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786Y1 - 액세스 플로어 받침장치 - Google Patents

액세스 플로어 받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786Y1
KR200497786Y1 KR2020220001512U KR20220001512U KR200497786Y1 KR 200497786 Y1 KR200497786 Y1 KR 200497786Y1 KR 2020220001512 U KR2020220001512 U KR 2020220001512U KR 20220001512 U KR20220001512 U KR 20220001512U KR 200497786 Y1 KR200497786 Y1 KR 2004977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support pipe
support
fastening
screw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5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2460U (ko
Inventor
김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석
Priority to KR20202200015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786Y1/ko
Publication of KR202300024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4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7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7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94Supporting structures with a plurality of base plates or like, each base plate having a plurality of pedestals upstanding therefrom to receive the flo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04F15/0247Screw j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바닥에 놓이는 바닥판 중앙에 받침관이 끼워지는 체결자리를 프레스로 형성하여 받침관이 바닥판에 체결되는 깊이를 증가시키고 또한 체결자리에는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고 받침관에는 상기 돌기에 걸리는 홈을 형성하여 헛돌지 않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엑세스 플로어에 가해지는 반복하중으로 인하여 받침관이 바닥판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 액세스 플로어 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 한 실시예는 실내 바닥에 놓이는 중공상의 받침관에 나사축이 헐겁게 끼워지고, 상기 나사축 상단은 사방으로 플로어 모서리가 결합되며, 상기 나사축은 너트부를 통하여 상기 받침관에 놓여서 상기 플로어의 높낮이가 조절되고, 상기 받침관은 하단이 바닥판을 통하여 실내 바닥에 고정되는 액세스 플로어 받침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 중앙은 프레스 가공을 통하여 원통형 홈을 갖는 체결자리가 위쪽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받침관 하단은 상기 체결자리에 억지끼움 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체결자리에는 상하측으로 관통되는 관통구멍이 천공되고, 상기 관통구멍을 통하여 상기 받침관 하단과 상기 체결자리 내주면이 부분적으로 용접됨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액세스 플로어 받침장치{access floor support}
본 고안은 액세스 플로어 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바닥에 놓이는 바닥판 중앙에 받침관이 끼워지는 체결자리를 프레스로 형성하여 받침관이 바닥판에 체결되는 깊이를 증가시키고 또한 체결자리에는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고 받침관에는 상기 돌기에 걸리는 홈을 형성하여 헛돌지 않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엑세스 플로어에 가해지는 반복하중으로 인하여 받침관이 바닥판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 액세스 플로어 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세스 플로어(access floor)는 업무공간이나 전산실 등에서 바닥 밑의 배관, 배선 등의 관리 및 보수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탈착이 가능하도록 한 형태의 플로어로써. 실내 공간의 공조 및 부하 제거를 위해 엑세스 플로어 하부에 공조된 공기를 공급하는 경우도 있다.
액세스 플로어는 건물 바닥에 고정되는 중공상의 받침관과 상기 받침관에 끼워지는 나사축으로 구성되고, 상기 나사축은 너트부를 통하여 상기 받침관에서 끼워지는 높이가 결정된다. 즉 너트브를 풀면 나사축은 받침관에서 돌출되고, 반대로 너트부를 조이면 상기 나사축이 받침관 내부로 많이 들어가면서 나사축 상단 높이가 낮아진다. 결국 상기 나사축 상단에 플로어가 결합되므로 플로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종래 액세스 플로어는 공개특허 제10-2021-0105171호에 기재된 바와같이 건물 바닥에 고정되는 받침관과, 상기 받침관에 끼워지는 스크류봉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크류봉 상단에 하판이 체결된다. 그리고 플로어가 놓이는 상판은 상기 하판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결합되어서 지진 발생시 상판이 하판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되어 변위가 흡수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 액세스 플로어는 스큐르봉이 받침관에 단순히 끼워지는 방식이므로 조립이 빠른 이점은 있으나, 스크류봉에 나사체결된 너트부가 받침관 상단에 놓여서 플로어의 높낮이를 결정하므로 시간이 지나면 너트부의 풀림으로 인하여 소음이 발생된다. 플로어에 가해지는 반복 하중으로 인하여 상기 너트부의 풀림이 발생되면 너트부가 받침관 상단에서 들뜨게 되므로 플로어를 발고 지나갈 때 너트부가 받침관 상단과 부딛히는 소음이 발생되고, 들뜸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충격이 받침관을 타고 바닥판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받침대와 바닥판의 체결이 약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공개특허 제10-2017-0028549호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받침관과 나사축이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되도록 하고 또한 너트부를 로크너트 방식의 이중으로 체결하여 나사축의 풀림이 방지되도록 한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 나사체결방식 특허는 나사축이 받침관에 나사체결되어야 하므로 높낮이를 조절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넓은 평형의 실내 바닥에 플로어를 시공하기 위해선 많은 량의 받침관과 나사축을 나사체결방식으로 조립해야 되므로 나사축을 받침관에 단순히 끼워넣고 너트부로 높이를 조절하는 방식에 비하여 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받침관 하단이 바닥판 중앙의 구멍에 끼워져 절곡으로 결합되는데, 절곡부위 높이가 낮기 때문에 반복하중에 의해 받침관이 바닥판에서 흔들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실내바닥에 놓이는 바닥판 중앙에 받침관이 끼워지는 체결자리를 프레스로 형성하여 받침관이 바닥판에 체결되는 깊이를 증가시키고 또한 체결자리에는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고 받침관에는 상기 돌기에 걸리는 홈을 형성하여 헛돌지 않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엑세스 플로어에 가해지는 반복하중으로 인하여 받침관이 바닥판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 액세스 플로어 받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 한 실시예는 실내 바닥에 놓이는 중공상의 받침관에 나사축이 헐겁게 끼워지고, 상기 나사축 상단은 사방으로 플로어 모서리가 결합되며, 상기 나사축은 너트부를 통하여 상기 받침관에 놓여서 상기 플로어의 높낮이가 조절되고, 상기 받침관은 하단이 바닥판을 통하여 실내 바닥에 고정되는 액세스 플로어 받침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 중앙은 프레스 가공을 통하여 원통형 홈을 갖는 체결자리가 위쪽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받침관 하단은 상기 체결자리에 억지끼움 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체결자리에는 상하측으로 관통되는 관통구멍이 천공되고, 상기 관통구멍을 통하여 상기 받침관 하단과 상기 체결자리 내주면이 부분적으로 용접됨되는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실내바닥에 놓이는 바닥판 중앙에 받침관이 억지 끼워지는 체결자리가 프레스 가공을 통하여 깊게 형성되기 때문에 받침관과 바닥판의 체결력이 강화된다. 또한 체결자리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받침관에는 상기 돌기들에 끼워지는 홈이 다수 형성되기 때문에 이들 홈이 돌기에 들어가 결합되면 받침관이 바닥판에서 헛돌지 않으므로 엑세스 플로어에 반복하중이 가해지더라도 바닥판과 받침대의 체결력이 약화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한 실시예의 받침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한 실시예의 받침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확대도
도 4는 도 3의 A - A선 단면도
도 1 내지 도 4에서 본 고안 한 실시예의 받침장치는 실내 바닥(50)에 놓이는 바닥판(10)이 구비된다. 상기 바닥판(10)은 실내 바닥(50)에서 떨어져 구비되는 다수의 플로어(40)들의 교차지점 마다 놓이며, 실내 바닥(50)에 접착제 또는 나사못 등으로 밑면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10)의 중앙에는 실내 바닥(50)에서 돌출되는 체결자리(11)가 프레스 가공을 통하여 구비된다. 상기 체결자리(11)는 원통형의 공간을 제공하는데, 상기 체결자리(11)에는 중공상의 받침관(20) 하단이 억지끼움 식으로 체결된다.
상기 받침관(20)은 내부에 나사축(30)이 헐겁게 체결되고, 상기 나사축(30)은 상단에 평탄한 상판(31)이 구비되는데 상기 상판(31)에는 4개의 플로어(40)들 모서리가 놓여서 나사체결 방식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나사축(30)에 나사체결되는 너트부(32)는 나사축(30)에 체결된 상태에서 하단이 받침관(20) 상단에 놓이며, 나사축(30)의 높낮이를 결정한다.
상기 체결자리(11)에는 내주면에 다수의 돌기(13)가 방사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받침관(20) 하단에는 상기 각 돌기(13)에 끼워져 걸리는 다수의 홈(21)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받침관(20)이 상기 체결자리(11)에 억지끼워진 다음 홈(21)이 돌기(13)들에 끼워지면 제자리에서 헛돌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자리(11) 중앙에는 상하로 천공된 관통구멍(12)이 형성되는데, 이 관통구멍(12)을 통하여 상기 받침관(20) 하단과 상기 체결자리(11)를 부분적으로 용접하여 받침관(20)이 체결자리(11)에서 강제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시킨다.
이처럼 구성된 본 고안 한 실시예는 판재로 구성된 바닥판(10)에 프레스 가공을 통하여 체결자리(11)가 돌출 구비되어서 내부에 원통형의 홈이 구비되기 때문에 이 홈으로 받침관(20)을 억지 끼우면 받침관(20)과 바닥판(10)이 수직으로 결합되어 흔들리지 않으므로 플로어(40)에 가해지는 반복하중에 견디는 힘이 강화된다. 따라서 종래 바닥판(10)과 받침관(20)을 용접하거나 또는 받침관(20) 하단을 절곡하여 바닥판(10)에 결합시키는 방식에 비하여 체결력이 증가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플로어(40)는 실내 바닥(50)에서 약 100mm ∼ 200mm 정도 떨어지게 시공되는데, 각 플로어(40)들이 교차되는 지점마다 상기 바닥판(10)과 받침관(20)이 설치된다. 이러한 본 고안 한 실시예의 시공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4개의 플로어(40) 모서리들이 맞나는 지점마다 실내 바닥(50)에 받침관(20)이 체결된 바닥판(10)을 놓고 상기 받침관(20)에 나사축(30)을 헐겁게 끼워넣는다. 상기 나사축(30)에는 너트부(32)를 미리 나사체결한 상태이므로 너트부(32)는 받침관(20) 상단에 걸린다. 따라서 상기 너트부(32)를 통하여 상기 나사축(30)이 지탱되는데, 상기 나사축(30) 상단의 상판(31)에 4개의 플로어(40) 모서리가 십자형으로 맞닿게 하고 나사체결 방식을 통하여 상판(31)과 각 플로어(40)의 모서리를 체결한다.
상기 받침관(20)은 바닥판(10)과 체결자리(11)를 통하여 결합되어 흔들리지 않으므로 수직상태에서 나사축(30)이 지탱된다. 따라서 상기 플로어(40)에 가해지는 반복하중에 대하여 상기 받침관(20)은 체결자리(11)를 이탈하지 않고 견고한 체결이 유지되므로 플로어(40)의 처짐이 방지되는 등의 이점이 있다.
10 : 바닥판 11 : 체결자리
12 : 관통구멍 13 : 돌기
20 : 받침관 21 : 홈
30 : 나사축 31 : 상판
40 : 실내 바닥

Claims (2)

  1. 실내 바닥에 놓이는 중공상의 받침관에 나사축이 헐겁게 끼워지고, 상기 나사축 상단은 사방으로 플로어 모서리가 결합되며, 상기 나사축은 너트부를 통하여 상기 받침관에 놓여서 상기 플로어의 높낮이가 조절되고, 상기 받침관은 하단이 바닥판을 통하여 실내 바닥에 고정되며, 상기 바닥판 중앙은 프레스 가공을 통하여 원통형 홈을 갖는 체결자리가 위쪽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받침관 하단은 상기 체결자리에 억지끼움 식으로 결합되도록 한 엑세스 플로어 받침장치에 있어서,
    상기 체결자리 내주면에 다수의 돌기가 방사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받침관 하단에는 각 상기 돌기들에 결합되는 다수의 홈이 방사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체결자리에는 상하측으로 관통되는 관통구멍이 천공되고, 상기 관통구멍을 통하여 상기 받침관 하단과 상기 체결자리 내주면이 부분적으로 용접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플로어 받침장치.
  2. 삭제
KR2020220001512U 2022-06-20 2022-06-20 액세스 플로어 받침장치 KR2004977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512U KR200497786Y1 (ko) 2022-06-20 2022-06-20 액세스 플로어 받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512U KR200497786Y1 (ko) 2022-06-20 2022-06-20 액세스 플로어 받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460U KR20230002460U (ko) 2023-12-27
KR200497786Y1 true KR200497786Y1 (ko) 2024-02-29

Family

ID=89309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512U KR200497786Y1 (ko) 2022-06-20 2022-06-20 액세스 플로어 받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786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455Y1 (ko) * 2006-12-05 2007-08-22 양병남 바닥판 지지대
KR101526880B1 (ko) * 2014-05-28 2015-06-09 주식회사 해광 이중마루 설치용 지주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3625A (ko) * 2012-07-25 2014-02-05 박태복 이중마루용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455Y1 (ko) * 2006-12-05 2007-08-22 양병남 바닥판 지지대
KR101526880B1 (ko) * 2014-05-28 2015-06-09 주식회사 해광 이중마루 설치용 지주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460U (ko) 2023-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26757A1 (en) Access floor system
JP7179265B2 (ja) 野縁の取付け構造
KR102061497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물탱크 지지장치
KR200497786Y1 (ko) 액세스 플로어 받침장치
EP0325051A2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uspended floor
KR20240055418A (ko) 액세스 플로어 저소음 받침장치
KR200432715Y1 (ko) 조립식 패널
KR102443963B1 (ko) 이중마루 조립체
JPH0623492B2 (ja) フリ−アクセスフロアの機器据付装置
JP2005290708A (ja) 二重床構造及び床施工方法
KR0110431Y1 (ko)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의 받침대
JP3920840B2 (ja) 床板支持具
KR102382182B1 (ko) 이중 마루용 레벨링 포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이중 마루 설치 구조
JP7232401B2 (ja) 耐力壁の下端構造
JPS63255460A (ja) フリ−アクセスフロアの機器据付装置
JP7298158B2 (ja) 耐力壁の下端構造
KR101953202B1 (ko) 조립식 가구용 하부 프레임
JPH04101411U (ja) 防振床パネル
JP2931288B1 (ja) 作業用プラットフォームの支柱
KR200329513Y1 (ko) 매설용 앵커볼트 고정구
KR200426212Y1 (ko) 유로폼의 수평유지장치
JP2557271Y2 (ja) 二重床
KR20100042092A (ko) 조정판을 이용한 건축물의 벽체 시공구조
JPH0543152Y2 (ko)
JPH074264Y2 (ja) 床束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