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4448B1 - 어스롤 세정유닛 및 수평셀 전기도금장치 - Google Patents

어스롤 세정유닛 및 수평셀 전기도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4448B1
KR101394448B1 KR1020120067489A KR20120067489A KR101394448B1 KR 101394448 B1 KR101394448 B1 KR 101394448B1 KR 1020120067489 A KR1020120067489 A KR 1020120067489A KR 20120067489 A KR20120067489 A KR 20120067489A KR 101394448 B1 KR101394448 B1 KR 101394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bar
cleaning
switched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7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0086A (ko
Inventor
진용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067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4448B1/ko
Publication of KR20140000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25D7/06Wires; Strips; Foils
    • C25D7/0614Strips or foils
    • C25D7/0664Isolating rolls
    • B08B1/30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12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25D7/06Wires; Strips; Foils
    • C25D7/0614Strips or foils
    • C25D7/0621In horizontal cell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기도금시 스트립과 접촉하는 어스롤의 표면을 세정하는 유닛에 있어서, 어스롤 세정유닛은 회전축 상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 상에서 회전가능한 하우징; 상기 어스롤과 인접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과 함께 회전가능한 고정바; 상기 고정바에 연결되며, 상기 어스롤의 표면에 맞닿는 세정위치와 상기 어스롤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대기위치로 전환가능한 클리너패드를 구비하는 세정부;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클리너패드가 상기 세정위치 및 상기 대기위치로 전환되도록 가변적인 무게를 가지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어스롤 세정유닛 및 수평셀 전기도금장치{EARTHROLL CLEANING UNIT AND ELECTROPLANTING APPARATUS IN HORIZONTAL CELL}
본 발명은 어스롤 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도금공정에서 수평셀의 전단에 설치되는 어스롤의 표면에 형성된 오염줄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등의 소재로 사용되는 강판은 내식성 향상을 위해 그 표면에 여러 가지 도금을 행하게 되며, 일반적으로는 전기도금에 의해 아연도금 또는 아연-니켈합금도금을 한다. 또한, 자동차의 외판재의 경우는 대체로 강판의 한쪽면만 도금하는 편면도금을 행하고 내판재의 경우 양면을 도금하는 양면도금을 실시한다. 이러한 편면도금이나 양면도금은 카로젤(Carosel) 전기도금설비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그 도금방식에 따라 편면전기도금방식을, 그리고 양면전기도금방식에 해당되는 카로젤형 전기도금장치를 보이고 있다. 카로젤형 전기도금장치는 전해조의 도금용액에 일부 침적된 전도롤과, 상기 전도롤과 일정 간격을 두고 도금용액에 침지된 상태에서 전도롤의 원주면을 따라 대향되어 위치한 2개의 양극대와, 상기 양극대의 브리지(bridge)와 전도롤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공급장치, 전류가 공급되는 양극대와 전도롤 사이로 강판을 인입시키는 굴절롤이 전도롤의 양측상단부에 위치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카로젤형 전기도금장치에 의한 편면전기도금방식은 다수의 전해조의 전해액에 일부 침지된 전도롤과 양극대 사이에 강판이 인입되어 순차적으로 진행되면서 일정 비율로 도금되는데 이러한 전기도금방식은 굴절롤에 의해 진행방향이 전환되면서도 계속 한쪽면만 전기도금되는 방식이다. 편면도금의 장점은 상기 전도롤의 밴드에 강판의 비도금면이 접촉되기 때문에 양면도금과는 달리 강판에 밴드자국이 생기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러나, 최근 수요가 측에서는 전기도금강판 소재로서 양면이 모두 도금된 제품을 원하기 때문에 거의 대부분의 강판이 양면전기도금되고 있는 실정이다. 양면도금은 강판이 순차적으로 전해조를 통과하여 일정 비율로 도금된 후, 굴절롤에 의해 진행방향이 반대방향이 되면서 비도금된 다른 쪽면이 전기도금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양면도금방식의 가장 단점은 도금된 강판의 일면이 전도롤의 밴드와 접촉하면서 강판의 양단부가 길이방향으로 밴드 자국이 생기는 것이다. 전기도금강판의 밴드자국의 크기는 강판의 재질 및 치수에 따라 강판에 부여되는 장력, 즉 브라이들롤(bridle roll)의 장력(tension)이 달라지며, 장력이 크면 밴드자국이 심하게 나타나고 장력이 작게 걸리면 약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0782739호 2007.11.29.
본 발명의 목적은 클리너패드를 어스롤에 접촉시켜 어스롤의 표면에 발생되는 오염줄을 제거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정부에 설치된 탄성체를 이용하여 어스롤과 클리너패드 사이에 완충작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기도금시 스트립과 접촉하는 어스롤의 표면을 세정하는 유닛에 있어서, 어스롤 세정유닛은 회전축 상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 상에서 회전가능한 하우징; 상기 어스롤과 인접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과 함께 회전가능한 고정바; 상기 고정바에 연결되며, 상기 어스롤의 표면에 맞닿는 세정위치와 상기 어스롤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대기위치로 전환가능한 클리너패드를 구비하는 세정부;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클리너패드가 상기 세정위치 및 상기 대기위치로 전환되도록 가변적인 무게를 가지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세정부는 상기 고정바에 형성된 가이드홀에 삽입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상기 고정바와 함께 이동가능한 가이드바; 상기 고정바를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바의 일측부 및 타측부에 각각 설치되는 전방리미터링 및 후방리미터링; 상기 전방리미터링과 상기 고정바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전방리미터링을 향해 탄성력을 가지는 전방탄성체; 및 상기 후방리미터링과 상기 고정바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후방리미터링을 향해 탄성력을 가지는 후방탄성체를 더 구비하며, 상기 클리너패드는 상기 가이드바의 일측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연결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놓여져 무게를 조절하는 하나 이상의 웨이트링;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웨이트링에 삽입되어 상기 웨이트링을 고정하는 링축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의 일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트립에 대하여 자성을 가지는 자석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어스롤 세정유닛은 상기 스트립이 상기 자석의 상부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지지부의 무게가 상기 세정부보다 무거우면 상기 클리너패드는 세정위치로 전환되며, 상기 세정부의 무게가 상기 지지부보다 무거우면 상기 클리너패드는 대기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어스롤 세정유닛은 상기 스트립이 상기 자석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지지부의 무게가 상기 세정부보다 기설정된 범위내의 무게를 가지면 상기 클리너패드는 대기위치로 전환되며, 상기 지지의 무게가 상기 세정부보다 기설정된 범위의 무게를 초과하면 상기 클리너패드는 세정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트립에 도금용액을 도금하는 수평셀 전기도금장치에 있어서 수평셀 전기도금장치는 상기 수평셀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스트립을 지지하여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어스롤; 상기 어스롤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어스롤의 표면을 선택적으로 세정하는 복수의 세정유닛들을 포함하며, 상기 세정유닛은 회전축 상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 상에서 회전가능한 하우징; 상기 어스롤과 인접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과 함께 회전가능한 고정바; 상기 고정바에 연결되며, 상기 어스롤의 표면에 맞닿는 세정위치와 상기 어스롤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대기위치로 전환가능한 클리너패드를 구비하는 세정부;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클리너패드가 상기 세정위치 및 상기 대기위치로 전환되도록 가변적인 무게를 가지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세정부는 상기 고정바에 형성된 가이드홀에 삽입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상기 고정바와 함께 이동가능한 가이드바; 상기 고정바를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바의 일측부 및 타측부에 각각 설치되는 전방리미터링 및 후방리미터링; 상기 전방리미터링과 상기 고정바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전방리미터링을 향해 탄성력을 가지는 전방탄성체; 및 상기 후방리미터링과 상기 고정바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후방리미터링을 향해 탄성력을 가지는 후방탄성체를 더 구비하며, 상기 클리너패드는 상기 가이드바의 일측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연결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놓여져 무게를 조절하는 하나 이상의 웨이트링;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웨이트링에 삽입되어 상기 웨이트링을 고정하는 링축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의 일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트립에 대하여 자성을 가지는 자석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어스롤 세정유닛은 상기 스트립이 상기 자석의 상부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지지부의 무게가 상기 세정부보다 무거우면 상기 클리너패드는 세정위치로 전환되며, 상기 세정부의 무게가 상기 지지부보다 무거우면 상기 클리너패드는 대기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어스롤 세정유닛은 상기 스트립이 상기 자석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지지부의 무게가 상기 세정부보다 기설정된 범위내의 무게를 가지면 상기 클리너패드는 대기위치로 전환되며, 상기 지지의 무게가 상기 세정부보다 기설정된 범위의 무게를 초과하면 상기 클리너패드는 세정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어스롤에 생성되는 오염줄을 제거함으로써 고품질의 냉연강판 제조시 도금공정에서 발생되는 오염줄마크 결함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작업자의 수작업 없이 자동적으로 어스롤에 생성되는 오염줄을 제거함으로써 라인중단등을 방지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어스롤이 배치되는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A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스롤 세정유닛의 배치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B의 확대도이다.
도 5는 어스롤 세정유닛의 대기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링축에 웨이트링이 삽입되어 세정위치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스트립의 하부에 설치된 어스롤 세정유닛의 위치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언급하는 ‘연결’은 두 개의 구성요소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매개체를 통해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어스롤이 배치되는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A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철소의 수평셀 전기도금 라인공정에서 어스롤(10)은 도금욕조인 도금셀(80)의 전단에 설치된다. 어스롤(10)은 스트립(3)의 통판 및 잔류전류를 차단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어스롤(10)은 도금셀(80)의 전 공정에서는 황산을 이용한 전처리 클리닝과정(88) 및 산세과정(PICKLE)(86)이 진행된 후에는 CPC(center position control)(84)에 의해 스트립의 사행(좌우 치우침)을 방지한다.
CPC(84)과정 후 어스롤(10)에 의해 이동된 스트립(3)은 도금셀(80)에서 황산욕을 이용한 도금공정이 이루어진다. 스트립(3) 상에 황산이 포함된 물이 스퀴징(squeezing)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어스롤(10)에 연속적으로 묻게된다. 그러므로, 스트립(3)의 폭 변화와 함께 장시간의 어스롤(10)의 회전이 누적되어 어스롤(10)에 오염줄(5)이 발생된다. 어스롤(10)에 발생된 오염줄(5)은 스트립(3)에 전사되어 오염줄마크결함(8)이 발생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스롤 세정유닛의 배치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립(3)은 어스롤(10)에 맞닿아 어스롤(10)의 회전에 의해 이동된다. 스트립(3)의 하부에는 어스롤(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회전축(20)이 설치되며, 회전축(20)의 양측면에는 메인프레임(6)이 설치된다. 회전축(20)은 어스롤(10)과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며, 회전축(20)상에는 복수개의 어스롤 세정유닛(1)이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어스롤 세정유닛(1)의 하우징(25)은 회전축(20) 상에 설치되어 회전축(20) 상에서 회전가능하다. 어스롤 세정유닛(1)은 회전축(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어스롤(10)과 맞닿아 세정하는 세정부(도4의 50)와 세정부(도4의 50)의 위치를 변환하여 이동시키는 지지부(도4의 70)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한 B부분의 어스롤 세정유닛(1)의 구조에 대해 도 4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B의 확대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스롤 세정유닛(1)의 하우징(25)은 회전축(20) 상에 설치된다. 회전축(20)과 하우징(25)은 힌지결합되어 기설정된 거리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으며, 스트립(3)의 이동방향을 중심으로 하우징(25)의 전후방에는 전방 및 후방브라켓(23,26)이 설치된다. 후방브라켓(26)의 하단부에는 고정바(35)가 연결될 수 있으며, 고정바(35)의 내주면에는 가이드홀(44)이 형성된다. 가이드바(45)는 가이드홀(44)에 삽입설치되어 고정바(35)와 함께 이동가능하다. 가이드바(45)의 일측부에는 후방리미터링(41)이 설치되며, 가이드바(45)의 타측부에는 전방리미터링(46)이 설치된다. 후방 탄성체(43)는 후방리미터링(41)과 고정바(35) 사이에 설치되어 후방리미터링(41)을 향해 탄성력을 제공한다. 또한, 전방 탄성체(48)는 전방리미터링(46)과 고정바(35) 사이에 설치되어 전방리미터링(46)을 향해 탄성력을 제공한다.
가이드바(45)는 고정바(35)에 형성된 가이드홀(44)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가이드바(45)상에 설치된 전방 및 후방탄성체(48,43)는 가이드바(45)의 양측부에 설치된 전방 및 후방리미터링(46,41)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고정바(35)가 이동할 경우 가이드바(45) 또한 이동되며, 가이드바(45) 상에 설치된 전방 및 후방 탄성체(48,43)에 의해 완충될 수 있다. 홀더(49)는 후방리미터(41)에 연결되며, 클리너패드(40)를 파지한다. 클리너패드(40)는 어스롤(10)과 직접 맞닿아 어스롤(10)의 회전시, 어스롤(10)의 표면에 발생된 오염줄(5)을 제거할 수 있다.
연결바(62)의 중앙부는 전방브라켓(23)에 대체로 수직하게 연결되며, 연결바(62)의 하단부에는 베이스 플레이트(63)가 고정설치될 수 있다. 링축(60)은 베이스 플레이트(63)를 관통하여 고정설치될 수 있다. 링축(60)은 연결바(62)와 나란하게 위치하며, 웨이트링(65)은 링축(60)에 삽입되어 클리너패드(40)가 어스롤(10)을 향해 이동가능하도록 지지부(70)의 무게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연결바(62)의 상단부에는 자석(30)이 설치되어 자석(30)의 상부에 스트립(3)이 위치할 경우, 자석(30)은 스트립(3)을 향해 자력을 가질 수 있다. 이어지는 도 5 내지 도 8을 통해 어스롤 세정유닛(1)의 클리너패드(40)가 어스롤(10)에 접촉하여 어스롤(10)을 세정하는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어스롤 세정유닛의 대기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링축에 웨이트링이 삽입되어 세정위치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기위치에서는 고정바(35)는 기울어져 클리너패드(40)는 어스롤(10)과 이격되어 위치된다. 즉, 웨이트링(65)가 없는 상태에서 회전축(20)을 중심으로 세정부(50)의 무게는 지지부(70)보다 무거우며, 이로 인해 고정바는 기울어진다. 또한, 스트립(3)이 어스롤 세정유닛(1)의 상부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 연결바(62)의 상단부에 설치된 자석(30) 또한 자력이 스트립(3)에 작용하지 않으므로, 작업자는 어스롤(10)의 세정이 불필요할 경우, 대기상태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축(60)에 기설정된 무게의 웨이트링(65)이 삽입될 경우 어스롤 세정유닛(1)은 세정위치로 전환된다. 클리너패드(40)는 웨이트링(65)의 무게에 의해 어스롤(10)을 향해 접촉하여 어스롤(10)의 표면에 발생된 오염줄(5)을 제거할 수 있다. 클리너패드(40)는 어스롤(10)의 표면과 접촉되는 경우가이드바(45)에 설치된 전방 및 후방탄성체(48,43)에 완충작용에 의해 어스롤(10) 표면의 마모 및 결함을 최소화하며 세정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어스롤 세정유닛(1)의 상부에 스트립(3)이 위치하지 않을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도 7 및 도 8을 통해 어스롤 세정유닛(1)의 상부에 스트립(3)이 위치할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은 스트립의 하부에 설치된 어스롤 세정유닛의 위치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세정부(50)와 지지부(70) 중 지지부(70)의 무게가 기설정된 무게보다 무거울 경우, 세정부(50)는 어스롤(10)을 향해 이동된다. 클리너패드(40)가 어스롤(10)에 접촉하여 오염줄(5)을 세정한다. 하지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립(3)의 하부에 설치된 어스롤 세정유닛(1)은 연결바(62)의 상단부에 설치된 자석(30)이 스트립(3)을 향해 자력을 제공함에 따라 연결바(62)가 회전된다. 연결바(62)의 회전과 함께 하우징(25) 또한 회전축(20)을 따라 회전하여 클리너패드(40)은 어스롤(10)과 이격되어 다시 대기위치로 전환된다.
뿐만 아니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웨이트링(65)을 추가로 포함할 경우에는 플리너패드(40)는 어스롤(10) 표면을 향해 이동되어 세정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클리너패드(40)와 어스롤(10)은 가이드바(45) 상에 설치된 전방 및 후방탄성체(48,43)의 완충작용으로 인해 어스롤(10)의 표면의 마모 및 결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도 5 내지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어스롤 세정유닛(1)은 어스롤(10)의 표면을 선택적으로 세정가능하다. 작업자는 어스롤(10)의 표면에 오염줄(5)이 발생될 경우, 웨이트링(65)의 무게를 변화함으로써 클리너패드(40)의 세정위치 및 대기위치로 전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기도금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어스롤 세정유닛(1)의 상부에 스트립(3)이 위치하지 않을 경우, 어스롤(3) 표면에 오염줄(5)이 발생되면 대기상태의 어스롤 세정유닛(1)의 링축(60)에 기설정된 무게의 웨이트링(65)을 설치하여 세정가능하다.
또한, 전기도금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어스롤 세정유닛(1)의 상부에 스트립(3)이 위치할 경우, 웨이트링(65)에 의해 기설정된 무게가 설치된 어스롤 세정유닛(1)은 자석(30)이 스트립(3)을 향해 자성으로 인해 연결바(62) 및 연결바(62)에 연결된 하우징(25)은 기울어진다. 하우징(25)이 기울어짐에 따라 고정바(35) 또한 함께 기울어지며, 클리너패드(40)는 대기위치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어스롤(10)의 표면에 오염줄(5)이 발생되어 어스롤(10)의 세정이 필요한 경우 작업자는 추가의 웨이트링(65)을 설치하여 기설정된 무게를 초과하면 클리너패드(40)의 세정위치로 전환이 가능하다.
따라서, 어스롤(10)의 표면에 형성되는 오염줄(5)은 어스롤 세정유닛(1)에 의해 완전하게 제거가능하며, 더 나아가 어스롤(10)의 표면을 선택적으로 세정하여 어스롤(10) 표면의 마모 및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 오염줄(5)로 인해 스트립(3)에 발생되었던 오염줄마크(8)의 발생이 방지되며 주기적인 라인 스피드 다운 후 어스롤(10) 세정 작업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생산성 향상과 안전사고 발생위험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품질향상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어스롤 세정유닛 3 : 스트립
5 : 오염줄 8 : 오염줄마크
10 : 어스롤 20 : 회전축
23 : 전방브라켓 25 : 하우징
28 : 후방브라켓 30 : 자석
40 : 클리너패드 41 : 후방리미터링
43 : 후방탄성체 45 : 가이드바
46 : 전방리미터링 48 : 전방탄성체
50 : 세정부 60 : 링축
62 : 연결바 63 : 베이스 플레이트
65 : 웨이트링 70 : 지지부

Claims (12)

  1. 전기도금시 스트립과 접촉하는 어스롤의 표면을 세정하는 유닛에 있어서,
    회전축 상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 상에서 회전가능한 하우징;
    상기 어스롤과 인접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과 함께 회전가능한 고정바;
    상기 고정바에 연결되며, 상기 어스롤의 표면에 맞닿는 세정위치와 상기 어스롤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대기위치로 전환가능한 클리너패드를 구비하는 세정부;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클리너패드가 상기 세정위치 및 상기 대기위치로 전환되도록 가변적인 무게를 가지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세정부는,
    상기 고정바에 형성된 가이드홀에 삽입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상기 고정바와 함께 이동가능한 가이드바;
    상기 고정바를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바의 일측부 및 타측부에 각각 설치되는 전방리미터링 및 후방리미터링;
    상기 전방리미터링과 상기 고정바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전방리미터링을 향해 탄성력을 가지는 전방탄성체; 및
    상기 후방리미터링과 상기 고정바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후방리미터링을 향해 탄성력을 가지는 후방탄성체를 더 구비하며,
    상기 클리너패드는 상기 가이드바의 일측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롤 세정유닛.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연결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놓여져 무게를 조절하는 하나 이상의 웨이트링;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웨이트링에 삽입되어 상기 웨이트링을 고정하는 링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롤 세정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의 일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트립에 대하여 자성을 가지는 자석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롤 세정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스롤 세정유닛은,
    상기 스트립이 상기 자석의 상부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지지부의 무게가 상기 세정부보다 무거우면 상기 클리너패드는 세정위치로 전환되며,
    상기 세정부의 무게가 상기 지지부보다 무거우면 상기 클리너패드는 대기위치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롤 세정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어스롤 세정유닛은,
    상기 스트립이 상기 자석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지지부의 무게가 상기 세정부보다 기설정된 범위내의 무게를 가지면 상기 클리너패드는 대기위치로 전환되며,
    상기 지지의 무게가 상기 세정부보다 기설정된 범위의 무게를 초과하면 상기 클리너패드는 세정위치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롤 세정유닛.
  7. 스트립에 도금용액을 도금하는 수평셀 전기도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셀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스트립을 지지하여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어스롤;
    상기 어스롤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어스롤의 표면을 선택적으로 세정하는 복수의 세정유닛들을 포함하며,
    상기 세정유닛은,
    회전축 상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 상에서 회전가능한 하우징;
    상기 어스롤과 인접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과 함께 회전가능한 고정바;
    상기 고정바에 연결되며, 상기 어스롤의 표면에 맞닿는 세정위치와 상기 어스롤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대기위치로 전환가능한 클리너패드를 구비하는 세정부;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클리너패드가 상기 세정위치 및 상기 대기위치로 전환되도록 가변적인 무게를 가지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셀 전기도금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부는,
    상기 고정바에 형성된 가이드홀에 삽입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상기 고정바와 함께 이동가능한 가이드바;
    상기 고정바를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바의 일측부 및 타측부에 각각 설치되는 전방리미터링 및 후방리미터링;
    상기 전방리미터링과 상기 고정바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전방리미터링을 향해 탄성력을 가지는 전방탄성체; 및
    상기 후방리미터링과 상기 고정바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후방리미터링을 향해 탄성력을 가지는 후방탄성체를 더 구비하며,
    상기 클리너패드는 상기 가이드바의 일측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셀 전기도금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연결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놓여져 무게를 조절하는 하나 이상의 웨이트링;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웨이트링에 삽입되어 상기 웨이트링을 고정하는 링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셀 전기도금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의 일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트립에 대하여 자성을 가지는 자석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셀 전기도금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어스롤 세정유닛은,
    상기 스트립이 상기 자석의 상부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지지부의 무게가 상기 세정부보다 무거우면 상기 클리너패드는 세정위치로 전환되며,
    상기 세정부의 무게가 상기 지지부보다 무거우면 상기 클리너패드는 대기위치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셀 전기도금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어스롤 세정유닛은,
    상기 스트립이 상기 자석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지지부의 무게가 상기 세정부보다 기설정된 범위내의 무게를 가지면 상기 클리너패드는 대기위치로 전환되며,
    상기 지지의 무게가 상기 세정부보다 기설정된 범위의 무게를 초과하면 상기 클리너패드는 세정위치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셀 전기도금장치.
KR1020120067489A 2012-06-22 2012-06-22 어스롤 세정유닛 및 수평셀 전기도금장치 KR101394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489A KR101394448B1 (ko) 2012-06-22 2012-06-22 어스롤 세정유닛 및 수평셀 전기도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489A KR101394448B1 (ko) 2012-06-22 2012-06-22 어스롤 세정유닛 및 수평셀 전기도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086A KR20140000086A (ko) 2014-01-02
KR101394448B1 true KR101394448B1 (ko) 2014-05-13

Family

ID=50138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7489A KR101394448B1 (ko) 2012-06-22 2012-06-22 어스롤 세정유닛 및 수평셀 전기도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44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223B1 (ko) 2015-05-06 2016-08-03 권처현 차량용 방호책
KR101777941B1 (ko) 2016-01-14 2017-09-12 권처현 차량용 방호책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3756A (ko) * 2008-01-30 2009-08-04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컨베이어벨트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110126821A (ko) * 2010-05-18 2011-11-24 (주)포스젯한도 롤러용 스크래핑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3756A (ko) * 2008-01-30 2009-08-04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컨베이어벨트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110126821A (ko) * 2010-05-18 2011-11-24 (주)포스젯한도 롤러용 스크래핑 장치
KR101219063B1 (ko) * 2010-05-18 2013-01-07 (주)포스젯한도 롤러용 스크래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086A (ko) 2014-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3228B1 (ko) 이물제거장치
KR101394448B1 (ko) 어스롤 세정유닛 및 수평셀 전기도금장치
US275033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deposition of a layer of uniform thickness on a conductive surface
KR101602849B1 (ko) 수평셀 전기도금장치
CN211170943U (zh) 一种用于电镀行车的接液装置
KR101620409B1 (ko) 롤러 클리닝장치
CN211713229U (zh) 一种带有消泡机构的挂镀架
KR20160032549A (ko) 롤 세정장치 및 세정방법
KR20080057841A (ko) 도금 설비의 강판 이물질 제거장치
KR101206986B1 (ko) 철 폼 전해 도금 장치
KR101641594B1 (ko) 롤 클리닝장치
CN102933751B (zh) 滚筒用镀敷装置
JP7020452B2 (ja) 縦型金属帯処理装置、縦型金属帯処理装置の電極取替方法、および電極取替冶具
KR101620411B1 (ko) 롤러 클리닝장치
KR101602854B1 (ko) 롤 이물질 제거장치
CN202989326U (zh) 一种电镀设备用清洗装置
KR101628060B1 (ko) 용융 도금 장치용 스크래퍼
KR100948909B1 (ko) 도금강판 제조공정의 전도롤 표면 이물질 제거장치
CN207904396U (zh) 一种电镀导电座与挂具接触面的清洁装置
KR100782738B1 (ko) 전도 롤 표면의 금속 분말 제거장치
JP5187673B1 (ja) 金属製円筒状ローラーのメッキ装置
CN219409875U (zh) 一种提高涂机轧制线辊使用周期的装置
KR101481608B1 (ko) 도금용액 회수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수평셀 전기도금장치
KR20160045688A (ko) 컨베이어 벨트를 전기 폴리싱 및 전기 도금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215251251U (zh) 一种导电辊擦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