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9199B1 - 낚시용 양동이 - Google Patents

낚시용 양동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9199B1
KR100889199B1 KR1020020062342A KR20020062342A KR100889199B1 KR 100889199 B1 KR100889199 B1 KR 100889199B1 KR 1020020062342 A KR1020020062342 A KR 1020020062342A KR 20020062342 A KR20020062342 A KR 20020062342A KR 100889199 B1 KR100889199 B1 KR 100889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ntainer
fishing bucket
synthetic resin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2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1427A (ko
Inventor
야기히로시
Original Assignee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31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1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개구부 내측에 바닥부를 결합하여 절첩 상태를 보유 지지할 수 있는 낚시용 양동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용기 본체(1)는 유연성을 갖는 비투습성의 합성 수지 시트인 단부를 용착하여 주변부(1b)와 바닥부(1c)와 상방에 개구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개구에 따라서 경질(금속이나 합성 수지)의 프레임(4)이 설치되고, 주변부(1b)를 형성하는 합성 수지 시트는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프레임(4)에서 절첩되고, 단부가 용기 외측의 개구부(1a)에 고정 부착(봉착, 용착 등)되어 있다.
단부는 고정 부착부(1d)로부터 약간 젖혀져 용기 외측으로 돌출하여 돌출부(1e)로 하고, 개구단부는 프레임(4)에서 팽창되어 주변부(1b)의 두께에 대해 용기 내외로 돌출된 모서리 제거부(1f)가 형성되고, 바닥부(1c)는 그 주연이 주변부(1b)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모서리부(1g)를 갖고, 개구와 합치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 용기 본체, 주변부, 바닥부, 낚시

Description

낚시용 양동이 {FISHING BUCKET}
도1은 제1 실시예로, 낚시용 양동이의 사시도.
도2는 상기 낚시용 양동이의 단면 정면도와 일부 확대 단면 정면도.
도3은 상기 낚시용 양동이가 절첩되는 과정의 사시도.
도4는 상기 낚시용 양동이가 절첩되어 바닥부가 개구 내측에 끼워 넣어진 개구측의 사시도.
도5는 상기 낚시용 양동이가 절첩되어 바닥부가 개구 내측에 끼워 넣어진 단면 측면도.
도6은 상기 낚시용 양동이가 절첩되어 바닥부가 개구 내측에 끼워 넣어진 바닥부측의 사시도.
도7은 제2 실시예로, 낚시용 양동이의 사시도.
도8은 상기 낚시용 양동이의 단면 정면도와 일부 확대 단면 정면도.
도9는 상기 낚시용 양동이가 절첩되어 바닥부가 개구 내측에 끼워 넣어진 단면 측면도.
도10은 제3 실시예로, 낚시용 양동이의 사시도와 일부 확대 사시도.
도11은 상기 낚시용 양동이가 절첩되어 바닥부가 개구 내측에 끼워 넣어진 단면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용기 본체
1b : 주변부
1c, 1i : 바닥부
4 : 프레임
본 발명은 용기 본체의 절첩 상태를 보유 지지할 수 있는 낚시용 양동이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살포 먹이통, 물긷기용 양동이, 산 미끼나 낚인 물고기의 용기로서 유연성을 갖는 비투습성의 합성 수지 시트로 형성된 낚시용 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의 용기는 펼쳐진 경우에 이를 형성하는 합성 수지 시트의 탄성으로 측벽이 상승한 상태를 유지하고, 자립성을 갖고 있다.
이들의 용기를 운반할 때는 측벽을 찌부러뜨리도록 하여 절첩할 수 있지만, 용기를 형성하는 합성 수지 시트의 탄성으로 펴지기 쉬우므로, 찌부러진 상태를 보유 지지할 수 없어 수납성 좋게 절첩할 수 없었다.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은, 종래의 낚시용 양동이는 용기를 형성하는 합성 수지 시트의 탄성으로 펴지기 쉬우므로, 수납성 좋게 절첩할 수 없는 점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결점에 비추어 개구부 내측에 바닥부를 결합하여 절첩 상태를 보유 지지할 수 있는 낚시용 양동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관계되는 본 발명은, 상방에 개구부를 제공하는 유연성을 갖는 합성 수지제인 용기 본체의 개구부의 양측에 손잡이를 설치할 지지부를 고정하고, 용기 본체의 주변부를 찌부러뜨려 개구부의 내측과 외측을 반전시켜 바닥부를 하측으로부터 개구부에 끼워 맞춤 가능하게 하고, 이 끼워 맞춤시에 바닥부는 지지부에 결합하는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2에 관계되는 본 발명은, 지지부의 측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바닥부는 돌출부에 결합하는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3에 관계되는 본 발명은, 개구부는 프레임을 갖는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해, 용기 본체(1, 1')의 개구부(1a)에 바닥부(1c)를 끼워 맞추기 때문에 절첩된 상태가 보유 지지되고, 용기 본체(1, 1')가 펼쳐지지 않도록 절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도1 내지 도6은 제1 실시예로, 도1은 낚시용 양동이의 사시도, 도2는 낚시용 양동이의 단면 정면도와 일부 확대 단면 정면도, 도3은 낚시용 양동이가 절첩되는 과정의 사시도, 도4는 낚 시용 양동이가 절첩되어 바닥부가 개구 내측에 끼워 넣어진 개구측 사시도, 도5는 낚시용 양동이가 절첩되어 바닥부가 개구 내측에 끼워 넣어진 단면 측면도, 도6은 낚시용 양동이가 절첩되어 바닥부가 개구 내측에 끼워 넣어진 바닥부측의 사시도이다.
낚시용 양동이는 용기 본체(1) 상방의 개구부(1a) 양측부에 지지부(2, 2)가 고정되어 지지부(2, 2)에 손잡이(3)가 부착되어 있다.
용기 본체(1)는, 예를 들어 에틸렌 초산비닐,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등의 유연성을 갖는 비투습성의 합성 수지 시트의 단부를 용착하여 주변부(1b)와 바닥부(1c)와 상방에 개구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개구에 따라서 경질(금속이나 합성 수지)의 프레임(4)이 설치되고, 주변부(1b)를 형성하는 합성 수지 시트는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프레임(4)에 의해 되접히고, 단부가 용기 외측의 개구부(1a)에 고정 부착(봉착, 용착 등)되어 있다.
단부는 고정 부착부(1d)로부터 약간 젖혀져 용기 외측으로 돌출하여 돌출부(1e)로 하고, 개구단부는 프레임(4)에서 팽창되어 주변부(1b)의 두께에 대해 용기 내외로 돌출된 모서리 제거부(1f)가 형성되어 있다.
바닥부(1c)는 그 주연이 주변부(1b)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모서리부(1g)를 갖고, 환형의 개구와 합치하는 구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a)는 개구 모서리로부터 바닥부(1c)측으로 5 ㎝ 이내의 영역을 말하고, 바닥부(1c)는 접지부로부터 개구부측 5 ㎝까지의 영역을 말한다.
지지부(2)는 예를 들어, 에틸렌 초산비닐 등의 합성 수지제 시트로 형성되어 상단부(2a)는 용기 본체(1)의 개구 상부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단부(2a)에는 관통 구멍(2b)이 형성되고 손잡이(3)가 삽통되어 설치되어 있다.
용기 본체(1)를 절첩할 때는, 주변부(1b)를 찌부러뜨려 바닥부(1c)를 하방으로부터 개구에 중합하고, 도3 내지 도4와 같이 개구를 용기 내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반전시키면서 도5, 도6과 같이 개구 내에 바닥부(1c)를 끼워 맞춘다.
이 때, 바닥부(1c)는 개구부(1a)와 동일한 정도의 크기이고, 바닥부(1c)를 손으로 약간 변형시키면서 개구부(1a)를 향해 압박하면, 바닥부(1c)의 모서리부(1g)는 개구단부의 모서리 제거부(1f) 또는 개구부(1a)에서 돌출되는 돌출부(1e)에 결합되고, 또한 바닥부(1c)는 손을 놓아도 개구부(1a)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낚시용 양동이가 구성되면, 반전시킨 용기 내측에 바닥부(1c)를 끼워 맞추기 때문에 절첩된 상태가 보유 지지되고, 용기 본체(1)가 펼쳐지지 않도록 절첩할 수 있다.
도7 내지 도9는 제2 실시예로, 도7은 낚시용 양동이의 사시도, 도8은 낚시용 양동이의 단면 정면도와 일부 확대 단면 정면도, 도9는 낚시용 양동이가 절첩되어 바닥부가 개구 내측에 끼워 넣어진 단면 측면도이다.
제2 실시예에서는, 낚시용 양동이는 용기 본체(1')의 상방 개구부(1a)의 양측부에 지지부(2, 2)가 고정되고 지지부(2, 2)에 손잡이(3)가 부착되어 있다.
합성 수지로 일체로 형성한 용기 본체(1')로 이루어지고, 개구에 따라서 내 부가 중공으로 형성되어 용기 내외로 돌출되는 모서리 제거부(1h)를 갖고, 바닥부(1i)는 사각의 개구에 합치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주변부(1b)에 만곡형으로 연접되어 있다.
개구부(1a)는 개구 모서리로부터 바닥부(1i)측으로 5 ㎝ 이내의 영역을 말하고, 바닥부(1i)는 접지부로부터 개구부측 5 ㎝까지의 영역을 말한다.
용기 본체(1')를 절첩할 때는, 주변부(1b)를 찌부러뜨려 바닥부(1i)를 하방으로부터 개구에 포개고, 개구를 용기 내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반전시키면서 도9와 같이 개구 내에 바닥부(1i)를 끼워 맞춘다.
이 때, 주변부(1b)는 개구단부의 모서리 제거부(1h)에 결합되어 움푹 패이고, 개구부(1a)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닥부(1i)의 접지면이 개구부(1a)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지만, 개구부(1a)보다 상방으로 압박하여 반전한 개구부(1a) 내에 수납하여 끼워 맞추어도 좋다.
제2 실시예와 같이 낚시용 양동이가 구성되면, 반전시킨 용기 내측에 주변부(1b)를 끼워 맞추기 때문에 절첩된 상태가 보유 지지되고, 용기 본체(1')가 펼쳐지지 않도록 절첩할 수 있다.
도10, 도11은 제3 실시예로, 도10은 낚시용 양동이의 사시도와 일부 확대 사시도, 도11은 낚시용 양동이가 절첩되어 바닥부가 개구 내측에 끼워 넣어진 단면 측면도이다.
제3 실시예에서는, 낚시용 양동이는 용기 본체(1)의 상방 개구부(1a)의 양측 부에 지지부(2, 2)가 고정되고 지지부(2, 2)에 손잡이(3)가 부착되어 있다.
용기 본체(1)는, 예를 들어 에틸렌 초산비닐,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등의 유연성을 갖는 비투습성의 합성 수지 시트의 단부를 용착하여 주변부(1b)와 바닥부(1c)와 상방에 개구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개구에 따라서 경질(금속이나 합성 수지)의 프레임(4)이 설치되고, 주변부(1b)를 형성하는 합성 수지 시트는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프레임(4)에 의해 되접히게 되고, 단부가 용기 외측의 개구부(1a)에 고정 부착(봉착, 용착 등)되어 있다.
개구단부는 프레임(4)에서 팽창되어 주변부(1b)의 두께에 대해 용기 내외로 돌출된 모서리 제거부(1j)가 형성되어 있다.
바닥부(1c)는 그 주연이 주변부(1b)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모서리부(1g)를 갖고, 개구와 합치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2)는 예를 들어, 에틸렌 초산비닐 등의 합성 수지제 시트로 형성되어 상단부(2a)는 용기 본체(1)의 개구 상부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단부(2a)에는 관통 구멍(2b)이 형성되고 손잡이(3)가 삽통되어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2)의 측부에는 돌출부(2c)가 형성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1 실시예와 대략 동일하다.
용기 본체(1)를 절첩할 때는, 주변부(1b)를 찌부러뜨려 바닥부(1c)를 하방으로부터 개구에 중합하고, 개구를 용기 내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반전시키면서 도11과 같이 개구 내에 바닥부(1c)를 끼워 맞춘다.
이 때, 바닥부(1c)는 개구부(1a)와 동일한 정도 또는 약간 작게 형성되어 바닥부(1c)의 모서리부(1g)는 지지부(2)의 돌출부(2c)에 결합되고, 바닥부(1c)는 개구부(1a)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 바닥부(1c)를 지지부(2)의 주연부에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낚시용 양동이가 구성되면, 반전시킨 용기 내측 지지부(2)의 돌출부(2c)에 바닥부(1c)를 끼워 맞추기 때문에 절첩된 상태가 보유 지지되고, 용기 본체(1)가 펼쳐지지 않도록 절첩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있어서 절첩한 용기 본체(1)의 바닥부(1c)와 개구부(1a)의 끼워 맞춤은, 용기 본체(1)를 손으로 약간 변형하여 행할 수 있으면 되고, 또한 손을 놓아도 양자의 끼워 맞춤이 해제되지 않을 정도로 형성되면 된다.
또한 개구부(1a)와 바닥부(1c)의 결합은 양자에게 서로 결합 가능한 면 파스너를 설치하는 등 다른 수단을 이용해도 좋다.
상기 설명에서는 용기 본체(1, 1')의 주변부(1b)와 개구부(1a) 내측이 외측으로 반전되는 예로 서술하였지만, 반전하지 않은 상태에서 바닥부를 개구부 내에 결합시켜도 좋다.
본 발명의 낚시용 양동이는 용기 본체의 개구부에 바닥부를 끼워 맞추기 때문에 절첩된 상태가 보유 지지되고, 용기 본체가 펼쳐지지 않도록 절첩할 수 있다.

Claims (4)

  1. 상방에 개구부를 제공하는 유연성을 갖는 합성 수지제인 용기 본체의 상기 개구부의 양측에 손잡이를 설치할 지지부를 고정하고, 상기 용기 본체의 주변부를 찌부러뜨려 개구부의 내측과 외측을 반전시켜 바닥부를 하측으로부터 개구부에 끼워 맞춤 가능하게 하고, 이 끼워 맞춤시에 상기 바닥부는 상기 지지부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양동이.
  2. 제1항에 있어서, 지지부의 측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바닥부는 상기 돌출부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양동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개구부는 프레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양동이.
  4. 삭제
KR1020020062342A 2001-10-15 2002-10-14 낚시용 양동이 KR1008891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16482A JP3741636B2 (ja) 2001-10-15 2001-10-15 釣り用バケツ
JPJP-P-2001-00316482 2001-10-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1427A KR20030031427A (ko) 2003-04-21
KR100889199B1 true KR100889199B1 (ko) 2009-03-16

Family

ID=19134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2342A KR100889199B1 (ko) 2001-10-15 2002-10-14 낚시용 양동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741636B2 (ko)
KR (1) KR1008891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511Y1 (ko) * 2009-10-19 2010-10-07 김영운 일회용 또는 다회용 라이트프로브 구조를 가지는 밝기 조절 가능한 조명기구
JP2012246044A (ja) * 2011-05-31 2012-12-13 Isefuji:Kk 折り畳み式バケ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4764A (ja) * 1985-10-18 1987-05-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冷凍装置のモ−タ駆動回路
JPS6441261A (en) * 1987-08-07 1989-02-13 Nec Corp Manufacture of complementary insulated gate semiconductor device
JPH031448A (ja) * 1989-05-30 1991-01-08 Toshiba Corp 化学電池
JPH0319290A (ja) * 1989-06-15 1991-01-28 Sanyo Electric Co Ltd 電磁波センサー
JP3019290U (ja) * 1994-06-09 1995-12-12 明吉 鄭 合成樹脂製折畳み容器
JP2001245571A (ja) * 2000-03-09 2001-09-11 Shimano Inc 釣り用水汲みバケ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4764A (ja) * 1985-10-18 1987-05-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冷凍装置のモ−タ駆動回路
JPS6441261A (en) * 1987-08-07 1989-02-13 Nec Corp Manufacture of complementary insulated gate semiconductor device
JPH031448A (ja) * 1989-05-30 1991-01-08 Toshiba Corp 化学電池
JPH0319290A (ja) * 1989-06-15 1991-01-28 Sanyo Electric Co Ltd 電磁波センサー
JP3019290U (ja) * 1994-06-09 1995-12-12 明吉 鄭 合成樹脂製折畳み容器
JP2001245571A (ja) * 2000-03-09 2001-09-11 Shimano Inc 釣り用水汲みバケ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41636B2 (ja) 2006-02-01
JP2003116440A (ja) 2003-04-22
KR20030031427A (ko) 2003-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03952A (en) Combination bag and scoop
US4607876A (en) Cover for bed of pickup truck
WO2012030676A2 (en) Sink colander and storage assembly
US20080000914A1 (en) Storage bin organizer
WO2016090162A1 (en) Collapsible receptacle
US20040045084A1 (en) Skirt for emergency toilets
KR100889199B1 (ko) 낚시용 양동이
NZ565081A (en) Bag-in box
US5903932A (en) Portable toilet with disposable liner
WO2022233205A1 (en) Systems and devices for waste collection and storage
JP4316415B2 (ja) 釣用バケツ
JP5922921B2 (ja) 釣り用餌入れバッグ
JP4914992B2 (ja) 多目的容器
KR100890141B1 (ko) 낚시용 양동이
USD499647S1 (en) Collapsible/flexible pouring attachment
JP2782500B2 (ja) 容 器
JP2008206432A (ja) 釣り用バッグ
JP4312629B2 (ja) 釣り用バケツ
JP3219173U (ja) 袋体保持具
JP2005185120A (ja) 釣り用バケツ
JP2586887B2 (ja) 携帯容器
JP2005168433A (ja) 釣り用バケツ
JP4421413B2 (ja) 釣り用バケツ
GB2411636A (en) Sack holder
JP2002051680A (ja) 釣用バケ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