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3229B1 - 전극 활물질에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있는 리튬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전극 활물질에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있는 리튬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3229B1
KR100893229B1 KR1020060010947A KR20060010947A KR100893229B1 KR 100893229 B1 KR100893229 B1 KR 100893229B1 KR 1020060010947 A KR1020060010947 A KR 1020060010947A KR 20060010947 A KR20060010947 A KR 20060010947A KR 100893229 B1 KR100893229 B1 KR 100893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thium secondary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peo
surfac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0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9979A (ko
Inventor
강은주
이향목
홍기철
우정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60010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3229B1/ko
Priority to JP2008553158A priority patent/JP2009526349A/ja
Priority to PCT/KR2007/000536 priority patent/WO2007091798A1/en
Priority to CNA2007800045227A priority patent/CN101379635A/zh
Priority to US12/223,688 priority patent/US8383265B2/en
Priority to TW096104039A priority patent/TW200731600A/zh
Publication of KR20070079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9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2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1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in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2Solid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35Safety or regulating additives or arrangements in electrodes, separators or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1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3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4Electric conductive fi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1Metal or alloys, e.g. alloy coa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 전이금속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 양극과 흑연화 탄소를 함유하고 있는 음극을 사용하는 리튬 이차전지에서 양극 및/또는 음극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함으로써, 전극에 대한 전해액의 습윤성이 개선되어, 용량이 증가되고 레이트 특성 및 사이클 특성이 향상되며 전지의 제조공정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극 활물질에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있는 리튬 이차전지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Electrode Active Material Containing Surfactant}
본 발명은, 리튬 전이금속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 양극과 흑연화 탄소를 함유하고 있는 음극을 사용하는 리튬 이차전지에서 양극 및/또는 음극에 계면활성제가 첨가되어 있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계면활성제의 첨가에 의해 전극에 대한 전해액의 습윤성이 개선되어, 전지의 용량이 증가되고 레이트(rate) 특성 및 사이클(cycle) 특성이 향상되며 전지의 제조공정 시간을 크게 단축할 있는 등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러한 이차전지 중 높은 에너지 밀도와 방전 전압의 리튬 이차전지에 대해 많은 연구가 행해졌고 또한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 활물질로 LiCoO2 등의 금속 산화물과 음극 활물질로 탄 소 재료를 사용하며, 음극과 양극 사이에 폴리올레핀계 다공성 분리막을 넣고, LiPF6 등의 리튬염을 가진 비수성 전해액을 넣어서 제조하게 된다. 충전시에는 양극 활물질의 리튬 이온이 방출되어 음극의 탄소층으로 삽입되고, 방전시에는 반대로 음극 탄소층의 리튬 이온이 방출되어 양극 활물질로 삽입되며, 이 때 비수성 전해액은 음극과 양극 사이에서 리튬 이온을 이동시키는 매질 역할을 한다.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는 기본적으로 전지의 작동 전압 범위에서 안정해야 하고, 충분히 빠른 속도로 이온을 전달할 수 있는 성능을 가져야 한다.
상기 비수성 전해액은 리튬 이차전지 제조의 마지막 단계에서 전지 내로 투입되는데, 이때 전극이 전해액에 의해 신속하고 완전하게 습윤화 되어야 전지제조에 소모되는 기간을 단축시키고 전지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게 된다.
리튬 이차전지의 비수성 전해액으로는 주로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디에틸 카르보네이트, 2-메틸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등의 비양자성 유기용매가 사용된다. 이러한 전해액은 전해질 염을 효과적으로 용해시키고 해리시킬 만큼의 극성을 가진 극성용매 임과 동시에, 활성수소를 갖고 있지 않은 비양자성 용매이며, 종종 전해액 내부의 광범위한 상호작용으로 인해 점성 및 표면장력이 높다. 따라서, 리튬 이차전지의 비수성 전해액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 플로라이드 결합제 등을 포함하고 있는 전극 재료와 친화성이 적어서, 전극 재료를 쉽게 습윤화시키지 못한다. 이는,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전지의 제조공정 시간을 비효율적으로 증가시키는 주요 원인 중의 하나이다.
한편, 최근에는 휴대전화, 노트북 및 MP3 플레이어 등 소형 디바이스의 선호도에 따른 이용량 증가에 따라, 리튬 이차전지의 소형화 및 매우 긴밀한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고에너지 밀도를 가진 전지를 채용하면서 전지 제조시 전극의 로딩량 및 전극의 두께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친수성(hydrophilic property)을 띠는 전해액이 소수성(hydrophobic property)을 띠는 전극 깊숙이 침투하지 못하여, 전지의 용량이 저하되고 이에 따라 전지의 레이트 특성 및 사이클 특성도 저하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전지에 대한 전해액의 습윤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고온 숙성(aging) 등의 추가공정을 부가하거나 진공 또는 압력을 가하는 등의 특별한 공정기법을 이용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별도의 추가 공정을 위한 비용을 발생시키고 제조기간을 길어지도록 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전지의 제조 과정에서 전극의 전해액에 대한 습윤성을 증가시켜 전지의 제조 기간을 단축하고 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리튬 이차전지의 양극 및/또는 음극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면, 전지의 작동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전극재료 내로 전해액의 침투가 매우 용이해져서 습윤성의 향상을 위한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라 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발견을 기초로 완성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는, 리튬 전이금속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 양극과 흑연화 탄소를 함유하고 있는 음극을 사용하는 리튬 이차전지로서, 계면활성제가 양극 및 음극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에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계면활성제의 첨가에 의해 전극에 대한 전해액의 습윤성이 개선되어, 용량이 증가되고 레이트 특성 및 사이클 특성이 향상되며, 전지의 제조공정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계면활성제는 친수성 부위(hydrophilic portion)와 소수성 부위(hydrophobic portion)를 함께 가지고 있어서, 친수성을 띠는 전해액과 소수성을 띠는 전극에 대해 모두 친화성을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계면활성제를 전극에 첨가하면, 계면활성제의 친수성 부위는 같은 친수성의 전해액과 높은 친화성을 나타내고 계면활성제의 소수성 부위는 같은 소수성의 전극과 높은 친화성을 나타내므로, 상기 계면활성제를 매개체로 하여 전해액이 전극에 용이하게 침투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전극에 대한 전해액의 습윤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첨가되는 전극 합제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20 중량%로 첨가되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로 첨가된다. 상기 전극 합제는 전극 활물질에 필요에 따라 결착제, 도전제 등이 혼합되어 있는 혼합물로서, 예를 들어, 양극 합제는 일반적으로 양극 활물질에 상기 물질들이 모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고, 음극 합제는 일반적으로 음극 활물질과 도전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의 첨가량이 너무 적으면 전극에 대한 전해액의 습윤성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고, 반대로 너무 많으면 도전재, 결착제 등의 첨가량 감소로 인해 기타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계면활성제는 양극, 음극, 또는 양극과 음극에 모두 첨가될 수 있다. 특히 음극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전지에서 실제로 전해액을 함유하는 양이 양극에 비해 음극이 훨씬 적기 때문이다.
선행기술 중에는 전극이 아닌 전해액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는 기술이 일부 알려져 있다. 즉, 비정질 탄소재를 음극 활물질로서 사용하는 전지에서, 비가역성의 감소를 목적으로 전지의 초기 충방전시 음극 활물질의 표면에 고체 전해질 계면막(solid electrolyte interface film)을 형성하는 계면활성제를 전해액에 첨가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이 계면활성제를 전해액에 첨가하는 경우에도 비가역성의 감소를 통해 전지의 용량 증가와 레이트 특성의 개선을 제공하기는 하지만, 초기 충방전 과정에서 당해 물질이 전기화학적 반응을 통해 음극 활물질의 표면에 고체 전해질 계면막을 형성하므로, 계면활성제의 본래 특성이 변화되게 된 다.
반면에, 본 발명은 전극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므로 이러한 전기화학적 반응을 유발하지 않으며 계면활성제 본래의 특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차이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전극에 대한 전해액의 습윤성 향상으로 인해 전지의 제조공정 시간이 크게 단축될 수 있다는 점은 상기와 종래기술에서 얻을 수 없는 본 발명만의 특징이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계면활성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분류되는 바, 전지는 리튬 이온의 이동에 의한 전기화학적 반응에 의해 작동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계면활성제로는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그러한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대표적인 예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놀에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수크로오스지방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로는 친수성 부위(hydrophilic portion)와 소수성 부위(hydrophobic portion)를 함께 가지고 있는 블록 공중합체가 더욱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블록 공중합체는 한 종류의 단량체가 일정량 연결된 쇄(chain)와 이와는 다른 특징을 갖는 또 다른 단량체가 일정량 연결된 쇄가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공중합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계면활성제로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친수성 단량체로 이루어진 쇄와 소수성 단량체로 이루어진 쇄 사이에 화학결합이 교차되어 형성된 공중합체로서, 공중합체 자체에 친수성 부위와 소수성 부위를 함께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록 공중합체의 특히 바람직한 예로는 PEO-PPO 블록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상기 PEO-PPO 블록 공중합체는 친수성의 PEO(Polyethylene oxide)와 소수성의 PPO(Polypropylene oxide) 쇄가 일정한 단위로 반복되어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PEO-PPO 블록 공중합체는 전지의 작동 메커니즘에 대한 영향이 매우 적으며, 분자내에 친수성과 소수성 부위를 함께 가지고 있음으로 해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극에 대한 전해액의 습윤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PEO-PPO 블록 공중합체 중에서 PEO 함량은 전체 공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40 내지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PEO-PPO 블록 공중합체 중에서도 전체적으로 PEO-PPO-PEO 구조의 트리 블록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PEO-PPO-PEO 트리 블록 공중합체에서 PEO 함량은 전체 공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60 내지 70 중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의 기타 성분들에 대해 이하에서 간략히 설명한다.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은, 예를 들어, 양극 집전체 상에 양극 활물질, 도전제 및 결착제의 혼합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여 제조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혼합물에 충진제를 더 첨가하기도 한다.
상기 양극 활물질은 리튬 코발트 산화물(LiCoO2), 리튬 니켈 산화물(LiNiO2) 등의 층상 화합물이나 1 또는 그 이상의 전이금속으로 치환된 화합물; 화학식 Li1+xMn2-xO4 (여기서, x 는 0 ~ 0.33 임), LiMnO3, LiMn2O3, LiMnO2 등의 리튬 망간 산화물; 리튬 동 산화물(Li2CuO2); LiV3O8, LiFe3O4, V2O5, Cu2V2O7 등의 바나듐 산화물; 화학식 LiNi1-xMxO2 (여기서, M = Co, Mn, Al, Cu, Fe, Mg, B 또는 Ga 이고, x = 0.01 ~ 0.3 임)으로 표현되는 Ni 사이트형 리튬 니켈 산화물; 화학식 LiMn2-xMxO2 (여기서, M = Co, Ni, Fe, Cr, Zn 또는 Ta 이고, x = 0.01 ~ 0.1 임) 또는 Li2Mn3MO8 (여기서, M = Fe, Co, Ni, Cu 또는 Zn 임)으로 표현되는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 화학식의 Li 일부가 알칼리토금속 이온으로 치환된 LiMn2O4; 디설파이드 화합물; Fe2(MoO4)3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양극 집전체는 일반적으로 3 내지 500 ㎛의 두께로 만든다. 이러한 양극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높은 도전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또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처리한 것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집전체는 그것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양극 활물질의 접착력을 높일 수도 있으며,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상기 도전제는 통상적으로 양극 활물질을 포함한 혼합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 로 1 내지 50 중량%로 첨가된다. 이러한 도전제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천연 흑연이나 인조 흑연 등의 흑연; 카본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채널 블랙, 퍼네이스 블랙, 램프 블랙, 서머 블랙 등의 카본블랙; 탄소 섬유나 금속 섬유 등의 도전성 섬유; 불화 카본, 알루미늄, 니켈 분말 등의 금속 분말; 산화아연, 티탄산 칼륨 등의 도전성 위스키; 산화 티탄 등의 도전성 금속 산화물; 폴리페닐렌 유도체 등의 도전성 소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결착제는 활물질과 도전제 등의 결합과 집전체에 대한 결합에 조력하는 성분으로서, 통상적으로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혼합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0 중량%로 첨가된다. 이러한 결착제의 예로는,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CMC),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우즈, 재생 셀룰로우즈, 폴리비닐피롤리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테르 폴리머(EPDM), 술폰화 EPDM, 스티렌 브티렌 고무, 불소 고무, 다양한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충진제는 양극의 팽창을 억제하는 성분으로서 선택적으로 사용되며,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섬유상 재료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리핀계 중합체; 유리섬유, 탄소섬유 등의 섬유상 물질이 사용된다.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은 음극 집전체 상에 음극 재료를 도포, 건조하여 제작되며, 필요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성분들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음극 집전체는 일반적으로 3 내지 500 ㎛의 두께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음극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구리,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구리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처리한 것, 알루미늄-카드뮴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양극 집전체와 마찬가지로,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음극 활물질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도 있으며,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음극 재료는, 예를 들어, 난흑연화 탄소, 흑연계 탄소 등의 탄소; LixFe2O3(0≤x≤1), LixWO2(0≤x≤1), SnxMe1-xMe'yOz (Me: Mn, Fe, Pb, Ge; Me': Al, B, P, Si, 주기율표의 1족, 2족, 3족 원소, 할로겐; 0<x≤1; 1≤y≤3; 1≤z≤8) 등의 금속 복합 산화물; 리튬 금속; 리튬 합금; 규소계 합금; 주석계 합금; SnO, SnO2, PbO, PbO2, Pb2O3, Pb3O4, Sb2O3, Sb2O4, Sb2O5, GeO, GeO2, Bi2O3, Bi2O4, and Bi2O5 등의 금속 산화물; 폴리아세틸렌 등의 도전성 고분자; Li-Co-Ni 계 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리튬 이차전지용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며, 높은 이온 투과도와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절연성의 얇은 박막이 사용된다. 분리막의 기공 직경은 일반적으로 0.01 ~ 10 ㎛이고, 두께는 일반적으로 5 ~ 300 ㎛이다. 이러한 분리막으로는, 예를 들어, 내화학성 및 소수성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머; 유 리섬유 또는 폴리에틸렌 등으로 만들어진 시트나 부직포 등이 사용된다. 전해질로서 폴리머 등의 고체 전해질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고체 전해질이 분리막을 겸할 수도 있다.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계 전해질은, 비수 전해질과 리튬으로 이루어져 있다. 비수 전해질로는 비수 전해액, 고체 전해질, 무기 고체 전해질 등이 사용된다.
상기 비수 전해액으로는, 예를 들어, N-메틸-2-피롤리디논,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부틸렌 카르보네이트, 디메틸 카르보네이트, 디에틸 카르보네이트, 감마-부틸로 락톤, 1,2-디메톡시 에탄, 테트라히드록시 프랑(franc), 2-메틸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메틸술폭시드, 1,3-디옥소런, 포름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옥소런, 아세토니트릴, 니트로메탄, 포름산 메틸, 초산메틸, 인산 트리에스테르, 트리메톡시 메탄, 디옥소런 유도체, 설포란, 메틸 설포란,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유도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유도체, 에테르, 피로피온산 메틸, 프로피온산 에틸 등의 비양자성 유기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기 고체 전해질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유도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유도체,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유도체, 인산 에스테르 폴리머, 폴리 에지테이션 리신(agitation lysine), 폴리에스테르 술파이드,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 불화 비닐리덴, 이온성 해리기를 포함하는 중합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무기 고체 전해질로는, 예를 들어, Li3N, LiI, Li5NI2, Li3N-LiI-LiOH, LiSiO4, LiSiO4-LiI-LiOH, Li2SiS3, Li4SiO4, Li4SiO4-LiI-LiOH, Li3PO4-Li2S-SiS2 등의 Li의 질화물, 할로겐화물, 황산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리튬염은 상기 비수계 전해질에 용해되기 좋은 물질로서, 예를 들어, LiCl, LiBr, LiI, LiClO4, LiBF4, LiB10Cl10, LiPF6, LiCF3SO3, LiCF3CO2, LiAsF6, LiSbF6, LiAlCl4, CH3SO3Li, CF3SO3Li, (CF3SO2) 2NLi, 클로로 보란 리튬, 저급 지방족 카르본산 리튬, 4 페닐 붕산 리튬, 이미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비수계 전해질에는 충방전 특성, 난연성 등의 개선을 목적으로, 예를 들어, 피리딘, 트리에틸포스파이트, 트리에탄올아민, 환상 에테르, 에틸렌 디아민, n-글라임(glyme), 헥사 인산 트리 아미드, 니트로벤젠 유도체, 유황, 퀴논 이민 염료, N-치환 옥사졸리디논, N,N-치환 이미다졸리딘, 에틸렌 글리콜 디알킬 에테르, 암모늄염, 피롤, 2-메톡시 에탄올, 삼염화 알루미늄 등이 첨가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불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염화탄소, 삼불화에틸렌 등의 할로겐 함유 용매를 더 포함시킬 수도 있고, 고온 보존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산화탄산 가스를 더 포함시킬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계면활성제를 전극에 첨가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1-1. 양극의 제조
양극 활물질로서 LiCoO2 94.5 중량%, Super-P(도전제) 2.5 중량%, PVDF(결합제) 2.5 중량%, 및 계면활성제로서 PluronicTM F127(BASF 제품) 0.5 중량%를 용제인 NMP(N-methyl-2-pyrrolidone)에 첨가하여 양극 혼합물 슬러리를 제조한 후, 알루미늄 집전체 상에 코팅, 건조 및 압착하여 양극을 제조하였다.
1-2. 음극의 제조
음극 활물질로는 인조흑연을 사용하였고, 인조흑연 95 중량%, Super-P(도전제) 2.5 중량%, PVDF(결합제) 2 중량%, 및 계면활성제로서 PluronicTM F127 0.5 중량%를 용제인 NMP에 첨가하여 음극 혼합물 슬러리를 제조한 후, 구리 집전체 상에 코팅, 건조 및 압착하여 음극을 제조하였다.
1-3. 전해액의 제조
전해액으로는 1M LiPF6의 리튬염을 함유한 EC/EMC계 용액을 사용하였다.
1-4. 전지의 제조
상기 1-1 및 1-2에서 각각 제조된 양극과 음극 사이에 다공성 분리막(셀가드TM)을 위치시키고 상기 1-3에서 제조한 비수성 전해액을 넣어서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PluronicTM F127를 양극에 0.5 중량%로 첨가하고 음극에는 첨가하지 않았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물질을 음극에 첨가하지 않음으로 인해, 음극에서 인조흑연 : Super-P : PVDF의 조성비를 95.5 : 2.5 : 2(중량비)로 조절하였다.
[실시예 3]
PluronicTM F127를 음극에 0.5 중량%로 첨가하고 양극에는 첨가하지 않았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물질을 양극에 첨가하지 않음으로 인해, 양극에서 LiCoO2 : Super-P : PVDF의 조성비를 95 : 2.5 : 2.5(중량비)로 조절하였다.
[실시예 4]
계면활성제로서 PFBS(Perflurobutane sulfonate)을 양극에 0.5 중량%로 첨가하고 음극에도 동일한 함량으로 첨가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전극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지 않았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 4와 비교예 1에서 전지를 제조함에 있어서, 양극 및 음극에 대한 전해액의 습윤도가 약 10%에 이를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에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06008445089-pat00001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계면활성제로서 F127이 첨가된 전극에서의 전해액 습윤도는 계면활성제가 첨가되지 않은 전극에 비해 매우 짧은 시간내에 소망하는 수준으로 도달하였음을 알 수 있다. 특히, F127를 양극과 음극에 모두 첨가한 경우(실시예 1)와 음극에 첨가한 경우(실시예 3)에서 습윤 속도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계면활성제로서 PFBS이 첨가된 전극에서도 우수한 전해액 습윤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1 ~ 4와 비교예 1에서 각각 제조된 전지들을 대상으로, 전지 용량, 레이트 특성 및 사이클 특성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112006008445089-pat00002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4의 전지는 비교예 1의 전지에 비하여 전지 용량, 레이트 특성 및 사이클 특성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500 회의 사이클 특성이 현저히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2]
전극 대신에 전해액에 계면활성제로서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에테르를 0.5 중량%로 첨가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리튬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물질을 전극에 첨가하지 않음으로 인해, 양극에서 LiCoO2 : Super-P : PVDF의 조성비를 95 : 2.5 : 2.5(중량비)로 조절하였고, 음극에서 인조흑연 : Super-P : PVDF의 조성비를 95.5 : 2.5 : 2.5(중량비)로 조절하였다.
[실험예 3]
비교예 2에서 전지를 제조함에 있어서, 양극 및 음극에 대한 전해액의 습윤도가 약 10%에 이를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소요시간이 5 분으로 확인됨으로써, 첨가에 따른 습윤성 향상이 얻어지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계면활성제(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에테르)의 투여에도 불구하고 습윤성 향상이 이루어지지 않은 이유와 성능 악화 원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Cyclic Voltametry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와의 비교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전지에 대해서도 동일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비교예 2의 전지는 작동 전압내에서 전기 화학적 반응이 일어나는 반면에, 실시예 1의 전지에서 PEO-PPO 블록 공중합체는 전기화학적 반응이 일어나지 않음으로써 블록 공중합체 본래의 물성인 친수성-친유성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는 계면활성제가 전극에 첨가됨으로써, 전극에 대한 전해액의 습윤성이 크게 향상되어, 전지 용량이 증가되고 레이트 특성 및 사이클 특성이 향상되며, 전지 제조공정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8)

  1. 리튬 전이금속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 양극과 흑연화 탄소를 함유하고 있는 음극을 사용하는 리튬 이차전지로서, 계면활성제가 음극에 대한 전해액의 습윤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상태로, 음극 합제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20 중량%로 음극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친수성 부위(hydrophilic portion)와 소수성 부위(hydrophobic portion)를 함께 가지고 있는 블록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PEO-PPO 블록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PEO-PPO 블록 공중합체는 PEO 함량이 전체 공중합체 의 중량을 기준으로 40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PEO-PPO 블록 공중합체는 PEO-PPO-PEO 트리 블록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PEO-PPO-PEO 트리 블록 공중합체에서 PEO 함량이 전체 공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60 내지 7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0060010947A 2006-02-06 2006-02-06 전극 활물질에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있는 리튬 이차전지 KR100893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0947A KR100893229B1 (ko) 2006-02-06 2006-02-06 전극 활물질에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있는 리튬 이차전지
JP2008553158A JP2009526349A (ja) 2006-02-06 2007-02-01 界面活性剤を含む電極活性物質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PCT/KR2007/000536 WO2007091798A1 (en) 2006-02-06 2007-02-01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electrode active material containing surfactant
CNA2007800045227A CN101379635A (zh) 2006-02-06 2007-02-01 包含含表面活性剂的电极活性材料的锂二次电池
US12/223,688 US8383265B2 (en) 2006-02-06 2007-02-01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electrode active material containing surfactant
TW096104039A TW200731600A (en) 2006-02-06 2007-02-05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electrode active material containing surfact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0947A KR100893229B1 (ko) 2006-02-06 2006-02-06 전극 활물질에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있는 리튬 이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9979A KR20070079979A (ko) 2007-08-09
KR100893229B1 true KR100893229B1 (ko) 2009-04-16

Family

ID=38345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0947A KR100893229B1 (ko) 2006-02-06 2006-02-06 전극 활물질에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있는 리튬 이차전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83265B2 (ko)
JP (1) JP2009526349A (ko)
KR (1) KR100893229B1 (ko)
CN (1) CN101379635A (ko)
TW (1) TW200731600A (ko)
WO (1) WO20070917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15179A1 (en) * 2008-10-30 2012-01-19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Conductive Polymer-Based Curable Coating Composition Providing Coated Articles with Enhanced Antistatic Properties
JP5627688B2 (ja) * 2010-07-30 2014-11-19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20130100293A (ko) * 2010-08-20 2013-09-10 내셔널 유니버시티 오브 싱가포르 에너지 저장 응용을 위한 메조 세공성 금속 인산염 재료
JP2013051081A (ja) 2011-08-30 2013-03-14 Sony Corp 二次電池、電池パック、電動車両、電力貯蔵システム、電動工具および電子機器
US9455438B2 (en) 2012-04-13 2016-09-27 Lg Chem, Ltd. Method for preparing electrode mix and the electrode mix prepared by using the same
US9590233B2 (en) * 2013-04-05 2017-03-07 Duracell U.S. Operations, Inc. Method of making a cathode
KR101675184B1 (ko) * 2013-08-19 2016-11-10 주식회사 엘지화학 3차원 구조의 리튬 이차전지
JP6730055B2 (ja) * 2016-03-28 2020-07-29 Fdk株式会社 アルカリ二次電池用の負極、この負極を含むアルカリ二次電池及びこの負極の製造方法
EP3282505B1 (en) * 2016-08-08 2020-0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sitive electrode for metal air battery, metal air battery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positive electrode for metal air battery
CN106785064A (zh) * 2016-12-27 2017-05-31 深圳市沃特玛电池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的制备方法
CN106848320B (zh) * 2017-02-22 2020-11-06 横店集团东磁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负极浆料及其制备方法
US10944128B2 (en) 2017-03-30 2021-03-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node structure for solid-state lithium-based thin-film battery
CN108666616A (zh) * 2017-03-31 2018-10-1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电解液及电池
US10622680B2 (en) 2017-04-06 2020-04-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igh charge rate, large capacity, solid-state battery
KR102134299B1 (ko) * 2017-06-07 2020-07-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슬러리, 및 이의 제조방법
EP4020652A4 (en) * 2019-12-25 2023-06-07 Ningde Amperex Technology Limited ELECTROCHEMIC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11430667B (zh) * 2019-12-31 2022-06-21 蜂巢能源科技有限公司 负极浆料、负极片、动力电池和电动汽车
WO2023012296A1 (en) * 2021-08-04 2023-02-09 Sgl Carbon Se Anode material
CN114976002A (zh) * 2022-04-28 2022-08-30 清华大学山西清洁能源研究院 黏结剂、其制备方法、锂硫电池正极与锂硫电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8390A (en) * 1899-01-31 Phonograph
KR20030021112A (ko) * 2001-09-05 2003-03-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용 활물질 및 그의 제조방법
US20030094599A1 (en) 2001-10-24 2003-05-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rosslinked polymer electrolyte composition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18562C2 (de) * 1992-06-05 1998-11-26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erfluorbutylsulfonylfluorid
KR100559110B1 (ko) * 1997-12-10 2006-03-13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전기화학 시스템에서의 비스(퍼플루오로알킬설포닐)이미드 계면활성제 염
US6632569B1 (en) * 1998-11-27 2003-10-14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Carbonaceous material for electrode and non-aqueous solvent secondary battery using this material
US6194098B1 (en) * 1998-12-17 2001-02-27 Moltech Corporation Protective coating for separators for electrochemical cells
JP2002164086A (ja) 2000-11-28 2002-06-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水系二次電池の製造法
JP2004039569A (ja) * 2002-07-05 2004-02-05 Daikin Ind Ltd 電極用添加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8390A (en) * 1899-01-31 Phonograph
KR20030021112A (ko) * 2001-09-05 2003-03-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용 활물질 및 그의 제조방법
US20030094599A1 (en) 2001-10-24 2003-05-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rosslinked polymer electrolyte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31600A (en) 2007-08-16
CN101379635A (zh) 2009-03-04
KR20070079979A (ko) 2007-08-09
JP2009526349A (ja) 2009-07-16
US20100009257A1 (en) 2010-01-14
US8383265B2 (en) 2013-02-26
WO2007091798A1 (en) 2007-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3229B1 (ko) 전극 활물질에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있는 리튬 이차전지
KR100906250B1 (ko) 바인더로서 고중합도 폴리비닐알콜과 폴리비닐피롤리돈의혼합물을 포함하는 전극 합제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KR101540618B1 (ko) 이차전지용 전극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100898706B1 (ko) 도전성 고분자가 균일한 패턴으로 코팅되어 있는 양극 및이를 포함하고 있는 이차전지
KR20070077231A (ko) 분리막의 코팅층에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있는 리튬이차전지
EP2064768B1 (en) Secondary battery with improved high-rate discharging properties
KR100907621B1 (ko) 두 성분의 도전재를 포함하는 양극 합제 및 그것으로구성된 리튬 이차전지
KR101120437B1 (ko) 도전성 고분자가 균일한 패턴으로 코팅되어 있는 음극 및이를 포함하고 있는 이차전지
KR101547819B1 (ko) 이차전지 제조 방법
KR100781051B1 (ko) 접착력이 향상된 음극 합제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KR100846073B1 (ko) 친수성-친유성 블록 공중합체가 전해액에 함유되어 있는리튬 이차전지
KR100965280B1 (ko) 도전제의 분산성이 향상된 양극 슬러리 및 그로부터 제조된리튬 이차전지
KR101106113B1 (ko) 고온 특성 향상을 위한 첨가제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0861711B1 (ko) 과방전 방지를 위한 음극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는 이차전지
KR101156614B1 (ko) 고중합도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바인더를 포함한 전극재료,그 제조방법 및 그 전극재료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140070381A (ko) 아크릴로니트릴-아크릴산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양극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1001324B1 (ko) 젖음성이 향상된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1128666B1 (ko) 전기전도도가 향상된 이차전지용 양극 합제 및 이를포함하고 있는 리튬 이차전지
KR101113045B1 (ko) 도전제의 분산제로서 폴리에틸렌옥사이드를 포함하고폴리비닐알콜을 바인더로 사용한 전극 합제 및 이를기반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965276B1 (ko) 도전제의 분산성이 향상된 음극 슬러리 및 그로부터 제조된리튬 이차전지
EP4030502A1 (en) Lithium-free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14730866A (zh) 锂金属电池用负极、其制造方法及包含其的锂金属电池
KR101159103B1 (ko) 전극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음극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는음극 합제
KR20150029399A (ko) 전해액 함침성이 향상된 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