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2297B1 - 양면 사용이 가능한 내부받침대가 구비된 세척박스 - Google Patents

양면 사용이 가능한 내부받침대가 구비된 세척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2297B1
KR100882297B1 KR1020070075599A KR20070075599A KR100882297B1 KR 100882297 B1 KR100882297 B1 KR 100882297B1 KR 1020070075599 A KR1020070075599 A KR 1020070075599A KR 20070075599 A KR20070075599 A KR 20070075599A KR 100882297 B1 KR100882297 B1 KR 100882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washing
base
box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5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학범
차경일
Original Assignee
(주)녹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녹원 filed Critical (주)녹원
Priority to KR1020070075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22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2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2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3/00Accessorie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bility for machines or apparatus for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45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using perforated containers, e.g. baskets, or racks immersed and agitated in a liquid bath
    • B08B3/047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by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7/00Internal frames or supports for flexible articles, e.g. stiffeners; Separators for articles packaged in stacks or groups, e.g. for preventing adhesion of sticky articles
    • B65D57/002Separators for articles packaged in stacks or groups, e.g. stacked or nested
    • B65D57/003Separators for articles packaged in stacks or groups, e.g. stacked or nested for horizontally placed articles, i.e. for stacked or nested articles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부품을 세척하는 세척박스에 관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기계부품을 가공한 후 바로 조립하지 않고 가공된 기계부품을 초음파 등을 이용한 세척공정을 거쳐 세척된 기계부품을 조립하는 순서로 작업이 이루어지는 공정의 세척공정에 있어서 가공된 기계부품을 장입하여 세척하는 세척박스에 관한 것으로 세척박스를 외부박스와 내부받침대로 구분하고, 내부받침대를 외부박스에 삽·탈 하도록 구비하며, 외부박스에는 세척액의 자유로운 이동을 위하여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받침대에는 바둑판 형상으로 다수개의 관통공이 구비된 베이스와 베이스의 상부와 하부에는 기계부품이 장입되는 돌기인 지지봉이 형성되어 있으며, 기계부품의 형상에 따라 베이스의 상부나 하부의 지지봉에 기계부품을 장입할 수 있게 구성하였으므로 내부받침대의 양면을 모두 사용할 수 있게 한 구성에 그 특징이 있다.
세척박스, 외부박스, 내부받침대, 지지봉, 양면

Description

양면 사용이 가능한 내부받침대가 구비된 세척박스{The both faces use is possible inside support equips the washing box}
본 발명은 기계부품을 세척하는 세척박스에 관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기계부품을 가공한 후 바로 조립하지 않고 가공된 기계부품을 초음파 등을 이용한 세척공정을 거쳐 세척된 기계부품을 조립하는 순서로 작업이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은 세척공정에 있어서 가공된 기계부품을 장입하여 세척하는 세척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공된 부품을 장입할 수 있는 박스로는 도 1과 같이 일본공개특허 2004-026217호가 있는데 그 구성을 살펴보면,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물품 반송용의 보관 유지도구(1)의 단면을 보면 원형으로 중의 탄성변형 가능한 복수의 막대 모양 부재(2)를 소정간격으로 멀리하여 종횡에 정렬하는 상태로 기반(3)의 표면에 입설 고정구비하는 것으로 구성된 우레탄 등의 수지제이며, 사용 시에는 물품 반송용의 용기(4)에 각 막대 모양 부재(3)이 용기(4)의 통로(4A)에 직면하는 상태로 내부에 삽입되어 물품(5)의 일례인 기계부품을 보관 유지하게 되어 있으며, 막대 모양 부재(2)의 사이나 막대 모양 부재(2)와 용기(4)의 둘레의 벽(4B)와의 사이에 들어가는 편평 형상이나 굴곡 형상인 경우에는 B)와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4)에 각 기계 부품(5)를 그 길이나 폭 및 형상에 대응한 자세로 수납하면 기계 부품(5) 사이에 위치하는 막대 모양 부재(2)에 의해서 반송중의 기계 부품(5) 서로 간의 간섭에 의한 상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 구성이다.
상기의 종래기술은 물건을 반송하거나 유지보관할 경우에 사용되는 용기의 내부에 물건을 넣기 위한 구획을 형성하는 격벽과 관련된 기술로서, 기계부품 서로 간의 간섭에 의한 상처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가공된 기계부품을 세척하는 공정에 사용되는 세척박스에 적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만약 세척박스에 적용하더라도 기계부품의 종류마다 기계부품을 장입하는 돌기 형상이 달라져야 하고 기계부품의 종류마다 각기 다른 세척박스가 필요하므로 세척박스의 구입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많은 세척박스의 종류에 따라 넓은 공간과 막대한 물류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은 바닥면이 일체로 된 구성으로서 세척시에 세척액이 자연스럽게 배출되지 않는다는 문제점과 기계부품을 장입할 시에는 한쪽면의 상부 돌기 부분에만 부품을 삽입할 수 있으므로 많은 부피를 차지한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세척박스를 외부박스와 내부받침대로 구분하고, 내부받침대를 외부박스에 삽·탈 하도록 구비하며, 외부박스에는 세척액의 자유로운 이동을 위하여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받침대에는 바둑판 형상으로 다수개의 관통공이 구비된 베이스와 베이스의 상부와 하부에는 기계부품이 장입되는 돌기인 지지봉이 형성되어 있으며, 기계부품의 형상 에 따라 베이스의 상부나 하부에 기계부품을 장입할 수 있게 구성하여 내부받침대의 양면을 모두 사용할 수 있게 한 구성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기계부품의 세척공정에서 다수개의 관통공이 구비된 외부박스와 내부받침대를 구비하여 세척시에 세척액이 자유롭게 이동하게 하여 세척상태가 우수해지는 효과와, 외부박스에 내부받침대를 삽·탈할 수 있게 하여 외부박스를 공용화하고, 내부받침대의 베이스에 기계부품을 장입하는데 기계부품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베이스에 구비된 상·하부 지지봉을 선택하여 장입하도록 하여 내부받침대의 양면 모두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내부받침대로 여러 종류의 기계부품의 장입이 가능해지므로 내부받침대도 공용화가 가능하며 이로 인하여 세척박스의 공용화가 가능하고 세척박스 구입비용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고,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줄어든 세척박스의 수량이나 부피만큼 적재공간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외부박스로서 a)는 평면도이고 b)는 정면도이며 c)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내부받침대의 평면도로서 a)는 상부의 평면도이고 b)는 하부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내부받침대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외부 박스에 내부받침대를 삽입한 단면도로서 a)는 상부가 위로 삽입된 단면도이며 b)는 하부가 위로 삽입된 단면도이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외부박스를 도시하였는데, 그 구성을 살펴보면 사각형 형상으로 된 외부박스(110)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관통공(121)이 구비된 바닥지지대(110)가 구비되며, 길이가 긴 방향에는 다수개의 관통공(120)이 구비되어 있고 길이가 짧은 방향으로는 손잡이(130)가 구비되어 세척박스의 이동시에 작업자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하였으며, 상기 관통공(120, 121)과 손잡이(130)를 구비한 이유는 세척시에 세척액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하여 세척효과를 높이기 위함이다.
상기에서 바닥지지대(110)는 세척액만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도록 하면 되므로 관통공(121) 크기는 크게 하여 세척액이 최대한 많이 이동되도록 하며, 삽입되는 내부받침대(200)의 하측의 돌기인 지지봉(230 또는 260)이 관통공(121)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내부받침대(200)의 상측의 돌기인 지지봉(260 또는 230)은 외부박스(100)의 내측에 완전삽입되는 구성이며, 외부박스는 규격을 일정하게 하여 공용화가 가능하게 한다.
도 3 내지 4에서는 본 발명 내부받침대를 도시하였는데, 그 구성을 살펴보면 바둑판 형상의 내부받침대(200)는 다수개의 관통공(122)이 형성된 베이스(210)가 구비되며, 베이스(210)의 상부(220)에는 기계부품을 장입할 수 있도록 돌기 형태의 상부지지봉(230)이 구비되며, 상부지지봉(230)의 하부에 즉 베이스(210)와 상부지지봉(230)이 만나는 지점에는 상부보강대(240)를 구비하여 상부지지봉(230)이 기울 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베이스(210)의 하부에는 기계부품을 장입할 수 있도록 돌기 형태의 하부지지봉(260)이 구비되며, 하부지지봉(260)의 상부에 즉 베이스(210)와 하부지지봉(260)이 만나는 지점에는 하부보강대(270)를 구비하여 하부지지봉(260)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부지지봉(230)은 길이는 짧고 지지봉(230) 사이의 간격을 좁게 하며, 하부지지봉(260)은 길이는 길고 지지봉(260) 사이의 간격을 넓게 하는데, 그 이유는 가공된 기계부품의 크기·형상·길이·부피에 따라 상부지지봉(230)이 위쪽으로 향하게 하여 기계부품을 장입할수 도 있고, 내부받침대(200)를 뒤집어서 하부지지봉(260)이 위쪽으로 향하게 하여 기계부품을 장입할수 도 있다.
즉, 기계부품의 크기·형상·길이·부피에 따라 내부받침대(200)의 상부(220)나 하부(250)를 선택하여 장입할 수 있으므로 내부박스의 공용화가 가능하고, 내부받침대의 양면(상부와 하부)에 각각의 지지봉(230, 260)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기계부품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양면 중 선택하여 기계부품을 장입할 수 있는 구성이다.
외부박스와 내부받침대의 공용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기계부품의 종류에 따라 세척박스를 구입할 수 필요가 없어 구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세척박스에 따라 장입할 수 있는 기계부품이 다름으로 인한 장입 시간의 낭비를 줄여 물류비용과 세척시간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부피와 수량이 줄어드는 만큼 적재공간도 줄어드러 공간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공용화된 하나의 외부박스와 내부받침대로 구비된 세척박스는 통상 6종 이상 의 가공된 기계부품을 장입할 수 있도록 지지봉이 형성되어 있는데, 만약 세척박스 하나로 모든 부품을 장입할 수 있을 경우에는 외부박스(100)는 하나로 사용하고 내부받침대(200)만 기계부품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하나 더 구비하면 아무리 많은 부품종류라도 세척하는데 어려움 없이 장입할 수 있어 세척과정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내부받침대에 기계부품을 장입하는 방법은 부품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좌우되므로 한정하지 않으며, 기계부품의 형상에 맞게 내부받침대의 상부지지봉이나 하부지지봉을 설계하여 구비하면 된다.
본 발명은 기계부품의 크기나 길이 또는 형상에 따라 장입하는 방법을 달리하는데, 예를 들어 부품의 길이가 짧거나 크기가 작은 경우에 하부지지봉(260)의 사이에 기계부품을 장입한다면, 부품의 길이가 길거나 크기가 클 경우에는 상부지지봉(230)의 사이와 관통공(122)을 이용하여 장입하면 되고, 상부지지봉을 이용하여 기계부품을 장입할 경우에는 관통공(122)의 하부까지 부품을 장입할 수 있도록 하부지지봉(260)의 길이만큼 공간이 생기므로 길이가 긴 부품도 장입 가능해진다.
그리고 내부받침대(200)의 베이스(210)에 구비된 관통공(122)의 모서리 부분과 각진 부분은 라운드부(도면 미도시)를 구비하여 기계부품을 장입할 시에 기계부품과 내부받침대 간의 마찰로 인한 상처나 흠집을 방지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척박스는 외부박스와 내부받침대가 일체형이 아니라 구분되어 있고 외부박스의(100)에 내부받침대(200)를 삽·탈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기계부품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내부받침대의 장 입면을 선택하여 장입한 후 외부박스에 삽입하여 세척할 수 있게 한 것이며, 관통공(120, 121, 122)과 손잡이(130)에 의하여 세척시에 세척액이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세척되므로 세척의 효율성을 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내부받침대(200)에 기계부품이 장입되는 돌기인 상부지지봉(230)과 하부지지봉(260)은 사각봉이나 환봉으로 구비하는데 그 이유는 지지봉과 기계부품의 접촉면을 최대한 줄여서 서로 간의 접촉에 의한 흠집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지지봉(230, 260)은 사각봉이나 환봉에 한정한 것이 아니며, 돌기가 형성되는 형상은 얼마든지 변경가능함을 밝혀둔다.
도 1은 종래 기계부품을 장입할 수 있게 한 박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외부박스로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내부받침대의 평면도로서, a)는 상부의 평면도 b)는 하부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내부받침대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외부박스에 내부받침대를 삽입한 단면도로서, a)는 상부가 위로 삽입된 단면도 b)는 하부가 위로 삽입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외부박스 110. 바닥지지대
120, 121, 122. 관통공 130. 손잡이
200. 내부받침대 210. 베이스
220. 상부 230. 상부지지봉
240. 상부보강대 250.하부
260. 하부지지봉 270. 하부보강대

Claims (3)

  1. 삭제
  2. 다수개의 관통공(122)이 형성된 베이스(210)와 베이스(210)의 양면 상·하부(220, 250)에는 돌기 형태의 상·하부지지봉(230, 260)을 형성하여 기계부품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상부지지봉 또는 하부지지봉에 선택적으로 기계부품을 장입할 수 있는 내부받침대(200)를 구비하고 내부받침대는 다수개의 관통공(120, 121)과 바닥지지대(110)로 형성된 외부박스(100)에 삽입하여 가공된 기계부품을 세척하는 세척박스에 있어서,
    내부받침대(200)의 베이스(210)와 상부지지봉(230)이 만나는 지점에는 상부보강대(240)가 구비되고, 베이스(210)와 하부지지봉(260)이 만나는 지점에는 하부보강대(270)를 구비하여 지지봉(230, 260)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사용이 가능한 내부받침대가 구비된 세척박스.
  3. 삭제
KR1020070075599A 2007-07-27 2007-07-27 양면 사용이 가능한 내부받침대가 구비된 세척박스 KR100882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599A KR100882297B1 (ko) 2007-07-27 2007-07-27 양면 사용이 가능한 내부받침대가 구비된 세척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599A KR100882297B1 (ko) 2007-07-27 2007-07-27 양면 사용이 가능한 내부받침대가 구비된 세척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2297B1 true KR100882297B1 (ko) 2009-02-10

Family

ID=40681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5599A KR100882297B1 (ko) 2007-07-27 2007-07-27 양면 사용이 가능한 내부받침대가 구비된 세척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22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43754A (zh) * 2014-11-07 2015-03-25 重庆市血液中心 洗液桶摆放架
CN105032879A (zh) * 2015-09-02 2015-11-11 无锡诚石轴承有限公司 轴承密封件清洗工装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763U (ja) * 1992-09-22 1994-04-12 株式会社リッチェル 食器類の洗浄・保管ラック
JPH0736627Y2 (ja) * 1989-06-20 1995-08-23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食器洗浄機用食器籠
JP2535730Y2 (ja) 1989-06-20 1997-05-14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食器洗浄機の食器ラック構造
KR20060061311A (ko) * 2006-02-24 2006-06-07 허정석 업소용 식기 세척기의 랙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6627Y2 (ja) * 1989-06-20 1995-08-23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食器洗浄機用食器籠
JP2535730Y2 (ja) 1989-06-20 1997-05-14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食器洗浄機の食器ラック構造
JPH0626763U (ja) * 1992-09-22 1994-04-12 株式会社リッチェル 食器類の洗浄・保管ラック
KR20060061311A (ko) * 2006-02-24 2006-06-07 허정석 업소용 식기 세척기의 랙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43754A (zh) * 2014-11-07 2015-03-25 重庆市血液中心 洗液桶摆放架
CN105032879A (zh) * 2015-09-02 2015-11-11 无锡诚石轴承有限公司 轴承密封件清洗工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2297B1 (ko) 양면 사용이 가능한 내부받침대가 구비된 세척박스
KR101474124B1 (ko) 광학 필름 수납함 및 그 수납함의 운반 대차
US3141552A (en) Dishwashing rack
KR101965129B1 (ko) 칸막이를 구비한 플라스틱 상자
TWM517717U (zh) 洗車用容器
US20070090065A1 (en) Cassette
JP6686914B2 (ja) 物品保管設備
JP6603735B2 (ja) パレット機能を有するラック及び保管システム
CN211732179U (zh) 用于硬盘结构的包装托盘
JP6897549B2 (ja) 自動倉庫
JP4137733B2 (ja) 運搬用容器
CN216360107U (zh) 载具
CN218987264U (zh) 一种叉车托盘结构
KR102113968B1 (ko) 팔레트유닛
CN217792945U (zh) 一种底座组件以及洗碗机
KR20120068502A (ko) 스크랩 청소 장치
JP6852617B2 (ja) 厨子移載用容器
KR200487176Y1 (ko) 적재박스
US10624524B2 (en) Shock absorber and dishwasher including the same
JP3914706B2 (ja) パック用中仕切り
CN209553768U (zh) 一种电子元器件塑料托盘
JP2872895B2 (ja) 基板保持カセット
KR100525997B1 (ko) 액정표시장치용 기판 카세트
JP6005435B2 (ja) 洗浄用トレー
KR20040056815A (ko) 드럼 세탁기의 물품 적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