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7380B1 - 레벨링 볼트 - Google Patents

레벨링 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7380B1
KR100887380B1 KR1020070005745A KR20070005745A KR100887380B1 KR 100887380 B1 KR100887380 B1 KR 100887380B1 KR 1020070005745 A KR1020070005745 A KR 1020070005745A KR 20070005745 A KR20070005745 A KR 20070005745A KR 100887380 B1 KR100887380 B1 KR 100887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leveling
washer
adjustment bolt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5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8255A (ko
Inventor
오용진
Original Assignee
오용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용진 filed Critical 오용진
Priority to KR1020070005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7380B1/ko
Publication of KR20080068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8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7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7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F16B35/06Specially-shaped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3/00Specially shaped nuts or heads of bolts or screws for rotations by a tool
    • F16B23/0007Specially shaped nuts or heads of bolts or screws for rotations by a to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recess or the protrusion engaging the tool
    • F16B23/0038Specially shaped nuts or heads of bolts or screws for rotations by a to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recess or the protrusion engaging the tool substantially prismatic with up to six edges, e.g. triangular, square, pentagonal, Allen-type cross-s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3/00Washers or equivalent devices;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bolt-head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부분의 조립 작업이 용이하면서도 레벨링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레벨링 볼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은 지면에 접촉되어 설치되며 상하로 관통되는 통공(12)이 형성된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의 통공(12)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연결부재(20)와, 상기 연결부재(20)의 상측에 하단부가 결합됨과 동시에 둘레의 나사부(34)가 기계설비(1)에 나선 결합된 조절볼트(3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20)의 저면에는 다각형홈(22)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연결부재 저면에 육각랜치홈이 형성되어, 이 연결부재의 육각랜치홈에 육각 랜치를 끼워서 조여줄 때 힘이 균일하게 작용하여 육각랜치홈의 파손이 쉽게 발생되지 않으므로, 작업성이 매우 유리하며, 파손된 연결부재를 폐기하고 다시 새것으로 교체하여 레벨링 볼트를 기계설비에 조립하는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조립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조절볼트를 회전작동시켜 기계설비의 높이를 조절하는 순간에, 조절볼트를 상대적으로 더 원활하게 회전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기계설비의 레벨링(높이 조절) 작업이 더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레벨링, 조절볼트, 연결부재, 육각랜치홈, 와셔, 돌부, 회전 작동

Description

레벨링 볼트{Levelling bolt}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레벨링 볼트를 기계설비에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베이스 20. 연결부재
22. 다각형홈 30. 조절볼트
32. 결합홈 40. 와셔
42. 돌부
본 발명은 레벨링 볼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 부분의 조립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며, 기계설비의 레벨링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레벨링 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기계나 기구 등(이하, 편의상 기계설비라 칭함)을 제작할 때 기계설비의 바닥면에 높이 조절을 위한 레벨링 볼트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레벨링 푸트는 등원형 블록 형상의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의 중앙부 저면에서 상면을 관통하는 연결부재와, 이 연결부재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에 하단부가 접촉되며 각종 기계설비의 바닥면에 결합된 조절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종래의 레벨링 푸트에 의하면, 조절볼트 하측 둘레부의 헤드부를 몽키스패너와 같은 공구로 물어서 조절볼트를 회전시키면, 기계설비가 조절볼트의 나사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어 기계설비의 레벨링(높이조절)이 이루어지며, 높이 조절이 이루어진 후에는 조절볼트 둘레부의 고정너트가 기계설비의 바닥면에 밀착 고정되어, 레벨링된 기계설비가 하부로 이동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기계설비의 바닥에 레벨링 푸트를 처음 장착할 때에는 기계설비를 옆으로 눕혀 놓고 레벨링 푸트의 조절볼트를 기계설비의 바닥판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 결합한다. 이때, 연결부재의 저면에 형성된 십자형 드라이버홈에 십자드라이버를 삽입하여 조여줌으로써, 기계설비의 바닥에 레벨링 푸트를 조립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연결부재 저면의 십자형 드라이버홈에 십자 드라이버를 삽입하여 조여주는 과정에서 연결부재의 드라이버홈과 십자 드라이버 사이에 많은 하중이 작용하여 십자형 드라이버홈이 쉽게 파손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해, 파 손된 연결부재를 다시 새것으로 교체하여 다시 레벨링 볼트를 재조립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조립 작업이 불편함은 물론 자원의 낭비가 심화되는 등 경제적인 면에서 불합리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결부재의 십자형 드라이버홈에 십자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레벨링 볼트를 조여주는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조절볼트의 조여주는 힘을 균일하게 할 수 없으므로, 작업이 불편한 단점이 있으며, 나아가, 작업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레벨링 푸트는 조절볼트와 지지부재 사이의 접촉 마찰력이 크게 작용하여, 조절볼트의 회전 작동이 비교적 힘이 많이 드는 어려운 작업이었으며, 이로 인해, 기계설비의 레벨링 작업이 쉽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각 부분의 조립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며, 기계설비의 레벨링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레벨링 볼트를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면에 접촉되어 설치되며 상하로 관통되는 통공(12)이 형성된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의 통공(12)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연결부재(20)와, 상기 연결부재(20)의 상측에 하단부가 결합됨 과 동시에 둘레의 나사부(34)가 기계설비(1)에 나선 결합된 조절볼트(3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20)의 저면에는 다각형홈(22)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링 볼트가 제공된다.
상기 다각형홈(22)은 육각랜치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10)의 상면과 조절볼트(30)의 하단부 사이에는 와셔(40)가 구비되고, 상기 와셔(40)는 적어도 상면에 돌부(42)가 형성되어, 상기 와셔(40) 상면의 돌부(42)가 상기 조절볼트(30)의 하단부에 접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부(42)는 상기 와셔(40)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환형의 돌부(4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부(42)는 상기 와셔(4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동심원 형태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셔(40) 상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배치된 복수개의 원호형상의 돌부(4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호 형상의 돌부(42)는 상기 와셔(4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동심원 형태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볼트(30)는 하단부에 결합홈(32)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20)는 상부에 압입결합부(24)가 형성되어, 상기 압입결합부(24)가 상기 조절볼트(30)의 결합홈(32)에 억지 끼움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조절볼트(30)의 결합홈(32)의 깊이(d)는 상기 연결부재(20)의 압입결합부(24)의 상하 길이(D)보다 상대적으로 작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20) 상측의 압입결합부(24)는 상측으로 갈수록 축경되도록 테이퍼진 단면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레벨링 볼트를 기계설비(1)에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베이스(10), 연결부재(20) 및 조절볼트(30)로 구성된 레벨링 볼트이다.
상기 베이스(10)는 원형 블록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베이스(10)의 중앙부 저면에는 홈부(14)가 구비되고, 이 홈부(14)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통공(12)이 형성되며, 베이스(10)의 중앙부 상면에는 평면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베이스(10)의 홈부(14)에는 도시 안된 방진블록이 결합되어, 방진블록에 의해 기계설비(1) 가동시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진블록은 통상의 구조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도면은 생략한다.
상기 연결부재(20)는 베이스(10)의 저면에서 통공(12)을 관통하는 것으로, 조절볼트(30) 하단부의 결합홈(32)에 압입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20)는 조절볼트(30)의 결합홈(32)에 압입되는 압입결합부(24)와, 이 압입결합부(24)의 하단부에 형성된 상측단턱부(20a)와, 이 상측단턱부(20a)의 하단부에 일체화된 하측단턱부(20b)로 구성된 것으로, 조절볼트(30)의 하단부 결합홈(32)에 연결부재(20)의 압입결합부(24)가 압입 결합되어 조절볼트(30)의 하단부가 베이스(10)의 상면 평면부에 위치되어 직립으로 설치되도록 한다.
이때, 조절볼트(30)는 하단부에 헤드부(36)가 형성되고, 헤드부(36)의 상측 둘레부에는 나사부(34)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으로, 이 조절볼트(30)의 나사부(34)가 기계설비(1) 하측의 지지판이나 다리 등에 나사 결합된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20)의 저면에는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루는 다각형홈(22)이 형성된다. 이때, 다각형홈(22)은 사각형홈, 육각형홈과 같이 다양한 다각형홈(22)을 채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다각형홈(22)은 육각랜치홈(22)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연결부재(20) 저면의 다각형홈(22)에 의해 작업성이 유리한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연결부재(20)의 저면에 십자형 드라이버홈이 형성되어, 이 십자형 드라이버홈에 십자 드라이버를 삽입하여 조립 작업을 하였는데, 이러한 십자형 드라이버홈의 경우 조여주는 힘을 일정하게 사용할 수 없으므로, 작업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으며, 기계설비(1)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십자 드라이버홈이 쉽게 쉽게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런데, 본 발명의 경우, 연결부재(20) 저면에 육각랜치홈(22)이 형성되어, 이 연결부재(20)의 육각랜치홈(22)에 육각 랜치를 끼워서 조여줄 때 힘이 균일하게 작용하여 육각랜치홈(22)의 파손이 쉽게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작업성이 매우 유리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아울러, 연결부재(20) 저면의 육각랜치홈(22)에 육각 랜치를 삽입하여 조절볼트(30)를 기계설비(1)에 조여주는 과정에서 연결부재(20)의 육각랜치홈(22)과 육각 랜치 사이에 비교적 많은 힘이 작용하더라도 육각랜치홈(22)이 쉽게 파손되는 경우가 없으며, 이로 인해, 파손된 연결부재(20)를 폐기하고 다시 새것으로 교체하여 레벨링 볼트를 기계설비(1)에 조립하는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조립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함은 물론 자원의 낭비가 방지되는 등 경제적인 면에서 유리한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조절볼트(30)를 기계설비(1)의 바닥면에 조여서 장착할 때에는 별도의 지지대에 의해 기계설비(1)를 지지하여 기계설비(1)의 바닥면이 설치될 지면에서 이격된 상태에서 연결부재(20) 저면의 육각랜치홈(22)에 육각 랜치를 끼워서 돌려줌으로써, 본 발명의 레벨링 볼트를 기계설비(1)의 바닥면에 설치할 수 있다. 한편, 기계설비(1)를 지면에 설치하기 이전에 옆으로 눕힌 상태에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본 발명의 레벨링 볼트를 기계설비(1)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레벨링 볼트를 기계설비(1)의 바닥면에 설치하기 위하여 기계설비(1)의 바닥면이 설치될 지면에서 이격되도록 하는 방식은 별도의 지지대를 이용하여 기계설비(1)를 지지하거나 기계설비(1)를 옆으로 눕혀놓고 작업하는 방식 이외에 공지의 여러 가지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10)의 상면과 조절볼트(30)의 하단부 사이에는 와셔(40)가 구비되고, 와셔(40)는 적어도 상면에 돌부(42)가 형성되어, 와셔(40) 상면의 돌부(42)가 조절볼트(30)의 하단부에 접촉된다. 이 돌부(42)는 와셔(40)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환형의 돌부(42)로 구성됨과 동시에 와셔(4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동심원 형태로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절볼트(30)의 헤드부(36)에 몽키스패너와 같은 공구를 끼우고 조절볼트(30)를 회전작동시켜 기계설비(1)의 높이를 조절하는 순간에, 조절볼트(30)가 회전하면서 조절볼트(30)의 하단부의 접촉 면적이 와셔(40) 상면의 돌부(42)에 한정되기 때문에, 조절볼트(30)를 더 원활하게 회전 작동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기계설비(1)의 레벨링(높이 조절) 작업이 더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즉, 기계설비(1)의 중량에 의해 조절볼트(30)에 하중이 작용할 때, 와셔(40)와 조절볼트(30) 사이의 마찰력이 작용하는데, 와셔(40) 상면의 돌부(42)만이 조절볼트(30)의 하단부에 접촉하면서 마찰력이 그만큼 줄어들기 때문에, 조절볼트(30)의 회전 작동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기계설비(1)의 레벨링 작업이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부(42)는 와셔(4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배치된 복수개의 원호형상의 돌부(42)로 이루어지고, 원호 형상의 돌부(42)는 와셔(4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동심원 형태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1과 도 2의 경우에 비하여 조절볼트(30)의 하단부와 와셔(40)의 돌부(42) 사이의 접촉면적을 더욱 줄일 수 있으므로, 마찰력을 더 많이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도 1과 도 2의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조절볼트(30)의 회전 작동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조절볼트(30) 하단의 결합홈(32) 깊이(d)는 상기 연결부재(20)의 압입결합부(24)의 상하 길이(D)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구성되어, 조절볼트(30)의 하단부와 연결부재(20)의 상측단턱부(20a)가 접촉되지 않고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며, 이로 인해, 연결부재(20)의 하측단턱부(20b)가 상기 베이스(10)의 홈부(14)에 형성된 통공(12)(부 둘레벽에 접촉되지 않고 이격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조절볼트(30)의 회전 작동이 더 용이해질 수 있다.
즉, 조절볼트(30)와 베이스(10)를 연결부재(20)에 의해 연결하도록 조립하였을 때, 연결부재(20)의 하측단턱부(20b)가 베이스(10)의 통공(12) 둘레벽에 밀착되지 않고 이격된 상태가 되어 조절볼트(30) 회전시 베이스(10)와 연결부재(20) 사이의 마찰력이 작용되지 않으므로, 조절볼트(30)의 회전 작동이 더 용이하고 원할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20)의 압입결합부(24)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확경되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구성되므로, 조절볼트(30)의 결합공에 연결부재(20)의 압입결합부(24)를 보다 용이하게 끼워 넣을 수 있음을 물론, 조절볼트(30)의 결합공에 연결부재(20)의 압입결합부(24)를 압입 결합한 후에는 보다 견고하게 연결부재(20)의 압입결합부(24)가 조절볼트(30)의 결합홈(32)에 억지 끼움 결합되어 결합력이 더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도 4에 의한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10)에 조절볼트(3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스러스트 베어링(50)이 구비된 형태를 이룬다.
이 스러스트 베어링(50)은 베이스(10)의 중앙부에 매입됨과 동시에 베이스(10)의 상면 중앙부로 약간 돌출되어 조절볼트(30)의 하단부를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조절볼트(30)의 헤드부(36) 하단부에 배치된 와셔(40)가 스러스트 베어링(50)의 상면에 접촉되어, 결과적으로 조절볼트(30)의 하단부가 스러스트 베어링(50)에 지지되어 직립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스러스트 베어링(50)에 의해 조절볼트(3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조절볼트(30)의 미세 회전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기계설비(1)의 높낮이를 미세하게 조절하는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기계설비(1)의 상대적으로 높은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스러스트 베어링(50)에 의해 조절볼트(30)의 상하 높낮이를 원활하게 미세 조정할 수 있으므로, 결국 기계설비(1)의 상대적으로 높은 하중에 보다 견고한 구조로 지지탱함과 동시에 기계설비(1)의 정밀한 레벨링 작업을 더욱 원활하게 수행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에는 스러스트 베어링(50)의 상면에 돌부(42)가 형성된 와셔(40)를 채용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 밖에 일반적으로 이용하는 와셔를 채용할 수 있다는 점도 밝혀둔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각 부분의 조립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며, 기계설비의 레벨링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레벨릴 볼트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지면에 접촉되어 설치되며 상하로 관통되는 통공(12)이 형성된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의 통공(12)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연결부재(20)와, 상기 연결부재(20)의 상측에 하단부가 결합됨과 동시에 둘레의 나사부(34)가 기계설비(1)에 나선 결합된 조절볼트(3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20)의 저면에는 다각형홈(22)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0)의 상면과 조절볼트(30)의 하단부 사이에는 와셔(40)가 구비되고, 상기 와셔(40)는 적어도 상면에 돌부(42)가 형성되어, 상기 와셔(40) 상면의 돌부(42)가 상기 조절볼트(30)의 하단부에 접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링 볼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부(42)는 상기 와셔(40)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환형의 돌부(42)로 구성되거나, 상기 와셔(40) 상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배치된 복수개의 원호형상의 돌부(4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링 볼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 형상의 돌부(42)는 상기 와셔(4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동심원 형태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링 볼트.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볼트(30)는 하단부에 결합홈(32)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20)는 상부에 압입결합부(24)가 형성되어, 상기 압입결합부(24)가 상기 조절볼트(30)의 결합홈(32)에 억지 끼움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조절볼트(30)의 결합홈(32)의 깊이(d)는 상기 연결부재(20)의 압입결합부(24)의 상하 길이(D)보다 상대적으로 작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링 볼트.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에는 상기 조절볼트(3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스러스트 베어링(5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링 볼트.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20) 상측의 압입결합부(24)는 상측으로 갈수록 축경되도록 테이퍼진 단면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링 볼트.
  9. 삭제
KR1020070005745A 2007-01-18 2007-01-18 레벨링 볼트 KR100887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745A KR100887380B1 (ko) 2007-01-18 2007-01-18 레벨링 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745A KR100887380B1 (ko) 2007-01-18 2007-01-18 레벨링 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8255A KR20080068255A (ko) 2008-07-23
KR100887380B1 true KR100887380B1 (ko) 2009-03-06

Family

ID=39822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5745A KR100887380B1 (ko) 2007-01-18 2007-01-18 레벨링 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73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879B1 (ko) * 2014-10-13 2016-08-29 주식회사 테스 히터 레벨링 장치
CN114131534A (zh) * 2021-12-19 2022-03-04 扬合精密机械科技(昆山)有限公司 一种可提高精密器件加工效率的金属治具
CN114658740A (zh) * 2022-04-13 2022-06-24 江苏观远新材料有限公司 一种可正面调节的装配式“干”字型调平螺栓及安装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9191A (ja) * 1995-09-20 1997-03-31 Daiwa Rashi:Kk アジャスタボルト装置
KR19980050440U (ko) * 1996-12-30 1998-10-07 김욱한 기밀 유지용 와셔
JP2004033417A (ja) 2002-07-02 2004-02-05 Sun Fastener Buhin Kk 高さ調整用脚金具
KR100613125B1 (ko) * 2005-02-18 2006-08-17 (주)오토씨에프티 레벨푸트 및 이의 조립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9191A (ja) * 1995-09-20 1997-03-31 Daiwa Rashi:Kk アジャスタボルト装置
KR19980050440U (ko) * 1996-12-30 1998-10-07 김욱한 기밀 유지용 와셔
JP2004033417A (ja) 2002-07-02 2004-02-05 Sun Fastener Buhin Kk 高さ調整用脚金具
KR100613125B1 (ko) * 2005-02-18 2006-08-17 (주)오토씨에프티 레벨푸트 및 이의 조립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8255A (ko) 200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0666B2 (en) Adjustable leveling mount
JP6934161B2 (ja) 締結構造
KR100243821B1 (ko) 볼트 회전력에 의해 확장되는 앵커 부재를 갖는 앵커유니트
US6983570B2 (en) Top levelled access floor system
JPS63285311A (ja) 位置決め輪をもつファスナ頭部
KR100887380B1 (ko) 레벨링 볼트
JP4668169B2 (ja) 調整時に機器を設置するための調整脚
JP6260843B1 (ja) 緩まないロックナット
KR200492348Y1 (ko) 팝너트가 체결된 높이조절 지지대
KR101354746B1 (ko) 레벨링 컨트롤 스크루
CN214329299U (zh) 一种建筑工程用装配式建筑底部连接件
KR102058520B1 (ko) 데크 플레이트용 인서트 구조체
JPH10184790A (ja) 設置台
CN105243961A (zh) 地砖屏底座架的安装结构
KR101355651B1 (ko) 가구용 받침다리
KR200375637Y1 (ko) 가구용 바닥 서포트
US20120145459A1 (en) Seismic tool assembly for use in anchor insertion
KR100975623B1 (ko) 개선된 틸트 브래킷
JP3120467U (ja) 機具水平調節座
JP3144051U (ja) 緩み止め特殊ナット
KR200497786Y1 (ko) 액세스 플로어 받침장치
CN216383145U (zh) 一种支撑调节脚
JPS606107Y2 (ja) 床板支持装置
JP2011202721A (ja) 座金付きナット
KR20020024871A (ko) 바닥용 깔판의 높낮이 조절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