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0889B1 - 해충 방제용 가열 증산체 - Google Patents

해충 방제용 가열 증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0889B1
KR100890889B1 KR1020020064381A KR20020064381A KR100890889B1 KR 100890889 B1 KR100890889 B1 KR 100890889B1 KR 1020020064381 A KR1020020064381 A KR 1020020064381A KR 20020064381 A KR20020064381 A KR 20020064381A KR 100890889 B1 KR100890889 B1 KR 100890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st control
transcript
dimethylcyclopropanecarboxylate
carrier
control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4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3953A (ko
Inventor
이와사끼도모노리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33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3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0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0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8Vapour or smoke emitting compositions with delayed or sustained releas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solids as carriers or dilu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cyclopropane 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가열 증산성 해충 방제제를 함유하는 판상 담체가, 개구부를 갖는 해충 방제제 비투과성층으로 피복되고, 상기 개구부가 해충 방제용 가열 증산체의 한면에만 존재하며, 개구 비율이 상기 면의 0.1∼10 % 인 해충 방제용 가열 증산체를 가열함으로써 해충을 장시간 동안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다.
해충 방제제, 증산체

Description

해충 방제용 가열 증산체 {PESTICIDAL TABLET FOR HEAT-VAPORIZATION}
도 1 은 본 증산체 8, 본 증산체 9, 참고 증산체 1 및 참고 증산체 2 의 평면도이다.
* 도면 부호의 설명 *
a 는 본 증산체 상단 또는 하단과 개구부 사이의 거리, b 는 개구부의 가로 길이, c 는 개구부의 세로 길이, d 는 개구부 사이의 거리, e 는 본 증산체의 세로 길이, 및 f 는 본 증산체의 가로 길이를 각각 나타낸다 (각 부호 근처의 화살표는 각 부호의 표시 범위이다).
본 발명은 해충 방제용 가열 증산체 및 해충 방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 가열에 의해 모기를 방제하는 공지의 매트 (tablet) 는, 해충 방제제를 섬유질 또는 다공질 담체에 보유시키고, 통상 약 140∼200 ℃ 에서 매트를 가열하여 모기 등의 해충을 방제한다. 전기 가열에 의해 모기를 방제하는 매트는 사용이 용이한 반면, 해충 방제제의 휘산을 제어하기가 매우 어려워, 현재 장기간 동안 효과적으로 해충을 방제할 수 있는 제품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시간 동안 해충을 방제하는데 유효한 해충 방제용 가열 증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한 것으로, 해충 방제제를 함유하는 판상 담체를,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갖는 해충 방제제 비투과성층으로 피복한 해충 방제용 가열 증산체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가 해충 방제용 증산체의 한면에만 존재하고, 그 개구 비율이 상기 면의 0.1∼10 % 인 해충 방제용 가열 증산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증산체를 가열하는 것을 포함하는 해충 방제 방법도 제공한다.
본 가열 증산체에서의 판상 담체는 해충 방제제를 보유할 수 있으며, 가열에 의해 해충 방제제를 적절히 휘산시킬 수 있다.
이러한 담체로는, 예를 들면 섬유질 담체 및 다공질 담체 등을 들 수 있다.
섬유질 담체의 구체적인 예는 펄프, 셀룰로오스 및 면 등의 천연 섬유, 폴리에스테르 및 아크릴 수지 등의 합성 섬유, 유리 섬유 및 석면 등의 무기 섬유를 포함하며, 다공질 담체의 예는 규조토 등의 다공질 무기 물질, 유약을 바르지 않은 도기 등의 자기, 발포 우레탄 및 발포 폴리프로필렌 등의 다공질 수지를 포함한다.
본 증산체는 일반적으로 가열 장치에 장착되고, 따라서 담체로는 통상 평판상의 것이 사용되며, 그 크기는 가열 장치에 따라 변하고, 예를 들면 약 2 ㎝ (종) ×약 3 ㎝ (횡) ×약 3 ㎜ (두께) 의 담체가 사용된다.
본 증산체에서의 가열 증산성 해충 방제제의 예는 가열 증산에 적합한 피레 스로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며, 하기 화학식 1 로 표시되는 테트라플루오로벤질 에스테르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2034534016-pat00001
상기 식중에서,
R 은 수소 원자, 메틸기, 메톡시기 또는 메톡시메틸기를 나타내고,
X 및 Y 는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염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상기 테트라플루오로벤질 에스테르 화합물은, 예를 들면 2,3,5,6-테트라플루오로-4-메톡시메틸벤질 3-(1-프로페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3,5,6-테트라플루오로-4-메틸벤질 3-(1-프로페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3,5,6-테트라플루오로벤질 3-(2,2-디클로로비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3,5,6-테트라플루오로-4-메톡시메틸벤질 3-(2-메틸-1-프로페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3,5,6-테트라플루오로-4-메톡시벤질 3-(1-프로페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및 2,3,5,6-테트라플루오로-4-메톡시벤질 3-(2-메틸-1-프로페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이다.
판상 담체중의 해충 방제제의 함량은 담체의 재질, 목표로 하는 해충 방제 효과, 효과의 지속 기간, 해충 방제제의 종류 등에 의해서 적절히 결정되며, 통상은 담체 1 ㎤ 당 0.001∼1 g 이다.
판상 담체는 본 해충 방제제 및 임의로, 용매, 색소, 산화방지제, 공력제, 안정화제, 향료 등을 함유한다.
용매의 예는 규정 파라핀, 이소파라핀, 나프텐, 에스테르, 케톤, 에테르 및 알코올을 포함한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색소의 예는 1,4-디부틸아미노안트라퀴논, 1,4-디이소프로필아미노안트라퀴논, 1,4-비스(2,6-디에틸-4-메틸페닐아미노)안트라퀴논, 1-메틸아미노-4-o-톨릴아미노안트라퀴논, 1-메틸아미노-4-m-톨릴아미노안트라퀴논 및 1-메틸아미노-4-p-톨릴아미노안트라퀴논 등의 안트라퀴논계 청색 색소를 포함한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색이 다른 기타 색소와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산화방지제의 예는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2,2-메틸렌비스(4-메틸-6-tert-부틸페놀) 및 2,6-디-tert-부틸-4-메틸페놀 등의 페놀계 산화방지제를 포함한다.
공력제의 예는 비스(2,3,3,3-테트라클로로프로필)에테르 (S-421), N-(2-에틸헥실)비시클로[2.2.1]헵트-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MGK-264) 및 α-[2-(2-부톡시에톡시)에톡시]-4,5-메틸렌디옥시-2-프로필톨루엔 (PBO) 을 포함한다.
안정화제의 예는 벤조트리아졸계 UV 흡수제 및 벤조페논계 UV 흡수제 등의 UV 흡수제를 포함한다.
판상 담체에 해충 방제제를 보유시키기 위해서, 해충 방제제 등을 함유하는 용액을 담체에 함침시킬 수 있다.
본 증산체는 해충 방제제 비투과성층으로 판상 담체를 피복시킨 구조를 가진다. 해충 방제제 비투과성층은 해충 방제제의 증기를 실질적으로 투과시키지 않는 층이다. "실질적으로 투과시키지 않는" 이란, 본 증산체 사용시에 있어서, 살충 효력에 영향을 미치는 양의 해충 방제제를 투과시키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층은, 본 증산체를 비투과성층으로 전부 피복하고, 시험예 1 에서 설명하는 살충 효력 시험을 수행하여, 30 분간 관찰할 때, 녹다운된 모기가 전혀 확인되지 않는 정도의 비투과성을 가진다. 비투과성층은, 본 증산체를 사용하는 온도 (예컨대, 약 50∼200 ℃) 에서, 사용 기간 (예컨대, 약 100 시간 이상) 중에는, 파손, 융해 등에 의해 판상 담체의 노출이 발생하지 않는 정도의 내열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투과성층은, 예를 들어 해충 방제제 증기를 실질적으로 투과시키지 않는 재질로 제조된 필름 및 시이트이다. 상기 재질의 예는 철, 니켈, 크롬, 아연, 몰리브덴, 티탄, 구리, 알루미늄, 주석, 납, 은, 백금 및 금 등의 금속; 및 폴리올레핀 (예,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예,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예, 나일론), 폴리이미드, 폴리 에스테르 (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테르 (예,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폴리에테르 술폰) 및 불소 수지 (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의 중합체를 포함한다.
비투과성층은 전술한 재질을 조합한 복합 재질일 수 있거나, 또는 2 이상의 층을 갖는 적층체일 수 있다. 또한, 강도, 내열성, 접착성 등을 부여하기 위해, 비투과성층에, 해충 방제제 투과성이 높은 층을 1 층 이상 적층시킬 수 있다. 내열성 및 가공성의 관점에서, 알루미늄, 구리 및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층과, 폴리올레핀 (예,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예,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에틸렌-아크릴산, 에틸렌-메타크릴산,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폴리아미드 (예, 나일론), 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 (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테르 (예,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폴리에테르 술폰) 등의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적층체가 바람직하다. 알루미늄층과, 폴리올레핀 (예,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예, 나일론), 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 (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테르 (예,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폴리에테르 술폰) 의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적층체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복" 이란, 피복 대상물 (판상 담체) 의 표면에 피복물 (비투과성층) 을 밀착시켜 피복하는 상태 뿐만 아니라, 피복 대상물에 피복물을 약간 (예컨대, 약 1 ㎝ 이하) 의 간격을 두고서 피복하는 상태도 포함한다. 판상 담 체와 비투과성층 사이의 간격은 통상은 5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3 ㎜ 이하이다.
비투과성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통상은 0.0001∼5 ㎜ 이고, 바람직하게는 0.001∼2 ㎜ 이다.
본 증산체에 있어서, 판상 담체를 피복하는 비투과성층은 개구부를 가지며, 이 개구부를 통해 해충 방제제가 증산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본 증산체의 한면에만 존재하며, 개구 비율은 상기 면의 면적에 대해 약 0.1 % 내지 약 10 %, 바람직하게는 약 0.5 % 내지 약 6 % 이다. 여기에서, 본 증산체의 한면은 본 증산체의 면중에서, 면적이 큰 대항하는 2 개의 면중 하나를 나타낸다. 통상은, 본 증산체를 평면에 위치시킬 때, 바로 위에서 수직 방향으로 보이는 최외부를 윤곽으로서 하여, 그의 내측을 형성하는 표면 부분 (피복층 및 개구부) 을 본 증산체의 한 면으로서 사용할 수 있고, 상기 표면 부분의 총면적 (비투과성층부 면적과 개구부 면적) 을 본 증산체의 한 면의 면적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증산체가, 예를 들어 3 ㎝ (종) ×5 ㎝ (횡) ×1 ㎜ (두께) 의 직방체 형상인 경우에는, 본 증산체의 한 면의 면적은 15 ㎠ 이다. 2.2 ㎝ (종) ×3.5 ㎝ (횡) ×2 ㎜ (두께) 의 판상 담체를, 2.5 ㎝ (종) ×3.8 ㎝ (횡) 의 비투과성층으로 제조된 백 (단, 백의 한면은 소정의 개구부를 가짐) 에 넣고, 백의 입구를 열-봉합 등에 의해 밀봉시킴으로써 수득한 본 증산체의 경우에는, 본 증산체의 한 면의 면적은 9.5 ㎠ 이다.
비투과성층이 개구부를 갖는 상태는, 예를 들어 비투과성층이 결함 부분을 갖는 상태, 피복한 비투과성층이 다수의 작은 (예, 약 0.01∼0.1 ㎜) 구멍을 갖는 상태, 또는 피복한 비투과성층의 일부가 해충 방제제 투과성층으로 치환된 상태이다.
비투과성층으로 판상 담체를 피복하는 방법은 필름 또는 시이트상의 비투과성층을 열 봉합, 초음파 봉합, 고주파 봉합, 접착제 등에 의해 판상 담체의 각 면에 접착시키는 방법; 딥-코팅법, 스프레이-코팅법, 페인트-브러싱법 등의 통상의 수지 코팅 방법에 의해 수지막을 판상 담체면상에 형성시키는 방법; 비투과성층의 백에 판상 담체를 장입하고, 백의 입구를 열 봉합, 초음파 봉합, 고주파 봉합, 접착제 등에 의해 밀폐시키는 방법이다.
본 증산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비투과성층으로서, 소정의 결함 부분을 갖는 층, 작은 구멍을 갖는 층, 상기 결함 부분이 해충 방제제 투과성층으로 피복된 층 등을 사용하여, 상기 부분이 본 증산체의 한 면에만 존재하도록 피복하는 방법, 판상 담체의 전체 표면을 개구부를 갖지 않는 비투과성층으로 피복한 후, 비투과성층의 소정의 부분을 제거 (박리, 절단) 하거나, 또는 구멍이 있으면, 소정 부분을 제거한 후, 상기 제거 부분을 해충 방제용 증산체로 피복하여 부착하는 방법, 및 기타의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증산체를 가열 장치에 장착할 때, 상기 비투과성층 부분을 제공함으로써, 해충 방제제를 손가락 등에 부착됨이 없이 편리하게 취급할 수 있다.
본 증산체를 가열하기 전이나, 사용을 중단하는 경우에는, 본 해충 방제제의 불필요한 휘산을 방지하고, 해충 방제제가 손 등에 부착되는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비투과성층의 개구부를 해충 방제제 비투과성 밀봉재로 밀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밀봉재는 편면에, 반복 탈착이 가능하도록 부착/박리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접착층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최초 사용 개시 전에는, 비투과성층의 개구부를 해충 방제제 비투과성 밀봉재로 피복하고, 사용 개시시에는 상기 밀봉재를 박리, 파괴, 절단 등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증산체는 장시간의 사용에 적합한 증산체이기 때문에, 살충 방제 효력의 저하 또는 소실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 수단의 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판상 담체에 색소를 보유시켜, 퇴색을 관찰 (참고, JP 소46-24277B).
·판상 담체에 증산성 산 또는 염기 또는 pH 지시약을 보유시켜, 퇴색을 관찰 (참고, JP 소56-53461A).
·담체에 증산성 산 또는 염기 또는 pH 지시약을 보유시키고, 본 증산체 표면에 부착시켜, 퇴색을 관찰 (참고, JP 소56-53461A).
·판상 담체에 전자 공여성 착색 유기 화합물 및 보조제를 보유시켜, 퇴색을 관찰 (참고, JP 소63-60901A).
·담체에 전자 공여성 착색 유기 화합물, 휘산성 조정제 및 보조제를 보유시키고, 본 증산체 표면에 부착시켜, 퇴색을 관찰 (참고, JP 소63-60901A).
·저 굴절율의 원색 (original color) 부분을 편면의 일부분 또는 전부에 갖는 시이트 또는 수지에 용매를 함침시킨 표시기를 증산체 표면에 부착시켜, 퇴색을 관찰 (참고, JP 평8-73301A).
·저 굴절율의 원색 부분을 편면의 일부분 또는 전부에 갖는 시이트 또는 수지를 사용하여, 퇴색을 관찰 (참고, JP 평8-73301A).
본 증산체를 가열 장치에 의해 약 50 ℃ 내지 약 200 ℃ 로 가열함으로써, 해충을 방제할 수 있다.
상기 방제는 휘산을 위해 본 증산체를, 개구부를 갖는 면과 대항하는 면으로부터 (개구부를 갖는 면을 상부면으로 할 때, 하부면으로부터) 가열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본 증산체를 사용하는 해충 방제에서 가열 장치에 의한 본 증산체의 구체적인 가열은, 통상 가열 장치의 히터 면에 접하는 (또는 근접하는) 면을 하부면으로 할 때, 본 증산체의 개구부를 갖는 면이 상부면이 되도록 상기 장치를 장착시켜, 하부면측으로부터 히터에 의해 본 증산체를 가열한다.
방제하고자 하는 해충의 예는 각종 유해 절지 동물 (예, 곤충, 진드기) 등, 특히 비상성 (飛翔性, flying) 곤충이다. 이들은, 예를 들면 쿠렉스 피피엔스 팔렌스 (Culex pipiens pallens) (성충) 및 쿠렉스 트리타에니오린쿠스 (Culex tritaeniorhynchus) 등의 쿠렉스 종 (Culex spp.), 아에데스 아에집티 (Aedes aegypti) (황열병 모기) 및 아에데스 알보픽투스 (Aedes albopictus) 등의 아에데스 종 (Aedes spp.), 아노페레스 시넨시스 (Anopheles sinensis) 등의 아노페레스 종 (Anopheles spp.), 키로노미다에 (Chironomidae) (모기붙이), 무스카 도메스티카 (Musca domestica) (집파리), 무스카 헤르베이 (Musca hervei) 및 판니아 카니쿠라리스 (Fannia canicularis) 등의 무스키다에 (Muscidae), 칼리포리다에 (Calliphoridae), 사르코파기다에 (Sarcophagidae), 드로소피리다에 (Drosophilidae) (초파리), 사이코디다에 (Psychodidae) (나방), 포리다에 (Phoridae), 타바니다에 (Tabanidae) (등에), 시무리이다에 (Simuliidae) (진디등에), 스토목시이다에 (Stomoxyidae) (마구간 파리) 및 세라토포고니다에 (Ceratopogonidae) (모기붙이) 등의 파리목 해충이다.
실시예
이하, 제조예 및 시험예에 의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들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1
2,3,5,6-테트라플루오로-4-메톡시메틸벤질 1R-트랜스-3-(1-프로페닐(E/Z=1/8))-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0 중량%,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10 중량%, 1,4-디이소프로필아미노안트라퀴논 0.5 중량% 및 디이소노닐 아디페이트 69.5 중량% 로 이루어진 용액 900 ㎎ 을 2.2 ㎝ ×3.5 ㎝ ×0.31 ㎝ 의 펄프 및 코튼 린터 (linter) 의 섬유질 판상 담체에 함침시켰다. 담체를 3.8 ㎝ ×2.5 ㎝ 의 알루미늄-적층 백에 넣고, 백의 입구를 열 봉합하여 밀폐시켰다. 담체와 알루미늄-적층 백의 간격은 2 ㎜ 이하였다. 알루미늄-적층 백의 편면의 중앙부를 절단하여 0.3 ㎝ ×0.3 ㎝ 의 사각형 개구부를 형성시킴으로써, 본 증산체 1 을 수득하였다 (본 증산체 1 의 상부면의 총면적 : 9.5 ㎠, 개구 비율 : 0.9 %).
제조예 2
함침 용액의 양을 600 ㎎ 으로 하고, 알루미늄-적층 백의 편면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0.3 ㎝ ×0.6 ㎝ 로 한 것외에는 제조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본 증산체 2 를 수득하였다 (본 증산체 2 의 상부면의 총면적 : 9.5 ㎠, 개구 비율 : 1.9 %).
제조예 3
2,3,5,6-테트라플루오로-4-메톡시메틸벤질 1R-트랜스-3-(1-프로페닐(E/Z=1/8))-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150 ㎎ 을 2 ㎝ ×3 ㎝ ×0.03 ㎝ 의 여과지에 함침시켰다. 여과지를 2.4 ㎝ ×3.4 ㎝ 의 알루미늄-적층 백에 넣고, 백의 입구를 열 봉합하여 밀폐시켰다. 담체와 알루미늄-적층 백의 간격은 2 ㎜ 이하였다. 알루미늄-적층 백의 편면의 중앙부를 절단하여 0.3 ㎝ ×0.3 ㎝ 의 사각형 개구부를 형성시킴으로써, 본 증산체 3 을 수득하였다 (본 증산체 3 의 상부면의 총면적 : 8.16 ㎠, 개구 비율 : 1.1 %).
제조예 4
사각형 개구부의 면적을 0.6 ㎝ ×0.6 ㎝ 로 한 것외에는 제조예 3 과 동일한 방식으로 본 증산체 4 를 수득하였다 (본 증산체 4 의 상부면의 총면적 : 8.16 ㎠, 개구 비율 : 4.4 %).
제조예 5
사각형 개구부의 면적을 0.9 ㎝ ×0.9 ㎝ 로 한 것외에는 제조예 3 과 동일한 방식으로 본 증산체 5 를 수득하였다 (본 증산체 5 의 상부면의 총면적 : 8.16 ㎠, 개구 비율 : 9.9 %).
제조예 6
2,3,5,6-테트라플루오로벤질 1R-트랜스-3-(2,2-디클로로비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0 중량%,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10 중량% 및 디이소노닐 아디페이트 70 중량% 로 이루어진 용액 600 ㎎ 을 2.2 ㎝ ×3.5 ㎝ ×0.28 ㎝ 의 펄프 및 코튼 린터의 섬유질 판상 담체에 함침시켰다. 담체를 3.8 ㎝ ×2.5 ㎝ 의 알루미늄-적층 백에 넣고, 백의 입구를 열 봉합하여 밀폐시켰다. 담체와 알루미늄-적층 백의 간격은 2 ㎜ 이하였다. 알루미늄-적층 백의 편면의 중앙부를 절단하여 0.3 ㎝ ×0.3 ㎝ 의 사각형 개구부를 형성시킴으로써, 본 증산체 6 을 수득하였다 (본 증산체 6 의 상부면의 총면적 : 9.5 ㎠, 개구 비율 : 0.9 %).
제조예 7
사각형 개구부의 면적을 0.3 ㎝ ×0.6 ㎝ 로 한 것외에는 제조예 6 과 동일한 방식으로 본 증산체 7 을 수득하였다 (본 증산체 7 의 상부면의 총면적 : 9.5 ㎠, 개구 비율 : 1.9 %).
제조예 8
2,3,5,6-테트라플루오로-4-메톡시메틸벤질 1R-트랜스-3-(1-프로페닐(E/Z=1/8))-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0 중량%,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10 중량% 및 디이소노닐 아디페이트 70 중량% 로 이루어진 용액 600 ㎎ 을 2.2 ㎝ ×3.5 ㎝ ×0.28 ㎝ 의 펄프 및 코튼 린터의 섬유질 판상 담체에 함침시켰다. 담체를 3.8 ㎝ ×2.5 ㎝ 의 알루미늄-적층 백에 넣고, 백의 입구를 열 봉합하여 밀폐시켰다. 담체와 알루미늄-적층 백의 간격은 2 ㎜ 이 하였다. 알루미늄-적층 백의 편면에, 도 1 (a = 0.9 ㎝, b = 0.6 ㎝, c = 0.2 ㎝, d = 0.7 ㎝) 에 도시한 개구부를 형성시켜, 본 증산체 8 을 수득하였다 (본 증산체 8 의 상부면의 총면적 : 9.5 ㎠, 개구 비율 : 3.8 %).
제조예 9
2,3,5,6-테트라플루오로-4-메톡시메틸벤질 1R-트랜스-3-(1-프로페닐(E/Z=1/8))-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0 중량%,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10 중량% 및 디이소노닐 아디페이트 70 중량% 로 이루어진 용액 600 ㎎ 을 2.2 ㎝ ×3.5 ㎝ ×0.31 ㎝ 의 펄프 및 코튼 린터의 섬유질 판상 담체에 함침시켰다. 담체를 3.8 ㎝ ×2.5 ㎝ 의 알루미늄-적층 백에 넣고, 백의 입구를 열 봉합하여 밀폐시켰다. 담체와 알루미늄-적층 백의 간격은 2 ㎜ 이하였다. 알루미늄-적층 백의 편면에, 도 1 (a = 0.75 ㎝, b = 0.9 ㎝, c = 0.3 ㎝, d = 0.7 ㎝) 에 도시한 개구부를 형성시켜, 본 증산체 9 를 수득하였다 (본 증산체 9 의 상부면의 총면적 : 9.5 ㎠, 개구 비율 : 8.5 %).
제조예 10
2,3,5,6-테트라플루오로-4-메톡시메틸벤질 1R-트랜스-3-(1-프로페닐(E/Z=1/8))-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0 중량%, 3,9-비스[2,3-(3-ter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닐옥시-1,1-디메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0.83 중량%,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10 중량% 및 디이소노닐 아디페이트 69.17 중량% 로 이루어진 용액 600 ㎎ 을 2.2 ㎝ ×3.5 ㎝ ×0.28 ㎝ 의 펄프 및 코튼 린터의 섬유질 판상 담체에 함침시켰다. 담 체를 3.8 ㎝ ×2.5 ㎝ 의 알루미늄-적층 백에 넣고, 백의 입구를 열 봉합하여 밀폐시켰다. 담체와 알루미늄-적층 백의 간격은 2 ㎜ 이하였다. 알루미늄-적층 백의 편면의 중앙부를 절단하여 0.3 ㎝ ×0.3 ㎝ 의 사각형 개구부를 형성시킴으로써, 본 증산체 10 을 수득하였다 (본 증산체 10 의 상부면의 총면적 : 9.5 ㎠, 개구 비율 : 0.9 %).
제조예 11
2,3,5,6-테트라플루오로-4-메톡시메틸벤질 1R-트랜스-3-(1-프로페닐(E/Z=1/8))-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0 중량%, 2-[1-(2-히드록시-3,5-디-tert-펜틸페닐)에틸-4,6-디-tert-펜틸페닐 아크릴레이트 5 중량%,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10 중량% 및 디이소노닐 아디페이트 65 중량% 로 이루어진 용액 600 ㎎ 을 2.2 ㎝ ×3.5 ㎝ ×0.28 ㎝ 의 펄프 및 코튼 린터의 섬유질 판상 담체에 함침시켰다. 담체를 3.8 ㎝ ×2.5 ㎝ 의 알루미늄-적층 백에 넣고, 백의 입구를 열 봉합하여 밀폐시켰다. 담체와 알루미늄-적층 백의 간격은 2 ㎜ 이하였다. 알루미늄-적층 백의 편면의 중앙부를 절단하여 0.3 ㎝ ×0.3 ㎝ 의 사각형 개구부를 형성시킴으로써, 본 증산체 11 을 수득하였다 (본 증산체 11 의 상부면의 총면적 : 9.5 ㎠, 개구 비율 : 0.9 %).
제조예 12
사각형 개구부의 면적을 0.3 ㎝ ×0.45 ㎝ 로 한 것외에는 제조예 10 과 동일한 방식으로 본 증산체 12 를 수득하였다 (본 증산체 12 의 상부면의 총면적 : 9.5 ㎠, 개구 비율 : 2.85 %).
제조예 13
사각형 개구부의 면적을 0.3 ㎝ ×0.45 ㎝ 로 한 것외에는 제조예 11 과 동일한 방식으로 본 증산체 13 을 수득하였다 (본 증산체 13 의 상부면의 총면적 : 9.5 ㎠, 개구 비율 : 2.85 %).
참고예 1
2,3,5,6-테트라플루오로-4-메톡시메틸벤질 1R-트랜스-3-(1-프로페닐(E/Z=1/8))-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0 중량%,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10 중량% 및 디이소노닐 아디페이트 70 중량% 로 이루어진 용액 600 ㎎ 을 2.2 ㎝ ×3.5 ㎝ ×0.28 ㎝ 의 펄프 및 코튼 린터의 섬유질 판상 담체에 함침시켰다. 담체를 3.8 ㎝ ×2.5 ㎝ 의 알루미늄-적층 백에 넣고, 백의 입구를 열 봉합하여 밀폐시켰다. 담체와 알루미늄-적층 백의 간격은 2 ㎜ 이하였다. 알루미늄-적층 백의 편면에, 도 1 (a = 0.645 ㎝, b = 1.1 ㎝, c = 0.37 ㎝, d = 0.7 ㎝) 에 도시한 개구부를 형성시켜, 참고 증산체 1 을 수득하였다 (참고 증산체 1 의 상부면의 총면적 : 9.5 ㎠, 개구 비율 : 12.9 %).
참고예 2
2,3,5,6-테트라플루오로-4-메톡시메틸벤질 1R-트랜스-3-(1-프로페닐(E/Z=1/8))-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0 중량%,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10 중량% 및 디이소노닐 아디페이트 70 중량% 로 이루어진 용액 600 ㎎ 을 2.2 ㎝ ×3.5 ㎝ ×0.28 ㎝ 의 펄프 및 코튼 린터의 섬유질 판상 담체에 함침시켰다. 담체를 3.8 ㎝ ×2.5 ㎝ 의 알루미늄-적층 백에 넣고, 백의 입구를 열 봉합하여 밀폐시켰다. 담체와 알루미늄-적층 백의 간격은 2 ㎜ 이하였다. 알루미늄-적층 백의 편면에, 도 1 (a = 0.555 ㎝, b = 1.3 ㎝, c = 0.43 ㎝, d = 0.7 ㎝) 에 도시한 개구부를 형성시켜, 참고 증산체 2 를 수득하였다 (참고 증산체 2 의 상부면의 총면적 : 9.5 ㎠, 개구 비율 : 17.7 %).
시험예 1
암컷 성충 (쿠렉스 피피엔스 팔렌스 (Culex pipiens pallens)) 10 마리가 들어 있는 유리관 (높이 : 12 ㎝, 내부 직경 : 4 ㎝, 양 끝은 16 메시 나일론 네트로 덮여 있음) 을 2 개 준비하였다.
높이 80 ㎝ 및 직경 20 ㎝ 의 시험용 실린더의 상부에, 상기 유리관용의 폭 7.8 ㎝ 금속제 대 (pedestal) 를 직경 방향으로 중심 부분에 매달았다. 상기 대에는, 실린더의 중심으로부터 4 ㎝ 의 위치에, 유리관의 내부 직경과 동일한 직경 4 ㎝ 의 구멍이 대칭으로 2 개 구비되어 있으며, 이 대에, 암컷 성충이 들어 있는 상기 유리관을 위치시켜, 시험용 실린더의 하부로부터의 기류가 유리관내을 통과하는 상태가 되게 하였다. 직경 20 ㎝ 및 높이 30 ㎝ 의 관찰용 투명 수지제 실린더를 시험용 실린더의 상부에, 이들의 외부 직경이 서로 겹치도록 설치하였다.
한편, 본 증산체 1 을 모기 방제용 전기 히터에 장착하여 별도 시험용 실린더 외에서 약 170 ℃ 로 가열하고, 상기 가열이 168 시간 경과한 시점에서, 이것을 상기 시험용 실린더내의 저부면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모기 방제용 전기 히터에 의한 가열을 계속하고, 경과 시간 마다의 녹다운된 암컷 성충의 수를 세어, 시험에 공급된 암컷 성충의 50 % 가 녹다운된 시간 (KT50 값) 을 구하였다. 상기 유리관 을 제거하고, 추가로 상기 모기 방제용 전기 히터에 의한 가열을 계속하였다. 최초로 가열을 개시한 시점 (상기 시험용 실린더 외에서 약 170 ℃ 에서의 가열을 개시한 시점) 으로부터 288, 528, 673 및 819 시간 후에, 새로운 성충을 사용하여 동일한 시험을 수행하였다.
본 증산체 2, 3, 4, 5, 6, 7, 8, 9, 10, 11, 12 및 13, 참고 증산체 1 및 2, 및 표 2∼8 에 나타낸 히터 온도의 모기 방제용 전기 히터를 사용하여, 표 2∼8 에 나타낸 시간 경과 후에, 성충의 녹다운 시험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결과를 표 1∼8 에 나타냈다.
히터 온도 KT50 (분)
168 시간 288 시간 673 시간 673 시간
본 증산체 1 170 ℃ 4.5 3.5 4.4 5.2
히터 온도 KT50 (분)
1.5 시간 263 시간 428 시간 457 시간 481 시간
본 증산체 2 170 ℃ 4.5 4.4 4.4 4.4 4.6
히터 온도 KT50 (분)
0.5 시간 136 시간 355 시간
본 증산체 3 115 ℃ 2.7 3.9 5.1
히터 온도 KT50 (분)
168 시간 288 시간 673 시간 673 시간
본 증산체 4 115 ℃ 3.6 N.D. 4.4 3.7
본 증산체 4 95 ℃ 6.0 5.7 N.D. N.D.
N.D. : 측정 못함


히터 온도 KT50 (분)
0.5 시간 141 시간
본 증산체 5 115 ℃ 3.4 3.2
본 증산체 5 95 ℃ 6.0 5.5
히터 온도 KT50 (분)
2 시간 72 시간 144 시간 264 시간 336 시간
본 증산체 6 170 ℃ 5.0 4.5 4.8 5.3 5.7
본 증산체 7 170 ℃ 4.1 3.8 4.2 5.0 5.2
히터 온도 KT50 (분)
100 시간
본 증산체 8 170 ℃ 2.8
본 증산체 9 170 ℃ 5.7
참고 증산체 1 170 ℃ > 20
참고 증산체 2 170 ℃ > 20
히터 온도 KT50 (분)
5 시간 98 시간 360 시간
본 증산체 10 170 ℃ 3.2 3.6 4.5
본 증산체 11 170 ℃ 3.1 2.9 4.7
본 증산체 12 170 ℃ 2.7 3.5 5.1
본 증산체 13 170 ℃ 2.8 3.2 4.8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해충, 특히 모기와 같은 비상성 곤충을 장시간 동안 효과적으로 방제한다.

Claims (8)

  1. 해충 방제제를 함유하는 판상 담체가,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갖는 해충 방제제 비투과성층으로 피복된 해충 방제용 전기가열 매트로서, 상기 비투과성층이 판상 담체에 밀착 또는 5 ㎜ 이하의 간격으로 피복되고, 상기 개구부가 상기 매트의 한면에만 존재하고, 개구 비율이 상기 면의 0.1∼10 % 인 해충 방제용 전기가열 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비투과성층이 금속층을 함유하는 해충 방제용 전기가열 매트.
  3. 제 1 항에 있어서, 비투과성층이 알루미늄층을 함유하는 해충 방제용 전기가열 매트.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비투과성층이 알루미늄층 및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적층체를 함유하는 해충 방제용 전기가열 매트.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해충 방제제가 하기 화학식 1 로 표시되는 테트라플루오로벤질 에스테르 화합물인 해충 방제용 전기가열 매트:
    [화학식 1]
    Figure 712009000211070-pat00002
    상기 식중에서,
    R 은 수소 원자, 메틸기, 메톡시기 또는 메톡시메틸기를 나타내고,
    X 및 Y 는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염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6. 제 5 항에 있어서, 해충 방제제가 2,3,5,6-테트라플루오로-4-메톡시메틸벤질 3-(1-프로페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3,5,6-테트라플루오로-4-메틸벤질 3-(1-프로페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3,5,6-테트라플루오로벤질 3-(2,2-디클로로비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3,5,6-테트라플루오로-4-메톡시메틸벤질 3-(2-메틸-1-프로페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3,5,6-테트라플루오로-4-메톡시벤질 3-(1-프로페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및 2,3,5,6-테트라플루오로-4-메톡시벤질 3-(2-메틸-1-프로페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해충 방제용 전기가열 매트.
  7. 제 1 항에 기재된 해충 방제용 전기가열 매트를, 개구부를 갖는 면과 대항하는 면으로부터 가열하는 것을 포함하는 해충 방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가열 온도가 50∼200 ℃ 인 방법.
KR1020020064381A 2001-10-23 2002-10-21 해충 방제용 가열 증산체 KR1008908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24594 2001-10-23
JPJP-P-2001-00324594 2001-10-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3953A KR20030033953A (ko) 2003-05-01
KR100890889B1 true KR100890889B1 (ko) 2009-03-31

Family

ID=19141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4381A KR100890889B1 (ko) 2001-10-23 2002-10-21 해충 방제용 가열 증산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KR (1) KR100890889B1 (ko)
CN (1) CN100469247C (ko)
AR (1) AR036900A1 (ko)
BR (1) BR0204212B1 (ko)
ES (1) ES2209637B1 (ko)
IT (1) ITTO200209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5039A (ja) * 2007-04-03 2008-10-23 Sumitomo Chemical Co Ltd 害虫防除用加熱蒸散体
JP2008253175A (ja) * 2007-04-03 2008-10-23 Sumitomo Chemical Co Ltd 蒸散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57884A (en) * 1979-08-10 1981-04-08 Earth Chemical Co A method of thermally volatilizing a chemical agent
GB2166653A (en) * 1984-11-14 1986-05-14 Edward Bratitch Deodorant or pesticidal mats
WO1993000115A1 (en) * 1991-06-28 1993-01-07 Fischel Ghodsian Fariba Device for controlled release of vaporous medications and insect-repellents
WO1997012517A1 (en) * 1995-10-04 1997-04-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Insect repellent article
KR100249918B1 (ko) * 1992-11-05 2000-04-01 고사이 아끼오 살충 조성물
KR20000017823A (ko) * 1999-12-18 2000-04-06 김갑진 휴대용 액체훈증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87647B (it) * 1985-03-25 1987-12-23 Donegani Guido Ist Dispositivo ad azione attraente e tossica per la lotta agli insetti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57884A (en) * 1979-08-10 1981-04-08 Earth Chemical Co A method of thermally volatilizing a chemical agent
GB2166653A (en) * 1984-11-14 1986-05-14 Edward Bratitch Deodorant or pesticidal mats
WO1993000115A1 (en) * 1991-06-28 1993-01-07 Fischel Ghodsian Fariba Device for controlled release of vaporous medications and insect-repellents
KR100249918B1 (ko) * 1992-11-05 2000-04-01 고사이 아끼오 살충 조성물
WO1997012517A1 (en) * 1995-10-04 1997-04-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Insect repellent article
KR20000017823A (ko) * 1999-12-18 2000-04-06 김갑진 휴대용 액체훈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R036900A1 (es) 2004-10-13
ES2209637B1 (es) 2005-08-01
ITTO20020909A1 (it) 2003-04-24
CN1413465A (zh) 2003-04-30
CN100469247C (zh) 2009-03-18
BR0204212B1 (pt) 2014-08-19
BR0204212A (pt) 2003-09-16
KR20030033953A (ko) 2003-05-01
ES2209637A1 (es) 2004-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2447B1 (ko) 해충 방제방법
GB2161383A (en) Dispenser for slow release of volatile products
US20050005504A1 (en) Volatile insect control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KR100890889B1 (ko) 해충 방제용 가열 증산체
JP4378929B2 (ja) 害虫防除用加熱蒸散体
KR101451432B1 (ko) 해충 방제용 가열 증산체
JP2002265304A (ja) 害虫防除用加熱蒸散体
FR2465416A1 (fr) Procede, plaques, dispositifs et accessoires de volatilisation thermique d'un agent chimique
JP5840407B2 (ja) 飲食材収容体の匍匐害虫忌避方法
US3698974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pparatus for emitting of insecticidal vapors
KR20080090333A (ko) 증산 방법
KR101107973B1 (ko) 해충 방제 가열 기화 재료
JP2004339209A (ja) 害虫防除用加熱蒸散体
KR20010078068A (ko) 살충 겔 조성물
CN101124910B (zh) 通过加热熏蒸来控制害虫
CN101124909B (zh) 通过加热熏蒸来控制害虫
JPH0248402Y2 (ko)
JP3688739B2 (ja) 交信攪乱方法
JP2000247807A (ja) 害虫の飛来及び/又は吸血行動抑制剤
JP2004346052A (ja) 害虫忌避材および該資材を利用した害虫忌避方法
JP2008193961A (ja) 蒸散性防虫成分を含有する非加熱防虫具
ITTO20000105A1 (it) Procedimento per il controllo di insetti novici mediante fumigazione per riscaldament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