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7770B1 - 지지높이가 긴 마루틀 용 기둥볼트의 코킹연결방법 - Google Patents

지지높이가 긴 마루틀 용 기둥볼트의 코킹연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7770B1
KR101397770B1 KR1020130049135A KR20130049135A KR101397770B1 KR 101397770 B1 KR101397770 B1 KR 101397770B1 KR 1020130049135 A KR1020130049135 A KR 1020130049135A KR 20130049135 A KR20130049135 A KR 20130049135A KR 101397770 B1 KR101397770 B1 KR 101397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ulking
frame
hole
semicircular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9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병남
Original Assignee
양병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병남 filed Critical 양병남
Priority to KR1020130049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77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종래에는 지지기둥볼트(30)의 하단부와 기둥파이프(20)의 상단부를 연결할 때는 용접가공을 하며, 기둥파이프(20)와 지지기둥볼트(30)를 용접가공으로 연결할 때의 용접부는 기둥파이프(20)의 상부 끝단의 3개의 지점을 선택하여, 지지기둥볼트(30)의 외측원에 점용접으로 용접하므로 용접부의 지지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이에, 기성품의 볼트길이는 최대 320㎜이나, 마루틀의 설치 높이가 320㎜를 초과할 때의 연장방법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 한 것으로,
기초판(1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삽입공(12)에 기둥파이프(20)의 하단부를 삽입함과 동시에 프레스공정에 의거, 상기 기둥파이프(20)의 하단부와 상기 기초판(10)이 결합되는 제1 코킹부(13)와,
기둥볼트(30)의 길이를 연장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상기 기둥파이프(20)의 상단부에 구비된 코킹공(22)에 삽입하기 위하여, 상기 기둥볼트(2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형 연결부(31)를 형성하여 기둥파이프(20)의 상단 코킹공(22)에 프레스 공정에 의한 코킹으로 형성되는 제 2 코킹부(32)의거 기둥파이프(20)의 상단부와 지지볼트(20)의 하단부가 결합되며,
또한, 헤드부(50)의 바닥면(57)에 구비된 설치공(52)에 높이 조절부(40)의 상단부가 상기 설치공(52)에 삽입됨과 동시에 코킹 공정으로 결합되는 제3의 코킹부(43)에 의거 상기 헤드부(50)와 높이조절부(40)의 상단부가 결합되고,
또한, 상기 헤드부(50)의 횡단면이 ∪형태로 좌,우 측에 이루어지는 수직부(51), 상기 수직부(51)에는 결합공(54)과 반원형 요홈부(55)가 구비되고, 상기 반원형 요홈부(55)의 하부측으로 이어저 형성되는 결착부(53),
또한, 상기 프레임(60)의 횡단면이 ∩ 형태로 좌,우 측에 구비되는 직선부(61)에 형성되는 체결공(64)과 반원형 돌출부(63), 상기 반원형 돌출부(63)가 헤드부(50)의 결착부(53)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50)의 상기 수직부(51)에 형성된 결합공(54)을 관통하여 프레임(60)에 형성된 체결공(64)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못(65), 상기 나사못(65)에 의거 헤드부(50)의 내측면에 프레임(60)이 장착된다.

Description

지지높이가 긴 마루틀 용 기둥볼트의 코킹연결방법{Calking Method of Floor suppoting Extension Post}
마루틀을 지지하는 마루틀의 지지대에 관한 것이며 , 종래에는 지지높이가 긴 마루틀 용 기둥볼트와 기둥파이프를 용접으로 연결하므로 용접연결부가 3 점용접으로 용접강도가 취약하며, 용접부에는 열응력이 작용하여 그 강도에 취약점이 나타나, 마루틀이 불균형 침하하므로 이를 보강하기 위한 코킹 연결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마루틀을 지지하기 위하여 건물의 콘크리트 평면 바닥기초 위에 바둑판 형태로 일정간격으로 부설되는 기초판(10)과, 기초판(10)의 중앙부에 장착되는 기둥파이프(20)의 하단부가 결합되는 제1 코킹부와,
기둥볼트(30)의 길이를 연장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상기 기둥파이프(20)의 상단부에 형성된 코킹공(22)에 기둥볼트(30)의 하단부에 구비된 ┳형 연결부를 장착하기 위하여 프레스 공정에서 코킹으로 결합되어 기둥파이프(20)의 높이를 연장하는 제 2 코킹부와,
상기 기둥볼트(30)와 나사결합되는 높이 조절부(40)의 상단부가 헤드부(50)의 바닥면(57) 중앙부에 구비된 설치공에 코킹으로 장착되는 제3의 코킹부가 형성되는 코킹연결 방법에 의한 마루틀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건설되고 있는 대부분의 건물은 내부의 생활환경을 친환경적이고 고급스럽게 마감함은 물론, 전선이나 전화선과 같은 케이블을 깨끗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 바닥면과 마루틀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플로어(FLOOR)가 설치된다.
그러므로 플로어는 바닥에서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통상의 프리 액세스 플로어(Free Access Floor) 또는 오에이 플로어(OA Floor)라고 하며, 이러한, 액세스 플로어(Free Access Floor) 또는 오에이 플로어(OA Floor)는 학교, 체육관, 공공시설 등에 특히 많이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건물의 바닥에서 플로어를 300㎜이상으로 이격하여 설치할 수 있는 지지볼트의 길이가 300㎜를 초과한 기성품이 없어서, 특수 볼트로 개별적으로 제작하여야 하므로 부득히 지지파이프의 상단부에 지지볼트의 하단부를 용접으로 결합시키므로, 용접부의 열응력의 발생으로 취약하여 용접부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기둥파이프(20)의 상단부에 기둥볼트(30)의 하단부를 용접가공으로 연결함에 있어서, 기둥파이프(20)의 상단부와 기둥볼트(30)의 외측원이 접속된 3개 지점을 선택하여 점 용접을 실시하므로, 용접의 연결강도가 취약하여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액세스 플로어(Free Access Floor) 또는 오에이 플로어(OA Floor)의 시공은 통상 건물의 콘크리트 바닥에 기초판(10)에 장착된 지지기둥 볼트의 길이가 300㎜를 초과하여 설치되는 경우는 이 길이를 연장하는 용접 연결부가 취약하여 부분적으로 파손되므로, 마루 바닥재인 플로어가 불균등하게 침하 되는 문제점이 있다.
KR-B1-10-1009217 KR-Y1-20-0321667 KR-Y1-20-0423535
본원은 용접연결부의 강도가 저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배제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기둥볼트(30)의 길이를 연장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기둥파이프(20)의 상단부에 형성된 코킹공(22)에 기둥볼트(3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형 연결부(31)를 삽입하면서 프레스공정에서 코킹으로 연결하므로 연결작업의 능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또한, 일반적으로 용접부는 용접시 발생하는 고열에 의거 가열되고, 냉각되므로 열응력 또는 미세한 크랙이 발생하여 용접강도가 저하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기둥파이프(20)의 상단부에 형성된 코킹공(22)에 기둥볼트(30)의 하단부에 구비된 ┳형 연결부(31)를 코킹으로 장착하므로 연결부의 장착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마루틀을 지지하는 프레임(60)의 좌,우 측에 구비되는 직선부(61)에 형성되는 반원형태의 돌출부(63), 상기 돌출부(63)가 헤드부(50)의 좌,우 측에 형성되는 수직부(51)에 구비된 반원형 요홈부(55)에 삽입되고, 상기 반원형 요홈부(55)에 이어지면서 상기 요홈부(55)보다 그 깊이가 깊은 반원형 결착부(53)에 장착되므로, 프레임(60)이 좌,우 및 상,하로 흔들리는 것을 배제하므로, 프레임(60)의 장착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은 마루틀(미도시)을 지지하기 위하여 건물의 콘크리트 평면 바닥기초 위에 바둑판 형태로 일정간격으로 부설되는 기초판(10)과, 기초판(10)의 중앙부에 장착되는 기둥파이프(20), 상기 기둥파이프(20)의 하단부가 삽입됨과 동시에 프레스공정에 의거, 기초판(10)의 중앙부에 기둥파이프(20)의 하단부가 코킹으로 장착되는 제1 코킹부(13)와,
기둥볼트(30)의 길이를 연장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상기 기둥파이프(20)의 상단부에 구비된 코킹공(22)에 삽입되어 기둥볼트(30)의 하단부에 구비된 ┳형 연결부(31)가 삽입되어 장착되기 위하여 프레스 공정에 의한 코킹에 의거 ┳형 연결부(31)가 코킹공(22)에 삽입되어 장착하는 제 2 코킹부(32)와,
상기 기둥볼트(30)의 외측원에 형성된 수나사(33)와 나사결되어 마루틀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하기 위하여 형성되어 높이 조절부(40)의 상단부가 헤드부(50)의 바닥면(57)에 구비된 설치공(52)에 삽입됨과 동시에 코킹공정으로 장착되는 ㄹ자형의 제3의 코킹부(43)와,
횡단면이 ∪형태로 이루어지는 상기 헤드부(50)의 상부 내측에 장착되는 프레임(60), 상기 프레임(60)은 횡단면이 ∩형상을 이루는 직선부(61)에 형성되는 반원형 돌출부(63)와 체결공(64), 상기 체결공(64)에 체결되어 나사결합되는 나사못(65), 상기 나사못(65)이 관통하는 헤드부(50)의 관통공(54)을 관통하여 프레임(60)의 체결공(64)에 나사결합으로 장착되는 상기 프레임(60),
상기 프레임(60)을 견고하게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60)의 좌,우측에 구비된 직선부(61)에 형성되는 반원형 돌출부(63), 상기 돌출부(63)가 헤드부(50)의 좌,우측에 구비된 수직부(51)에 형성된 반원형 결착부(53)와 반원형 요홈부(55), 상기 반원형 요홈부(55)에 이어지면서 상기 요홈부(55)보다 그 깊이가 깊은 반원형 결착부(53)에 장착되므로, 프레임(60)이 좌,우 및 상,하로 흔들림이 없도록 프레임(60)의 설치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마루틀 의 설치 높이가 300㎜를 초과할 때에는, 지지높이가 긴 마루틀용 기둥볼트의 길이를 연장하기 위하여, 기둥파이프(20)의 상단부에 형성된 코킹공(22)에 삽입되어 기둥볼트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형 연결부(31)를 삽입하여, 프레스공정에서 코킹으로 장착하므로 연결부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고,
또한, 기둥볼트(30)의 길이를 연장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기둥파이프(20)의 상단부에 형성된 코킹공(22)에 삽입되어 기둥볼트(30)의 하단부에 형성된 ┳형 연결부(31)를 삽입하여 프레스공정에서 코킹으로 연결하므로 연결작업의 능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용접부는 용접열에 의거 가열,냉각되므로 열응력이 발생하여 강도가 저하되지 않도록, 기둥파이프(20)의 상단부에 구비도는 코킹공(22)에 삽입되기 위하여 기둥볼트(3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형 연결부(31)를 프레스공정에서 코킹으로 연결하므로 연결부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고
또한, 마루틀을 지지하는 프레임(60)의 끝단부의 직선부(61)에 형성되는 반원형태의 돌출부(63), 상기 돌출부(63)가 헤드부(50)의 좌,우측에 구비되는 수직부(51)에 형성된 반원형 요홈부(55)에 이어지면서 상기 요홈부(55)보다 그 깊이가 깊은 반원형 결착부(53)에 상기 돌출부(63)가 장착되므로, 프레임(60)이 좌,우 및 상,하로 흔들림이 없도록 프레임(60)의 설치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마루틀 용 지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마루틀 용 지지장치의 설치도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인 도 1 내지 도 2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원은 마루틀을 지지하기 위하여 건물의 콘크리트 평면 바닥기초 위에 바둑판 형태로 일정간격으로 부설되는 기초판(10)과, 상기 기초판(10)의 코너부에는 앙카볼트공(11)이 구비되고, 상기 기초판(1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삽입공(12)에 기둥파이프(20)의 하단부를 삽입함과 동시에 프레스공정에 의거, 상기 기둥파이프(20)의 하단부와 상기 기초판(10)이 결합되는 제1 코킹부(13)와,
기둥볼트(30)의 길이를 연장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상기 기둥파이프(2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코킹공(22), 상기 코킹공(22)에 삽입되어 결합하기 위하여 기둥볼트(3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형 연결부(31), 상기 ┳형 연결부((31)가 프레스공정에 의거 상기 코킹공(22)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제 2코킹부(32)와,
상기 기둥볼트(30)의 외측원에 형성된 수나사(33)와 나사결되어 마루틀(미도시)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하기 위하여 형성되고, 내츠측원에 암나사(41)가 구비되는 높이 조절부(40), 상기 높이 조절부(40)의 설치 높이를 결정하기 위하여 기둥볼트(30)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높이 조절부(40)의 하단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높이 조절부(40)의 설치 높이를 결정하기 위하여 암나사(23)가 형성된 스톱퍼(24),
헤드부(50)의 바닥면(57)의 중앙부에 구비된 설치공(52)에 장착되는 높이 조절부(40), 상기 높이 조절부(40)의 상단부가 상기 설치공(52)에 삽입됨과 동시에 프레스공정에서 코킹으로 장착되기 위하여 형성되는 ㄹ자형의 제3의 코킹부(43),
상기 헤드부(50)의 횡단면이 ∪형태로 좌,우 측에 이루어지는 수직부(51), 상기 수직부(51)에는 결합공(54)과 반원형 요홈부(55)가 구비되고, 상기 반원형 요홈부(55)의 하부측으로 이어저 형성되는 결착부(53),
상기 결착부(53)에 장착되기 위하여 형성되는 프레임(60)의 직선부(61)에 형성되는 반원형 돌출부(63),
또한, 상기 프레임(60)의 횡단면이 ∩ 형태로 좌,우 측에 구비되는 직선부(61)에 형성되는 체결공(64)과 반원형 돌출부(63), 상기 반원형 돌출부(63)가 헤드부(50)의 결착부(53)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50)의 상기 수직부(51)에 형성된 결합공(54)을 관통하여 프레임(60)에 형성된 체결공(64)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못(65), 상기 나사못(65)에 의거 헤드부(50)의 내측면에 프레임(60)이 장착되며,
상기 프레임(60)의 직선부(61)에 구비된 상기 반원형 돌출부(63)가 헤드부(50)의 상기 수직부(51)에 형성된 반원형 요홈부(55)에 삽입되고, 상기 반원형 요홈부(55)에 이어지면서 상기 요홈부(55)보다 그 깊이가 깊은 반원형 결착부(53)에 상기 반원형 돌출부(63)가 결합되므로, 헤드부(50)의 내측에 프레임(60)이 긴밀하게 장착되므로 프레임(60)의 흔들림이 없어서 상기 프레임(60)이 견고하게 장착되는 것이다.
또한, 횡단면이 ∩ 형태로 구비되는 상기 후레임(60)의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반원형 밴딩부(67), 상기 반원형 밴딩부(67)를 상기 후레임(60)의 상부면(62)과 수직부(61)에 형성하여 프레임(60)의 단면 계수를 크게하므로, 프레임(60)의 강도를 보강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60)의 상부면(62)에 마루틀판재(미도시)를 부설하고, 상기 마루틀판재(미도시)는 나사못(미도시)으로 상기 프레임(60)의 상부면(62)과 결합하게 된다.
또한, 지지높이가 긴 마루틀(미도시)용 기둥파이프(20)의 코킹연결 과정을 살펴보면,
실내체육관이나, 학교의 마루를 설치함에 있어서, 마루틀(미도시)을 지지하기 위하여 건물의 콘크리트 평면 바닥기초 위에 바둑판 형태로 일정간격으로 부설되는 기초판(10)을 설치하기 위한 콘크리트 기초(미도시)를 수평으로 형성하는 제 1단계;
상기 기초판(1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설치공(12), 상기 설치공(12)에 기둥파이프(20)의 하단부를 삽입함과 동시에, 프레스공정에서 코킹에 의거, 상기 기둥파이프(20)의 하단부와 상기 기초판(10)이 결합되는 제1 코킹부(13)를 형성하는 제 2단계;
기둥볼트(30)의 길이를 연장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상기 기둥파이프(20)의 상단부에 구비된 코킹공(22)에 삽입하기 위하여, 기둥볼트(3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형 연결부(31), 상기 ┳형 연결부(31)는 상기 기둥파이프(20)의 상단부에 구비된 코킹공(22)에 기둥볼트(3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프레스공정에서 코킹에 의거 결합되어 기둥파이프(20)의 높이를 연장하는 제 2 코킹부(32)를 형성하는 제 3단계;
상기 기둥볼트(30)의 외측원에 형성된 수나사부(33)와 나사결되어 마루틀(미도시)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40)를 고정되기 위하여 형성되는 암나사(23)가 구비된 스톱퍼(24)를 상기 높이 조절부(40)와 결합하여 마루틀(미도시)의 높이를 결정하는 제 4단계;
헤드부(50)의 바닥면(57)의 중앙부에 구비된 설치공(52)에 장착되는 높이 조절부(40), 상기 높이 조절부(40)의 상단부가 상기 설치공(52)에 삽입됨과 동시에 프레스공정에서 코킹으로 장착되기 위하여 형성되는 ㄹ자형의 제3의 코킹부(43)를 이루는 제 5단계;
프레임(60)의 횡단면이 ∩ 형태로 좌,우 측에 구비되는 직선부(61)에 형성되는 체결공(64)과 반원형 돌출부(63), 상기 반원형 돌출부(63)가 헤드부(50)의 결착부(53)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50)의 좌,우 측에 구비되는 수직부(51)에 형성된 결합공(54)을 관통하여 프레임(60)에 형성된 체결공(64)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못(65)에 의거 헤드부(50)의 좌,우 측에 구비되는 수직부(51)의 내측에 프레임(60)이 장착되는 제 6단계;
상기 프레임(60)이 좌,우 및 상,하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60)의 좌우측 끝단부에 형성되는 반원형돌출부(63), 상기 반원형 돌출부(63)가 헤드부(50)의 수직부(51)에 형성된 상기 반원형 요홈부(55)에 삽입되고, 상기 반원형 요홈부(55)에 이어서 상기 요홈부(55)보다 그 깊이가 깊은 반원형 결착부(53)에 상기 반원형 돌출부(63)가 장착되는 제 7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높이가 긴 마루틀(미도시) 용 기둥파이프(20)의 코킹연결 방법.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기재내용의 범위 안에서, 액세스 플로어(Free Access Floor) 또는 오에이 플로어(OA Floor) 또는 우드 플로어(OA Floor)의 시공과 같이 통상 건물의 콘크리트 바닥에 기초판(10)을 일정간격으로 부설하고,
상기 기초판(10)의 중앙부에 코킹공정으로 지지높이가 긴 마루틀 용 파이프형태의 하단부가 결합되는 지지기둥,
기둥볼트(30)의 길이를 연장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상기 지지파이프의 상단부에 구비된 코킹공에 장착되기 위하여, 길이가 연장되는 기둥볼트의 하단부에 구비된 ┳형 연결부(31)가 프레스공정에서 코킹으로 결합하여 상기 지지기둥 또는 기둥볼트의 길이를 연장하는 모든 플로어 지지장치에 이용 가능하다.
10; 기초판 20; 기둥파이프 30; 기둥볼트
40; 높이조절부 50; 헤드부 60; 프레임

Claims (3)

  1. 실내체육관이나, 학교의 마루를 설치함에 있어서, 마루틀(미도시)을 지지하기 위하여 건물의 콘크리트 평면 바닥기초 위에 바둑판 형태로 일정간격으로 부설되는 기초판(10)을 설치하기 위한 콘크리트 기초(미도시)를 수평으로 형성하는 제 1단계;
    상기 기초판(1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설치공(12), 상기 설치공(12)에 기둥파이프(20)의 하단부를 삽입함과 동시에, 프레스공정에서 코킹에 의거, 상기 기둥파이프(20)의 하단부와 상기 기초판(10)이 결합되는 제1 코킹부(13)를 형성하는 제 2단계;
    기둥볼트(30)의 길이를 연장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상기 기둥파이프(20)의 상단부에 구비된 코킹공(22)에 삽입하기 위하여, 기둥볼트(3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형 연결부(31), 상기 ┳형 연결부(31)는 상기 기둥파이프(20)의 상단부에 구비된 코킹공(22)에 기둥볼트(3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프레스공정에서 코킹에 의거 결합되어 기둥파이프(20)의 높이를 연장하는 제 2 코킹부(32)를 형성하는 제 3단계;
    상기 기둥볼트(30)의 외측원에 형성된 수나사부(33)와 나사결되어 마루틀(미도시)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40)를 고정되기 위하여 형성되는 암나사(23)가 구비된 스톱퍼(24)를 상기 높이 조절부(40)와 결합하여 마루틀(미도시)의 높이를 결정하는 제 4단계;
    헤드부(50)의 바닥면(57)의 중앙부에 구비된 설치공(52)에 장착되는 높이 조절부(40), 상기 높이 조절부(40)의 상단부가 상기 설치공(52)에 삽입됨과 동시에 프레스공정에서 코킹으로 장착되기 위하여 형성되는 ㄹ자형의 제3의 코킹부(43)를 이루는 제 5단계;
    프레임(60)의 횡단면이 ∩ 형태로 좌,우 측에 구비되는 직선부(61)에 형성되는 체결공(64)과 반원형 돌출부(63), 상기 반원형 돌출부(63)가 헤드부(50)의 결착부(53)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50)의 좌,우 측에 구비되는 수직부(51)에 형성된 결합공(54)을 관통하여 프레임(60)에 형성된 체결공(64)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못(65)에 의거 헤드부(50)의 좌,우 측에 구비되는 수직부(51)의 내측에 프레임(60)이 장착되는 제 6단계;
    상기 프레임(60)이 좌,우 및 상,하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60)의 좌우측 끝단부에 형성되는 반원형돌출부(63), 상기 반원형 돌출부(63)가 헤드부(50)의 수직부(51)에 형성된 상기 반원형 요홈부(55)에 삽입되고, 상기 반원형 요홈부(55)에 이어서 상기 요홈부(55)보다 그 깊이가 깊은 반원형 결착부(53)에 상기 반원형 돌출부(63)가 장착되는 제 7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높이가 긴 마루틀 용 기둥볼트의 코킹연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50)의 횡단면이 ∪형태로 좌,우 측에 이루어지는 수직부(51), 상기 수직부(51)에는 결합공(54)과 반원형 요홈부(55)가 구비되고, 상기 반원형 요홈부(55)의 하부측으로 이어저 형성되는 결착부(53),
    상기 결착부(53)에 장착되기 위하여 형성되는 프레임(60)의 직선부(61)에 형성되는 반원형 돌출부(63),
    상기 프레임(60)의 횡단면이 ∩ 형태로 좌,우 측에 구비되는 직선부(61)에 형성되는 체결공(64)과 반원형 돌출부(63), 상기 반원형 돌출부(63)가 헤드부(50)의 결착부(53)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50)의 상기 수직부(51)에 형성된 결합공(54)을 관통하여 프레임(60)에 형성된 체결공(64)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못(65), 상기 나사못(65)에 의거 헤드부(50)의 내측면에 프레임(60)이 장착되며,
    상기 프레임(60)의 직선부(61)에 구비된 상기 반원형 돌출부(63)가 헤드부(50)의 상기 수직부(51)에 형성된 반원형 요홈부(55)에 삽입되고, 상기 반원형 요홈부(55)에 이어지면서 상기 요홈부(55)보다 그 깊이가 깊은 반원형 결착부(53)에 상기 반원형 돌출부(63)가 결합되므로,
    헤드부(50)의 내측에 프레임(60)이 긴밀하게 장착되므로 프레임(60)의 흔들림이 없어서 상기 프레임(60)이 견고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높이가 긴 마루틀 용 기둥볼트의 코킹연결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판(1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삽입공(12)에 기둥파이프(20)의 하단부를 삽입함과 동시에 프레스공정에 의거, 상기 기둥파이프(20)의 하단부와 상기 기초판(10)이 결합되는 제1 코킹부(13)와,
    기둥볼트(30)의 길이를 연장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상기 기둥파이프(2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코킹공(22), 상기 코킹공(22)에 삽입되어 결합하기 위하여 기둥볼트(3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형 연결부(31),
    상기 ┳형 연결부((31)가 프레스공정에 의거 상기 코킹공(22)에 삽입되어 상기 ┳형 연결부(31)가 장착되는 제2코킹부(32)와,
    상기 헤드부(50)의 바닥면(57)에 구비되는 설치공(52)에 높이 조절부(40)의 상단부가 삽입됨과 동시에 프레스공정에서 코킹으로 결합되는 ㄹ자형의 제3의 코킹부(43)를 형성하여 높이 조절부(40)의 상단부에 헤드부(50)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높이가 긴 마루틀 용 기둥볼트의 코킹연결 방법.

KR1020130049135A 2013-05-02 2013-05-02 지지높이가 긴 마루틀 용 기둥볼트의 코킹연결방법 KR101397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135A KR101397770B1 (ko) 2013-05-02 2013-05-02 지지높이가 긴 마루틀 용 기둥볼트의 코킹연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135A KR101397770B1 (ko) 2013-05-02 2013-05-02 지지높이가 긴 마루틀 용 기둥볼트의 코킹연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7770B1 true KR101397770B1 (ko) 2014-06-27

Family

ID=51131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9135A KR101397770B1 (ko) 2013-05-02 2013-05-02 지지높이가 긴 마루틀 용 기둥볼트의 코킹연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777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2184A (ja) * 1997-08-22 1999-03-05 Naka Ind Ltd 床パネル支持装置用支柱
JP2002309762A (ja) 2001-04-13 2002-10-23 Sanshin Seisakusho:Kk 建築用支持金具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36455Y1 (ko) 2006-12-05 2007-08-22 양병남 바닥판 지지대
KR20120131326A (ko) * 2011-05-25 2012-12-05 양병남 밴딩부가 일체로 형성된 완충고무의 받침판 지지 파이프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2184A (ja) * 1997-08-22 1999-03-05 Naka Ind Ltd 床パネル支持装置用支柱
JP2002309762A (ja) 2001-04-13 2002-10-23 Sanshin Seisakusho:Kk 建築用支持金具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36455Y1 (ko) 2006-12-05 2007-08-22 양병남 바닥판 지지대
KR20120131326A (ko) * 2011-05-25 2012-12-05 양병남 밴딩부가 일체로 형성된 완충고무의 받침판 지지 파이프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55564A (ko) 건물 외장재 및 외부 단열재 설치 브라켓
JP2010144372A (ja) 屋外デッキ取付構造
KR200459446Y1 (ko) 개량 배관지지가대
KR101090852B1 (ko) 내/외장 패널 고정장치
KR20170044437A (ko)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와, 단열재와 결합된 거푸집을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및 건축용 외장 패널 시공방법
KR101397770B1 (ko) 지지높이가 긴 마루틀 용 기둥볼트의 코킹연결방법
JP5976339B2 (ja) 屋上設備機器設置用架台の取付装置及び取付方法
CN210263417U (zh) 一种平移式预制混凝土外挂墙板与钢梁连接承重节点的结构
CN207073247U (zh) 墙面保温装饰复合板锚固件及墙面保温装饰复合板安装结构
KR20200094305A (ko) 우물천장 구조물
JP3181079U (ja) ソーラーパネル設置用ベース板の支承金具
CN210562826U (zh) 一种预制墙板
JP6782530B2 (ja) 外壁部材の支持具を用いた施工構造
JP6426988B2 (ja) 天井吊りボルト取付装置
CN207609103U (zh) 一种楼面平台的活动栏杆
CN205637847U (zh) 一种提高环保效率的多功能施工围墙
JP3202583U (ja) 太陽光発電パネルの支持構造
CN103266703B (zh) 陶土板幕墙安装结构
CN203160487U (zh) 陶土板幕墙安装结构
CN220365154U (zh) 一种多场景适应的预埋基础固定结构
KR102126921B1 (ko) 외장판넬 설치용 브라켓장치
JP3223649U (ja) 床断熱パネルの取り付け構造
JP3182118B2 (ja) 木製床構造における根太材とフローリング材との結合金具、及び木製フローリング材の敷設方法
CN211551792U (zh) 一种单板型散热器安装结构
CN212641874U (zh) 一种建筑压型组合式楼板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