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8917B1 - 광케이블 식별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광케이블 식별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8917B1
KR100888917B1 KR1020070034752A KR20070034752A KR100888917B1 KR 100888917 B1 KR100888917 B1 KR 100888917B1 KR 1020070034752 A KR1020070034752 A KR 1020070034752A KR 20070034752 A KR20070034752 A KR 20070034752A KR 100888917 B1 KR100888917 B1 KR 100888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signal
unit
output
optical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4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1640A (ko
Inventor
이봉완
정호진
이윤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이버프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83112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8891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이버프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이버프로
Priority to KR1020070034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8917B1/ko
Priority to US12/595,142 priority patent/US8233144B2/en
Priority to PCT/KR2008/001915 priority patent/WO2008123703A1/en
Priority to CN200880011237.2A priority patent/CN102317827B/zh
Priority to EP08741165.8A priority patent/EP2145222A4/en
Priority to JP2010500838A priority patent/JP4690505B2/ja
Publication of KR20080091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1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56Processes for repairing optical cables
    • G02B6/562Processes for repairing optical cables locatable, e.g. using magnet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9/00Measuring optical phase difference; Determining degree of coherence; Measuring optical waveleng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8Testing mechanical properties
    • G01M11/088Testing mechanical properties of optical fibres; Mechanical features associated with the optical testing of optical fib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30Testing of optical devices, constituted by fibre optics or optical waveguides
    • G01M11/33Testing of optical devices, constituted by fibre optics or optical waveguides with a light emitter being disposed at one fibre or waveguide end-face, and a light receiver at the other end-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 H04B10/071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 reflected signal, e.g. using optical time domain reflectometers [OTD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80Optical aspects relating to the use of optical transmission for specific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B10/03 - H04B10/70, e.g. optical power feeding or optical transmission through water
    • H04B10/85Protection from unauthorised access, e.g. eavesdrop pro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통신을 위해 포설된 광케이블을 원격지에서 대조하기 위하여, 광케이블 내의 한 가닥 광섬유 일단을 제2커플러에 삽설하여 두 가닥의 광섬유로 분배되는 파이버 싱글 앤딩부를 간섭계에 연결하여 원격지 현장에서 작업자가 대조하고자 하는 광케이블을 두드리는 형식의 교란을 가하면 작업자가 가한 교란을 감지하여 소리 형태로 재생한다. 본 발명에서는 재생된 광신호와 교란을 가한 광신호를 원격지의 현장에서 수월하게 광케이블을 대조함으로써, 광케이블 절단 작업시 오절단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광케이블, 대조, 식별.

Description

광케이블 식별 장치 및 그 방법{Identification apparatus of optical cable and identification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식별 장치가 적용되는 전화국 및 맨홀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국에 광케이블 식별 장치를 적용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식별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도 3의 광케이블 식별 장치의 신호처리부와 소리출력부의 상세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제1믹서 22 : 제2믹서
23 : 제1 잭 24 : 제2 잭
25 : 제3 잭 31 : 광유닛부
32 : 파이버 싱글 앤딩부 33 : 신호처리부
34 : 소리출력부 41 : 증폭부
42 : 진폭 추출부 43 : 제3믹서
44 : 펑션 제너레이터 45 : 제어부
46 : 토글스위치 52 : 진동인가장치
53 : 제2통신장치 400 : 제1통신장치
61 : 광원발생부 62 : 제1광커플러
63 : 디폴러라이저 64 : 제1광커넥터
65 : 광검출부 66 : 위상 변조기
67 : 제2광커넥터 81 : 제3광커넥터
83 : 제2광커플러 85 : 더미 파이버
86 : 제4광커넥터 101 : 전화국
102 : 맨홀 103 : 원격지 전화국
300 : 간섭계 900 : 광케이블
71 : 제3팔 72 : 제4팔
73 : 제1팔 74 : 제2팔
82 : 제5팔 84 : 제6팔
91 : 광섬유
본 발명은 광케이블 식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격지에서 광케이블을 정확하게 식별하는 광케이블 식별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원격지라 함은 통신 장비가 위치하는 전화국에서 떨어진 곳으로 맨홀과 같은 곳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전화선 또는 기타 통신선 등은 전화국과 전화국끼리 연결되고, 그 사이에 다수의 맨홀을 형성하여 보수 또는 변경 등의 작업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실제로 여러 가닥의 광케이블이 설치되어 있는 맨홀의 경우 광케이블을 분기 하거나 이전할 필요성은 수시로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광케이블을 절단하여야 하는데, 작업할 케이블을 오판할 경우 통신 중인 케이블 선로를 절단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절단 작업 전에 작업할 케이블을 확실하게 식별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종래에는 작업할 케이블을 식별하기 위하여 이웃하는 맨홀에서 물리적인 힘으로 케이블을 당기거나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전자기 유도 방식을 광케이블 식별에 적용하고자 한다면 전기를 통해줄 수 있는 금속 인장선을 케이블 내부에 갖추고 있어야 하지만 근래의 많은 광케이블은 이러한 인장선을 갖추고 있지 않다는 어려움이 있고, 게다가 인장선들은 맨홀 등을 지나면서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 방식은 적용할 수 있는 거리에 한계가 존재한다.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두 가닥의 광섬유를 루프 형태로 연결하여 정확하게 광케이블을 식별하는 종래의 간섭계 방식은 존재하고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반드시 식별하고자 하는 케이블 내의 두 가닥의 광섬유를 사용하여야 하고 반대편에서 두 가닥의 광섬유를 연결하여 루프 형태를 구성하여야 한다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특히 광케이블 또는 광섬유의 종단이 어디에 있는지를 모를 경우에는 루프를 구성할 수 없어서 간섭계 방식을 적용시킬 수가 없었다.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광케이블에 적용 가능하며, 식별하고자 하는 광케이블 내의 어느 한 가닥의 광섬유만으로 정확하게 원격지의 광케이블을 식별하는 광케이블 식별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식별하고자 하는 광케이블내의 광섬유를 외부에서 교란시켜 광케이블을 식별하는 식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케이블내의 광섬유 한 가닥에 2개의 광신호를 보내고, 상기 외부 교란으로 반사된 2개 광신호의 위상차, 시간차와 광세기를 검출하는 광유닛부와;
상기 시간차를 발생시키는 파이버 싱글 앤딩부와;
상기 반사된 2개 광신호의 잡음을 제거하고 복조하는 신호처리부; 및
상기 신호처리부의 광신호를 소리로 출력하는 소리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케이블 식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광신호중 어느 하나의 광신호는 위상변조와 시간차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케이블 식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유닛부는, 광신호를 발생시키는 광원발생부와, 제1광커플러에 연결되어 반사되어 돌아오는 광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광검출부와, 상기 광원발생부에 연결된 제1팔과 광검출기에 연결된 제2팔로 이루어진 제1광커플러와, 입출력되는 광신호를 위상 변조하는 위상변조기, 및 상기 입출력되는 광신호의 편광을 제거하여 간섭 광신호를 안정화시키는 디폴러라이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케이블 식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복조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토글스위치와, 상기 광유닛부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며, 제어부로부터 이득값을 받아 증폭도를 결정하는 증폭부와, 상기 토글스위치의 선택에 대응하는 복조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복조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증폭부의 일정한 변조 신호를 진폭추출부에 공급하는 펑션 제너레이터와, 상기 증폭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서 진폭을 추출하고, 상기 펑션 제너레이터에서 출력되는 복조신호 성분의 진폭을 추출하는 진폭 추출부, 및 상기 진폭 추출부의 진폭이 포화상태이면 경고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경고 신호와 상기 진폭 추출부의 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하는 제3믹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케이블 식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폭부의 이득을 제어하며, 계속적인 가압 음에 의해 상기 진폭 추출부에서 출력되는 진폭을 판단하여 포화 상태이면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케이블 식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리출력부는, 핸드폰과 연결되는 제1 잭과, 스피커와 연결되는 제2 잭과, 마이크와 연결되는 제3 잭과, 제1 믹서의 출력과 상기 제1 잭을 통한 핸드폰의 출력을 상기 제2 잭을 통해 상기 스피커로 전달하는 제2 믹서, 및 상기 제2 믹서의 출력과 상기 제3 잭을 통한 마이크의 입력을 상기 제1 잭을 통해 상기 핸드폰으로 전달하는 제1 믹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케이블 식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외부 교란에 의 한 가압 음과 통신장치를 통해 전달 받는 재생 소리 사이의 구별을 수월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광유닛부에서 검출된 광신호의 출력을 일정 시간 지연하여 소리 신호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케이블 식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이버 싱글 앤딩부는, 제5팔과 제6팔을 구비한 제2광커플러와, 상기 제6팔에 광신호의 시간차를 발생하기 위해 광섬유를 더 길게 더미를 형성한 더미파이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한다.
본 발명의 광케이블 식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더미파이버는 300~5000m 길이의 광섬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케이블 식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이버 싱글 앤딩부는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식별하고자 하는 광케이블내의 광섬유를 외부에서 교란시켜 광케이블을 식별하는 방법에 있어서,
광유닛부에 파이브 싱글 앤딩부를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하고자 하는 광케이블내의 한 가닥 광섬유에 파이브 싱글 앤딩부의 제2광커플러를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광유닛부의 광원발생부에서 상기 한 가닥의 광섬유에 2개의 광신호를 보내는 단계와;
상기 식별하고자 하는 광케이블에 진동인가장치 또는 현장 작업자가 외부 교란으로 가압 음을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외부의 교란으로 반사된 2개 광신호의 위상차, 시간차와 광세기를 광유닛부에서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광신호를 신호처리부에서 복조하는 단계와;
상기 신호처리부의 광신호를 소리 신호로 변환하여 전화국 내에 있는 제1통신장치를 통해 원거리 작업자의 제2통신장치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통신장치와 제2통신장치의 소리가 같지 않으면 외부 교란 과정을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케이블 식별 방법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광신호중 어느 하나의 광신호는 위상변조와 시간차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식별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식별 장치가 적용되는 전화국 및 맨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국에 광케이블 식별 장치를 적용한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화국(101)과 원격지 전화국(103)간에는 맨홀(102)이 적어도 하나 이상 거쳐서 다수개(미도시)의 광케이블(900)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광케이블(900)은 다수개(미도시)의 광섬유(9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화국(101)간에 연결된 광케이블(900) 끝단을 오픈하고, 광케이블(900)의 일단 중 식별하고자 하는 광케이블(900)의 광섬유(91)에 본 발명의 광케이블 식별장치인 간섭계(300)와 파이버 싱글 앤딩부(32)를 연결한다. 상기 간섭 계(300)는 광유닛부(31), 신호처리부(33) 및 소리출력부(34)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파이버 싱글 앤딩부(32)는 상기 광유닛부(31)와 연결하여 광섬유(91)에 흐르는 광신호의 시간차를 발생시킨다.
상기 광유닛부(31)는 식별하고자 하는 광케이블(900)내의 한 가닥의 광섬유(91)에 2개의 광신호를 보내고 광케이블(900)에 진동인가장치(52)를 인가하거나 현장의 작업자가 광케이블(900)을 두드리는 외부 교란에 의해 반사된 2개 광신호의 위상차, 시간차와 광세기를 검출하여 출력한다.
상기 신호처리부(33)는 광유닛부(31)에 연결되어 광신호의 잡음을 제거하고 위상차 및 세기가 변한 광신호와 시간차를 복조하여 출력하고, 현장의 작업자가 광케이블(900)에 인가하는 교란신호와 제2통신장치(53)를 통해 전달 받은 재생 소리의 구별을 수월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광유닛부(31)에서 검출된 광신호의 출력을 일정 시간 지연하여 소리 신호로 재생한다.
상기 소리출력부(34)는 상기 신호처리부(33)의 광신호를 소리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신호음은 전화국내에 있는 제1통신장치(400)를 통해 원거리 작업자의 제2통신장치(53)로 전달함으로써 광케이블(900)을 식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통신장치(400)는 전화기 또는 핸드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통신장치(53)는 핸드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식별 장치의 광유닛부, 파이버 싱글 앤딩부 및 신호처리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광유닛부(31)는 광원발생부(61), 광검출부(65), 제1 광커플러(62), 디폴러라이저(63), 위상 변조기(66), 제1광커넥터(64) 및 제2광커넥터(67)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버 싱글 앤딩부(32)는 제3광커넥터(81), 제4광커넥터(86), 더미 파이버(85) 및 제2광커플러(83)를 포함하고, 신호처리부(33)는 광유닛부(31)에 연결되어 변조된 위상차와 세기가 변한 광신호 및 시간차를 복조하여 출력한다.
상기 광원발생부(61)는 광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광검출부(65)는 제1광커플러(62)에 연결되어 반사되어 돌아오는 광신호를 검출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1광커플러(62)는 제1팔(73)이 광원발생부(61)에 연결되고, 제2팔(74)은 광검출기(65)에 연결되어 광원발생부(61)의 광신호를 커플링한다.
상기 위상 변조기(66)는 제1광커플러(62)의 제4팔(72)에 연결되어 입출력되는 광신호를 위상 변조한다.
상기 디폴라이저(63)는 제1광커플러(62)의 제3팔(71)에 연결되어 입출력되는 광신호의 편광을 제거하여 간섭 광신호를 안정화시켜 준다.
상기 제1 및 제2광커넥터(64,67)는 파이브 싱글 앤딩부(32)의 제3 및 제4광커넥터(81,86)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파이버 싱글 앤딩부(32)는 간섭계(3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가 가능하고, 외부에 설치할 경우 탈부착이 가능하다.
상기 제2광커플러(83)는 제5팔(82)과 제6팔(84)을 구비하고, 상기 제6팔(84)에 광신호의 시간차를 발생시키기 위해 광섬유를 더 길게 더미를 형성한 더미파이버(85)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더미파이버(85)는 300~5000m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 6팔은 광섬유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2광커플러(83)의 타단은 식별하고자 하는 광케이블의 광섬유(91)와 연결한다.
도 4는 도 3의 광케이블 식별장치의 신호처리부와 소리출력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신호처리부(33)는 증폭부(41), 진폭 추출부(42), 펑션 제너레이터(44), 제어부(45), 제3믹서(43), 토글스위치(46)를 포함하고, 상기 소리출력부(34)는 제1잭(23), 제2잭(24), 제3잭(25), 제1믹서(21), 제2믹서(22)를 포함한다.
상기 토글스위치(46)는 복조 신호를 선택하기 위해 토글 형태로 입력받는다. 이때, 상기 복조 신호로 고정하는 경우에는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증폭부(41)는 광유닛부(31)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며, 제어부(45)로부터 이득 값을 받아 증폭도를 결정한다.
상기 제어부(45)는 토글스위치(46)의 선택에 대응하는 복조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증폭부(41)의 이득을 제어하며, 계속적인 가압에 의해 상기 진폭 추출부(42)에서 출력되는 진폭을 판단하여 포화 상태이면 경고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펑션 제너레이터(44)는 제어부(45)의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복조 신호를 출력하고, 증폭부(41)의 일정한 변조 신호를 진폭추출부(42)로 공급한다.
상기 진폭 추출부(42)는 증폭부(41)에서 출력되는 신호에서 진폭을 추출하고, 펑션 제너레이터(44)에서 출력되는 복조신호 성분의 진폭을 추출한다.
상기 제3믹서(43)는 진폭 추출부(42)의 진폭이 포화 상태이면 경고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경고신호와 상기 진폭 추출부(42)의 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2믹서(22)는 제1믹서(21)의 출력과 제1잭(23)을 통한 제1통신장치의 출력을 제2잭(24)을 통해 스피커로 전달한다.
상기 제1믹서(21)는 제3믹서(43)의 출력과 제3잭(25)을 통한 마이크의 입력을 제1잭(23)을 통해 핸드폰으로 전달한다.
상기 제1잭(23)은 핸드폰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입출력하고, 상기 제2잭(24)은 제2믹서(22)의 출력을 스피커에 전달하여 소리 출력이 되도록 한다.
상기 제3잭(25)은 마이크의 출력을 입력받아 제1믹서(21)로 전달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광케이블 식별 장치를 통해 광케이블 식별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광케이블 식별장치를 통해 광케이블 식별방법은, 먼저 간섭계의 광유닛부(31)에 파이브 싱글 앤딩부(32)를 연결시킨다.
이어서, 상기 파이브 싱글 앤딩부(32)의 제2광커플러(83)를 식별하고자 하는 광케이블내의 한 가닥의 광섬유(91)에 연결시킨다.
이어서, 상기 광유닛부(31)의 광원발생부(61)에서 제1광신호(A,B,C,D)와 제2광신호(A,E,C,D)를 한 가닥의 광섬유(91)로 보낸다. 이때, 상기 제2광신호(A,E,C,D)는 위상변조기(66)를 통해 위상이 변조되고, 더미파이버(85)를 통해 상기 제1광신호(A,B,C,D)와의 시간차가 발생된다.
이어서, 식별하고자 하는 광케이블에 진동인가장치(52)를 연결하거나 현장 작업자가 광케이블 외부를 교란시켜 가압 음을 발생시킨다.
이어서, 상기 외부 교란에 의해 광섬유(91)에서 상기 제1광신호(A,B,C,D)는 제3신호(D,C,E,F)로 반사되어 되돌아가고, 상기 제2광신호(A,E,C,D)는 제4광신호(D,C,B,F)로 반사되어 되돌아간다. 이때, 상기 제3광신호(D,C,E,F)는 더미파이버(85)를 통해 상기 제4광신호(D,C,B,F)와의 시간차가 발생되고, 위상변조기(66)를 통해 위상이 변조된다.
이어서, 상기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상기 제3광신호와 상기 제4광신호의 시간차, 위상차와 광세기를 광검출부(65)에서 검출하고, 검출된 광신호는 신호처리부를 통해 복조된다. 여기서, 상기 반사된 광세기는 외부 교란에 의해 증폭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신호처리부의 광신호를 소리로 변환하여 전화국 내에 있는 제1통신장치(400)를 통해 원거리 작업자의 제2통신장치(53)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제1통신장치(400)와 제2통신장치(53)를 통해 들리는 소리가 같으면, 작업자가 선택한 광케이블(900)이 맞는 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외부 교란 과정을 반복하여 광케이블(900)을 식별한다.
이러한, 상기 광유닛부(31)의 광원은 1550nm 통신 대역의 넓은 선폭을 가진 광원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인 예로는 EDF(Erbium Doped Fiber)를 이용한 ASE(Amplified Spontaneous Emission)나 SLD(Super Luminescent Diode) 광원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광원중에서 편광성분에 포함된 광원(SLD)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광원의 후단에 광원의 편광 정도를 줄여줄 수 있는 디폴러라이저를 추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ASE 광원의 경우는 자체적으로 무편광 상태이므로 추가적인 디폴러라이저는 필요하지 않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서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의 본 발명은, 광케이블을 구별하고 절단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원격지 현장의 작업자가 작업해야 할 광케이블을 쉽고 정확하게 찾을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여 광케이블의 오절단 사고 등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의 상태에 따라 신호를 다르게 선택하여 더욱 정확하게 광케이블을 식별할 수 있고, 포화상태의 판단에 따라 필요 이상으로 광케이블을 세게 두드릴 필요가 없다.

Claims (13)

  1. 식별하고자 하는 광케이블내의 광섬유를 외부에서 교란시켜 광케이블을 식별하는 식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케이블내의 광섬유 한 가닥에 2개의 광신호를 보내고, 상기 외부 교란으로 반사된 2개 광신호의 위상차, 시간차와 광세기를 검출하는 광유닛부와;
    상기 시간차를 발생시키는 파이버 싱글 앤딩부와;
    상기 반사된 2개 광신호의 잡음을 제거하고 복조하는 신호처리부; 및
    상기 신호처리부의 광신호를 소리로 출력하는 소리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식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광신호중 어느 하나의 광신호는 위상변조와 시간차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식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유닛부는,
    광신호를 발생시키는 광원발생부와,
    제1광커플러에 연결되어 반사되어 돌아오는 광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광검출부와,
    상기 광원발생부에 연결된 제1팔과 광검출기에 연결된 제2팔로 이루어진 제1광커플러와,
    입출력되는 광신호를 위상 변조하는 위상변조기, 및
    상기 입출력되는 광신호의 편광을 제거하여 간섭 광신호를 안정화시키는 디폴러라이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식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복조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토글스위치와,
    상기 광유닛부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며, 제어부로부터 이득값을 받아 증폭도를 결정하는 증폭부와,
    상기 토글스위치의 선택에 대응하는 복조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복조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증폭부의 일정한 변조 신호를 진폭추출부에 공급하는 펑션 제너레이터와,
    상기 증폭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서 진폭을 추출하고, 상기 펑션 제너레이터에서 출력되는 복조신호 성분의 진폭을 추출하는 진폭 추출부, 및
    상기 진폭 추출부의 진폭이 포화상태이면 경고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경고 신호와 상기 진폭 추출부의 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하는 제3믹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식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폭부의 이득을 제어하며, 계속적인 가압 음에 의해 상기 진폭 추출부에서 출력되는 진폭을 판단하여 포화 상태이면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식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출력부는,
    핸드폰과 연결되는 제1 잭과,
    스피커와 연결되는 제2 잭과,
    마이크와 연결되는 제3 잭과,
    제1 믹서의 출력과 상기 제1 잭을 통한 핸드폰의 출력을 상기 제2 잭을 통해 상기 스피커로 전달하는 제2 믹서, 및
    상기 제2 믹서의 출력과 상기 제3 잭을 통한 마이크의 입력을 상기 제1 잭을 통해 상기 핸드폰으로 전달하는 제1 믹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식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외부 교란에 의한 가압 음과 통신장치를 통해 전달 받는 재생 소리 사이의 구별을 수월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광유닛부에서 검출된 광신호 의 출력을 일정 시간 지연하여 소리 신호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식별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버 싱글 앤딩부는,
    제5팔과 제6팔을 구비한 제2광커플러와,
    상기 제6팔에 광신호의 시간차를 발생하기 위해 광섬유를 더 길게 더미를 형성한 더미파이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광케이블 식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파이버는 300~5000m 길이의 광섬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식별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버 싱글 앤딩부는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식별 장치.
  11. 식별하고자 하는 광케이블내의 광섬유를 외부에서 교란시켜 광케이블을 식별하는 방법에 있어서,
    광유닛부에 파이브 싱글 앤딩부를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하고자 하는 광케이블내의 한 가닥 광섬유에 파이브 싱글 앤딩부의 제2광커플러를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광유닛부의 광원발생부에서 상기 한 가닥의 광섬유에 2개의 광신호를 보내는 단계와;
    상기 식별하고자 하는 광케이블에 진동인가장치 또는 현장 작업자가 외부 교란으로 가압 음을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외부의 교란으로 반사된 2개 광신호의 위상차, 시간차와 광세기를 광유닛부에서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광신호를 신호처리부에서 복조하는 단계와;
    상기 신호처리부의 광신호를 소리 신호로 변환하여 전화국 내에 있는 제1통신장치를 통해 원거리 작업자의 제2통신장치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통신장치와 제2통신장치의 소리가 같지 않으면 외부 교란 과정을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식별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광신호중 어느 하나의 광신호는 위상변조와 시간차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식별 방법.
  13. 삭제
KR1020070034752A 2007-04-09 2007-04-09 광케이블 식별 장치 및 그 방법 KR100888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752A KR100888917B1 (ko) 2007-04-09 2007-04-09 광케이블 식별 장치 및 그 방법
US12/595,142 US8233144B2 (en) 2007-04-09 2008-04-04 Identification apparatus of optical cable and identification method
PCT/KR2008/001915 WO2008123703A1 (en) 2007-04-09 2008-04-04 Identification apparatus of optical cable and identification method
CN200880011237.2A CN102317827B (zh) 2007-04-09 2008-04-04 光缆识别装置及其识别方法
EP08741165.8A EP2145222A4 (en) 2007-04-09 2008-04-04 OPTICAL CABLE IDENTIFICATION APPARATUS AND IDENTIFICATION METHOD
JP2010500838A JP4690505B2 (ja) 2007-04-09 2008-04-04 光ケーブル識別装置およびその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752A KR100888917B1 (ko) 2007-04-09 2007-04-09 광케이블 식별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1640A KR20080091640A (ko) 2008-10-14
KR100888917B1 true KR100888917B1 (ko) 2009-03-16

Family

ID=39831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4752A KR100888917B1 (ko) 2007-04-09 2007-04-09 광케이블 식별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33144B2 (ko)
EP (1) EP2145222A4 (ko)
JP (1) JP4690505B2 (ko)
KR (1) KR100888917B1 (ko)
CN (1) CN102317827B (ko)
WO (1) WO200812370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40598A (zh) * 2012-01-06 2014-09-10 法柏有限公司 干涉仪型光纤干扰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81647B2 (ja) * 2013-12-09 2018-08-29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光ファイバコネクタ妥当性確認
CN105424329B (zh) * 2015-12-16 2018-05-08 一诺仪器(中国)有限公司 一种光缆识别方法及光缆识别装置
CN106998227B (zh) * 2017-02-10 2023-12-22 北京邮电大学世纪学院 一种非接触式光缆识别仪及光缆识别方法
CN107544119B (zh) * 2017-09-04 2020-01-14 江苏亨通光电股份有限公司 可探测光缆和通信系统
JP2019152847A (ja) * 2018-03-06 2019-09-1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光通信配線の心線対照方法及び心線対照システム
CN108490565B (zh) * 2018-04-12 2023-10-13 金帆智华(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声波频率的光缆识别装置及方法
US11018778B1 (en) 2020-05-20 2021-05-25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 and method to prevent unauthorized voice detection via fiber links
CN112729144B (zh) * 2020-12-18 2022-08-19 南京大学 一种基于分布式光纤传感的多路光电复合缆区分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3525A (ko) * 2005-08-23 2007-02-28 주식회사 케이티 광 케이블 식별 장치 및 식별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6004B2 (ja) 1989-03-02 1996-12-2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ケーブル識別方法とその識別装置
US5506674A (en) * 1992-05-01 1996-04-09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Method for identifying an optical fiber using a pattern of reflected light
JP2842821B2 (ja) * 1995-12-27 1999-01-0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無切断光通信装置および無切断光通信方法
US5969806A (en) * 1997-06-30 1999-10-19 Tyco Submarine Systems Ltd. Chromatic dispersion measurement in a fiber optic cable
JP3335117B2 (ja) * 1997-12-04 2002-10-1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光ケーブル識別方法
GB9820535D0 (en) * 1998-09-21 1998-11-11 Radiodetection Ltd Identification and location of fibre optic cables
US6765657B2 (en) * 2001-10-29 2004-07-20 Molex Incorporated Method of testing optical fibers
US7429611B2 (en) * 2004-09-23 2008-09-30 Bristol-Myers Squibb Company Indole inhibitors of 15-lipoxygenase
WO2006035198A1 (en) * 2004-09-30 2006-04-06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Identifying or locating waveguides
EP1757966A3 (en) * 2005-08-23 2007-12-19 KT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ication of optical cable
GB2442745B (en) * 2006-10-13 2011-04-06 At & T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acoustic sensing using multiple optical pulses
CN100578168C (zh) * 2006-11-15 2010-01-06 北京航空航天大学 用于输油管线的光纤安全防范系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3525A (ko) * 2005-08-23 2007-02-28 주식회사 케이티 광 케이블 식별 장치 및 식별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40598A (zh) * 2012-01-06 2014-09-10 法柏有限公司 干涉仪型光纤干扰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1640A (ko) 2008-10-14
CN102317827B (zh) 2014-07-16
EP2145222A4 (en) 2013-08-21
WO2008123703A1 (en) 2008-10-16
EP2145222A1 (en) 2010-01-20
CN102317827A (zh) 2012-01-11
US8233144B2 (en) 2012-07-31
JP2010522896A (ja) 2010-07-08
US20110102773A1 (en) 2011-05-05
JP4690505B2 (ja) 201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8917B1 (ko) 광케이블 식별 장치 및 그 방법
CN1937459B (zh) 光缆识别装置及光缆识别方法
US10168247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inimally intrusive fiber identification
US681987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optical power and non-payload data in an optical signal
KR960009462A (ko) 광 증폭기의 성능 모니터 장치와 방법, 성능 모니터, 전송 시스템의 성능 모니터 장치와 방법, 증폭기의 성능 모니터 방법, 전송 시스템, 전송 시스탬내의 고장 위치 검출장치 및 광증폭기
JPH10233736A (ja) 光伝送システムおよび光伝送システムにおける光信号の光パワー制御方法
US9838115B2 (en) Determination of an optical signal to noise ratio of a dual-polarization optical signal
JP2006319709A (ja) 副信号変調装置,副信号復調装置および副信号変復調システム
KR102229864B1 (ko) 편광 위치 및 차동 위상 편이 변조 기반 무선 광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1182862B1 (ko) 광 케이블 식별 장치 및 식별 방법
JP3357623B2 (ja) 光ファイバ干渉型センサ、光ファイバ干渉型信号検出方法、光ファイバ干渉型振動センサ、光ファイバ干渉型振動検出方法、光ファイバケーブル対照方法、光ファイバ心線対照方法及び光ファイバ通話方法
JP2015170871A (ja) 光伝送システム及び光受信装置
KR20000060823A (ko) 편광변조를 이용한 광신호 채널정보 감지장치 및 방법
US9491027B2 (en) Miniature mobile marker system and method
JP2001041847A (ja) 光ファイバ干渉型センサおよび光ファイバ干渉型信号検出方法
JP2674557B2 (ja) 光増幅中継装置
JP2002164883A (ja) 光秘話通信方法および装置
JPH06303207A (ja) 光直接増幅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