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5469Y1 - 건축용 석재판넬 모서리 고정수단 - Google Patents

건축용 석재판넬 모서리 고정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5469Y1
KR200315469Y1 KR20-2003-0008596U KR20030008596U KR200315469Y1 KR 200315469 Y1 KR200315469 Y1 KR 200315469Y1 KR 20030008596 U KR20030008596 U KR 20030008596U KR 200315469 Y1 KR200315469 Y1 KR 2003154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panel
bracket
building
horizontal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85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윤
Original Assignee
이영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윤 filed Critical 이영윤
Priority to KR20-2003-00085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54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54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54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 E04F13/085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adjustable in several directions, one of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내외장재로 시공되는 석재판넬(즉, 대리석, 화강석, 인조대리석등)을 건축물 내외면에 고정부착시 모서리에 사용되는 고정수단의 구조를 개선하여 모서리부분의 석재판넬을 매우 안정적인 시공이 가능토록 하여 안정성을 높이는 건축용 석재판넬 모서리부분의 고정수단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석재판넬건식 공사시 벽면과 석재판넬의 사이에 많은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석재판넬(21)과 (22)의 집합부분과 근접하여 L형브라켓(3)을 앵커볼트(2, 4)로 설치시 건물(23)의 모서리 부분이 균열, 또는 파손으로 인하여 많은 문제점이 발생됨에 따라 고안된 결합공(5)을 가진 L형 브라켓(3)과,
상기 L형 브라켓(3)과 결합공(7, 8)을 통해 볼트(9), 너트(10)로 좌,우 간격이 조절 가능하며 석재판넬(21)을 고정시키는 수평연결브라켓(6)으로 이루워진 건축용 석재판넬 모서리부분의 고정수단(1)에 있어서,
상기 수평연결브라켓(6)에는 전,후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는수평브라켓(11)을 결합공(12, 15)을 통해 볼트(14), 너트(13)로 연결하고, 수평브라켓(11)에는 전방에 결합공(16, 19)을 통해서 볼트(18), 너트(17)로 석재판넬(22)을 고정시켜줄 수평연결브라켓(20)을 결합하여, 콘크리트건축물 내외 모서리 부분 석재판넬 공사에 사용함으로써 고정상태가 매우 안정적이며,작업상의 편익도 대폭 향상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석재판넬 모서리 고정수단{omitted}
본 고안은 건축용 석재판넬 고정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건축물의 내외장재로 시공되는 석재판넬(즉, 대리석, 화강석, 인조대리석등)을 건축물 모서리 내외면에 고정부착시 사용되는 고정수단의 구조를 개선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석재판넬을 건축물의 모서리 부분에 고정부착시 매우 안정적인 시공이 가능토록 하여 안전성을 높이고, 작업성 향상 및 공기를 대폭 단축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벽의 모서리 부분을 균열 또는 파손되는 것을 보호하는 등 다수의 효과를 제공하는 건축용 석재판넬 모서리부분을 안전하게 고정시키는 수단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통상 건축물의 내외장재로 사용하는 각종의 석재판넬을 벽면 모서리등에 시공하기 위해서는 개략 L형 브라켓을 벽면의 모서리 근접지에 앵볼트로 고정하여 석재판넬등을 시공하고 있다.
상기 L형 브라켓은 벽면의 모서리부분을 중심으로하여 수평으로 측면과 정면에 앵커볼트로 고정하기 때문에 앵커볼트의 가피 팽창으로 인하여 콘크리트의 특성상 균열등이 빈번하여 석재판넬 시공 후 건축물 모서리부분에 하자 문제가 많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건축용 내외장재로 사용되는 각종 석재판넬을 벽면에 시공 시 사용하는 건축용 석재판넬 모서리부분 고정수단을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특히 건축물의 내외장재로 시공되는 석재판넬의 수직 모서리부분을 매우 안정적으로 시공이 가능토록 하여 안전성을 높이고, 작업성향상 및 건축물의 모서리부분이 균열과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건축용 석재판넬 수직 모서리부분 고정수단을 제공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은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 (건축용 석재판넬)고정수단 2: 앵커볼트
3: L형 브라켓 4: 앵커너트
5: 결합공 6: 수평연결브라켓
7: 결합공 8: 결합공
9: 볼트 10: 너트
11: 수평연결브라켓 12: 결합공
13: 너트 14: 볼트
15: 결합공 16: 결합공
17: 너트 18: 볼트
19: 결합공 20: 수평브라켓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석재판넬 모서리부분 고정수단(1)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이의 결합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설치 상태를 보인 평면도 등으로서, 상기한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건축용 석재판넬 모서리부분 고정수단(1)은 벽면에 앵커볼트(2)로 고정되는 L형 브라켓(3)과, 상기 L형 브라겟(3)에 볼트(9) 및 너트(10)와 같은 연결수단을 사용하여 수평으로 좌우 간격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평연결브라켓(6), 그리고 상기 수평연결브라겟(6)에 볼트(14) 및 너트(13)와 같은 연결수단을 사용하여 수평으로 전후 간격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평연결브라켓(11), 그리고 상기 수평연결브라켓(11)에 볼트(18) 및 너트(17)와 같은 연결수단을 사용하여 전후,좌우 간격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평연결브라켓(20)으로 시공되는 것으로 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L형 브라켓(3)의 수직면에는 앵커볼트(2)와 결합고정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장공 타입의 결합공(5)이 형성되고, 수평면에는 수평연결브라켓(6)과 상호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장공 타입의 결합공(8)을 형성하여 수평연결브라켓(6)의 우측에 형성된 장공 타입의 결합공(7)을 통하여 전기한 볼트(9) 및 너트(10)와 고정토록 한다.
그리고 수평연결브라켓(6)의 좌측에는 수평연결브라켓(11)과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장공 타입의 결합공(15)을 형성하여 수평연결브라켓(11)의 후측에는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장공 타입의 결합공(12)을 통하여 전기한 볼트(14) 및 너트(13)와 고정토록 한다.
상기 수평연결브라켓(11)의 전측에는 수평연결브라켓(20)과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장공 타입의 결합공(16)을 형성하여 수평연결브라켓(20)의 후측에는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장공 타입의 결합공(19)을 통하여 전기한 볼트(18) 및 너트(17)와 고정토록 한다.
도면중의 부호 21은 측면의 석재판넬, 22는 정면의 석재판넬, 23은 벽면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고안의 건축용 석재판넬 모서리부분고정수단(1)은 각종 건축물의 내외장재로 사용되는 석재판넬(21, 22)을 벽면모서리부분(23) 등에 고정할 시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고정수단(1)을 사용하여 석재판넬(21, 22)을 시공코자 할 시는 L형 브라켓(3)을 먼저 벽면(23)에 고정된 앵커볼트(2)에 고정하고,
상기 L형 브라켓(3)에 연결되는 수평연결브라켓(6)을 상호 대응부에 형성된결합공(7, 8)을 통하여 볼트(9)와 너트(10)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연결브라켓(6)에 연결되는 수평연결브라켓(11)을 상호 대응부에 형성된 결합공(12, 15)을 통하여 볼트(14)와 너트(13)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연결브라켓(11)에 연결되는 수평연결브라켓(20)을 상호 대응부에 형성된 결합공(16, 19)을 통하여 볼트(18)와 너트(17)로 연결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수평연결브라켓(6)의 좌측 상단에 석재판넬(21)을 고정 시키고, 수평연결브라켓(20)의 정면 상단에 석재판넬(22)을 고정 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벽면(23)에 석재판넬(21, 22)을 고정할 시에 고정수단(1)을 벽면(23)에 고정시킨 앵커볼트(2)에 고정시킨후 석재판넬(21)을 수 평연결브라켓(6)에, 석재판넬(22)을 수평영결브라켓(20)에 고정 시켜주므로 석재판넬(21, 22)의 고정 상태가 매우 안정적이며, 종래와 같이 벽면(23)이 균열, 파손의 염려가 없어서 안전하게 작업을 마무리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건축물의 벽면(23)의 모서리에 석재판넬(21, 22)을 고정할 시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하기와 같은 다수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석재판넬(21, 22)을 수평연결브라켓(6, 20)에서 고정토록 하여 고정 상태가 매우 안정적이며, 벽면(23)이 앵커볼트(2)의 팽창으로 인하여 균열, 파손의 염려가 없어지므로 작업상의 안전도 대폭 향상할 수 있는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것이다.

Claims (1)

  1. 벽면(23)에 앵커볼트(2)로 고정되는 결합공(5)을 가진 L형 브라켓(3)과,
    상기 L형 브라켓(3)과 결합공(7, 8)을 통해 볼트(9), 너트(10)로 좌후 간격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평연결브라켓(6)으로 이루어진 건축용 석재판넬 모서리부분 고정수단(1)에 있어서,
    상기 수평연결브라켓(6)에는 결합공(15, 12))을 통해 볼트(14), 너트(13)로 전후 간격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평연결브라켓(11)을 결합하고, 상기 수평연결브라켓(11)에는 결합공(16, 19)을 통해 볼트(18), 너트(17)로 전후 좌우 간격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평연결브라켓(20)을 결합토록 하며,
    상기 L형브라켓(3)을 벽면(23) 한곳에 고정하여 측면과 정면의 석재판넬(21, 22)을 고정 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석재판넬 모서리부분 고정수단.
KR20-2003-0008596U 2003-03-19 2003-03-19 건축용 석재판넬 모서리 고정수단 KR2003154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596U KR200315469Y1 (ko) 2003-03-19 2003-03-19 건축용 석재판넬 모서리 고정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596U KR200315469Y1 (ko) 2003-03-19 2003-03-19 건축용 석재판넬 모서리 고정수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5469Y1 true KR200315469Y1 (ko) 2003-06-02

Family

ID=49408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596U KR200315469Y1 (ko) 2003-03-19 2003-03-19 건축용 석재판넬 모서리 고정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546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6987B1 (ko) 2018-02-13 2018-09-10 정정순 건축물 내장 또는 외장 마감재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6987B1 (ko) 2018-02-13 2018-09-10 정정순 건축물 내장 또는 외장 마감재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0714Y1 (ko) 건물의 외벽재 고정장치
KR20090108258A (ko) 건축물의 내외장용 석재패널 시공구조
KR100730901B1 (ko) 건축물 창호 보강 시스템
KR20060066705A (ko)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
KR200315469Y1 (ko) 건축용 석재판넬 모서리 고정수단
KR100998734B1 (ko)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수평유지부재 및 그 설치 구조
KR101415321B1 (ko) 건축물 외벽용 커튼월 유닛
JP5976339B2 (ja) 屋上設備機器設置用架台の取付装置及び取付方法
KR102236474B1 (ko) 우물천장 구조물
KR200451121Y1 (ko) 코킹 일체형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장치
KR20080084459A (ko) 건축 외장재 위치조정 및 조립장치
CN103362313B (zh) 模块化组合式保温幕墙板的组装方法
KR102195951B1 (ko) 타일의 건식 시공방법 및 설치구조
KR20190015913A (ko) 건물의 벽체 마감재 설치용 고정 구조물
KR200186960Y1 (ko) 대리석 패널 고정장치
KR20230025952A (ko) 단열재 병행설치용 건축 외장재 설치구조
KR101057833B1 (ko) 외장재가 부착된 건물 벽의 방수장치
KR20170040914A (ko) 외단열 패널유닛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311479Y1 (ko) 건축용 석재판넬 고정수단
KR200421886Y1 (ko) 건축 외장재 고정용 패스너 연결장치
KR100414677B1 (ko) 조립식 패널 설치 시스템
KR102627222B1 (ko) 불연복합 단열패널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116086B1 (ko) 타일의 건식 시공방법 및 설치구조
KR102428858B1 (ko) 프레임 일체형 단열재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외장재 시공 방법
KR100502777B1 (ko) 공동주택 벽돌시공 외벽 석재판 연결 앵커 설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