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4483B1 - 중앙선 표시봉 - Google Patents

중앙선 표시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4483B1
KR100884483B1 KR1020080103642A KR20080103642A KR100884483B1 KR 100884483 B1 KR100884483 B1 KR 100884483B1 KR 1020080103642 A KR1020080103642 A KR 1020080103642A KR 20080103642 A KR20080103642 A KR 20080103642A KR 100884483 B1 KR100884483 B1 KR 100884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cap
anchor
screw portion
femal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3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칠용
박용한
Original Assignee
김칠용
박용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칠용, 박용한 filed Critical 김칠용
Priority to KR1020080103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44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4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4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운전자에게 중앙선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중앙선 표시봉에 관한 것으로,
외주면에 반사필름(12)이 결합되어진 봉(1)과, 상기 봉(1)의 하부를 바닥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부(2)로 구성되는 중앙선 표시봉에 있어서,
상기 봉(1)의 하단에는 수나사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앵커부(2)에는 상기 수나사부(11)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나사부(11)와 암나사부(21)에는, 직경이 길이방향에 대해 균일하게 형성된 직선부(11a)(21a)를 상부에, 직경이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된 경사부(11b)(21b)를 그 하부에 각각 구비함으로써 서로간에 대응되어지도록 구성하되,
상기 수나사부의 경사부(11b)는 상기 암나사부의 경사부(21b)보다 완만한 기울기로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부의 경사부(21b)가 위치한 앵커부(2)의 외주면에는 2개 이상의 절개홈(2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봉(1)의 수나사부(11)가 앵커부(2)의 암나사부(21)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앵커부(2) 암나사부(21)의 경사부(21b)가 외측 방사방향으로 벌어질 수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앵커부(2)에 봉(1)을 대체하여 결합하기 위한 캡(3)을 함께 구성하되, 상기 캡(3)은 상기 앵커부(2)의 암나사부(21)내에 완전 삽입될 수 있도록 머리부가 없이 수나사부(32)로만 구성되어있으며, 상부에는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사용하기 위한 홈부(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봉(1)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되, 내부를 빈 공간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선 표시봉에 관한 것이다.
중앙선, 표시봉, 앵커부, 수나사부, 암나사부, 야광, 돌출턱, 캡

Description

중앙선 표시봉 {A lod for informing the position of center line}
본 발명은 차량 운전자에게 중앙선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중앙선 표시봉에 관한 것으로, 봉이 오염 또는 훼손되었을 시 교체작업이 용이하도록 봉은 앵커부에 대해 나사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되고, 봉 상부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된 캡이 결합되어있어서, 바닥 청소를 위해 봉을 분리해야할 시에는 상기 캡을 분리하여 앵커부의 암나사부에 결합해둠으로써, 바닥 청소하는 중에 상기 암나사부가 오물에 의해 오염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선 표시봉에 관한 것이다.
중앙선 표시봉은 차선의 중앙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해둠으로써, 서로 다른 방향으로 주행하는 차량들이 차선 중앙을 제대로 인식할 수 있게하기위한 것으로서, 종래의 중앙선 표시봉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100)과, 상기 봉(100)하부에 결합된 받침대(120)로 구성되며, 상기 받침대(120)는 바닥면에 앵커볼트(140)에 의해 단단히 결합되어진다.
또한, 봉(100)의 외주면에는, 운전자 눈에 잘 띌 수 있도록, 반사필름(130)이 감겨져 있으며, 봉(100)은 받침대(120)에 분리 불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봉(100)이 오염되거나 훼손되어서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는, 앵커볼트(140)를 풀러서 봉(100)과 받침대(120)를 모두 교환해야하므로 교체시간 및 비용이 많이 들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봉이 손상되지는 않더라도 봉의 외주면은 흙탕물 등에 의해 오염되기 쉬울 것인데, 오염될 경우 도시의 미관을 해칠뿐만 아니라 반사필름(130)이 가려질 경우 운전자들에 대한 경고기능을 다하지 못하게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사람이 직접 봉의 외주면을 닦아주어야하므로, 유지 및 관리비용이 많이 들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중앙선 표시봉은 설치후 분해가 용이하지 않고 청소차의 진입을 방해하게되므로, 주변 바닥의 청소작업이 어렵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중앙선 표시봉이 바닥면에 설치된 앵커부에 대해 나사결합되는 구조가 되도록 함으로써, 중앙선 표시봉을 용이하게 설치하거나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첫 번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중앙선 표시봉에는 봉을 앵커부로부터 분리하였을시에 상기 앵커부의 암나사부에 결합해두기위한 캡을 함께 구성함으로써, 주변 바닥의 청소작업이 용이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청소작업중 앵커부의 암나사부가 오염되지 않도록 하는데 두 번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봉 하부에는 수나사부를 형성하고 앵커부에는 암나사부를 형성 하여 상기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구조로 구성하므로써, 봉의 설치 및 교체작업이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앵커부의 암나사부를, 직선부와,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부로 구분하여 형성하고, 상기 경사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여러개의 절개홈을 형성해둠으로써, 봉의 수나사부가 앵커부의 암나사부에 결합될시에 상기 암나사부의 경사부는 외측 방사방향으로 벌어지게됨에 따라 상기 앵커부는 바닥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봉을 앵커부로부터 분리하여 주변바닥을 청소할 시에 앵커부의 암나사부를 보호하기위한 캡을 함께 구성하되, 상기 캡의 하부에는 상기 암나사부에 일치하는 수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봉 상부에 형성된 암나사부에서 나사결합되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봉으로부터 캡을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캡의 상부에는 공구 사용을 위한 홈부와 함께 야광부가 형성되어있으므로, 반사필름이 오물에 의해 오염되거나 훼손된 경우에도 사용자에 대한 경고기능을 다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앙선 표시봉이 바닥면에 설치된 앵커부에 대해 나사결합되는 구조이므로, 중앙선 표시봉의 설치작업이 대단히 용이할뿐만 아니라, 봉이 오염되거나 훼손되었을 경우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교체비용도 저렴하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앵커부에 봉을 결합하기 위해 봉의 수나사부를 앵커부의 암나사부에 결합할 시에, 상기 암나사부의 하부에 위치한 경사부는 절개홈에 의해 외측 방사방향으로 벌어지게됨으로써, 별도의 앵커보울트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바닥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봉의 분리가 용이하므로 주변바닥의 청소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청소작업중에는 봉 상단에 결합된 캡을 분리하여 앵커부의 암나사부에 결합해둠으로써, 앵커부의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캡은 봉의 상부에 나사결합되어져 있으며 그 상단에는 공구 사용을 위한 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필요시 드라이버 등을 사용하여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캡의 상부에는 야광부가 형성되어있으므로, 반사필름이 오물에 의해 오염되거나 훼손된 경우에도 사용자에 대한 경고기능을 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대한 분리 정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 중앙선 표시봉이 앵커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 캡이 앵커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단 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서 중앙선 표시봉이 앵커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서 캡이 앵커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중앙선 표시봉은, 외주면에 반사필름(12)이 결합되어진 봉(1)과, 상기 봉(1)의 하부를 바닥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부(2)로 구성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봉(1)과 앵커부(2)간의 결합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봉(1)의 하단에는 수나사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앵커부(2)에는 상기 수나사부(11)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앵커부(2)는 바닥에 묻혀서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종래에는 앵커볼트를 사용하였으므로 설치 및 교체작업이 대단히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보다 간편한 방법에 의해 고정할 수 있도록 하되 종전과 같은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점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앵커부(2)의 암나사부(21)에서는, 상부에는 내경이 길이방향에 대해 균일한 형태의 직선부(21a)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내경이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경사부(21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부(21b)가 위치한 앵커부(2)의 외주면에는 2개 이상의 절개홈(2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 어 있다.
따라서, 상기 봉(1)이 앵커부(2)에 결합되기 위해, 봉(1)의 수나사부(11)가 앵커부(2) 암나사부(21)의 직선부(21a)에 진입할 시에는 상기 수나사부(11)의 외경과 상기 직선부(21a)의 내경이 일치하므로 앵커부(2)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지만, 봉(1)의 수나사부(11)가 경사부(21b)에 진입하게되면 상기 경사부(21b)의 내경은 수나사부(11)의 외경보다 점점 더 좁아지게되므로, 상기 경사부(21b)는 절개홈(23)에 의해서 도 3, 도 4에서와 같이 외측 방사방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외측 방사방향으로 벌어진 경사부(21b)는 앵커 기능을 하게되므로, 별도의 앵커보울트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봉(1)을 앵커부(2)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봉(1)의 수나사부(11)를 앵커부(2)의 암나사부(21)에 결합할 시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수나사부(11)도 직선부(11a)와 함께 쐐기형태의 경사부(11b)를 선단에 형성할 수도 있는데, 상기 경사부(11b)는 상기 암나사부(21)의 경사부(21b)에 비해 경사가 완만하므로, 상기 봉(1)의 수나사부(11)가 앵커부(2)의 암나사부(21)에 결합될 시에, 상기 수나사부(11) 경사부(11b)의 외경은 암나사부(21) 경사부(21b)의 내경보다 여전히 크게되므로, 봉(1)이 앵커부(2)에 결합될 시에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암나사부(21)의 경사부(21b)는 외측 방사방향으로 벌어지게되어 앵커 기능을 하게되는 것이다.
또한, 앵커부(2)가 바닥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앵커부(2)의 외주면에는 한 개 이상의 돌출턱(22)을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는 상기 앵커부(2)가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담당하게된다.
상기 앵커부(2)는 형태는 도시되어진 원통형태 이외에도 다각면을 갖는 다각기둥의 형태로도 구성할 수도 있으며, 다각기둥인 경우 굳이 돌출턱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겠으나, 다각기둥의 형태는 가공방법이 까다로우므로 도시된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앵커부(2)에 봉(1)을 대신하여 대체 결합하기 위한 캡(3)을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캡(3)은 상기 앵커부(2)의 암나사부(21)내에 완전 삽입될 수 있도록 머리부가 없이 수나사부(32)로만 구성되어있으며, 상부에는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사용하기 위한 홈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봉(1)은 제조원가를 줄이기 위해서는 합성수지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충격완화기능을 높이고 중량을 가볍게 하기 위해서는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13)를 빈 공간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봉(1)의 하단은 단턱이 내측으로 형성되고, 봉(1)의 직경은 수나사부(1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있으므로, 상기 봉(1)이 앵커부(2)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나사결합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된다.
따라서, 상기 나사결합부로의 이물질의 침투를 막을 수 있으므로 원활한 나사결합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바, 봉의 교체작업이나 캡으로의 대체 결합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 중앙선 표시봉이 앵커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로서,
봉(1)이 앵커부(2)에 결합될 시에는 상기 수나사부(11)와 암나사부(21)를 일치시킨다음, 봉(1)을 손으로 돌려 결합하면되므로 설치 및 교체작업이 용이하게 이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봉(1)이 앵커부(2)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나사결합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이물질의 침투를 막을 수 있으므로, 원활한 나사결합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게된다.
한편, 상기 앵커부(2)에는 돌출턱(22)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봉(1)을 회전시켜 앵커부(2)에 결합하거나 분리하고자할 시에 상기 앵커부(2)가 함께 회전하여 겉돌지 않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 캡이 앵커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로서,
중앙선 표시봉 주변을 청소차량등을 사용하여 청소하고자할 시에는, 앵커부(2)로부터 봉(1)을 분리하여 바닥면이 편평한 상태가 되도록 해야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봉(1)을 분리한 후 캡(3)을 대체결합해줌으로써 청소중에 오물이 앵커부(2)의 암나사부(21)에 침투되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캡(3)은 그 길이가 상기 암나사부(21)보다 짧고 머리부가 없이 수나사부(32)로만 구성되어있으므로, 캡(3)은 상기 앵커부(2)의 암나사부(21)내에 완전 삽입되어 바닥면은 편평한 상태를 유지하게되므로, 간섭없이 청소작업을 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캡(3)의 상부에는 홈(3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합 또는 분리 작업 시에 드라이버 등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6에서와 같이 캡(3a)을 봉(1)과 함께 구성함으로써, 캡의 보관 및 봉의 대체 결합작업을 용이하도록 할 수 있는데,
상기 봉(1)의 상단에는 상기 캡(3a)의 수나사부(32a)와 일치하는 암나사부(14)가 형성되어, 평소에는 상기 캡(3a)이 봉(1)과 함께 구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대한 분리 사시도로서,
상기 캡(3b)을 봉(1)과 함께 구성되도록 하되, 봉(1)의 상단에 구비되어진 암나사부(14)는 상기 캡(3b)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캡(3b)의 상부외주면에는 야광부(33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캡(3b)이 봉(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야광부(33b)가 외부에 노출될 수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도 8에서와 같이 봉(1)이 앵커부(2)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캡(3b)의 수나사부(32b)는 봉(1)의 암나사부(14)에 결합되어있으나 상단의 야광부(33b)는 외부에 노출된 상태이므로, 봉(1) 외주면에 결합되어진 방사필름(12)과 함께 차량에 대한 경고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된다.
또한, 바닥청소를 하기위해 캡(3b)을 앵커부(2)에 대체결합하고자 할시에는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캡(3b)은 그 길이가 상기 암나사부(21)보다 짧고 머리부가 없이 수나사부(32b)로만 구성되어있으므로, 캡(3b)은 상기 앵커부(2)의 암나사부(21)내에 완전 삽입되어 바닥면은 편평한 상태를 유지하게되므로, 간섭없이 청소작업을 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캡(3b)의 상부에는 홈(31b)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합 또는 분리작업 시에 드라이버 등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중앙선 표시봉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대한 분리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 중앙선 표시봉이 앵커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 캡이 앵커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서 중앙선 표시봉이 앵커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서 캡이 앵커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봉 2 : 앵커부
3 : 캡 11 : 수나사부
12 : 반사필름 13 : 내부
14, 21 : 암나사부 22 : 돌출턱
31, 31a, 31b : 홈부 32, 32a, 32b : 수나사부
33b : 야광부

Claims (3)

  1. 외주면에 반사필름이 결합되어진 봉과, 상기 봉의 하부를 바닥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부로 구성되는 중앙선 표시봉에 있어서,
    상기 봉의 하단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앵커부에는 상기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나사부와 암나사부에는, 직경이 길이방향에 대해 균일하게 형성된 직선부를 상부에, 직경이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된 경사부를 그 하부에 각각 구비함으로써 서로간에 대응되어지도록 구성하되,
    상기 수나사부의 경사부는 상기 암나사부의 경사부보다 완만한 기울기로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부의 경사부가 위치한 앵커부의 외주면에는 2개 이상의 절개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봉의 수나사부가 앵커부의 암나사부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앵커부 암나사부의 경사부가 외측 방사방향으로 벌어질 수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앵커부에 봉을 대체하여 결합하기 위한 캡을 함께 구성하되, 상기 캡은 상기 앵커부의 암나사부내에 완전 삽입될 수 있도록 머리부가 없이 수나사부로만 구성되어있으며, 상부에는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사용하기 위한 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봉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되, 내부를 빈 공간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선 표시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봉의 상단에는 상기 캡의 수나사부와 일치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평소에는 상기 캡이 봉과 함께 구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선 표시봉.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봉의 상단에 구비되어진 암나사부는 상기 캡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캡의 상부외주면에는 야광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캡이 봉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야광부가 외부에 노출될 수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중앙선 표시봉.
KR1020080103642A 2008-10-22 2008-10-22 중앙선 표시봉 KR100884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642A KR100884483B1 (ko) 2008-10-22 2008-10-22 중앙선 표시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642A KR100884483B1 (ko) 2008-10-22 2008-10-22 중앙선 표시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4483B1 true KR100884483B1 (ko) 2009-02-17

Family

ID=40681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3642A KR100884483B1 (ko) 2008-10-22 2008-10-22 중앙선 표시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44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579Y1 (ko) * 2009-06-30 2010-02-04 박용한 차로 표시장치
KR102139375B1 (ko) * 2019-06-19 2020-07-29 고권하 시선유도봉
KR20200121428A (ko) 2019-04-15 2020-10-26 주식회사 디앤아이코퍼레이션 중앙선 분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7712A (ja) * 1992-02-12 1993-11-02 Nippon Mektron Ltd 道路標識柱
JPH11293634A (ja) 1998-04-14 1999-10-26 Toho Press Kogyo Kk ポール組立キット
KR200188398Y1 (ko) * 2000-02-16 2000-07-15 양복녀 도로 중앙분리구 어셈블리
KR200311376Y1 (ko) * 2003-01-28 2003-04-21 박민호 표지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7712A (ja) * 1992-02-12 1993-11-02 Nippon Mektron Ltd 道路標識柱
JPH11293634A (ja) 1998-04-14 1999-10-26 Toho Press Kogyo Kk ポール組立キット
KR200188398Y1 (ko) * 2000-02-16 2000-07-15 양복녀 도로 중앙분리구 어셈블리
KR200311376Y1 (ko) * 2003-01-28 2003-04-21 박민호 표지병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579Y1 (ko) * 2009-06-30 2010-02-04 박용한 차로 표시장치
KR20200121428A (ko) 2019-04-15 2020-10-26 주식회사 디앤아이코퍼레이션 중앙선 분리 장치
KR102139375B1 (ko) * 2019-06-19 2020-07-29 고권하 시선유도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4483B1 (ko) 중앙선 표시봉
ITBO20010372A1 (it) Ruota per autoveicolo con anello di protezione perfezionato
US8613356B1 (en) Rimless tire cover
KR200462194Y1 (ko) 볼트와 너트 결합부의 보호캡
CA2823394A1 (en) Retractable vehicle mud flap
ES2523844T3 (es) Indicador de giro
CA2707556A1 (en) Protective cover adapted for a visual aid
ITTO20130509A1 (it) Dispositivo di bloccaggio antifurto per ruote di veicoli
KR200447579Y1 (ko) 차로 표시장치
JP2007126933A (ja) 車止め支柱
KR20130095871A (ko) 차량타이어에 교체되는 착탈용 타이어
JP5227138B2 (ja) 道路用標示体の設置方法
JP5260372B2 (ja) 道路用標示体および押圧装置
JP2013185330A (ja) 道路標識柱
JP4875358B2 (ja) コンクリート型枠用金属製台座
KR20150125285A (ko) 핸드레일 연결지주 및 핸드레일 설치방법
CN210713910U (zh) 标准化施工临边防护管件
KR101226797B1 (ko) 차로 표시장치
KR200464598Y1 (ko) 도난방지용 펜스 어셈블리
KR200407048Y1 (ko) 시선유도봉
JP2014092022A (ja) 道路用標示体の設置構造
JP2011190628A (ja) 道路用標示体の施工方法及び回転具
KR100945261B1 (ko) 분리형 볼라드
JP3118460U (ja) 路上設置型安全装置
KR200320584Y1 (ko) 도로 표지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