 골재 투입부(10)의 하방 일측에 노즐장치(50)가 설치되어 건설폐기물이 공급되는 방향과 물분사방향이 동일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처리용 스크레이퍼를 갖춘 쓰레기 분리수조.
  2. 제1항에 있어서,
    컨베이어(20)의 하부에 그리고 쓰레기 분리수조(40)의 바닥부에 인접하여 슬러지 제거용 스크레이퍼(3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처리용 스크레이퍼를 갖춘 쓰레기 분리수조.
  3. 제2항에 있어서,
    스크레이퍼(30)는 쓰레기 분리수조(40)의 바닥부에 적층된 슬러지를 긁어 올릴 수 있도록 탄성 블레이드(30b)가 구비된 지지판(30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처리용 스크레이퍼를 갖춘 쓰레기 분리수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러지제거는 쓰레기 분리수조(40)의 물을 배출시킴이 없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처리용 스크레이퍼를 갖춘 쓰레기 분리수조.
KR20-2005-0011414U 2005-04-25 2005-04-25 슬러지처리용 스크레이퍼(30)를 갖춘 쓰레기분리수조 KR2003904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414U KR200390469Y1 (ko) 2005-04-25 2005-04-25 슬러지처리용 스크레이퍼(30)를 갖춘 쓰레기분리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414U KR200390469Y1 (ko) 2005-04-25 2005-04-25 슬러지처리용 스크레이퍼(30)를 갖춘 쓰레기분리수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0469Y1 true KR200390469Y1 (ko) 2005-07-21

Family

ID=43691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1414U KR200390469Y1 (ko) 2005-04-25 2005-04-25 슬러지처리용 스크레이퍼(30)를 갖춘 쓰레기분리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046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443B1 (ko) 2006-08-01 2007-01-12 주목산업(주) 건설폐기물의 습식처리장치용 침전물 배출장치
KR100877213B1 (ko) * 2008-04-08 2009-01-07 (주)동양환경 건설폐기물 이물질의 재활용을 위한 선별장치
KR102168707B1 (ko) * 2020-06-08 2020-10-22 박기선 수조를 이용한 부유 이물질 제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443B1 (ko) 2006-08-01 2007-01-12 주목산업(주) 건설폐기물의 습식처리장치용 침전물 배출장치
KR100877213B1 (ko) * 2008-04-08 2009-01-07 (주)동양환경 건설폐기물 이물질의 재활용을 위한 선별장치
KR102168707B1 (ko) * 2020-06-08 2020-10-22 박기선 수조를 이용한 부유 이물질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8123B1 (ko) 건설폐기물의 선별 처리방법 및 그 장치
JP2551562B2 (ja) 懸濁液から固体粒子を連続分離する装置
KR200390469Y1 (ko) 슬러지처리용 스크레이퍼(30)를 갖춘 쓰레기분리수조
KR100879809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 중 파분쇄된 순환골재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0739230B1 (ko) 건설 폐기물 습식 처리장치
KR101365041B1 (ko) 벨트 컨베이어의 리턴 벨트 세척 시스템
KR101207999B1 (ko) 세척수 재활용 장치를 구비한 벨트 크리너 세척 시스템
KR100850489B1 (ko) 골재 생산을 위한 콘크리트 건설 폐기물의 재생처리장치
KR20050031104A (ko) 건축용 폐골재 재활용을 위한 폐골재 분류장치
KR200417549Y1 (ko) 침사용 타공이송 컨베이어
KR101208992B1 (ko) 침사물 세척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침사물 처리시스템
KR100525357B1 (ko)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골재 세척장치
KR200353052Y1 (ko) 초음파 발진원리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세척 및 이물질제거장치
KR100685856B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제거용 세퍼레이션 리뮤버 탱크
KR20020023875A (ko) 건축폐기물 습식 분류장치
JP2004141818A (ja) 沈砂池からの固形物の流体移送装置
JP2000024564A (ja) 塗装ラインのスカム処理装置
CN213265768U (zh) 一种用于污水处理的除杂装置
KR200396099Y1 (ko) 건설폐기물의 선별 및 분리장치
KR200323529Y1 (ko) 찌꺼기 분리 처리장치
KR20140027857A (ko) 침사물 세척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침사물 처리시스템
KR200276762Y1 (ko) 건설폐기물의 수조식 골재선별 처리장치
KR101490083B1 (ko) 침사물에 포함된 모래 및 협잡물의 분리 배출 시스템
JP7406523B2 (ja) 沈砂洗浄装置
KR100650524B1 (ko) 소각로의 스컴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