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4315B1 - 채변용 변기 - Google Patents

채변용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4315B1
KR101654315B1 KR1020150053799A KR20150053799A KR101654315B1 KR 101654315 B1 KR101654315 B1 KR 101654315B1 KR 1020150053799 A KR1020150053799 A KR 1020150053799A KR 20150053799 A KR20150053799 A KR 20150053799A KR 101654315 B1 KR101654315 B1 KR 101654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toilet bowl
western
seat
bow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3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신원
Original Assignee
이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신원 filed Critical 이신원
Priority to KR1020150053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3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변용 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면의 상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용변낙하구가 형성되는 서양식 변기 바디; 상기 서양식 변기 바디의 상부에 마련되는 좌대; 상기 바닥면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서양식 변기 바디의 용변낙하구에서 낙하되는 용변이 배치되는 용변배치면과, 상기 용변이 배출되는 용변배출구를 구비하는 동양식 변기 프레임; 및 상기 동양식 변기 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용변배치면에 배치된 용변이 상기 용변배출구로 배출될 수 있도록 급수하는 메인 급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채변용 변기{TOILET BOWL FOR FECES}
본 발명은, 채변용 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양식 변기와 동양식 변기의 장점만을 취합하여 채변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채변용 변기에 관한 것이다.
대변을 가지고 진행하는 채변검사는 병원 또는 건강검진 센터에서 대장암 검진이나 각종 기생충 검사를 위해 현재까지도 빈번하게 사용되는 검사 항목이다. 예전에는 학교에서 많이 진행된 바 있다.
채변검사를 위해서는 대변의 채취가 필요하다. 채변을 위해서는 좌변기라 불리는 서양식 변기보다 다리를 구부리고 앉아 용변을 보는 동양식 변기가 유리하다. 전자의 서양식 변기에는 일정량의 물이 차있어서 채변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파트나 빌라 등의 근대 건축물에는 다리를 구부리고 앉아 용변을 보는 동양식 변기가 점차 사라지고 있는데, 설사 동양식 변기가 존재하더라도 사용에 몇 가지의 단점을 갖는다.
첫째, 어린이의 경우, 다리를 구부리고 앉아 용변을 보는 동양식 변기에 대한 경험이 없어서 당황하는 경우가 적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용에 다소 불편함을 느낄 수 있어 채변이 쉽지 않을 수 있다.
둘째, 다리를 구부리고 앉아 용변을 보는 동양식 변기는 본인의 다리 힘으로 버티면서 쪼그리고 앉아야 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다리 힘이 약한 어린이, 병약자, 노인의 경우 보호자 없이 사용이 불편할 수 있다.
셋째, 엉덩이와의 접근거리가 짧아서 엉덩이에 용변이 묻기 쉽고, 냄새가 심하게 발생될 수 있는 불편함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단점에도 불구하고 채변을 위해서는 동양식 변기가 유용될 수밖에 없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서양식 변기와 동양식 변기의 장점만을 취합함으로써 새롭고 진보된 타입의 채변용 변기에 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8-009427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8-012147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2-005671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4-000651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서양식 변기와 동양식 변기의 장점만을 취합하여 채변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채변용 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바닥면의 상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용변낙하구가 형성되는 서양식 변기 바디; 상기 서양식 변기 바디의 상부에 마련되는 좌대; 상기 바닥면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서양식 변기 바디의 용변낙하구에서 낙하되는 용변이 배치되는 용변배치면과, 상기 용변이 배출되는 용변배출구를 구비하는 동양식 변기 프레임; 상기 동양식 변기 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된 메인 급수부와, 상기 서양식 변기 바디의 측부에 형성된 보조 급수홀을 구비하여 용변이 상기 용변배출구로 배출되게 하는 급수수단; 및 상기 변기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받은 용변을 상부로 이송시키는 용변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변용 변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서양식 변기 바디와 상기 동양식 변기 프레임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용변배출구 영역에는 커넥터가 설치되어 배수관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변낙하구는 상기 동양식 변기 프레임 쪽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변이송수단은 변기 프레임의 용변배치면에 상부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대변 받이와, 상기 대변 받이를 업다운 시키는 업다운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양식 변기와 동양식 변기의 장점만을 취합하여 채변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병원 검사실 및 각종 건강검진 센터에 적용하기에 유리하며, 어린이, 병약자, 노인일지라도 보호자 없이 편안한 상태에서 용변을 본 후에 채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채변용 변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채변용 변기에 대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채변용 변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채변용 변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채변용 변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채변용 변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8은 도 7의 분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채변용 변기의 사용 상태 구조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채변용 변기의 제어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채변용 변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채변용 변기에 대한 사용 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채변용 변기(100)는 서양식 변기와 동양식 변기의 장점만을 취합하여 채변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서양식 변기 바디(110), 동양식 변기 프레임(130), 메인 급수부(140)를 구비한급수수단 및 용변이송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서양식 변기 바디(110)는 바닥면, 즉 화장실 등의 바닥면의 상부에 배치되는 도기이다.
서양식 변기 바디(110)의 상부에는 채변이 필요한 사용자가 앉는 자리로서의 좌대(120)가 마련된다. 좌대(120)의 측부에는 등받이(125)가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러한 서양식 변기 바디(110)의 내부에는 용변낙하구(111)가 형성된다. 용변낙하구(111)는 동양식 변기 프레임(130) 쪽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서양식 변기 바디(110)의 측부에는 보조 급수홀(112)이 형성되어 상기 매인 급수부(140)와 함께 급수수단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 급수홀(112)은 서양식 변기 바디(110)의 측부에 형성되어 용변, 즉 대변을 용변배출구(132)로 배출시키고자 할 때, 도 3처럼 좀 더 빠르고 깨끗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동양식 변기 프레임(130)은 바닥면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구조물이다. 다시 말해, 바닥면을 기준으로 하여 그 상부에는 서양식 변기 바디(110)가 배치되고 하부에는 동양식 변기 프레임(13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서양식 변기 바디(110)와 동양식 변기 프레임(130)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몸체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시공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사항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으므로 서양식 변기 바디(110)와 동양식 변기 프레임(130)은 개별적으로 제작된 후에 별도로 해당 위치에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동양식 변기 프레임(130)에는 서양식 변기 바디(110)의 상면에는 용변낙하구(111)에서 낙하되는 용변이 배치되는 용변배치면(131)이 형성된다.
그리고 동양식 변기 프레임(130)의 일측에는 도 3처럼 용변, 즉 대변이 배출되는 용변배출구(132)가 형성된다. 용변배출구(132) 영역에는 커넥터(133)가 연결되는데, 이러한 커넥터(133)로 인해 건물 등의 배관에 접속시키기가 용이하다.
상기 메인 급수부(140)는 동양식 변기 프레임(130)의 일측에 마련되며, 도 3처럼 용변배치면(131)에 배치된 용변이 용변배출구(132)로 배출될 수 있도록 급수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메인 급수부(140)는 별도의 수전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채변용 변기(100)의 활용법을 설명한다.
도 2처럼 용변, 즉 대변을 보면 서양식 변기 바디(110)의 용변낙하구(111)를 통해 낙하된 대변이 동양식 변기 프레임(130)의 용변배치면(131)에 배치된다.
서양식 변기 바디(110) 내에는 물이 없기 때문에 용변배치면(131)에 배치된 대변은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용변낙하구(111)를 통해 채변을 진행할 수 있다.
채변이 완료되면 별도의 물 내림 버튼(미도시)을 동작시킨다. 그러면 도 3처럼 메인 급수부(140) 및 보조 급수홀(112)을 통해 급수가 진행되어 대변은 용변배출구(13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서양식 변기와 동양식 변기의 장점만을 취합하여 채변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병원 검사실 및 각종 건강검진 센터에 적용하기에 유리하며, 어린이, 병약자, 노인일지라도 보호자 없이 편안한 상태에서 용변을 본 후에 채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채변용 변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채변용 변기(200) 역시, 서양식 변기 바디(110)와 동양식 변기 프레임(2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동양식 변기 프레임(230)에는 서양식 변기 바디(110)의 상면에는 용변낙하구(111)에서 낙하되는 용변이 배치되는 용변배치면(231)이 형성되고, 동양식 변기 프레임(230)의 일측에는 대변이 배출되는 용변배출구(13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용변배치면(231)에는 용변이 자리 배치되는 자리홈(232)이 더 형성된다. 자리홈(232)이 형성되면 대면을 모으기 쉽고, 이로 인해 채변이 좀 더 편리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채변용 변기(200)가 적용되더라도 서양식 변기와 동양식 변기의 장점만을 취합하여 채변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병원 검사실 및 각종 건강검진 센터에 적용하기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어린이, 병약자, 노인일지라도 보호자 없이 편안한 상태에서 용변을 본 후에 채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채변용 변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채변용 변기(300) 역시, 서양식 변기 바디(110)와 동양식 변기 프레임(3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동양식 변기 프레임(330)에는 서양식 변기 바디(110)의 상면에는 용변낙하구(111)에서 낙하되는 용변이 배치되는 용변배치면(131)이 형성되고, 동양식 변기 프레임(330)의 일측에는 대변이 배출되는 용변배출구(13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용변배출구(132) 영역에는 용변, 즉 용변배치면(131) 상의 대변이 용변배출구(132) 쪽으로 잘 배출되도록 가이드하는 아크형 가이드부(335)가 더 형성된다. 아크형 가이드부(335)로 인해 급수 시 용변배치면(131) 상의 대변은 용변배출구(132) 쪽으로 잘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채변용 변기(300)가 적용되더라도 서양식 변기와 동양식 변기의 장점만을 취합하여 채변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병원 검사실 및 각종 건강검진 센터에 적용하기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어린이, 병약자, 노인일지라도 보호자 없이 편안한 상태에서 용변을 본 후에 채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채변용 변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채변용 변기(400) 역시, 서양식 변기 바디(410)와 동양식 변기 프레임(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서양식 변기 바디(410)의 측부에는 채변용 경사 홀(415)이 더 마련되며, 채변용 경사 홀(415)의 단부에는 마개(416)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마개(416)를 빼고, 채변용 경사 홀(415)을 통해 젓가락 등의 도구를 넣어 채변을 진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대변과의 거리가 가까워 채변이 좀 더 편리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채변용 변기(400)가 적용되더라도 서양식 변기와 동양식 변기의 장점만을 취합하여 채변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병원 검사실 및 각종 건강검진 센터에 적용하기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어린이, 병약자, 노인일지라도 보호자 없이 편안한 상태에서 용변을 본 후에 채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채변용 변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8은 도 7의 분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채변용 변기(500) 역시, 서양식 변기 바디(510)와 동양식 변기 프레임(53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서양식 변기 바디(510)와 동양식 변기 프레임(530)이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조립형으로 마련된다. 이를 위해, 동양식 변기 프레임(530)에는 조립돌기(530a)가, 서양식 변기 바디(510)에는 조립홈(510a)이 형성된다.
물론, 서양식 변기 바디(510)에 조립돌기(530a)를 마련하고, 동양식 변기 프레임(530)에 조립홈(510a)을 마련하는 구조도 충분히 가능하다.
본 실시예처럼 서양식 변기 바디(510)와 동양식 변기 프레임(530)이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조립형으로 마련될 경우, 시공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서양식 변기 바디(510)와 동양식 변기 프레임(530) 중 하나만을 교체할 수 있어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채변용 변기(500)가 적용되더라도 서양식 변기와 동양식 변기의 장점만을 취합하여 채변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병원 검사실 및 각종 건강검진 센터에 적용하기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어린이, 병약자, 노인일지라도 보호자 없이 편안한 상태에서 용변을 본 후에 채변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채변용 변기의 사용 상태 구조도이고,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채변용 변기의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채변용 변기(600) 역시, 서양식 변기 바디(110)와 동양식 변기 프레임(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채변용 변기(600)에는 용변이송수단으로 변기 프레임(130)의 용변배치면(131)에 상부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대변 받이(660)와, 대변 받이(660)에 연결되어 대변 받이(660)를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업/다운 구동부(670)가 마련된다. 업/다운 구동부(670)는 실린더일 수 있으며, 입력부(680)의 신호에 의해 컨트롤러(690)에 의해 컨트롤된다.
한편, 컨트롤러(690)는 입력부(680)의 정보에 기초하여 업/다운 구동부(670)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러한 컨트롤러(690)는 중앙처리장치(691, CPU), 메모리(692, MEMORY), 서포트 회로(69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691)는 본 실시예에서 입력부(680)의 정보에 기초하여 업/다운 구동부(670)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69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691)와 연결된다. 메모리(69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이다.
서포트 회로(69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69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69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690)는 입력부(680)의 정보에 기초하여 업/다운 구동부(670)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때, 컨트롤러(690)가 입력부(680)의 정보에 기초하여 업/다운 구동부(670)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일련의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69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69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채변용 변기(600)가 적용되더라도 서양식 변기와 동양식 변기의 장점만을 취합하여 채변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병원 검사실 및 각종 건강검진 센터에 적용하기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어린이, 병약자, 노인일지라도 보호자 없이 편안한 상태에서 용변을 본 후에 채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채변용 변기 110 : 서양식 변기 바디
111 : 용변낙하구 112 : 보조 급수홀
120 : 좌대 130 : 동양식 변기 프레임
131 : 용변배치면 132 : 용변배출구
133 : 커넥터 140 : 메인 급수부

Claims (5)

  1. 바닥면의 상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용변낙하구가 형성되는 서양식 변기 바디;
    상기 서양식 변기 바디의 상부에 마련되는 좌대;
    상기 바닥면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서양식 변기 바디의 용변낙하구에서 낙하되는 용변이 배치되는 용변배치면과, 상기 용변이 배출되는 용변배출구를 구비하는 동양식 변기 프레임;
    상기 동양식 변기 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된 메인 급수부와, 상기 서양식 변기 바디의 측부에 형성된 보조 급수홀을 구비하여 용변이 상기 용변배출구로 배출되게 하는 급수수단; 및
    상기 변기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받은 용변을 상부로 이송시키는 용변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변용 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양식 변기 바디와 상기 동양식 변기 프레임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몸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변용 변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변배출구 영역에는 커넥터가 설치되어 배수관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변용 변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변낙하구는 상기 동양식 변기 프레임 쪽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변용 변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변이송수단은 변기 프레임의 용변배치면에 상부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대변 받이와, 상기 대변 받이를 업다운 시키는 업다운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변용 변기.
KR1020150053799A 2015-04-16 2015-04-16 채변용 변기 KR101654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799A KR101654315B1 (ko) 2015-04-16 2015-04-16 채변용 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799A KR101654315B1 (ko) 2015-04-16 2015-04-16 채변용 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4315B1 true KR101654315B1 (ko) 2016-09-08

Family

ID=56950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3799A KR101654315B1 (ko) 2015-04-16 2015-04-16 채변용 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431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847B1 (ko) 2018-09-17 2019-06-11 박재현 자동식 멸균 배변채취기
KR20200031984A (ko) 2019-06-04 2020-03-25 박재현 자동식 멸균 배변채취기
KR20200031985A (ko) 2019-06-04 2020-03-25 박재현 자동식 멸균 배변채취기
KR20200139411A (ko) 2019-06-04 2020-12-14 박재현 세정 기능이 구비된 배변채취기
KR20230105435A (ko) 2022-01-04 2023-07-11 주식회사 에이아이바이오틱스 자동 채변 장치, 이를 구비한 좌변식 변기 및 이를 사용한 채변 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204U (ko) * 1999-03-18 1999-08-05 이을돌 좌대가 설치된 동양식 변기
KR200372314Y1 (ko) * 2004-10-07 2005-01-10 주식회사 제일엠이씨 양변기 조립체
JP2007077787A (ja) * 2005-09-14 2007-03-29 Reiko Ogiri うんち博士
KR20080094279A (ko) 2007-04-19 2008-10-23 허민석 치과용 구조물 및 치과용 구조물 제작 방법
KR100941727B1 (ko) 2008-12-02 2010-02-12 슈어테크(주) 막힘제거 기능이 있는 변기
JP2011122420A (ja) * 2009-12-14 2011-06-23 Zenichi Hisaka 便採取用便器
KR20120056710A (ko) 2010-11-25 2012-06-0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경사드럼형 건조기
KR20140006510A (ko) 2012-07-06 2014-01-16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미노산에서 유래되는 수은 이온 선택적, 비례적 형광 감응 화학센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은 이온 검출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204U (ko) * 1999-03-18 1999-08-05 이을돌 좌대가 설치된 동양식 변기
KR200372314Y1 (ko) * 2004-10-07 2005-01-10 주식회사 제일엠이씨 양변기 조립체
JP2007077787A (ja) * 2005-09-14 2007-03-29 Reiko Ogiri うんち博士
KR20080094279A (ko) 2007-04-19 2008-10-23 허민석 치과용 구조물 및 치과용 구조물 제작 방법
KR100941727B1 (ko) 2008-12-02 2010-02-12 슈어테크(주) 막힘제거 기능이 있는 변기
JP2011122420A (ja) * 2009-12-14 2011-06-23 Zenichi Hisaka 便採取用便器
KR20120056710A (ko) 2010-11-25 2012-06-0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경사드럼형 건조기
KR20140006510A (ko) 2012-07-06 2014-01-16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미노산에서 유래되는 수은 이온 선택적, 비례적 형광 감응 화학센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은 이온 검출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847B1 (ko) 2018-09-17 2019-06-11 박재현 자동식 멸균 배변채취기
KR20200031984A (ko) 2019-06-04 2020-03-25 박재현 자동식 멸균 배변채취기
KR20200031985A (ko) 2019-06-04 2020-03-25 박재현 자동식 멸균 배변채취기
KR20200139411A (ko) 2019-06-04 2020-12-14 박재현 세정 기능이 구비된 배변채취기
KR20230105435A (ko) 2022-01-04 2023-07-11 주식회사 에이아이바이오틱스 자동 채변 장치, 이를 구비한 좌변식 변기 및 이를 사용한 채변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4315B1 (ko) 채변용 변기
US20140352050A1 (en) Chair with Urinal Device
CN104727413B (zh) 一种健康监控智能座便器
DE50013520D1 (de) Zum urinal verstellbare toiletten-vorrichtung
EP4253676A1 (en) Special urinal, squatting pan, and pedestal pan
US6571399B1 (en) Female urinal fixture
CN104727415B (zh) 一种健康助便智能监控坐便器
KR20090117111A (ko) 좌우로 기울어져 움직이는 구조를 갖는 자동 배변 처리장치및 좌우로 기울어진 구조를 갖는 처리장치에서의 자동배변 처리방법
CN209404596U (zh) 一种大小便分离计量的椅式坐便器
CN104831793B (zh) 一种智能3d坐便器
CN204972195U (zh) 改良型多功能坐浴架
CN104712039B (zh) 一种健康监控微电脑控制马桶
JP2021146172A (ja) 多目的小便器 オシッコキット
CN203878699U (zh) 带沙发式固定椅的防溅水的坐便器
JP2016114542A (ja) 尿採取容器
CN109281369B (zh) 一种带自动识别大小便的智能坐便器的控制方法
CN216135751U (zh) 便溺椅
JP3191804U (ja) 椅子体に用いる排尿装置
CN205548438U (zh) 一种马桶椅
CN203914758U (zh) 坐便、清洗两用座椅
CN209099479U (zh) 一种男用便池及男用厕所
RU2517833C2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бачок унитаза и способ его эксплуатации
CN104398334A (zh) 一种大小便自动处理设备的便器
CN201641863U (zh) 蹲坐便器
CN201781839U (zh) 一种宠物便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