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1899B1 - 폭 조절이 가능한 휠체어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폭 조절이 가능한 휠체어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1899B1
KR100881899B1 KR1020070047576A KR20070047576A KR100881899B1 KR 100881899 B1 KR100881899 B1 KR 100881899B1 KR 1020070047576 A KR1020070047576 A KR 1020070047576A KR 20070047576 A KR20070047576 A KR 20070047576A KR 100881899 B1 KR100881899 B1 KR 100881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member
wheelchair
frame
link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7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1182A (ko
Inventor
김현준
Original Assignee
대성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7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1899B1/ko
Publication of KR20080101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1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1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1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8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 A61G5/0808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folding direction
    • A61G5/081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folding direction folding side to side, e.g. reducing or expanding the overall width of the wheelchair
    • A61G5/0825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folding direction folding side to side, e.g. reducing or expanding the overall width of the wheelchair comprising a scissor-type frame, e.g. having pivoting cross bars for enabling fol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힌지부(11)로 이루어진 중심측을 기준으로 하여 소정의 범위 내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X자형회전프레임(17)을 구비하되, 상기 X자형회전프레임(17)의 양쪽 상측에는 이와 일체로 형성된 측부시트프레임(13)을 상호 대향 배치하는 한편, 그 하측 양단부에는 제1링크부재(20)가 저면보강프레임(18)과 함께 각각 마련되어 저면베이스프레임(27)의 제2링크부재(25)와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더불어, 탑승자의 무게를 견뎌낼 수 있도록 휠체어의 실질적인 지지체로 작용하게 되는 메인프레임(31) 및 상기 X자형회전프레임(17)에는 공통적으로 다수의 체결공(28,28a)을 형성시켜 별도의 측부조절링크(36)로 하여금 이들을 연결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휠체어, 휠체어 어셈블리, 링크

Description

폭 조절이 가능한 휠체어 어셈블리{A width-adjustable form for the wheel chai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된 한 조의 링크부재.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인 한 조의 링크부재가 각 프레임과 연계되어 작용되어짐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상적인 휠체어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4(a)(b)(c)는 본 발명의 링크부재 및 측부조절링크의 상호 작용으로 휠체어 폭이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음을 보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휠체어의 접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요부인 측부조절링크 사시도.
도 7(a)(b)(c)은 상기 휠체어가 다양한 폭을 형성할 수 있도록 링크부재의 구체적인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 예시도.
도 8 및 도 9는 종래의 휠체어가 가지는 기본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주요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힌지부 13. 측부시트프레임
17. X자형회전프레임 18. 저면보강프레임
20. 제1링크부재 21. 삽입공
23,24. 조립공 25. 제2링크부재
26. 조립공 27. 저면베이스프레임
28,28a. 체결공 31. 메인프레임
36. 측부조절링크 37. 조절공
40. 삽입공 42. 나사부
43. 너트 51. 체결수단
55. 휠 56. 구동핸들
57. 보조휠 58. 발판
59. 손잡이 60. 지지편
100. 휠체어
본 발명은 휠체어(wheel chair)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휠체어의 폭(너비)을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개인 각자의 체형에 알맞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계절에 따라 각기 달리 착용하게 되는 피복의 두께에도 적절한 자리 폭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좁은 통로를 지나거나 휠 체어 사용자의 보다 안락한 탑승을 위해 휠체어의 폭을 넓히고자 할 경우에도 간단한 조립 구조의 변형만으로 휠체어의 폭 조절이 가능할 수 있게 구성한 휠체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 또는 지체부자유인이 비교적 단거리를 이동할 때 사용하는 이동수단으로, 탑승자가 휠에 부착된 환상의 구동핸들을 자력으로 구동시키거나 보조원의 도움을 받아 주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요즈음에는 전동기와 같은 전기구동장치를 휠체어 상에 연결설치함으로써 탑승자가 간단한 스위치 조작만으로 상기 휠체어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전동식 휠체어가 개발되어 다수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휠체어는 대체로 정형화된 규격으로 생산되고 있는바, 구체적으로 우선 좌석(시트)의 높이는 발뒤꿈치부터 무릎 뒤까지의 길이보다 5cm정도 연장되게 하고, 좌석의 넓이는 엉덩이보다 2.5~5cm 정도 넓게 형성시켜 흔히 성인 주먹 하나가 더 들어갈 정도의 여유공간을 마련토록 하며, 그 깊이는 엉덩이 뒤쪽에서 무릎 뒤까지의 길이보다 8~10cm 정도 작게 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특히, 휠체어의 '자리 폭'은 탑승자의 허리 폭보다 약 5cm 정도 넓게 형성하는 것이 가장 안락하고 편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8 및 도 9는 종래의 휠체어가 가지는 기본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으로, 이하 보통의 크로스바를 가지는 휠체어의 구성에 대해 간략히 기술하겠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A)은 둥근 파이프의 용접구조로, 상기 메인 프레임에 암레스트(B)가 나사로 고정되어 있으며, 자리 시이트 파이프받이(C) 또한 용접으로 설치되어 있다. 자리 시이트 파이프(C)는 크로스바(D)의 상부에 위치한 환형의 파이프이고, 평행 링크(E)는 휠체어를 접어 포갤 때, 좌우의 메인 프레임(A)이 평행하게 닫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양단부는 회전축으로 되어 있다. 특히, 크로스바(D)는 접어 포개는 휠체어에서 필수적인 구조부품이고, 상기 휠체어의 상부에는 자리 시이트 파이프(F)가, 그 하부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메인 프레임의 베이스 파이프와 동축이 되는 파이프가 용접되어 있으며, 메인 프레임에는 휠이 설치된다.
전술한 휠체어로 크로스바의 열림각도 θ1을 작게 하면, 자리 폭(도 9 참조)은 좁아지게 되면서 상기의 자리 시이트 파이프(F)가 자리 시이트 파이프받이(C)로부터 올라와 탑승자의 체중을 지탱할 수 없으며, 자리 시이트가 올라옴으로써 암레스트(B)까지의 높이가 낮아져 최적높이라고 불리는 25cm가 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휠체어의 자리 폭을 넓히는 경우에 있어서는 그 구조상 자리 시이트 파이프가 자리 시이트 파이프받이(C)보다 밑으로 위치할 수가 없게 됨에 따라 종래의 휠체어에서는 크로스바의 형상(길이 등)을 변경하지 않고서는 자리 폭을 변경할 수 없는 것이다.
한편, 요즈음에는 휠체어가 필요한 사람의 허리 폭을 재어서 그것에 알맞은 크로스 바를 별도로 장착하여 구성한 휠체어를 공급하고 있으나, 휠체어의 렌탈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이러한 휠체어로는 그 공급을 충족시킬 수가 없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구현된 휠체어 또한 자리 폭 치수가 극히 한정되어 있어서 실익이 없다. 또한, 여름철이나 겨울철 착용하는 의복의 종류 및 그 두께가 다름에도 상기의 휠체어는 최초 생산시 일률적인 폭을 갖도록 구성되어 탑승자의 편의에 만족을 기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단 하나의 한정된 자리 폭만으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자체적으로 탑승자의 신체 또는 주위 환경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섬세하게 자리 폭을 변경할 수 있게 구성함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힌지부(11)로 이루어진 중심측을 기준으로 하여 소정의 범위 내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X자형회전프레임(17)을 구비하되, 상기 X자형회전프레임(17)의 양쪽 상측에는 이와 일체로 형성된 측부시트프레임(13)을 상호 대향 배치하는 한편, 그 하측 양단부에는 제1링크부재(20)가 저면보강프레임(18)과 함께 각각 마련되어 저면베이스프레임(27)의 제2링크부재(25)와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더불어, 탑승자의 무게를 견뎌낼 수 있도록 휠체어의 실질적인 지지체로 작용하게 되는 메인프레임(31) 및 상기 X자형회전프레임(17)에는 공통적으로 다수의 체결공(28,28a)을 형성시켜 별도의 측부조절링크(36)로 하여금 이들을 연결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통상적인 휠체어(100)에 관련된 것으로, 휠체어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수납 내지 보관을 위하여 자체적으로 포개어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 휠체어를 접는 방식은 다양하지만, 구조의 간단함과 강도 면에서 지극히 효과적인 X자형 크로스바 구조로 구현되는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이러한 접이식 휠체어의 자리 폭을 별도의 조립부품 없이도 임의대로 변경할 수 있도록 구현함에 주된 특징이 있다.
우선, 첨부한 도면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된 한 조의 링크부재, 도면 2는 본 발명의 요부인 한 조의 링크부재가 각 프레임과 연계되어 작용되어짐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용상태도, 도면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상적인 휠체어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면 4(a)(b)(c)는 본 발명의 링크부재 및 측부조절링크의 상호 작용으로 휠체어 폭이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음을 보인 구성도, 도면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휠체어의 접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예시도, 도면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요부인 측부조절링크 사시도, 도면 7(a)(b)(c)은 상기 휠체어가 다양한 폭을 형성할 수 있도록 링크부재의 구체적인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 예시도, 도면 8 및 도면 9는 종래의 휠체어가 가지는 기본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면 10은 본 발명의 주요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분해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된 요부는 제1링크부재(20) 및 제2링크부재(25)이다. 상기 제1링크부재 및 제2링크부재에는 각각 L(Long), S(Short), M(Middle)에 해당하는 거리로 세분화하여 휠체어의 폭을 결정할 수 있도록 다수의 조립공(23,24,26)을 마련하였으며, 각기 다른 폭을 형성하기 위한 이들의 구체적인 결합방식은 도 7(a)(b)(c)에 상세히 나타내었다. 이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요부인 측부조절링크(36)와 관련하여 후술하도록 하겠다.
상기 제1링크부재(20)는 도 1과 2에 각각 도시한 것처럼 X자형회전프레임(17)의 하측 각 단부에서 이와 일체된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X자형회전프레임(17)의 좌측 및 우측 하단에서 각각으로 대향 배치된 복수의 제1링크부재(20)는 저면보강프레임(18)으로 연결설치되는데, 이러한 구성은 상기 제1링크부재(20)에 형성된 삽입공(21)을 통해 저면보강프레임(18)이 인입되어 고정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X자형회전프레임(17)은 소정간격으로 상호 대향되게 위치시킨 한 쌍의 측부시트프레임(13)을 일정 범위 내에서 유동시켜 상기 측부시트프레임(13) 사이의 간격을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도록 그 중심측에 힌지부(11)가 구비된다. 이는, 휠체어(100)를 실질적으로 접을 수 있는 유용한 수단이 되며, 종래와 유사 내지 동일한 기술 개념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러한 X자형회전프레임(17)의 회동에 따라 상기 측부시트프레임(13)의 간격이 조절되며, 측부시트프레임 사이에는 탑승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연질의 시트(미도시함)가 더 설치된다.
상기 제2링크부재(25)는 도 2에서와 같이 저면베이스프레임(27)의 일측 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제1링크부재(20)와 맞물려 고정설치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면베이스프레임(27)은 제2링크부재(25)의 삽입공(40)으로 하여금 삽입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공(40)에 인입된 저면베이스프레임(27)의 단부 내측에는 나사부(42)가 형성되는바, 상기 나사부(42)는 제1링크부재(20)의 조립공(23)을 통해 인 입되는 체결수단(51)이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조립공(23)과 동일한 크기와 형태로 구성되고, 이러한 나사부(42)의 작용으로 상기 제1링크부재(20) 및 제2링크부재(25)는 견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측부조절링크(36)는 휠체어(100)를 접어 포갤 경우에 있어, 좌우의 메인프레임(31)이 평행하게 닫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로,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상기 메인프레임과 결속되는 일측은 절곡 형성되며, 상기 측부조절링크(36)의 양측 단부는 회전축으로 조립 설치되어 일정한 회동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측부조절링크(36)는 X자형회전프레임(17)과 메인프레임(31) 사이에 위치하면서 X자형회전프레임(17)의 유동에 따른 회전력을 전달받아 메인프레임(31)이 보다 정확하고 안정감 있게 접히거나 혹은 펼쳐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의 측부조절링크(36)는 해당 링크(36)의 조절공(37)이 X자형회전프레임(17)의 체결공(28a)과 적정한 위치에서 맞물려 별도의 조립수단으로 체결되고, 이로 인해 회전체로 작용할 수 있는바, 상기 제1,2링크부재(20,25)의 결합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측부조절링크(36)의 조절공(37) 및 X자형회전프레임(17)의 체결공(28a) 결속위치 또한 변화시켜 휠체어 폭을 변경함에 더욱 완벽한 요소를 갖추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저면베이스프레임(27)의 외측에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휠(55)이 저면베이스프레임(27)과 대체로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휠(55)에는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환상의 구동핸들(56)이 각각 구비된다. 또한, 상기 휠(55)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브레이크 수단(미도시함)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저면베이스프레임(27)의 전방 하측에는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보조휠(57)과 탑승자가 발로 지지하게 되는 발판(58)이 각각 설치되고, 후방에는 보조원이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59)가 절곡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사이에는 탑승자의 등을 지지할 수 있는 시트백(미도시함)이 설치된다.
이하,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b)(c)는 제1,2링크부재(20,25) 및 측부조절링크(36)의 상호작용으로 휠체어(100)의 폭이 미세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한 알파벳 a, b, c는 휠체어 폭에 변화가 있음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7(a)(b)(c)는 도 4(a)(b)(c)의 제1,2링크부재(20,25) 부분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7(a)는 도 4(a)를, 7(b)는 도 4(b)를, 도 7(c)는 도 4(c)를 의미한다.
우선, 제1링크부재(20)와 제2링크부재(25)의 상호 결합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2링크부재(25)에 연계된 저면베이스프레임(27)의 나사부(42)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바, 상기 제2링크부재(25)의 삽입공(40)으로 인입된 저면베이스프레임(27) 및 그 단부 내측에 형성된 나사부(42)가 제1링크부재(20)의 조립공(23)을 통해 인입된 체결수단(51)과 나사 결합하는 것으로 완성된다.
즉, 상기 저면베이스프레임(27)과 결부된 제2링크부재(25)의 삽입공(40)을 통해 소정 깊이로 이루어진 나사부(42)가 저면베이스프레임(27) 단부상에 위치하게 되며, 이후 도 2에서와 같이 저면보강프레임(18)과 결부된 제1링크부재(20)를 상기 제2링크부재(25)에 근접시킨 후, 제1링크부재의 다수 조립공(L,S,M)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한 조립공을 통해 체결수단(51)을 인입시켜 상기 나사부(42)에 끼워 고정하게 된다. 상기의 과정을 거친 다음, 제1링크부재(20)의 또 다른 조립공(24)을 제2링크부재(25)의 조립공(L,S,M) 중 하나와 일치되게 위치시켜 별도의 체결수단(51)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식을 통해 제1,2링크부재(20,25)의 상호 결합은 완료된다.
여기서, 도면 7(a)와 4(a)를 참고하여 제1,2링크부재간의 결합상태는 물론, 이들의 다양한 결합에 따른 X자형회전프레임(17)과 측부조절링크(36)의 결합상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제1링크부재(20)의 조립공(23,S)에 체결수단(51)을 인입시켜 저면베이스프레임(27)의 나사부(42)에 상기 체결수단(51)을 끼워 고정하는 한편, 제1링크부재(20)의 또 다른 조립공(24)은 제2링크부재(25)의 조립공(S)와 일치시킨 후, 이들 역시 체결수단(51)을 이용해 견고히 고정시킨다. 이로써, 상기한 X자형회전프레임 일체는 휠체어의 좌우 몸체가 되는 저면베이스프레임(27)과 결합되어 일체된 일련의 동작들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립공(S-S)의 결합에 따라 휠체어의 전체 폭은 a만큼 이격된 형상으로 구성되며, 이때 측부조절링크(36) 또한 그 몸체에 자체적으로 형성된 조절공(37,S)을 X자형회전프레임의 체결공(28a,S)에 일치시켜 조립함으로써 의도하는 휠체어 폭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참고로, 도면에 도시하진 못하였으나, 상기 X자형회전프 레임(17)에 형성시킨 체결공은 X자형회전프레임의 중심으로부터 차례대로 S, M, L이다.
첨부도면 4(b)는 4(a)와는 달리, 좀 더 폭이 넓은 휠체어를 구성하고자 하는 경우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제시한 것으로, 도 7(b)에서와 같이 상기 제1링크부재(20)의 조립공(23,M)에 체결수단(51)을 인입시켜 저면베이스프레임(27)의 나사부(42)에 상기 체결수단(51)을 끼워 고정하는 한편, 상기 제1링크부재(20)의 또 다른 조립공(24)을 제2링크부재의 조립공(26,M)에 일치시켜 별도의 체결수단(51)으로 하여금 고정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도 7(a) 및 4(a)의 경우보다 제1링크부재(20)가 휠체어 내측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가 되면서 도 4(b)에 도시한 것과 같이 휠체어의 폭이 b만큼 늘어난 상태가 되는 것이다. 한편, 측부조절링크(36) 또한 이들의 늘어난 폭을 감안하여 X자형회전프레임(17)과 조립되어져야 하는바, 도 4(b)에서와 같이 X자형회전프레임의 체결공(28a,M)이 측부조절링크의 조절공(37,M)과 일치된 상태에서 조립이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도 4(c) 및 도 7(c)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휠체어의 구성 중 상기 휠체어의 폭이 가장 넓게 형성될 수 있음을 도시한 것이다.
도 7(c)에서와 같이 상기 제1링크부재(20)의 조립공(23,L)에 체결수단(51)을 인입시켜 저면베이스프레임(27)의 나사부(42)에 상기 체결수단(51)을 끼워 고정하는 한편, 상기 제1링크부재의 또 다른 조립공(24)을 제2링크부재의 조립공(26,L)에 일치시켜 별도의 체결수단(51)으로 하여금 고정시키게 된다.
이로써, 도 7(a) 및 4(a)는 물론, 도 7(b) 및 4(b)의 경우에 비해 제1링크부 재(20)가 휠체어 내측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가 되면서 결과적으로, 도 4(c)에 도시한 것과 같이 휠체어의 폭이 c로 늘어난 상태가 되는 것이다. 한편, 측부조절링크 (36)또한 이들의 늘어난 폭을 감안하여 X자형회전프레임(17)과 조립되어져야 하는바, 도 4(c)에서와 같이 X자형회전프레임의 체결공(28a,L)이 측부조절링크의 조절공(37,L)과 일치된 상태에서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제1링크부재(20)와 제2링크부재(25)의 상호 결합위치 그리고, 측부조절링크(36)와 X자형회전프레임(17)의 상호 결합위치에 따라 본 발명의 휠체어(100)는 서로 다른 구성으로 구현되어 각기 다른 휠체어 폭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임을 주지하는 바이다.
한편, 도 4(a)(b)(c)에 공통적으로 부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은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도 4(a)는 X자형회전프레임의 체결공(28a,S)이 측부조절링크의 조절공(37,S)와 포개지고, 도 4(b)는 X자형회전프레임의 체결공(28a,M)이 측부조절링크의 조절공(37,M)과 포개지며, 도 4(c)는 X자형회전프레임의 체결공(28a,S)이 측부조절링크의 조절공(37,S)과 포개지게 됨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휠체어 구성을 사실적으로 분해하여 나타낸 것으로, 크게 휠체어의 좌우 몸체 및 X자형회전프레임 일체로 구분 지을 수 있으며, 이들이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하나의 휠체어(100)로 구성된다. 상측으로는 측부시트프레임(13)이 상호 대향 배치되고, 하측에는 좌우 각각 한 쌍의 제1링크부재(20)가 저면보강프레임(18)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힌지부(11)를 통해 소정의 범위 내에서 접히거나 펴질 수 있도록 구성한 X자형회전프레임(17)을 형성시키되, 상기 X자형회전프레 임의 상측 측부시트프레임(13)은 좌우측에서 인접하는 몸체의 지지편(60)에 얹혀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시트에 앉은 탑승자의 무게를 지탱하게 되고, 하측에 형성된 제1링크부재(20)는 저면보강프레임(18)과 함께 제2링크부재(25)와 결합되는 동시에 저면베이스프레임(27)과도 연계되어 하나의 지지틀로서 기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휠체어(100)는 상황에 따라 휠체어 폭을 달리 형성하기 위해 상기 X자형회전프레임 일체를 좌우 몸체에 결합하는 경우에 있어, 최초 제1링크부재와 제2링크부재에 형성된 조립공 중 알맞은 것을 선택하여 표기된 알파벳끼리(S-S, M-M, L-L) 일치시켜 고정결합한 다음, 이에 따른 측부조절링크의 조절공 또한 X자형회전프레임의 체결공과 같은 알파벳끼리(S-S, M-M, L-L) 일치시켜 고정하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례에 기초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제1링크부재와 제2링크부재 및 측부조절링크와 X자형회전프레임의 상호 결합위치에 따라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휠체어의 폭(너비)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현하여 좁은 통로를 지나거나 혹은 휠체어 사용자의 체형이나 계절에 따른 의복상태를 고려하여 보다 안 락한 탑승을 위해 휠체어의 폭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 간단한 조립구조의 변형만으로도 휠체어의 폭 조절이 가능할 수 있어서 더욱 효과적이다.

Claims (6)

  1. 휠체어에 있어서,
    상측에 측부시트프레임이 상호 대향 배치되고, 하측에는 좌우 각각 한 쌍의 제1링크부재가 저면보강프레임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힌지부를 통해 소정의 범위 내에서 접히거나 펴질 수 있도록 X자형회전프레임을 구성하며, 상기 X자형회전프레임에는 다수의 체결공(S,M,L)을 형성하여 다수의 조절공(S,M,L)이 구비된 측부조절링크와 결합되게 하고, 상기 측부조절링크의 타측 단부에는 또 다른 체결공(28)을 형성하여 메인프레임과 결속시키며, 저면베이스프레임의 일측 단부에는 각각 제2링크부재를 고정결합시켜 제1링크부재와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 제2링크부재는 저면베이스프레임을 수용하여 고정설치할 수 있도록 삽입공(40)을 형성하며, 소정의 위치에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다수의 조립공(26)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제1링크부재는 저면보강프레임을 수용하여 고정설치할 수 있도록 삽입공(21)을 마련하고, 소정의 위치에 제2링크부재의 조립공(26)과 동일한 크기의 조립공(23) 및 또 하나의 조립공(24)을 더 포함하여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폭 조절이 가능한 휠체어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베이스프레임의 단부 내측에는 나사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링크부재의 조립공(23) 중 하나를 통해 인입된 체결수단과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제1링크부재와 제2링크부재가 상호 결합하는 폭 조절이 가능한 휠체어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부재의 조립공(S)에 체결수단을 인입시켜 저면베이스프레임의 나사부에 상기 체결수단을 끼워 고정하고, 제1링크부재의 또 다른 조립공(24)을 제2링크부재의 조립공(S)과 일치시킨 후 체결수단으로 고정하는 한편, 측부조절링크의 조절공(S)은 X자형회전프레임의 체결공(S)과 일치시켜 조립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폭 조절이 가능한 휠체어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부재의 조립공(M)에 체결수단을 인입시켜 저면베이스프레임의 나사부에 상기 체결수단을 끼워 고정하고, 제1링크부재의 또 다른 조립공(24)을 제2링크부재의 조립공(M)에 일치시켜 체결수단으로 고정하는 한편, X자형회전프레임의 체결공(M)은 측부조절링크의 조절공(M)과 일치시켜 조립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폭 조절이 가능한 휠체어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부재의 조립공(L)에 체결수단을 인입시켜 저면베이스프레임의 나사부에 상기 체결수단을 끼워 고정하고, 제1링크부재의 또 다른 조립공(24)을 제2링크부재의 조립공(L)에 일치시켜 체결수단으로 고정하는 한편, X자형회전프레임의 체결공(L)은 측부조절링크의 조절공(L)에 일치시켜 조립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 는 폭 조절이 가능한 휠체어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부재와 제2링크부재의 결합위치 및 측부조절링크와 X자형회전프레임의 결합위치에 따라 각각 상이한 휠체어 폭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폭 조절이 가능한 휠체어 어셈블리.
KR1020070047576A 2007-05-16 2007-05-16 폭 조절이 가능한 휠체어 어셈블리 KR100881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576A KR100881899B1 (ko) 2007-05-16 2007-05-16 폭 조절이 가능한 휠체어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576A KR100881899B1 (ko) 2007-05-16 2007-05-16 폭 조절이 가능한 휠체어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182A KR20080101182A (ko) 2008-11-21
KR100881899B1 true KR100881899B1 (ko) 2009-02-11

Family

ID=40287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7576A KR100881899B1 (ko) 2007-05-16 2007-05-16 폭 조절이 가능한 휠체어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18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560B1 (ko) 2022-06-10 2022-08-23 백승현 등받이 연동형 전고 및 전폭 접이식 휠체어용 프레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30855B2 (en) 2015-11-02 2017-08-15 Medline Industries, Inc. Collapsible personal wheeled conveyance having a selectively adjustable width
KR102222744B1 (ko) 2019-03-14 2021-03-04 최의기 수동 휠체어 보조동력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7696A (ja) 1996-11-01 1998-05-19 Iura:Kk 車椅子
KR20020021985A (ko) * 2000-09-18 2002-03-23 가부시키가이샤 우에다 토코 자리폭가변 휠체어
JP2004049679A (ja) 2002-07-23 2004-02-19 Kawamura Cycle:Kk 車いす
JP2004105475A (ja) * 2002-09-18 2004-04-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座幅調節可能な折り畳み式の車椅子
JP2004159950A (ja) 2002-11-14 2004-06-10 Ueda Tookoo:Kk 座幅可変車椅子
JP2005160718A (ja) * 2003-12-02 2005-06-23 Nisshin Iryoki Kk 座幅調整可能な車椅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7696A (ja) 1996-11-01 1998-05-19 Iura:Kk 車椅子
KR20020021985A (ko) * 2000-09-18 2002-03-23 가부시키가이샤 우에다 토코 자리폭가변 휠체어
JP2002085467A (ja) * 2000-09-18 2002-03-26 Ueda Tookoo:Kk 座幅可変車椅子
JP2004049679A (ja) 2002-07-23 2004-02-19 Kawamura Cycle:Kk 車いす
JP2004105475A (ja) * 2002-09-18 2004-04-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座幅調節可能な折り畳み式の車椅子
JP2004159950A (ja) 2002-11-14 2004-06-10 Ueda Tookoo:Kk 座幅可変車椅子
JP2005160718A (ja) * 2003-12-02 2005-06-23 Nisshin Iryoki Kk 座幅調整可能な車椅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560B1 (ko) 2022-06-10 2022-08-23 백승현 등받이 연동형 전고 및 전폭 접이식 휠체어용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182A (ko) 200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6911B2 (ja) 背もたれ付き椅子
TR201512018A2 (tr) Torsi̇yon çubuğu üst koltuk arkaliği destek düzeneği̇
US3758150A (en) Collapsible wheel chair
KR100881899B1 (ko) 폭 조절이 가능한 휠체어 어셈블리
KR20100093862A (ko) 가슴받이 의자
EP1295582B1 (en) Wheelchair with a self-supporting sitting suppor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WO2009107909A1 (en) Chair for handicapped person
JP4606446B2 (ja) 車いす用車体フレーム
CN213820632U (zh) 座椅
ITPD20010107A1 (it) Seduta per disabili
JP5108412B2 (ja) 車椅子の座部の長さ調節部材
KR101056076B1 (ko) 허리받이와 머리받이로 겸용 가능한 받침부재를 갖는 의자
JP5277031B2 (ja) 車椅子
JP2002253617A (ja) バケット式車椅子
KR200319927Y1 (ko)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의 시트높이 조절구조
KR101458988B1 (ko) 휠체어
CN219963286U (zh) 一种宽度可调的轮椅座架
EP0908167A2 (en) Reversible seat for front wheel drive and rear wheel drive power wheelchair having stepless angular adjustment
CN112369855B (zh) 一种坐站椅及坐站姿切换方法
US20150351552A1 (en) Chair with flex member
KR20110126811A (ko) 자동차 시트
KR200319930Y1 (ko)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의 전방 보조륜 장착구조
JPH0430935Y2 (ko)
TWM382940U (en) Adjustment device for backrest cushion of motorbike seat
JP2003010000A (ja) 椅子におけるランバーサポート機能付き背もた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