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455Y1 - 바닥판 지지대 - Google Patents

바닥판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455Y1
KR200436455Y1 KR2020060031032U KR20060031032U KR200436455Y1 KR 200436455 Y1 KR200436455 Y1 KR 200436455Y1 KR 2020060031032 U KR2020060031032 U KR 2020060031032U KR 20060031032 U KR20060031032 U KR 20060031032U KR 200436455 Y1 KR200436455 Y1 KR 2004364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upport
bottom plate
lifting
screw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10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병남
Original Assignee
양병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병남 filed Critical 양병남
Priority to KR20200600310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4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4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4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닥판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판 지지대의 구조를 개선하여 보다 저렴한 제조비용과 간편한 제조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보다 견고한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는 바닥판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은 건물바닥면에 설치되는 장방형의 베이스 기판과, 그 중앙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나사축과, 이 나사축에 끼워져 바닥판을 지지하며 승/하강하는 승강지지판과, 상기 나사축에 차례로 끼워져 상기 승강지지판를 고정하는 승강너트 및 스토퍼너트와, 상기 승강지지판에 얹어지는 받침판과, 상기 승강지지판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바닥판을 압착하는 체결볼트로 이루어진 바닥판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승강지지판은 상기 나사축과 나사결합되어 승강되도록 내부를 관통시키고 암나사선이 형성되며, 외주면 중앙에는 일정높이로 돌출된 받침플랜지와, 그 외경이 확장된 외경확장부를 형성한 승강원통부재와, 바닥판을 지지하도록 평판형을 이루며 중앙부에 상기 승강원통부재가 끼워지는 중앙관통홀이 형성된 판부재로 구성하여, 상기 판부재가 상기 승강원통부재의 외경확장부에 억지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닥판, 지지대, 억지끼움, 승강, 플랜지

Description

바닥판 지지대{SUPPORTER FOR PLAT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바닥판 지지대의 실시예를 보인 분해 조립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바닥판 지지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조립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지지판의 결합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지지판의 결합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바닥판 지지대의 다이스 공정을 보인 과정도,
도 6은 종래의 바닥판 지지대를 보인 분해 조립 사시도,
도 7은 종래의 바닥판 지지대의 승강지지판의 다른 예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베이스 기판 20 : 나사축
21 : 걸림턱 22 : 가압체결부
30 : 승강지지판 31 : 판부재
31a : 중앙관통홀 31b : 버링부
32 : 승강원통부재 32a : 받침플랜지
32b : 외경확장부 40 : 승강너트
50 : 스토퍼너트 51 : 손잡이
60 : 체결볼트 61 : 가압플랜지
62 : 볼트부재 70 : 다이스
80 : 받침판
본 고안은 바닥판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판 지지대의 구조를 개선하여 보다 저렴한 제조비용과 간편한 제조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보다 견고한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는 바닥판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축조된 건물은 통신케이블이나 전선 등을 배선할 때 바닥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었고, 이로 인해 실내의 미관을 해침은 물론 실내공간의 유효 적절한 활용을 하는데 지장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건물바닥에 일정 높이의 통로공간이 형성되도록 바닥판을 건물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하여 설치하게 되었는데, 상기 바닥판은 바닥판 지지대를 이용하여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바닥판 지지대의 구조를 살펴보면,
도 6은 종래의 바닥판 지지대를 보인 분해 조립 사시도이고, 도 7은 종래의 바닥판 지지대의 승강지지판의 다른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바닥면에 설치되는 장방형의 베이스 기판(100) 중앙부에 나사축(200)을 세워서 고정 설치하고, 이 나사축(200)에 바닥판을 지지하는 승강지지판(300)을 승/하강 되도록 설치하되, 상기 승강지지판(300)은 원형의 판부재(310) 중앙에 중심축방향으로 일정 직경을 가지며 관통된 승강원통부재(320)를 구비하여 형성하고, 상기 승강원통부재(320)가 상기 나사축(200)에 나사결합함으로써 승/하강 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승강지지판(300)의 승강원통부재(320) 하측에는 상기 승강원통부재(320)를 고정시키는 승강너트(400) 및 일측에 손잡이(510)를 구비한 스토퍼너트(500)가 차례로 상기 나사축(200)에 나사결합되어 끼워져 있으며, 상기 승강원통부재(320)의 상단에는 상기 판부재(310)에 지지되는 바닥판의 일측을 가압하도록 가압플랜지(610)가 형성된 체결볼트(600)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상기 판부재(310)의 상면에는 고무재질의 받침판(800)이 안착되고 그 위에 바닥판을 얹어 방진/방음 기능을 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바닥판 지지대는 장방형의 베이스 기판과, 승강지지판의 구조 및 형상이 다르기 때문에 별도의 공정으로 각각 분리하여 제조해야 하는 제조공정의 불편함과, 제조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바닥판 지지대의 승강지지판은 판부재와 승강원통부재를 일체로 구성하여 형성되거나, 판부재과 승강원통부재를 각각 개별로 제조하여 이를 열융착에 의해 결합시켜 제조하였으나,
판부재와 승강원통부재를 일체로 형성하여 제조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에서 언급한 베이스 기판과 승강지지판을 각각 개별로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며,
상기 승강지지판과 승강원통부재를 각각 개별로 제조하여 승강지지판의 판부재의 중앙관통홀에 상기 승강원통부재를 끼워 상호 열융착에 의해 결합시켜 제조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승강원통부재 외면상에 판부재를 받쳐줄 별다른 구성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열융착에 의해서만 판부재가 고정되므로 그 고정력이 저하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바닥판 지지대의 승강지지판의 판부재와 승강원통부재를 각각 개별로 제조하여, 상호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시키되, 상기 승강원통부재의 외면에 상기 판부재를 견고히 받쳐주도록 하여 상기 판부재와 승강원통부재가 각각 분리된 구성에도 불구하고 그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또한, 상기 승강지지판의 판부재와 승강원통부재를 간단한 프레스 가압의 단조가공의 방법으로 억지끼워져 제조됨으로써 제조공정을 간단하게 하는 데에 있다.
또 한편으로는, 각각 개별적으로 제조되는 판부재와 승강원통부재가 각각 개별적으로 제조되는 것으로 인해, 상기 판부재를 베이스 기판으로도 사용함으로써, 바닥판 지지대의 부품제조공정을 줄여 제조비용을 저렴하게 하고, 제조공정을 간편하게 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은 건물바닥면에 설치되는 장방형의 베이스 기판과, 그 중앙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나사축과, 이 나사축에 끼워져 바닥판을 지지하며 승/하강하는 승강지지판과, 상기 나사축에 차례로 끼워져 상기 승강지지판를 고정하는 승강너트 및 스토퍼너트와, 상기 승강지지판에 얹어지는 받침판과, 상기 승강지지판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바닥판을 압착하는 체결볼트로 이루어진 바닥판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승강지지판은 상기 나사축과 나사결합되어 승강되도록 내부를 관통시키고 암나사선이 형성되며, 외주면 중앙에는 일정높이로 돌출된 받침플랜지와, 그 외경이 확장된 외경확장부를 형성한 승강원통부재와, 바닥판을 지지하도록 평판형을 이루며 중앙부에 상기 승강원통부재가 끼워지는 중앙관통홀이 형성된 판부재로 구성하여, 상기 판부재가 상기 승강원통부재의 외경확장부에 억지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나사축의 하단 외주면에 소정 높이로 돌출된 걸림턱과 저면 테두리에 축방향으로 환형의 가압체결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판부재를 중앙관통홀을 통 해 상기 나사축의 하단에 끼워 상기 가압체결부를 가압으로 소정변형시켜 상기 중앙관통홀의 주변을 압착하여 고정함으로써, 상기 베이스 기판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한편으로는, 상기 판부재의 중앙관통홀의 테두리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된 버링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바닥판 지지대의 실시예를 보인 분해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바닥판 지지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조립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지지판의 결합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지지판의 결합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바닥판 지지대의 다이스 공정을 보인 과정도이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 지지대를 구성하는 건물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기판(10)과, 상기 베이스 기판(10)의 중앙부에 구비된 나사축(20)과, 이 나사축(20)에 차례로 끼워지는 스토퍼너트(50), 승강너트(40), 승강지지판(30)과, 상기 승강지지판(30)상에 얹어지는 받침판(80)과, 상기 승강지지판(30)의 상단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볼트(60)의 중에서,
본 고안은 바닥판을 지지하는 상기 승강지지판(30)의 구성을 판부재(31)와 승강원통부재(32)로 나누어 각각 개별 제조하고 이를 상호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 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아울러, 상기 판부재(31)를 베이스 기판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를 자세히 설펴보면,
상기 도 2,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지지판(30)의 판부재(31)는 프레스 가공의 방법으로 표면에 엠보싱을 형성한 원판형의 형태로 제조되고 이때, 중앙에는 상기 승강원통부재(32)가 끼워지는 중앙관통홀(31a) 및 버링부(31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판부재(31)의 중앙관통홀(31a)에 끼워지는 승강원통부재(32)는 원통형으로 형성하는데, 내주면은 암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은 프레스 가압하는 단조가공의 방법으로 그 외주면 중앙부에 외주면을 따라 소정 높이로 돌출된 받침플랜지(32a)와, 그 외경을 확장한 외경확장부(32b)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판부재(31)와 상기 승강원통부재(32)는 상기 판부재(31)의 중앙관통홀(31a)에 상기 승강원통부재(32)를 소정 압력을 가하여 끼움으로써, 상기 외경확장부(32b)에서 상기 판부재(31)가 억지끼움방식으로 고정되어지고, 받침플랜지(32a)에 견고히 밀착되고 지지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판부재(31)의 중앙관통홀(31a) 테두리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의 버링부(31b)가 형성되는데, 상기 판부재(31)가 중앙관통홀(31a)을 통해 상기 승강원통부재(32)의 외경확장부(32b)에 억지끼워질 때 그 마찰면을 증가시킴으로서 보다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판부재와 승강원통부재가 간단한 프레스 가압하는 단조가공의 방법으로 제조되어지므로, 그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따라서 생산성이 향상되며 제조원가도 낮출 수가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판부재(31)를 베이스 기판으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베이스 기판을 별도로 제조해야 하는 제조공정을 제거하여 제조공정을 줄임은 물론 제조 원가를 낮출 수가 있다.
즉,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사축(20)의 하단에 그 저면로부터 축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외주면에 소정 높이로 돌출된 걸림턱(21)을 형성하고, 하단 저면 테두리에는 나사축방향으로 돌출된 환형의 가압체결부(22)를 형성한다.
이러한 나사축 하단에 상기 판부재(31)을 중앙관통홀(31a)을 통해 상기 걸림턱(21)에 의해 지지되도록 끼우고, 상기 환형의 가압체결부(22)를 환형의 홈이 형성된 다이스(70)로 가압하여 상기 가압체결부(22)가 상기 판부재(31)의 중앙관통홀(31a)의 가장자리를 소정 압력으로 덮게 되면서 상기 판부재(31)는 상기 나사축 하단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바닥판 지지대의 구조를 개선한 본 고안의 바닥판 지지대는 외면에 수나사선을 형성한 나사축(20)이 마련되는데, 상기 나사축(20)의 하단 외주면에는 소정 높이로 돌출된 걸림턱(21)과, 축방향으로는 환형의 가압체결 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축(20)에 끼워져 승강되어지며 바닥판을 지지하는 승강지지판(30)이 마련되는데, 상기 승강지지판(30)은 나사결합되는 원통형 승강원통부재(32)와, 상기 승강원통부재(32)에 끼워져 고정되는 바닥판을 지지하는 판부재(31)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원통부재(32)의 중앙 외주면에는 상기 판부재(31)를 지지하는 받침플랜지(32a)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승강원통부재(32)의 외경이 확장된 외경확장부(32b)를 형성하여 상기 판부재(31)가 억지끼움방식에 의해 끼워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판부재(31)와 그 위에 지지되는 바닥판의 사이에 고무재질의 받침판(80)을 마련하여 바닥판과 판부재(31)와의 접촉으로 인한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원통부재(32)의 하단에는 상기 승강원통부재(32)의 회전을 방지하고 고정시키는 승강너트(40)와 손잡이(51)가 구비된 스토퍼너트(50)가 차례로 상기 나사축(20)에 끼워져 있으며, 상기 승강원통부재(32)의 상단에는 상기 판부재(31)에 안착되는 바닥판의 일부를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가압플랜지(61)가 구비된 체결볼트(60)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체결볼트(60)는 원판형상을 이루며 그 중앙부가 관통된 구조를 가지는 가압플랜지(61)의 그 중앙 관통부에 볼트부재(62)를 끼워 상기 가압플랜지(61)의 관통된 중앙 테두리와 상기 볼트부재(62)의 상단 테두리를 프레싱가압하는 단조가공의 방법으로 제조되어진다.
이때, 상기 가압플랜지(61)는 프레스 펀칭가공에 의해 제조되어지고, 상기 볼트부재(60)는 전조가공의 방법으로 수나사선(62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볼트부재(62)는 체결볼트(60)를 L렌치로 회전시켜 보다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그 상단면에 육각렌치홈(62b)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나사축(20)의 하단에는 상기 판부재(31)의 중앙관통홀(31a)을 통해 끼워져 환형의 가압체결부(22)를 다이스(70)로 가압하여 상기 걸림턱(21)과 가압된 가압체결부(22)의 사이에서 상기 판부재(31)가 견고히 고정되어진다.
앞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일실시 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바닥판 지지대를 구성하는 승강지지판의 판부재와 승강원통부재를 각각 분리하여 간단한 프레스 가압하는 단조가공의 공법으로 제조하고, 상기 판부재를 베이스 기판으로 사용함으로써,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부 품의 제조공정이 감소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며, 제조원가 또한 낮출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각 분리되어 제조되는 판부재와 승강원통부재의 결합은 상호 억지끼움방식에 의해 이루어지되, 상기 판부재가 상기 승강원통부재의 외면 받침플랜지에 의해 견고히 지지되어지므로 판부재와 승강원통부재가 분리된 구조에서도 보다 견고한 고정력으로 바닥판을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건물바닥면에 설치되는 장방형의 베이스 기판과, 그 중앙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나사축과, 이 나사축에 끼워져 바닥판을 지지하며 승/하강하는 승강지지판과, 상기 나사축에 차례로 끼워져 상기 승강지지판를 고정하는 승강너트 및 스토퍼너트와, 상기 승강지지판에 얹어지는 받침판과, 상기 승강지지판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바닥판을 압착하는 체결볼트로 이루어진 바닥판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승강지지판(30)은;
    상기 나사축(20)과 나사결합되어 승강되도록 내부를 관통시키고 암나사선이 형성되며, 외주면 중앙에는 일정높이로 돌출된 받침플랜지(32a)와, 그 외경이 확장된 외경확장부(32b)를 형성한 승강원통부재(32)와,
    바닥판을 지지하도록 평판형을 이루며 중앙부에 상기 승강원통부재(32)가 끼워지는 중앙관통홀(31a)이 형성된 판부재(31)로 구성하여,
    상기 판부재(31)가 상기 승강원통부재(32)의 외경확장부(32b)에 억지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판 지지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축(20)의 하단 외주면에 소정 높이로 돌출된 걸림턱(21)과 저면 테두리에 축방향으로 환형의 가압체결부(22)를 형성시키고, 상기 판부재(31)를 중앙 관통홀(31a)을 통해 상기 나사축(20)의 하단에 끼워 상기 가압체결부(22)를 가압으로 소정변형시켜 상기 중앙관통홀(31a)의 주변을 압착하여 고정함으로써, 상기 베이스 기판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판 지지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재(31)의 중앙관통홀(31a)의 테두리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된 버링부(31b)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판 지지대.
KR2020060031032U 2006-12-05 2006-12-05 바닥판 지지대 KR2004364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032U KR200436455Y1 (ko) 2006-12-05 2006-12-05 바닥판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032U KR200436455Y1 (ko) 2006-12-05 2006-12-05 바닥판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455Y1 true KR200436455Y1 (ko) 2007-08-22

Family

ID=41631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1032U KR200436455Y1 (ko) 2006-12-05 2006-12-05 바닥판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45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409Y1 (ko) * 2010-08-25 2011-02-28 윤건훈 건물 인테리어용 바닥판 지지대
KR101397770B1 (ko) 2013-05-02 2014-06-27 양병남 지지높이가 긴 마루틀 용 기둥볼트의 코킹연결방법
KR20230002460U (ko) * 2022-06-20 2023-12-27 주식회사 우석 액세스 플로어 받침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409Y1 (ko) * 2010-08-25 2011-02-28 윤건훈 건물 인테리어용 바닥판 지지대
KR101397770B1 (ko) 2013-05-02 2014-06-27 양병남 지지높이가 긴 마루틀 용 기둥볼트의 코킹연결방법
KR20230002460U (ko) * 2022-06-20 2023-12-27 주식회사 우석 액세스 플로어 받침장치
KR200497786Y1 (ko) * 2022-06-20 2024-02-29 주식회사 우석 액세스 플로어 받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6455Y1 (ko) 바닥판 지지대
CN100397708C (zh) 用于金属型材的接地装置
EP2459890A1 (en) Cage nut assembly
CN108668424B (zh) 气密结构
KR20160098459A (ko) 수동 조작 또는 공압 프레스용 힘 센서
KR200423535Y1 (ko) 바닥판용 지지대
US7458141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installing a garbage disposer
JP5563264B2 (ja) 束金物
CN217426690U (zh) 晶圆扩膜机
JP2005226788A (ja) ピアスナット
US20160053802A1 (en) Sucking disc structure and pad thereof
KR200452409Y1 (ko) 건물 인테리어용 바닥판 지지대
JP2012188270A (ja) エレベータ乗りかご
CN204584006U (zh) 带凸缘筒形件底面大孔冲模
US20100092265A1 (en) Sheet metal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a sheet metal structure
CN210653493U (zh) 一种用于安装发动机箱体的安装组件及一种摩托车
KR20060114782A (ko) 프레스물의 팸너트 설치구조
JP5022211B2 (ja) プッシュナット
US2189981A (en) Jack element
CN214742604U (zh) 一种翻铆式弹簧柱塞
JPH07102742A (ja) 床パネル支持装置
CN219196479U (zh) 建筑结构墙柱脚连接装置
KR102347260B1 (ko) Difar 센서 하우징 및 difar 센서 하우징용 분해 장치
CN220822544U (zh) 一种接线盒及接线盒联排组件
JP2005006387A (ja) ケーブル用固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30514

Effective date: 2013103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31129

Effective date: 20140717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40813

Effective date: 2014112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