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9917B1 -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방법, 및, 휴대 무선 통신 장치 및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방법, 및, 휴대 무선 통신 장치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9917B1
KR100889917B1 KR20070020156A KR20070020156A KR100889917B1 KR 100889917 B1 KR100889917 B1 KR 100889917B1 KR 20070020156 A KR20070020156 A KR 20070020156A KR 20070020156 A KR20070020156 A KR 20070020156A KR 100889917 B1 KR100889917 B1 KR 100889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response
request
confirma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20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6802A (ko
Inventor
마사토 카시야마
유스케 우에다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6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6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72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with means for preventing jamming or interference of a remote switch control signal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4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s or networks with limited capabilitie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9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or pre-shared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과제
정상적인 인증 통신을 실현시키도록 한다.
해결 수단
예를 들면, 휴대 전자 키는, ECU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하면, 타전자 키 존재 유무 확인정보를 송신하고(S31 YES, S32), 그 수신을 시도한다. 휴대 전자 키는, 자신으로부터의 전자 키 존재 유무 확인정보 이외에, 다른 휴대 전자 키로부터의 전자 키 존재 유무 확인정보를 수신한 경우(S33 YES), 자신을 포함하여 복수의 휴대 전자 키가 ECU의 통신권 내에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다음과 같은 처리를 실행한다. 즉, 휴대 전자 키는, 난수를 발생시키고, 그 난수에 의거하여 응답 지연 시간을 결정하고, 그 응답 지연 시간 경과 후에, 응답을 ECU에 송신한다(S34 내지 S36). 본 발명은, 차량의 도난 방지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
무선 통신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방법, 및, 휴대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and,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의 차량의 도난 방지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데이터 충돌 검지 방식에 의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데이터 충돌 검지 방식에 의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데이터 충돌 검지 방식에서 이용되는 송신 프레임의 구조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데이터 충돌 검지 방식에서 이용되는 송신 프레임의 구조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데이터 충돌 검지 방식에 있어서, ECU가 전파 충돌을 검지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데이터 충돌 검지 방식에 있어서, ECU가 전파 충돌을 검지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데이터 충돌 검지 방식에 의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데이터 충돌 검지 방식에 의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데이터 충돌 검지 방식에 의한 ECU측의 처리예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1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데이터 충돌 검지 방식에 의한 휴대 전자 키측의 처리예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12는 도 10과 도 11의 처리 관계의 구체적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도 10과 도 11의 처리 관계의 구체적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전 조정 방식에 의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전 조정 방식에 의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전 조정 방식에 의한 ECU측의 처리예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1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전 조정 방식에 의한 휴대 전자 키측의 처리예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18은 도 16과 도 17의 처리 관계의 구체적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고정 무선 통신 장치로서의 ECU의 구성예를 도 시하는 블록도.
도 20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 무선 통신 장치로서의 휴대 전자 키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고정 무선 통신 장치의 전부 또는 일부분 또는 휴대 무선 통신 장치의 전부 또는 일부분의 하드웨어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량 2-1 내지 2-N : 휴대 전자 키
11 : ECU 21 : 충돌 검지 프레임
31 : 충돌 검지 비트열 41 : 수신 충돌 검지 프레임
42 : 수신 충돌 검지 비트열 51 : LF용 송신 회로
52 : 안테나 53 : UHF용 수신 회로
54 : 안테나 55 : 제어 회로
56 : 도어 노브 센서 57 : 엔진 시동 허가 SW
58 : 모터 59 : 전원 회로
71 : 안테나 72 : LF용 송신 회로
73 : 안테나 74 : LF용 수신 회로
75 : 안테나 76 : UHF용 송신 회로
77 : 안테나 78 : UHF용 수신 회로
79 : 제어 회로 80 : 전지
101 : CPU 102 : ROM
103 : RAM 104 : 버스
105 : 입출력 인터페이스 106 : 입력부
107 : 출력부 108 : 기억부
109 : 통신부 110 : 드라이브
111 : 리무버블 미디어
기술분야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방법, 및, 휴대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의 휴대 무선 통신 장치가 고정 무선 통신 장치의 통신권(通信圈) 내에 존재하여도 정상적인 인증 통신을 실현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방법, 및, 휴대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의 차량의 도난 방지 시스템은, 차량에 탑재된 ECU(Electronic Control Unit :전자 제어 장치)와, 그 차량을 운전하는 유저가 휴대하는 휴대 전자 키로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이나 2 참조).
이 경우, ECU는, 휴대 전자 키와 인증 통신을 행하고, 그 인증에 성공하면, 차량의 도어의 시정(施錠) 해제나 엔진 시동을 위해 필요한 처리를 실행한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3-20835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평09-279917호 공보
그러나, 근래, 예비용 또는 복수 유저용으로서, 1대의 차량(ECU)에 대해 복수의 휴대 전자 키가 배포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복수의 휴대 전자 키가 ECU의 통신권 내에 존재할 때, 예를 들면 1인의 유저가 복수의 휴대 전자 키를 소지한 채로 차량에 접근한 때나, 예를 들면 휴대 전자 키를 1개씩 소지한 복수의 유저가 동시에 차량에 접근하는 때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즉, ECU와 휴대 전자 키 사이에서의 인증 통신에서는, ECU의 요청에 대한 휴대 전자 키의 응답으로서, 소정의 송신 프레임이 송신되다. 따라서, 복수의 휴대 전자 키가 ECU의 통신권 내에 존재할 때에는, 복수의 휴대 전자 키로부터의 각 송신 프레임이 ECU에서 전파 충돌을 일으키게 된다. 그 결과, 정상적인 인증 통신이 행하여지지 않는다, 즉, 정상적인 통신을 확립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는, 차량의 도난 방지 시스템뿐만 아니라, 복수의 휴대 무선 통신 장치중의 소정의 1대가 고정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인증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전체에서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복수의 휴대 무선 통신 장치가 고정 무선 통신 장치의 통신권 내에 존재하여도, 정상적인 인증 통신을 실현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한 측면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방법은, 복수의 휴대 무선 통신 장치중의 소정의 1대가 고정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인증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방법으로서, 상기 고정 무선 통신 장치는, 인증을 행하기 위한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복수의 휴대 무선 통신 장치중의 상기 요청을 수신한 1대 이상의 휴대 무선 통신 장치의 각각은, 상기 요청을 수신한 다른 휴대 무선 통신 장치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정보를 송신하고, 자신의 상기 확인정보만을 수신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상기 고정 무선 통신 장치에 송신하고, 자신의 상기 확인정보뿐만 아니라, 다른 휴대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의 확인정보도 수신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소정의 설정 수법에 의거하여 응답 지연 시간을 설정하고, 그 응답 지연 시간이 경과한 때에,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상기 고정 무선 통신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고정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요청을 수신한 1대 이상의 상기 휴대 무선 통신 장치중의 적어도 1대로부터의 상기 응답을 수신한 경우, 그 응답을 송신한 휴대 무선 통신 장치의 인증을 행한다.
고정 무선 통신 장치는, 예를 들면 차량에 탑재된 ECU에 의해 구성된다. 휴대 무선 통신 장치는, 예를 들면 차량을 운전하는 유저가 휴대하는 휴대 전자 키에 의해 구성된다.
이로써, 고정 무선 통신 장치의 통신권 내에 복수의 휴대 무선 통신 장치가 존재하여도, 복수의 휴대 무선 통신 장치끼리가 그것을 인식하고, 각 응답의 송신 타이밍을 비켜 놓도록 하였기 때문에, 전파 충돌이 고정 무선 통신 장치에서 발생하지 않게 되고, 그 결과, 정상적인 인증 통신이 실현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휴대 무선 통신 장치는, 고정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인증되는 N대(N은 2 이상의 정수치)의 휴대 무선 통신 장치중의 소정의 1대로서, 상기 고정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인증을 행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제 1의 수신 수단과, 상기 제 1의 수신 수단에 수신된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생성하는 제 1의 생성 수단과, 상기 제 1의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응답을 상기 고정 무선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제 1의 송신 수단과, 상기 제 1의 수신 수단에 상기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요청을 수신한 다른 휴대 무선 통신 장치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정보를 생성하는 제 2의 생성 수단과, 상기 제 2의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확인정보를 송신하는 제 2의 송신 수단과, 상기 확인정보를 수신하는 제 2의 수신 수단과, 상기 제 2의 송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확인정보만이 상기 제 2의 수신 수단에 수신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 1의 송신 수단으로부터 상기 응답을 상기 고정 무선 통신 장치에 송신시키고, 상기 제 2의 송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확인정보뿐만 아니라, 다른 휴대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의 확인정보도 상기 제 2의 수신 수단에 수신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소정의 설정 수법에 의거하여 응답 지연 시간을 설정하고, 그 응답 지연 시간이 경과한 때에, 상기 제 1의 송신 수단으로부터 상기 응답을 상기 고정 무선 통신 장치에 송신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송신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고정 무선 통신 장치는, 예를 들면 차량에 탑재된 ECU에 의해 구성된다. 휴대 무선 통신 장치는, 예를 들면 차량을 운전하는 유저가 휴대하는 휴대 전자 키에 의해 구성된다.
제 1의 수신 수단은, 예를 들면 LF용의 수신 회로로 구성된다. 제 1의 송신 수단은, 예를 들면 UHF용의 송신 회로로 구성된다. 상기 제 2의 수신 수단은, 예를 들면 LF용의 수신 회로로 구성된다. 제 2의 송신 수단은, 예를 들면 UHF용 또는 LF용의 송신 회로로 구성된다. 제 2의 수신 수단은, 예를 들면 UHF용 또는 LF용의 수신 회로로 구성된다. 제 1의 생성 수단, 제 2의 생성 수단, 및, 송신 제어 수단은, 신호 처리를 행하는 회로나, 소프트웨어로서의 신호 처리를 실행하는 컴퓨터 등으로 구성된다.
이로써, 고정 무선 통신 장치의 통신권 내에 복수의 휴대 무선 통신 장치가 존재하여도, 복수의 휴대 무선 통신 장치끼리가 그것을 인식하고, 각 응답의 송신 타이밍을 비켜 놓도록 하였기 때문에, 전파 충돌이 고정 무선 통신 장치에서 발생하지 않게 되고, 그 결과, 정상적인 인증 통신이 실현된다.
상기 송신 제어 수단은, 상기 제 2의 송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확인정보가 상기 제 2의 수신 수단에 정상적으로 수신된 경우, 상기 제 2의 송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확인정보만이 상기 제 2의 수신 수단에 수신되었다고 판단하고, 그 이외인 경우, 상기 제 2의 송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확인정보뿐만 아니라, 상기 다른 휴대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의 확인정보도 상기 제 2의 수신 수단에 수신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로써, 송신 제어 수단을 간소하게 구성할 수 있다. 즉, 송신 제어 수단이 회로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회로 규모를 축소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컴퓨터로 탐지 수단이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의 규 모를 축소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무선 통신 장치는, 차량에 탑재되어 있고, 상기 요청을 LF(Low Frequency)로 송신하고, 복수의 상기 휴대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차량의 도어의 시정 해제와 엔진 시동 허가의 적어도 한쪽을 지시하기 위한 휴대 전자 키이고, 상기 응답을 UHF(Ultra High Frequency)로 송신하고, 상기 제 2의 송신 수단은, 상기 LF용의 송신 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확인정보를 상기 LF로 송신하고, 상기 제 2의 수신 수단과 상기 제 1의 수신 수단은 병용되며, 단일의 상기 LF용의 수신 회로를 공용하여 구성되고, 공통의 상기 LF용의 수신 회로는, 상기 LF의 형태로 송신되어 오는 상기 확인정보 또는 상기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 1의 송신 수단은, 상기 UHF용의 송신 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응답을 상기 UHF로 송신할 수 있다.
이로써, 확인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회로를 새롭게 마련할 필요가 없어진다.
상기 고정 무선 통신 장치는, 차량에 탑재되어 있고, 상기 요청을 LF(Low Frequency)로 송신하고, 복수의 상기 휴대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차량의 도어의 시정 해제와 엔진 시동 허가의 적어도 한쪽을 지시하기 위한 휴대 전자 키이고, 상기 응답을 UHF(Ultra High Frequency)로 송신하고, 상기 제 1의 수신 수단은, 상기 LF용의 수신 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LF의 형태로 송신되어 오는 상기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 1의 송신 수단과 상기 제 2의 송신 수단은 병용되며, 단일의 상기 UHF용의 송신 회로를 공용하여 구성되고, 상기 확인정보 또는 상기 응답을 상기 UHF로 송신하고, 상기 제 2의 수신 수단은, 상기 UHF용의 수신 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UHF의 형태로 송신되어 오는 상기 확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로써, 인증 통신이 종료될 때까지의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시스템 전체의 응답을 빠르게 할 수 있다.
상기 제 1의 생성 수단은, 상기 다른 휴대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의 확인정보도 상기 제 2의 수신 수단에 수신되었다고 상기 송신 제어 수단에 의해 판단된 경우, 다른 휴대 무선 통신 장치의 존재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 상기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이로써, 이러한 응답을 수신한 고정 무선 통신 장치측에서도, 그 통신권 내에 복수의 휴대 무선 통신 장치가 존재하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무선 통신 방법은, 고정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인증되는 복수의 휴대 무선 통신 장치중의 소정의 1대의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고정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인증을 행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요청을 수신한 다른 휴대 무선 통신 장치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정보를 송신하고, 자신의 상기 확인정보만을 수신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상기 고정 무선 통신 장치에 송신하고, 자신의 상기 확인정보뿐만 아니라, 다른 휴대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의 확인정보도 수신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소정의 설정 수법에 의거하여 응답 지연 시간을 설정하고, 그 응답 지연 시간이 경과한 때에,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상기 고정 무선 통신 장치에 송신한다.
이로써, 고정 무선 통신 장치의 통신권 내에 복수의 휴대 무선 통신 장치가 존재하여도, 복수의 휴대 무선 통신 장치끼리가 그것을 인식하고, 각 응답의 송신 타이밍을 비켜 놓도록 하였기 때문에, 전파 충돌이 고정 무선 통신 장치에서 발생하지 않게 되고, 그 결과, 정상적인 인증 통신이 실현된다.
상기에 있어서, 응답과 확인정보가 같아도 상관없다. 이 경우에는, 제 1의 생성 수단과 제 2의 생성 수단이 같아도 좋고, 제 1의 송신 수단과 제 2의 송신 수단이 같아도 좋고, 나아가서는 제 1의 수신 수단과 제 2의 수신 수단이 같아도 좋다. 요청을 수신한 후에 송신된 응답이, 그 응답의 송신을 행한 휴대 전자 키에 의해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소정의 설정 방법에 의해 설정된 응답 지연 시간의 경과 후에 2회째의 응답을 송신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휴대 무선 통신 장치중의 소정의 1대가 고정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인증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휴대 무선 통신 장치가 고정 무선 통신 장치의 통신권 내에 존재하여도, 정상적인 인증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최초의 인증 통신에서는 어느 휴대 전자 키와의 통신을 우선하는지는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통신권 내에 휴대 전자 키가 1대밖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최초의 통신으로 인증을 할 수 있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즉, 인증을 위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과 함께 정상적으로 인증 통신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한 실시의 형태로서의 차량 도난 방지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의 예에서는, 차량 도난 방지 시스템은, 차량(1)에 고정 무선 통신 장치로서 탑재된 ECU(11)와, 휴대 무선 통신 장치로서의 N개(N은 2 이상의 정수치)의 휴대 전자 키(2-1 내지 2-N)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하, 휴대 전자 키(2-1 내지 2-N)의 각각을 개별적으로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그것들을 통합하여 휴대 전자 키(2)라고 칭한다. 또한, 휴대 전자 키(2)의 수량은, 일반적으로 「대(臺)」를 이용하지 않지만, 휴대 전자 키(2)는 휴대 무선 통신 장치의 한 실시의 형태인 것을 강조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대」를 이용하기로 한다.
ECU(11)는, 휴대 전자 키(2-1 내지 2-N)중의 1대와 인증 통신을 행하고, 그 인증에 성공한 때, 차량(1)의 도어의 해정이나 엔진 시동을 위해 필요한 처리(이하, 도어의 언로크 처리 등이라고 칭한다)를 실행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 전자 키(2-1 내지 2-N)중의 2대 이상이 ECU(11)의 통신권 내에 존재하는 경우, 그 2대 이상의 휴대 전자 키(2)로부터 송신 프레임이 ECU(11)에 대해 각각 거의 동시에 송신되어 온다. 그 결과, 그들의 송신 프레임이 ECU(11)에서 충돌하여 버리고, 인증 통신을 할 수 없게 되어 버리는, 즉, 정상적인 통신을 확립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본 발명인은, 이 문제를 해결 가능한 2개의 수법을 발명하였다. 이하, 이 2개의 수법을 구별하기 위해 각각, 데이터 충돌 검지 방식, 및, 사전 조정 방식이라고 칭한다. 또한, 각 방식의 호칭의 유래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각 방식의 상세를 설명하여 감으로서 밝혀진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 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고 있는 어구(語句) 「요청」이란, 고정 무선 통신 장치(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ECU(11))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로서, 통신권 내에 존재하는 휴대 무선 통신 장치(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휴대 전자 키(2))가 이 「요청」을 수신한 것에 의거하여, 휴대 무선 통신 장치가 신호를 송신하도록 시키는 기능을 갖는 무선 신호이다. 또한, 어구 「응답」이란, 상기 「요청」을 수신한 것에 의거하여, 휴대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이다. 「응답」의 기능은, 단지 수신한 것을 나타내는 기능이라도 좋고, 고정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해 어떠한 동작을 요구 또는 실시시키는 것이라도 좋다. 「응답」에는, 각 무선 통신 장치의 ID, 휴대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 정보, 차량이나 고정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동작을 구하는 코드 등이 포함되어도 좋다.
(데이터 충돌 검지 방식)
처음에, 도 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데이터 충돌 검지 방식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간략을 위해, 휴대 전자 키(2-1 내지 2-N)중의 2대, 예를 들면 휴대 전자 키(2-1, 2-3)가 ECU(11)의 통신권 내에 존재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그들의 동작을 설명하여 간다. 단, 휴대 전자 키(2-1 내지 2-N)중의 임의의 2대 이상이 ECU(11)의 통신권 내에 존재하는 경우의 동작도, 기본적으로 이하의 동작과 마찬가지로 된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ECU(11)는, 인증을 행하기 위한 요청(LF1)을, LF(Low Frequency)의 형태로 정기적으로 송신하고 있다.
이 경우, ECU(11)의 통신권 내에 존재하는 휴대 전자 키(2-1, 2-3)의 각각은, 요청(LF1)을 수신하면,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 응답(UHF1-1, UHF1-3)의 각각을, UHF(Ultra High Frequency)의 형태로 ECU(11)에 대해 송신한다.
그러면,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ECU(11)에서, 응답(UHF1-1, 1-3)의 전파 충돌이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이와 같은 전파 충돌을 ECU(11)측에서 검지할 수 있도록, 데이터 충돌 검지 방식에서는, ECU(11)로부터의 요청에 대한 응답은, 다른 휴대 전자 키(2)의 응답과 혼합한 경우에 자신의 식별이 가능한 구성을 갖고 있다. 이 경우, ECU(11)는, 각 휴대 전자 키(2)의 각 응답의 각 구성을 미리 파악하여 둠으로써, 전파 충돌이 발생한 것, 즉, 응답이 혼합되어 있는 것을 판정할 수 있고, 혼합이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소정의 방법에 의해 우선이 부여된 휴대 전자 키(2)의 1대 1대에 대해 개별 통신을 행하고, 그 개별 통신의 결과에 의거하여 그 소정의 1대의 인증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는, ECU(11)는, 혼합이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혼합된 수신 신호로부터 응답을 송신하여 온 복수의 휴대 전자 키(2)를 특정하고, 소정의 방법에 의해 우선이 부여된 휴대 전자 키(2)의 1대 1대에 대해 개별 통신을 행하고, 그 개별 통신의 결과에 의거하여 그 소정의 1대의 인증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데이터 충돌 검지 방식에서 사용되는 휴대 전자 키(2)의 응답은, 다른 휴대 전자 키(2)의 응답과 혼합한 경우에 자신의 식별이 가능한 구성을 갖고 있으면, 임의의 구성이라도 상관없다. 단, 본 실시의 형태의 응답을 구성한 송신 프레임으로서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프레임(21)이 채용되어 있다.
프레임(21)은, 전파 충돌을 ECU(11)측에 검출시키기 위한 비트열(31)과, 자신을 응답으로서 이용하는 휴대 전자 키(2)의 ID(Identification)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하, 프레임(21)을 특히 충돌 검지 프레임(21)이라고 칭한다. 또한, 이 호칭에 수반하여, 비트열(31)을 특히 충돌 검지 비트열(31)이라고 칭한다.
N대의 휴대 전자 키(2-1 내지 2-N)가 존재하는 경우, 하나의 휴대 전자 키(2)에 관한 충돌 검지 프레임(21)의 충돌 검지 비트열(31)은, N비트로 구성된다. 이 경우, N비트중의, 소정의 1비트만이 "1"이 되고, 다른 비트는 모두 "0"이 되도록 정의되어 있다. 단, 1대의 휴대 전자 키(2)에 관한 "1"이 되는 비트는, 그 밖의 모든 휴대 전자 키(2)에 관한 "1"이 되는 비트의 전부와 중복되지 않도록 정의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N=4인 경우, 즉, 4대의 휴대 전자 키(2-1 내지 2-4)가 존재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휴대 전자 키(2-1)에 관한 충돌 검지 프레임(21-1)은, 「0001」로 정의된 충돌 검지 비트열(31-1)과, 휴대 전자 키(2-1)의 ID(1)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휴대 전자 키(2-2)에 관한 충돌 검지 프레임(21-2)은, 「0010」로 정의된 충돌 검지 비트열(31-2)과, 휴대 전자 키(2-2)의 ID(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휴대 전자 키(2-3)에 관한 충돌 검지 프레임(21-3)은, 「0100」로 정의된 충돌 검지 비트열(31-3)과, 휴대 전자 키(2-3)의 ID(3)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휴대 전자 키(2-4)에 관한 충돌 검지 프레임(21-4)은, 「1000」로 정의된 충돌 검지 비트열(31-4)과, 휴대 전자 키(2-4)의 ID(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휴대 전자 키(2-1 내지 2-4)중의 1대만이 ECU(11)의 통신권 내에 존재할 때에는, ECU(11)는, 요청(도 2의 예에서는 요청(LF1))에 대한 응답으로서, 충돌 검지 프레임(21-1 내지 21-4)중의 1개만을 수신하는 것이 된다. 그때, 충돌 검지 프레임(21-1 내지 21-4)중의 어느것이 ECU(11)에서 수신되어도, 충돌 검지 비트열(31)을 구성하는 4비트중의 1비트만이 "1"이 된다. 즉, ECU(11)는, 수신된 충돌 검지 비트열(31)을 구성하는 4비트중의 1비트만이 "1"인 것을 확인함으로써, 전파 충돌은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인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상술한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2대의 휴대 전자 키(2-1, 2-3)가 ECU(11)의 통신권 내에 존재할 때에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휴대 전자 키(2-1, 2-3)의 각각은,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충돌 검지 프레임(21-1, 21-3)의 각각을 거의 동시에 송신하게 된다. 그 결과, 도 3을 이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ECU(11)에서 충돌 검지 프레임(21-1, 21-3)은 전파 충돌을 일으키기 때문에, ECU(11)에서는, 도 6의 프레임(41)을 응답으로서 수신하게 된다.
이하, ECU(11)에 응답으로서 수신된 프레임을, 수신 충돌 검지 프레임이라고 칭한다. 즉, 도 6의 예에서는, 프레임(41)이 수신 충돌 검지 프레임이 된다.
이 경우, 수신 충돌 검지 프레임(41)중의, 충돌 검지 프레임(21)의 충돌 검 지 비트열(31)의 배치 위치에 대응한 위치의 비트열(42)(이하, 수신 충돌 검지 비트열(42)이라고 칭한다)을 구성하는 4비트중의 2비트가 "1"이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충돌 검지 프레임(21-1, 21-3)의 각각이, 휴대 전자 키(2-1, 2-3)의 각각에 의해 ASK(Amplitude Shift Keying) 방식으로 변조되어, 응답(UHF1-1, 1-3)의 각각으로서 송신되었다고 한다.
또한, 요청(LF1)을 휴대 전자 키(2-1, 2-3)가 수신하기까지의 시간의 차이, 즉, 거리의 차이는 무시할 수 있도록, 신호 처리된다고 한다. 또한, 휴대 전자 키(21, 2-3)가 요청(LF1)을 수신하고 나서, 응답(UHF1-1, 1-3)을 회신하기까지의 시간은 설계적으로는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하다고 한다.
이와 같은 전제하에서는, 충돌 검지 프레임(21-1)의 충돌 검지 비트열(31-1)과, 충돌 검지 프레임(21-2)의 충돌 검지 비트열(31-2)의 각각의 변조 신호는, 각각 도 7의 가장 위와 중앙의 각각에 나타내는 신호가 된다. 따라서, 전파 충돌에 의해 이들의 변조 신호가 합성되고, 그 결과, 도 7의 가장 밑에 나타내는 변조 신호가 ECU(11)에 수신된다. 따라서, ECU(11)는, 이 변조 신호를 복조함으로써, 도 6에 도시되는 수신 충돌 검지 비트열(42), 즉, 「0101」을 검출한다.
이와 같이 하여, ECU(11)는, 수신 충돌 검지 비트열(42)을 구성하는 4비트중의 2비트가 "1"인 것을 확인함으로써, 전파 충돌이 발생하고 있다고 인정할 수 있다.
도시는 하지 않지만, 마찬가지로, 휴대 전자 키(2-1 내지 2-4)중의 임의의 2대가 ECU(11)의 통신권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수신 충돌 검지 비트열을 구성하 는 4비트중의 2비트가 "1"이 된다. 또한, 휴대 전자 키(2-1 내지 2-4)중의 임의의 3대가 ECU(11)의 통신권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수신 충돌 검지 비트열을 구성하는 4비트중의 3비트가 "1"이 된다. 또한, 휴대 전자 키(2-1 내지 2-4)의 4대 전부가 ECU(11)의 통신권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수신 충돌 검지 비트열을 구성하는 4비트의 전부가 "1"이 된다.
즉, 휴대 전자 키(2-1 내지 2-N)중의 임의의 K대(K는 1 내지 N중의 어느 하나의 정수치)가 ECU(11)의 통신권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수신 충돌 검지 비트열을 구성하는 N비트중의 K비트가 "1"이 된다.
따라서 ECU(11)는, 수신 충돌 검지 비트열을 구성하는 N비트중의 2비트 이상이 "1"인 것을 확인함으로써, 전파 충돌이 발생하고 있다고 인정할 수 있다.
또한, ECU(11)는, 휴대 전자 키(2-1 내지 2-N)의 각각에 관한 충돌 검지 비트열(31-1 내지 31-N)의 각 구성을 미리 파악하고 있으면, 즉, 각각의 "1"이 되는 비트의 각 위치를 미리 파악하고 있으면, 수신 충돌 검지 비트열에서의 "1"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휴대 전자 키(2-1 내지 2-N)중의 어느것이 그 통신권 내에 존재하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ECU(11)는, 통신권 내에 존재한다고 인식한 1 이상의 휴대 전자 키(2)를, 인증 통신을 행하여야 할 후보(이하, 인증 후보)로서 각각 특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6의 예에서는, ECU(11)는, 수신 충돌 검지 비트열(42)인 「0101」중의 선두로부터 2비트째의 "1"을 검출함으로써, 휴대 전자 키(2-3)를 인증 후보로서 특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ECU(11)는, 이 「0101」중 의 선두로부터 4비트째의 "1"을 검출함으로써, 휴대 전자 키(2-1)를 인증 후보로서 특정할 수 있다.
그 후, ECU(11)는, 인증 후보로서 특정된 휴대 전자 키(2-1, 2-3)중에서 소정의 1대를 인증 상대로서 결정하고, 그 인증 상대와 개별 통신함으로써 그 인증을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증 후보중에서 인증 상대를 결정하는 결정 수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휴대 전자 키(2-1 내지 2-N)의 각각에는 우선 순위가 미리 결정되어 있고, 그 우선 순위에 따라 인증 상대를 결정한다는 수법이 채용되어 있다고 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휴대 전자 키(2-1 내지 2-N)의 순번으로 우선 순위가 결정되어 있다고 한다. 이 경우, ECU(11)는, 인증 후보인 휴대 전자 키(2-1, 2-3)중의 우선 순위가 높은 쪽, 즉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휴대 전자 키(2-1)를 인증 상대로서 결정한다. 그리고, ECU(11)는,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휴대 전자 키(2-1)와의 인증 통신을 행한다.
즉, ECU(11)는, 휴대 전자 키(2-1)를 개별적으로 인증하기 위한 요청(이하, 이와 같은 요청을 특히 개별 요청라고 칭한다)(LF2-1)을, 휴대 전자 키(2-1)에 대해 송신한다. 즉, 개별 요청(LF2-1)는, 휴대 전자 키(2-1)만이 응답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환언하면, 개별 요청을 구성하는 프레임은, 인증 상대만이 응답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면, 그 형태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여기서는, 개별 요청(LF2-1)은, 휴대 전자 키(2-1)만이 응답하면 좋기 때문에, 휴대 전자 키(2-1)에 관한 도 5의 충돌 검지 프레임(21-1)과 등가인 프레임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전자 키(2-1)는, 개별 요청(LF2-1)에 대한 응답(UHF2-1)을, ECU(11)에 대해 송신한다. 이때, 휴대 전자 키(2-3)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개별 요청(LF2-1)을 수신하여도 응답하지 않는다.
ECU(11)는, 응답(UHF2-1)을 수신한 경우, 휴대 전자 키(2-1)의 인증에 성공하다고 하여, 도어의 언로크 처리 등을 실행한다.
이에 대해,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휴대 전자 키(2-1)로부터의 응답(UHF2-1)을 수신할 수 없었던 경우, ECU(11)는, 휴대 전자 키(2-1)의 인증에 실패하였다고 하여, 다음 우선 순위의 휴대 전자 키(2-3)를 인증 상대로서 결정하고, 예를 들면 동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휴대 전자 키(2-3)와의 인증 통신을 행한다.
즉, ECU(11)는, 개별 요청(LF2-3)을, 휴대 전자 키(2-3)에 대해 송신한다. 즉, 개별 요청(LF2-3)은, 휴대 전자 키(2-3)만이 응답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상술한 도 8의 예와 맞춘다면, 개별 요청(LF2-3)은, 휴대 전자 키(2-3)에 관한 도 5의 충돌 검지 프레임(21-3)과 등가인 프레임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전자 키(2-3)는, 개별 요청(LF2-3)에 대한 응답(UHF2-3)을, ECU(11)에 대해 송신한다. 이때, 휴대 전자 키(2-1)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개별 요청(LF2-3)을 수신하여도 응답하지 않는다.
ECU(11)는, 개별 요청 UHF(2-3)를 수신하면, 휴대 전자 키(2-3)의 인증에 성공하였다고 하여, 도어의 언로크 처리 등을 실행한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지만, ECU(11)는, 응답(UHF2-3)을 가령 수신할 수 없었던 경우, 즉, 통신권 내에 존재하는 휴대 전자 키(2-1, 2-3)로부터의 응답(UHF2-1, 2-3)을 가령 어느 것이나 수신할 수 없었던 경우, 도어의 언로크 처리 등의 실행을 금지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우선 순위가 높은 순서로 개별 통신에 의한 인증 통신을 행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우선 순위가 높은 휴대 전자 키(2)를 유저가 소지함으로써, 그만큼 인증 통신의 처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소정의 휴대 전자 키(2)와의 인증 통신에 실패한 경우, 다시, 다음 우선 순위의 다른 휴대 전자 키(2)와의 인증 통신을 시도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보다 한층더 확실한 인증 통신이 실현된다.
이상 설명한 데이터 충돌 검지 방식을 채용한 차량 도난 방지 시스템이 언로크 처리 등을 실행하기까지의 일련의 처리는, 예를 들면, 도 10과 도 11에 도시되는 플로우 차트에 따라 실행된다. 즉, 도 10은 ECU(11)측의 처리예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고, 도 11은 1대의 휴대 전자 키(2)의 처리예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의 스텝 S1에서, ECU(11)는, 요청을 LF로 송신한다.
스텝 S2에서, ECU(11)는, 응답으로서의 UHF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휴대 전자 키(2-1 내지 2-N)의 어느 하나가 ECU(11)의 통신권 밖에 존재하는 경우, 스텝 S2에서 NO라고 판정되고, 처리는 스텝 S1로 되돌아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즉, 휴대 전자 키(2-1 내지 2-N)중의 적어도 1대가 ECU(11)의 통신권 내에 진입하여 올 때까지, ECU(11)는, 요청로서의 LF를 정기적으로 송신하고 있다. 또는 휴대 전자 키(2)의 소유자가 차량(1)에 접근한 것을 검지한 경우, ECU(11)는, 요청로서의 LF를 송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 후, 휴대 전자 키(2-1 내지 2-N)중의 적어도 1대가 ECU(11)의 통신권 내에 진입하여 온 경우, 응답으로서의 UHF를 송신하여 오게 되기 때문에(후술하는 도 11의 스텝 S12 참조), 즉, 상술한 충돌 검지 프레임을 송신하여 오게 되기 때문에, ECU(11)는, 그들의 혼합 신호(단, 휴대 전자 키(2)가 1대만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충돌 검지 프레임 자체)를 수신 충돌 검지 프레임으로서 수신하게 된다. 이로써, 스텝 S2에서 YES라고 판정되고, 처리는 스텝 S3로 진행한다.
스텝 S3에서, ECU(11)는, UHF 전파의 충돌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 충돌 검지 프레임의 수신 충돌 검지 비트열을 구성하는 N비트중의 1비트만이 "1"인 것은, UHF 전파의 충돌은 발생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ECU(11)는, 스텝 S3에서, NO라고 판정하고, 스텝 S10에서, 도어의 언로크 처리 등을 실행한다. 이로써, ECU(11)측의 처리는 종료로 된다. 즉, 도 10의 예에서는, 수신 충돌 검지 비트열을 구성하는 N비트중의 1비트만이 "1"인 것, 즉, 스텝 S3의 처리에서 NO라고 판정되는 것이, 인증의 성공의 한 조건으로 되어 있고, 그 조건이 충족되면, 도어의 언로크 처리 등이 실 행된다.
이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 충돌 검지 비트열을 구성하는 N비트중의 2비트 이상이 "1"인 것은, UHF 전파의 충돌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ECU(11)는, 스텝 S3에서, YES라고 판정하고, 다음과 같은 스텝 S4 이후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스텝 S4에서, ECU(11)는, 수신 충돌 검지 비트열에서의 2개 이상의 "1"과 그들의 배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복수의 휴대 전자 키(2)의 존재를 확인하고, 그들을 인증 후보로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상술한 도 5의 예의 충돌 검지 비트열(21-1 내지 21-4)이 응답으로서 이용되고 있는 경우, 수신 충돌 검지 비트열을 구성하는 4비트중의 최후미로부터 상위 방향으로 M(M은 1 내지 4중의 어느 하나의 정수치)비트째가 "1"인 때에는, 휴대 전자 키(2-M)가 인증 후보로 인정된다.
스텝 S5에서, ECU(11)는, 인증 후보 중에서 우선도의 가장 높은 휴대 전자 키(2)를 인증 상대로 결정한다.
스텝 S6에서, ECU(11)는, 인증 상대에 대해, 개별 요청을 LF로 송신한다.
스텝 S7에서, ECU(11)는, 인증 상대로부터 응답을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인증 상대로부터 응답으로서의 UHF가 송신되어 온 경우(후술하는 도 11의 스텝 S14의 처리가 실행된 경우), ECU(11)는, 그 응답을 수신함으로써, 스텝 S7에서 YES라고 판정하고, 스텝 S10에서, 도어의 언로크 처리 등을 실행한다. 이로써, ECU(11)측의 처리는 종료로 된다. 즉, 도 10의 예에서는, 전파 충돌을 일으킨 각 응답을 송신한 복수의 휴대 전자 키(2)가 인증 후보로 설정되고, 또한, 그들의 인증 후보 중에서 우선 순위가 높은 것이 인증 상대로서 결정되고, 그 인증 상대에 대해 개별 요청이 송신된다. 이 경우, 이 개별 요청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는 것, 즉, 스텝 S7의 처리에서 YES라고 판정되는 것이, 인증의 성공의 한 조건으로 되어 있고, 그 조건이 충족되면, 도어의 언로크 처리 등이 실행된다.
이에 대해, 인증 상대로부터의 응답이 송신되어 오지 않은 등의 이유로, 그 응답의 수신을 할 수 없는 경우, ECU(11)는, 스텝 S7에서 NO라고 판정하고, 스텝 S8에서, 그 인증 상대를 인증 후보로부터 제외한다.
스텝 S9에서, ECU(11)는, 인증 후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스텝 S8의 처리가 몇 번이나 반복된 결과, 스텝 S4의 처리에서 설정된 인증 후보의 전부가 제외되어 버린 경우, 스텝 S9에서 NO라고 판정되고, ECU(11)측의 처리가 종료로 된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지만, 스텝 S9에서 NO라고 판정된 경우, 처리를 종료시키지 않고, 처리를 스텝 S1로 되돌려서, 그 이후의 처리를 반복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ECU(11)는, 인증에 실패한 때에는, 도어의 언로크 처리 등의 실행을 금지하고, 그 후, 정기적인 요청을 재차 송신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대해, 인증 후보가 아직 1 이상 존재하는 경우에는, 처리는 스텝 S5로 되돌아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즉, 남아 있는 인증 후보 중에서 우선도가 가장 높은 휴대 전자 키(2)가 새로운 인증 상대가 되고, 그 새로운 인증 상대에 관한 스텝 S5 내지 S10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와 같은 ECU(11)측의 처리에 대한 휴대 전자 키(2)측의 처리예는, 도 11의 플로우 차트에 도시되게 된다.
즉, 도 11의 스텝 S11에서, 휴대 전자 키(2)는, 요청을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상술한 도 10의 스텝 S1의 처리에서 ECU(11)로부터 요청이 송신되어 온 경우, 휴대 전자 키(2)는, 그것을 수신함으로써, 스텝 S11에서 YES라고 판정하고, 스텝 S12에서, 도 4의 충돌 검지 프레임(21)을 포함하는 응답을 UHF로 ECU(11)에 대해 송신한다.
또한, 도 4의 충돌 검지 프레임(21)을 포함하는 응답이라고 기술한 것은, 상술한 예에서는 충돌 검지 프레임(21) 자신이 응답으로 되었지만, 응답의 구성은, 충돌 검지 프레임(21)을 포함하면, 상술한 예로 특히 한정되지 않기 때문이다. 즉, 예를 들면, ID의 후에 별도의 데이터를 부가한 프레임을 응답으로서 채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스텝 S12의 처리가 실행된 경우, 또는, 스텝 S11의 처리에서 요청을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정되는 경우, 처리는 스텝 S13로 진행한다.
스텝 S13에서, 휴대 전자 키(2)는, 개별 요청을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상술한 도 10의 스텝 S6의 처리에서 ECU(11)로부터 개별 요청이 송신되어 온 경우, 휴대 전자 키(2)는, 그것을 수신함으로써, 스텝 S13에서 YES라고 판정하고, 스텝 S14에서, 응답을 UHF로 ECU(11)에 대해 송신한다.
이와 같이 하여 스텝 S14의 처리가 실행된 경우, 또는, 스텝 S13의 처리에서 개별 요청을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정되는 경우, 처리는 스텝 S11로 되돌아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이상의 도 10과 도 11의 처리 관계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면, 도 12와 도 13의 각각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된다. 즉, 도 12는, 상술한 도 2, 도 3, 및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 동작예를, 도 10과 도 11에 대응시킨 경우의 플로우 차트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도 13은 상술한 도 2, 도 3, 및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 동작예중의 도 9의 부분을, 도 10과 도 11에 대응시킨 경우의 플로우 차트를 도시하고 있다. 즉, 상술한 도 2, 도 3, 및 도 9의 동작예중의 도 2 및 도 3의 부분, 즉, 스텝 S7의 판정 처리의 직전까지의 처리예는 도 12에도 도시되어 있기 때문에, 도 13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또한, 도 12와 도 13의 설명은, 상술한 도 2, 도 3, 도 8, 및 도 9를 이용한 설명의 반복이 되기 때문에, 여기서는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데이터 충돌 검지 방식에서는, 다른 휴대 전자 키(2)의 응답과 혼합된 경우에 자신의 식별이 가능한 구성을 갖는 응답이 사용되기 때문에, ECU(11)의 통신권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휴대 전자 키(2)로부터의 각 응답에 의해 전파 충돌이 ECU(11)에서 발생해도, ECU(11)측에서, 그 발생의 검지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정상적인 인증 통신이 실현된다. 또한, 도 4의 구성과 같은 응답을 사용하면, ECU(11)측에서, 수신 충돌 검지 비트의 "1"의 배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복수의 휴대 전자 키(2)의 각각을 인식할 수 있게 되고, 보다 한층더 적절한 인증 통신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사전 조정 방식)
다음에,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사전 조정 방식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사전 조정 방식의 설명에서도, 상술한 데이터 충돌 검지 방식의 설명과 맞추기 위해, 휴대 전자 키(2-1 내지 2-N)중의 2대, 예를 들면 휴대 전자 키(2-1, 23)가 ECU(11)의 통신권 내에 존재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그들의 동작을 설명하여 간다. 단, 휴대 전자 키(2-1 내지 2-N)중의 임의의 2대 이상이 ECU(11)의 통신권 내에 존재하는 경우의 동작도, 기본적으로 이하의 동작과 마찬가지로 된다.
예를 들면, 도 2를 이용하여 상술한 ECU(11)의 동작, 즉, 요청(LF1)을 정기적으로 송신한다는 동작 자체는, 사전 조정 방식에서도 행하여진다고 한다.
단, 사전 조정 방식에서는, ECU(11)의 통신권 내에 존재하는 휴대 전자 키(2-1, 2-3)의 각각은, 요청(LF1)을 수신하면, 그 응답을 ECU(11)에 대해 되돌리기 전에, 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파 충돌의 원인이 되는 다른 휴대 전자 키(2)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LF/UHF3-1, 3-3)의 각각을 송신한다. 또한, 이하, 전파 충돌의 원인이 되는 다른 휴대 전자 키(2)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를, 타(他)전자 키 존재 유무 확인정보라고 칭한다. 또한, 그것을 생략하여 단지 확인정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휴대 전자 키(2-1, 2-3)의 각각은, 자신이 송신한 확인정 보(LF/UHF3-1, LF/UHF3-3)의 수신을 시도한다.
또한, 도 14에서, 확인정보의 부호를 LF/UHF3-1, LF/UHF3-3으로 기술하고 있는 것은, 확인정보의 공간중의 전송 형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한 예로서, LF를 채용할 수도 있고, UHF를 채용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확인정보를 LF로 송신한 경우에는, 휴대 전자 키(2)는, LF 송수신 회로(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 20의 LF용 송신 회로(72)나 LF용 수신 회로(74))를 탑재할 필요가 있다. 단, 확인정보의 수신용의 LF 수신 회로는, ECU(11)로부터의 요청(LF1)의 수신용의 LF 수신 회로와 병용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확인정보를 UHF로 송신하는 경우에는, 휴대 전자 키(2)는, ECU(11)로부터의 요청(LF1)의 수신용의 LF 수신 회로(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 20의 LF용 수신 회로(74))와는 별도로, 확인정보의 수신용의 UHF 수신 회로(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 20의 UHF용 수신 회로(78))를 새롭게 탑재할 필요가 있다. 단, 이 경우, ECU(11)에 의해 도어의 언로크 처리 등이 실행되기까지의 응답 시간이, 확인정보를 LF로 송신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단축할 수 있다는 효과를 이루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확인정보의 송신용의 UHF 송신 회로는, ECU(11)에 대한 응답(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 15의 응답(UHF4-1, UHF4-3))의 송신용의 UHF 송신 회로(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 20의 UHF용 송신 회로(76))와 병용할 수도 있다.
그런데, 도시는 하지 않지만, 가령 1대의 휴대 전자 키(2) 밖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 휴대 전자 키(2)는, 자신이 송신한 확인정보만을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 그 휴대 전자 키(2)는, 다른 휴대 전자 키(2)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인정하고, ECU(11)에 대해 응답으로서의 UHF를 곧바로 송신한다.
이에 대해, 도 14의 예에서는, 휴대 전자 키(2-1)에서는, 자신이 송신한 확인정보(LF/UHF3-1)뿐만 아니라, 다른 휴대 전자 키(2-3)가 송신한 확인정보(LF/UHF3-3)도 수신되게 된다. 즉, 확인정보(LF/UHF3-1, LF/UHF3-3)에 의한 전파 충돌이 발생하게 된다. 도시는 하지 않지만, 또다른 휴대 전자 키(2)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전파 충돌이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휴대 전자 키(2-1)는, 자신이 송신한 확인정보(LF/UHF3-1) 이외에, 또다른 휴대 전자 키(2)가 송신한 확인정보(도 14의 예에서는 확인정보(LF/UHF3-3))도 수신한 경우, 다른 휴대 전자 키(2)가 존재한다고 인정한다. 그리고, 자신이 송신한 확인정보(LF/UHF3-1) 이외에, 또다른 휴대 전자 키(2)가 송신한 확인정보도 수신한 경우란, 자신 이외의 확인정보를 실제로 수신한 경우 외에, 자신이 송신한 확인정보(LF/UHF3-1)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었던 경우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휴대 전자 키(2-3)에서는, 자신이 송신한 확인정보(LF/UHF3-3)뿐만 아니라, 다른 휴대 전자 키(2-1)가 송신한 확인정보(LF/UHF3-1)도 수신되게 된다. 즉, 확인정보(LF/UHF3-3, LF/UHF3-1)에 의한 전파 충돌이 발생하게 된다. 도시는 하지 않지만, 또다른 휴대 전자 키(2)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전파 충돌이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휴대 전자 키(2-3)는, 자신이 송신한 확인정보(LF/UHF3-3) 이외에, 또다른 휴대 전자 키(2)가 송신한 확인정보(도 14의 예에서는 확인정보(LF/UHF3-1))도 수신한 경우, 다른 휴대 전자 키(2)가 존재한다고 인정 한다. 그리고, 자신이 송신한 확인정보(LF/UHF3-3) 이외에, 또다른 휴대 전자 키(2)가 송신한 확인정보도 수신한 경우란, 자신 이외의 확인정보를 실제로 수신한 경우 외에, 자신이 송신한 확인정보(LF/UHF3-3)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었던 경우도 포함한다.
이와 같이 하여, 휴대 전자 키(2-1, 2-3)의 각각은, 양자의 확인정보(LF/UHF3-3, 3-1)를 각각 수신하는 것(자신으로부터의 확인정보(LF/UHF3-1, 3-3)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었던 것도 포함한다)으로 되기 때문에, 그것으로 부터, 복수의 휴대 전자 키(2)의 존재를 각각 인정할 수 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다른 휴대 전자 키(2)로부터의 확인정보의 수신의 유무(자신으로부터의 확인정보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었는지의 여부도 포함한다)만으로, 복수의 휴대 전자 키(2)의 존재를 인정할 수 있는 점이다. 이 점에 의해, 확인정보 자체는, 특별한 프레임을 이용할 필요는 없어지고, 임의의 프레임, 예를 들면 통상의 응답용의 프레임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는, 도 6, 도 7에서 설명한 수신 충돌 검지 프레임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서도, 복수의 휴대 전자 키(2)의 존재를 인정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어느 휴대 전자 키(2)인지도 특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여, 휴대 전자 키(2-1, 2-3)의 각각은, 복수의 휴대 전자 키(2)의 존재를 각각 인정하면, ECU(11)에 대한 응답을 곧바로 되돌리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응답(UHF4-1, UHF4-3)의 각각을, 응답 시간을 각각 비켜 놓은 다음 ECU(11)에 대해 송신한다.
이 경우의 응답 시간을 비켜 놓는 수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각 휴대 전자 키(2)는, 각각 난수를 발생시키고, 각 난수에 의거하여 응답의 응답 지연 시간을 각각 결정하고, 각 응답 지연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응답을 각각 송신한다는 수법이 채용되어 있다고 한다. 단, 응답 지연 시간의 최대 시간은, 휴대 전자 키(2)의 총수(N)에 따라 미리 결정되어 있고, 발생되는 난수의 최대치도, 그 응답 지연 시간의 최대 시간에 따라 미리 결정되어 있다고 한다.
또는, 미리 응답 지연 시간을 각 휴대 전자 키(2)에 설정하고 있어서도 좋다. 또한, 이 설정의 시기는 임의이고, 예를 들면 제조 메이커의 출하 단계에서 설정하여도 좋다. 또한, 그 설정 수법도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오너용의 휴대 전자 키(2)는 최우선으로 하고, 응답 지연 시간을 최소로 설정하여 두고, 스페어의 휴대 전자 키(2)는 2번째의 우선 순위와 같이 설정한다는 수법도 채용 가능하다. 이 설정 내용은, 휴대 전자 키(2)의 제어 회로 내의 메모리 등에 기록하여 둠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그 응답을 구성하는 프레임의 소정의 영역에는, 복수의 휴대 전자 키(2)의 존재를 나타내는 정보(이하, 복수 존재 정보라고 칭한다)가 기술된다고 한다. 이로써, ECU(11)측에서도, 그 소정의 영역을 확인함으로써, 그 통신 범위 내에 휴대 전자 키(2)가 복수대 존재한 것인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ECU(11)는, 휴대 전자 키(2)의 총수(N)에 따른 대기 시간을 마련하고, 예를 들면 상술한 응답 지연 시간의 최대 시간에 대응하는 대기 시간을 마련하고, 복수의 휴대 전자 키(2)로부터의 응답을 각각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ECU(11)는, 최초의 응답을 수신한 때, 인증은 성공하였다고 하여, 도어의 언로크 처리 등을 실행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사전 조정 방식을 채용한 차량 도난 방지 시스템이 언로크 처리 등이 실행되기까지의 일련의 처리는, 예를 들면 도 16과 도 17에 도시되는 플로우 차트에 따라 실행된다. 즉, 도 16은 ECU(11)측의 처리예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고, 도 17은 1대의 휴대 전자 키(2)의 처리예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6의 스텝 S21에서, ECU(11)는, 요청을 LF로 송신한다.
스텝 S22에서, ECU(11)는, 응답으로서의 UHF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2에서, 응답으로서의 UHF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 ECU(11)는, 스텝 S23에서, 대기 시간을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3에서, 대기 시간을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2로 되돌아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즉, 대기 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동안, 응답으로서의 UHF가 송신되어 오지 않는 한, 스텝 S22와 S23의 루프 처리가 반복된다. 그리고, 대기 시간이 경과하면, 스텝 S23에서 YES라고 판정되고, 처리는 스텝 S21로 되돌아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이에 대해, 대기 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동안에, 응답으로서의 UHF가 송신되어 와서(후술하는 도 17의 스텝 S36 참조), ECU(11)에 수신되면, 스텝 S22에서 YES라고 판정되고, 인증이 성공하였다고 하여, 처리는 스텝 S24로 진행한다. 그리고, 스텝 S24에서, ECU(11)는, 도어의 언로크 처리 등을 실행한다. 이로써, ECU(11)측의 처리는 종료로 된다.
이와 같은 ECU(11)측의 처리에 대한 휴대 전자 키(2)측의 처리예는, 도 17의 플로우 차트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된다.
즉, 스텝 S31에서, 휴대 전자 키(2)는, 요청을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31에서, 요청을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31로 되돌아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즉, ECU(11)로부터 요청이 송신하여 오기까지의 동안, 스텝 S31의 판정 처리가 반복된다.
상술한 도 16의 스텝 S21의 처리에서 ECU(11)로부터 요청이 송신되어 온 경우, 휴대 전자 키(2)는, 그것을 수신함으로써, 스텝 S31에서 YES라고 판정하고, 스텝 S32에서, 타(他) 휴대 전자 키 존재 유무 정보를 UHF/LF로 송신한다.
즉, 도 17의 예에서는, 타 휴대 전자 키 존재 유무 정보의 전송 형태는 UHF 또는 LF로 되어 있다. 단, 상술한 바와 같이, 타 휴대 전자 키 존재 유무 정보의 전송 형태는, 특히 UHF와 LF로 한정되지 않는다.
스텝 S33에서, 휴대 전자 키(2)는, UHF/LF 전파의 충돌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자신이 송신한 타 휴대 전자 키 존재 유무 정보만이 정상적으로 수신된 경우, 휴대 전자 키(2)는, 스텝 S33에서, UHF/LF 전파의 충돌은 없었다고 판정하고, 스텝 S36에서, 응답을 UHF로 ECU(11)에 대해 송신한다. 이로써, 휴대 전자 키(2)측의 처리는 종료로 된다.
이에 대해, 자신이 송신한 타 휴대 전자 키 존재 유무 정보뿐만 아니라, 다른 휴대 전자 키(2)로부터의 휴대 전자 키 존재 유무 정보가 수신된 경우(자신이 송신한 타 휴대 전자 키 존재 유무 정보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은 경우를 포함한다), 휴대 전자 키(2)는, 스텝 S33에서, UHF/LF 전파의 충돌이 있다고 판정하고, 스텝 S34에서, 난수를 발생시키고, 그 난수에 의거하여 응답 지연 시간을 결정한다.
그리고, 스텝 S35에서, 휴대 전자 키(2)는, 응답 지연 시간이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35에서, 응답 지연 시간이 아직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재차 스텝 S35로 되돌아온다. 즉, 응답 지연 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동안, 스텝 S35의 판정 처리가 반복된다.
그리고, 응답 지연 시간이 경과하면, 스텝 S35에서 YES라고 판정되고, 처리는 스텝 S36으로 진행한다. 스텝 S36에서, 휴대 전자 키(2)는, 응답을 UHF로 ECU(11)에 대해 송신한다. 이로써, 휴대 전자 키(2)측의 처리는 종료로 된다.
이상의 도 16과 도 17의 처리 관계의 구체적인 예를 도시하면, 도 1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된다. 즉, 도 18은, 상술한 도 2, 도 14, 및 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한 동작예를, 도 16과 도 17에 대응시킨 경우의 플로우 차트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8의 설명은, 상술한 도 2, 도 14, 및, 도 15를 이용한 설명의 반 복이 되기 때문에, 여기서는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사전 조정 방식에서는, ECU(11)의 통신권 내에 복수의 휴대 전자 키(2)가 존재하여도, 복수의 휴대 전자 키(2)는, 타 휴대 전자 키 존재 유무 정보를 각각 송신함으로써, 다른 휴대 전자 키(2)가 존재하는 것을 인식할 수 있고, 또한, 그들의 인식을 하였을 때에는, 각 응답의 송신 타이밍을 비켜 놓도록 하였기 때문에, 전파 충돌 자체가 ECU(11)에서 발생하지 않게 되고, 그 결과, 정상적인 인증 통신이 실현된다.
그런데, 상술한 일련의 처리(또는 그 중의 일부분의 처리), 예를 들면 상술한 도 10, 도 11, 도 15, 도 16의 플로우 차트중의 적어도 일부에 따른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그 일련의 처리(또는 그 중의 일부분의 처리)를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ECU(11)와 휴대 전자 키(2)의 각각은, 예를 들면 도 19, 20의 각각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19, 20의 각각은, ECU(11)와 휴대 전자 키(2)의 각각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9의 예에서는, ECU(11)는, LF용 송신 회로(51), UHF용 수신 회로(53), 제어 회로(55), 및 전원 회로(59)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ECU(11)의 제어 회로(55)에는, 도어 노브 센서(56)와 엔진 시동 허가 스위치(57)(이하, 도 19의 기재에 맞추어, 엔진 시동 허가 SW(57)라고 칭한다)가 접속되어 있다.
도어 노브 센서(56)는, 차량의 도어 노브를 조작하기 위해 이 도어 노브 또 는 그 부근에 접근 또는 접촉한 유저의 신체(예를 들면 손이나 손가락)를 검출하는 예를 들면 근접 스위치이다. 또한, 엔진 시동 허가 SW(57)는, 차량의 엔진을 시동 조작하기 위해, 예를 들면 운전석에 착좌한 유저의 신체(예를 들면 팔이나 다리)를 검출하는 예를 들면 근접 스위치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이들의 도어 노브 센서(56)나 엔진 시동 허가 SW(57)가, 상술한 도어의 언로크 처리 등을 실행하기 위한 트리거를 형성한다. 즉, 도어 노브 센서(56)나 엔진 시동 허가 SW(57)의 검출 신호(출력 신호)가, 상술한 도 10의 스텝 S10이나 도 16의 스텝 S24의 처리 시작의 트리거가 된다.
여기서, 도어 노브 센서(56) 대신에, 또는 도어 노브 센서(56)에 더하여, 다른 센서(예를 들면, 도어 노브 작동 센서)를 마련하여도 좋다. 도어 노브 작동 센서는, 도어 노브가 당겨지면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어떠한 센서이다. 또한, 엔진 시동 허가 SW(57)로서는, 운전석의 운전 조작(엔진의 시동 조작 포함)을 행하기 위한 조작구류(操作具類)가 배치된 각 처에, 운전자의 팔이나 다리를 검출하기 위한 근접 센서를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도어의 언로크 처리 등을 실행하기 위한 트리거를 형성하기 위한 다른 검출 수단으로서, 차량에 이미 설치된 센서(예를 들면, 도어의 개폐를 검출하는 도어 개폐 센서)를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ECU(11)의 제어 회로(55)에는, LF용 송신 회로(51)가 접속되어 있다. 이 LF용 송신 회로(51)에는 또한, 안테나(52)가 접속되어 있다. 즉, LF용 송신 회로(51)는, 제어 회로(55)로부터 제공된 요청 등의 정보를, LF의 형태로 안테나(52)로부터 송신한다.
또한, ECU(11)의 제어 회로(55)에는, UHF용 수신 회로(53)가 접속되어 있다. 이 UHF용 수신 회로(53)에는 또한, 안테나(54)가 접속되어 있다. 즉, UHF용 수신 회로(53)는, 휴대 전자 키(2)로부터 UHF의 형태로 송신되어 오는 응답을, 안테나(54)를 통하여 수신하여 적당한 형태로 변환한 다음 제어 회로(55)에 제공한다.
또한, ECU(11)의 제어 회로(55)에는, 모터(58)가 접속되어 있다. 모터(58)는, 차량 도어의 자물쇠 장치의 구동원인 모터, 즉 도어 로크 액추에이터이다.
제어 회로(55)는, 도시는 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ECU(11) 전체의 제어나 필요한 정보 처리를 행하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도시하지 않은 기억부는, 예를 들면 기록소거 가능한 불휘발성의 메모리,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으로 이루어진다.
이 제어 회로(55)가, 상술한 도 10이나 도 16의 플로우 차트에 따른 처리를 주로 실행한다. 또한, 이들의 처리중의 도 10의 스텝 S10이나 도 16의 스텝 S24의 처리, 즉, 도어의 언로크 처리 등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처리가 된다. 즉, 예를 들면 도어 노브 센서(56)의 검출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 회로(55)는, 안테나(52)로부터 요청(LF1)을 송신한다. 그리고 휴대 전자 키(2)로부터의 응답(UHF)을 수신할 수 있었던 경우에는, 모터(58)를 구동하여 도어의 해정을 행한다. 또한 예를 들면, 엔진 시동 허가 SW(57)의 검출 신호가 입력되면, 안테나(52)로부터 요청(LF1)을 송신한다. 그리고 휴대 전자 키로부터의 응답(UHF)을 수신할 수 있었던 경우에는, 제어 회로(55)는, 엔진 시동 허가를 출력한다.
전원 회로(59)는,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도시 생략)를 입력 전원으로 하여, 필요한 전압 변환이나 전압의 안정화 처리 등을 행하는 회로를 갖는 것이고, ECU(11)의 전력 소비 요소에 기본적으로 항상 전원 공급을 행하고 있다. 여기에, 전력 소비 요소란, 도 19의 예에서는, LF용 송신 회로(51), UHF용 수신 회로(53), 및 제어 회로(55)인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도 19의 예의 ECU(11)에 대해, 도 20의 예의 휴대 전자 키(2)는, 안테나(71) 내지 전지(8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LF용 송신 회로(72)는, 제어 회로(79)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LF의 형태로 안테나(71)로부터 송신한다. 여기서, 제어 회로(79)로부터 제공된 정보란, 사전 조정 방식에서 이용되는 확인정보(타전자 키 존재 유무 확인정보)를 말한다. 즉, 데이터 충돌 검지 방식이 채용되어 있는 경우, 또는, 사전 조정 방식이 채용되어 있지만 확인정보는 UHF로 송신되는 경우에는, 안테나(71)와 LF용 송신 회로(72)는 생략 가능하다.
LF용 수신 회로(74)는, 안테나(73)에 수신된 LF를, 적당한 형태의 정보로 변환하고 제어 회로(79)에 제공한다. 여기서, 안테나(73)에 LF의 형태로 수신되는 정보란, ECU(11)로부터의 요청, 또는, 사전 조정 방식이 채용되어 있는 경우에 휴대 전자 키(2) 자신이나 다른 휴대 전자 키(2)로부터 LF의 형태로 송신된 확인정보를 말한다.
UHF용 송신 회로(76)는, 제어 회로(79)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UHF의 형태로 안테나(75)로부터 송신한다. 여기서, 제어 회로(79)로부터 제공된 정보란, ECU(11)에 대한 응답, 또는, 사전 조정 방식에서 이용되는 확인정보를 말한다.
UHF용 수신 회로(78)는, 안테나(77)에 수신된 UHF를, 적당한 형태의 정보로 변환하여 제어 회로(79)에 제공한다. 여기서, 안테나(73)에 UHF의 형태로 수신되는 정보란, 사전 조정 방식이 채용되어 있는 경우에 휴대 전자 키(2) 자신이나 다른 휴대 전자 키(2)로부터 UHF의 형태로 송신된 확인정보를 말한다. 즉, 데이터 충돌 검지 방식이 채용되어 있는 경우, 또는, 사전 조정 방식이 채용되어 있지만 확인정보는 LF로 송신되는 경우에는, 안테나(77)와 UHF용 수신 회로(78)는 생략 가능하다.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데이터 충돌 검지 방식이 채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안테나(73) 및 LF용 수신 회로(74), 및, 안테나(75) 및 UHF용 송신 회로(76)를 포함하면 족하다. 즉, 이 경우, 안테나(71) 및 LF용 송신 회로(72), 및, 안테나(77) 및 UHF용 수신 회로(78)는 생략 가능하다.
또한, 사전 조정 방식이 채용되고, 확인정보가 LF로 송신되는 경우에는, 안테나(71) 및 LF용 송신 회로(72), 안테나(73) 및 LF용 수신 회로(74), 및, 안테나(75) 및 UHF용 송신 회로(76)를 포함하면 족하다. 즉, 이 경우, 안테나(77) 및 UHF용 수신 회로(78)는 생략 가능하다.
이에 대해, 사전 조정 방식이 채용되고, 확인정보가 UHF로 송신되는 경우에는, 안테나(73) 및 LF용 수신 회로(74), 안테나(75) 및 UHF용 송신 회로(76), 및 안테나(77) 및 UHF용 수신 회로(78)를 포함하면 족하다. 즉, 이 경우, 안테나(71) 및 LF용 송신 회로(72)는 생략 가능하다.
제어 회로(79)는, 도시는 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휴대 전자 키(2) 전체의 제어나 필요한 정보 처리를 행하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도시하지 않은 기억부는, 예를 들면 기록소거 가능한 불휘발성의 메모리,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EEPROM으로 이루어진다. 이 제어 회로(79)가, 상술한 도 11이나 도 17의 플로우 차트에 따른 처리를 주로 실행한다.
전지(80)는, 휴대 전자 키(2)의 전력 소비 요소에 기본적으로 항상 전원 공급을 행하고 있다. 여기서, 전력 소비 요소란, 도 20의 예에서는, LF용 송신 회로(72), LF용 수신 회로(74), UHF용 송신 회로(76), UHF용 수신 회로(78), 및 제어 회로(79)인 것을 말한다.
이상, 상술한 일련의 처리(또는 그 중의 일부분의 처리)를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의 한 실시의 형태에 관해 설명하였다.
한편, 상술한 일련의 처리(또는 그 중의 일부분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ECU(11) 또는 그 일부분, 휴대 전자 키(2) 또는 그 일부분은, 예를 들면, 도 2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컴퓨터로 구성할 수 있다.
도 21에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101)는, ROM(Read Only Memory)(102)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또는 기억부(108)로부터 RAM(Random Access Memory)(103)에 로드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의 처리를 실행한다. RAM(103)에는 또한, CPU(101)가 각종의 처리를 실행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 등도 적절히 기억된다.
CPU(101), ROM(102), 및 RAM(103)은, 버스(104)를 통하여 상호 접속되어 있다. 이 버스(104)에는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105)도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05)에는,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입력부(106), 디스플레이 등으로 이루어지는 출력부(107), 하드 디스크 등으로 구성되는 기억부(108), 및, 모뎀, 터미널 어댑터 등으로 구성되는 통신부(109)가 접속되어 있다. 통신부(109)는,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장치와의 통신 처리를 행한다. 또한, 통신부(109)는, 도시하지 않은 안테나를 통하여 ECU(11)와 휴대 전자 키(2) 사이의 송수신 처리도 행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05)에는 또한, 필요에 따라 드라이브(110)가 접속되고,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리무버블 미디어(111)가 적절히 장착되고, 그들로부터 판독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필요에 따라 기억부(108)에 인스톨된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전용의 하드웨어에 조립되어 있는 컴퓨터, 또는, 각종의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의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예를 들면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 등에, 네트워크나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는, 도 2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와는 별도로, 유저에게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배포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자기 디스크(플로피 디스크를 포함한다), 광디스크(CD-ROM(Compact Disk-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k)를 포함한다), 광자기 디스 크(MD(Mini-Disk)를 포함한다),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리무버블 미디어(패키지 미디어)(111)에 의해 구성될 뿐만 아니라, 장치 본체에 미리 조립된 상태로 유저에게 제공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ROM(102)이나, 기억부(108)에 포함되는 하드 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을 기술(記述)하는 스텝은, 그 순서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행하여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더라도, 병렬적 또는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은, 상술한 차량 도난 방지 시스템뿐만 아니라, 복수의 휴대 무선 통신 장치중의 소정의 1대가 고정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인증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라면 족하다. 또한, 여기에, 시스템이란, 복수의 처리 장치나 처리부에 의해 구성되는 장치 전체를 나타내는 것이다.
예를 들면, 고정 무선 통신 장치는, 상술한 예에서는 ECU(11)로서 차량(1)(사륜차나 이륜차)에 탑재되었지만, 그 밖에 예를 들면, 소형 비행기 등의 탑승물, 기계, 기기, 건축물 또는 설비 등에 탑재 가능하다. 또한, 인증 후의 동작은, 상술한 예에서는 도어의 언로크 처리 등이 채용되었지만, 그 밖에 예를 들면, 도어 이외의 트렁크나 도난 방지 장치 등의 개정(開錠) 또는 시정, 또는 엔진 이외의 탑재물의 가동 또는 그 가동 허가 등의 각종 동작을 채용할 수 있다. 여기에, 엔진 이외의 탑재물로서는, 예를 들면, 모터 등의 구동원, 트랜스미션 등의 구동 기구, 에어컨, 오디오, 내비게이션 시스템, 조명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휴대 무선 통신 장치중의 소정의 1대가 고정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인증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휴대 무선 통신 장치가 고정 무선 통신 장치의 통신권 내에 존재하여도, 정상적인 인증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최초의 인증 통신에서는 어느 휴대 전자 키와의 통신을 우선하는지는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통신권 내에 휴대 전자 키가 1대밖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최초의 통신으로 인증을 할 수 있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즉, 인증을 위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과 함께 정상적으로 인증 통신을 할 수 있다.

Claims (8)

  1. 복수의 휴대 무선 통신 장치중 통신 대상으로 정해질 수 있는 어느 1대가 고정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인증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정 무선 통신 장치는, 인증을 행하기 위한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복수의 휴대 무선 통신 장치중의 상기 요청을 수신한 1대 이상의 휴대 무선 통신 장치의 각각은,
    상기 요청을 수신한 다른 휴대 무선 통신 장치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요청을 수신한 1대 이상의 휴대 무선 통신 장치 각각이 송신한 상기 확인정보만을 수신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상기 고정 무선 통신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요청을 수신한 1대 이상의 휴대 무선 통신 장치 각각이 송신한 상기 확인정보뿐만 아니라, 다른 휴대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의 확인정보도 수신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소정의 설정 수법에 의거하여 응답 지연 시간을 설정하고, 그 응답 지연 시간이 경과한 때에,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상기 고정 무선 통신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고정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요청을 수신한 1대 이상의 상기 휴대 무선 통신 장치중의 적어도 1대로부터의 상기 응답을 수신한 경우, 그 응답을 송신한 휴대 무선 통신 장치의 인증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 복수의 휴대 무선 통신 장치중 통신 대상으로 정해질 수 있는 어느 1대가 고정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인증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정 무선 통신 장치는, 인증을 행하기 위한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복수의 휴대 무선 통신 장치중의 상기 요청을 수신한 1대 이상의 휴대 무선 통신 장치의 각각은,
    상기 요청을 수신한 다른 휴대 무선 통신 장치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요청을 수신한 1대 이상의 휴대 무선 통신 장치 각각이 송신한 상기 확인정보만을 수신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상기 고정 무선 통신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요청을 수신한 1대 이상의 휴대 무선 통신 장치 각각이 송신한 상기 확인정보뿐만 아니라, 다른 휴대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의 확인정보도 수신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소정의 설정 수법에 의거하여 응답 지연 시간을 설정하고, 그 응답 지연 시간이 경과한 때에,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상기 고정 무선 통신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고정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요청을 수신한 1대 이상의 상기 휴대 무선 통신 장치중의 적어도 1대로부터의 상기 응답을 수신한 경우, 그 응답을 송신한 휴대 무선 통신 장치의 인증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 고정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인증된 N대(N은 2 이상의 정수치)의 휴대 무선 통신 장치중 통신 대상으로 정해질 수 있는 어느 1대에 있어서,
    상기 고정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인증을 행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제 1의 수신 수단과,
    상기 제 1의 수신 수단에 수신된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생성하는 제 1의 생성 수단과,
    상기 제 1의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응답을 상기 고정 무선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제 1의 송신 수단과,
    상기 제 1의 수신 수단에 상기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요청을 수신한 다른 휴대 무선 통신 장치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정보를 생성하는 제 2의 생성 수단과,
    상기 제 2의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확인정보를 송신하는 제 2의 송신 수단과,
    상기 확인정보를 수신하는 제 2의 수신 수단과,
    상기 제 2의 송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확인정보만이 상기 제 2의 수신 수단에 수신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 1의 송신 수단으로부터 상기 응답을 상기 고정 무선 통신 장치에 송신시키고, 상기 제 2의 송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확인정보뿐만 아니라, 다른 휴대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의 확인정보도 상기 제 2의 수신 수단에 수신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소정의 설정 수법에 의거하여 응답 지연 시간을 설정하고, 그 응답 지연 시간이 경과한 때에, 상기 제 1의 송신 수단으로부터 상기 응답을 상기 고정 무선 통신 장치에 송신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송신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무선 통신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제어 수단은,
    상기 제 2의 송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확인정보가 상기 제 2의 수신 수단에 정상적으로 수신된 경우, 상기 제 2의 송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확인정보만이 상기 제 2의 수신 수단에 수신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제 2의 송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확인 정보가 상기 제 2의 수신 수단에 비정상적으로 수신된 경우, 상기 제 2의 송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확인정보뿐만 아니라, 상기 다른 휴대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의 확인정보도 상기 제 2의 수신 수단에 수신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무선 통신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무선 통신 장치는, 차량에 탑재되어 있고, 상기 요청을 LF(Low Frequency)로 송신하고,
    복수의 상기 휴대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차량의 도어의 시정 해제와 엔진 시동 허가의 적어도 한쪽을 지시하기 위한 휴대 전자 키이고, 상기 응답을 UHF(Ultra High Frequency)로 송신하고,
    상기 제 2의 송신 수단은, 상기 LF용의 송신 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확인정보를 상기 LF로 송신하고,
    상기 제 2의 수신 수단과 상기 제 1의 수신 수단은, 단일의 상기 LF용의 수신 회로를 공용하여 구성되고, 상기 LF용의 수신 회로는, 상기 LF의 형태로 송신되어 오는 상기 확인정보 또는 상기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 1의 송신 수단은, 상기 UHF용의 송신 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응답을 상기 UHF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무선 통신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무선 통신 장치는, 차량에 탑재되어 있고, 상기 요청을 LF(Low Frequency)로 송신하고,
    복수의 상기 휴대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차량의 도어의 시정 해제와 엔진 시동 허가의 적어도 한쪽을 지시하기 위한 휴대 전자 키이고, 상기 응답을 UHF(Ultra High Frequency)로 송신하고,
    상기 제 1의 수신 수단은, 상기 LF용의 수신 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LF의 형태로 송신되어 오는 상기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 2의 송신 수단과 상기 제 1의 송신 수단은, 단일의 상기 UHF용의 송신 회로를 공용하여 구성되고, 상기 확인정보 또는 상기 응답을 상기 UHF로 송신하고,
    상기 제 2의 수신 수단은, 상기 UHF용의 수신 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UHF의 형태로 송신되어 오는 상기 확인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무선 통신 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생성 수단은, 상기 다른 휴대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의 확인정보도 상기 제 2의 수신 수단에 수신되었다고 상기 송신 제어 수단에 의해 판단된 경우, 다른 휴대 무선 통신 장치의 존재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 상기 응답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무선 통신 장치.
  8. 고정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인증되는 복수의 휴대 무선 통신 장치중 통신 대상으로 정해질 수 있는 어느 1대의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정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인증을 행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요청을 수신한 다른 휴대 무선 통신 장치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복수의 휴대 무선 통신 장치중 어느 1대가 송신한 상기 확인정보만을 수신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상기 고정 무선 통신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복수의 휴대 무선 통신 장치중 어느 1대가 송신한 상기 확인정보뿐만 아니라, 다른 휴대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의 확인정보도 수신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소정의 설정 수법에 의거하여 응답 지연 시간을 설정하고, 그 응답 지연 시간이 경과한 때에,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상기 고정 무선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KR20070020156A 2006-03-23 2007-02-28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방법, 및, 휴대 무선 통신 장치 및방법 KR1008899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81260 2006-03-23
JP2006081260A JP2007255075A (ja) 2006-03-23 2006-03-23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並びに、携帯無線通信装置および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6802A KR20070096802A (ko) 2007-10-02
KR100889917B1 true KR100889917B1 (ko) 2009-03-24

Family

ID=38512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20156A KR100889917B1 (ko) 2006-03-23 2007-02-28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방법, 및, 휴대 무선 통신 장치 및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224967A1 (ko)
EP (1) EP1853049A1 (ko)
JP (1) JP2007255075A (ko)
KR (1) KR100889917B1 (ko)
CN (1) CN10104375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64798B2 (ja) * 2008-11-06 2013-03-21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車両認証制御装置
US8542092B2 (en) * 2009-01-29 2013-09-24 Trw Automotive U.S. Llc Keyless-go ignition switch with fault backup
JP5288473B2 (ja) * 2009-03-13 2013-09-11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および方法、並びに、携帯機および通信方法
JP5173927B2 (ja) * 2009-05-13 2013-04-0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電子キーの通信可否設定システム及び通信可否設定方法
JP5438048B2 (ja) * 2011-02-25 2014-03-1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電子キーシステム
DE102011116131A1 (de) * 2011-07-23 2013-01-2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Bedienung eines mobilen Gerätes mittels eines Kraftfahrzeugs
JP6212973B2 (ja) * 2013-06-19 2017-10-18 株式会社デンソー 携帯機探索装置、携帯機探索方法、携帯機探索プログラム
US20150100783A1 (en) * 2013-10-07 2015-04-0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secure communication between wireless electronic devices and vehicles
KR101479037B1 (ko) * 2014-01-29 2015-01-05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스마트키 시스템 및 그 스마트키 검색 방법
TWI605965B (zh) * 2015-04-10 2017-11-2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車輛智慧鑰匙控制系統及車輛智慧鑰匙控制方法
KR101736100B1 (ko) 2015-11-10 2017-05-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GB2546340A (en) * 2016-01-18 2017-07-19 Isis Innovation Improving security protocols
CN105946795B (zh) * 2016-05-05 2019-02-01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车钥匙学习方法和系统
CN108629857B (zh) * 2017-03-24 2021-04-27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闸杆的方法和系统
WO2018220987A1 (ja) * 2017-06-02 2018-12-06 株式会社デンソー 受信範囲可変システム、車両制御装置および携帯機
JP6855951B2 (ja) * 2017-06-15 2021-04-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制御装置
JP6919380B2 (ja) * 2017-07-13 2021-08-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認証装置及び認証方法
CN108171848A (zh) * 2018-01-08 2018-06-15 上海博泰悦臻网络技术服务有限公司 汽车钥匙的管控方法、系统及车载控制设备
JP2019167696A (ja) * 2018-03-22 2019-10-0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キー認証システム
CN112839040B (zh) * 2018-12-26 2023-08-04 上海银基信息安全技术股份有限公司 身份认证方法、装置和介质
CN111762126A (zh) * 2019-03-30 2020-10-13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智能钥匙管理方法及车辆控制单元
CN112109661A (zh) * 2020-03-26 2020-12-22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无钥匙控制方法、汽车及存储介质
JP7192005B2 (ja) * 2021-03-08 2022-12-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及び車両制御方法
CN113034746A (zh) * 2021-03-17 2021-06-25 陕西天行健车联网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卡车远程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13183918B (zh) * 2021-05-28 2022-08-30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Lora通信的PEPS控制系统及方法
CN113895395A (zh) * 2021-10-13 2022-01-07 东南(福建)汽车工业有限公司 基于蓝牙钥匙功能的合法钥匙扫描方法
CN114863589A (zh) * 2022-04-14 2022-08-05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多钥匙认证管理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CN117711099A (zh) * 2023-12-15 2024-03-15 小米汽车科技有限公司 Nfc车钥匙的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车辆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6886A (ja) 1996-08-06 1998-02-17 Tokai Rika Co Ltd 車両用負荷制御装置
KR20020087329A (ko) * 2001-05-15 2002-11-22 구홍식 다기능 전자 키 및 그를 이용한 제어 장치와 그 제어 방법
KR20030046276A (ko) * 2001-12-05 2003-06-12 구홍식 인증 용 전자 키 및 그를 이용한 제어 장치와 도어 개폐방법
US20050264399A1 (en) 2004-05-28 2005-12-01 Denso Corporation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0716B2 (ja) * 1991-01-04 2000-10-23 シーエスアイアール 識別装置
DE4440855C2 (de) * 1994-11-15 2000-04-06 Simons & Vos Identifikationssy Kontrollsystem
US6967937B1 (en) * 1999-12-17 2005-11-22 Cingular Wireless Ii, Llc Collision-free multiple access reservation scheme for multi-tone modulation links
US7246371B2 (en) * 2001-02-05 2007-07-17 Openwave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filtering unavailable devices in a presence and availability management system
US20020129103A1 (en) * 2001-03-12 2002-09-12 Birkler J?Ouml;Rgen Instant messaging presence service protocol
DE10255880A1 (de) * 2002-11-29 2004-06-09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Elektronisches Kommunikationssystem und Verfahren zum Erkennen einer Relais-Attacke auf dasselbe
WO2004100051A1 (en) * 2003-05-08 2004-11-18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Method, system, base station and data carrier for clash-free signal transmission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number of mobile data carriers
JP3980527B2 (ja) * 2003-07-18 2007-09-26 株式会社沖データ 定着器及び画像形成装置
US20060056350A1 (en) * 2004-09-16 2006-03-16 Love Robert T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communication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US7334726B2 (en) * 2005-05-06 2008-02-26 Alps Electric Co., Ltd.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6886A (ja) 1996-08-06 1998-02-17 Tokai Rika Co Ltd 車両用負荷制御装置
KR20020087329A (ko) * 2001-05-15 2002-11-22 구홍식 다기능 전자 키 및 그를 이용한 제어 장치와 그 제어 방법
KR20030046276A (ko) * 2001-12-05 2003-06-12 구홍식 인증 용 전자 키 및 그를 이용한 제어 장치와 도어 개폐방법
US20050264399A1 (en) 2004-05-28 2005-12-01 Denso Corporation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43750A (zh) 2007-09-26
US20070224967A1 (en) 2007-09-27
EP1853049A1 (en) 2007-11-07
JP2007255075A (ja) 2007-10-04
KR20070096802A (ko) 2007-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91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방법, 및, 휴대 무선 통신 장치 및방법
JP4368882B2 (ja) パッシブ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
US8400285B2 (en) Key locator for electronic key system
JP2008190244A (ja) 電子キーシステム、電子キーシステム用の車載装置、および電子キーシステム用の携帯機
JP2007063800A (ja) 認証装置
JP2007063800A5 (ko)
JP2008208596A (ja) 車両用電子キー装置
JP2003239588A (ja) 車載機器通信制御装置
JP2008190173A (ja) 認証システム
KR101459967B1 (ko) 스마트키 제어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시스템
JP4435632B2 (ja) 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
JP2011094459A (ja) 車両制御システム
JP2018003437A (ja) 車両用認証システム
CN113784307A (zh) 控制装置以及控制方法
JP5249180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
JP200725381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固定無線通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携帯無線通信装置および方法
JP7300690B2 (ja) 車両用無線通信システム、車両用無線通信システムの車載器、車両用無線通信システムの携帯機
JP2008106577A (ja) パッシブ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
JP2008150835A (ja) キーレスシステム
JP2006249828A (ja) パッシブ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
JP2007332546A (ja) ドアロック機構の制御装置及びドアロック機構の制御方法
JP2012193500A (ja) 電子キー装置
JP6855951B2 (ja) 車両用制御装置
WO2015098480A1 (ja) 車載無線通信装置
JP6284503B2 (ja) 車載機器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