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2490B1 - 차량용 도어 임팩트빔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임팩트빔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2490B1
KR100892490B1 KR1020070122093A KR20070122093A KR100892490B1 KR 100892490 B1 KR100892490 B1 KR 100892490B1 KR 1020070122093 A KR1020070122093 A KR 1020070122093A KR 20070122093 A KR20070122093 A KR 20070122093A KR 100892490 B1 KR100892490 B1 KR 100892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 beam
door impact
outer panel
pad par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2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승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2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24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2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2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5Outer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38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longated elements
    • B60J5/0443B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428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side doors or panels, e.g. displaced towards the occupants in case of a side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Abstract

도어 임팩트빔과 아우터패널 사이의 간격을 메우기 위하여 마련되는 차량용 도어 임팩트빔 고정장치가 소개된다. 그 차량용 도어 임팩트빔 고정장치는, 아우터패널(10)에 부착되며 상기 간격에 따른 일정 두께를 가지고 도어 임팩트빔(30)을 감싸는 형상의 패드부(300), 및 도어 임팩트빔(30)이 패드부(300)에 밀착되도록 도어 임팩트빔(30)을 두르면서 패드부(300)의 양 측단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타이부(500)로 구성되어, 임팩트빔과 아우터패널간의 불규칙한 간격에도 대응이 가능하고, 중량의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소음을 흡수한다.
도어 임팩트빔 마운팅, 아우터패널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임팩트빔 고정장치 {Fixture For Door Impact Beam For A Vehicle}
본 발명은 도어 임팩트빔을 아우터패널에 고정하며, 도어 임팩트빔과 아우터패널 사이의 불규칙한 간격을 메우기 위하여 설치되는 차량용 도어 임팩트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도어측 측면충돌시 그 충격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도어의 아우터패널에는 도어 임팩트빔이 설치된다. 도어 임팩트빔은 복수 개의 마운팅 구조로 아우터패널에 고정설치되는데, 그 마운팅 방법으로써 종래에는 일정간격으로 마스틱 실러를 주입하여 부착하였다. 또한 차량 도어 형상의 복잡화로 인하여 도어 임팩트빔과 아우터패널 사이의 간격이 불규칙하게 됨에 따라 마스틱 실러로 마운팅 할 수 없는 간격에는 별도의 브라켓을 임팩트빔에 설치하고 브라켓은 아우터 패널과 마스틱 실러로 부착하였다.
도 1과 2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도어 임팩트빔(30)은 아우터패널(10)에 양단을 빔브라켓(50)을 이용하여 부착되고, 도어 임팩트빔(30)과 아우터패널(10)의 사이에는 일정간격으로 마스틱 실러를 적용하였다. 마스틱 실러가 적용될 수 없을 정 도로 임팩트빔(30)과 아우터패널간(10)의 간격이 큰 부위에는 임팩트빔(30)에 브라켓(50)을 마스틱 실러(54)로 부착하고, 브라켓(50) 역시 아우터패널(10)에 마스틱 실러(52)로 부착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도어 임팩트빔 고정장치는 마스틱 실러의 적용부위가 다수인바 작업공수의 증가라는 문제점이 있었고, 임팩트빔을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이 금속제인바 차량 중량의 증가가 있었으며, 임팩트빔과 브라켓과 아우터패널간의 충돌로 인한 소음발생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도어 임팩트빔과 아우터패널간의 불규칙한 간격을 균일하게 보충하며, 소음의 발생을 억제하고 작업공수를 줄이며 중량의 증가를 최소화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임팩트빔 고정장치는, 아우터패널에 부착되며 상기 간격에 따른 일정 두께를 가지고 도어 임팩트빔을 감싸는 형상의 패드부, 및 도어 임팩트빔이 패드부에 밀착되도록 도어 임팩트빔을 두르면서 패드부의 양 측단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타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패드부가 안정적으로 도어 임팩트빔을 지지하도록, 그 일면에는 아우터패널에 부착되는 베이스패널이 마련되고, 패드부는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로 형성되고, 베이스패널은 폴리 염화비닐로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도어 임팩트빔 고정장치에 따르면, 패드부 두께와 형상의 자유로운 조절로서 임팩트빔과 아우터패널간의 불규칙한 간격에 대응이 가능하고, 아울러 패드부는 임팩트빔의 충격을 흡수하고 흡음의 역할을 하며, 과도한 중량 증가를 수반하지 않으면서도 임팩트빔의 고정이 가능하고, 마스틱 실러를 생략함으로써 작업공수가 줄어든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임팩트빔 고정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을 참고하여 차량용 도어 임팩트빔 고정장치를 살펴보면, 차량용 도어 임팩트빔 고정장치는, 아우터패널(10)에 부착되며 상기 간격에 따른 일정 두께를 가지고 도어 임팩트빔(30)을 감싸는 형상의 패드부(300), 및 도어 임팩트빔(30)이 패드부(300)에 밀착되도록 도어 임팩트빔(30)을 두르면서 패드부(300)의 양 측단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타이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패드부(300)가 안정적으로 도어 임팩트빔(30)을 지지하도록, 그 일면에는 아우터패널(10)에 부착되는 베이스패널(100)이 마련되고, 패드부(300)는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로 형성되고, 베이스패널(100)은 폴리 염화비닐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고하여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도어 임팩트빔(30)의 일정부분을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로 형성된 패드부(300)가 감싸고 있어 중량이 감소되고 임팩트 빔이 충격을 효율적으로 흡수한다. 패드부(300)의 두께와 형상은 자유로이 조절가능한바, 임팩트빔(30)과 아우터패널(10) 사이의 불규칙한 간격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패드부(300)의 외측에는 폴리 염화비닐로 형성된 베이스패널(100)이 부착되어 패드부(300)가 안정적으로 임팩트빔(30)에 고정되며, 최종적으로 타이부(500)는 임팩트빔(30)을 감싸며 베이스패널(100)의 양단에 연결되어 베이스패널(100)을 패드부(300)에 밀착시킨다. 또한 베이스패널(100)은 아우터패널(10)에 마스틱 실러(120)로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도어 임팩트빔이 아우터패널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도어 임팩트빔 고정장치가 적용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 임팩트빔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 임팩트빔 고정장치가 적용된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아우터패널 20 : 도어 임팩트빔
100 : 베이스패널 120 : 마스틱 실러
300 : 패드부 500 : 타이부

Claims (3)

  1. 삭제
  2. 도어 임팩트빔을 아우터패널에 고정하며, 도어 임팩트빔과 아우터패널 사이의 간격을 메우기 위하여 설치되는 차량용 도어 임팩트빔 고정장치로서,
    아우터패널(10)에 부착되며, 상기 간격에 따른 일정 두께를 가지고 도어 임팩트빔(30)을 감싸는 형상의 패드부(300), 및 도어 임팩트빔(30)이 패드부(300)에 밀착되도록 도어 임팩트빔(30)을 두르면서 패드부(300)의 양 측단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타이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300)가 안정적으로 도어 임팩트빔(30)을 지지하도록, 그 일면에는 아우터패널(10)에 부착되는 베이스패널(100)이 마련된 차량용 도어 임팩트빔 고정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300)는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로 형성되고, 베이스패널(100)은 폴리 염화비닐로 형성된 차량용 도어 임팩트빔 고정물.
KR1020070122093A 2007-11-28 2007-11-28 차량용 도어 임팩트빔 고정장치 KR100892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093A KR100892490B1 (ko) 2007-11-28 2007-11-28 차량용 도어 임팩트빔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093A KR100892490B1 (ko) 2007-11-28 2007-11-28 차량용 도어 임팩트빔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2490B1 true KR100892490B1 (ko) 2009-04-10

Family

ID=40757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2093A KR100892490B1 (ko) 2007-11-28 2007-11-28 차량용 도어 임팩트빔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24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25944A (zh) * 2016-03-25 2017-10-03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车身构造
KR20180064722A (ko) * 2016-12-06 2018-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임팩트 빔용 강도보강 브라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5371A (ko) * 1996-12-28 1998-09-25 김영귀 자동차 도어의 도어 패드 취부용 리테이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5371A (ko) * 1996-12-28 1998-09-25 김영귀 자동차 도어의 도어 패드 취부용 리테이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25944A (zh) * 2016-03-25 2017-10-03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车身构造
CN107225944B (zh) * 2016-03-25 2020-07-10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车身构造
KR20180064722A (ko) * 2016-12-06 2018-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임팩트 빔용 강도보강 브라켓
KR102506846B1 (ko) * 2016-12-06 2023-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임팩트 빔용 강도보강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4730B1 (ko) 차량용 카울 크로스 멤버 어셈블리
KR101755711B1 (ko) 차량의 쇽업소버 장착부 구조
JP5984930B2 (ja) 自動車の組付けアッセンブリ
KR100892490B1 (ko) 차량용 도어 임팩트빔 고정장치
JP5850413B2 (ja) 電子制御装置の固定構造
JP2009012514A (ja) 乗員保護装置
JP5818097B2 (ja) 車両天井構造
KR101508879B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벨트 브라켓 설치구조
KR20210044378A (ko) 차량의 파워트레인용 마운팅 시스템
JP2007176401A (ja) 防振マウントの固定具
CN211918659U (zh) 一种车辆地板安装结构
JP2007237901A (ja) 自動車のサイドドア構造
KR101629808B1 (ko) 차량용 카울 구조
KR101825398B1 (ko) 철도차량용 프레임장치
JPS603405Y2 (ja) 自動車のパワ−プラント支持装置
JP2021054217A (ja) 電装部品支持構造
KR101624234B1 (ko) 스티어링 칼럼 마운팅 진동 절연 체결 구조
KR20140082210A (ko) 자동차용 배기시스템의 진동 흡수 및 위치 제어를 위한 행거
KR20090090510A (ko) 소음진동 방지기능을 가지는 트랙터 캐빈의 조향장치
JP2021041753A (ja) 車両用制御装置取付構造
KR100892704B1 (ko) 차량용 롤 마운팅 장치
KR102213306B1 (ko) 변속기용 서포트 브라켓
JP7401352B2 (ja) 遮音パネル、遮音壁及び遮音壁の施工方法
JP2021054216A (ja) 電装部品支持構造
JPH1116750A (ja) 静止誘導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