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9503Y1 - 철도레일의 이음매 체결구 - Google Patents

철도레일의 이음매 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9503Y1
KR200419503Y1 KR2020060009503U KR20060009503U KR200419503Y1 KR 200419503 Y1 KR200419503 Y1 KR 200419503Y1 KR 2020060009503 U KR2020060009503 U KR 2020060009503U KR 20060009503 U KR20060009503 U KR 20060009503U KR 200419503 Y1 KR200419503 Y1 KR 2004195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railroad
coupled
fixed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95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겸
Original Assignee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20200600095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95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95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95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1/00Rail joints
    • E01B11/02Dismountable rail joints
    • E01B11/04Flat fish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1/00Rail joints
    • E01B11/02Dismountable rail joints
    • E01B11/10Fishplates with parts supporting or surrounding the rail foo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1/00Rail joints
    • E01B11/02Dismountable rail joints
    • E01B11/36Fastening means for fish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1/00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 E01B2201/04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by bolting, nailing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1/00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 E01B2201/08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by plastic or elastic deformation of fastener

Abstract

본 고안은 철도레일의 이음매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철도레일간의 단부를 연결하기 위해서 철도레일의 양 측면에 이음매를 개재하여 체결수단으로 체결되어 철도레일이 침목에 고정되지 않은 구간에서, 철도레일을 침목에 고정시키는 철도레일의 이음매 체결구로서, 상기 철도레일의 일측에 설치된 이음매에 접촉되는 상부에는 수평하게 관통된 결합홀이 형성되어, 상기 철도레일 및 이음매와 함께 체결수단으로 체결되고, 하부에는 철도레일과 수평하도록 고정봉이 일체로 형성된 결합몸체와, 일측에 형성된 결합부를 개재해서 상기 고정봉의 말단측에 결합되고, 타측에 형성된 걸림부를 개재해서 철도레일의 하측에 걸어맞춤되는 레일체결고리와, 양측에 파지홈이 형성되어 일측 파지홈에 고정봉이 결합되고, 양측 말단부에는 스파이크홀이 형성되어 침목의 상측면에 스파이크볼트로 결합되고, 철도레일의 하부를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철도레일간의 단부를 연결하는 이음매로 인하여 레일클립을 설치할 수 없어서 철도레일이 침목에 고정되지 않은 구간에서, 철도레일을 침목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열차의 대형사고를 방지하고,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열차의 안전운행을 할 수 있으며, 공지의 목침목이나 콘크리트침목을 교체하지 않고 공지의 베이스플레이트나 숄더에 철도레일 이음매 체결구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과 비용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철도레일, 이음매, 체결구

Description

철도레일의 이음매 체결구{Joint coupling device of railroad rail}
도 1은 종래의 목침목의 철도레일에 이음매가 설치된 개략도.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콘크리트침목의 철도레일에 이음매가 설치된 개략도.
도 4는 도 3의 B-B'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철도레일의 이음매 체결구가 설치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C-C' 단면도.
도 7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철도레일의 이음매 체결구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철도레일의 이음매 체결구의 결합몸체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철도레일의 이음매 체결구의 레일체결고리 정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철도레일의 이음매 체결구가 설치된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D-D' 단면도.
도 12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철도레일의 이음매 체결구의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B:침목 10:철도레일
20:이음매 30A:볼트
30B:너트 40:레일클립
50, 300:베이스플레이트 60, 400:숄더부
100:결합몸체 110:결합홀
120:고정봉 122:볼트부
200:레일체결고리 210:결합부
220:걸림부 311, 312:파지홈
320:스파이크홀 411, 412:숄더홀
N1:제1고정수단 N2:제2고정수단
S:스파이크볼트
본 고안은 철도레일의 이음매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철도레일간의 단부를 연결하는 이음매로 인하여 레일클립을 설치할 수 없어서 철도레일이 침목에 고정되지 않은 구간에서, 철도레일을 침목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열차의 대형사고를 방지하고, 열차의 안전운행을 할 수 있으며,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철도레일의 이음매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차가 통행하는 철로는 한정된 길이를 갖는 다수개의 철도레일을 연결하여 건설하는데, 이때 철도레일과 철도레일이 맞닿는 연결부위에 이음매를 결합하여 양측 철도레일을 서로 연결하게 된다.
또한, 노후된 철로를 개보수하는 경우에는 파손된 철도레일을 교체하거나 파손부위를 부분적으로 보강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도 철도레일간의 연결부위나 파손부위에 이음매를 결합하여 철도레일을 서로 연결하거나 파손부위를 보강하게 된다.
즉,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철도레일(10)이 서로 맞닿는 연결부분 또는 파손부위에 천공장치를 이용하여 홀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위 또는 파손부위의 양측면에 이음매(20)를 각각 위치시킨 후, 볼트(30A)와 너트(30B)로 철도레일(10)과 이음매(20)를 서로 결합하여 철도레일(10)을 연결하거나 파손부위를 보강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음매(20)를 사용하여 철도레일(10)을 연결한 부분은 도 2 및 도 4에서처럼 철도레일(10)의 양측의 하부 상면에 이음매(20)가 접촉되어 설치되므로, 철도레일(10)을 침목(1A, 1B)에 고정하기 위한 레일클립(40)을 설치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이 이음매(20)를 사용하여 철도레일(10)을 연결한 부분에 레일클립(40)을 설치하지 못하면 철도레일(10)이 침목(1A, 1B)에 고정되지 않아서 철도레일(10)과 침목(1A, 1B) 사이에 간격이 발생되며, 이렇게 철도레일(10)과 침목(1A, 1B) 사이에 간격이 발생된 상태에서 철도를 운행하게 되면, 철도가 지날 때마다 침목(1A, 1B)과 철도레일(10)이 부딪쳐서 철도레일(10)과 침목(1A, 1B)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철도가 지날 때마다 침목(1A, 1B)과 철도레일(10)이 부딪히면, 그 충격이 이음매(20)를 결합시킨 볼트(30A)와 너트(30B)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서 볼트(30A)와 너트(30B)의 결합이 느슨하게 되면 열차탈선과 같은 대형사고가 발생 될 수 있다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철도레일(10)간의 단부를 연결하는 이음매(20)로 인하여 레일클립(40)을 설치할 수 없어서 철도레일(10)이 침목(1A, 1B)에 고정되지 않은 구간에 새로운 침목으로 교체하여 철도레일을 침목에 고정하려는 시도가 있지만, 이와 같은 방법은 기존 콘크리트침목이나 목침목에 바로 적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침목으로 교체하기 위해서는 오랜 작업시간이 필요로 하고, 작업비용도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철도레일간의 단부를 연결하는 이음매로 인하여 레일클립을 설치할 수 없어서 철도레일이 침목에 고정되지 않은 구간에서, 철도레일을 침목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열차의 대형사고를 방지하고, 열차의 안전운행을 할 수 있으며,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철도레일의 이음매 체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공지의 목침목이나 콘크리트침목을 교체하지 않고 공지의 베이스플레이트나 숄더에 설치가 가능한 철도레일의 이음매 체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철도레일간의 단부를 연결하는 이음매로 인하여 레일클립을 설치할 수 없어서 철도레일이 침목에 고정되지 않은 구간에서, 철도레일을 침목에 고정시키는 철도레일의 이음매 체결구로서, 상기 철도레일의 일측에 설치된 이음매에 접촉되는 상부에는 수평하게 관통된 결합홀이 형성되어, 상기 철도레일 및 이음매와 함께 체결수단으로 체결되고, 하부에는 철도레일과 수평하도록 고정봉이 일체로 형성된 결합몸체와, 일측에 형성된 결합부를 개재해서 상기 고정봉의 말단측에 결합되고, 타측에 형성된 걸림부를 개재해서 철도레일의 하측에 걸어맞춤되는 레일체결고리와, 양측에 파지홈이 형성되어 일측 파지홈에 고정봉이 결합되고, 양측 말단부에는 스파이크홀이 형성되어 침목의 상측면에 스파이크볼트로 결합되고, 철도레일의 하부를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타측 파지홈에도 결합몸체가 결합되고, 이 결합몸체의 고정봉에 레일체결고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몸체의 고정봉은 양측의 제2고정수단에 의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상기 레일체결고리는 양측의 제1고정수단에 의해서 상기 고정봉의 말단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철도레일의 이음매 체결구는 철도레일간의 단부를 연결하는 이음매로 인하여 레일클립을 설치할 수 없어서 철도레일이 침목에 고정되지 않은 구간에서, 철도레일을 침목에 고정시키는 철도레일의 이음매 체결구로서, 상기 철도레일의 일측에 설치된 이음매에 접촉되는 상부에는 수평하게 관통된 결합홀이 형성되어, 상기 철도레일 및 이음매와 함께 체결수단으로 체결되고, 하부에는 철도레일과 수평하도록 고정봉이 일체로 형성된 결합몸체와, 일측에 형성된 결합부를 개재해서 상기 고정봉의 말단측에 결합되고, 타측에 형성된 걸림부를 개재해서 철도레일의 하측에 걸어맞춤되는 레일체결고리와, 상기 철도레일과 접촉되는 침목의 접촉면 양측에 하부가 매설되며 상부에 숄더홀이 형성된 숄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일측 숄더홀에 상기 고정봉이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숄더부의 타측 숄더홀에도 결합몸체가 결합되고, 이 결합몸체의 고정봉에 레일체결고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몸체의 고정봉은 양측의 제2고정수단에 의해서 상기 숄더부에 고정되고, 상기 레일체결고리는 양측의 제1고정수단에 의해서 상기 고정봉의 말단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철도레일의 이음매 체결구가 설치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C-C' 단면도, 도 7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철도레일의 이음매 체결구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철도레일의 이음매 체결구의 결합몸체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철도레일의 이음매 체결구의 레일체결고리 정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철도레일의 이음매 체결구는 크게 결합몸체(100), 레일체결고리(200), 베이스플레이트(300)로 구성된다.
결합몸체(100)는, 크게 상부와 하부로 구분되되, 철도레일(10)의 일측에 설치된 이음매(20)에 접촉되는 상부에는 수평하게 관통된 결합홀(110)이 형성되어, 결합몸체(100)가 상기 철도레일(10) 및 이음매(20)와 체결수단(30A,30B)으로 체결되게 하고, 하부에는 철도레일(10)과 수평하도록 고정봉(120)이 일체로 형성된다.
레일체결고리(200)는, 일측에 형성된 결합부(210)를 개재해서 고정봉(120)의 말단측에 결합되며, 타측에는 걸림부(220)가 형성되어 철도레일(10)의 하측에 걸어맞춤된다.
베이스플레이트(300)는, 양측 말단부에 스파이크홀(320)을 형성되어 스파이크볼트(S)로 침목(1A)의 상측면에 고정되고, 양측에 파지홈(311, 312)이 형성되어 결합몸체(10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봉(120)이 일측 파지홈(311)에 파지되 어 침목(1A)에 고정하게 된다.
먼저, 철도레일(10) 및 이음매(20)와 체결되고, 고정봉(120)이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몸체(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결합몸체(100)는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레일(10) 및 이음매(20)와 체결하기 위한 상부와 레일체결고리(200) 및 베이스플레이트(300)와 결합하기 위한 하부로 구분되며, 이음매(20)가 설치된 구간에 체결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레일(10)이 서로 맞닿는 열결부분에 홀을 형성하고, 양측면에 이음매(20)를 각각 위치시킨 후, 볼트(30A)와 너트(30B)로 철도레일(10)과 이음매(20)를 서로 결합하여 철도레일(10) 간의 단부를 연결한 구간에서, 철도레일(10) 및 이음매(20)에 형성된 한쌍의 홀과 결합몸체(100)에 형성된 결합홀(110)을 동시에 함께 체결하는 체결수단으로 체결하여 결합몸체(100)가 철도레일(10)과 체결되도록 한 것이다.
이 때, 철도레일(10), 이음매(20), 결합몸체(100)를 동시에 함께 체결하는 체결수단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30A)와 너트(30B)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외에도 핀홀이 형성된 볼트를 홀에 관통시킨 후 핀을 삽입하여 체결하거나, 리벳 등과 같은 수단으로도 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결합몸체(10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봉(120)은 레일체결고리(200)와 베이스플레이트(3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레일체결고리(200)의 두께와 베이스플레이트(300)의 두께를 고려하여 충분히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기도 하지만, 고정봉(120)의 길이가 침목(1A) 측면의 연장면보다 짧게 형성되면 작업자가 레일체결고리(200)를 고정봉(120)에 결합하기 힘들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결합몸체(100)의 상부는 이음매(20)에 접촉되어 체결되지만, 결합몸체(100)의 하부는 레일(10) 및 이음매(20)와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분에 경사각을 형성하여 결합몸체(100)의 하부가 레일(10) 및 이음매(20)와 접촉되지 않고 설치되게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봉(120)의 말단측에 결합되는 레일체결고리(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레일체결고리(20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측이 상술한 고정봉(120)의 말단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철도레일(10)의 하측에 걸어맞춤되어 결합몸체(100)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체결요소이다.
이 레일체결고리(200)의 일측이 고정봉(120)의 말단측에 결합되기 위한 방법으로는 레일체결고리(200)의 일측에 홀의 형태로 결합부(210)를 형성하여 고정봉(120)에 삽입결합되게 할 수도 있다. 또는, 레일체결고리(200)의 일측에 소정의 형상을 갖는 결합부을 형성하고, 이 결합부와 고정봉(120)의 말단측을 동시에 함께 관통하는 핀홀을 형성하여, 이 핀홀에 핀을 삽입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레일체결고리(200)의 일측과 고정봉(120)의 말단측이 결합되는 방법이라면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레일체결고리(200)의 타측에는 철도레일(10)의 하측에 걸어맞춤되도록 걸림부(220)가 형성되는데, 이 걸림부(2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철도레일(10)의 하측에 걸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레일체결고리(200)의 타측을 상방으로 연장형성하고 연장형성된 부분에 홀을 천공하여 이음매(20)를 체결한 볼트(30A), 너트(30B)와 함께 체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고정봉(120)에 고정된 레일체결고리(20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봉(120)에 결합된 레일체결고리(200)의 양측의 제1고정수단(N1)으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예로서,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체결고리(200)의 결합부(210)와 결합되는 고정봉(120)의 결합부분에 볼트부(122)를 형성하고, 결합부(210)가 고정봉(120)에 결합된 후 결합부(210)의 양측에 제1고정수단(N1)인 너트로 고정하거나, 고정봉(120)과 결합부(210)를 동시에 관통하는 핀홀을 형성하여 핀으로 고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양측의 제1고정수단(N1)으로 레일체결고리(200)를 고정함으로써 고정봉(120)과 레일체결고리(200)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마지막으로, 레일체결고리(200)가 결합된 결합몸체(100)가 침목(1A)에 고정되도록 고정봉(120)을 고정시키는 베이스플레이트(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베이스플레이트(300)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말단부에 스파이크홀(320)이 형성되어 침목(1A)의 상측면에 스파이크볼트(S)로 결합되며, 양측에 파지홈(311, 312)이 형성되어 철도레일(10)과 침목(1A) 사이에서 철도레일(10) 을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레일체결고리(200)가 결합된 고정봉(120)이 일측 파지홈(311)에 파지된 상태로 침목(1A)에 고정하게 된다.
이처럼 결합몸체(10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봉(120)이 침목(1A)에 고정됨으로써, 결합몸체(100)와 체결된 철도레일(10)이 침목(1A)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이 베이스플레이트는 목침목에 구성되는 공지의 베이스플레이트(50),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클립(4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양측에 파지홈이 형성된 공지의 베이스플레이트(50)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공지의 베이스플레이트(50)를 사용하기 위해서 공지의 베이스플레이트(50) 파지홈과 결합될 수 있는 크기로 고정봉(120)의 지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지의 베이스플레이트(50)에 본 고안을 적용하면 간단한 설치작업만으로도 공지의 목침목에 설치가 가능하다.
다시말하면, 철도레일(10)이 침목(1A)에 고정되지 않은 구간에서, 철도레일(10)을 침목에 고정시킬 수 있는 새로운 침목들을 설치하기 위한 작업은 철도레일(10)을 제거 후 새로운 침목을 설치하고 다시 철도레일(10)을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과 작업시간이 오래걸리는 단점이 있지만, 본 실시예는 목침목에 설치된 공지의 베이스플레이트(50)에 본 고안의 결합몸체(100)와 레일체결고리(200)를 체결하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설치가 가능하므로 작업시간의 단축과 설치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베이스플레이트(300)에 파지되는 고정봉(120)은 양측의 제2고정수 단(N2)이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300)에 파지된 고정봉(120)의 파지부분에 볼트부(122)를 형성하고, 고정봉(120)이 일측 파지홈(311)에 파지된 후 베이스플레이트(300)의 양측에 제2고정수단(N2)인 너트로 고정하거나, 일측 파지홈(311)과 고정봉(120)을 동시에 관통하는 핀홀을 형성하여 핀으로 고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양측의 제2고정수단(N2)으로 고정봉(120)과 베이스플레이트(300)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한편, 베이스플레이트(300)는 타측 파지홈(312)에 또 하나의 결합몸체(100)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일측에 형성된 파지홈(311)에 하나의 결합몸체(100)를 결합시킨 후 레일체결고리(200)를 결합하여 철도레일(10)을 침목(1A)에 고정시키고, 타측에 형성된 파지홈(312)에 상기 결합몸체(100)와 접촉되지 않도록 또 하나의 결합몸체(100)를 결합시킨 후 레일체결고리(200)을 결합시켜 철도레일(10)을 침목(1A)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철도레일(10)의 양측에서 철도레일(10)을 침목(1A)에 고정시키면, 침목(1A)에 철도레일(10)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10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철도레일의 이음매 체결구가 설치된 사 시도, 도 11은 도 10의 D-D' 단면도, 도 12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철도레일의 이음매 체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철도레일의 이음매 체결구는 크게 결합몸체(100), 레일체결고리(200), 숄더부(400)로 구성된다.
결합몸체(100)와 레일체결고리(200)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고, 레일체결고리(200)가 결합된 결합몸체(100)가 침목(1B)에 고정되도록 고정봉(120)을 고정시키는 숄더부(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숄더부(400)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레일(10)과 접촉되는 침목(1B)의 양측에 하부가 침목(1B)에 매설되며 상부에 숄더홀(411, 412)이 형성된 숄더부(400)가 구성되되, 일측 숄더홀(411)에 고정봉(120)이 결합되어 고정하게 된다.
이처럼 결합몸체(10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봉(120)이 침목(1B)에 고정됨으로써, 결합몸체(100)와 체결된 철도레일(10)이 침목(1B)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이 숄더부(400)는 콘크리트침목에 구성되는 공지의 숄더부(60),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클립(4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콘크리트침목의 양측에 매설되는 공지의 숄더부(60)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공지의 숄더부(60)를 사용하기 위해서 공지의 숄더부(60)의 숄더홀과 결합될 수 있는 크기로 고정봉(120)의 지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지의 숄더부(60)에 본 고안을 적용하면 간단한 설치작업 만으로도 공지의 콘크리트침목에 설치가 가능하다.
다시말하면, 철도레일(10)이 침목(1)에 고정되지 않은 구간에서, 철도레일(10)을 침목에 고정시킬 수 있는 새로운 침목들을 설치하기 위한 작업은 철도레일(10)을 제거 후 새로운 침목을 설치하고 다시 철도레일(10)을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과 작업시간이 오래걸리는 단점이 있지만, 본 실시예는 콘크리트침목에 설치된 공지의 숄더부(60)에 본 고안의 결합몸체(100)와 레일체결고리(200)를 체결하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설치가 가능하므로 작업시간의 단축과 설치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숄더부(400)에 삽입되는 고정봉(120)은 양측의 제2고정수단(N2)이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숄더부(400)에 삽입된 고정봉(120)의 삽입부분에 볼트부(122)를 형성하고, 고정봉(120)이 일측 숄더홀(411)에 삽입된 후 숄더부(400)의 양측에 제2고정수단(N2)인 너트로 고정하거나, 일측 숄더홈(411)과 고정봉(120)을 동시에 관통하는 핀홀을 형성하여 핀으로 고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양측의 제2고정수단(N2)으로 고정봉(120)과 숄더부(400)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한편, 숄더부(400)는 타측 숄더홀(412)에 또 하나의 결합몸체(100)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일측에 형성된 숄더홀(411)에 하나의 결합몸체(100)를 결합시킨 후 레일 체결고리(200)를 결합하여 철도레일(10)을 침목(1B)에 고정시키고, 타측에 형성된 숄더홀(412)에 상기 결합몸체(100)와 접촉되지 않도록 또 하나의 결합몸체(100)를 결합시킨 후 레일체결고리(200)을 결합시켜 철도레일(10)을 침목(1B)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철도레일(10)의 양측에서 철도레일(10)을 침목(1B)에 고정시키면, 침목(1B)에 철도레일(10)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철도레일의 이음매 체결구에 의하면, 철도레일간의 단부를 연결하는 이음매로 인하여 레일클립을 설치할 수 없어서 철도레일이 침목에 고정되지 않은 구간에서, 철도레일을 침목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열차의 대형사고를 방지하고,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열차의 안전운행을 할 수 있다.
또한, 공지의 목침목이나 콘크리트침목을 교체하지 않고 공지의 베이스플레이트나 숄더에 철도레일 이음매 체결구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과 비용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결합몸체의 고정봉 및 레일체결고리가 각각의 양측에 결합되는 고정수단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함으로써 철도 운행시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한 열차의 불 안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철도레일의 양측에 이음매 체결구를 동시에 설치함으로써 철도레일이 침목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Claims (6)

  1. 철도레일(10)간의 단부를 연결하는 이음매(20)로 인하여 레일클립을 설치할 수 없어서 철도레일(10)이 침목(1)에 고정되지 않은 구간에서, 철도레일을 침목에 고정시키는 철도레일의 이음매 체결구로서,
    상기 철도레일(10)의 일측에 설치된 이음매(20)에 접촉되는 상부에는 수평하게 관통된 결합홀(110)이 형성되어, 상기 철도레일(10) 및 이음매(20)와 함께 체결수단(30A, 30B)으로 체결되고, 하부에는 철도레일(10)과 수평하도록 고정봉(120)이 일체로 형성된 결합몸체(100)와;
    일측에 형성된 결합부(210)를 개재해서 상기 고정봉(120)의 말단측에 결합되고, 타측에 형성된 걸림부(220)를 개재해서 철도레일(10)의 하측에 걸어맞춤되는 레일체결고리(200)와;
    양측에 파지홈(311, 312)이 형성되어 일측 파지홈(311)에 고정봉(120)이 결합되고, 양측 말단부에는 스파이크홀(320)이 형성되어 침목(1)의 상측면에 스파이크볼트(S)로 결합되고, 철도레일(10)의 하부를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의 이음매 체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몸체(100)의 고정봉(120)은 양측의 제2고정수단(N2)에 의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00)에 고정되고, 상기 레일체결고리(200)는 양측의 제1고정수 단(N1)에 의해서 상기 고정봉(120)의 말단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의 이음매 체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00)의 타측 파지홈(312)에도 결합몸체(100)가 결합되고, 이 결합몸체(100)의 고정봉(120)에 레일체결고리(20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의 이음매 체결구.
  4. 철도레일(10)간의 단부를 연결하는 이음매(20)로 인하여 레일클립을 설치할 수 없어서 철도레일(10)이 침목(1)에 고정되지 않은 구간에서, 철도레일을 침목에 고정시키는 철도레일의 이음매 체결구로서,
    상기 철도레일(10)의 일측에 설치된 이음매(20)에 접촉되는 상부에는 수평하게 관통된 결합홀(110)이 형성되어, 상기 철도레일(10) 및 이음매(20)와 함께 체결수단(30A, 30B)으로 체결되고, 하부에는 철도레일(10)과 수평하도록 고정봉(120)이 일체로 형성된 결합몸체(100)와;
    일측에 형성된 결합부(210)를 개재해서 상기 고정봉(120)의 말단측에 결합되고, 타측에 형성된 걸림부(220)를 개재해서 철도레일(10)의 하측에 걸어맞춤되는 레일체결고리(200)와;
    상기 철도레일(10)과 접촉되는 침목(1)의 접촉면 양측에 하부가 매설되며 상부에 숄더홀(411, 412)이 형성된 숄더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일측 숄더홀(411)에 상기 고정봉(120)이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의 이음매 체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몸체(100)의 고정봉(120)은 양측의 제2고정수단(N2)에 의해서 상기 숄더부(400)에 고정되고, 상기 레일체결고리(200)는 양측의 제1고정수단(N1)에 의해서 상기 고정봉(120)의 말단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의 이음매 체결구.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부(400)의 타측 숄더홀(412)에도 결합몸체(100)가 결합되고, 이 결합몸체(100)의 고정봉(120)에 레일체결고리(20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의 이음매 체결구.
KR2020060009503U 2006-04-10 2006-04-10 철도레일의 이음매 체결구 KR2004195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503U KR200419503Y1 (ko) 2006-04-10 2006-04-10 철도레일의 이음매 체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503U KR200419503Y1 (ko) 2006-04-10 2006-04-10 철도레일의 이음매 체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9503Y1 true KR200419503Y1 (ko) 2006-06-20

Family

ID=41768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9503U KR200419503Y1 (ko) 2006-04-10 2006-04-10 철도레일의 이음매 체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950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263B1 (ko) * 2011-03-22 2014-12-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Lm 레일 연결부 요동방지장치
CN111806993A (zh) * 2019-07-31 2020-10-23 Ats自动化加工系统公司 用于连接输送机轨道的适配衔接连接器系统和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263B1 (ko) * 2011-03-22 2014-12-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Lm 레일 연결부 요동방지장치
CN111806993A (zh) * 2019-07-31 2020-10-23 Ats自动化加工系统公司 用于连接输送机轨道的适配衔接连接器系统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625354A (en) Pipe supporting and anchoring means
US8302877B2 (en) Wheel guard device
KR200419503Y1 (ko) 철도레일의 이음매 체결구
JP2018523772A (ja) 平面交差を設置するための装置
KR100733978B1 (ko) 숄더 인발시험용 지그
US11124922B1 (en) Tie wrap-around for tie plate securement
KR100660007B1 (ko) 철도 레일 고정 구조
KR200256805Y1 (ko) 철도교량 침목 체결장치
KR200420420Y1 (ko) 철도교량의 침목체결구
WO2014118798A1 (en) An anti-theft elastic rail clip with anchor fastener
KR100888820B1 (ko) 레일에 직결체결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지지 장치
KR100881601B1 (ko) 레일에 직결체결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지지 장치
US4919330A (en) Quick release railroad highway crossing
KR100888819B1 (ko) 레일에 직결체결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지지 장치
JP2001049620A (ja) 鉄道の橋枕木固定用フックボルト
KR100817449B1 (ko) 교량용 철도 침목 체결부재
KR100881600B1 (ko) 레일에 직결체결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지지 장치
KR200410829Y1 (ko) 급커브 철도 레일의 체결장치
JP5852762B1 (ja) レール座屈および移動防止用保安装置
CN218861225U (zh) 一种轨枕道床阻力加强装置
JP4189533B2 (ja) 弾性レール締結装置
KR20050035828A (ko) 신축이음매장치의 레일 체결구조
KR200410833Y1 (ko) 결속 압착식 철도 레일 체결장치
KR101005223B1 (ko) 도난방지구를 가진 교량난간
KR100661608B1 (ko) 철도 레일의 침목간 탄성 체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