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8819B1 - 레일에 직결체결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레일에 직결체결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8819B1
KR100888819B1 KR1020080076750A KR20080076750A KR100888819B1 KR 100888819 B1 KR100888819 B1 KR 100888819B1 KR 1020080076750 A KR1020080076750 A KR 1020080076750A KR 20080076750 A KR20080076750 A KR 20080076750A KR 100888819 B1 KR100888819 B1 KR 100888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direct
hole
fastening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6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구
김홍록
윤병성
민병도
Original Assignee
궤도공영 주식회사
동원궤도(주)
(주)대륙철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궤도공영 주식회사, 동원궤도(주), (주)대륙철도 filed Critical 궤도공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6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88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64Rail fastenings gripping or encircling the sleep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38Indirect fastening of rails by using tie-plates or chairs; Fastening of rails on the tie-plates or in the chairs
    • E01B9/44Fastening the rail on the tie-plate
    • E01B9/46Fastening the rail on the tie-plate by clamps
    • E01B9/48Fastening the rail on the tie-plate by clamps by resilient steel cli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5/00Electrical insulation of railway track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차가 레일위를 주행할 때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으로부터 열차와 콘크리트 도상을 보호하기 위해 직결체결장치를 레일에 장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지 장치는 레일의 두부에 얹혀져 고정되고, 레일 두부에 표시된 간격표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몸체의 상면에 형성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레일 고정부; 및 상기 레일 고정부의 양단에 서로 대칭되게 연결되며, 직결체결장치의 돌출된 부분과 맞닿는 한 쌍의 날개부를 포함하고, 팬트롤클립을 이용하여 상기 직결체결장치와 레일을 상호 체결할 때 상기 날개부에 의해 상기 직결체결장치의 틀어짐이 방지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직결체결장치 장착을 위한 지지장치는 레일이 철근에 부상된 상태에서도 팬트롤 클립을 이용하여 직결체결장치를 레일에 체결할 수 있으며, 1인의 작업자에 의해서도 직결체결장치를 레일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으면서도 정확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레일에 직결체결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지지 장치{support apparatus for installing direct fastening device on rail}
본 발명은 열차가 레일위를 주행할 때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으로부터 열차와 콘크리트 도상을 보호하기 위해 레일에 장착하는 직결체결장치를 보다 용이하게 레일에 장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결체결장치라고도 하는 직결체결장치는 차량 궤도에 있어 중요한 구성품으로서, 차량의 주행안전성 및 승차감, 차량 충격하중에 대한 궤도의 구조안전성, 그리고 차량 구동소음 등에 큰 영향을 준다.
이러한 직결체결장치는 레일을 콘크리트 도상(또는 침목) 등의 지지물에 고정하여 궤간을 유지함과 동시에 차량 주행시, 차량이 궤도에 부담하는 여러 방향의 하중이나 진동, 주로 상하방향, 횡방향 및 레일 길이방향의 힘 등에 저항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열차의 하중을 하부구조인 침목, 도상, 노반으로 분산 혹은 완충하여 전달하는 기능을 가진다.
그리고, 이러한 직결체결장치는 팬트롤 클립에 의해 레일에 체결되는데, 팬트롤 클립을 체결하는 작업은 레일을 노반 바닥에 내려놓은 상태에서나 가능하다. 그러나, 레일 설치 구간에 철근이 돌출되어 있는 현장에서는 레일이 철근 위에 부상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장대 레일(레일을 용접으로 길게 연결한 것을 장대 레일이라고함)을 철근이 없는 바닥으로 이동시켜 바닥에서 팬트롤 클립을 이용하여 직결체결장치를 레일에 체결한 다음 다시 철근 위로 올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1인의 작업자만으로도 직결체결장치를 레일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직결체결장치 장착을 위한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해결의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 과제는 직결체결장치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설치하도록 하는 직결체결장치 장착을 위한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 과제는 레일이 철근에 부상된 상태에서도 직결체결장치를 장착할 수 있는 직결체결장치 장착을 위한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직결체결장치를 레일에 장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 실시예의 지지 장치는 직결체결장치를 레일에 장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지장치에 있어서, 레일의 두부에 얹혀져 고정되고, 레일 두부에 표시된 간격표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몸체의 상면에 형성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레일 고정부; 및 상기 레일 고정부의 양단에 서로 대칭되게 연결되며, 직결체결장치의 돌출된 부분과 맞닿는 한 쌍의 날개부를 포함하고, 팬트롤클립을 이용하여 상기 직결체결장치와 레일을 상호 체결할 때 상기 날개부에 의해 상기 직결체결장치의 틀어짐이 방지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일 두부에 얹혀져 고정되며, 레일 두부에 표시된 간격표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상면에 형성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레일 고정부와; 상기 레일 고정부의 양단에 서로 대칭되게 연결되고, 직결 체결장치의 돌출된 부분과 맞닿으며, 상기 직결체결장치의 앵커볼트 체결공과 대응되는 관통공을 포함하는 한 쌍의 날개부; 및,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직결체결장치의 앵커볼트 체결공에 삽입되어 상기 직결체결장치를 상기 날개부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팬트롤 클립을 이용하여 상기 직결체결장치와 상기 레일을 상호 체결할 때 상기 날개부에 의해 상기 직결체결장치의 틀어짐이 방지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일 두부에 얹혀져 고정되는 레일 고정부와; 상기 레일 고정부의 양단에 서로 대칭되게 연결되고, 직결체결장치의 돌출된 부분과 맞닿으며, 상기 직결체결장치의 앵커볼트 체결공과 대응되는 관통공을 포함하는 한 쌍의 날개부; 및,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직결체결장치의 앵커볼트 체결공에 삽입되어 상기 직결체결장치를 상기 날개부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레일 고정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분과 상기 앵커볼트 체결공이 형성된 상기 직결체결장치의 상면에 안착되는 지지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팬트롤 클립을 이용하여 상기 직결체결장치와 상기 레일을 상호 체결할 때 상기 날개부에 의해 상기 직결체결장치의 틀어짐이 방지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일 두부에 얹혀져 고정되는 레일 고정부와; 상기 레일 고정부의 양단에 서로 대칭되게 연결되고, 직결체결장치의 돌출된 부분과 맞닿으며, 상기 직결체결장치의 앵커볼트 체결공과 대응되는 관통공을 포함하는 한 쌍의 날개부; 및, 상기 관통공과 상기 앵커볼트 체결공에 관통하여 삽 입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의 상단에 결합되면서 상기 직결체결장치가 상기 날개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로드를 상방향으로 잡아당기는 조임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직결체결장치를 상기 날개부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팬트롤 클립을 이용하여 상기 직결체결장치와 상기 레일을 상호 체결할 때 상기 날개부에 의해 상기 직결체결장치의 틀어짐이 방지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직결체결장치 장착을 위한 지지장치는 레일이 철근에 부상된 상태에서도 팬트롤 클립을 이용하여 직결체결장치를 레일에 체결할 수 있으며, 1인의 작업자에 의해서도 직결체결장치를 레일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으면서도 정확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결체결장치 장착을 위한 지지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결체결장치와 지지장치가 레일에 체결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직결체결장치와 지지장치가 레일에 체결된 상태의 정단면도 및 측면도이다.
여기서 직결체결장치는 레일받침대로써 레일의 방진 부재로써 기능하는 것으로서, 도면을 참조하면, 직결체결장치 장착을 위한 지지장치(10)는 거치대(100)와 체결부재(20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장치(10)의 거치대(100)는 레일의 머리 부분에 해당하는 레일 두부(22)에 얹혀져서 레일(20)에 고정되는 레일 고정부(110)와 상기 레일 고정부(110)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날개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레일 고정부(110)는 레일 두부(22)의 상면과 양측면에 씌워지도록 그 단면이 디귿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112)를 포함한다. 몸체(112)는 상면 중앙에 개구(114)가 형성되는데, 이 개구(114)를 형성한 것은 레일에 표시된 직결체결장치(30)의 설치 간격마다 표시한 것을 확인하고자 하기 위함이다.
즉, 작업자는 개구(114)를 통해 레일(20)에 표시된 간격표시를 확인하여 정확한 위치에 거치대(100)를 레일(20) 상에 위치시키게 된다. 또한, 레일 고정부(110)는 이동의 편의성을 위해 몸체(112)의 상면에 손잡이(116)를 제공한다.
레일 고정부(110)의 양측에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는 날개부(120)는 레일 고정부(110)와 연결되는 연결부분(122)과, 상기 연결부분(122)에서 절곡되어 직결체결장치(30)의 상면에 위치하는 지지부분(124)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분(124)에는 도면에서와 같이 길쭉한 형태의 관통공(12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200)는 직결체결장치(30)를 거치대(100)의 날개부(12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로드(210)와 조임레버(220)를 포함한다. 로드(210)의 하단에는 걸림편(212)이 형성되고 상단은 조임레버(220)에 힌지 결합되는데, 상기 걸림편(212)은 길쭉한 형태의 관통공(126)에 삽입 가능한 형태로 관통공(126)과 같이 로드(210)의 양측으로 길쭉하게 돌출되는 형태를 가진다. 로드(210)는 걸림편(212)이 아래로 향하도록 해서 관통공(126)의 형태에 맞도록 위치시켜 관통공(126)과 앵커볼트 체결공(32)에 삽입된다. 로드(210)의 상단은 날개부(120)의 상부에 위치되고, 하단의 걸림편(212)은 직결체결장치(30)의 아래에 위치된다. 조임레버(220)는 로드(210)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는 캠(224)을 갖는 레버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에서 설명한 체결부재(200) 이외에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볼트 방식의 체결부재(200a)가 적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200a)는 볼트(240)와 너트(230)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도 5a 내지 도 5f를 참조하면서 직결체결장치를 레일에 장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개의 레일을 용접으로 연결한 장대 레일(20)을 크레인을 이용하여 레일 설치 구간의 노반(1) 바닥으로부터 돌출된 철근(2)들에 올려놓는다. 그리고, 직결체결장치(30)의 장착 위치마다 레일 상면에 간격표시를 하고, 도 5b에서와 같이, 지지장치(10)의 거치대(100)를 레일(20)에 표시된 간격표시마다 올려놓는다.
이때, 작업자는 거치대(100)에 형성된 개구(114)를 통해 레일(20)에 표시된 간격표시를 확인하면서 정확한 위치에 거치대(100)를 레일(20) 상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100)가 설치된 레일(20) 밑으로 직결체결장치(30)를 위치시키고, 직결체결장치(30)의 앵커볼트 체결공(32)과 거치대(100)의 관통공(126)의 위치를 정렬한 후 도 5b에서와 같이 체결부재(200)를 준비한다.
체결부재(200)의 로드(210)를 정렬된 앵커볼트 체결공(32) 및 관통공(126) 속으로 삽입하여 걸림편(212)이 직결체결장치(30)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한 후, 체결부재(200)를 90도 회전시킨다.
직결체결장치(30)는 도 5c 및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200)의 걸림편(212)에 의해 레일(20)에 매달린 상태로 되며, 도 5e에서와 같이, 조임레버(220)를 아래로 잡아당기면, 캠(224)이 힌지를 축으로 회전하여 날개부(120)와 접하면서 로드(210)가 상방향으로 끌어당겨지게 된다. 로드(210)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걸림편(212)이 직결체결장치(30)의 저면을 상방향으로 압박하게 되면서 직결체결장치(30)가 날개부(120)에 밀착 고정되는 것이다.
이렇게, 직결체결장치(30)가 지지장치(10)에 고정이 완료되면, 팬트롤 클립(40)을 직결체결장치의 클립 고정구(34)에 끼우고, 레일 베이스(24)에 절연블럭을 거치한 상태에서 지렛대 구조의 공지된 클립 지그(미도시됨)를 이용하여 직결체결장치(30)를 도 5f와 같이 레일(20)에 체결하게 되며, 팬트롤 클립의 체결은 하나씩 작업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직결체결장치를 고정하게 되면 레일이 철근상에 놓여진 상태에서도 팬트롤 클립의 체결이 가능하다. 또한, 레일을 철근상에 부설한 상태에서 직결체결장치의 장착이 가능하다. 그 뿐만 아니라 2인이 동시에 팬트롤 클립의 체결 작업을 실시하지 않고 1인이 팬트롤 클립을 하나씩 체결하더라도 레일과 직결체결장치가 직각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함마를 이용하여 직결체결장치의 틀어짐을 보정할 필요가 없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아울러,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지지장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결체결장치 장착을 위한 지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결체결장치와 지지장치가 레일에 체결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결체결장치와 지지장치가 레일에 체결된 상태의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결체결장치와 지지장치가 레일에 체결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결체결장치를 지지장치에 의해 레일에 장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볼트 방식의 체결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거치대 110 : 레일 고정부
120 : 날개부 200 : 체결부재
210 : 로드 220 : 조임레버

Claims (4)

  1. 삭제
  2. 직결체결장치를 레일에 장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지 장치에 있어서,
    레일 두부에 얹혀져 고정되며, 레일 두부에 표시된 간격표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면에 개구가 형성되는 몸체를 포함하는 레일 고정부와;
    상기 레일 고정부의 양단에 서로 대칭되게 연결되고, 직결체결장치의 돌출된 부분과 맞닿으며, 상기 직결체결장치의 앵커볼트 체결공과 대응되는 관통공을 포함하는 한 쌍의 날개부; 및,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직결체결장치의 앵커볼트 체결공에 삽입되어 상기 직결체결장치를 상기 날개부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팬트롤 클립을 이용하여 상기 직결체결장치와 상기 레일을 상호 체결할 때 상기 날개부에 의해 상기 직결체결장치의 틀어짐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결체결장치 장착을 위한 지지장치.
  3. 직결체결장치를 레일에 장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지 장치에 있어서:
    레일 두부에 얹혀져 고정되는 레일 고정부와;
    상기 레일 고정부의 양단에 서로 대칭되게 연결되고, 직결체결장치의 돌출된 부분과 맞닿으며, 상기 직결체결장치의 앵커볼트 체결공과 대응되는 관통공을 포함하는 한 쌍의 날개부; 및,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직결체결장치의 앵커볼트 체결공에 삽입되어 상기 직결체결장치를 상기 날개부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레일 고정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분과 상기 앵커볼트 체결공이 형성된 상기 직결체결장치의 상면에 안착되는 지지부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팬트롤 클립을 이용하여 상기 직결체결장치와 상기 레일을 상호 체결할 때 상기 날개부에 의해 상기 직결체결장치의 틀어짐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결체결장치 장착을 위한 지지장치.
  4. 직결체결장치를 레일에 장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지 장치에 있어서:
    레일 두부에 얹혀져 고정되는 레일 고정부와;
    상기 레일 고정부의 양단에 서로 대칭되게 연결되고, 직결체결장치의 돌출된 부분과 맞닿으며, 상기 직결체결장치의 앵커볼트 체결공과 대응되는 관통공을 포함하는 한 쌍의 날개부; 및,
    상기 관통공과 상기 앵커볼트 체결공에 관통하여 삽입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의 상단에 결합되면서 상기 직결체결장치가 상기 날개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로드를 상방향으로 잡아당기는 조임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직결체결장치를 상기 날개부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팬트롤 클립을 이용하여 상기 직결체결장치와 상기 레일을 상호 체결할 때 상기 날개부에 의해 상기 직결체결장치의 틀어짐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결체결장치 장착을 위한 지지장치.
KR1020080076750A 2008-08-06 2008-08-06 레일에 직결체결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지지 장치 KR100888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750A KR100888819B1 (ko) 2008-08-06 2008-08-06 레일에 직결체결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750A KR100888819B1 (ko) 2008-08-06 2008-08-06 레일에 직결체결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지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8819B1 true KR100888819B1 (ko) 2009-03-17

Family

ID=40698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6750A KR100888819B1 (ko) 2008-08-06 2008-08-06 레일에 직결체결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881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0004A (ja) 1998-03-30 1999-10-12 Seiji Hosokawa 枕木吊上げ器
KR20000007605U (ko) * 1998-10-02 2000-05-06 허영준 철도레일 체결판
JP2003268703A (ja) 2002-03-18 2003-09-25 Shibano Seisakusho:Kk 鉄道レールにおけるボルト締結部補修構造、および補修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0004A (ja) 1998-03-30 1999-10-12 Seiji Hosokawa 枕木吊上げ器
KR20000007605U (ko) * 1998-10-02 2000-05-06 허영준 철도레일 체결판
JP2003268703A (ja) 2002-03-18 2003-09-25 Shibano Seisakusho:Kk 鉄道レールにおけるボルト締結部補修構造、および補修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31842A (en) Rail fastening device
JP2011509361A (ja) レール固定システムおよびその支持体
JP2014005604A (ja) 軌道スラブの拘束構造、拘束治具、軌道スラブの拘束構造の形成方法
JP4112522B2 (ja) ラダー型マクラギを使用した車両用軌道とその施工方法、並びにそれに使用されるマクラギ規制具
JP5436358B2 (ja) 縦型マクラギを使用した車両用軌道の支持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軌道位置支持具
KR101530965B1 (ko) 전단하중 유도용 외함을 구비한 레일 체결장치
KR100888819B1 (ko) 레일에 직결체결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지지 장치
KR100881601B1 (ko) 레일에 직결체결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지지 장치
KR100888820B1 (ko) 레일에 직결체결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지지 장치
KR100881600B1 (ko) 레일에 직결체결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지지 장치
KR100660007B1 (ko) 철도 레일 고정 구조
US11236474B2 (en) Railway fastener for use with crossties
KR100818757B1 (ko) 철도 레일 충격 흡수 체결 장치
KR200419503Y1 (ko) 철도레일의 이음매 체결구
US4326670A (en) Adjustable spring clip
KR20170075480A (ko) 철도용 레일 지지장치
KR200410829Y1 (ko) 급커브 철도 레일의 체결장치
KR200410831Y1 (ko) 스프링 클립을 이용한 철도 레일 체결장치
JP2017082401A (ja) 枕木締結具
KR200465375Y1 (ko) 차상신호시스템용 발리스 설치대
JP5002775B2 (ja) 鉄道用安全柵の支柱部材
CA3028413C (en) Railway fastener for use with crossties
KR100661608B1 (ko) 철도 레일의 침목간 탄성 체결장치
KR200236034Y1 (ko) 철도선로의 침목 횡 저항력 증강 장치
JPH09278354A (ja) クレーンレールの締結装置および敷設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