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6639B1 - 실드케이블의 전기커넥터, 그 커넥터 본체 및 이 전기커넥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실드케이블의 전기커넥터, 그 커넥터 본체 및 이 전기커넥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6639B1
KR100886639B1 KR1020020048936A KR20020048936A KR100886639B1 KR 100886639 B1 KR100886639 B1 KR 100886639B1 KR 1020020048936 A KR1020020048936 A KR 1020020048936A KR 20020048936 A KR20020048936 A KR 20020048936A KR 100886639 B1 KR100886639 B1 KR 100886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ground terminal
outer conductor
electrical connecto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8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7339A (ko
Inventor
쿠로다케이지
호리우치히데아키
Original Assignee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7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7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4Assembling by moulding on contac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접지단자와 외부도체의 접속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안정된 임피던스특성을 얻는다. 땜납부착공정을 일절 배재하여 제조성의 향상 및 제품간의 임피던스특성의 균일화를 도모한다. 박형화를 가능하게 한다. 2차 몰드에 의해 접지단자와 외부도체가 접속불량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한다. 신호선(210) 및 접지선(220)을 갖는 실드케이블(200)의 접속에 이용되는 전기 커넥터(100)이다. 외부도체(110)에 제 1 하우징(120)이 1차 몰드되고, 외부도체(110)의 내측으로 돌출하고 접지단자(140)에 접촉하는 지지돌기(113)가 형성되어 있다. 2차 몰드된 제 2 하우징(160)에 있어서의 접지단자(140)를 개재해서 지지돌기(113)와 마주보는 위치에는 성형형(320)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하여 접지단자(140)를 압압한 코어핀(341)에 의해 형성된 관통구멍(161)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실드케이블의 전기 커넥터, 그 커넥터 본체 및 이 전기 커넥터의 제조방법{ELECTRIC CONNECTOR FOR SCREENED CABLE, ELECTRIC CONNECTOR BOD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IC CONNECTOR}
도 1은 제 1 실시예의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전기 커넥터의 평면도.
도 3은 상기 전기 커넥터의 단면도. 외부도체 및 하우징은 절단하고 있지만, 접지단자와 배럴부근의 전선은 절단하고 있지 않다.
도 4는 상기 전기 커넥터의 요부의 확대단면도. 외부도체 및 하우징은 절단하고 있지만, 접지단자와 배럴부근의 전선은 절단하고 있지 않다.
도 5는 상기 전기 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 6은 상기 전기 커넥터의 외부도체의 평면도.
도 7은 상기 외부도체의 측면도.
도 8은 제 1 실시예의 커넥터 본체의 사시도.
도 9는 상기 커넥터 본체의 평면도.
도 10은 상기 커넥터 본체의 측면도.
도 11은 상기 커넥터 본체의 저면도.
도 12는 상기 커넥터 본체의 단면도.
도 13은 상기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 2 하우징이 없을 때의 사시도.
도 14는 상기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 2 하우징이 없을 때의 평면도.
도 15는 상기 전기 커넥터의 신호단자의 확대 사시도. 접지단자도 이것과 동일하므로, 대응하는 부호를 괄호에 넣어 나타내고 있다.
도 16은 상기 전기 커넥터의 신호단자의 확대 측면도. 접지단자도 이것과 동일하므로, 대응하는 부호를 괄호에 넣어 나타내고 있다.
도 17은 상기 전기 커넥터의 신호단자의 확대 평면도. 접지단자도 이것과 동일하므로, 대응하는 부호를 괄호에 넣어 나타내고 있다.
도 18은 상기 전기 커넥터의 제조방법의 제 3 공정에 있어서, 제 2 하우징을 2차 몰드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외부도체 및 하우징은 절단하고 있지만, 접지단자와 배럴부근의 전선은 절단하고 있지 않다.
도 19는 상기 전기 커넥터의 제조방법의 제 3 공정에 있어서, 제 2 하우징을 2차 몰드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외부도체 및 하우징은 절단하고 있지만, 접지단자와 배럴부근의 전선은 절단하고 있지않다.
도 20은 제 2 실시예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 2 하우징이 없을 때의 평면도.
본 발명은 신호선 및 접지선을 갖는 실드케이블의 접속에 이용되고, 용도에 따르지만, 신호의 고속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전기 커넥터의 기술분야에 속한다. 본 발명은 접지단자가 접지되는 도전성의 판형상 외부도체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에 관하며, 접지단자의 외부도체와의 접속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또 제조성을 개선한 전기 커넥터에 관한다.
실드케이블의 전기 커넥터로서, 도전성을 갖는 관형상 외부도체와, 이 외부도체의 내부에 수용된 절연성을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된 신호단자 및 접지단자를 구비하고, 신호단자에 실드케이블의 신호선을, 접지단자에 실드케이블의 접지선을 각각 접지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평7-94254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공개 평5-8884호 공보를 참조). 이들 전기 커넥터에서는 접지단자의 외부도체에의 접속은 접지단자에 탄성변형 가능한 탄성편을 설치하고, 이 탄성편을 외부도체의 내면에 접촉시키는 것으로 행해지고 있다.
일본 특허공표 평10-500245호 공보가 개시하는 전기 커넥터는 모두 외부도체에 절연부를 몰드하여 이루어지는 하우징과 커버 사이에, 신호단자 및 접지단자를 유지하고 있다. 이 전기 커넥터에서는 접지단자의 외부도체에의 접속은 하우징에 있어서 접지단자를 위치결정하기 위해 형성한 홈에 외부도체를 노출하는 개구를 형성하고, 여기서, 접지단자를 외부도체에 접촉시킴으로써 행해지고 있다.
이들 종래의 전기 커넥터는 모두 접지단지를 외부도체에 접촉시키는 것으로 양자를 접속하기 때문에, 진동 그 외의 요인으로 접촉이 불안정하게 되면, 임피던스특성이 변동하고, 예를 들면 신호의 고속전송을 안정하게 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접지단자를 외부도체에 땜납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그렇게 하면, 땜납공정이 들어가기 때문에, 전선의 접속작업이 번잡해 진다. 게다가, 땜납의 양을 일정하게 관리하는 것이 곤란하므로, 제품간에서 임피던스특성에 편차가 생긴다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는 실드케이블과 단자의 접속을 땜납에 의해 행했을 때에도 일어난다.
이런 종류의 전기 커넥터는 박형화가 요망되고 있으며, 특히 쌓아올려 사용될 때에는 전체가 커지지 않는 것이 요망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판형상의 외부도체에 제 1 절연하우징을 1차 몰드하고, 그 위에 압착타이프의 신호단자 및 접지단자를 임시고정하고, 그 위에 제 2 절연하우징을 2차 몰드함으로써, 접지단자를 외부도체에 강하게 접촉시켜 양자의 접속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안정된 임피던스특성을 얻는 것과 아울러, 땜납공정을 일절 배제하여 작업절차의 삭감에 의한 제조성의 향상 및 제품간의 임피던스특성의 균일화를 도모하고, 박형화가 가능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더욱이 2차 몰드 시에 코어핀(core pin)으로 접지단자를 압압하고, 2차 몰드되는 절연재료의 압력에 의해 접지단자가 이동하고 또는 변형하고 혹은 접지단자와 외부도체 사이에 절연재료가 들어가 접지단자와 외부도체의 접속불량이 일어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드케이블의 전기 커넥터는 신호선 및 접지선을 갖는 실드케이블의 접속에 이용되는 전기 커넥터이다. 이 전기 커넥터는 도전성을 갖는 판형상의 외부도체와, 외부도체의 내측에 1차 몰드되고, 절연성을 갖는 제 1 하우징과, 일단에 상대측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고, 타단에 실드케이블의 신호선을 압착하는 배럴을 갖고, 제 1 하우징의 내측에 한 방향을 향하여 배치된 신호단자와, 일단에 상대단자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고, 타단에 실드케이블의 접지선을 압착하는 배럴을 가지며, 제 1 하우징의 내측에 신호단자와 같은 방향을 향하여 배치된 접지단자와, 신호단자 및 접지단자를 제 1 하우징에 임시고정하는 임시고정기구와, 제 1 하우징 사이에서 신호단자 및 접지단자를 끼우도록 2차 몰드되고, 절연성을 갖는 제 2 하우징을 구비하고, 외부도체에 그 내측으로 돌출하여 접지단자에 접촉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과 아울러, 제 2 하우징에 있어서의 접지단자를 개재해서 지지돌기와 마주보는 위치에는 성형형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하여 접지단자를 압압한 코어핀에 의해 형성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드케이블의 전기 커넥터는 접지단자 상에 제 2 하우징이 2차 몰드되기 때문에, 접지단자가 외부도체에 강하게 접촉하여 양자의 접속의 신뢰성이 향상하고, 안정된 임피던스특성이 얻어진다. 실드케이블의 신호선을 신호단자의 배럴에 압착하고, 실드케이블의 접지선을 접지단자의 배럴에 압착하고, 접지단자를 외부도체의 지지돌기에 접촉시키고 있다. 그로 인해, 땜납공정이 일절 없고, 작업절차가 삭감되어 제조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제품간에서 임피던스특성이 균일하게 된다. 또, 주요부가 판형상의 외부도체, 제 1 하우징, 신호단자 및 접지단자, 제 2 하우징을 적층하여 형성되므로, 전기 커넥터의 박형화가 가능하다.
제 2 하우징을 2차 몰드할 때, 관통구멍의 위치에서 코어핀이 접지단자를 지지돌기를 향하여 압압하기 때문에, 2차 몰드되는 절연재료의 압력에 의해 접지단자가 이동하고 또는 변형하는 일이 없고, 혹은 접지단자와 지지돌기 사이에 절연재료가 들어가는 일이 없다. 그로 인해, 2차 몰드 때문에 접지단자와 외부도체의 접속불량이 생기는 일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드케이블의 접속에 이용되는 전기 커넥터는 제 2 하우징을 2차 몰드했기 때문에, 접지단자를 외부도체에 강하에 접촉시켜 양자의 접속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안정된 임피던스특성을 얻을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신호의 고속전송을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그 경우, 코어핀으로 접지단자를 압압했기 때문에 접지단자가 이동하고 또는 변형하고, 혹은 접지단자와 지지돌기 사이에 절연재료가 들어가 접지단자와 외부도체의 접속불량이 생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땜납공정을 일절 배제했기 때문에, 작업절차의 삭감에 의한 제조성의 향상 및 제품간의 임피던스특성의 균일화를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전기 커넥터의 박형화가 가능하게 되고, 예를 들면, 쌓아올려 사용될 때에 적합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제 1 실시예인 실드케이블의 전기 커넥터를 나타낸다. 이 전기 커넥터는 암단자를 5극 구비하고, 이것에 2개의 실드케이블이 접속되어 있으며, 이 암단자는 프린트배선판에 실장된 상대측의 숫단자에 각각 접속된다. 그리고, 컴퓨터의 신호전송에 이용된다. 그러나, 제 1 실시예는 적합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고,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의 극수, 접속되는 실드테이블의 종류 및 용도, 상대측 단자의 형태 등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의 단자는 숫단자라도 된다. 실드케이블은 1개 이상의 신호선과 1개 이상의 접지선을 갖고, 이들을 절연피복 중에 정리하여 수용한 것이며, 이것에는 동축케이블, 쌍축케이블이라 불리는 것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1개 이상의 신호단자와 1개 이상의 접지단자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실드케이블을 본 발명의 1개의 전기 커넥터에 접속하는 모양, 1개의 실드케이블을 본 발명의 2개 이상의 전기 커넥터에 접속하는 모양, 및 이들의 조합도 실시예에 포함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100)는 도전성을 갖는 판형상의 외부도체(110)와, 절연성을 갖는 제 1 하우징(120)과, 제 1 하우징(120)의 내측에 배치된 신호단자(130) 및 접지단자(140)와, 신호단자(130) 및 접지단자(140)를 제 1 하우징(120)에 임시고정하는 임시고정기구(150)와, 절연성을 갖는 제 2 하우징(160)을 구비하고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도체(110)는 도전성을 갖고 실드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외부도체(110)는 기판(111)과 기판(111)의 대향하는 두 변으로부터 기판(111)의 내측을 향해 기판(111)과 거의 수직으로 서는 측판(112)을 구비하고 있다. 측판(112)에는 필요에 따라 개구를 형 성한다. 외부도체(110)는 기판(111)만으로 형성해도 되지만, 추가로 측판(112)을 설치하는 것은 외부도체(110)와 제 1 하우징(120)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바람직하다.
제 1 하우징(120)은 사출성형이 가능한 재료, 예를 들면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도 8 내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하우징(120)은 외부도체(110)의 내측에 1차 몰드되어 있다. 이 전기 커넥터(100)는 2회에 걸쳐 사출성형에 의해 몰드된다. 그 중 1회째를 1차 몰드, 2회째를 2차 몰드한다. 제 1 하우징(120)에는 격벽(121)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상승되어 있고, 이 격벽(121) 사이에 각 단자(130, 140)를 수용하는 홈(122)이 형성되어 있다. 홈(122)의 일단은 각 단자(130, 140)가 상대측 단자와 접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접속구(123)로 되어 있다. 접속구(123)의 부근에서는 홈(122)의 개방부가 벽에 의해 폐쇄되어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벽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지만, 이것을 설치하면 2차 몰드 시에 단자(130, 140)의 접촉부(132, 142)에 제 2 하우징(160)의 재료가 들어가는 것을 용이하면서 확실히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호단자(130)는 제 1 하우징(120)의 내측에 한 방향을 향해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신호단자(130)는 접촉부(132)가 접속구(123)에 위치하도록 제 1 하우징(120)의 홈(122)에 수용되어 있다. 도 15내지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호단자(130)는 일단에 상대측단자와 접촉하는 접촉부(132)를 갖고, 타단에 실드케이블(200)의 신호선(210)을 압착하는 배럴(133)을 갖고 있다. 이 실시예의 신호단자(130)는 판형상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주 요부로서 저판(131)을 갖고, 이 저판(131)의 일단에 접촉부(132)가 형성되고, 타단에 배럴(133)이 형성되어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지단자(140)는 제 1 하우징(120)의 내측에 신호단자(130)와 같은 방향을 향해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접지단자(140)는 접촉부(142)가 접속구(123)에 위치하도록, 제 1 하우징(120)의 홈(122)에 수용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접지단자(140)는 신호단자(130)와 동일한 구성이다. 즉, 도 15 내지 도 17에 괄호로 표시된 부호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지단자(140)는 일단에 상대측단자와 접촉하는 접촉부(142)를 갖고, 타단에 실드케이블(200)의 접지선(220)을 압착하는 배럴(143)을 갖고 있다. 접지단자(140)는 판형상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주요부로서 저판(141)을 갖고, 이 저판(141)의 일단에 접촉부(142)가 형성되고, 타단에 배럴(143)이 형성되어 있다. 접지단자(140)를 신호단자(130)와 동일한 구성으로 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이 실시예의 경우, 단자(130, 140)의 배럴(133, 143)은 공지의 와이어배럴과 인슈레이션배럴로 분할되어 있지만, 접지단자에 있어서는 반드시 분할할 필요는 없다. 이 전기 커넥터(100)에는 2개의 실드케이블(200)이 접속되어 있다. 각 실드케이블(200)은 2개의 신호선(210)과 1개의 접지선(220)을 절연피복 중에 정리하여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합계 4개의 신호선(210)이 4개의 신호단자(130)에 각각 압착되고, 합계 2개의 접지선(220)은 모두 하나의 접지단자(140)에 압착되어 있다.
임시고정기구(150)는 제 1 하우징(120)의 격벽(121)에 개구된 창(151)과, 이 창(151)에 결합되도록 신호단자(130) 및 접지단자(140)에 형성된 결합편(152)에 의해 구성된다. 결합편(152)은 신호단자(130) 및 접지단자(140)의 저판(131, 141)으로부터 측판을 상승시키고, 이 측판의 일부를 외측방을 향해 잘라 상승시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신호단자(130) 및 접지단자(140)를 홈(122)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해 가면, 이 결합편(152)이 창(151)에 끼워 맞춰 결합되고, 이로 인해 신호단자(130) 및 접지단자(140)가 제 1 하우징(120)에 임시고정된다. 이것은 이른바 콘택트랜스에 의한 임시고정기구이지만, 이 대신에, 이른바 하우징랜스에 의한 임시고정기구를 채용해도 된다. 그 때는 예를 들면 제 1 하우징에 결합편을 설치하고, 신호단자 및 접지단자에 이 결합편이 결합하는 창 또는 오목부를 설치한다. 여기서 임시고정한 것은 제 2 하우징(160)을 2차 몰드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결합력이 약해도 허용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 결합력을 충분히 강하게 설정한 실시예도 포함한다.
제 2 하우징(160)은 사출형성이 가능한 재료, 예를 들면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하우징(160)은 제 1 하우징(120) 사이에서 신호단자(130) 및 접지단자(140)를 끼우도록 2차 몰드되어 있다. 이 제 2 하우징(160)은 적어도 후술하는 지지돌기(113)의 주변에 있어서 접지단자(140)를 압압하여 덮도록 2차 몰드되어 있다.
외부도체(110)에는 그 내측으로 돌출하여 접지단자(140)에 접촉하는 지지돌기(11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돌기(113)는 외부도체(110)와 도통하도록 외부도체(110)에 연결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지지돌기(113)는 외부도체(110)의 일부 를 잘라 상승시켜 설치되고, 외부도체(110)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지지돌기의 다른 형태에는 예를 들면 딤플과 같이 외부도체(110)로부터 솟아올라 형성된 형태가 있다.
제 2 하우징(160)에 있어서의 접지단자(140)를 개재해서 지지돌기(113)와 마주보는 위치에는 관통구멍(16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161)은 후술하는 성형형(320)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하여 접지단자(140)를 압압한 코어핀(341)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지단자(140)는 제 1 하우징(120)의 홈(122)에 저판(141)이 홈(122)의 저면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접지단자(140)는 그 저판(141)에 의해 지지돌기(113)에 접촉하고 있다.
지지돌기(113)는 제 1 하우징(120)을 관통하고 그 내측까지 돌출하고 있다. 지지돌기(113)의 외면이 제 1 하우징(120)에 접촉해서 제 1 하우징(120)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돌기(113)의 외면은 도 3 및 도 4에서는 하측의 면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지지돌기(113)는 외부도체(110)로부터 내측에 상승하는 상승부와, 이 상승부로부터 외부도체(110)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선단편을 구비한다. 제 1 하우징(120)의 일부는 이 선단편의 외측에 들어가 있고, 이 제 1 하우징(120)의 일부가 선단편의 외면에 접촉해서 지지돌기(113)의 바깥쪽으로의 변형을 저지하고 있다. 지지돌기(113)는 이와 같이 외면이 제 1 하우징(120)에 지지되기 때문에, 후술하는 코어핀(341)의 압압력을 받아낼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강성을 갖고 있다. 이 실시예의 지지돌기(113)는 이 점에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의 탄성편과 구별된다.
상기 제 1 실시예의 전기 커넥터(100)가 제조되는 중간단계에서 얻어지는 것이 커넥터 본체(170)이다. 도 8 내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커넥터 본체(170)는 도전성을 갖는 판형상의 외부도체(110)와, 외부도체(110)의 내측에 1차 몰드되고, 절연성을 갖는 제 1 하우징(120)을 구비하고 있다. 외부도체(110)에는 그 내측으로 돌출하여 접지단자(140)에 접촉할 수 있는 지지돌기(113)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하우징(120)의 내측에는 신호단자(130) 및 접지단자(140)를 제 1 하우징(120)에 임시고정하는 임시고정기구(150)의 일부인 창(151)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돌기(113)의 주변은 제 2 하우징(160)이 2차 몰드할 수 있도록 노출하고 있다.
상기 전기 커넥터(100)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성형형 중에서 외부도체(110)에 제 1 하우징(120)을 1차 몰드하는 제 1 공정을 행하고, 커넥터 본체(170)를 성형한다(도 8의 형태로 된다). 이어서, 성형형의 적어도 일부를 열고, 신호선(210)을 압착한 신호단자(130) 및 접지선(220)을 압착한 접지단자(140)를 임시고정기구(150)에 의해 커넥터 본체(170)의 제 1 하우징(120)에 임시고정하는 제 2 공정을 행한다(도 13의 형태로 된다). 이어서, 성형형 중에서 접지단자(140)를 코어핀으로 외부도체(110)의 지지돌기(113)를 향하여 압압하면서 제 2 하우징(160)을 2차 몰드하는 제 3 공정을 행한다. 즉,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향한 성형형(310, 320) 중에서 신호단자(130) 및 접지단자(140)를 임시고정한 커넥터 본체(170)를 지지한다. 그리고 성형형(310, 320)으로부터 돌출한 코어(331, 332, 333)로 커넥터 본체(170)의 요부를 누른다. 더욱이, 성형형(310, 320) 중에서 접지단자(140)를 코어핀(341)으로 외부도체(110)의 지지돌기(113)를 향하여 압압함과 아울러 지지돌기(113)를 상기 코어핀(341)과 대향하여 배치된 별도의 코어핀(342)으로 압압해 두고,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성수지를 지지돌기(113)의 주변에 사출하고 제 2 하우징(160)의 2차 몰드를 한다. 이 경우, 제 1 하우징(120)에는 지지돌기(113)에 접촉한 별도의 코어핀(342)에 의해 관통구멍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실시예의 전기 커넥터(100)는 접지단자(140) 상에 제 2 하우징(160)이 2차 몰드되기 때문에, 접지단자(140)가 외부도체(110)에 강하게 접촉하여 양자의 접속의 신뢰성이 향상하고, 안정된 임피던스특성이 얻어진다. 그로 인해, 예를 들면 신호의 고속전송을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실드케이블(200)의 신호선(210)을 신호단자(130)의 배럴(133)에 압착하고, 실드케이블(200)의 접지선(220)을 접지단자(140)의 배럴(143)에 압착하고, 접지단자(140)를 외부도체(110)의 지지돌기(113)에 접촉시키고 있다. 그로 인해, 땜납부착공정이 일절 없고, 작업절차가 삭감되어 제조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제품간에서 임피던스특성이 균일하게 된다. 또, 주요부가 판형상의 외부도체(110), 제 1 하우징(120), 신호단자(130) 및 접지단자(140), 제 2 하우징(160)을 적층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전기 커넥터(100)의 박형화가 가능하며, 예를 들면 쌓아올려 사용될 때에 적합하다.
제 2 하우징(160)을 2차 몰드할 때, 관통구멍(161)의 위치에서 코어핀(341)이 접지단자(140)를 지지돌기(113)를 향하여 압압하므로, 2차 몰드되는 절연재료의 압력에 의해 접지단자(140)가 이동 또는 변형하는 일이 없고, 또는 접지단자(140)와 지지돌기(113) 사이에 절연재료가 들어가는 일이 없다. 그로 인해, 2차 몰드 때 문에 접지단자(140)와 외부도체(110)의 접속불량이 일어나는 일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본 발명은 접지단자가 어떤 부위에서 지지돌기에 접촉하고 있는 지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 중에서 상기 실시예의 전기 커넥터(100)에서는 접지단자(140)는 저판(141)과 저판(141)으로부터 상승하는 배럴(143)을 갖고 있고, 접지단자(140)가 이 저판(141)에서 지지돌기(113)에 접촉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접지단자(140) 중에서도 변형하기 어려운 저판(141)에 있어서 지지돌기(113)에 접촉하므로, 접지단자(140)와 지지돌기(113)가 확실히 접촉한다.
본 발명은 지지돌기의 외면이 제 1 하우징에 접촉하지 않고 자유롭게 해방되어 있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그 중에서, 상기 실시예의 전기 커넥터(100)에서는 지지돌기(113)가 제 1 하우징(120)의 내측까지 돌출해 있고, 지지돌기(113)의 외면이 제 1 하우징(120)에 접촉해서 제 1 하우징(120)에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지지돌기(113)가 접지단자(140)를 개재해서 코어핀(341)의 압압력을 받아도, 이 압압력이 제 1 하우징(120)에서도 받아내지기 때문에, 그 만큼 지지돌기(113)의 변형이 적어지고, 접지단자와 지지돌기의 접촉불량이 방지된다.
상기 제 1 실시예의 전기 커넥터(100)의 제조방법에는 땜납부착공정이 일절 없기 때문에, 작업절차가 삭감되어 제조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제품간에서 임피던스특성이 균일하게 된다.
제 3 공정에서는 성형형(310, 320) 중에서 접지단자(140)를 코어핀(341)으로 외부도체(110)의 지지돌기(113)를 향하여 압압하면서 제 2 하우징(160)을 2차 몰드 하기 때문에, 제 2 하우징(160)에 있어서의 접지단자(140)를 개재해서 지지돌기(113)와 마주보는 위치에 코어핀(341)에 의해 관통구멍(161)이 형성된다. 그 경우, 코어핀(341)이 접지단자(140)를 지지돌기(113)를 향해 압압하므로, 2차 몰드되는 절연재료의 압력에 의해 접지단자(140)가 이동 또는 변형하는 일이 없고, 또는 접지잔자(140)와 지지돌기(113) 사이에 절연재료가 들어가는 일이 없다. 그로 인해, 2차 몰드 때문에 접지단자(140)와 외부도체(110)의 접속불량이 일어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본 발명은 별도의 코어핀(342)을 설치하지 않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그 중에서, 상기 실시예의 제조방법의 제 3 공정에서는 지지돌기(113)가 상기 코어핀(341)과 대향하여 배치된 별도의 코어핀(342)으로 압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지지돌기(113)가 접지단자(140)를 개재해서 코어핀(341)의 압압력을 받아도, 이 압압력이 별도의 코어핀(342)에서도 받아내지기 때문에, 그 만큼 지지돌기(113)의 변형이 적어지고, 접지단자(140)와 지지돌기(113)의 접촉불량이 방지된다.
도 20은 제 2 실시예인 전기 커넥터(100)를 나타낸다. 제 1 실시예에서는 접지단자(140)가 1개였기 때문에, 지지돌기(113), 코어핀(341)은 1개였다. 이에 대하여 제 2 실시예의 전기 커넥터(100)는 접지단자(140)가 2개이며, 지지돌기(113), 코어핀(341)도 이에 대응하여 2개가 된다. 이 전기 커넥터(100)로부터 얻어지는 작용 및 효과는 제 1 실시예일 때와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은 지지돌기의 외면을 제 1 하우징에 접촉시키는 일없이 자유롭게 해방한 전기 커넥터의 실시예와, 외부도체 중에서 제 1 하우징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있어서 지지돌기가 형성된 실시예예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전기 커넥터를 지지돌기를 별도의 코어핀(342)으로 압압하는 일없이 제작할 때에는, 지지돌기 자체가 코어핀(341)의 압압력을 받아낼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강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실시예의 기재에 의해, 먼저 발명의 개요에서 설명한 제 1 실드케이블의 전기 커넥터를 충분히 개시할 수 있었다. 더욱이, 이들 실시예의 기재에 의해, 이하에 설명하는 제 2 전기 커넥터, 제 3 전기 커넥터, 커넥터 본체 및 전기 커넥터의 제 1 제조방법, 전기 커넥터의 제 2 제조방법도 충분히 설명되었다.
제 2 실드케이블의 전기 커넥터는 상기 제 1 실드케이블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접지단자는 저판과 저판으로부터 상승하는 배럴을 갖고 있으며, 접지단자가 이 저판에서 지지돌기에 접촉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접지단자 중에서도 변형하기 어려운 저판에 있어서 지지돌기에 접촉하므로, 양자가 확실히 접촉해서, 접지단자와 외부도체의 접속불량이 일어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 3 실드케이블의 전기 커넥터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실드케이블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지지돌기가 제 1 하우징의 내측까지 돌출하고 있고, 지지돌기의 외면이 제 1 하우징에 접촉해서 제 1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지지돌기가 접지단자를 개재해서 코어핀의 압압력을 받아도, 이 압압력이 제 1 하우징에서도 받아내지지 때문에, 그 만큼 지지돌기의 변형이 적어지고, 접지단자와 지지돌기의 접촉불량이 방지된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중 어느 하나의 실드케이블의 전기 커넥터에 이용하는 커넥터 본체는 도전성을 갖는 판형상의 외부도체와, 외부도체의 내측에 1차 몰드되고, 절연성을 갖는 제 1 하우징를 구비하고, 외부도체에는 그 내측으로 돌출하여 접지단자에 접촉할 수 있는 지지돌기가 형성되며, 제 1 하우징의 내측에는 신호단자 및 접지단자를 제 1 하우징에 임시고정하는 임시고정기구의 적어도 일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커넥터 본체의 제 1 하우징에 신호선을 압착한 신호단자 및 접지선을 압착한 접지단자를 임시고정기구에 의해 임시고정하고, 접지단자를 코어핀으로 외부도체의 지지돌기를 향해 압압하면서 제 2 하우징을 2차 몰드하면, 제 1 내지 제 3 중 어느 한 하나의 전기 커넥터가 제조된다. 이 커넥터 본체는 제 1 내지 제 3 중 어느 하나의 전기 커넥터를 제조하기 위해 이용하는 커넥터 본체로서 적합하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중 어느 하나의 실드케이블의 전기 커넥터의 제 1 제조방법은 성형형 중에서 외부도체에 제 1 하우징을 1차 몰드하는 제 1 공정과, 신호선을 압착한 신호단자 및 접지선을 압착한 접지단자를 임시고정기구에 의해 제 1 하우징에 임시고정하는 제 2 공정과, 성형형 중에서 접지단자를 코어핀으로 외부도체의 지지돌기를 향해 압압하면서 제 2 하우징을 2차 몰드하는 제 3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제조방법에는 땜납부착공정이 일절 없기 때문에, 작업절차가 삭감되어 제조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제품간에서 임피던스특성이 균일하게 된다.
제 3 공정에서는 성형형 중에서 접지단자를 코어핀으로 외부도체의 지지돌기 를 향해 압압하면서 제 2 하우징을 2차 몰드하기 때문에, 제 2 하우징에 있어서의 접지단자를 개재해서 지지돌기와 마주보는 위치에 코어핀에 의해 관통구멍이 형성된다. 이 경우, 코어핀이 접지단자를 지지돌기를 향해 압압하기 때문에, 2차 몰드되는 절연재료의 압력에 의해 접지단자가 이동하고 또한 변형하는 일이 없고, 또는 접지단자와 지지돌기 사이에 절연재료가 들어가는 일이 없다. 그로 인해, 2차 몰드 때문에 접지단자와 외부도체의 접속불량이 일어나는 일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이 실드케이블의 전기 커넥터의 제 1 제조방법에 의해, 제 1 내지 제 3 중 어느 하나의 실드케이블의 전기 커넥터를 제조하는데에 적합한 제조방법을 나타낼 수 있었다.
상기 실드케이블의 전기 커넥터의 제 2 제조방법은 실드케이블의 전기 커넥터의 제 1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 3 공정에서는 지지돌기가 상기 코어핀과 대향하여 배치된 별도의 코어핀으로 압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지지돌기가 접지단자를 개재해서 코어핀의 압압력을 받아도, 이 압압력이 별도의 코어핀에서도 받아내지기 때문에 그 만큼 지지돌기의 변형이 적어지고, 접지단자와 지지돌기의 접촉불량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드케이블의 접속에 이용되는 전기 커넥터는 제 2 하우징을 2차 몰드했기 때문에, 접지단자를 외부도체에 강하에 접촉시켜 양자의 접속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안정된 임피던스특성을 얻을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신호의 고속전송을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그 경우, 코어핀으로 접지단자를 압압했기 때문에 접지단자가 이동하고 또는 변형하고, 혹은 접지단자와 지지돌기 사이에 절연재료가 들어가 접지단자와 외부도체의 접속불량이 생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땜납공정을 일절 배제했기 때문에, 작업절차의 삭감에 의한 제조성의 향향 및 제품간의 임피던스특성의 균일화를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전기 커넥터의 박형화가 가능하게 되고, 예를 들면, 쌓아올려 사용될 때에 적합하다.

Claims (8)

  1. 신호선(210) 및 접지선(220)을 갖는 실드케이블(200)의 접속에 이용되는 전기 커넥터(100)로서, 도전성을 갖는 판형상의 외부도체(110);
    외부도체(110)의 내측에 1차 몰드되고, 절연성를 갖는 제 1 하우징(120);
    일단에 상대측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부(132)를 갖고, 타단에 실드케이블(200)의 신호선(210)을 압착하는 배럴(133)을 갖고, 제 1 하우징(120)의 내측에 한쪽 방향을 향해 배치된 신호단자(130);
    일단에 상대측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부(142)를 갖고, 타단에 실드케이블(200)의 접지선(220)을 압착하는 배럴(143)을 갖고, 제 1 하우징(120)의 내측에 신호단자(130)와 같은 방향을 향해 배치된 접지단자(140);
    신호단자(130) 및 접지단자(140)를 제 1 하우징(120)에 임시고정하는 임시고정기구(150); 및
    제 1 하우징(120)과의 사이에서 신호단자(130) 및 접지단자(140)를 끼우도록 2차 몰드되고, 절연성을 갖는 제 2 하우징(160)을 구비하고,
    외부도체(110)에 그 내측으로 돌출하여 접지단자(140)에 접촉하는 지지돌기(113)가 형성되어 있는 것과 아울러, 제 2 하우징(160)에 있어서의 접지단자(140)를 개재해서 지지돌기(113)와 마주보는 위치에는 성형형(320)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하여 접지단자(140)를 압압한 코어핀(341)에 의해 형성된 관통구멍(16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케이블의 전기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접지단자(140)는 저판(141)과 저판(141)으로부터 상승하는 배럴(143)을 갖고 있고, 접지단자(140)가 이 저판(141)에서 지지돌기(113)에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케이블의 전기 커넥터.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지지돌기(113)가 제 1 하우징(120)의 내측까지 돌출해 있고, 지지돌기(113)의 외면이 제 1 하우징(120)에 접촉해서 제 1 하우징(120)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케이블의 전기 커넥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실드케이블의 전기 커넥터(100)에 이용되는 커넥터 본체(170)로서, 도전성을 갖는 판형상의 외부도체(110); 및
    외부도체(110)의 내측에 1차 몰드되고, 절연성을 갖는 제 1 하우징(120)을 구비하고,
    외부도체(110)에는 그 내측으로 돌출하여 접지단자(140)에 접촉할 수 있는 지지돌기(113)가 형성되고, 제 1 하우징(120)의 내측에는 신호단자(130) 및 접지단자(140)를 제 1 하우징(120)에 임시고정하는 임시고정기구(150)의 적어도 일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케이블의 전기 커넥터 본체.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실드케이블의 전기 커넥터(100)의 제조방법으로서, 성형형(310, 320) 중에서 외부도체(110)에 제 1 하우징(120)을 1차 몰드하는 제 1 공정;
    신호선(210)을 압착한 신호단자(130) 및 접지선(220)을 압착한 접지단자(140)를 임시고정기구(150)에 의해 제 1 하우징(120)에 임시고정하는 제 2 공정; 및
    성형형(310, 320) 중에서 접지단자(140)를 코어핀(341)으로 외부도체(110)의 지지돌기(113)를 향해 압압하면서 제 2 하우징(160)을 2차 몰드하는 제 3 공정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케이블의 전기 커넥터의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제 3 공정에서는 지지돌기(113)가 상기 코어핀(341)과 대향하여 배치된 별도의 코어핀(342)으로 압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케이블의 전기 커넥터의 제조방법.
  7. 제 3 항에 기재된 실드케이블의 전기 커넥터(100)에 이용되는 커넥터 본체(170)로서, 도전성을 갖는 판형상의 외부도체(110); 및
    외부도체(110)의 내측에 1차 몰드되고, 절연성을 갖는 제 1 하우징(120)을 구비하고,
    외부도체(110)에는 그 내측으로 돌출하여 접지단자(140)에 접촉할 수 있는 지지돌기(113)가 형성되고, 제 1 하우징(120)의 내측에는 신호단자(130) 및 접지단자(140)를 제 1 하우징(120)에 임시고정하는 임시고정기구(150)의 적어도 일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케이블의 전기 커넥터 본체.
  8. 제 3 항에 기재된 실드케이블의 전기 커넥터(100)의 제조방법으로서, 성형형(310, 320) 중에서 외부도체(110)에 제 1 하우징(120)을 1차 몰드하는 제 1 공정;
    신호선(210)을 압착한 신호단자(130) 및 접지선(220)을 압착한 접지단자(140)를 임시고정기구(150)에 의해 제 1 하우징(120)에 임시고정하는 제 2 공정; 및
    성형형(310, 320) 중에서 접지단자(140)를 코어핀(341)으로 외부도체(110)의 지지돌기(113)를 향해 압압하면서 제 2 하우징(160)을 2차 몰드하는 제 3 공정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케이블의 전기 커넥터의 제조방법.
KR1020020048936A 2001-08-24 2002-08-19 실드케이블의 전기커넥터, 그 커넥터 본체 및 이 전기커넥터의 제조방법 KR1008866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55383 2001-08-24
JP2001255383A JP4198342B2 (ja) 2001-08-24 2001-08-24 シールドケーブルの電気コネクタ、そのコネクタ本体及びこの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7339A KR20030017339A (ko) 2003-03-03
KR100886639B1 true KR100886639B1 (ko) 2009-03-04

Family

ID=19083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8936A KR100886639B1 (ko) 2001-08-24 2002-08-19 실드케이블의 전기커넥터, 그 커넥터 본체 및 이 전기커넥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652296B2 (ko)
JP (1) JP4198342B2 (ko)
KR (1) KR100886639B1 (ko)
CN (1) CN100449882C (ko)
TW (1) TW54325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3971A (ko) * 2008-08-01 2011-05-24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종단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230B1 (ko) * 2002-03-26 2004-06-04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고속통신용 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
US6955565B2 (en) * 2002-12-30 2005-10-18 Molex Incorporated Cable connector with shielded termination area
JP2005108623A (ja) 2003-09-30 2005-04-21 Jst Mfg Co Ltd 高速伝送用コネクタ
JP2005122988A (ja) * 2003-10-15 2005-05-12 Jst Mfg Co Ltd 平形ケーブル用コンタクト、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付き平形ケーブル
JP2006019215A (ja) * 2004-07-05 2006-01-19 Fci Asia Technology Pte Ltd 電気コネクタ
DE102007061117A1 (de) * 2007-12-19 2009-06-25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 Kontaktierung
US9011177B2 (en) 2009-01-30 2015-04-21 Molex Incorporated High speed bypass cable assembly
JP5346712B2 (ja) * 2009-06-30 2013-11-20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を備える半導体試験装置
KR101079159B1 (ko) * 2009-07-13 2011-11-02 (주)블루젬디앤씨 개선된 구조의 플러그 조립체
FR2954602B1 (fr) * 2009-12-17 2012-10-05 Sc2N Sa Procede de fixation d'un faisceau electrique
US9071001B2 (en) 2010-02-01 2015-06-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ical connector and assembly
CN201797096U (zh) * 2010-04-19 2011-04-1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CN203288874U (zh) 2010-10-13 2013-11-13 3M创新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和系统
US8911254B2 (en) * 2011-06-03 2014-12-16 Ppc Broadband, Inc. Multi-conductor cable connector having more than one coaxial cable and method thereof
CN103094736B (zh) * 2011-11-07 2015-07-0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US9545040B2 (en) * 2012-01-23 2017-01-10 Fci Americas Technology Llc Cable retention housing
US9231393B2 (en) 2012-04-13 2016-01-05 Fci Americas Technology Llc Electrical assembly with organizer
JP6154106B2 (ja) * 2012-06-13 2017-06-28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端末接続部の樹脂モールド方法及び樹脂モールド用の金型
WO2014031851A1 (en) 2012-08-22 2014-02-27 Amphenol Corporation High-frequency electrical connector
CN103944030B (zh) * 2013-01-22 2016-08-03 宏致电子股份有限公司 电连接器的制造方法
US20160093985A1 (en) * 2013-02-20 2016-03-31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High speed high density connector assembly
US9142921B2 (en) 2013-02-27 2015-09-22 Molex Incorporated High speed bypass cable for use with backplanes
CN104103966B (zh) * 2013-04-08 2017-03-0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JP6208878B2 (ja) 2013-09-04 2017-10-04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ケーブルバイパスを備えるコネクタシステム
US9246286B2 (en) * 2013-09-25 2016-01-26 Virginia Panel Corporation High speed data module for high life cycle interconnect device
JP6268602B2 (ja) * 2014-09-05 2018-01-3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US9685736B2 (en) 2014-11-12 2017-06-20 Amphenol Corporation Very high speed, high density electrical interconnection system with impedance control in mating region
JP6517349B2 (ja) 2015-01-11 2019-05-22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回路基板バイパスアセンブリ及びその構成要素
KR20170102011A (ko) 2015-01-11 2017-09-06 몰렉스 엘엘씨 바이패스 루트설정 조립체에 사용하기 적합한 와이어-대-기판 커넥터
WO2016178861A1 (en) * 2015-05-01 2016-11-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nnector assembly
WO2016179263A1 (en) 2015-05-04 2016-11-10 Molex, Llc Computing device using bypass assembly
JP6422825B2 (ja) * 2015-06-01 2018-11-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5119081A (zh) * 2015-09-09 2015-12-02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插头电连接器
TWI648613B (zh) 2016-01-11 2019-01-21 莫仕有限公司 Routing component and system using routing component
WO2017123614A1 (en) 2016-01-11 2017-07-20 Molex, Llc Cable connector assembly
US11151300B2 (en) 2016-01-19 2021-10-19 Molex, Llc Integrated routing assembly and system using same
JP6724528B2 (ja) * 2016-04-28 2020-07-15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インサート成形品及びインサート成形品の製造方法
CN109565137A (zh) 2016-05-31 2019-04-02 安费诺有限公司 高性能线缆终端装置
CN107768851B (zh) * 2016-08-15 2019-11-05 东莞莫仕连接器有限公司 线缆连接器
CN115296060A (zh) 2016-10-19 2022-11-04 安费诺有限公司 用于电连接器的安装接口的组件及电连接器
TWI788394B (zh) 2017-08-03 2023-01-01 美商安芬諾股份有限公司 電纜總成及製造其之方法
US10665973B2 (en) 2018-03-22 2020-05-26 Amphenol Corporation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CN115632285A (zh) 2018-04-02 2023-01-20 安达概念股份有限公司 受控阻抗线缆连接器以及与其耦接的装置
US10931062B2 (en) 2018-11-21 2021-02-23 Amphenol Corporation High-frequency electrical connector
TWI720707B (zh) 2018-11-30 2021-03-01 英屬開曼群島商鴻騰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線纜組件及其製造方法
CN113557459B (zh) 2019-01-25 2023-10-20 富加宜(美国)有限责任公司 被配置用于线缆连接到中板的i/o连接器
US11189943B2 (en) 2019-01-25 2021-11-30 Fci Usa Llc I/O connector configured for cable connection to a midboard
US11437762B2 (en) 2019-02-22 2022-09-06 Amphenol Corporation High performance cable connector assembly
WO2021055584A1 (en) 2019-09-19 2021-03-25 Amphenol Corporation High speed electronic system with midboard cable connector
JP2021082563A (ja) * 2019-11-22 2021-05-27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ウェハコネクタ及び嵌合コネクタ
CN115516717A (zh) 2020-01-27 2022-12-23 富加宜(美国)有限责任公司 高速、高密度直配式正交连接器
CN115428275A (zh) 2020-01-27 2022-12-02 富加宜(美国)有限责任公司 高速连接器
CN113258325A (zh) 2020-01-28 2021-08-13 富加宜(美国)有限责任公司 高频中板连接器
WO2022004398A1 (ja) * 2020-06-30 2022-01-0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第1コネクタ、第2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セット
USD1002553S1 (en) 2021-11-03 2023-10-24 Amphenol Corporation Gasket for connector
CN116298777B (zh) * 2023-01-17 2024-01-30 苏州联讯仪器股份有限公司 一种芯片测试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4904A (ja) * 1996-11-01 1998-05-22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シールド機能をもつ圧接コネクタ
JP2000040558A (ja) * 1998-06-11 2000-02-08 Framatome Connectors Internatl シ―ルドケ―ブル用コネクタ
JP2000507384A (ja) * 1996-03-28 2000-06-13 ザ ウィタカー コーポレーション 高密度電気コネクタ
JP2001006802A (ja) * 1999-06-22 2001-01-12 Calsonic Kansei Corp 圧接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1678B2 (ja) 1990-07-20 2000-01-2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の給送装置
US5176538A (en) * 1991-12-13 1993-01-05 W. L. Gore & Associates, Inc. Signal interconnector module and assembly thereof
NL9300641A (nl) 1993-04-15 1994-11-01 Framatome Connectors Belgium Connector voor coaxiale en/of twinaxiale kabels.
US5888096A (en) 1994-01-25 1999-03-30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and contact
CN2364580Y (zh) * 1998-12-29 2000-02-1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缆连接器组合
US6524135B1 (en) * 1999-09-20 2003-02-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ntrolled impedance cable connector
JP3656187B2 (ja) * 2000-04-17 2005-06-0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6273758B1 (en) * 2000-05-19 2001-08-14 Molex Incorporated Wafer connector with improved grounding shield
US6428344B1 (en) * 2000-07-31 2002-08-06 Tensolite Company Cable structure with improved termination connector
US6443773B1 (en) * 2002-02-25 2002-09-0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connector having pre-assembled terminal modul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7384A (ja) * 1996-03-28 2000-06-13 ザ ウィタカー コーポレーション 高密度電気コネクタ
JPH10134904A (ja) * 1996-11-01 1998-05-22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シールド機能をもつ圧接コネクタ
JP2000040558A (ja) * 1998-06-11 2000-02-08 Framatome Connectors Internatl シ―ルドケ―ブル用コネクタ
JP2001006802A (ja) * 1999-06-22 2001-01-12 Calsonic Kansei Corp 圧接コネク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3971A (ko) * 2008-08-01 2011-05-24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종단 커넥터
KR101689041B1 (ko) 2008-08-01 2016-12-22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종단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43250B (en) 2003-07-21
KR20030017339A (ko) 2003-03-03
JP2003068408A (ja) 2003-03-07
US20030040203A1 (en) 2003-02-27
JP4198342B2 (ja) 2008-12-17
CN1407668A (zh) 2003-04-02
CN100449882C (zh) 2009-01-07
US6652296B2 (en) 2003-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6639B1 (ko) 실드케이블의 전기커넥터, 그 커넥터 본체 및 이 전기커넥터의 제조방법
US5474472A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JP3414402B2 (ja) 電気コネクタ、ハウジング及びコンタクト
JP3946096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US7442057B2 (en) MIMO RF connector assembly
US20050048846A1 (en) Plug connector, receptacle connector, and joint-type connector
US20090197459A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having wire management members with low profile
US5938450A (en) Connector having improved noise-shielding structure
US6210230B1 (en) Cable connector
WO2010032342A1 (ja) 電気コネクタ
KR101958096B1 (ko) 클램핑력을 인가하고 임피던스 불연속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두 세트의 클램핑 판을 구비하는 케이블 커넥터
US10826255B2 (en)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KR101212716B1 (ko) 동축 커넥터
US6699074B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grounding means
US9502834B2 (en) Coaxial-type electric connector
KR100803228B1 (ko)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US6971923B1 (en) Cable end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organizer
JP4789787B2 (ja) 同軸コネクタ
US6672913B1 (en) Plug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10808493B (zh) 电连接器
JP2007234491A (ja) コネクタ
JP5218786B2 (ja) コネクタ装置
CN110797691A (zh) 一种柔性电路插座、插头及连接器组件
US4525020A (en) Electrical connector
US12003061B2 (en) Ground structure for a cable card assembly of an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