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4142B1 - 서버-기반 또는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환경에 대한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서버-기반 또는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환경에 대한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4142B1
KR100884142B1 KR1020067015299A KR20067015299A KR100884142B1 KR 100884142 B1 KR100884142 B1 KR 100884142B1 KR 1020067015299 A KR1020067015299 A KR 1020067015299A KR 20067015299 A KR20067015299 A KR 20067015299A KR 100884142 B1 KR100884142 B1 KR 100884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network
server
contro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5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0635A (ko
Inventor
폴 크르지자나우스키
Original Assignee
오픈픽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픈픽 인크. filed Critical 오픈픽 인크.
Publication of KR20060130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0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4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4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5Home Audio Video Interoperability [HAVI]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핸드헬드 제어기를 통하는 등, 통합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양한 디바이스 유형을 제어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에서, 동기화 프로토콜은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환경에서 복수의 이러한 제어기들 간의 동기화를 보장해주고, 이러한 제어기들(506) 간에 커스텀 구성을 전송하는 수단을 제공하며,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환경으로부터 서버-기반 네트워크 환경으로 또한 그 역으로 이러한 제어기를 마이그레이션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디바이스 제어, 네트워크 환경, 서버-기반, 피어-투-피어, 마이그레이션

Description

서버-기반 또는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환경에 대한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방법 및 장치{DEVICE CONTROL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ER-BASED OR PEER-TO-PEER NETWORK ENVIRONMENT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디바이스 제어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서버-기반 또는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환경에서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시스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계속 증가하는 수의 다양한 원격 제어가능 전자 디바이스가 가정 및 사무실 환경에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UPnP™ 프로토콜에 부합하는 디바이스는 물론 적외선(IR) 또는 직렬 명령 코드를 구현하는 핸드헬드 리모콘에 의한 제어에 적합하게 구성된 종래의 가전 기기 등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제어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종래의 디바이스 제어 해결책은 단일의 핸드헬드 제어기를 통하는 등, 통합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한 디바이스 유형들을 제어하는 수단을 제공하지 않는다. 게다가, 종래의 디바이스 제어 해결책은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환경에서 복수의 이러한 제어기들 간의 동기화를 보장하는 수단, 이러한 제어기들 간에 커스텀 구성을 전송하는 수단, 또는 이러한 제어기를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환경에서 서 버-기반 네트워크 환경으로 또한 그 역으로 마이그레이션하는 수단을 제공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본 발명은 단일의 핸드헬드 제어기를 통하는 등, 통합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양한 디바이스 유형들을 제어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에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기화 프로토콜은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환경에서 복수의 이러한 제어기들 간의 동기화를 보장하고, 이러한 제어기들 간에 커스텀 구성을 전송하는 수단을 제공하며, 이러한 제어기를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환경에서 서버-기반 네트워크 환경으로 마이그레이션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제어기를 제2 제어기와 동기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며, 제1 및 제2 제어기 각각은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방법은, 제2 제어기를 발견하는 단계, 제1 및 제2 제어기를 동기화시키기 위한 제1 제어기 동기화 데이터를 발생하는 단계, 및 제1 제어기 동기화 데이터에 관한 메시지를 제2 제어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제어기 동기화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 중 하나의 구성, 상태 및/또는 동작을 변경하는 명령의 실행에 응답하여, 제1 제어기의 제어 구성을 변경하는 명령의 실행에 응답하여, 또는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 상태 및/또는 동작의 검출된 변경에 응답하여 발생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 로직을 포함한다. 이 제어 로직은 또한 네트워크에 통신 연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장치를 발견하고, 상기 장치를 제2 장치와 동기화시키기 위한 동기화 데이터를 발생하며, 동기화 데이터에 관한 메시지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장치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동기화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 중 하나의 구성, 상태 및/또는 동작을 변경하는 명령의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장치의 제어 구성을 변경하는 명령의 실행에 응답하여, 또는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 상태 및/또는 동작의 검출된 변경에 응답하여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시스템은, 전자 디바이스, 및 무선 네트워크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또한 서로에 통신 연결되어 있는 제1 및 제2 제어기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제어기 각각은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제어기는 또한 제2 제어기를 발견하고, 제1 및 제2 제어기를 동기화시키기 위한 제1 제어기 동기화 데이터를 발생하며, 제1 제어기 동기화 데이터에 관한 메시지를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제어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제어기 동기화 데이터는 전자 디바이스의 구성, 상태 및/또는 동작을 변경하는 명령의 실행에 응답하여, 제1 제어기의 제어 구성을 변경하는 명령의 실행에 응답하여, 또는 전자 디바이스의 구성, 상태 및/또는 동작의 검출된 변경에 응답하여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에서, 제1 제어기를 제2 제어기와 동기화시키는 방법이 제공되며, 여기서 제1 및 제2 제어기 각각은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방법은, 제2 제어기를 발견하는 단계, 이전의 동기화 이래로 일어난 하나 이상의 제1 제어기 이벤트에 관한 제1 데이터를 제2 제어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이전의 동기화 이래로 일어난 하나 이상의 제2 제어기 이벤트에 관한 제2 데이터를 제2 제어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제1 및 제2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벤트 로그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단계는 제1 제어기 이벤트에 관한 데이터를 제2 제어기 이벤트에 관한 데이터와 비교하는 단계, 및 제1 제어기 이벤트에 관한 데이터가 제2 제어기 이벤트에 관한 데이터와 상충하는 경우, 제1 제어기 이벤트와 연관된 타임스탬프가 상기 제2 제어기 이벤트와 연관된 타임스탬프보다 이른 경우에만 이벤트 로그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수반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제2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제어기의 제어 구성을 제2 제어기의 제어 구성과 일치(match)하도록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 로직을 포함한다. 이 제어 로직은 또한 네트워크에 통신 연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장치를 발견하고, 이전의 동기화 이래로 일어난 하나 이상의 제1 제어기 이벤트에 관한 제1 데이터를 제2 장치로 전송하며, 이전의 동기화 이래로 일어난 하나 이상의 제2 제어기 이벤트에 관한 제2 데이터를 제2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제어 로직은 또한 제1 및 제2 데이터에 기초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이벤트 로그를 갱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갱신하는 동작은 또한 제1 제어기 이벤트에 관한 데이터를 제2 제어기 이벤트에 관한 데이터와 비교하는 동작, 및 제1 제어기 이벤트에 관한 데이터가 제2 제어기 이벤트에 관한 데이터와 상충하는 경우, 제1 제어기 이벤트와 연관된 타임스탬프가 제2 제어기 이벤트와 연관된 타임스탬프보다 이른 경우에만 이벤트 로그를 갱신하는 동작을 수반할 수 있다. 이 제어 로직은 또한 제2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장치의 제어 구성을 제2 장치의 제어 구성과 일치하게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시스템은, 전자 디바이스, 및 무선 네트워크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디바이스에 또한 서로에 통신 연결되어 있는 제1 및 제2 제어기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제어기 각각은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제어기는 또한 제2 제어기를 발견하고, 이전의 동기화 이래로 일어난 하나 이상의 제1 제어기 이벤트에 관한 제1 데이터를 제2 제어기로 전송하며, 이전의 동기화 이래로 일어난 하나 이상의 제2 제어기 이벤트에 관한 제2 데이터를 제2 제어기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제어기는 제1 및 제2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벤트 로그를 갱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갱신하는 동작은 또한 제1 제어기 이벤트에 관한 데이터를 제2 제어기 이벤트에 관한 데이터와 비교하는 동작, 및 제1 제어기 이벤트에 관한 데이터가 제2 제어기 이벤트에 관한 데이터와 상충하는 경우, 제1 제어기 이벤트와 연관된 타임스탬프가 제2 제어기 이벤트와 연관된 타임스탬프보다 이른 경우에만 이벤트 로그를 갱신하는 동작을 수반할 수 있다. 제1 제어기는 또한 제2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제어기의 제어 구성을 제2 제어기의 제어 구성과 일치하게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가의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독립형 모드(stand-alone mode)에서 클라이언트-서버 모드(client-server mode)로 마이그레이션(migrate)는 방법이 제공된다. 처음에, 제어기는 독립형 모드에서 제어기에 의해 유지되는 제어 구성에 따라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한다. 이 방법은, 서버를 발견하는 단계, 제어기에 의해 유지되는 제어 구성에 관한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뒤이어서 서버에 의해 유지되는 제어 구성에 따라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 로직을 포함한다. 이 제어 로직은 또한 네트워크에 통신 연결된 서버를 발견하고, 상기 장치에 의해 유지되는 제어 구성에 관한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며, 뒤이어서 상기 장치에 의해 유지되는 제어 구성에 따르는 대신에 서버에 의해 유지되는 제어 구성에 따라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시스템은, 전자 디바이스, 무선 네트워크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디바이스에 통신 연결되어 있는 제어기 - 이 제어기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음 -, 및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디바이스 및 제어기에 통신 연결되어 있는 서버를 포함한다. 이 제어기는 서버를 발견하고, 제어기에 의해 유지되는 제어 구성에 관한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며, 뒤이어서 제어기에 의해 유지되는 제어 구성에 따르는 대신에 서버에 의해 유지되는 제어 구성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가의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클라이언트-서버 모드(client-server mode)에서 독립형 모드(stand-alone mode)로 마이그레이션(migrate)는 방법이 제공된다. 처음에, 제어기는 서버에 의해 유지되는 제어 구성에 따라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한다. 이 방법은, 서버에 의해 유지되는 제어 구성에 관한 데이터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뒤이어서 제어기에 의해 유지되는 제어 구성에 따라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 로직을 포함한다. 이 제어 로직은 또한 네트워크에 통신 연결된 서버에 의해 유지되는 제어 구성에 관한 데이터를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뒤이어서 서버에 의해 유지되는 제어 구성에 따르는 대신에 상기 장치에 의해 유지되는 제어 구성에 따라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시스템은, 전자 디바이스, 무선 네트워크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디바이스에 통신 연결되어 있는 제어기 - 이 제어기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음 -, 및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디바이스 및 제어기에 통신 연결된 서버를 포함한다. 이 제어기는 또한 서버에 의해 유지되는 제어 구성에 관한 데이터를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뒤이어서 서버에 의해 유지되는 제어 구성에 따르는 대신에 제어기에 의해 유지되는 제어 구성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여러가지 실시예의 구조 및 동작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기술된다. 유의할 점은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목적으로 본 명세서에 제공되어 있다. 부가의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 포함된 개시 내용에 기초하면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을 예시하며, 또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도록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수행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의 특정의 구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제어기 구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에 의해 저장될 수 있는 여러가지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에서 제어기들을 동기화시키는 방법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에서 다른 제어기들을 발견하는 방법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들을 동기화하는 동기화 프로토콜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참조 번호가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부기되어 있는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자명하게 될 것이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기능상 유 사한 및/또는 구조상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구성요소가 처음으로 나타나는 도면은 대응하는 참조 번호에서 최좌측 숫자로 나타내어져 있다.
A.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100)을 나타낸 것이다. 예시적인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100)이 단지 예시적인 목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님을 잘 알 것이다. 예시적인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100)의 다른 구현은 본 명세서에 포함된 개시 내용에 기초하면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며, 본 발명은 이러한 다른 구현들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시적인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100)은 복수의 제어기(102a 내지 102n) 및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104a 내지 104n)를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네트워크(106)에 통신 연결되어 있다. 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106)는 가정 내의 디바이스들을 통신 연결하기 위한 거주지 네트워크(residential network)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106)는 예를 들어 가정 전화선 네트워크, 가정 전력선 네트워크, 이더넷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거주지 네트워크에 한정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06)는 근거리 통신망(LAN) 또는 인터넷 등의 원거리 통신망(WAN)(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비롯한 임의의 유형의 거주지 또는 비거주지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4a 내지 104n) 각각은 거주지 및/또는 사무실 환경에서 사 용가능한 광범위한 원격 제어가능 전자 디바이스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4a 내지 104n) 각각은 컴퓨터, 컴퓨터 주변 장치, 텔레비전(TV),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 DVD(digital versatile disc) 플레이어, 개인 비디오 레코더(PVR), 컴팩트 디스크(CD) 플레이어, 스테리오 리시버(stereo receiver), 전자 온도 조절기, UPnP™ 디지털 미디어 렌더러(digital media renderer) 및/또는 서버, 램프 또는 비디오 카메라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들 예는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며, 기타의 전자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 내에 속한다.
제어기(102a 내지 102n) 각각은 전자 디바이스(104a 내지 104n) 중 하나 이상을 원격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본 명세서에 보다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제어기(102a 내지 102n) 각각은 다양한 전자 디바이스(이들 각각은 서로 다른 제조업자 및/또는 모델 유형을 가질 수 있고 또 이들 각각은 원격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음)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구성가능한 범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기(102a 내지 102n) 각각은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104a 내지 104n)를 제어하기 위한 독립형 인터페이스(stand-alone interface)를 포함한다. 대체 실시예에서, 제어기(102a 내지 102n) 각각은 전자 디바이스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네트워크(106)를 통해 제어기들 및 전자 디바이스(들)에 통신 연결되어 있는 선택적인 제어 서버(108)와 연계하여 동작한다. 거주지 또는 비거주지 환경에서 디바이스 및 애플리케이션의 원격 명령 및 제어를 제공하는 제어 서버, 제어기들 및 네트워크의 상세한 예는 공동 소유이고 동시 계류 중이며 2002년 6월 27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제어된 거주지 또는 비거주지 환경을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anaging Controlled Residential or Non-residential Environments)"인 미국 특허 출원 제10/180,500호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이는 여기에 인용함으로써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200)의 특정의 구현을 나타낸 것이다.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200)의 여러가지 구성요소는 공동 소유이고 동시 계류 중이며 2003년 3월 14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거주지 또는 비거주지 네트워크를 위한 레거시 디바이스 브리지(Legacy Device Bridge for Residential or Non-Residential Networks)"인 Krzyzanowski 등의 미국 특허 출원 제10/387,590호에 보다 상세히 기술되어 있으며, 이는 여기에 인용함으로써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200)은 네트워크(202)(한 실시예에서 무선 LAN을 포함함)에 통신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206), 태블릿 PC(208), PC-기반 컴퓨터 시스템(210), 및 네트워크-지원(network-ready) 비디오 카메라(222) 등의 전자 디바이스는 TCP/IP 등의 패킷-기반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에 적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TV(212), VCR 및 DVD 플레이어(214), 스테레오 리시버(216), 전자 온도 조절기(218), 및 램프(220) 및 연관된 조명 시스템 제어 인터페이스(226)를 비롯한 종 래의 가전 기기는 그렇게 구성되어 있지 않으며 통신을 위해 적외선(IR) 또는 직렬 통신 프로토콜에 의존해야만 한다. 레거시 디바이스 브리지(224a, 224b)는 패킷-기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디바이스들과 IR 또는 직렬 통신 프로토콜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디바이스들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해주는 프로토콜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도 2에서, PDA(206), 태블릿 PC(208), PC-기반 컴퓨터 시스템(210) 각각은 네트워크(202)에 연결된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의 원격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PDA(206), 태블릿 PC(208), PC-기반 컴퓨터 시스템(210)은 네트워크(202)에 연결된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에 대한 독립형 제어(stand-alone control)를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이들 제어기는 원격 디바이스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선택적인 제어 서버(204)와 연계하여 동작할 수 있다.
B.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 구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102a 내지 102n)(또한 제어기(102)로서 전체적으로 말하기도 함) 중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나타낸 예시적인 구현이 단지 예시적인 목적으로 제공된 것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님을 잘 알 것이다. 제어기(102)의 다른 구현들은 본 명세서에 포함된 개시 내용에 기초하면 당업자에게는 자명하게 될 것이며, 본 발명은 이러한 다른 구현예들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기(102)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정보를 사 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08), 네트워크에의 액세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06), 및 가전 기기(CE) 디바이스로 정보를 전송하고 선택적으로 그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선택적인 CE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308)는 터치-감응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포함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06)는 IEEE 802.11b, 블루투스™ 또는 이더넷 프로토콜 등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네트워크 통신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플러그-인 또는 내장형 송수신기를 포함하며, 선택적인 CE 디바이스 인터페이스(304)는 단방향 IR 송신기 또는 대안으로서 양방향 IR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기(10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08),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06) 및 선택적인 CE 디바이스 인터페이스(304)에 통신 연결되어 있는 제어 로직(302)을 더 포함한다. 제어 로직(302)은 피어-투-피어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하나 이상의 다른 제어기들과 동기화 프로토콜을 수행하는 것, 및 피어-투-피어 동작 모드에서 클라이언트-서버 동작 모드로의 마이그레이션과 관계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것(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비롯한 본 명세서에 보다 상세히 기술되어 있는 본 발명의 특징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 제공된 개시 내용에 기초하여 잘 아는 바와 같이, 제어 로직(302)은 하나 이상의 다목적(multi-purpose) 프로세서(들), 주문형 반도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제어기(102)는 또한 제어 로직(302)에 통신 연결되어 있는 메모리(310)를 포 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310)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등의 정적 메모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등의 동적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310)는 제어 로직(302)에 의한 개별적인 실행 및 프로세싱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를 저장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기(102)는 PDA, 태블릿 컴퓨터, 웹-패드(web-pad), 또는 퍼스널 컴퓨터 중 하나를 포함하지만,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310)에 저장될 수 있는 여러가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또는 라이브러리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컴포넌트는 운영 체제 펌웨어(402), 사용자 인터페이스 펌웨어(404), 디바이스 제어 데이터베이스(404),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베이스(408), 시스템 구성 데이터베이스(410), 사용자 환경설정 데이터베이스(412), 제어기 동기화 소프트웨어(414), 및 이벤트 로그(416)를 포함한다. 이들 컴포넌트 각각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한다.
운영 체제 펌웨어(402)는 실행될 때 다른 제어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며, 제어기 입/출력(I/O) 및 파일 관리에 관한 기능 등의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펌웨어(404)는 실행될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308)의 여러가지 프로그램가능 측면의 구현 및 관리를 제공한다.
디바이스 제어 데이터베이스(406)는 다양한 전자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일련의 미리 정의된 명령 및 코드는 물론 이러한 디바이스의 고유의 제어 거동에 관한 메타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기(102)는 디바이스 제어 데이터베이스(406)에 저장하기 위해 네트워크(106)를 통해 디바이스 명령 코드 및 메타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2003년 9월 26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방법 및 장치(Device Control System, Method and Apparatus)"인 Krzyzanowski 등의 미국 가특허 출원 제60/505,851호에 제공되어 있으며, 이는 여기에 인용함으로써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이러한 명령 코드 및 메타데이터는 예를 들어 CD-ROM에 저장된 라이브러리로부터 획득될 수 있거나, 상기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106)를 통해 다운로드될 수 있거나 또는 최종 사용자와의 촉구된 상호작용을 통해 또는 경험(예를 들어, 종래의 사용자 제어 방법의 분석)에 의해 "학습"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408, 410, 412)는 일반적으로 전체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100) 및 제어기(102)의 동작의 사용자-커스터마이즈된 또는 개인화된 측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베이스(408)는 디바이스 상태 및 다른 동작 정보를 비롯한,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100)의 일부로서 실제로 인식되는 디바이스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시스템 구성 데이터베이스(410)는 사용자 인증, 위치 관리 및 디바이스 발견 등의 시스템 관리의 여러가지 측면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증 설정은 시스템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또는 특정 위치와 연관된 디바이스 들을 제어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허용 또는 금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위치 관리 데이터는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100) 내의 제어 구역 또는 하나 이상의 방에 디바이스를 할당하는 것 및 그의 정의에 관한 것이다. 디바이스 발견 데이터는 네트워크(106) 상의 디바이스의 존재를 검출하고 그에 관한 상태 정보를 유지하는 제어기(102)의 기능에 관계된 데이터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102)는 네트워크(106) 상에 나타나는 디바이스를 자동적으로 발견하고 그에 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UPnP™ 프로토콜, 또는 독점적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환경설정 데이터베이스(412)는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100) 내의 제어기(102) 및 피제어 디바이스의 동작에 관련한 여러가지 사용자-식별된 환경설정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사용자 환경설정은 예를 들어 텔레비전 시청을 위한 선호 채널 또는 특정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또는 제어기(102)에 대한 "스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기 동기화 소프트웨어(414) 및 이벤트 로그(416)는 이러한 제어기들이 독립형 모드 또는 피어-투-피어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을 때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100) 내의 제어기(102)와 하나 이상의 다른 제어기들 간의 동기화를 보장하는 프로토콜을 수행하는 데 제어기(102)에 의해 사용된다. 게다가, 또한 본 명세서에 보다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이들 컴포넌트는 또한 제어기(102)와 다른 제어기들 간에 커스텀 구성 정보를 전송하는 수단은 물론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환경으로부터 서버-기반 네트워크 환경으로 제어기(102)를 마이그레이션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C.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어-투-피어 모드에서의 제어기 동기화
상기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100)에서, 다수의 제어기(102a 내지 102n)는 동일한 전자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기 위해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이들 제어기가 독립형 모드에서 동작되고 있을 때, 제어기들을 조정할 필요성이 있다. 다수의 제어기들의 동작을 조정하는 수단이 없는 경우, 제어 혼란이 야기되는데 그 이유는 각각의 제어기가 자율적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100)이 가정에 구현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위층 방에 있는 제1 사용자는 제1 사용자가 켜진 채로 있는 것으로 생각하는 지하실에 있는 텔레비전을 끄기를 원한다. 제어기(102a)를 사용하여, 제1 사용자는 네트워크(106)를 통해 "전원 켜기/끄기" 신호를 지하실 텔레비전으로 전송한다. 그렇지만, 아마도 제어기(102b)를 사용하는 제2 사용자가 이미 꺼버렸기 때문에, 제1 사용자가 지하실 TV의 상태에 관하여 잘못 생각한 경우, 제1 사용자에 의해 전송된 "전원 켜기/끄기" 신호는 그 결과 TV를 켜게 되며, 이는 의도되었던 것과는 정반대의 효과를 갖는 동작이다.
따라서,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100)에서, 제어기(102a 내지 102n) 각각은 가정 또는 사무실 등의 통상의 제어 영역 내의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의 조정되고 효율적인 동작을 보장하기 위해 다른 제어기들과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각각의 제어기는 다른 사용자들에 의해 동작되는 몇개의 제어기를 포함하 는 시스템에서 기능할 수 있다. 특정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어기는 어떤 제어 환경에서 동작하는 다른 제어기들과의 직접 네트워크 연결을 가지며 이러한 다른 제어기들과 동기화한다.
이 동기화를 수행하기 위해, 제어기(102a 내지 102n) 각각은 타임스탬프된 이벤트의 로그(416)(도 4 참조)를 유지한다. 각각의 이벤트는 어떤 시스템 상태의 부가, 수정 또는 삭제의 표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체적인 시스템 상태는 몇개의 서브카테고리로 분할된다. 이들 서브카테고리는 이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1) 사용자 설정: 사용자의 추가 또는 제거, 패스워드의 변경, TV 시청을 위한 선호 채널의 식별, 특정의 제어기 GUI(또는 "스킨")의 선택, 기타 등등(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비롯한 사용자 정의 파라미터에 관한 상태 정보.
(2) 디바이스 모듈: 디바이스 템플릿, 디바이스 드라이버, 또는 디바이스 코드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추가, 삭제 또는 변경(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비롯한 특정의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파라미터에 관한 상태 정보(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디바이스 템플릿"은 디바이스 거동에 관한 파라미터를 말하며, 용어 "디바이스 드라이버"는 상기한 바와 같이 특정의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데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말하고, 디바이스 코드 데이터베이스는 IR 또는 직렬 코드 등의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코드 매핑을 포함함).
(3) 구성: 디바이스 방 할당, 방 정의, 디바이스 구성 및 연결에 대한 추가, 삭제 또는 변경(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비롯한 커스터마이즈된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 구성 파라미터에 관한 상태 정보.
각각의 이벤트가 이벤트 로그(416)에 들어갈 때, 이는 이벤트가 일어난 시간을 가리키는 타임스탬프와 연관된다.
상태 변경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이 동기화를 위해 추적하고 전달하는 이벤트를 말한다. 디바이스에 있어서, 이러한 상태 변경은 상태 변수, 제어 코드 및 디바이스 제어를 안내하는 스크립트에 대한 변경을 수반할 수 있다. 상태 변수는 입력 선택(예를 들어, 수신기는 DVD 플레이어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음), 온/오프 상태(예를 들어, TV는 온 상태일 수 있음), 또는 튜너 선택(예를 들어, TV는 채널 3으로 설정되어 있음)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코드는 가전 기기 디바이스의 원격 동작을 위한 IR 제어 코드 등의 구성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그 코드를 말한다. 이들이 일반적으로 정적이지만, 이러한 코드는 디바이스가 시스템에 처음으로 도입될 때 제어기로 전달될 수 있으며, 또한 제어기가 일련의 특정 제어 코드를 재학습할 필요가 있을 때가 있다. 디바이스 제어를 안내하는 스크립트는 디바이스 기능을 정의하고 상태 변수를 추적하며 또 제어 코드를 적절한 제어 모듈로 전달하는(예를 들어, IR 코드를 특정의 레거시 디바이스 브리지로 전송하는) XML 스크립트 등의 스크립트를 말한다.
상태 변경은 또한 스크립트 정의 경험에 대한 변경을 수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경험(DVD를 시청하는 것 또는 CD를 청취하는 것 등) 내에서의 제어는 셋업 프로세스 동안에 행해지는 질문 및 대답 프로토콜 동안에 사용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기본적인 템플릿으로부터 발생되는 스크립트, 또는 매크로 에 의해 정의된다. 예를 들어, DVD를 시청하는 것과 관련하여, 매크로 "ON"은 "TV 켜기", "DVD 플레이어 켜기", "리시버 켜기", "리시버를 DVD 입력으로 설정", 및 "TV를 비디오2 입력으로 설정"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들 명령 각각은 매크로를 호출한 것에 응답하여 적절한 디바이스 스크립트로 전송된다.
상태 변경은 또한 타이머, 예정된 동작, 트리거, 및 트리거된 동작에 대한 변경을 포함할 수 있다. 타이머, 또는 알람은 특정의 스크립트(예를 들어, 오후 11시에 TV 끄기)의 실행과 연관된 시간을 말한다. 관계된 스크립트 또는 예정된 동작은 알람 시간이 실제 시간과 같을 때 실행된다. 트리거는 상태 변수 변경과 특정의 스크립트의 실행과의 연관을 말한다(예를 들어, TV가 켜질 때마다 소등하기). 관계된 스크립트 또는 트리거된 동작은 모니터링된 상태 변수가 변할 때 실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타이머, 트리거, 및 관계된 스크립트는 사용자 프로그램가능 기능이다. 이러한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출원과 동시에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제어된 환경 내에서 컴포넌트들을 자동적으로 관리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utomatically Managing Components within a Controlled Environment)"인 Krzyzanowski 등의 미국 특허 출원 제 호(대리인 문서 번호 2100.0030004)에 제공되어 있으며, 이는 여기에 인용함으로써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상태 변경은 또한 사용자, 방, 및 방 내의 디바이스의 정의, 사용자의 방 및 디바이스에 대한 접근 권한,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때때로 "스킨"이라고 함)를 정 의하는 비트맵 및 화면 레이아웃의 모음 등의 여러가지 구성 파라미터에 대한 변경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에서 제어기들을 동기화하는 방법의 플로우차트(500)를 나타낸 것이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플로우차트(500)에 의해 제공되는 설명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오히려, 다른 기능적 흐름이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 내에 속함이 본 명세서에 제공된 개시 내용으로부터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플로우차트(500)는 도 1을 참조하여 상기한 예시적인 시스템(100)을 계속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최초 단계(502)에서, 사용자는 제어기(102a)의 전원을 켠다. 전원이 켜진 것에 응답하여, 제어기(102a)는 초기 발견 프로토콜(504)를 수행하고, 제어기(102a)는 이 프로토콜에 의해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100) 내에 활성인 다른 제어기가 있는지를 결정한다. 이 발견 프로토콜을 구현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식이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제공될 것이다.
이용가능한 다른 제어기가 있는 경우, 제어기(102a)는 이용가능한 제어기들 중 하나와 동기화 프로토콜(506)을 수행한다. 동기화 단계(506)는 제어기(102a)가 상태 정보를 수신하거나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100) 내의 다른 제어기와 그 상태 정보를 교환하는 것에 의해, 그의 이벤트 로그를 포함한 그의 내부에 저장된 상태를 갱신하는 프로세스이다. 동기화 단계(506)를 수행하는 프로토콜은 본 명세서에서 다른 곳에 제공되어 있다. 실제적으로 말하면, 2개 이상의 다른 제어기가 이용 가능한 경우, 동기화 단계(506)를 수행하기 위해 그 다른 제어기들 중 어느 것이 선택되는가는 중요하지 않다. 따라서, 다른 제어기는 임의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다른 제어기는 어떤 다른 기준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제어기는 다른 제어기와 통신하기 위한 예상된 응답 시간 등의 네트워크 연결에 관계된 어떤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동기화(506) 후에, 제어기(102a)는 제어기(102a)의 전원을 끄는 때가 단계(524)에서 행해질 때까지 있는 경우 어느 다른 제어기가 시스템 상에서 현재 이용가능한지를 결정하는 발견 단계(508)를 주기적으로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기(102a 내지 120n) 각각은 모든 기지의 피어(즉, 다른 제어기)의 메모리 내에 테이블을 유지하고 있다. 각각의 피어에 대해, 제어기는 그 피어와의 마지막 동기화 시간은 물론 현재의 연결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현재의 연결 정보는 IP 주소 등의 피어에 대한 네트워크 주소, 마지막 발견의 시간, 및 최근의 발견 시도가 이 디바이스가 이용가능한 것으로 결정하였는지 여부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기적인 발견 시도(단계 508) 사이에, 적어도 4개의 다른 이벤트가 일어날 수 있다. 즉, 제어기(102a)는 하나 이상의 상태 변경을 발생할 수 있거나(단계 510), 제어기(102a)는 다른 제어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상태 변경을 수신할 수 있거나(단계 515), 제어기(102a)는 다른 제어기에 대한 동기화 요청을 수신할 수 있거나(단계 516), 또는 제어기(102a)는 전원이 꺼질 수 있다(단계 522).
제어기(102a)는 사용자가 제어기를 사용하여 제어기의 내부 구성을 변경하거나 원격 제어되는 전자 디바이스(104a 내지 104n)의 구성을 변경하는 것의 결과로서 하나 이상의 상태 변경을 발생할 수 있다(단계 510). 제어기는 또한 특정의 이벤트의 발생 또는 어떤 미리 정의된 일자 및 시간에 도달하는 것 등에 응답하여 그의 구성 또는 원격 제어되는 전자 디바이스의 구성을 자동적으로 변경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어느 경우든지, 단계(5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벤트 로그(416)가 갱신되고, 상태 변경 정보는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100) 내의 모든 이용가능한 제어기로 전송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태 변경 정보의 전송은 이벤트 로그(416)로부터의 엔트리의 전송을 포함한다. 이 단계의 결과, 상태 변경이 행해진 이후 곧 다른 이용가능한 제어기의 상태가 제어기(102a)와 동기화된다.
제어기(102a)는 또한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100) 내의 다른 활성 제어기로부터 상태 변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단계 514). 이 상태 변경 정보는 다른 제어기 또는 공통 제어된 전자 디바이스에 적용된 구성 변경에 관계될 수 있다. 어느 경우든지, 단계(5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기(102a)는 이러한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그의 이벤트 로그(416)를 갱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태 변경 정보의 수신은 다른 제어기의 이벤트 로그로부터의 엔트리의 수신을 포함한다.
제어기(102a)는 또한 최근에 전원이 켜진 활성 제어기 등의,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100) 내의 다른 활성 제어기로부터 동기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단계 518). 이 경우에, 단계(5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기(102a)는 다른 제어기와 동기화 프로토콜을 수행하게 되며, 이에 대한 구현은 본 명세서에서 보다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제어기(102a)는 또한 언제라도 전원이 꺼질 수 있다(단계 522). 전원 끄기는 사용자에 의해, 장기간의 비활성에 응답하여 전원을 끄기 위한 코드 등의 내부 제어 로직에 의해, 또는 시스템 전반적인 전원 끄기 또는 리셋 명령을 발행할 수 있는 네트워크-연결 디바이스 등의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어느 경우든지, 이 결과 제어기(102a)는 전원 꺼짐 상태에 들어가며(단계 524), 그에 의해 동기화 프로토콜(500)을 종료한다.
도 6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한 발견 단계(504, 508)를 수행하는 한 방법의 플로우차트(600)를 나타낸 것이다. 이 방법은 단지 예로서 제공된 것이며,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이 방법은 단계(602)에서 개시된다. 단계(604)에서, 제어기(102a)는 네트워크(106)를 통해 하나 이상의 제어기로 질의 메시지를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기(102a)는 네트워크에 걸쳐 질의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한다. 단계(606)에서, 제어기(102a)는 활성이고 네트워크(106)에 통신 연결되어 있는 다른 제어기로부터 응답을 수신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양의 시간 동안 기다린다. 단계(608)에서, 제어기는 있는 경우 단계(606) 동안에 수신된 응답에 기초하여 제어기 이용가능성에 관한 내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갱신한다(단계 608).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기(102a)는 모든 기지의 피어의 내부에 저장된 테이블 내의 이용가능성 데이터를 갱신하는 것에 의해 이 단계를 수행한다. 단계(610)에서, 발견 프로토콜이 종료된다.
도 7은 도 5의 단계(504, 520)를 참조하여 상기 언급한 동기화 프로토콜을 수행하는 한 방법의 플로우차트(700)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것 등의 동기화 프로토콜은 상태 변경 정보를 수신하는 데 이용가능하지 않은 제어기를 처리하는 데 필요한데, 왜냐하면 이러한 상태 변경 정보가 전송되고 있을 때 이들이 전원이 꺼져 있거나 다른 방식으로 네트워크(106)로부터 분리되어 있기 때문이다.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 제공된 개시 내용에 기초하여 잘 알게 될 것인 바와 같이, 프로토콜(700)에 따라 동기화하는 기능은 각각의 제어기가 동기화된 클럭을 갖는 것에 부분적으로 의존한다. 제어기들 간에 클럭 스큐가 있는 경우, 이것은 연결 시에 보상될 수 있다.
플로우차트(700)의 방법은 제1 제어기(102a) 및 제2 제어기(102b)를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며, 여기서는 제어기(102a)가 동기화를 요청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제어기(102a)는 전원이 켜진 후 곧 동기화를 요청한다.
동기화는 단계(702)에서 개시된다. 단계(704)에서, 제1 제어기(102a)는 제어기(102b)와의 마지막 동기화 이래로 발생했던 하나 이상의 이벤트 또는 상태 변경에 관한 정보를 제2 제어기(102b)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 단계는 제어기(102b)와의 마지막 동기화 이래로 제어기(102a)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모든 이벤트의 로그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반한다. 단계(706)에서, 제1 제어기(102a)는 제어기(102a)와의 마지막 동기화 이래로 발생했던 하나 이상의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제2 제어기(102b)로부터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 단계는 제어기(102a)와의 마지막 동기화 이래로 발생했던 제어기(102b)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모든 이벤트의 로그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반한다. 대부분의 경우에, 제어기들 간의 상기 대화는 단방향인 것으로 예상되는데, 그 이유는 전원이 꺼져 있는 제어기는 보고할 어떤 상태 변경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기들 간에 교환되는 이벤트 로그는 로그로부터의 중복하는 동작의 생략을 통해 각각의 제어기에 의해 최적화된다. 예를 들어, 어떤 TV가 켜져 있음을 나타내는 제1 엔트리 및 동일한 TV가 꺼져 있음을 나타내는 제2 엔트리를 로그가 포함하고 있는 경우, 전자의 엔트리는 불필요하고 따라서 로그로부터 삭제된다.
단계(708)에서, 제어기(102a)는 제어기(102b)로부터 어떤 이벤트라도 수신되었는지를 결정한다. 어떤 이벤트도 수신되지 않은 경우, 동기화 프로토콜은 단계(722)에서 종료한다. 그렇지만, 하나 이상의 이벤트가 수신된 경우, 단계(7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기(102a)는 수신된 이벤트를 검사한다. 이어서, 제어기(102a)는 수신된 이벤트가 임의의 이전에 로그된 이벤트와 상충하는지를 결정한다. 제어기(102a)만이 전원이 꺼져 있고 제어기(102b)가 시스템 상태의 관점에서 완전히 사용가능한 상황에서, 어떤 상충도 발생하지 않으며 모든 수신된 엔트리가 접수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렇지만, 양쪽 제어기 모두가 새로운 상태 변경을 발생하였고 다른 방식으로 동기화할 수 없는 경우 상충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102b)가 전원이 꺼져 있는 동안 제어기(102a)는 특정의 디바이스에 대한 특정의 사용자 접근을 허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제어기(102a)는 전원이 꺼질 수 있고, 제어기(102b)는 전원이 켜지며 동일한 디바이스에 액세스하고 그를 제어하기 위해 동일한 또는 다른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비동기화된 제어기(102a, 102b) 간의 상충을 야기하게 된다. 이러한 것 등의 상충이 발생하는 경우, 보다 최근의 타임스탬프와 연관된 이벤트가 우월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어기(102a)가 어떤 TV의 상태가 9:42:30에 "온"으로 설정되었음을 반영하는 새로운 로그 엔트리를 포함하고 제어기(102b)가 동일 TV의 상태가 9:59:10에 "오프"로 설정되었음을 반영하는 새로운 로그 엔트리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제어기(102a)는 제어기(102b)로부터 상태 변경을 접수하지만, 제어기(102b)는 제어기(102a)로부터의 변경을 거부하며, 그 결과 상호 일관된 상태가 얻어진다.
이 기능은 단계(712)에 나타내어져 있으며, 여기서 제어기(102a)는 수신된 이벤트가 이전에 로그된 이벤트와 상충하는지를 결정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제어기(102a)는 단계(7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신된 이벤트를 접수하고 상태 변경 정보를 그의 이벤트 로그(416)에 넣는다. 상충이 식별되는 경우, 단계(7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기(102a)는 이전에 로그된 이벤트가 수신된 이벤트보다 늦은 타임스탬프와 연관되어 있는지를 결정한다. 그러한 경우, 단계(7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기(102a)는 수신된 이벤트를 접수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단계(7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기(102b)는 수신된 이벤트를 접수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7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태 변경 정보를 접수하는 단계는 또한 상태 변수 변경의 적용은 물론 여러가지 사용자 설정, 디바이스 모듈, 또는 제어기/디바이스/시스템 구성의 추가, 삭제 또는 수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기(102a)의 사용자는 임의의 이러한 추가, 삭제 또는 수정을, 이들이 적용되기 이전에 확인하도록 촉구될 수 있다.
수신된 이벤트가 단계(716)에서 접수되거나 단계(718)에서 거부된 후에, 제어기(102a)는 단계(7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석할 수신된 이벤트가 더 있는지를 결정한다. 있는 경우, 단계(710)에서 프로토콜은 그 다음의 수신된 이벤트의 분석을 계속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단계(7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기화 프로토콜이 종료된다.
상기한 프로토콜에 관하여, 유의할 점은 제어기(102a)가 기록된 이전의 동기화 시간을 갖지 않는 또는 제어기(102b)로부터 수신된 이벤트의 각각과 연관된 타임스탬프보다 앞선 것인 이전의 동기화 시간을 갖는 새로 도입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이 상황은 수신된 이벤트 로그를 완전히 무시하고 그 대신에 전체적인 구성 상태를 제어기(102b)로부터 제어기(102a)로 전달하는 것에 의해 처리된다.
상기한 동기화 프로토콜을 통해,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100) 내의 각각의 제어기(102a 내지 102n)는 디바이스 상태 정보를 갱신하고 공통 제어 영역 내의 여러가지 전자 디바이스(104a 내지 104n)의 현재 상태를 그의 각자의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동기화 방법은 또한 제어기가 디바이스 제어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갱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새로운 제어기를 추가하거나 이전의 제어기를 새로운 제어기로 교체하기를 원하는 경우, 새로운 제어기는 제어 환경 내의 전자 디바이스들을 제어하도록 용이하게 구성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제어기의 데이터베이스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동작을 구현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새로운 제어기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기화 프로토콜은 또한 실행가능 코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 라이브러리 등의 디바이스 제어 라이브러리를 한 제어기로부터 다른 제어기로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자바-기반 시스템에서 특히 유용할 수 있다.
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터-투-피어 모드에서 클라이언트-서버 모드로의 마이그레이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기(102)는 독립형 모드에서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으로 마이그레이션될 수 있으며, 이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에서 이 제어기 및 다른 이러한 제어기는 필수적인 동작 펌웨어 및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고 있는 제어 서버(108)에 대한 클라이언트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한다.
제어 서버(108)가 네트워크(106)에 추가되는 경우, 제어기(102)의 데이터베이스는 제어 서버(108)와 동기화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어기(102)(이제 클라이언트임) 상의 갱신된 데이터가 제어 서버(108)의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에 추가될 수 있게 된다. 클라이언트-서버 동작 모드에서, 각각의 제어기(102a 내지 102n)는 제어 서버(108)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제어기(102a 내지 102n)는 실행을 위해 제어 서버(108)로 사용자의 제어 요청을 전달하고 제어 서버(108)로부터 GUI 정보를 얻는다.
이전 섹션에서 기술한 발견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제어기(102)는 네트워크(106) 상의 제어 서버(108)의 존재를 발견할 수 있다. 이것은 인프라가 피어-투-피어 환경에서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으로 마이그레이션했다는 표시이다. 이 모드에서, 제어기(102)는 대체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단말기로서 기능하며, 모든 사용자 및 디바이스 구성 정보, 디바이스 제어 모듈 및 상태 변수가 제어 서버(108) 상에 저장되어 있다.
제어기(102)가 처음으로 제어 서버(108)를 검출할 때, 제어기(102)는 그의 구성 데이터의 전부 또는 그 일부를 제어 서버(108)로 전송해야 할지 여부를 결정해야만 한다. 이것은 이전의 섹션에서 기술한 동기화 프로토콜과 유사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제어기(102) 및 제어 서버(108)가 이전에 동기화된 경우, 제어기(102)는 그 동기화 때 이래로 로그되었던 이벤트만을 전송한다. 제어기(102) 및 제어 서버(108)가 동기화된 적이 없는 경우, 제어기(102)는 그의 전체적인 구성을 제어 서버(108)로 전송한다. 이 프로세스는 단방향이다. 즉, 제어 서버(108)는 어떤 갱신도 제어기(102)로 전송하지 않는다. 동기화가 완료된 후에, 제어기(102)는 그의 구성을 무효로 하고 클라이언트-서버 모드로 전환하며, 이 경우 제어기(102)는 어떤 정보를 얻기 위해 또는 어떤 명령을 전송하기 위해 제어 서버(108)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독립형 모드에서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으로의 마이그레이션은 네트워크(106) 상에서 제어 서버(108)의 존재가 검출될 때 자동적으로 개시된다. 그렇지만, 대체 실시예에서, 마이그레이션의 개시는 자동적인 것과는 반대 로 사용자-촉구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제어 서버가 네트워크 상에서 검출될 때에도 사용자가 피어-투-피어 동작을 유지하기를 더 원하는 상황에 대응한다. 그 결과, 피어-투-피어 환경은 제어 서버가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경우에도 존재할 수 있다. 마이그레이션 프로세스의 사용자-촉구된 제어는 네트워크(106)에 통신 연결된 제어기 또는 다른 디바이스에 하나 이상의 명령을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사용자가 서버-기반 시스템으로 전환하기로 결정할 때까지 시스템에 대해 제어 서버를 단지 무시하도록 촉구한다.
대체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피어-투-피어 동작을 유지하기 위해 피어-투-피어 환경으로부터 서버-기반 환경으로의 자동적으로 개시된 마이그레이션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기능을 제공받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제어기(102)도 역시 상기한 환경 등의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으로부터 피어-투-피어 또는 독립형 모드로 마이그레이션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어 서버(108)는 제어 서버(108)가 네트워크(106)로부터 제거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제어기들에 이용가능하지 않게 되기 이전에 동기화를 위해 제어기 중 적어도 하나로 상태 변경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태 변경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어기는 이어서 상태 변경 데이터를 모든 다른 제어기로 전송하기 위해,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기술한 프로토콜 등의 피어-투-피어 동기화 프로토콜에 관여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각각의 제어기가 다운로드된 데이터를 수신 및 사용하기 위해 적절한 메모리를 비롯한 충분한 용량을 갖는 것으로 가정된다.
E. 결론
본 발명의 여러가지 실시예에 대해 이상에 기술되어 있지만, 이들이 단지 예로서 제공된 것이고 제한이 아님을 잘 알 것이다. 당업자라면 형태 및 상세에 있어서 여러가지 변경이 첨부된 청구항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그 안에서 행해질 수 있음을 잘 알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폭 및 범위는 상기한 예시적인 실시예 중 어느 것에 의해서도 제한되어서는 안되며 이하의 청구항 및 그의 균등물에 따라서만 정의되어야 한다.

Claims (96)

  1. 제1 제어기를 제2 제어기와 동기화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제어기 각각은 동일한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제어기를 발견하는 단계,
    상기 동일한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함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제어기를 동기화시키기 위한 제1 제어기 동기화 데이터를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제어기 동기화 데이터에 관한 메시지를 상기 제2 제어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기를 발견하는 상기 단계는,
    질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질의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양의 시간 동안 기다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 동기화 데이터를 발생하는 상기 단계는, 명령의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제어기 동기화 데이터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명령의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제어기 동기화 데이터를 발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 중 하나의 구성, 상태 또는 동작을 변경하는 명령의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제어기 동기화 데이터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명령의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제어기 동기화 데이터를 발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제어기의 제어 구성을 변경하는 명령의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제어기 동기화 데이터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 동기화 데이터를 발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 상태 또는 동작의 검출된 변경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제어기 동기화 데이터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기로부터 제2 제어기 동기화 데이터에 관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로그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기로부터 제2 제어기 동기화 데이터에 관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제어기의 제어 구성을 상기 제2 제어기의 제어 구성과 일치(match)하도록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는 장치로서,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 로직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로직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에 통신 연결되어 있는 동일한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장치를 발견하고, 동일한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함에 있어서 상기 장치를 상기 제2 장치와 동기화시키기 위한 동기화 데이터를 발생하며, 상기 동기화 데이터에 관한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장치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는 IEEE 802.3 이더넷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에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는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는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른 무선 통신에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는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는 IEEE 802.11 프로토콜에 따른 무선 통신에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는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질의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질의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양의 시간 동안 기다리는 것에 의해 상기 제2 장치를 발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은 명령의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동기화 데이터를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 중 하나의 구성, 상태 또는 동작을 변경하는 명령의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동기화 데이터를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장치의 제어 구성을 변경하는 명령의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동기화 데이터를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장치.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 상태 또는 동작의 검출된 변경에 응답하여 상기 동기화 데이터를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장치.
  1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로직은 또한 상기 제2 장치로부터 제2 장치 동기화 데이터에 관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로그를 갱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장치.
  2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장치로부터 제2 장치 동기화 데이터에 관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장치의 제어 구성을 상기 제2 장치의 제어 구성과 일치하게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장치.
  21. 전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그리고 서로에 통신 연결되어 있는 제1 및 제2 제어기 - 상기 제1 및 제2 제어기 각각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전자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음 -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기는 또한 상기 제2 제어기를 발견하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함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제어기를 동기화시키기 위한 제1 제어기 동기화 데이터를 발생하며, 상기 제1 제어기 동기화 데이터에 관한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제어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을 포함하는 시스템.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제어기 각각은 각자의 IEEE 802.11 링크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에 통신 연결되어 있는 시스템.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제어기 각각은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itant) 또는 웹 패드(web pad) 중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컴퓨터, 컴퓨터 주변장치, 텔레비전,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DVD(digital versatile disc) 플레이어, 개인 비디오 레코더(personal video recorder),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스테레오 리시버(stereo receiver), 전자 온도 조절기(electronic thermostat), UPnP 디지털 미디어 렌더러(digital media renderer) 또는 서버, 램프, 또는 비디오 카메라 중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질의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고 상기 질의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양의 시간 동안 기다리는 것에 의해 상기 제2 제어기를 발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시스템.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는 명령의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제어기 동기화 데이터를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시스템.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구성, 상태 또는 동작을 변경하는 명령의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제어기 동기화 데이터를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시스템.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제1 제어기의 제어 구성을 변경하는 명령의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제어기 동기화 데이터를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시스템.
  30.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구성, 상태 또는 동작의 검출된 변경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제어기 동기화 데이터를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시스템.
  31.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제어기로부터 제2 제어기 동기화 데이터에 관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로그를 갱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시스템.
  3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제어기로부터 제2 제어기 동기화 데이터에 관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제어기의 제어 구성을 상기 제2 제어기의 제어 구성과 일치하게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시스템.
  33. 제1 제어기를 제2 제어기와 동기화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제어기 각각은 동일한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제어기를 발견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제어기를 동기화시켜 상기 동일한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해, 이전의 동기화 이래로 일어난 하나 이상의 제1 제어기 이벤트에 관한 제1 데이터를 상기 제2 제어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전의 동기화 이래로 일어난 하나 이상의 제2 제어기 이벤트에 관한 제2 데이터를 상기 제2 제어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기를 발견하는 상기 단계는,
    질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질의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양의 시간 동안 기다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제어기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는 명령의 실행에 관계되어 있는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제어기 이벤트 중 상기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 중 하나의 구성, 상태 또는 동작을 변경하는 명령의 실행에 관계되어 있는 방법.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제어기 이벤트 중 상기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제어기의 제어 구성을 변경하는 명령의 실행에 관계되어 있는 방법.
  38.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제어기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 중 하나의 구성, 상태 또는 동작의 검출된 변경에 관계되어 있는 방법.
  39.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벤트 로그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벤트 로그를 갱신하는 상기 단계는,
    제1 제어기 이벤트에 관한 데이터를 제2 제어기 이벤트에 관한 데이터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제어기 이벤트에 관한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제2 제어기 이벤트에 관한 상기 데이터와 상충하는 경우, 상기 제1 제어기 이벤트와 연관된 타임스탬프가 상기 제2 제어기 이벤트와 연관된 타임스탬프보다 이른 경우에만 상기 이벤트 로그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1.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어기의 제어 구성을 상기 제2 제어기의 제어 구성과 일치하도록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의 제어 구성을 변경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제어기의 상기 제어 구성의 상기 변경을 확인하도록 사용자에 촉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3.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는 장치로서,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 로직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로직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에 통신 연결되어 있는 동일한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장치를 발견하고, 상기 장치 및 상기 제2 장치를 동기화시켜 동일한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하여, 이전의 동기화 이래로 일어난 하나 이상의 제1 제어기 이벤트에 관한 제1 데이터를 상기 제2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이전의 동기화 이래로 일어난 하나 이상의 제2 제어기 이벤트에 관한 제2 데이터를 상기 제2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장치.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는 IEEE 802.3 이더넷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에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는 장치.
  46.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는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른 무선 통신에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는 장치.
  47.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는 IEEE 802.11 프로토콜에 따른 무선 통신에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는 장치.
  48.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질의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질의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양의 시간 동안 기다리는 것에 의해 상기 제2 장치를 발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장치.
  49.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제어기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는 명령의 실행에 관계되어 있는 장치.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제어기 이벤트 중 상기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 중 하나의 구성, 상태 또는 동작을 변경하는 명령의 실행에 관계되어 있는 장치.
  51.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제어기 이벤트 중 상기 적어도 하나는 상기 장치의 제어 구성을 변경하는 명령의 실행에 관계되어 있는 장치.
  52.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제어기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 중 하나의 구성, 상태 또는 동작의 검출된 변경에 관계되어 있는 장치.
  53.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로직은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이벤트 로그를 갱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장치.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은 제1 제어기 이벤트에 관한 데이터를 제2 제어기 이벤트에 관한 데이터와 비교하고, 상기 제1 제어기 이벤트에 관한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제2 제어기 이벤트에 관한 상기 데이터와 상충하는 경우, 상기 제1 제어기 이벤트와 연관된 타임스탬프가 상기 제2 제어기 이벤트와 연관된 타임스탬프보다 이른 경우에만 상기 이벤트 로그를 갱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장치.
  5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은 또한 상기 제2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장치의 제어 구성을 상기 제2 장치의 제어 구성과 일치하게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장치.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장치의 상기 제어 구성의 상기 변경을 확인하도록 사용자에 촉구하게 구성되어 있는 장치.
  57. 전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그리고 서로에 통신 연결되어 있는 제1 및 제2 제어기 - 상기 제1 및 제2 제어기 각각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전자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음 -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기는 또한 상기 제2 제어기를 발견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제어기를 동기화시켜 상기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하여, 이전의 동기화 이래로 일어난 하나 이상의 제1 제어기 이벤트에 관한 제1 데이터를 상기 제2 제어기로 전송하며, 상기 이전의 동기화 이래로 일어난 하나 이상의 제2 제어기 이벤트에 관한 제2 데이터를 상기 제2 제어기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시스템.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을 포함하는 시스템.
  59.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제어기 각각은 각자의 IEEE 802.11 링크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에 통신 연결되어 있는 시스템.
  60.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제어기 각각은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itant) 또는 웹 패드(web pad) 중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
  61.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컴퓨터, 컴퓨터 주변장치, 텔레비전,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DVD(digital versatile disc) 플레이어, 개인 비디오 레코더(personal video recorder),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스테레오 리시버(stereo receiver), 전자 온도 조절기(electronic thermostat), UPnP 디지털 미디어 렌더러(digital media renderer) 또는 서버, 램프, 또는 비디오 카메라 중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
  62.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질의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질의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양의 시간 동안 기다리는 것에 의해 상기 제2 제어기를 발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시스템.
  63.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제어기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는 명령의 실행에 관계되어 있는 시스템.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제어기 이벤트 중 상기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구성, 상태 또는 동작을 변경하는 명령의 실행에 관계되어 있는 시스템.
  65.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제어기 이벤트 중 상기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제어기의 제어 구성을 변경하는 명령의 실행에 관계되어 있는 시스템.
  66.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제어기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구성, 상태 또는 동작의 검출된 변경에 관계되어 있는 시스템.
  67.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는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벤트 로그를 갱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시스템.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는 제1 제어기 이벤트에 관한 데이터를 제2 제어기 이벤트에 관한 데이터와 비교하고, 상기 제1 제어기 이벤트에 관한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제2 제어기 이벤트에 관한 상기 데이터와 상충하는 경우, 상기 제1 제어기 이벤트와 연관된 타임스탬프가 상기 제2 제어기 이벤트와 연관된 타임스탬프보다 이른 경우에만 상기 이벤트 로그를 갱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시스템.
  69.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는 또한 상기 제2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어기의 제어 구성을 상기 제2 제어기의 제어 구성과 일치하게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시스템.
  70.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제1 제어기의 상기 제어 구성의 상기 변경을 확인하도록 사용자에 촉구하게 구성되어 있는 시스템.
  71.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독립형 모드(stand-alone mode)에서 클라이언트-서버 모드(client-server mode)로 마이그레이션(migrate)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어기는 독립형 모드에서 상기 제어기에 의해 유지되는 제어 구성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고,
    상기 방법은,
    서버를 발견하는 단계,
    상기 제어기에 의해 유지되는 제어 구성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뒤이어서 상기 서버에 의해 유지되는 제어 구성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와의 이전의 동기화 이래로 일어난 하나 이상의 이벤트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3.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에 의해 유지되는 제어 구성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4.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를 발견하는 단계는,
    질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질의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양의 시간 동안 기다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5.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는 장치로서,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 로직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로직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에 통신 연결된 서버를 발견하고, 상기 장치에 의해 유지되는 제어 구성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뒤이어서 상기 장치에 의해 유지되는 상기 제어 구성에 따르는 대신에 상기 서버에 의해 유지되는 제어 구성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장치.
  76.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장치.
  77.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는 IEEE 802.3 이더넷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에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는 장치.
  78.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는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른 무선 통신에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는 장치.
  79.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는 IEEE 802.11 프로토콜에 따른 무선 통신에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는 장치.
  80.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서버와의 이전의 동기화 이래로 일어난 하나 이상의 이벤트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장치.
  81.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은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장치에 의해 유지되는 제어 구성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장치.
  82.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질의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질의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양의 시간 동안 기다리는 것에 의해 상기 서버를 발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장치.
  83. 전자 디바이스,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통신 연결되어 있는 제어기 - 상기 제어기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전자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음 -, 및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전자 디바이스 및 상기 제어기에 통신 연결되어 있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또한 상기 서버를 발견하고, 상기 제어기에 의해 유지되는 제어 구성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뒤이어서 상기 제어기에 의해 유지되는 상기 제어 구성에 따르는 대신에 상기 서버에 의해 유지되는 제어 구성에 따라 상기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시스템.
  84.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을 포함하는 시스템.
  85.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IEEE 802.11 링크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에 통신 연결되어 있는 시스템.
  86.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itant) 또는 웹 패드(web pad) 중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
  87.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컴퓨터, 컴퓨터 주변장치, 텔레비전,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DVD(digital versatile disc) 플레이어, 개인 비디오 레코더(personal video recorder),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스테레오 리시버(stereo receiver), 전자 온도 조절기(electronic thermostat), UPnP 디지털 미디어 렌더러(digital media renderer) 또는 서버, 램프, 또는 비디오 카메라 중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
  88.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서버와의 이전의 동기화 이래로 일어난 하나 이상의 이벤트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시스템.
  89.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에 의해 유지되는 제어 구성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시스템.
  90.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질의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질의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양의 시간 동안 기다리는 것에 의해 상기 서버를 발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시스템.
  91.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클라이언트-서버 모드(client-server mode)에서 독립형 모드(stand-alone mode)로 마이그레이션(migrate)는 방법 - 상기 제어기는 서버에 의해 유지되는 제어 구성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함 - 으로서,
    상기 서버에 의해 유지되는 제어 구성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뒤이어서 상기 제어기에 의해 유지되는 제어 구성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2. 제9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데이터의 복사본을 제2 제어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3.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는 장치로서,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 로직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로직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에 통신 연결된 서버에 의해 유지되는 제어 구성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뒤이어서 상기 서버에 의해 유지되는 상기 제어 구성에 따르는 대신에 상기 장치에 의해 유지되는 제어 구성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장치.
  94. 제9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은 또한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데이터의 복사본을 상기 네트워크에 통신 연결된 제2 장치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장치.
  95. 전자 디바이스,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통신 연결되어 있는 제어기 - 상기 제어기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전자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음 -, 및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전자 디바이스 및 상기 제어기에 통신 연결된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또한 상기 서버에 의해 유지되는 제어 구성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뒤이어서 상기 서버에 의해 유지되는 상기 제어 구성에 따르는 대신에 상기 제어기에 의해 유지되는 제어 구성에 따라 상기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시스템.
  96. 제9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또한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데이터의 복사본을 상기 네트워크에 통신 연결된 제2 제어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시스템.
KR1020067015299A 2003-12-31 2004-09-02 서버-기반 또는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환경에 대한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방법 및 장치 KR1008841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3321903P 2003-12-31 2003-12-31
US60/533,219 2003-12-31
US10/782,764 US7154862B2 (en) 2003-12-31 2004-02-23 Device control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er-based or peer-to-peer network environments
US10/782,764 2004-02-2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8734A Division KR20090005216A (ko) 2003-12-31 2004-09-02 서버-기반 또는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환경에 대한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0635A KR20060130635A (ko) 2006-12-19
KR100884142B1 true KR100884142B1 (ko) 2009-02-17

Family

ID=3470435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8734A KR20090005216A (ko) 2003-12-31 2004-09-02 서버-기반 또는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환경에 대한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방법 및 장치
KR1020067015299A KR100884142B1 (ko) 2003-12-31 2004-09-02 서버-기반 또는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환경에 대한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8734A KR20090005216A (ko) 2003-12-31 2004-09-02 서버-기반 또는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환경에 대한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7154862B2 (ko)
EP (2) EP1700424B1 (ko)
JP (3) JP2007518165A (ko)
KR (2) KR20090005216A (ko)
CA (2) CA2549961C (ko)
WO (1) WO200506744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27305B1 (en) 2003-07-21 2006-10-24 Eyeco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nified control of multiple devices
JP4347082B2 (ja) * 2004-02-23 2009-10-21 日本電気株式会社 イベントトレースデータの時刻補正装置,時刻補正方法及び時刻補正プログラム
US7885622B2 (en) 2004-10-27 2011-02-08 Chestnut Hill Sound Inc. Entertainment system with bandless tuning
US20190278560A1 (en) 2004-10-27 2019-09-12 Chestnut Hill Sound, Inc. Media appliance with auxiliary source module docking and fail-safe alarm modes
US8090309B2 (en) 2004-10-27 2012-01-03 Chestnut Hill Sound, Inc. Entertainment system with unified content selection
US20060123016A1 (en) * 2004-12-02 2006-06-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adata driven method and apparatus to configure heterogenous distributed systems
FR2879056B1 (fr) * 2004-12-07 2007-04-20 Thales Sa Procede de duplication d'une base de donnees dans un reseau de machines et systeme de machines a base de donnees dupliquee
US8689572B2 (en) * 2004-12-22 2014-04-08 Emerson Electric Co. Climate control system including responsive controllers
US8438633B1 (en) 2005-04-21 2013-05-07 Seven Networks, Inc. Flexible real-time inbox access
US7970017B2 (en) * 2005-07-13 2011-06-2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Peer-to-peer synchronization of data between devices
US7778262B2 (en) * 2005-09-07 2010-08-17 Vantage Controls, Inc. Radio frequency multiple protocol bridge
US20070094071A1 (en) * 2005-10-21 2007-04-26 Microsoft Corporation Pushing content to browsers
KR100750160B1 (ko) * 2006-01-25 2007-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UPnP 상에서 디바이스의 기능을 예약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782858B1 (ko) * 2006-04-11 2007-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컨텐츠를 동기화하는 방법 및장치
US20080002758A1 (en) * 2006-06-28 2008-01-03 Infineon Technologies Ag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 for changing utilization data
KR20080006399A (ko) * 2006-07-12 2008-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의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호스트 단말기, 그의디바이스 상세정보 제공방법 및 호스트 단말기로부터상세정보를 제공받는 디바이스
KR100772412B1 (ko) * 2006-07-18 2007-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컨트롤 네트워크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080079575A1 (en) * 2006-09-29 2008-04-03 Sensormatic Electronics Corporation Distribute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and method therefore
US7760767B2 (en) * 2007-01-05 2010-07-20 Apple Inc. Wide area peer-to-peer synching in a decentralized environment
US7738503B2 (en) * 2007-02-02 2010-06-15 Palm, Inc. Multi-way, peer-to-peer synchronization
WO2008099307A1 (en) * 2007-02-12 2008-08-21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Device for a networked control system
US8352450B1 (en) * 2007-04-19 2013-01-08 Owl Computing Technologies, Inc. Database update through a one-way data link
US8077614B2 (en) 2007-12-05 2011-12-1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nchroniz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ccess points
US8595336B1 (en) 2008-02-01 2013-11-26 Wimm Labs, Inc. Portable universal personal storage, entertainment, and communication device
US8019838B2 (en) * 2008-05-21 2011-09-13 Motorola Solutions, Inc. Autonomous operation of networking devices
US8010487B2 (en) 2008-06-27 2011-08-30 Microsoft Corporation Synchronization and collaboration within peer-to-peer and client/server environments
US8713697B2 (en) 2008-07-09 2014-04-29 Lennox Manufacturing,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event information for an HVAC system
US8326954B2 (en) * 2008-07-23 2012-12-04 Caterpillar Inc.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configurations in a controller network
US9335761B2 (en) * 2008-09-30 2016-05-10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Procedure classification for industrial automation
US8527096B2 (en) 2008-10-24 2013-09-03 Lennox Industries Inc. Programmable controller and a user interface for same
US8798796B2 (en) 2008-10-27 2014-08-05 Lennox Industries Inc. General control techniques in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437878B2 (en) 2008-10-27 2013-05-07 Lennox Industries Inc. Alarm and diagnostics system and method for a distributed architecture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600559B2 (en) 2008-10-27 2013-12-03 Lennox Industries Inc. Method of controlling equipment in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9325517B2 (en) 2008-10-27 2016-04-26 Lennox Industries Inc. Device abstraction system and method for a distributed-architecture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9678486B2 (en) 2008-10-27 2017-06-13 Lennox Industries Inc. Device abstraction system and method for a distributed-architecture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8994539B2 (en) 2008-10-27 2015-03-31 Lennox Industries, Inc. Alarm and diagnostics system and method for a distributed-architecture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762666B2 (en) * 2008-10-27 2014-06-24 Lennox Industries, Inc. Backup and restoration of operation control data in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661165B2 (en) 2008-10-27 2014-02-25 Lennox Industries, Inc. Device abstraction system and method for a distributed architecture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8600558B2 (en) 2008-10-27 2013-12-03 Lennox Industries Inc. System recovery in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463443B2 (en) 2008-10-27 2013-06-11 Lennox Industries, Inc. Memory recovery scheme and data structure in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855825B2 (en) 2008-10-27 2014-10-07 Lennox Industries Inc. Device abstraction system and method for a distributed-architecture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8437877B2 (en) 2008-10-27 2013-05-07 Lennox Industries Inc. System recovery in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452456B2 (en) 2008-10-27 2013-05-28 Lennox Industries Inc. System and method of use for a user interface dashboard of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788100B2 (en) 2008-10-27 2014-07-22 Lennox Industr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zoning a distributed-architecture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452906B2 (en) 2008-10-27 2013-05-28 Lennox Industries, Inc. Communication protocol system and method for a distributed-architecture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892797B2 (en) 2008-10-27 2014-11-18 Lennox Industries Inc. Communication protocol system and method for a distributed-architecture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725298B2 (en) 2008-10-27 2014-05-13 Lennox Industries, Inc. Alarm and diagnostics system and method for a distributed architecture heating, ventilation and conditioning network
US8548630B2 (en) 2008-10-27 2013-10-01 Lennox Industries, Inc. Alarm and diagnostics system and method for a distributed-architecture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615326B2 (en) 2008-10-27 2013-12-24 Lennox Industries Inc. System and method of use for a user interface dashboard of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977794B2 (en) 2008-10-27 2015-03-10 Lennox Industries, Inc. Communication protocol system and method for a distributed-architecture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433446B2 (en) 2008-10-27 2013-04-30 Lennox Industries, Inc. Alarm and diagnostics system and method for a distributed-architecture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564400B2 (en) 2008-10-27 2013-10-22 Lennox Industries, Inc. Communication protocol system and method for a distributed-architecture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694164B2 (en) 2008-10-27 2014-04-08 Lennox Industries, Inc. Interactive user guidance interface for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9432208B2 (en) 2008-10-27 2016-08-30 Lennox Industries Inc. Device abstraction system and method for a distributed architecture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8774210B2 (en) 2008-10-27 2014-07-08 Lennox Industries, Inc. Communication protocol system and method for a distributed-architecture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543243B2 (en) 2008-10-27 2013-09-24 Lennox Industries, Inc. System and method of use for a user interface dashboard of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655490B2 (en) 2008-10-27 2014-02-18 Lennox Industries, Inc. System and method of use for a user interface dashboard of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802981B2 (en) 2008-10-27 2014-08-12 Lennox Industries Inc. Flush wall mount thermostat and in-set mounting plate for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8560125B2 (en) 2008-10-27 2013-10-15 Lennox Industries Communication protocol system and method for a distributed-architecture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655491B2 (en) 2008-10-27 2014-02-18 Lennox Industries Inc. Alarm and diagnostics system and method for a distributed architecture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874815B2 (en) 2008-10-27 2014-10-28 Lennox Industries, Inc. Communication protocol system and method for a distributed architecture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463442B2 (en) 2008-10-27 2013-06-11 Lennox Industries, Inc. Alarm and diagnostics system and method for a distributed architecture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9651925B2 (en) 2008-10-27 2017-05-16 Lennox Industr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zoning a distributed-architecture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744629B2 (en) 2008-10-27 2014-06-03 Lennox Industries Inc. System and method of use for a user interface dashboard of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9632490B2 (en) 2008-10-27 2017-04-25 Lennox Industr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zoning a distributed architecture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9268345B2 (en) 2008-10-27 2016-02-23 Lennox Industries Inc. System and method of use for a user interface dashboard of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295981B2 (en) 2008-10-27 2012-10-23 Lennox Industries Inc. Device commissioning in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442693B2 (en) 2008-10-27 2013-05-14 Lennox Industries, Inc. System and method of use for a user interface dashboard of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051209B2 (en) * 2008-11-26 2011-11-01 Microsoft Corporation Minimizing conflicts when synchronizing interrelated data between two systems
JP5210146B2 (ja) * 2008-12-25 2013-06-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制御システムおよび情報制御方法
US20100211546A1 (en) * 2009-02-13 2010-08-19 Lennox Manufacturing Inc. System and method to backup data about devices in a network
US20110010433A1 (en) * 2009-07-10 2011-01-13 Microsoft Corporation Targeted presentation and delivery of themes
JP5326106B2 (ja) * 2009-09-29 2013-10-30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ラジオコントロール送信機、ラジオコントロール送信機における操縦信号の送信方法
KR101702417B1 (ko) * 2009-11-09 2017-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UPnP를 이용한 호 송수신 시스템에서 통화의 독점권을 부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080532B1 (ko) * 2010-01-29 2011-11-04 주식회사 팬택 통신단말 및 그의 데이터 전송 방법
JP5761934B2 (ja) * 2010-06-30 2015-08-1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775850B2 (en) 2011-06-28 2014-07-08 Amazon Technologies, Inc. Transferring state information between electronic devices
CN102427480B (zh) * 2011-12-31 2015-01-14 北京新媒传信科技有限公司 一种多应用服务平台系统中的应用访问方法
US9026441B2 (en) 2012-02-29 2015-05-05 Nant Holdings Ip, Llc Spoken control for user construction of complex behaviors
US9594384B2 (en) 2012-07-26 2017-03-1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of associating an HVAC controller with an external web service
US9161168B2 (en) * 2013-03-15 2015-10-13 Intel Corporation Personal information communicator
JP5667257B1 (ja) * 2013-08-07 2015-02-12 三菱電機株式会社 宅内機器、ホーム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575987B2 (en) 2014-06-23 2017-02-21 Owl Computing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ssured database updates via a one-way data link
US20160103431A1 (en) * 2014-10-14 2016-04-1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point by point hot cutover of controllers and ios
US9680646B2 (en) * 2015-02-05 2017-06-13 Apple Inc. Relay service for communication between controllers and accessories
US10437416B2 (en) * 2015-09-28 2019-10-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ersonalized launch states for software applications
US10672252B2 (en) 2015-12-31 2020-06-02 Delta Faucet Company Water sensor
DE112017007077T5 (de) * 2017-02-15 2019-11-1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teuerungsübertragungsvorrichtung, Wartungskommunikationsvorrichtung, Zugwartungskommunikationsprogramm und Zugverwaltungssystem
US10401816B2 (en) 2017-07-20 2019-09-0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Legacy control functions in newgen controllers alongside newgen control functions
US11163718B2 (en) * 2018-10-30 2021-11-02 Dell Products L.P. Memory log retrieval and provisioning system
JP6900964B2 (ja) * 2019-03-15 2021-07-1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機器管理システム、または、機器管理サービスの提供方法
US11635740B2 (en) 2020-06-09 2023-04-2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s of synchronizing controllers in a building management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1943A (ko) * 1996-09-19 1998-06-25 김무 무선원격 제어를 위한 데이터 통신 포맷 및 그 제어방법
KR20010023317A (ko) * 1997-08-29 2001-03-26 칼 하인쯔 호르닝어 예정된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두 개의 장치를 동기화하기위한 방법 및 통신 장치
KR20020024328A (ko) * 2000-06-26 2002-03-29 요트.게.아. 롤페즈 휴대용 디바이스를 통한 데이터 전송
KR20020026380A (ko) * 2000-07-06 2002-04-09 니시무로 타이죠 통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30061004A (ko) * 2000-12-20 2003-07-1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블루투스 통신 시스템의 무선 주파수 유닛에인터페이싱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7035A (en) 1988-09-08 1992-11-24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Transferring messages between nodes in a network
US6170044B1 (en) * 1997-12-19 2001-01-02 Honeywel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ynchronizing redundant controllers with minimal control disruption
US7586398B2 (en) 1998-07-23 2009-09-08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up a universal remote control
US6259707B1 (en) * 1998-10-30 2001-07-10 Sony Corporation Synchronizing a data driven interaction controller and a non-data driven interaction controller
JP2000194543A (ja) * 1998-12-25 2000-07-14 Ricoh Co Ltd ネットワ―ク装置
JP3254434B2 (ja) * 1999-04-13 2002-02-04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ータ通信装置
US6910068B2 (en) * 1999-06-11 2005-06-21 Microsoft Corporation XML-based template language for devices and services
JP2001147757A (ja) * 1999-11-24 2001-05-29 Mitsubishi Heavy Ind Ltd 画面編集装置
US6823223B2 (en) * 1999-12-30 2004-11-23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stributed scene programming of a home automation and control system
ES2211794T3 (es) * 2000-04-10 2004-07-16 Zensys A/S Sistema de automatizacion del hogar por radiofrecuencia con controladores que pueden ser duplicados.
US7072945B1 (en) * 2000-06-30 2006-07-04 Nokia Corporation Network and method for controlling appliances
US7343427B2 (en) * 2000-12-13 2008-03-11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the integration of IP devices into a HAVi network
US20020078161A1 (en) * 2000-12-19 2002-06-20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UPnP enabling device for heterogeneous networks of slave devices
JP4752151B2 (ja) * 2001-08-06 2011-08-17 ソニー株式会社 コマンダ装置
US7031473B2 (en) * 2001-11-13 2006-04-18 Microsoft Corporation Network architecture for secure communications between two console-based gaming systems
JP4266558B2 (ja) * 2002-02-04 2009-05-20 三菱電機株式会社 空調設備管理システム
US7581365B2 (en) * 2002-11-22 2009-09-01 Wisconsin Poured Wall Products Wall-tie-engaging sheathing-retaining device
US7454511B2 (en) * 2003-05-29 2008-11-18 Intel Corporation Visibility of UPNP media renderers and initiating rendering via file system user interface
WO2004107658A1 (en) 2003-05-30 2004-12-09 Lg Electronics, Inc. Home network system and its configuration system
KR20040107602A (ko) 2003-06-05 2004-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상에서의 컨텐츠 실행을 위한 라이센스 관리시스템 및 방법
JP2005136890A (ja) * 2003-10-31 2005-05-26 Omron Corp 遠隔操作システムの本体装置、遠隔操作装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1943A (ko) * 1996-09-19 1998-06-25 김무 무선원격 제어를 위한 데이터 통신 포맷 및 그 제어방법
KR20010023317A (ko) * 1997-08-29 2001-03-26 칼 하인쯔 호르닝어 예정된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두 개의 장치를 동기화하기위한 방법 및 통신 장치
KR20020024328A (ko) * 2000-06-26 2002-03-29 요트.게.아. 롤페즈 휴대용 디바이스를 통한 데이터 전송
KR20020026380A (ko) * 2000-07-06 2002-04-09 니시무로 타이죠 통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30061004A (ko) * 2000-12-20 2003-07-1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블루투스 통신 시스템의 무선 주파수 유닛에인터페이싱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20602B2 (ja) 2013-10-23
JP2011028780A (ja) 2011-02-10
EP1700424A4 (en) 2011-03-09
US20050141566A1 (en) 2005-06-30
EP1700424A2 (en) 2006-09-13
CA2733815A1 (en) 2005-07-28
WO2005067441A3 (en) 2006-06-08
JP2010225167A (ja) 2010-10-07
US7801185B2 (en) 2010-09-21
CA2733815C (en) 2015-04-14
WO2005067441A2 (en) 2005-07-28
KR20060130635A (ko) 2006-12-19
CA2549961A1 (en) 2005-07-28
EP1700424B1 (en) 2013-10-23
US7957321B2 (en) 2011-06-07
KR20090005216A (ko) 2009-01-12
EP2634972A3 (en) 2014-08-27
EP2634972B1 (en) 2018-12-26
US20070019682A1 (en) 2007-01-25
EP2634972A2 (en) 2013-09-04
US20070019683A1 (en) 2007-01-25
JP2007518165A (ja) 2007-07-05
US7154862B2 (en) 2006-12-26
JP5363414B2 (ja) 2013-12-11
CA2549961C (en) 2014-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4142B1 (ko) 서버-기반 또는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환경에 대한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방법 및 장치
KR101248703B1 (ko) 다수의 장치 제어의 셋업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US7136709B2 (en)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s in a networked environment
KR101159376B1 (ko) 제어된 환경 내의 컴포넌트를 자동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EP1851596B1 (en) Home appliance identification and control in a networked environment
EP246152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an appliance control device for an appliance
KR20050014628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구성장치
JP2008040858A (ja) 情報処理機器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WO2018224040A1 (en) Method and device of information transmission
KR101508401B1 (ko) 소비자 전자 제품들의 활동-기반 제어를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CN100474829C (zh) 用于基于服务器或对等网络环境的装置控制系统、方法和设备
JP2014230064A (ja) 通信システム、サーバ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50059805A (ko) 이종 네트워크간의 파일 전송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