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7569B1 - 에어쿠션 기능이 부가된 펜 - Google Patents

에어쿠션 기능이 부가된 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7569B1
KR100887569B1 KR1020070106621A KR20070106621A KR100887569B1 KR 100887569 B1 KR100887569 B1 KR 100887569B1 KR 1020070106621 A KR1020070106621 A KR 1020070106621A KR 20070106621 A KR20070106621 A KR 20070106621A KR 100887569 B1 KR100887569 B1 KR 100887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air
weight
pen
attachmen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대규
Original Assignee
장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대규 filed Critical 장대규
Priority to KR1020070106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75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7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7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8Holders comprising finger g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02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4Thermoplastic elastomer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쿠션 기능이 부가된 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형 기둥형상의 그립부착부재 양측에 기밀유지돌기가 형성된 내접면부가 형성되고, 그 내접면부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공기가 수용되는 에어수용부가 구비되도록 에어수용돌기를 다 단으로 형성시키며, 내주 면에 기밀유지홈이 형성된 그립체를 상기 그립부착부재에 삽입 끼우고, 기밀유지홈돌기에 기밀유지홈을 결합시킴으로써 그립부 내부에 공기가 밀폐유지되면서 에어쿠션 작용을 하여, 그립감이 좋고, 장시간 사용시 피로를 줄이고, 조립이 용이하도록 발명된 것이다.
에어, 그립부, 펜, 필기구, 에어쿠션

Description

에어쿠션 기능이 부가된 펜{THE PEN HAVING AIR-CUSHION}
본 발명은 에어쿠션 기능이 부가된 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형 기둥형상의 그립부착부재 양측에 기밀유지돌기가 형성된 내접면부가 형성되고, 그 내접면부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공기가 수용되는 에어수용부가 구비되도록 에어수용돌기를 다 단으로 형성시키며, 내주 면에 기밀유지홈이 형성된 그립체를 상기 그립부착부재에 삽입 끼우고, 기밀유지홈돌기에 기밀유지홈을 결합시킴으로써 그립부 내부에 공기가 밀폐유지되면서 에어쿠션 작용을 하여, 그립 감이 좋고, 장시간 사용시 피로를 줄이고, 조립이 용이하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은 그립부 내부에 공기를 밀폐유지시켜 에어쿠션 작용을 하는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손잡이 부분인 그립부는 에어쿠션과 연질 탄성재인 그립체에 의해 손가락의 부담을 최소한으로 주는 에어쿠션 기능이 부가된 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필기구 본체의 그립 부분에는 연질재료로 만든 고무재나 별도의 미끄럼방지재 등이 덧대어진 통 형상의 그립체를 장착한 필기구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별도의 소재로 덧대어진 손잡이 부분을 그립이라고 한다.
그리고, 도 1의 종래 그립체(3)의 단면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그립체(3)의 내면에 길이방향으로 단이 형성되도록 단(4)을 돌출시키고, 원주 방향으로 다 단 형성하여, 그립체(3)가 필기구에 결합 되어 단(4)과 단(4) 사이에 수용된 공기로 인해 쿠션 작용을 하도록 제작 사용되어 지고 있다.
그러나, 그립체(3) 내부에 형성된 단(4)을 이용해 공기를 수용할 경우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그립체(3)를 파지하였을 경우, 상기 그립체(3)의 양단으로 공기가 아무런 저항 없이 빠져버려 에어쿠션 작용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내부에 형성된 단(4)의 높이만을 이용해 단순하게 필기구에 지지 되는 구성으로, 단(4)과 단(4) 사이를 파지했을 경우 그립체(3)의 탄성에 의해서만 쿠션작용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그립체(3) 내면에 단(4)을 형성하여 공기를 수용할 경우, 손으로 상기 그립체(3)를 움켜지게 되면, 연질재료로 형성된 그립체(3)는 손가락이 압압되는 곳에 형성된 단(4)과 같이 동시에 탄성 변형이 되고, 내부의 수용된 공기가 변형이 된 단(4)과 단(4) 사이로 쉽게 빠져버려 쿠션작용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필기구와 그립체를 조립하는 조립공정에서 기존의 필기구는 그립체의 내면과 접하여 끼워지는 필기구의 외면이 상호 면 접촉되어 마찰계수가 커져 조립의 어려움이 있었으며, 마찰계수를 줄이기 위하여 윤활제 또는 실리콘 등을 끼워지는 부위에 도포하고 삽입해야 하는 공정을 추가해야 하므로, 제작공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려 단가가 상승하고,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그립부 내부에 공기가 수용되는 에어수용부를 복수 개 형성시켜, 손가락으로 파지시 에어부용부에 수용된 공기로 인해 에어쿠션 작용을 할 수 있는 에어쿠션 기능이 부가된 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립부 양측으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에어수용돌기와 에어수용홈을 이용하여, 내부를 밀폐시켜 공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에어쿠션 기능이 부가된 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립부착부재와 그립체의 조립공정을 간단하게 하여 제작단가를 줄이고 작업효율이 상승 되는 에어쿠션 기능이 부가된 펜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립부착부재의 외면에 연질 탄성재의 그립체가 삽입되어 끼워지는 그립부를 갖는 펜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원형의 기둥 형상체의 외주 면에 일정간격 이격 돌출되어 다 단으로 에어수용돌기가 형성된 그립부착부재와;
상기 에어수용돌기의 외주 면과 그립체의 내주 면이 밀착되어 다 단으로 형성된 에어수용돌기 사이에 에어가 수용되는 에어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를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파지하면 에어수용부의 에어가 에어쿠션 작용을 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그립부(2)는 그립부착부재(10)의 양측으로 그립체(20)의 내주면과 면 접촉되어 1차로 기밀을 유지시키는 내접면부(13a,13b)가 형성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그립부착부재(10)는 양측으로 형성된 내접면부(13a,13b)의 일측 외주 면에 기밀유지돌기(14a,14b)가 형성되고, 그립체(20)의 양측 내주 면에 기밀유지홈(21a,21b)이 형성되어, 그립체(20)를 그립부착부재(10)에 끼우고 상기 양측에 형성된 기밀유지홈(21a,21b)이 기밀유지돌기(14a,14b)에 결합 되어 상기 그립부(2)의 내부를 2차 기밀유지시켜 밀폐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그립부 내부에 수용된 공기를 내접면부와 그립체의 내주 면이 면 접촉하여 1차 기밀을 유지하고, 기밀유지돌기와 기밀유지홈의 밀폐 결합으로 인해 2차 기밀을 유지하게 됨으로써, 내부에 수용된 공기가 에어쿠션 작용을 하여, 그립감이 좋고, 사용자가 그립부를 잡고 장시간 사용시 손가락의 피로를 줄이고, 물집이 잡히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필기구를 잡기 싫어 하는 아이들에게도 손가락에 전해지는 소프트한 쿠션 감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필기를 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람마다 필기구를 잡는 파지 방법이 다르거나 손가락의 크기가 크거나 작은 사람도 그립부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어 필기시 필기구에 의해 손가락으로 전해지는 고통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그립부착부재와 그립체의 조립이 윤활제 등의 도포 없이도 손쉽게 조립됨으로써, 조립공정을 단순화시키고, 제작단가가 줄어들며, 이로 인한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에어쿠션 기능이 부가된 펜은,
그립부착부재의 외면에 연질 탄성재의 그립체가 삽입되어 끼워지는 그립부를 갖는 펜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원형의 기둥 형상체의 외주 면에 일정간격 이격 돌출되어 다 단으로 에어수용돌기가 형성된 그립부착부재와;
상기 에어수용돌기의 외주 면과 그립체의 내주 면이 밀착되어 다 단으로 형성된 에어수용돌기 사이에 에어가 수용되는 에어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를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파지하면 에어수용부의 에어가 에어 쿠션작용을 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그립부는 그립부착부재의 양측 외주 면에 기밀유지돌기가 형성되고, 그립체의 양측 내주 면에 기밀유지홈이 형성되어, 그립체를 그립부착부재에 끼우고 상기 양측에 형성된 기밀유지홈이 기밀유지돌기에 결합 되어 상기 그립부의 내부가 밀폐 유지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쿠션 기능이 부가된 펜의 종래 필기구에 사용되는 그립체를 단면도에서 나타낸 것으로, 그립체 내부에 단이 복수 개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쿠션 기능이 부가된 펜의 결합상태의 일 실시 예를 사시도에서 나타낸 것으로, 필기구 본체에 그립부가 결합 되고, 그 그립부 내부에는 에어수용부가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쿠션 기능이 부가된 펜의 그립부착부재를 정면도에서 나타낸 것으로, 양측으로 내접면부가 형성되고, 그 내접면부 일측에 기밀유지 돌기가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쿠션 기능이 부가된 펜의 에어수용돌기가 형성되는 형상의 일실시 예를 정면도에서 나타낸 것으로, 그립부착부재의 외주면에 에어수용돌기가 "X"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쿠션 기능이 부가된 펜의 에어수용돌기가 형성되 는 형상의 일실시 예를 정면도에서 나타낸 것으로, 그립부착부재의 외주면에 에어수용돌기가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쿠션 기능이 부가된 펜의 그립체를 단면도에서 나타낸 것으로, 그립체의 양측에 기밀유지홈이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쿠션 기능이 부가된 펜의 그립부의 내부구성을 단면도에서 나타낸 것으로, 그립부착부재에 그립체가 삽입 끼워지고 에어수용돌기 사이에 에어수용부가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쿠션 기능이 부가된 펜의 조립 상태를 분해사시도 에서 나타낸 것으로, 그립체와 그립부착부와 필기구 본체가 결합 되는 구성을 보이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쿠션 기능이 부가된 펜의 실제 사용상태의 일실시 예를 사진에서 나타낸 것으로, 그립부착부재에 부분 단면처리된 그립체가 끼워진 구성을 보이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쿠션 기능이 부가된 펜의 실제 사용상태의 일실시 예를 사진에서 나타낸 것으로, 필기구 본체에 에어쿠션 기능이 부가된 그립부가 결합된 것을 보이고 있다.
즉, 도 2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필기용 펜의 손가락이 파지되는 부위가 에어쿠션 작용으로 인해 부드러운 그립감을 주기 위한 구성으로, 필기구 본체(1)의 그립부(2)는 그립부착부재(10)와 그립체(20)로 형성된다.
상기 필기구 본체(1)에 결합 되는 그립부착부재(10)는 원형의 기둥형상으로 후술 될 그립체(20)가 내접 되도록 양측으로 형성된 내접면부(13a,13b)와, 그 내접면부(13a,13b)의 일측 외주 면에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고, 기밀을 유지하도록 돌출 형성된 기밀유지돌기(14a,14b)와, 상기 내접면부(13a,13b) 사이에는 다 단으로 형성되고,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소정길이로 돌출형성되는 에어수용돌기(11)를 포함한다.
그립체(20)는 연질의 탄성 재료로 성형 되고, 외면은 원형상이며, 내면은 그립부착부재(10)와 삽입 결합 되고, 양측 내주 면에 상기 기밀유지돌기(14a,14b)와 끼움 겹합 되도록 기밀유지홈(21a,21b)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쿠션 기능이 부가된 펜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부착부재(10)는 공기를 수용하도록 에어수용돌기(11)가 외주 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수용돌기(11)는 내접면부(13a,13b)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고, 공기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다 단으로 형성되도록 5~7개 형성된다.
그 이유는, 에어수용돌기(11)가 5개 이하로 형성되었을 경우 에어수용돌기 (11)사이가 너무 멀기 때문에 필기구 본체(1)의 그립부(2)를 손가락으로 파지하고 사용시 에어쿠션 작용이 손가락의 압력을 지지할 만큼의 힘을 얻지 못하고 에어가 빠져버리며, 에어수용돌기(11)가 7개 이상일 경우 에어수용돌기(11) 사이가 가까워 에어쿠션 작용을 할만큼의 에어를 수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에어수용돌기(11)는 5~7개 사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에어수용돌기(11) 사이에는 공기가 수용된 채로 그립체(20)가 끼워지면, 그 그립체(20)의 내주 면과 에어수용돌기(11)의 외주 면이 접하면서 에어수용부(30)의 공기를 밀폐시키는 것이다.
또한, 그립부(2)에 에어수용부(30)가 구비되도록 에어수용돌기(11)가 돌출 형성되는 실시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부착부재(10)의 외 측면에 에어수용돌기(11a)가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X"자로 돌출되어 공기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도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부착부재(10)의 외 측면에 에어수용돌기(11b)가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시켜 공기가 수용 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이들 실시 예는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여기서, 도 5 내지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그립체(20)를 상기 그립부착부재(10)에 끼울 시 그립체(20)의 내면과 접촉되는 부분은 접촉면적이 작은 에어수용돌기(11)의 외주 면이 되므로 마찰계수가 작아 끼움이 용이하여 윤활제가 필요 없이 간단하게 끼움 결합할 수 있어, 설치공정이 간단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며,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연질 탄성재의 그립체(20)는 시스-1,4-폴리이소프렌(cis-1,4-polyisoprene) 함량이 98%이상인 말레시안산 천연고무(Natural rubber) 20 ~ 25중량%,
시스-부타디엔(cis-butadiene) 함량이 98%이고, 유리전이 온도(Tg)가 -104℃, 평균무게 분자량(Mw)이 42만인 부타디엔(Butadiene) 30 ~ 45중량%,
폴리프로필렌 1 ~ 5중량%,
스테아린산 1 ~ 10중량%,
육방정계 wurzite 구조의 산화아연(ZnO) 2 ~ 15중량%,
카본블랙(Carbon black) 10 ~ 30중량%,
유황 1 ~ 6중량%,
티아졸, 설펜 아마이드계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가류촉진제 1 ~ 6중량%의 혼합으로 조성된 혼합물을 0.5 ~ 5분간 상온에서 혼련교반한 다음 5 ~ 30분 간 대기중에 방치하였다가 다시 혼련교반한 다음 냉각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연고무는 20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내구성 및 제작이 용이하지 않고, 25중량%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유황 등의 성분 함량이 줄어 가류가 잘 일어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천연고무는 전체함량에 대해 20 ~ 25중량%의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부타디엔(Butadiene)의 함량 또한 제품의 내구성 및 탄력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그 함량을 30 ~ 45중량%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아연은 상온에서 wurzite 구조의 II-VI족 화합물 반도체로 우수한 전기적 특성, 압전 특성, 광학적 특성으로 인해 가스 센서, 압전 소자, 투명 전극 등 여러 분야에 응용되어 왔던 물질로 내구성 및 탄성을 고려하여 2 ~ 15중량%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본블랙(Carbon black)은 보강성을 부여하는 중요한 첨가제로써 그 분산 정도는 고무 블렌드의 물성에 영향을 미친다. 카본블랙이 고무 블렌드에 분산될 때 완전히 균일하게 분산되지는 않으며 분산된 고무의 입경을 작게 해 준다. 카본블랙의 경우 10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내구성이 떨어지고, 30중량%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탄성력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카본블랙은 10 ~ 30중량%의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황은 가류고정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인자로서, 이를 첨가하지 않을 경우 열을 아무리 오래 주어도 황변만 발생할 뿐 가류는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1중량% 미만으로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미가류될 수 있어 탄성력이 떨어지고, 6중량%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유황은 1 ~ 6중량%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류촉진제는 티아졸, 설펜 아마이드계 촉진제가 사용되며, 가류촉진을 위해 1 ~ 6중량%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련교반은 0.5 미만인 경우 그 교반시간이 너무 짧아 제품의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고, 5분 이상을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교반이 완벽하게 이루어진 상태이므로 그 이상의 교반은 무의미하다.
실시 예 1
시스-1,4-폴리이소프렌(cis-1,4-polyisoprene) 함량이 98%이상인 말레시안산 천연고무(Natural rubber) 25㎏, 시스-부타디엔(cis-butadiene) 함량이 98%이고, 유리전이 온도(Tg)가 -104℃, 평균무게 분자량(Mw)이 42만인 부타디엔(Butadiene) 45㎏, 폴리프로필렌 2㎏, 스테아린산 5㎏, 산화아연(ZnO) 3㎏, 카본블랙(Carbon black) 10㎏, 유황 5㎏, 티아졸 5㎏을 5분간 상온에서 혼련교반한 다음 30분간 대기중에 방치하였다가 다시 혼련교반한 다음 냉각하여 제조하였다.
여기서, 필기구 본체(1)에 구비된 그립부(2)는 샤프펜슬, 볼펜, 마커 그 외 각종 필기구에 설치되지만, 화장구 등의 형상 등이 필기구와 유사한 화장용구 등에 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그립부(2)를 분리형으로 필기구 본체(1)에 결합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지만, 필기구 본체(1)에 일체형으로도 제작하여 사용될 수 있음을 사전에 밝혀둔다.
그리고, 그립부착부재(10)는 그립체(20)가 끼워질 경우 상기 그립체(20)의 양측 내주 면이 면 접촉되도록 내접면부(13a,13b)가 양측으로 형성되고, 그 내접면부(13a,13b)의 외주면은 기밀유지돌기(14a,14b)가 형성되어, 그립체(20)의 기밀유지홈(21a,21b)에 끼움 결합 된다.
여기서, 그립부(2) 내부에 수용된 공기를 내접면부(13a,13b)와 그립체(20)의 내주 면이 면 접촉하여 1차 기밀을 유지하고, 기밀유지돌기(14a,14b)와 기밀유지홈(21a,21b)의 밀폐 결합으로 인해 2차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1차, 2차로 내부 공기를 밀폐시킴으로써, 내부에 수용된 공기가 에어쿠션 작용을 하여, 그립감이 좋고, 사용자가 그립부(2)를 잡고 장시간 사용시 손가락의 피로를 줄이고, 물집이 잡히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필기구를 잡기 싫어 하는 아이들에게도 손가락에 전해지는 소프트한 쿠션 감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필기를 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람마다 필기구를 잡는 파지 방법이 다르거나 손가락의 크기가 크거나 작은 사람도 그립부(2)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어 필기시 필기구에 의해 손가락으로 전해지는 고통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종래 필기구의 그립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그립부착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그립부착부재에 형성된 에어수용돌기 형상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그립부착부재에 형성된 에어수용돌기 형상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그립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7는 본 발명의 그립부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조립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제 상용상태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사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제 사용상태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사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그립부착부재 11 - 에서수용돌기
13a,b - 내접면부 14a,b - 기밀유지돌기
20 - 그립체 21a,b - 기밀유지홈
30 - 에어수용부

Claims (4)

  1. 그립부착부재(10)의 외면에 연질 탄성재의 그립체(20)가 삽입되어 끼워지는 그립부(2)를 갖는 펜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그립부(2)는 원형의 기둥 형상체의 외주 면에 일정간격 이격 돌출되어 다 단으로 에어수용돌기(11)가 형성된 그립부착부재(10)와;
    상기 에어수용돌기(11)의 외주 면과 그립체(20)의 내주 면이 밀착되어 다 단으로 형성된 에어수용돌기(11) 사이에 에어가 수용되는 에어수용부(30)가 포함되어,
    상기 그립부(2)를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파지하면 에어수용부(30)의 에어가 에어쿠션작용을 하고, 그립부(2)는 그립부착부재(10)의 양측으로 그립체(20)의 내주면과 면 접촉되어 1차로 기밀을 유지시키는 내접면부(13a,13b)가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착부재(10)는 양측으로 형성된 내접면부(13a,13b)의 일측 외주 면에 기밀유지돌기(14a,14b)가 형성되고, 그립체(20)의 양측 내주 면에 기밀유지홈(21a,21b)이 형성되어, 그립체(20)를 그립부착부재(10)에 끼우고 상기 양측에 형성된 기밀유지홈(21a,21b)이 기밀유지돌기(14a,14b)에 결합 되어 상기 그립부(2)의 내부를 2차 기밀유지시켜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쿠션 기능이 부가된 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그립체(20)의 재질은 시스-1,4-폴리이소프렌(cis-1,4-polyisoprene) 함량이 98%이상인 천연고무(Natural rubber) 20 ~ 25중량%, 시스-부타디엔(cis-butadiene) 함량이 98%이고, 유리전이 온도(Tg)가 -104℃, 평균무게 분자량(Mw)이 42만인 부타디엔(Butadiene) 30 ~ 45중량%, 폴리프로필렌 1 ~ 5중량%, 스테아린산 1 ~ 10중량%, 산화아연(ZnO) 2 ~ 15중량%, 카본블랙(Carbon black) 10 ~ 30중량%, 유황 1 ~ 6중량%, 티아졸, 설펜 아마이드계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가류촉진제 1 ~ 6중량%의 혼합으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쿠션 기능이 부가된 펜.
KR1020070106621A 2007-10-23 2007-10-23 에어쿠션 기능이 부가된 펜 KR100887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621A KR100887569B1 (ko) 2007-10-23 2007-10-23 에어쿠션 기능이 부가된 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621A KR100887569B1 (ko) 2007-10-23 2007-10-23 에어쿠션 기능이 부가된 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7569B1 true KR100887569B1 (ko) 2009-03-09

Family

ID=40697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621A KR100887569B1 (ko) 2007-10-23 2007-10-23 에어쿠션 기능이 부가된 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75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711A (ko) 2015-03-12 2016-09-21 주식회사 모리스 슬라이드식 필기구
KR101658823B1 (ko) * 2015-07-29 2016-09-27 김진환 교정용 필기구 홀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4977A (ja) * 1994-05-30 1995-12-05 Chiyuunaa Kk 筆記具用滑止具
JPH10236059A (ja) * 1997-02-27 1998-09-08 Tetsuo Utsunomiya 筆記具用空気圧力式クッション
KR19980061895U (ko) * 1997-03-28 1998-11-16 송하경 잉크 누출방지 볼펜
JP2005297337A (ja) * 2004-04-12 2005-10-27 Purachina Mannenhitsu Kk 筆記具のグリップ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4977A (ja) * 1994-05-30 1995-12-05 Chiyuunaa Kk 筆記具用滑止具
JPH10236059A (ja) * 1997-02-27 1998-09-08 Tetsuo Utsunomiya 筆記具用空気圧力式クッション
KR19980061895U (ko) * 1997-03-28 1998-11-16 송하경 잉크 누출방지 볼펜
JP2005297337A (ja) * 2004-04-12 2005-10-27 Purachina Mannenhitsu Kk 筆記具のグリップ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711A (ko) 2015-03-12 2016-09-21 주식회사 모리스 슬라이드식 필기구
KR101658823B1 (ko) * 2015-07-29 2016-09-27 김진환 교정용 필기구 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3788A (en) Tactile baby bottle
KR100887569B1 (ko) 에어쿠션 기능이 부가된 펜
BR0201625A (pt) Agente de carga biopolimérico, biooligomérico, oxìdico ou silicoso silano-modificado, processo para sua produção e seu uso
BRPI0418688A (pt) material elastomérico termoplástico, e, produto manufaturado
DE602006011858D1 (de) Mutante glucose-dehydrogenase
TW200505404A (en) Sealing body, cap with the sealing body and medical container
JP6647249B2 (ja) 消去具
US20050155185A1 (en) Ergonomic handset
EP2116569A4 (en) RUBBER COMPOSITION FOR BELT, AND RUBBER BELT
US20060083575A1 (en) Device for right grip of writing tools
JP4433711B2 (ja) 軸体
JP2008230180A (ja) グリップを有した筆記具
ITVI20020088A1 (it) Tappo composito in materiali sintetici
JP3464791B2 (ja) 筆記具
JPH08164692A (ja) 筆記具用グリップ
CN108263119A (zh) 一种签字笔的笔管结构及用于该笔管结构中的笔芯
JP2004175041A (ja) グリップ
JP5704588B1 (ja) 棒状発光体用グリップ
JPH077987U (ja) 筆記具における軸筒
JP2009178852A (ja) 筆記用グリップを装着した筆記具
JP4133624B2 (ja) 軸体
WO2009063888A1 (ja) 筆記具
JP2004299406A (ja) 筆記具のグリップ
JP2009045880A (ja) 筆記具の軸筒
KR0142130B1 (ko) 필기구몸체용 그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