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0476B1 - 치과용 구조물 및 치과용 구조물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치과용 구조물 및 치과용 구조물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0476B1
KR100890476B1 KR1020070038490A KR20070038490A KR100890476B1 KR 100890476 B1 KR100890476 B1 KR 100890476B1 KR 1020070038490 A KR1020070038490 A KR 1020070038490A KR 20070038490 A KR20070038490 A KR 20070038490A KR 100890476 B1 KR100890476 B1 KR 100890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xillary
mandibular
tooth
dental
resin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8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4279A (ko
Inventor
허민석
이태경
Original Assignee
허민석
이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민석, 이태경 filed Critical 허민석
Priority to KR1020070038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0476B1/ko
Publication of KR20080094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4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0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0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 A61C19/052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with tracing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6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 A61B5/1127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using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6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 A61B5/1128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using image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4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recording mandibular movement, e.g. face bo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구조물 및 치과용 구조물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은 상악 치아용 제1 몸체부, 하악 치아용 제2 몸체부,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의 각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및 제2 마커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치과용 구조물을 이용하여 상악과 하악의 모션 캡처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디지털 교합기를 구현할 수 있고, 시술 대상자에 따라 보다 정확한 교합 운동 데이타를 획득할 수 있다.
치과, 교합기(articulator), 모션 캡처

Description

치과용 구조물 및 치과용 구조물 제작 방법{A STRUCTURE FOR USE IN DENTISTRY AND THE PRODUCTION METHOD OF I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이 상악 치아 모형 및 하악 치아 모형에 각각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300... 제1 몸체부, 200, 400... 제2 몸체부,
150... 제1 마커부, 250... 제2 마커부
본 발명은 치과용 구조물 및 치과용 구조물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악 및 하악의 모션 캡처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최적의 교합상태를 만족시키는 구강 내 보철물 등을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치과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치아는 상악골과 하악골의 관절운동을 통하여 상하 치아가 교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치아에 손상을 입게 되면 이러한 교합에 문제가 생기면서 치아 의 기능 장애를 불러온다. 이러한 경우 보철물 등을 기존 치아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손상된 치아를 교정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치아의 미용을 위해서도 치아를 교정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크게 늘어나는 추세이다.
보철물 등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교합상태를 체크하기 위해 교합기(articulator)가 사용되는데, 교합기는 시술 대상자의 치아 모형을 장착하고 인위적으로 상악골과 하악골의 관절운동을 유발함으로써, 삽입 시 기존 치아와 잘 융화될 수 있는 보철물 등을 가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따라서, 교합기는 상악 및 하악의 모형을 장착하기 위한 관절부를 포함하고, 구강 내의 상악 및 하악 위치 관계 와 하악의 운동을 구강 외의 치열 모형 상에서 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교합기로서 여러가지 형태의 교합기가 사용되고 있으나, 기본적으로 종래의 교합기는 시술 대상자의 치아 모델이 장착되는 상악 및 하악 치아 모형 캐스트와, 이들을 연결해주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를 매개하는 장착수단 등을 포함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교합기들은 인위적으로 상악 및 하악 치아 모형 캐스트의 상하, 전후, 및 좌우운동을 유발하는 방식으로 교합상태를 체크하기 때문에, 사람의 실제 턱관절 운동을 재현할 수 없어 정교한 교합 작업을 실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조절기구가 많고 다수의 나사를 사용해야 하는 등, 장치의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부피가 크고 무거워 다루기 힘들며, 가격이 높을 뿐만 아니라, 미세한 변위운동을 제대로 유도하는데 매우 숙달된 기능을 요구하여 최적의 교합상태에 대해서 전문가에 따른 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다 정확한 교합상태를 만족시키는 구강 내 보철물 등을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치과용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사람의 실제 턱관절 운동을 재현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는 동시에 기존 교합기로부터 구조의 단순화를 꾀함으로써, 기술적으로 향상된 의료 행위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은 상악 치아 구조에 대응하는 상악 치아 모형에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악 치아용 제1 몸체부, 하악 치아 구조에 대응하는 하악 치아 모형에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하악 치아용 제2 몸체부,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의 각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에 각각 부착되는 제1 및 제2 마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는 상악 치아와 하악 치아의 교합면을 개방하는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는 상기 상악 치아 및 상기 하악 치아의 교합면이 개방되도록 상악 치아 및 하악 치아를 각각 둘러싸는 밴드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는 상기 밴드형 구조의 외측 부분에 제1 및 제2 절단부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절단부의 양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1 및 제2 연결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마커부는 상측 입술과 하측 입술 외부로 각각 충분히 돌출될 수 있도록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 제1 및 제2 지지대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의 외측 끝 부분에 각각 부착되는 제1 및 제2 다각형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마커부는 상측 입술과 하측 입술 외부로 각각 충분히 돌출될 수 있도록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 제1 및 제2 지지대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의 외측 끝 부분에 각각 부착되는 제1 및 제2 다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대는 상측 입술이 들어갈 수 있도록 하방으로 휘어진 곡선 형태를 가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지지대는 하측 입술이 들어갈 수 있도록 상방으로 휘어진 곡선 형태를 가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는 강화용 섬유를 포함하는 레진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마커부는 상측 입술과 하측 입술 외부로 각각 충분히 돌출될 수 있도록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 제1 및 제2 지지대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의 외측 끝 부분에 부착되는 복수의 마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 각각은, 치아의 내측 면 및 외측 면에 각각 고정될 수 있는 내부 구조물과 외부 구조물, 그리고 치아의 치간부를 관통하여 상기 내부 구조물과 외부 구조물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 각각은 치아의 외부를 둘러싸는 형태일 수 있 다.
또한,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는 강화용 섬유를 포함하는 레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 제작 방법은 상악 치아 모형 및 하악 치아 모형 각각에 분리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상악 치아 모형 및 상기 하악 치아 모형 각각에 왁스로 경계를 만드는 단계, 상기 분리제가 도포된 상기 상악 치아 모형 및 상기 하악 치아 모형 각각에 레진 용액을 입혀 상악 치아용 레진 패턴과 하악 치아용 레진 패턴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악 치아 모형 및 상기 하악 치아 모형의 교합면이 각각 노출되도록 상기 상악 치아용 레진 패턴 및 상기 하악 치아용 레진 패턴의 일부를 각각 제거하는 단계, 상기 상악 치아용 레진 패턴 및 상기 하악 치아용 레진 패턴을 그 높이 방향으로 각각 절단하는 단계, 상기 상악 치아용 레진 패턴 및 상기 하악 치아용 레진 패턴을 절단한 후, 상기 상악 치아 모형 및 상기 하악 치아 모형으로부터 상기 상악 치아용 레진 패턴 및 상기 하악 치아용 레진 패턴을 각각 분리하는 단계, 상기 상악 치아용 레진 패턴과 상기 하악 치아용 레진 패턴의 절단된 양단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기구를 상기 상악 치아용 레진 패턴과 상기 하악 치아용 레진 패턴에 각각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모션 캡처를 위한 마커부를 상기 상악 치아용 레진 패턴과 상기 하악 치아용 레진 패턴 각각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악 치아 모형과 상기 하악 치아 모형의 이웃하는 치아가 벌어져 이루어진 빈 공간이 있는 경우, 상기 빈 공간을 왁스로 채우는 단계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진 용액은 강화용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은 디지털(digital) 교합기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구조물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은 제1 몸체부(100), 제2 몸체부(200), 제1 마커부(150) 및 제2 마커부(250)를 포함한다.
제1 몸체부(100)는 시술 대상자의 상악 치아 구조에 맞게 그 모양이 형성되어 시술 대상자의 상악 치아에 착용될 수 있고, 제2 몸체부(200)는 시술 대상자의 하악 치아 구조에 맞게 그 모양이 형성되어 시술 대상자의 하악 치아에 착용될 수 있다.
제1 몸체부(100)와 제2 몸체부(200)는 각각 시술 대상자의 상악 치아 및 하악 치아에 정확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제1 몸체부(100) 및 제2 몸체부(200)는 시술 대상자의 상악 및 하악 치아 모형을 그대로 본 뜬 치아 모형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도 3에는 시술 대상자의 상악 치아 모형(101)에 제1 몸체부(100)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 3의 하단에 시술 대상자의 하악 치아 모형(102)에 제2 몸체부(200)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악 치아 모형(101) 및 하악 치아 모형(102)은 시술 대상자의 구강 상태를 정확히 재현하고 있으며, 제1 및 제2 몸체부(100, 200)는 보다 안정적인 착용을 위해서 상악 치아 모형 및 하악 치아 모형(101, 102)의 잇몸부위 및 치아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몸체부(100, 200)는 잇몸을 덮지 않고 치아의 일부만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치아를 덮지 않고 잇몸의 일부만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면에는 제1 및 제2 몸체부(100, 200)가 상악 치아 및 하악 치악 전체를 둘러싸는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치아가 일부만 존재하는 경우에 제1 및 제2 몸체부(100, 200)는 존재하는 일부의 치아만을 둘러싸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시술자가 치아가 없이 틀니를 착용한 경우에는, 제1 및 제2 몸체부(100, 200)는 해당 틀니를 둘러싸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100, 200)는 레진(resin)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몸체부(100, 200)는 고강도 기능을 위해서 강화용 섬유를 포함하는 레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몸체부(100, 200)는 상악 치아 및 하악 치아의 교합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시술 대상자가 제1 및 제2 몸체부(100, 200)를 착용하고도 자연스럽게 저작운동 등의 구강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몸체부(100, 200)는 상악 치아 및 하악 치아의 교합면을 노출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교합면을 노출시키는 제1 및 제2 몸체부(100, 200)의 구 조는 도 1의 예와 같이 밴드 형태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몸체부(100, 200)는 그 외측부가 각각 그 높이 방향으로 절단되어, 제1 및 제2 절단부(110, 210)가 형성되고, 절단된 양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기구(115, 215)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기구(115, 215)는 제1 및 제2 절단부(110, 210)의 양단에 부착되어 있는 한 쌍의 버튼(216)과, 이 두 개의 버튼(216)을 쌍으로 묶어 고정할 수 있는 고정끈(217)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기구(115, 215)를 사용하여 제1 및 제2 몸체부(100, 200)를 시술 대상자의 상악 및 하악 치아에 밴드 형태로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제1 및 제2 마커부(150, 250)는 모션 캡처를 위한 도구로서, 상기 제1 마커부(150)는 제1 몸체부(100)에, 그리고 상기 제2 마커부(250)는 제2 몸체부(200)에 각각 장착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마커부(150, 250)는 운동 데이터의 보다 효율적인 좌표값을 얻을 수 있도록 제1 및 제2 몸체부(100, 200)의 외측 중앙에 장착될 수 있고, 시술 대상자의 자연스런 구강 활동을 보장할 수 있기에 적합한 형태를 지닌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마커부(150, 250)는 제1 및 제2 지지대(151, 251)를 각각 포함하며, 제1 지지대(151)는 시술 대상자의 상측 입술이 들어갈 수 있도록 하방으로 휘어진 곡선 형태의 부분을 포함하고, 제2 지지대(251)는 시술 대상자의 하측 입술이 들어갈 수 있도록 상방으로 휘어진 곡선 형태의 부분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지지대(151, 251)는 레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강도를 높이기 위해 강화용 섬유를 포함하는 레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모션 캡처하는 방식 중에서 스캐너 방식을 사용할 경우에, 제1 및 제2 마커부(150, 250)는 제1 및 제2 지지대(151, 251) 끝단에 각각 제1 및 제2 다각형 플레이트(152, 252)를 구비한다. 또한, 제1 및 제2 다각형 플레이트(152, 252)는 제1 및 제2 다면체(미도시)로 대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삼각형 형태의 다각형 플레이트 보여주고 있다. 스캐너 방식을 통해 얻어진 각각의 이미지는 상기 다각형 플레이트(또는 다면체)를 기준으로 매칭(matching)되고, 연속된 이미지는 시술 대상자의 교합 운동 데이타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모션 캡처하는 방식 중에서 광학마그네틱 방식을 사용할 경우에, 제1 및 제2 마커부(150, 250)는 제1 및 제2 지지대(151, 251) 끝단에 각각 부착되는 복수의 마커(153, 253)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마커부(150, 250)는 각각 세 개의 마커(153, 25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몸체부 및 제2 몸체부가 각각 두 개의 부분으로 분리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교합면을 노출시키는 제1 및 제2 몸체부(300, 400)의 구조는, 제1 및 제2 몸체부(300, 400) 각각의 내부 구조물(301, 401)과 외부 구조물(302, 402), 그리고 이들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부재(303, 403)를 포함하는 분리된 형태일 수 있다. 즉, 제1 몸체부(300)가 시술 대상자의 상악 치아의 안쪽에 착용될 수 있는 내부 구조물(301)과 바깥쪽에 착용될 수 있는 외부 구조물(302)로 나뉘고, 철사와 같은 연결부재(303)를 치간부로 관통시켜서 상기 두 구조물(301, 302)을 연결함으로써, 상 기 분리형 구조의 제1 몸체부(300)가 시술 대상자의 치아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하악 치아의 경우에도 상기한 바와 같은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300, 400)는 각각의 내부 구조물(301, 401)이 없는 상태에서 각각의 외부 구조물(302, 402) 만으로 시술 대상자의 상악 치아 및 하악 치아에 장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위에서 이미 설명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마커부(150, 250)가 제1 몸체부(300) 및 제2 몸체부(400)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 제작 방법의 예를 설명한다.
보통 시술 대상자에 따라 채득한 인상에 석고를 주입하여 제작한 상악 치아 모형(101) 및 하악 치아 모형(102) 각각에(도3 참조), 레진과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적당량의 레진 분리제 등을 바른다.
그리고, 상기 상악 치아 모형(101) 및 하악 치아 모형(102) 각각에 왁스로 경계를 만드는데, 이때, 모형 상에 우식에 의한 치관결손 부위나 이웃하는 치아가 벌어져 이루어진 빈 공간이 나타나 있는 경우에는 왁스로 채워준다.
분리제가 도포된 상악 치아 모형(101) 및 하악 치아 모형(102) 각각에 미세한 가루와 액체를 섞어 만든 레진 용액을 입힌다.
이때, 고강도 기능을 갖는 구조물을 만들고자 한다면, 강화용 섬유를 포함하는 레진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레진 용액이 완전히 경화하면, 자연스런 구강 활동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악 치아 모형(101) 및 하악 치아 모형(102)의 교합면이 각각 노출되도록 경화된 레진 패턴의 일부를 각각 잘라낸다.
다음, 상악 치아용 레진 패턴 및 하악 치아용 레진 패턴의 외측부를 그 높이 방향으로 각각 절단하여 밴드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도1 참조). 또한, 어금니 양 끝 부위를 그 높이 방향으로 각각 절단하여 치아의 안쪽과 바깥쪽에 나누어 장착할 수 있도록 분리형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도2 참조).
상기 절단된 부위를 이용하여, 상악 치아용 레진 패턴 및 하악 치아용 레진 패턴을 상악 치아 모형 및 하악 치아 모형(101, 102)으로부터 각각 제거할 수 있다.
다음, 상기 밴드형 구조로 형성된 레진 패턴의 경우에는, 그 절단된 양단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기구(115, 215)를 각각 부착한다. 도 3에는 상기 연결기구의 실시예로 돌기형 버튼(216)이 도시되어 있다. 시술 대상자의 치아에 본 구조물을 장착한 상태에서, 절단된 양단에 쌍으로 형성되어 있는 돌기형 버튼(216)을 탄성을 지닌 고정끈(217) 등으로 감아 시술 대상자의 치아에 본 구조물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마커부(150, 250)의 지지대(151, 251) 끝단을 상악 치아용 레진 패턴과 하악 치아용 레진 패턴의 외측 중앙부에 각각 부착하여 상기 마커부(150, 250)를 연결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치과용 구조물을 이용하여 상악과 하악의 모 션 캡처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디지털 교합기를 구현할 수 있고, 시술 대상자에 따라 보다 정확한 교합 운동 데이타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기존 교합기에 비해 단순한 구조를 가지는 디지털 교합기를 구현함으로써 교합 진단 과정이 편리해지고, 교합기 제작자나 시술자의 교합기 제작 숙련도 및 주관적 판단에 따른 시술 오차를 더욱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을 이용하여 보다 신뢰성 있는 보철물 등을 설계하고 제작할 수 있다.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상악 치아 구조에 대응하는 상악 치아 모형에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악 치아용 제1 몸체부,
    하악 치아 구조에 대응하는 하악 치아 모형에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하악 치아용 제2 몸체부,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의 각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에 각각 부착되는 제1 및 제2 마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는 상악 치아와 하악 치아의 교합면을 개방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치과용 구조물.
  4. 제3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는 상기 상악 치아 및 상기 하악 치아의 교합면이 개방되도록 상악 치아 및 하악 치아를 각각 둘러싸는 밴드형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치과용 구조물.
  5. 제4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는 상기 밴드형 구조의 외측 부분에 제1 및 제2 절단부를 각각 구비하는 치과용 구조물.
  6. 제5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절단부의 양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1 및 제2 연결기구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구조물.
  7. 상악 치아 구조에 대응하는 상악 치아 모형에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악 치아용 제1 몸체부,
    하악 치아 구조에 대응하는 하악 치아 모형에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하악 치아용 제2 몸체부,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의 각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에 각각 부착되는 제1 및 제2 마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마커부는
    상측 입술과 하측 입술 외부로 각각 충분히 돌출될 수 있도록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 제1 및 제2 지지대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의 외측 끝 부분에 각각 부착되는 제1 및 제2 다각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치과용 구조물.
  8. 상악 치아 구조에 대응하는 상악 치아 모형에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악 치아용 제1 몸체부,
    하악 치아 구조에 대응하는 하악 치아 모형에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하악 치아용 제2 몸체부,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의 각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에 각각 부착되는 제1 및 제2 마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마커부는
    상측 입술과 하측 입술 외부로 각각 충분히 돌출될 수 있도록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 제1 및 제2 지지대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의 외측 끝 부분에 각각 부착되는 제1 및 제2 다면체를 포함하는 치과용 구조물.
  9. 제7항 또는 제8항에서,
    상기 제1 지지대는 상측 입술이 들어갈 수 있도록 하방으로 휘어진 곡선 형태를 가지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대는 하측 입술이 들어갈 수 있도록 상방으로 휘어진 곡선 형태를 가지는 부분을 포함하는 치과용 구조물.
  10. 제7항 또는 제8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는 강화용 섬유를 포함하는 레진으로 형성되는 치과용 구조물.
  11. 상악 치아 구조에 대응하는 상악 치아 모형에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악 치아용 제1 몸체부,
    하악 치아 구조에 대응하는 하악 치아 모형에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하악 치아용 제2 몸체부,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의 각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에 각각 부착되는 제1 및 제2 마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마커부는
    상측 입술과 하측 입술 외부로 각각 충분히 돌출될 수 있도록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 제1 및 제2 지지대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의 외측 끝 부분에 부착되는 복수의 마커를 포함하는 치과용 구조물.
  12. 상악 치아 구조에 대응하는 상악 치아 모형에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악 치아용 제1 몸체부,
    하악 치아 구조에 대응하는 하악 치아 모형에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하악 치아용 제2 몸체부,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의 각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에 각각 부착되는 제1 및 제2 마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 각각은,
    치아의 내측 면 및 외측 면에 각각 고정될 수 있는 내부 구조물과 외부 구조물, 그리고
    치아의 치간부를 관통하여 상기 내부 구조물과 외부 구조물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치과용 구조물.
  13. 삭제
  14. 제3항, 제7항, 제8항, 제11항, 그리고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는 강화용 섬유를 포함하는 레진으로 형성되는 치과용 구조물.
  15. 상악 치아 모형 및 하악 치아 모형 각각에 분리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상악 치아 모형 및 상기 하악 치아 모형 각각에 왁스로 경계를 만드는 단계,
    상기 분리제가 도포된 상기 상악 치아 모형 및 상기 하악 치아 모형 각각에 레진 용액을 입혀 상악 치아용 레진 패턴과 하악 치아용 레진 패턴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악 치아 모형 및 상기 하악 치아 모형의 교합면이 각각 노출되도록 상기 상악 치아용 레진 패턴 및 상기 하악 치아용 레진 패턴의 일부를 각각 제거하는 단계,
    상기 상악 치아용 레진 패턴 및 상기 하악 치아용 레진 패턴을 그 높이 방향으로 각각 절단하는 단계,
    상기 상악 치아용 레진 패턴 및 상기 하악 치아용 레진 패턴을 절단한 후, 상기 상악 치아 모형 및 상기 하악 치아 모형으로부터 상기 상악 치아용 레진 패턴 및 상기 하악 치아용 레진 패턴을 각각 분리하는 단계,
    상기 상악 치아용 레진 패턴과 상기 하악 치아용 레진 패턴의 절단된 양단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기구를 상기 상악 치아용 레진 패턴과 상기 하악 치아용 레진 패턴에 각각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모션 캡처를 위한 마커부를 상기 상악 치아용 레진 패턴과 상기 하악 치아용 레진 패턴 각각에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치과용 구조물 제작 방법.
  16. 제15항에서,
    상기 상악 치아 모형과 상기 하악 치아 모형의 이웃하는 치아가 벌어져 이루어진 빈 공간이 있는 경우, 상기 빈 공간을 왁스로 채우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구조물 제작 방법.
  17. 제15항에서,
    상기 레진 용액은 강화용 섬유를 포함하는 치과용 구조물 제작 방법.
KR1020070038490A 2007-04-19 2007-04-19 치과용 구조물 및 치과용 구조물 제작 방법 KR100890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490A KR100890476B1 (ko) 2007-04-19 2007-04-19 치과용 구조물 및 치과용 구조물 제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490A KR100890476B1 (ko) 2007-04-19 2007-04-19 치과용 구조물 및 치과용 구조물 제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4279A KR20080094279A (ko) 2008-10-23
KR100890476B1 true KR100890476B1 (ko) 2009-03-26

Family

ID=40154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8490A KR100890476B1 (ko) 2007-04-19 2007-04-19 치과용 구조물 및 치과용 구조물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04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627B1 (ko) * 2010-03-23 2012-01-31 이태경 참조형상을 가진 구강내 인상모델 이미지의 교합관계 재건을 위한 플레이트 기구
KR101301477B1 (ko) * 2010-10-23 2013-08-29 이태경 이종영상정합 또는 좌표동기화용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
KR101416985B1 (ko) * 2012-12-15 2014-08-14 주식회사 디오에프연구소 교합기 3d 치아모델 스캔을 위한 보조 스캔 테이블
KR101654315B1 (ko) 2015-04-16 2016-09-08 이신원 채변용 변기
KR102121992B1 (ko) * 2019-02-21 2020-06-12 주식회사 디오 치아 수복물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KR102061778B1 (ko) * 2019-02-21 2020-01-03 주식회사 디오 치아 수복물 제조방법
KR102332451B1 (ko) * 2020-01-08 2021-11-30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악 운동 모델 생성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5289A (ja) * 2002-02-22 2003-09-02 Univ Nihon 歯科用インプラント施術支援装置
US20060257817A1 (en) 2005-05-12 2006-11-16 Robert Shelton Dental implant placement locator and method of us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5289A (ja) * 2002-02-22 2003-09-02 Univ Nihon 歯科用インプラント施術支援装置
US20060257817A1 (en) 2005-05-12 2006-11-16 Robert Shelton Dental implant placement locator and method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4279A (ko) 200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0476B1 (ko) 치과용 구조물 및 치과용 구조물 제작 방법
JP3131919U (ja) 歯科矯正治療結果を評価する方法とシステム
US82772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denture
US6447296B2 (en) Quadrant and anterior dental shells and method of making a multi-tooth crown or bridge
CN111655192B (zh) 数字牙科修复体及其制造方法
JP4047548B2 (ja) 咬合輪郭が砂時計形のテンポラリークラウン及び長期的なプロビジョナルクラウン
US20030039943A1 (en) Composite temporary and long-term provisional crowns and bridges
KR20130125132A (ko) 치아 교정기
EP3139857B1 (en) Removable denture with metal denture tooth or teeth
JP5006890B2 (ja) 歯牙固定具
KR101478720B1 (ko) 치과 드릴의 가이드 장치 및 스텐트의 제조방법
JP5449965B2 (ja) 人工歯
CN109259877A (zh) 一种牙科产品的数字化定制生产工艺
US11844662B2 (en) Dentition movement track indic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ntra-oral fixation assembly thereof
US20060286502A1 (en) Teeth indexing device
WO2012101914A1 (ja) 歯科用位置合わせ治具及びこれを使用した咬合採得法
KR200469131Y1 (ko) 래치를 포함하는 치아용 교합기
US20060068357A1 (en) Metal dental impression tray
JP7222497B1 (ja) 口腔装着具
RU2748201C1 (ru) Съемный зубной протез верхней челюсти для пациентов с микростомией
JP2019000290A (ja) 部分義歯
RU2255705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несъемных зубных протезов
RU2280421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временных несъемных протезов
JP6239182B1 (ja) 部分義歯
JP2004008487A (ja) 義歯作製用フィット治具及び義歯作製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