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7709B1 - 레이저 마킹기를 이용한 건조/반건조 오징어의 마킹 방법 - Google Patents

레이저 마킹기를 이용한 건조/반건조 오징어의 마킹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7709B1
KR100887709B1 KR1020070069979A KR20070069979A KR100887709B1 KR 100887709 B1 KR100887709 B1 KR 100887709B1 KR 1020070069979 A KR1020070069979 A KR 1020070069979A KR 20070069979 A KR20070069979 A KR 20070069979A KR 100887709 B1 KR100887709 B1 KR 100887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ed
marking
semi
laser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6547A (ko
Inventor
신정식
Original Assignee
신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식 filed Critical 신정식
Priority to KR1020070069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7709B1/ko
Publication of KR20090006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7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7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03Processing cephalop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Abstract

레이저 마킹기를 이용하여 건조 또는 반건조 오징어의 표면에 소정 문양 패턴을 마킹함으로써, 건조 또는 반건조 오징어에 대한 각종 정보를 직접 표시할 수 있고, 소비자가 건조 또는 반건조 오징어에 대한 품질을 신뢰하게 할 수 있는 레이저 마킹기를 이용한 건조/반건조 오징어의 마킹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레이저 마킹기를 이용한 건조/반건조 오징어의 마킹 방법이 제공된다. 레이저 마킹기를 이용한 건조/반건조 오징어의 마킹 방법은, a) 피가공물인 건조/반건조 오징어의 위치를 레이저 마킹기 상에 정렬하는 단계; b) 건조/반건조 오징어의 표면에 마킹할 문양 패턴을 입력하는 단계; c) 레이저 마킹기 내의 레이저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를 선택하는 단계; d) 문양 패턴에 대응하여 레이저 빔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마킹 제어신호의 펄스폭을 조절하는 단계; e) 마킹 제어신호의 마크 스텝(Mark step)을 조절하는 단계; f) 펄스폭 및 마크 스텝이 조절된 마킹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레이저 빔을 출력하는 단계; 및 g) 레이저 빔으로 건조/반건조 오징어의 표면에 문양 패턴을 마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마킹, 오징어, 건조/반건조, 레이저 마킹기, 문양 패턴, 펄스폭, 마크 스텝

Description

레이저 마킹기를 이용한 건조/반건조 오징어의 마킹 방법 {Marking method of dried/semidried cuttlefish using laser marking apparatus}
본 발명은 레이저 마킹기를 이용한 피가공물의 마킹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레이저 마킹기를 이용하여 건조 또는 반건조 오징어의 표면에 소정 문양을 마킹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레이저(laser)는 파장, 위상, 진행 방향이 같은 빛을 내는 광학 기기로서, 그 세기가 아주 강하고 멀리까지 퍼지지 않고 전달되는 단색광을 방출한다.
대부분의 광원은 다양한 파장의 빛을 방출하는데, 빛이 전파되어 나아가면서 퍼지게 되므로 광원에서 멀어지면 빛의 세기가 점점 작아진다. 이는 광원에서 실제로 빛을 방출하는 원자가 파장, 위상, 방향이 일정하지 않은 빛을 방출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레이저는 파장이 일정하고 결이 맞는 빛을 방출한다. 이에 따라 레이저빔(beam)은 그 세기가 강하고 한 가지 색을 띠며, 지름의 변화가 거의 없이 멀리까지 전달된다.
레이저 마킹은 이러한 레이저를 이용하여 피가공물에 소정 문양을 마킹하는 것으로, 레이저 마킹시, 표면이 깨끗하게 마킹되고, 위생적이며, 다양한 시각화 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므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피가공물은 각종 전자제품의 케이싱이나 광고물, 생활용품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레이저 마킹기는 그 구성과 방식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분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이산화탄소 가스(CO2)를 이용한 연속 발진 방식, 즉 CO2 지속파(Continuous Wave: CW) 방식을 채택한 레이저 마킹기가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레이저 마킹의 피가공물이 각종 전자제품의 케이싱이나 광고물, 생활용품 등에 한정되어 있고, 레이저 마킹이 개별적인 건어물, 식료품 등에는 적용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즉, 건어물 표면에 건어물에 대한 정보나 로고 표시가 부재하므로 건어물의 품질 등을 신뢰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레이저 마킹기를 이용하여 건조 또는 반건조 오징어의 표면에 소정 문양 패턴을 마킹함으로써, 건조 또는 반건조 오징어에 대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레이저 마킹기를 이용한 건조/반건조 오징어의 마킹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건조 또는 반건조 오징어 표면에 대한 각종 정보를 직접 표시하여 소비자가 건조 또는 반건조 오징어에 대한 품질을 신뢰하게 할 수 있는 레이저 마킹기를 이용한 건조/반건조 오징어의 마킹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마킹기를 이용한 건조/반건조 오징어의 마킹 방법은, a) 피가공물인 건조/반건조 오징어의 위치를 레이저 마킹기 상에 정렬하는 단계; b) 상기 건조/반건조 오징어의 표면에 마킹할 문양 패턴을 입력하는 단계; c) 상기 레이저 마킹기 내의 레이저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를 선택하는 단계; d) 상기 문양 패턴에 대응하여 레이저 빔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마킹 제어신호의 펄스폭을 조절하는 단계; e) 상기 마킹 제어신호의 마크 스텝(Mark step)을 조절하는 단계; f) 상기 펄스폭 및 마크 스텝이 조절된 마킹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레이저 빔을 출력하는 단계; 및 g) 상기 레이저 빔으로 상기 건조/반건조 오징어의 표면에 상기 문양 패턴을 마킹하는 단계를 포함 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c) 단계의 발진주파수는 Q-스위칭(Q-sw) 발진주파수로서, 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d) 단계의 펄스폭은 레이저 빔의 개별 펄스폭을 조절하여 펄스의 사용 범위를 지정하며, 상기 d) 단계의 펄스폭은, 상기 피가공물이 건조 오징어인 경우, 70 내지 90% 범위 내에서 조절되며, 상기 피가공물이 반건조 오징어인 경우, 80 내지 90% 범위 내에서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e) 단계의 마크 스텝은, 상기 피가공물이 건조 오징어인 경우, 3 내지 5 범위 내에서 조절되며, 상기 피가공물이 반건조 오징어인 경우, 3 내지 4 범위 내에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저 마킹기를 이용하여 건조 또는 반건조 오징어의 표면에 소정 문양 패턴을 마킹함으로써, 건조 또는 반건조 오징어에 대한 각종 정보를 직접 표시할 수 있고, 소비자가 건조 또는 반건조 오징어에 대한 품질을 신뢰하게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마킹기를 이용한 건조/반건조 오징어의 마킹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레이저 마킹기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컴퓨터 시스템(100)에 의해 제어되는 레이저 발진기(210) 및 상기 레이저 발진기(210)에서 출력되는 레이저빔을 피가공물(300)의 표면에 주사(Scanning)하는 빔 스캐너(220)를 구비한 레이저 마킹키(200)에 의해 피가공물(300)에 대한 스크래치 가공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컴퓨터 시스템(100)에는 예를 들면, 통상의 레이저 마킹기에 채용되는 소정의 레이저 주사 제어 소프트웨어가 탑재되어, 피가공물(300)에 형성될 문양 패턴에 대응되는 마킹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레이저 발진기(210)와 빔 스캐너(220)는 전원을 비롯한 상기 마킹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문양 패턴에 상응하는 레이저 빔을 피가공물(300)에 주사한다. 여기서, 레이저 발진기(210)로는 예를 들면, CO2 레이저나 Nd:YAG 레이저가 채용될 수 있다. 또한, 빔 스캐너(220)는 피가공물(300)의 가공표면에 대하여 X축 및 Y축 주사가 가능한 한 쌍의 가동 미러(221, 222)와, 피가공물(300)에 조사될 빔 스폿(Beam spot) 사이즈를 결정하는 집속 렌즈계(223)와, 상기 가동 미러((221, 222)를 구동하는, 예를 들면 갈바노미터(Galvanometer)에 해당하는 구동수단(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피가공물(300)은 건조 또는 반건조 오징어이며, 상기 건조 또는 반건조 오징어의 표면에 소정 문양이 마킹된다. 이때, 건조 또는 반건조 오징어는 식품이므로 마킹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며, 상기 건조 또는 반건조 오징어의 표면에 입사된 레이저는 소정 문양을 형성하지만, 상기 건조 또는 반건조 오징어의 맛 등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레이저 마킹기(200)에서 출력되는 레이저는 펄스 형태로 나오는데 그 가변 영역은 5~60 ㎑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마킹기를 이용한 건조/반건조 오징어의 마킹 방법은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마킹기를 이용한 건조/반건조 오징어의 마킹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마킹기를 이용한 건조/반건조 오징어의 마킹 방법은, 먼저, 피가공물인 건조/반건조 오징어의 위치를 레이저 마킹기 상에 정렬한다(S210). 이때, 건조/반건조 오징어는 이동하지 않으며, 상기 레이저 마킹기로부터 발산된 레이저가 문양 패턴에 따라 수평 및 수직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건조/반건조 오징어의 표면에 마킹할 문양 패턴을 입력한다(S220). 즉, 상기 문양 패턴은 컴퓨터 시스템을 통해 상기 레이저 마킹기에 입력된다.
다음으로, 상기 레이저 마킹기 내의 레이저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를 선택한다(S230). 이때, 발진주파수는 Q-스위칭(Q-sw) 발진주파수로서, 10㎑일 수 있지만, 다른 방식의 레이저 발진기의 경우에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Q 스위칭(Q switching)은 레이저 광 펄스 출력 빔을 만드는 기법의 하나로서, 레이저 발진기의 Q값이 떨어진 상태에서 여기하여, 레이저 매질에 충분한 에너지를 축적한 후 갑자기 Q값을 올리면 발진이 시작됨으로써, 축적되었던 에 너지가 빠르고 예리한 광 펄스로 방출된다. 이러한 Q 스위칭 방법은 높은 피크 출력과 폭이 좁은 광 펄스를 얻는 데 이용된다. 예를 들면, 유리 레이저, 이산화탄소(CO2) 레이저에서 Q 스위칭을 이용하면 수 GW 이상의 출력을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문양 패턴에 대응하여 레이저 빔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마킹 제어신호의 펄스폭 및 마크 스텝(Mark step)을 조절한다(S240, S250). 이때, 펄스폭은 레이저 빔의 개별 펄스폭을 조절하여 펄스의 사용 범위를 지정하게 되는데, 상기 펄스폭은, 상기 피가공물이 건조 오징어인 경우, 70 내지 90% 범위 내에서 조절되며, 상기 피가공물이 반건조 오징어인 경우, 80 내지 90% 범위 내에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크 스텝은, 상기 피가공물이 건조 오징어인 경우, 3 내지 5 범위 내에서 조절되며, 상기 피가공물이 반건조 오징어인 경우, 3 내지 4 범위 내에서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절되는 값은 반복적인 실험에 의해 구해진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펄스폭 및 마크 스텝이 조절된 마킹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레이저 빔을 출력한다(S260).
다음으로, 상기 레이저 빔으로 상기 건조/반건조 오징어의 표면에 상기 문양 패턴을 마킹한다(S270). 이때, 상기 문양 패턴은 상기 건조/반건조 오징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그 표면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건조/반건조 오징어의 맛 또는 크기 등의 특성에 변화를 주지 않아야 한다.
만일, 상기 건조/반건조 오징어의 표면에 마킹된 문양의 상태가 양호한지 여부를 확인하여(S280), 문양의 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경우, 상기 S230 내지 S270 단 계를 반복하여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마킹기를 이용한 건조/반건조 오징어의 마킹 방법에서, 전술한 각각의 단계 중에서 일부 단계는 그 처리 순서가 달라질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마킹기를 이용한 건조 오징어의 마킹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마킹기를 이용한 건조 오징어의 마킹 방법은, 먼저, 피가공물인 건조 오징어의 위치를 레이저 마킹기 상에 정렬하고(S310), 상기 건조 오징어의 표면에 마킹할 문양 패턴을 입력하게 된다(S320).
다음으로, 상기 레이저 마킹기 내의 레이저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를 10㎑로 선택한다(S330).
다음으로, 상기 문양 패턴에 대응하여 레이저 빔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마킹 제어신호의 펄스폭을 70 내지 90% 범위로 조절하고(S340), 또한 상기 마킹 제어신호의 마크 스텝을 3 내지 5 범위로 조절한다(S350).
다음으로, 상기 펄스폭 및 마크 스텝이 조절된 마킹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레이저 빔을 출력하고(S360), 상기 레이저 빔으로 상기 건조 오징어의 표면에 상기 문양 패턴을 마킹하게 된다(S370).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마킹기를 이용한 반건조 오징어의 마킹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마킹기를 이용한 반건조 오징어의 마킹 방법은, 먼저, 피가공물인 반건조 오징어의 위치를 레이저 마킹기 상에 정렬하고(S410), 상기 반건조 오징어의 표면에 마킹할 문양 패턴을 입력한다(S420).
다음으로, 상기 레이저 마킹기 내의 레이저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를 10㎑로 선택한다(S430).
다음으로, 상기 문양 패턴에 대응하여 레이저 빔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마킹 제어신호의 펄스폭을 80 내지 90% 범위로 조절하고(S440), 또한 상기 마킹 제어신호의 마크 스텝을 3 내지 4 범위로 조절한다(S450).
다음으로, 상기 펄스폭 및 마크 스텝이 조절된 마킹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레이저 빔을 출력하고(S460), 상기 레이저 빔으로 상기 반건조 오징어의 표면에 상기 문양 패턴을 마킹하게 된다(S470).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킹 범위 및 레이저 변수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마킹시 주요 변수로는 마크 스텝(Mark Step), Q-sw 주파수 및 Q-sw 펄스폭이 있다.
먼저, 마크 스텝은 마킹시 시작점을 0이라 할 때 다음 구간까지의 벡터 값으로서, 레이저가 이동 하는 최소의 단위가 된다. 여기서, 상기 마크 스텝 값이 작은 경우, 개별 펄스의 마킹 거리가 짧아지고, 마킹 속도는 느려지지만, 대신에 동일 출력 상에서 마킹 표면의 깊이(Depth)가 깊어지고, 상기 마크 스텝 값이 지나치 게 작은 경우 피가공물의 표면이 탈 수 있다. 상기 마크 스텝 값이 크면, 개별 펄스의 마킹 거리가 길어지고, 마킹 속도가 빨라지지만, 대신에 동일 출력 상에서 마킹 표면의 깊이가 짧아지고, 상기 마크 스텝 값이 지나치게 크면 마킹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마크 스텝의 범위는 1~10이다.
Q-sw 주파수는 초당 레이저 펄스를 나타내며, 조정 가능하다. 통상적으로 레이저의 주파수가 낮으면 펄스의 피크 파워가 증가하고, 높으면 감소한다. 이에 따라, 주파수가 낮으면, 같은 속도에서 깊이가 깊어지고, 주파수가 크면 같은 속도에서 깊이가 짧아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Q-sw 주파수는 10㎑이다.
Q-sw 펄스폭은 발진주파수에 따라 변하는 펄스의 폭을 나타내며, 그 단위가 %로서, 1~99%의 범위로 표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별 펄스폭 조절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Q-sw 펄스폭은 레이저 Q-sw 펄스폭은 발진주파수에 따라 변하지만, 발생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위 개별 펄스의 폭을 조절하여 펄스의 사용 범위를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은 60%로 지정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 오징어의 레이저 마킹의 실험 예를 나타내는 테이블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건조 오징어의 레이저 마킹의 실험 예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 오징어의 레이저 마킹의 실험 예에서, 우수, 양호 또는 보통으로 구분되는 것을 예시한다.
먼저, 마크 스텝은 그 범위가 1~10으로서, 10을 넘어 가면 표기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Q-sw 발진 주파수는 그 단위가 ㎑로서, 1~60㎑의 가변 범위를 갖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10㎑일 수 있다. 예를 들면, Q-sw 발진 주파수가 1~9㎑인 경우, 피가공물인 건조/반건조 오징어가 타는 현상이 발생하며, 11~60㎑인 경우, 문양 패턴이 흐릿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Q-sw 펄스폭은 그 단위를 %로 표시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40~90%의 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1~39%의 Q-sw 펄스폭은 문양 패턴이 흐릿해지며, 91~100%의 Q-sw 펄스폭은 건조/반건조 오징어가 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 오징어의 표면상에 문양 패턴의 마킹 가능한 범위는, 마크 스텝은 1~10, Q-sw 주파수는 10㎑, 그리고 Q-sw 펄스폭은 40~95%이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양 패턴의 마킹 가능한 최적의 범위는 마크 스텝은 3~5, Q-sw 주파수는 10㎑, 그리고 Q-sw 펄스폭은 70~90%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건조 오징어의 레이저 마킹의 실험 예에서, 우수, 양호 또는 보통으로 구분되는 것을 예시한다.
먼저, 마크 스텝은 그 범위가 1~10으로서, 10을 넘어 가면 표기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Q-sw 발진 주파수는 그 단위가 ㎑로서, 1~60㎑의 가변 범위를 갖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10㎑일 수 있다. 예를 들면, Q-sw 발진 주파수가 1~9㎑인 경우, 피가공물인 건조/반건조 오징어가 타는 현상이 발생하며, 11~60㎑인 경우, 문양 패턴이 흐릿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Q-sw 펄스폭은 그 단위를 %로 표시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40~90%의 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1~39%의 Q-sw 펄스폭은 문양 패턴이 흐릿해지며, 91~100%의 Q-sw 펄스폭은 건조/반건조 오징어가 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양 패턴의 반건조 오징어의 표면상에 마킹 가능한 범위는, 마크 스텝은 1~10, Q-sw 주파수는 10㎑, 그리고 Q-sw 펄스폭은 40~95%이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양 패턴의 마킹 가능한 최적의 범위는 마크 스텝은 3~4, Q-sw 주파수는 10㎑, 그리고 Q-sw 펄스폭은 80~90%이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마킹된 오징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 또는 반건조 오징어(300)의 표면에 레이저 마킹한 것을 나타내며, 도면부호 A는 마킹 범위 내에서 문양 패턴이 양호하게 마킹된 것을 나타내고, 도면부호 B는 마킹 범위를 벗어남으로써 문양 패턴이 불량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가공물이 건조 또는 반건조 오징어라는 건어물이기 때문에 마킹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되어야만 원하는 문양 패턴을 마킹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레이저 마킹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마킹기를 이용한 건조/반건조 오징어의 마킹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마킹기를 이용한 건조 오징어의 마킹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마킹기를 이용한 반건조 오징어의 마킹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킹 범위 및 레이저 변수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별 펄스폭 조절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 오징어의 레이저 마킹의 실험 예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건조 오징어의 레이저 마킹의 실험 예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마킹된 오징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컴퓨터 시스템 200: 레이저 마킹기
210: 레이저 발진기 220: 빔 스캐너
221, 222: 가동 미러(Mirror) 223: 집속 렌즈계
300: 피가공물(건조/반건조 오징어)

Claims (4)

  1. 레이저 마킹기를 이용한 마킹 방법에 있어서,
    a) 피가공물인 건조/반건조 오징어의 위치를 레이저 마킹기 상에 정렬하는 단계;
    b) 상기 건조/반건조 오징어의 표면에 마킹할 문양 패턴을 입력하는 단계;
    c) 상기 레이저 마킹기 내의 레이저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를 선택하는 단계;
    d) 상기 문양 패턴에 대응하여 레이저 빔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마킹 제어신호의 펄스폭을 조절하는 단계;
    e) 상기 마킹 제어신호의 마크 스텝(Mark step)을 조절하는 단계;
    f) 상기 펄스폭 및 마크 스텝이 조절된 마킹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레이저 빔을 출력하는 단계; 및
    g) 상기 레이저 빔으로 상기 건조/반건조 오징어의 표면에 상기 문양 패턴을 마킹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c) 단계의 발진주파수는 Q-스위칭(Q-sw) 발진주파수로서,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마킹기를 이용한 건조/반건조 오징어의 마킹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펄스폭은 레이저 빔의 개별 펄스폭을 조절하여 펄스의 사용 범위를 지정하며, 상기 피가공물이 건조 오징어인 경우, 상기 펄스폭은 70 내지 90% 범위 내에서 조절되고, 상기 피가공물이 반건조 오징어인 경우, 상기 펄스폭은80 내지 90% 범위 내에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마킹기를 이용한 건조/반건조 오징어의 마킹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의 마크 스텝은, 상기 피가공물이 건조 오징어인 경우, 3 내지 5 범위 내에서 조절되고, 상기 피가공물이 반건조 오징어인 경우, 3 내지 4 범위 내에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마킹기를 이용한 건조/반건조 오징어의 마킹 방법.
KR1020070069979A 2007-07-12 2007-07-12 레이저 마킹기를 이용한 건조/반건조 오징어의 마킹 방법 KR100887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979A KR100887709B1 (ko) 2007-07-12 2007-07-12 레이저 마킹기를 이용한 건조/반건조 오징어의 마킹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979A KR100887709B1 (ko) 2007-07-12 2007-07-12 레이저 마킹기를 이용한 건조/반건조 오징어의 마킹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547A KR20090006547A (ko) 2009-01-15
KR100887709B1 true KR100887709B1 (ko) 2009-03-12

Family

ID=40487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979A KR100887709B1 (ko) 2007-07-12 2007-07-12 레이저 마킹기를 이용한 건조/반건조 오징어의 마킹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77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34742A1 (en) * 2017-11-03 2019-05-09 Powertech Technology Inc. Method for laser mark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0117A (ja) 1996-12-26 1998-07-21 Nec Corp レーザ加工装置
KR20030028125A (ko) * 2001-09-27 2003-04-08 신용진 마킹위치 자동 추적 가능한 레이저 마킹 시스템과 그시스템에서의 마킹위치 자동 추적 마킹 방법
KR100400259B1 (ko) * 2001-06-18 2003-10-01 신용진 레이저 마킹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0117A (ja) 1996-12-26 1998-07-21 Nec Corp レーザ加工装置
KR100400259B1 (ko) * 2001-06-18 2003-10-01 신용진 레이저 마킹 방법
KR20030028125A (ko) * 2001-09-27 2003-04-08 신용진 마킹위치 자동 추적 가능한 레이저 마킹 시스템과 그시스템에서의 마킹위치 자동 추적 마킹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547A (ko) 200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1362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носа изображения на деревянное основание с помощью лазерного луча
US494702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ll dulling by pulse laser beam
US6490299B1 (en) Method and laser system for generating laser radiation of specific temporal shape for production of high quality laser-induced damage images
JP2010264494A (ja) レーザ加工装置及びレーザ加工方法
US10919110B2 (en) Data generating device setting machining condition suitable for foil placed on workpiece to be machined by irradiating laser beam thereon
JP5558286B2 (ja) レーザーマーキング装置、レーザーマーカ用の加工条件設定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887709B1 (ko) 레이저 마킹기를 이용한 건조/반건조 오징어의 마킹 방법
JP6604078B2 (ja) レーザ加工装置
JP6213501B2 (ja) レーザ加工装置、レーザ加工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JP2008062259A (ja) レーザ加工装置、レーザ加工方法及びレーザ加工プログラム
JP2008062257A (ja) レーザ加工装置及びレーザ加工方法
JP2008126277A (ja) レーザ加工装置、及び、レーザ加工方法
WO2016052385A1 (ja) 記憶媒体及びレーザ加工装置
JP2002252402A (ja) レーザ発振器およびそのレーザパルス制御方法
JP2021144406A (ja) 加工順決定装置、レーザ加工装置、及びレーザ加工方法
JP6269554B2 (ja) ビーム加工装置
JP2008194709A (ja) レーザ加工方法
JP4993986B2 (ja) レーザ加工装置
KR100400259B1 (ko) 레이저 마킹 방법
JP6693449B2 (ja) レーザ加工装置、加工データ生成装置
JP2002244059A (ja) レーザビーム走査装置
KR102176048B1 (ko) 레이저 최대출력증폭용 펄스형성장치 및 방법
JP2003188446A (ja) レーザ加工のパルス安定化方法
JP2004322193A (ja) レーザマーキング装置
JPH10156560A (ja) レーザマーキング装置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