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4059B1 - 파우더 케익 제조용 커터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더 케익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파우더 케익 제조용 커터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더 케익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4059B1
KR100894059B1 KR1020070083220A KR20070083220A KR100894059B1 KR 100894059 B1 KR100894059 B1 KR 100894059B1 KR 1020070083220 A KR1020070083220 A KR 1020070083220A KR 20070083220 A KR20070083220 A KR 20070083220A KR 100894059 B1 KR100894059 B1 KR 100894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powder cake
powder
manufacturing apparatu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3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9072A (ko
Inventor
박종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70083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4059B1/ko
Publication of KR20090019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9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2Face or body powders for grooming, adorning or absor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28Controlling escape of air or dust from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fill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Abstract

가루 날림을 최소화할 수 있고, 피부에 대한 밀착감 및 화장 지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접시 상의 파우더 케익 외표면에 접하는 커터와, 상기 커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가 설치된 이동대를 승하강시켜 상기 커터를 파우더 케익에 밀착시키기 위한 하강부를 포함하는 파우더 케익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커터, 구동모터, 라운드부, 고정부, 집진부

Description

파우더 케익 제조용 커터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더 케익 제조 장치{CUTTER FOR MANUFACTURING POWDER CAKES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POWDER CAKE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장품 제조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화장용 파우더 케익을 제조하기 위한 커터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이크업을 위한 화장품은 사용 부위나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원료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조된다.
이러한 화장품 중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투웨이 케익이나 파우더 팩트, 스킨 커버와 같은 메이크업 화장품은 분말(powder)을 원료로 사용하여 제조된다. 이에 상기 원료 분말은 압축 성형되어 소정 형태의 케익으로 제조되고 적당한 용기에 담겨져 제품화된다.
여기서 분말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화장용 파우더 케익은 다른 원료를 이용한 화장품과 비교하여 분말의 날림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현상은 화장시 피부와의 밀착성을 떨어뜨리고 분말이 피부에서 쉽게 이탈되어 화장 지속력을 저하시키는 원 인이 된다.
이에 가루 날림을 최소화할 수 있고, 피부에 대한 밀착감 및 화장 지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화장용 파우더 케익 제조용 커터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파우더 케익 제조 장치는 원료인 분말과 바인더를 혼합하기 위한 교반기와, 충전기, 성형기, 건조기 및 상기 건조기를 통해 건조된 파우더 케익의 표면을 박리하는 표면처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처리기는 접시 상의 파우더 케익 외표면에 접하는 커터와, 상기 커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가 설치된 이동대를 승하강시켜 상기 커터를 파우더 케익에 밀착시키기 위한 하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면처리기는 상기 커터에 의해 박리된 파우더 케익의 미세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집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처리기는 상기 표면 처리시 접시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파우더 케익의 표면을 박리하기 위한 커터는 파우더 케익의 표면 박리시 접시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날은 양 끝단에 라운드부가 절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터는 스틸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터는 고속도공구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터는 0.1 ~ 0.5mm의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장치에 의하면 분말을 프레스하여 성형하는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분말과 분말간의 결합력을 높여 가루 날림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에 화장을 했을 때 피부와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고 지속성을 향상시켜 적은 사용량으로도 화사한 피부를 오래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다른 실시예에서 대응하거나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을 참조하여 화장용 파우더 케익을 제조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 과 같다.
본 파우더 케익 제조를 위해 먼저 화장품 원료인 분말에 수분이 다량 함유된 유화 바인더를 혼합한다. 따라서 분말과 이 분말을 결합시키는 바인더는 서로 혼합되어 점도를 갖는 액상의 분말 슬러리로 제조된다.(S100)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바인더는 수용성의 실리콘 폴리머와 유화제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의 성분이나 조성비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혼합된 분말 슬러리는 소정 크기의 접시 위에 정량 분출되어 충전된 후 접시 상에서 일정한 형태로 성형된다.(S200 ~ S400)
이 과정에서 상기 접시에 분말 슬러리를 충진하기 전에 접시 표면에 수성 제형의 접착제를 도포하는 과정을 거친다.(S300)
접착제를 접시에 도포하는 이유는 접시에서 분말 슬러리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후 공정에서 접시에 성형된 분말 슬러리를 건조하게 되는 데, 상기 건조과정에서 분말 슬러리가 수축되면서 접시로부터 들뜨는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이 접착제를 접시 상에 도포함으로써 혹시 발생할수 있는 접시와 내용물의 분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접시 전면에 걸쳐 도포할 수 있으며, 분리 현상이 주로 발생되는 접시의 외곽 부분에만 도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착제는 그 성분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와, 폴리비닐 아세테이 트(Polyvinyl Acetate)를 포함하는 수성 제형의 접착제가 사용된다.
상기 성형과정을 거친 분말 슬러리는 접시에 부착된 상태로 건조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에 분말 슬러리는 함유되어 있는 수분이 제거되어 점성의 슬러리 상태에서 경화된 파우더 케익으로 제조된다.(S500)
이 과정에서 분말 슬러리 내부의 수분이 증발되면서 분말 슬러리에 미세 공기층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건조공정을 거친 파우더 케익은 가벼우면서 화장을 했을 때 피부에 곱게 잘 발리는 특성을 갖게 된다.
한편, 본 파우더 케익 제조방법은 상기 건조공정을 거친 파우더 케익의 외표면을 박리시키는 박리 공정을 포함한다.(S600)
상기 파우더 케익은 건조공정을 거치면서 건조열기가 외표면에 가해지게 된다. 이에 분말과 분말을 결합시키는 바인더가 경화되면서 파우더 케익의 외표면이 딱딱해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박리공정을 통해 건조된 파우더 케익의 경화된 외표면을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파우더 케익은 점성을 갖는 분말 슬러리를 성형공정과 건조공정 및 박리공정을 거쳐 제조함으로서 종래 분말을 압축성형하는 공정과 비교하여 분말의 결합력을 높이고 촉촉한 사용감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의 파우더 케익 제조를 위한 장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케익 제조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상기 도 2에 의하면, 본 장치는 교반기(10)와 충전기(20)와 성형기(30)와 건 조기(40) 및 표면처리기(50)를 포함한다.
상기 교반기(10)는 내부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11)와, 이 용기 내에 설치되는 교반날개(12) 및 이 교반날개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3)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모터(13)가 작동되면 교반날개(12)가 회전되면서 용기(11) 내에 장입된 분말과 바인더를 균일하게 혼합하게 된다. 이에 점도를 갖는 액상의 분말 슬러리가 제조된다.
상기 충전기(20)는 원판 형태의 접시(100) 상에 상기 분말 슬러리를 일정량 분출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이를 위해 분말 슬러리를 분출하는 노즐(21)과, 상기 접시(100)를 차례로 상기 노즐 밑으로 공급하기 위한 접시 공급부를 구비한다.
이에 상기 충전기(20)는 상기 교반기(10)로부터 분말 슬러리를 공급받아 노즐(21)을 통해 일정량의 분말 슬러리를 분출하게 된다. 분출된 분말 슬러리는 노즐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원판 형태의 접시(100) 상에 충전된다.
상기 접시(100)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성형기(30)는 상기 접시(100) 상에 소량 분출되어 있는 분말 슬러리를 일정한 형태로 성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성형기(30)는 접시(100) 상에 충전된 분말 슬러리를 눌러 일정한 형태로 성형하기 위한 금형(31)과, 상기 금형(31)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실린더(33), 상기 금형(31)과 상기 접시(100) 위의 분말 슬러리 사이에 위치하는 성형천(34)을 포함한다.
이에 구동실린더(33)가 작동되면 성형천(34)을 사이에 두고 금형(31)이 하강 하여 접시(100) 위의 분말 슬러리를 접시(100) 상에 밀착시킴과 더불어 금형(31)에 형성된 틀(32)의 형태대로 분말 슬러리를 성형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금형(31)에 형성되는 틀(32)은 원호형태를 이룬다. 이에 상기 금형(31)은 분말 슬러리를 위로 불록한 돔형태로 접시(100) 상에 성형하게 된다.
상기 성형천(34)은 분말 슬러리가 금형(31)과 직접 접하지 않도록 하여 상호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성형천(34)은 분말 슬러리에 대한 흡착현상이 적은 재질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모두 적용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스펀레이스(spun lace)가 사용된다.
도 4는 상기 접시(100) 상에 분말 슬러리가 돔형태로 성형된 상태를 잘 예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접시(100)는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는 상기 접시(100)가 후 장치인 건조기(40)의 고열에 견딜 수 있어야 하기 때문으로, 내열성의 재질이면 세라믹 이외에 다양하게 적용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접시(100)는 성형시 분말 슬러리와의 부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표면에 홈(110)이 형성된다. 이에 분말 슬러리가 상기 홈(110)에 채워지면서 두 부재간의 부착력을 높이게 되는 것이다. 상기 홈(110)의 형태나 형성 위치 및 개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원형 고리 형태의 홈(110)이 접시(10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건조기(40)는 수분이 다량 함유된 바인더와 분말이 혼합된 분말 슬러리를 건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건조기(40)는 내부에 상기 분말 슬러리가 원호형태로 성형된 접시(100)가 다단으로 적재되고 고온의 열풍이 순환되는 챔버(41)를 포함한다.
상기 건조기(40)를 거침에 따라 분말 슬러리 내부의 수분이 적당량 증발되면서 파우더 케익(200)의 사이사이에 미세 공기층이 다량 형성된다. 이에 본 건조기(40)를 거친 파우더 케익(200)은 가볍고, 촉촉함과 더불어 미세 공기층에 의해 화장을 했을 때 피부에 곱게 잘 발리는 특성을 갖게 된다.
이와같이 미세 공기층에 의한 상기한 특성은 종래 프레스 구조의 분말 화장품에서는 구현할 수 없었던 것으로, 사용자는 상기 특성으로 인해 새로운 사용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건조기(40)에 의한 건조 시간이나 건조 온도 등은 분말 슬러리의 수분 함유량이나 분말 특성 및 챔버에 적재되는 접시(100)의 수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표면처리기(50)는 상기 건조기(40)를 거치면서 경화된 파우더 케익(200)의 외표면을 박리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표면처리기(50)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표면처리기(50)는 상기 접시(100) 상의 파우더 케익(200) 외표면에 접하는 커터(51)와, 상기 커터(51)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53), 상기 구동모터(53)가 설치된 이동대(54)를 승하강시켜 상기 커터(51)를 파우더 케익(200)에 밀착시키기 위한 하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면처리기(50)는 상기 커터(51) 회전시 상기 접시(10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면처리기(50)는 표면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제거하여 분진에 의한 파우더 케익(200) 표면 품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집진부를 포함한다.
이에 구동모터(53)가 작동되고 구동부가 이동대(54)를 하강시키게 되면 고속 회전하는 커터(51)가 파우더 케익(200)의 외표면에 밀착되면서 경화되어 있는 외표면을 긁어 제거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53)에 의한 커터(51)의 회전속도는 500 ~ 3000RPM 사이로 설정된다. 커터의 회전속도가 500RPM 이하인 경우에는 파우더 케익(200)의 외표면이 뜯겨져 나가는 현상이 발생되어 제품 불량이 야기된다.
또한, 상기 표면처리기(50)는 상기 커터(51)의 회전을 통해 파우더 케익(200)의 표면을 0.2 ~ 0.4mm 깊이로 박리하게 된다. 파우더 케익(200)의 박리되는 깊이가 0.2mm보다 작은 경우에는 파우더 케익(200)의 경화된 부분이 남아 있을 수 있으며 0.4mm 이상으로 박리시에는 파우더 케익(200)이 불필요하게 낭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53)가 설치된 이동대(54)는 수직으로 설치된 좌우측의 가이드바(66)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강부는 하강 충격을 줄일 수 있는 쿠션에어실린더(55)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하강부는 서보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강부의 작동에 따라 커터(51)가 하강하여 파우더 케 익(200)과 접하게 되는 데, 이때 처음 접하는 순간의 충격이 크면 파우더 케익(200)의 표면 품질은 저하된다. 이에 상기 쿠션에어실린더(55) 또는 서보모터를 이용하여 1차 하강 후 미세한 2차 하강작동하여 충격을 줄인다.
상기 고정부는 회전하는 커터(51)에 대해 접시(100)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접시(100)가 놓여지는 접시홀더(56)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접시(100)의 후면에 밀착되는 고무패드(57)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접시홀더(56)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흡입홀(58)과 이 흡입홀(58)과 에어관(59)을 통해 연결되어 접시(100)에 진공압에 의한 흡착력을 가하기 위한 흡입펌프(60)를 포함한다. 이에 흡입펌프(60)가 작동되면 흡입홀(58)을 통해 공기가 빨려지면서 접시(100)가 고무패드(57)에 밀착된다. 따라서 접시(100)는 후면이 고무패드(57)와 밀착되면서 고무패드(57)의 강한 마찰력에 의해 접시홀더(56)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접시(100)는 제조 과정에서 그 크기에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접시(100)의 크기에 따라 접시홀더(56)와 접시(100) 사이의 유격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에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접시홀더(56)의 내측면에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클램프(61)와, 상기 고정클램프(61)와 접시홀더(56) 사이에 탄력설치되는 탄성스프링(62)을 더욱 포함한다.
상기 접시(100)를 접시홀더(56) 내에 안착시키게 되면 고정클램프(61)가 탄성스프링(62)에 의해 탄력적으로 접시(100) 측선단에 밀착된다. 따라서 접시(100) 크기의 편차에 관계없이 접시홀더(56)와 접시(100) 사이의 유격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집진부는 상기 접시홀더(56) 상부를 덮는 덮개(63)와, 상기 덮개(63) 측면에 연통되는 에어관(64)을 통해 분진을 빨아들이기 위한 분진펌프(65)를 포함한다.
이에 파우더 케익(200)에 대한 표면 박리작업 과정에서 발생된 분진은 덮개(63)에 설치된 에어관(64)을 통해 신속하게 배출된다. 따라서 분진에 의해 파우더 케익(200)의 표면에 흠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상기 표면처리기(50)의 커터(51)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커터(51)는 구동모터(53)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얇은 판구조물로, 하단은 상기 성형기(30)의 금형(31)과 대응되도록 원호형태로 절결되어 날(52)을 이룬다. 상기 커터(51) 상단의 양 모서리는 직선형태로 모따기 되어 상단과 측면을 직선으로 연결하는 경사면(67)을 이룬다. 상기 경사면(67)을 형성함으로서 커터(51)가 표면처리기(50) 내부에서 다른 구성부와 간섭되는 것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커터(51) 상단의 양측 경사면(67) 사이에는 커터(51)를 표면처리기(50)의 구동모터(53)에 착탈시키기 위한 체결 구멍(68)이 형성된다.
상기 커터(51) 및 커터(51)에 형성되는 날(52)은 좌우 대칭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터(51)의 하단에서부터 날(52)의 상사점까지의 높이(h')는 커터의 하단에서 상기 경사면(67) 까지의 높이(h)보다 작은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높이 차이를 두는 이유는 상기 날(52)의 강성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날(52)의 곡률반경은 실질적으로 제품인 파우더 케익의 형태와 중량에 관계되는 데, 본 실시예에서는 65 ~ 85mm 일 수 있다. 상기 날의 곡률반경이 85mm보다 큰 경우에는 파우더 케익이 납작한 형태로 박리되어 제품의 설정 중량을 맞추기 어렵고 파우더 케익이 접시로부터 떨어져 나갈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 날의 곡률반경이 65mm 이하인 경우에는 파우더 케익의 높이가 너무 높아져 제품의 패키징에 어려움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날(52)은 금형(31)에 형성된 틀(32)의 크기과 비교하여 높이는 낮아지고 양 끝단 사이의 지름은 길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날(52)의 양 끝단에는 절결된 라운드부(R)가 형성된다. 상기 라운드부(R)는 본 실시예와 같이 둥근 형태이거나 각진 형태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라운드부(R)의 형성 이유는 성형기(30)와 건조기(40)를 거치면서 파우더 케익(200)에 크기 편차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즉, 성형기(30)의 금형(31)으로 분말 슬러리를 돔형태로 성형할 때 금형(31)과 분말 슬러리 사이에 성형천(34)이 끼워지므로, 금형(31)의 틀(32)과 성형된 돔형태의 분말 슬러리의 크기에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건조기(40)를 거치면서 분말 슬러리는 수분 증발로 인해 수축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파우더 케익(200)의 크기가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터(51)의 날(52)은 금형(31)의 틀(32)과 비교하여 언급한 바와 같이 그 크기를 줄여야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날(52)의 지름을 금형(31)보 다 길게 하고 날의 양 끝단에 라운드부(R)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날(52) 끝단과 접시(100)와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7은 날(52)의 양 끝단에 형성된 라운드부(R)에 의해 날(52)이 접시(100)와 이격되어 서로 충돌되지 않는 것을 잘 예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커터(51)의 재질은 고속도공구강과 같이 탄성이 있는 스틸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속도공구강인 SKH51 강종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커터(51)가 회전하면서 접시(100)와 마찰되는 경우 탄성에 의해 커터(51) 휨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커터(51)의 두께는 0.1 ~ 0.5mm로 설정될 수 있다. 보다 정밀하게는 0.1 ~ 0.4mm로 설정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커터(51)의 두께는 0.1 ~ 0.3mm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커터(51)의 두께가 0.1mm 이하인 경우에는 커터가 휘어지는 것과 같은 파손의 위험이 높고, 0.5mm보다 두꺼우면 접시(100)와의 마찰시 세라믹 접시(100)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케익 제조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케익 제조 장치의 성형기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성형기를 거쳐 분말 슬러리가 성형된 접시를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케익 제조 장치의 표면처리기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분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면처리기의 커터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케익의 표면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케익 제조 공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교반기 20 : 충전기
30 : 성형기 31 : 금형
32 : 틀 34 : 성형천
40 : 건조기 50 : 표면처리기
51 : 커터 52 : 날
53 : 구동모터 54 : 이동대
55 : 쿠션에어실린더 56 : 접시홀더
57 : 고무패드 58 : 흡입홀
59,64 : 에어관 60 : 흡입펌프
61 : 고정클램프 62 : 스프링
63 : 덮개 65 : 분진펌프
100 : 접시 110 : 홈
200 : 파우더 케익

Claims (19)

  1. 접시 상에 충전된 파우더 케익 외표면에 접하는 커터,
    상기 커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가 설치된 이동대를 승하강시켜 상기 커터를 파우더 케익에 밀착시키기 위한 하강부
    를 포함하는 파우더 케익 제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에 의해 박리된 파우더 케익의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집진부를 더 포함하는 파우더 케익 제조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 회전시 접시가 놓여지는 접시홀더에 상기 접시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파우더 케익 제조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는
    상기 접시홀더 상부를 덮는 덮개,
    상기 덮개 측면에 연통되는 에어관을 통해 분진을 빨아들이기 위한 분진펌프
    를 포함하는 파우더 케익 제조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접시가 놓여지는 접시홀더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접시의 후면에 밀착되는 고무패드를 포함하는 파우더 케익 제조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접시홀더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흡입홀,
    상기 흡입홀과 에어관을 통해 연결되어 접시에 진공압에 의한 흡착력을 가하기 위한 흡입펌프
    를 포함하는 파우더 케익 제조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접시홀더의 내측면에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클램프,
    상기 고정클램프와 접시홀더 사이에 탄력설치되는 탄성스프링
    을 포함하는 파우더 케익 제조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날은 양 끝단에 라운드부가 절결 형성된 파우더 케익 제조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SKH51강종으로 이루어진 파우더 케익 제조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의 회전속도는 500 ~ 3000RPM 인 파우더 케익 제조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상기 파우더 케익의 외표면을 0.2 ~ 0.4mm 깊이로 박리하는 파우더 케익 제조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0.1 ~ 0.3mm의 두께인 파우더 케익 제조 장치.
  13. 파우더 케익의 표면을 박리하기 위한 커터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하단에 원호형태의 날이 형성되고, 상단의 양 모서리는 모따기 되어 상단과 측면을 직선으로 연결하는 경사면을 이루는 커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날의 양 끝단에는 라운드부가 절결형성된 커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의 하단에서부터 날의 상사점까지의 높이는 커터의 하단에서 상기 경사면 까지의 높이보다 작은 커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날은 곡률반경이 65 ~ 85mm 인 커터.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고속도 공구강으로 이루어진 커터.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0.1 ~ 0.5mm의 두께인 커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0.1 ~ 0.3mm의 두께인 커터.
KR1020070083220A 2007-08-20 2007-08-20 파우더 케익 제조용 커터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더 케익제조 장치 KR100894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220A KR100894059B1 (ko) 2007-08-20 2007-08-20 파우더 케익 제조용 커터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더 케익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220A KR100894059B1 (ko) 2007-08-20 2007-08-20 파우더 케익 제조용 커터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더 케익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072A KR20090019072A (ko) 2009-02-25
KR100894059B1 true KR100894059B1 (ko) 2009-04-21

Family

ID=40686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3220A KR100894059B1 (ko) 2007-08-20 2007-08-20 파우더 케익 제조용 커터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더 케익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40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742Y1 (ko) * 2009-05-08 2011-03-17 (주)아모레퍼시픽 개선된 구조를 갖는 건식 파우더 화장품의 에어제거용 성형치구
KR200467995Y1 (ko) * 2011-09-16 2013-07-23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용기의 다색 내용물 충진장치
KR200467969Y1 (ko) * 2011-09-30 2013-07-18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파우더 케이스 제조장치
KR102188801B1 (ko) 2019-06-27 2020-12-09 (주)바로인 맞춤용 화장품 파우더 케익 성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6460B1 (ko) * 1995-10-13 1998-12-01 박상호 아크릴 제품의 테두리 트리밍장치
KR200316543Y1 (ko) 2003-01-17 2003-06-18 전영철 분말화장품 충진장치의 가압구
KR20060117653A (ko) * 2005-05-13 2006-11-17 (주)아모레퍼시픽 오일리 메이크업 분말의 가압성형방법 및 그 성형장치,이를 이용한 메이크업 화장품의 제조방법
KR100672838B1 (ko) 2006-03-08 2007-01-22 김종성 스크라이브 장치용 스크라이브 헤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6460B1 (ko) * 1995-10-13 1998-12-01 박상호 아크릴 제품의 테두리 트리밍장치
KR200316543Y1 (ko) 2003-01-17 2003-06-18 전영철 분말화장품 충진장치의 가압구
KR20060117653A (ko) * 2005-05-13 2006-11-17 (주)아모레퍼시픽 오일리 메이크업 분말의 가압성형방법 및 그 성형장치,이를 이용한 메이크업 화장품의 제조방법
KR100672838B1 (ko) 2006-03-08 2007-01-22 김종성 스크라이브 장치용 스크라이브 헤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072A (ko) 200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4059B1 (ko) 파우더 케익 제조용 커터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더 케익제조 장치
JP5690279B2 (ja) 研磨破片、開口部を有する成形研磨粒子、又は皿型成形研磨粒子を作製する方法
US7497885B2 (en) Abrasive articles with nanoparticulate fillers and method for making and using them
FR2988315A1 (fr) Procede de fabrication de couches de polissage chimico-mecanique
CA2027176A1 (en) Starchless molding procedure and apparatus
KR100894058B1 (ko) 파우더 케익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JP2022530455A (ja) 粉体の製造方法
FR2979070A1 (fr) Procede de fabrication de couches de polissage chimico-mecanique
US7229579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ponge device
EP0970157B1 (en) Method and device for bonding two plate-shaped objects
CN210452853U (zh) 一种新型全自动中药用切片设备
FR2631024A1 (fr) Materiau composite refractair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CN1833568B (zh) 一种鞋垫的上胶方法及设备
CN108774895A (zh) 一种离型纸涂胶机构
CN219850496U (zh) 一种瓦楞纸板压敏胶刮涂装置
CN109760244A (zh) 一种聚氨酯浇筑50a涂覆辊工艺
CN1320505A (zh) 一种将砂轮、砂布及砂布轮合而为一次成型的生产方法
CN214923033U (zh) 一种可加热除湿的软木制品打磨装置
CN208305903U (zh) 一种粘盒机的辅助粘贴装置
JP4168303B2 (ja) ストランドカッティング装置
SU1713788A1 (ru) Масса дл изготовлени высокопористого абразивного инструмента
JP2023049199A (ja) 固形充填物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3858121B2 (ja) 器体の成形方法、その装置及び器体
JP2023049198A (ja) 固形充填物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CN115742450A (zh) 一种包装盒生产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