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2092B1 - 전도롤과 도금강판간의 밀착정도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전도롤과 도금강판간의 밀착정도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2092B1
KR100882092B1 KR1020020033894A KR20020033894A KR100882092B1 KR 100882092 B1 KR100882092 B1 KR 100882092B1 KR 1020020033894 A KR1020020033894 A KR 1020020033894A KR 20020033894 A KR20020033894 A KR 20020033894A KR 100882092 B1 KR100882092 B1 KR 100882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roll
block
conductive roll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3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6834A (ko
Inventor
김형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33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2092B1/ko
Publication of KR20030096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6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2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2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05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comprising adjus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2Gea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reduction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강판의 내식성등을 향상시키거나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냉연강판에 특정성분으로 도금하는 강판의 전기도금시 도금셀내에 설치되는 전도롤과 이를 통하는 강판간의 밀착정도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전도롤과 도금강판간의 밀착정도 조정장치(1)는, 전도롤(10)과 굴절롤 (12)사이에 이송되는 강판(S)의 폭방향으로 설치된 베이스(22)상에 전,후 이동토록 설치된 이동플레이트(20); 와, 상기 이동플레이트(20)의 양측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이동블록(42)상에 설치된 지지아암(45)의 상측에 축부(44)가 회전토록 설치되어 강판(S)의 텐션을 조정토록 이동하는 조정롤(40); 및, 상기 이동블록(42)의 측부에 연결된 브라켓트(62)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볼 (64)이 삽입되는 가이드홈 (66)이 만곡된 모서리를 따라 일체로 형성되고, 모터로서 구동되고 그 축(68)들이 상기 이동플레이트(20)의 상부에 수직 설치된 지지판(72)에 지지되는 다수의 기어(70)들이 맞물리는 기어부(74)가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며, 모터 구동시 중앙의 기어축(68a)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지지볼(64)과 일체로 브라켓트(62)와 연결된 이동블록(42)을 미세 이동토록 하는 텐션 조정블록(60);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강판과 전도롤간의 미세간격까지도 조정할 수 있어 강판이 전도롤의 밴드에 과밀착 또는 미밀착됨에 따른, 밴드마크 또는 밴드크리스 및 강판의 도금불량을 효과적으로 방지시키도록 하여 강판의 도금품질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Figure R1020020033894
전기도금, 도금강판, 전도롤, 전도롤밴드, 전도롤 밀착정도 조정장치

Description

전도롤과 도금강판간의 밀착정도 조정장치{AN APPARATUS FOR ADJUSTING THE CLOSE ADHENSION DEGREE BETWEEN A CONDUCTOR ROLL AND PLATING STRIP}
도 1은 종래의 전도롤과 이를 통하여 전기도금되면서 이송되는 강판간의 밀착정도를 조정하는 홀드 다운롤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롤과 도금강판간의 밀착정도 조정장치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4는 도 3의 'A-A' 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부 상세도
도 6은 도 3의 'B'부 요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전도롤과 도금강판간의 밀착정도 조정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인 전도롤과 도금강판간의 밀착정도 조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전도롤과 도금강판간의 밀착정도 조정장치
10.... 전도롤 12.... 굴절롤
20.... 이동플레이트 22.... 베이스
40.... 조정롤 42.... 이동블록
44.... 조정롤 축부 45.... 지지아암
60.... 조정블록 62.... 브라켓트
64.... 지지볼 66.... 가이드홈
68.... 기어축 70.... 기어
72.... 지지판 74.... 기어부
S1.... 작동센서 S2.... 작동편
본 발명은 강판의 내식성등을 향상시키거나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냉연강판에 특정성분으로 도금하는 강판의 전기도금시 도금셀내에 설치되는 전도롤과 이를 통하는 강판간의 밀착정도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강판과 전도롤간의 미세간격까지도 조정할 수 있어 강판이 전기도금시 전도롤의 밴드에 과밀착됨에 따른, 밴드마크 또는 밴드크리스등의 도금된 강판의 표면불량을 방지하는 동시에, 강판이 전도롤의 밴드에 미밀착되어 강판의 도금불량도 효과적으로 방지시키도록 하여 강판의 도금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전도롤과 도금강판간 의 밀착정도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장에서 냉연강판의 제조시 강판의 표면에 도금을 하는데, 이와 같은 강판의 도금작업은 융용금속이 저장된 도금욕조에 강판을 통과시키어 강판의 표면도금을 수행하거나 또는, 도금셀내에 도금용액 즉, 전해액을 충진시키고 도금하고자 하는 성분의 아노드들과 - 전극을 띠는 밴드가 설치된 전도롤을 거쳐 강판을 통과시키면서 강판의 표면도금을 수행하는 전기도금방식이 있는데, 이와 같은 강판의 도금작업은 강판의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강판의 사용환경에 따라 수요자가 원하는 성분을 도금하는 것이고, 이와 같은 강판의 전기도금작업은 도 1 에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분사관(102)을 통하여 전해액(100)이 충진된 도금셀(110)내에 브릿지(122)를 통하여 아노드(120)들이 설치되고, 상기 아노드 (120)와 일정간격으로 강판(S)이 감기어 이송되는 - 전극의 밴드(132)가 갖추어진 전도롤(130)이 제공된다.
따라서, 전도롤(130)의 - 전극 밴드(132)와 밀착되어 이송되는 강판(S)은 - 전극을 띠게되고, 상기 아노드(120)의 + 이온 예를 들어, 아연이온은 전해액(100)을 통하여 이동하여 강판(S)의 표면에 부착되면서 강판의 도금작업이 수행되는 것이다.
그런데,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도롤(130)의 밴드(132)에 밀착되면서 이송되는 강판(S)의 도금이 진행되기 때문에, 상기 강판(S)과 전도롤(130) 즉, 전도롤(130)의 밴드(132)간의 밀착정도가 중요한데, 이는 강판(S)이 전도롤의 밴드 (132)에 과밀착되거나 그 밀착력이 부족하면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듯이 도금시 문제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강판(S)과 전도롤(130)간의 밀착정도를 조정하기 위한 홀다운롤(200)이 도금셀(110)의 상부 양측에 배치되어 강판의 이송을 조정하는 굴절롤(140)과 도금셀(110)사이에 설치되는데,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210)를 굴절롤과 도금셀 사이에 진행되는 강판(S)의 수평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실린더(210)의 로드에 실린더의 전진시 강판(S)을 밀어서 강판(S)의 텐션을 높이면서 강판(S)의 전도롤 밴드(132) 밀착정도를 조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홀다운롤(200)에 있어서는, 강판(S)의 텐션상태를 조정하는 홀다운롤(200)이 밸브의 압력조정으로 전,후진 작동하는 실린더(210)에 연결되어 있어, 도금되는 강판(S)의 두께에 맞추어 강판(S)의 텐션상태 즉, 강판(S)과 전도롤밴드(132)간의 밀착정도를 미세하게 조정하는 것은 어려운 것이다.
따라서, 홀다운롤(200)이 강판(S)을 필요이상으로 누르면, 강판의 전도롤 밴드사이에는 과밀착이 발생되고, 이경우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도롤 밴드 (132)에 강판이 과도한 힘으로 밀착되어 전도롤 밴드(132)와 전도롤(130)간의 경계부분에서 발생되는 압력에 의하여 도금되는 강판(S)의 표면에 밴드 마크(S')또는 밴드 크리스(B")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홀다운롤(200)의 미세작동불량으로 강판(S)이 전도롤 밴드(132)에 적정하게 밀착되지 않는 미밀착현상이 발생되면서 강판의 전도롤 밴드간의 밀착불량으로 전도성이 떨어지고, 국부적인 과전류로 인하여 강판의 표면에 아크스포트등의 표면결합을 발생시키거나 도금자체를 불량하게 하는 등의 문제가 초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강판과 전도롤간의 미세간격까지도 조정할 수 있어 강판이 전기도금시 전도롤의 밴드 에 과밀착됨에 따른, 밴드마크 또는 밴드크리스등의 도금된 강판의 표면불량을 방지하는 동시에, 강판이 전도롤의 밴드에 미밀착되어 강판의 도금불량도 효과적으로 방지시키도록 하여 강판의 도금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전도롤과 도금강판간의 밀착정도 조정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전도롤과 굴절롤사이에 이송되는 강판의 폭방향으로 설치된 베이스상에 전,후 이동토록 설치된 이동플레이트; 와,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양측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이동블록상에 설치된 지지아암의 상측에 축부가 회전토록 설치되어 강판의 텐션을 조정토록 이동하는 조정롤; 및,
상기 이동블록의 측부에 연결된 브라켓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볼이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만곡된 모서리를 따라 일체로 형성되고, 모터로서 구동되고 그 축들이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상부에 수직 설치된 지지판에 지지되는 다수의 기어들이 맞물리는 기어부가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며, 모터 구동시 중앙의 기어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지지볼과 일체로 브라켓트와 연결된 이동블록을 미세 이동토록 하는 텐션 조정블록;으로 구성된 전도롤과 도금강판간의 밀착정도 조정장치를 마련함에 의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롤과 도금강판간의 밀착정도 조정장치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B'부 상세도이고, 도 6은 도 3의 'B'부 요부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인 전도롤과 도금강판간의 밀착정도 조정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인 전도롤과 도금강판간의 밀착정도 조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 및 도 8에서는 본 발명인 장치(1)의 전체 구성 및 그 설치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장치(1)는 크게 이동플레이트(20)와 조정롤(40) 및, 텐션 조정블록(60)으로 나누어 질 수 있고, 이와 같은 구성요소(20)(40)(60)들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8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1)가 설치되는 위치를 살펴보면, 아 노드(16)와 도금액이 충진된 도금셀(14)의 내부에 설치된 전도롤(10)의 밴드(10a)에 밀착되어 상기 도금셀(14)의 상측으로 배치된 굴절롤(12)로서 도금강판(S)이 이송되고,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1)는 상기 도금셀(14)과 굴절롤(12)사이로 전도롤(10)에 진입되는 강판(S)과 전도롤(10)을 통과하여 후공정으로 이송되는 강판(S)의 주지점에서 강판(S)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즉, 도 3, 도 4 및 도 8에서는 본 발명인 전도롤과 도금강판간의 밀착정도 조정장치(1)의 상기 이동플레이트(2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이동플레이트(20)는, 상기 전도롤(10)과 굴절롤(12)사이에 이송되는 강판(S)의 폭방향 보다는 크고 상기 강판(S)에 대하여 직각이 되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플레이트(20)는, 상기 베이스(22)의 중앙측에 설치된 구동실린더(24)의 로드가 연결되는 연결부(26)가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결국 상기 구동실린더(24)의 구동시 상기 베이스(22)상에서 전후 이동토록 설치되어 있다.
즉, 도 3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플레이트(20)의 양측단부에는 상기 베이스(22)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돌부(22a)가 삽입되는 가이드홈(28a)이 일체로 형성된 레일부(28)가 일체로 제공되어 있어, 상기 실린더(24) 구동시 베이스(22)상에서 보다 정밀하게 이동토록 된다.
다음, 도 3 및 도 4에서는 본 발명인 전도롤과 도금강판간의 밀착정도 조정장치(1)의 조정롤(4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조정롤(40)은, 상기 이동플레이트(20)의 양측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이동블록(42)상에 설치된 지 지아암(45)의 상측에 축부(44)가 회전토록 설치되어 강판(S)의 텐션을 조정토록 구성된다.
즉,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블록(42)은 상기 이동플레이트 (20)의 양측에 일체로 제공된 레일부(28)의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28b)이 삽입되는 가이드홈(42a)이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20)의 양측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데, 상기 이동블록(42)의 이동폭은 상기 조정롤(40)의 이동폭을 결정하기 때문에, 상기 이동블록(42)은 미세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야 하고, 이를 위하여 다음에 설명하는 조정블록(60)으로서 상기 이동블록(42)의 이동을 수행토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정롤(40)은 상기 이동블록(42)의 상측에 설치된 베어링블록(46)에 그 축부(44)가 회전토록 설치되어 있어, 상기 조정블록(60)에 의한 이동블록(42)의 미세 이동시 상기 조정롤(40)은 강판(S)에 밀착되는 강도가 미세하게 조정되어 강판(S)의 전도롤(10) 즉, 전도롤(10)의 밴드 (10a)사이의 밀착 정도가 조정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다음, 도 5 내지 도 7 에서는 본 발명인 전도롤과 도금강판간의 밀착정도 조정장치(1)의 상기 조정블록(6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조정블록 (60)은 먼저 반구형으로 그 모서리부분이 만곡되어 있고, 일측으로 갈수록 하부폭이 신장되어 다음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조정블록(60)의 회전시 중심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그 회전폭이 증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도 4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정블록(60)은 상기 이동 블록(42)의 측부에 연결된 브라켓트(62)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볼(64)이 삽입되는 가이드홈(66)이 만곡된 모서리부를 따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정블록(60)의 중앙부분에는 모터로서 구동되는 축(68)들이 상기 이동플레이트(20)의 상부에 수직 설치된 지지판(72)에 지지되는 다수의 기어(70)들이 맞물리는 기어부(7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기어부(74)는 완전한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결국 모터 구동시 중앙의 기어축(68a)을 중심으로 상기 조정블록(60)은 회전하여 그 회전폭이 증대되는 가이드홈(66)에 지지된 지지볼(64)과 일체로 브라켓트(62)와 연결된 이동블록(42)을 미세 이동(도 7의 'D' 만큼)토록 설치된 것이다.
그리고, 도 4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정블록(60)의 기어부 (74)에 맞물린 기어(70)들은, 상기 이동플레이트(20)상의 지지블록(76a)에 설치된 구동모터(76)와 연결되고 상기 지지판(72)에 지지되는 제 1 기어축(68a)에 설치된 중앙의 제 1 기어(70a) 및, 상기 제 1 기어(70a)와 맞물림과 동시에, 상기 조정블록 (60)의 기어부(74)에 맞물리고, 상기 지지판(72)에 지지되는 제 2 기어축(68b)들에 설치된 외곽의 제 2 기어(70b)들로서 이루어 진다.
따라서, 도 4,도 5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76)가 구동되면 제 1 기어축(68a)과 일체로 제 1 기어(70a)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맞물린 제 2 기어(70b)들은 그 축(68b)들이 이동플레이트(20)상에 설치된 지지판 (72)에 지지된 상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조정블록(60)은 반시계방향으로 일체로 회전 구동되는 것이다.
이때,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블록(42)의 축방에 연결바아 (62a)로서 연결된 브라켓트(62)의 상부양측에 설치되는 상기 지지볼(64)은, 상기 브라켓트(62)의 상부에 볼트로서 결합되는 한쌍의 지지구(64a)(64b)의 개구(64a')를 통하여 일부분이 돌출되어 그 돌출된 지지볼(64)부분이 상기 조정블록(60)에 형성된 만곡된 가이드홈(66)에 삽입되어 상기 조정블록(60)의 회전시 만곡된 가이드홈에 의하여 지지볼(64)과 브라켓트(62) 및 이동블록(42)이 일체로 이동하고, 결국 조정롤 (40)의 미세이동이 가능하여 조정롤(40)은 강판의 텐션을 조정함으로서, 강판(S)과 전도롤 밴드(10a)간의 밀착정도를 조정하게 구성된 것이다.
다음, 도 4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정블록(60)은, 만곡된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66)에 인접하여 상기 브라켓트(62)에 연결 설치된 작동센서(S1)를 작동시키는 감지편(S2)이 다수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센서(S1)는 기어(70)의 구동을 위한 구동모터(7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정블록(60)의 회전폭을 제어토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강판(S)의 전기도금시 도금셀(14)내에 설치된 전도롤(10)과 그 상측의 굴절롤(12)을 통하여 이송되는 강판(S)의 두께에 따라 그 텐션을 조정하여 강판(S)과 전도롤(10)간의 밀착정도를 보다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 본 발명의 전도롤과 도금강판간의 밀착정도 조정장치(1)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도롤(10)과 굴절롤(12)사이에 배치된 베이스(22)상의 구동실린더(24)를 전진 작동시키어, 상기 실린더(24)가 연결된 이동플레이트(20)를 일체로 전진 이동시키는데, 이때 상기 실린더(24)를 통한 이동플레이트(20)의 전진폭은 그 전방으로 위치한 조정롤(40)이 전도롤(10)과 굴절로(12)사이에서 이송되는 강판(S)에 접촉되지는 않고 미세하게 이격된 상태까지 위치되도록 조정한다.
다음,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플레이트(20)상에 설치된 구동모터(76)를 가동시키면, 상기 구동모터(76)에 연결되고 이동플레이트(20)상에 설치된 지지판(72)에 베어링(미도시)을 개재하여 회전토록 설치된 제 1 기어축 (68a)이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 제 1 기어축(68a)에 설치된 제 1 기어(70a)는 동시에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판(72)에 축(68b)들이 지지된 제 2 기어(70b)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 2 기어(70b)에 맞물리는 기어부(74)가 중앙에 일체로 형성된 조정블록(60)은 반시계방향으로 제 1 기어축(68a)을 중심으로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결국, 반구형으로 후방으로 갈수록 하부폭이 신장된 조정블록(60)의 회전시 상기 조정블록(60)의 만곡된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66)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볼(64)은 상기 가이드홈(64)의 형상에 의하여 앞으로 밀려나게 된다.
즉, 도 4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볼(64)이 상부에 설치된 브라켓트(62)의 측부에 연결된 연결바아(62a)는 상기 이동블록(42)과 연결되어 있어, 상기 지지볼(64)이 조정블록(60)의 회전시 가이드홈(66)을 따라 앞으로 밀리면, 상기 이동블록(42)이 일체로 전진 이동하고, 결국 상기 이동블록(42)의 상부에 배치된 경사진 지지아암(45)상의 베어링블록(46)에 축부(44)가 회전토록 연결된 상기 조정롤(40)은 일체로 전진하여,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강판(S)을 밀게되고, 이는 강판(S)의 덴션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때, 도 4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정블록(60)의 모서리를 따라서는 감지편(S2)들이 일렬로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어, 상기 조정블록(60)의 회전시 상기 감지편(S2)은 브라켓트(62)상에 설치된 감지센서(S1)를 작동시키고, 상기 센서는 상기 제 1 기어(70a)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76)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편(S2)의 간격이 일정하기 때문에, 상기 조정블록(60)의 회전폭은 상기 감지편(S2)들중 몇개가 센서(S1)를 작동시키는 가에 따라, 상기 조정블록(60)의 회전폭을 조정할 수 있고, 이는 강판(S)의 두께에 따라 조정블록(60)의 회전폭을 조정하여 조정롤(40)에 의한 강판의 텐션조정을 제어하도록 하고, 상기 센서(S1)는 구동모터(76)와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센서가 감지편을 감지하면 일단 구동모터(76)의 가동을 중단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1)는 기존의 실린더를 이용한 것에 비하여, 강판(S)과 전도롤(10)간의 밀착정도를 보다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어 보다 정밀한 강판의 도금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전도롤과 도금강판간의 밀착정도 조정장치에 의하면, 강판과 전도롤간의 미세간격까지도 조정할 수 있어 강판이 전기도금시 전도롤의 밴드 에 과밀착됨에 따른, 밴드마크 또는 밴드크리스등의 도금된 강판의 표면불량을 방지하는 동시에, 강판이 전도롤의 밴드에 미밀착되어 강판의 도금불량도 효과적으로 방지시키도록 하여 강판의 도금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6)

  1. 전도롤(10)과 굴절롤(12)사이에 이송되는 강판(S)의 폭방향으로 설치된 베이스(22)상에 전,후 이동토록 설치된 이동플레이트(20);와,
    상기 이동플레이트(20)의 양측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이동블록(42)상에 설치된 지지아암(45)의 상측에 축부(44)가 회전토록 설치되어 강판(S)의 텐션을 조정토록 이동하는 조정롤(40); 및,
    상기 이동블록(42)의 측부에 연결된 브라켓트(62)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볼 (64)이 삽입되는 가이드홈(66)이 만곡된 모서리를 따라 일체로 형성되고, 모터로서 구동되고 그 축(68)들이 상기 이동플레이트(20)의 상부에 수직 설치된 지지판 (72)에 지지되는 다수의 기어(70)들이 맞물리는 기어부(74)가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며, 모터 구동시 중앙의 기어축(68a)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지지볼(64)과 일체로 브라켓트(62)와 연결된 이동블록(42)을 미세 이동토록 하는 텐션 조정블록(6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롤과 도금강판간의 밀착정도 조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플레이트(20)는, 상기 베이스(22)의 중앙측에 설치된 구동실린더(24)의 로드가 연결되는 연결부(26)가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 구동시 베이스상에서 전후 이동토록 구성되고,
    상기 이동플레이트(20)의 양측단부에는 상기 베이스(22)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돌부(22a)가 삽입되는 가이드홈(28a)이 일체로 형성된 레일부(28)가 제 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롤과 도금강판간의 밀착정도 조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블록(42)은 상기 이동플레이트(20)의 레일부(28)상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28b)이 삽입되는 가이드홈(42a)이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20)의 양측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조정롤(40)은 상기 이동블록(42)의 상측에 설치된 베어링블록(46)에 그 축부(44)가 회전토록 설치되어 이동블록(42)의 이동시 강판(S)에 밀착되어 강판의 텐션을 조정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롤과 도금강판간의 밀착정도 조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블록(60)의 기어부(74)에 맞물린 기어(70)들은, 상기 이동플레이트(20)상의 지지블록(76a)에 설치된 구동모터(76)와 연결되고 상기 지지판(72)에 지지되는 제 1 기어축(68a)에 설치된 중앙의 제 1 기어(70a); 및,
    상기 제 1 기어(70a)와 맞물림과 동시에, 상기 조정블록(60)의 기어부(74)에 맞물리고, 상기 지지판(72)에 지지되는 제 2 기어축(68b)들에 설치된 외곽의 제 2 기어(70b)들;로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롤과 도금강판간의 밀착정도 조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블록(42)의 축방에 연결바아(62a)로서 연결된 브라켓트(62)의 상부양측에 설치되는 상기 지지볼(64)은, 상기 브라켓트(62)의 상부에 볼트로서 결합되는 한쌍의 지지구(64a)(64b)의 개구(64a')를 통하여 일부분이 돌출되어 그 돌출된 지지볼(64)이 상기 조정블록(60)에 형성된 만곡된 가이드홈 (66)에 삽입되어 상기 조정블록(60)의 회전시 만곡된 가이드홈에 의하여 지지볼 (64)과 브라켓트(62) 및 이동블록(42)이 일체로 전진하여 조정롤(40)이 강판의 텐션을 조정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롤과 도금강판간의 밀착정도 조정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블록(60)은, 그 만곡된 모서리(60a)를 따라 가이드홈(66)에 인접하여 상기 브라켓트(62)에 연결 설치된 작동센서(S1)를 작동시키는 감지편(S2)이 다수개 설치되고, 상기 센서(S1)는 기어(70)의 구동을 위한 구동모터 (7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정블록(60)의 회전폭을 제어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롤과 도금강판간의 밀착정도 조정장치
KR1020020033894A 2002-06-18 2002-06-18 전도롤과 도금강판간의 밀착정도 조정장치 KR100882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3894A KR100882092B1 (ko) 2002-06-18 2002-06-18 전도롤과 도금강판간의 밀착정도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3894A KR100882092B1 (ko) 2002-06-18 2002-06-18 전도롤과 도금강판간의 밀착정도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6834A KR20030096834A (ko) 2003-12-31
KR100882092B1 true KR100882092B1 (ko) 2009-02-10

Family

ID=32387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3894A KR100882092B1 (ko) 2002-06-18 2002-06-18 전도롤과 도금강판간의 밀착정도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20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53246B (zh) * 2017-03-09 2023-09-29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超高压输电公司梧州局 自复位自锁紧的输电线路绝缘子检测机器人旋转关节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691A (ja) * 1991-07-09 1993-01-19 Nkk Corp 溶融金属浴中ロール駆動装置
JPH09202955A (ja) * 1996-01-26 1997-08-05 Kawasaki Steel Corp 溶融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0126607B1 (ko) * 1994-11-15 1998-04-07 김만제 징크 포터(Zinc Pot)의 스트립 클램프(Strip Clamp) 장치
KR20020018437A (ko) * 2000-09-01 2002-03-08 신현준 연속 용융 아연 도금 라인의 강판 진동 제어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691A (ja) * 1991-07-09 1993-01-19 Nkk Corp 溶融金属浴中ロール駆動装置
KR0126607B1 (ko) * 1994-11-15 1998-04-07 김만제 징크 포터(Zinc Pot)의 스트립 클램프(Strip Clamp) 장치
JPH09202955A (ja) * 1996-01-26 1997-08-05 Kawasaki Steel Corp 溶融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20018437A (ko) * 2000-09-01 2002-03-08 신현준 연속 용융 아연 도금 라인의 강판 진동 제어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6834A (ko) 2003-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867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Ni—Fe alloy thin foil
JP6089125B2 (ja) エッジの過メッキを防止するための電気メッキ装置
KR100882092B1 (ko) 전도롤과 도금강판간의 밀착정도 조정장치
US4036705A (en) Method for metal exchange
KR101620409B1 (ko) 롤러 클리닝장치
KR100984102B1 (ko) 전도롤과 도금강판간의 밀착정도 조정장치
KR20120099755A (ko) 전기도금 시스템에서 처리 재료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394448B1 (ko) 어스롤 세정유닛 및 수평셀 전기도금장치
KR200218294Y1 (ko) 후행 스트립의 선단부 안내장치
CN217369756U (zh) 一种冷轧不锈钢卷板成型装置
US4090938A (en) Apparatus for plating
CN220812684U (zh) 一种新型薄带钢电镀铬阳极板
KR20190125807A (ko) 강판 도금 장치
KR101793706B1 (ko) 수냉식 윤활타입 슬립 음극전원장치
JPH01176100A (ja) 鋼ストリップのめつき用不溶性アノード
CN220468082U (zh) 带钢下压装置及宽带铅浴淬火系统
KR100782738B1 (ko) 전도 롤 표면의 금속 분말 제거장치
JP3603484B2 (ja) ロール付着物の除去装置
KR100797330B1 (ko) 도금용 백업롤 표면의 줄마크 발생 방지장치
CN219620502U (zh) 一种防绕反机构及显示器加工装置
CN213264355U (zh) 一种镀膜机上料装置
CN213013134U (zh) 一种立式传输线的接头报警治具
CN217149357U (zh) 电镀装置
KR20020000257A (ko) 도금강판의 밴드크리스 방지장치
CN218532367U (zh) 一种钢结构桥梁薄板变形矫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