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1164B1 - 해태 건조용 발장 - Google Patents

해태 건조용 발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1164B1
KR100881164B1 KR1020070071373A KR20070071373A KR100881164B1 KR 100881164 B1 KR100881164 B1 KR 100881164B1 KR 1020070071373 A KR1020070071373 A KR 1020070071373A KR 20070071373 A KR20070071373 A KR 20070071373A KR 100881164 B1 KR100881164 B1 KR 100881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tai
seating plate
attached
seaweed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1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8067A (ko
Inventor
김남형
Original Assignee
김남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형 filed Critical 김남형
Priority to KR1020070071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1164B1/ko
Publication of KR20090008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1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1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태 건조용 발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작이 간편하고 대량 생산되며, 또한 내구수명이 연장되어 쉽게 파손되지 않아 장기간 사용할 수 있어 저렴한 가격으로 어민에게 제공하여 어민의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해태 건조용 발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채취한 해태가 부착되어 건조기를 통과하면서 마른 김으로 생산되도록 김 발장걸이에 장착되는 김 발장에 있어서, 상기 김 발장은, 상기 해태가 부착되도록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해태의 부착을 위해 오목면 또는 볼록면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굴곡부(20)가 형성된 해태안착판(10)과; 상기 해태안착판(10)의 굴곡부(20)에 상기 해태로부터 배출되는 수분을 배수시키도록 상기 해태안착판(10)의 길이방향에 직교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된 배수공(22)으로 구성되고, 상기 배수공(22)의 양측에는 부착된 해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배수공(22)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깊이의 홀더홈(24)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배수공(22)에 대향되는 상기 홀더홈(24)의 일측에는 상기 홀더홈(24)의 선단부에 연장되어 상측으로 돌출되게 걸림턱(2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해태안착판, 굴곡부, 배수공, 홀더홈, 걸림턱, 돌출선, 돌출부, 함몰부

Description

해태 건조용 발장{LAVER DRYING BOARD}
본 발명은 해태 건조용 발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작이 간편하고 대량 생산되며, 또한 해태의 건조시간을 단축하고 김 발장의 내구성을 증대시켜 쉽게 파손되지 않아 장기간 사용할 수 있고, 저렴한 가격으로 어민에게 제공하여 어민의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해태 건조용 발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른 김은 양식장에서 채취한 해태 엽체를 잘게 세절한 후 물에 혼합하여 만든 물김을 발장에 얇게 펼쳐 건조한 후 마른 김을 발장으로부터 분리하여 생산하게 된다. 최근에는 노동력을 절감하고 생산량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해태건조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해태 건조기는 세절된 물김을 발장 위에 얇게 펼치는 김 성형부와 성형된 김을 가압 탈수하는 탈수부와 탈수된 김을 건조시키는 건조부와 건조된 김을 발장으로부터 분리하는 탈거부로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며, 다수의 발장이 설치된 체인을 상기 공정을 따라 순환시키면서 마른 김을 생산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에 이용되는 해태 건조용 발장은 견고하면서도 탄성을 가지며 수분 등의 유통성이 좋아야 하고, 김 건조의 초기 단계에서는 해태와의 부착성을 가 지며 마지막 단계에서는 해태와의 박리도 용이해야 하는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대나무나 합판재질을 일정크기로 쪼개어 실로 엮어서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해태 건조용 발장은 발소자로 쓰이는 국내 대나무질의 불량으로 외국에서 수입되어 생산되므로 구입단가가 상승하며,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실이 오랜 시간과 태양열에 의해 쉽게 마모되어 발장이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이를 보수하는 비용이 이중으로 들어 유지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해태 건조용 발장을 엮은 실이 끊어져 있는 상태로 사용하다 보면 건조된 김을 해태 건조용 발장에서 분리시에 실 가닥이 김에 묻은 상태로 수거되어 일반 소비자에게 전달되므로 위생면에서도 많은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발장을 실로 엮어 발장간의 간격이 협소하여 수분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 지지않아 김의 건조가 용이하게 이루어 지지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해태와의 부착성이 충분하지 않아 반건조 상태에서 해태가 이탈되기 쉬우며, 특히 건조 시 해태의 수축력에 견딜 수 있는 강성이 부족하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해태의 건조 후 분리가 쉽고 수명과 제작공정이 간편하여 대량 생산될 수 있고, 내구수명이 연장되며 쉽게 파손되지 않아 장기간 사용할 수 있으며, 배수공이 따로 형성되어 있어 배수율을 높일 수 있고, 해태안착판의 길이방향으로 돌출선을 형성하고 다수의 걸림턱과 홀더홈을 형성함으로써 해태와의 부착성을 높이며, 보수 비 용이 들지 않아 제작비용을 절감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어민에게 제공하게 되어 어민의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채취한 해태가 부착되어 건조기를 통과하면서 마른 김으로 생산되도록 김 발장걸이에 장착되는 김 발장에 있어서, 상기 김 발장은, 상기 해태가 부착되도록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해태의 부착을 위해 오목면 또는 볼록면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굴곡부(20)가 형성된 해태안착판(10)과; 상기 해태안착판(10)의 굴곡부(20)에 상기 해태로부터 배출되는 수분을 배수시키도록 상기 해태안착판(10)의 길이방향에 직교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된 배수공(2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배수공(22)의 양측에는 부착된 해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배수공(22)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깊이의 홀더홈(24)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배수공(22)에 대향 되는 상기 홀더홈(24)의 일측에는 상기 홀더홈(24)의 선단부에 연장되어 상측으로 돌출되게 걸림턱(26)이 형성되고, 상기 해태안착판(10)의 양면에는 부착된 해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일정 간격 및 높이로 돌출선(30)이 상기 해태안착판(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작공정이 간편하여 대량 생산될 수 있고, 내구수명이 연장되며 쉽게 파손되지 않아 장기간 사용할 수 있으며, 배수공이 따로 형성되어 있어 배수율을 높일 수 있고, 해태안착판의 길이방향으로 돌출선을 형성하고 다수의 걸림턱과 홀더홈을 형성함으로써 해태와의 부착성을 높이며, 보수 비용이 들지 않아 제작비용을 절감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어민에게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해태 건조용 발장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태 건조용 발장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태 건조용 발장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태 건조용 발장을 보인 단면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태 건조용 발장을 보인 단면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태 건조용 발장을 보인 단면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태 건조용 발장을 보인 단면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태 건조용 발장을 보인 단면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태 건조용 발장을 보인 단면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취한 해태가 부착되어 건조기를 통과하면서 마른 김으로 생산되도록 김 발장걸이에 장착되는 김 발장에 있어서, 상기 김 발장은, 상기 해태의 부착을 위한 판상의 해태안착판(10)과, 상기 해태안착판(10)에 부착된 상기 해태의 수분을 배수시키게 다수개 형성된 배수공(22)으로 구성된다.
상기 해태안착판(10)은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되어 내구수명이 연장되며 쉽게 파손되지 않아 장기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해태의 부착을 위해 오목면 또는 볼록면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굴곡부(20)가 형성된 물결모양의 판상으로 제작공정이 간편하여 대량 생산될 수 있다.
상기 배수공(22)은 상기 해태안착판(10)의 길이 방향에 직교방향으로 상기 해태안착판(10)의 굴곡부(20)에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굴곡부(20)에 안착된 상기 해태로부터 배출되는 수분을 용이하게 배수시켜 건조과정에서 더욱 빠르게 김을 건조시킨다.
여기서, 상기 배수공(22)의 양측에는 상기 해태안착판(10)에 부착된 해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배수공(22)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깊이의 홀더홈(24)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수공(22)에 대향되는 상기 홀더홈(24)의 일측에는 상기 홀더홈(24)의 선단부에 연장되어 상측으로 돌출되게 삼각 형태의 걸림턱(26)이 형성되어있다.
또한, 상기 해태안착판(10)의 양면에는 부착된 해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걸림턱(26)의 높이 만큼 돌출된 한 쌍의 돌출선(30)이 상기 해태안착판(10)의 상기 굴곡부(20)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선(30)은 상기 배수공(22)과 겹치게 되는 부분에서는 절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합성수지 재질로 물결모양의 파형의 형상을 한 판상으로 해태의 부착을 위해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의 굴곡부(20)가 형성된 해태안착판(10)에 해태을 부착시킨다.
이때, 상기 해태안착판(10)에 부착된 해태는 상기 굴곡부(20)에 형성된 다수 개의 배수공(22)을 통하여 수분을 배수하게 되고, 상기 배수공(22)의 양측길이방향에 형성된 홀더홈(24)과 상기 홀더홈(24)의 일측 선단부에 연장되어 상측으로 돌출된 걸림턱(26)에 의해서 상기 해태안착판(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해태안착판(1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걸림턱(26)의 높이 만큼 돌출된 한 쌍의 돌출선(30)이 다시 한번 상기 해태안착판(10)에 부착된 해태를 잡아줌으로써 상기 해태는 더욱 단단히 부착된다.
이후, 건조된 해태를 해태안착판(10)에서 떼어낼 경우, 해태안착판(10)이 연질의 합성수지재질로 되어 있어서, 건조된 해태의 손상을 최소한으로 줄여 해태의 품질을 향상시킨 상태로 상기 해태안착판(10)에서 분리한다.
한편, 상기 해태안착판(10)의 굴곡부(20)는 물결모양뿐 아니라, 여러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로써, 삼각형상의 굴곡부가 일정 간격을 두고 삼각형상과 역삼각형상을 반복하며 연속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삼각형상의 굴곡부가 상측만을 향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써, 사각형상과 반원형상의 굴곡부가 상측만을 향하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반복되거나, 사각형상과 반원형상의 굴곡부가 상측과 하측을 번갈아 가며 향 하도록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등록 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태 건조용 발장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태 건조용 발장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태 건조용 발장을 보인 단면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태 건조용 발장을 보인 단면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태 건조용 발장을 보인 단면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태 건조용 발장을 보인 단면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태 건조용 발장을 보인 단면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태 건조용 발장을 보인 단면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해태안착판 20: 굴곡부
22: 배수공 24: 홀더홈
26: 걸림턱 30: 돌출선

Claims (3)

  1. 채취한 해태가 부착되어 건조기를 통과하면서 마른 김으로 생산되도록 김 발장걸이에 장착되는 김 발장에 있어서,
    상기 김 발장은, 상기 해태가 부착되도록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해태의 부착을 위해 오목면 또는 볼록면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굴곡부(20)가 형성된 해태안착판(10)과;
    상기 해태안착판(10)의 굴곡부(20)에 상기 해태로부터 배출되는 수분을 배수시키도록 상기 해태안착판(10)의 길이방향에 직교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된 배수공(22)으로 구성되고,
    상기 배수공(22)의 양측에는 부착된 해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배수공(22)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깊이의 홀더홈(24)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배수공(22)에 대향되는 상기 홀더홈(24)의 일측에는 상기 홀더홈(24)의 선단부에 연장되어 상측으로 돌출되게 걸림턱(2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 건조용 발장.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태안착판(10)의 양면에는 부착된 해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일정 간격 및 높이로 돌출선(30)이 상기 해태안착판(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해태 건조용 발장.
KR1020070071373A 2007-07-16 2007-07-16 해태 건조용 발장 KR100881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373A KR100881164B1 (ko) 2007-07-16 2007-07-16 해태 건조용 발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373A KR100881164B1 (ko) 2007-07-16 2007-07-16 해태 건조용 발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067A KR20090008067A (ko) 2009-01-21
KR100881164B1 true KR100881164B1 (ko) 2009-02-03

Family

ID=40488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1373A KR100881164B1 (ko) 2007-07-16 2007-07-16 해태 건조용 발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11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0357A (ko) * 2013-12-31 2014-01-24 황용안 김 건조용 발장의 제조방법 및 그 발장
KR101580489B1 (ko) * 2015-05-14 2015-12-28 강영기 실치포 제조판
KR20160099443A (ko) 2015-05-28 2016-08-22 복판규 해태 건조용 발장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059B1 (ko) * 2013-03-14 2014-12-22 박요안 멸치 삶기 및 건조용 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18490U (ko) * 1978-02-09 1979-08-18
JPS5718967A (en) 1980-07-07 1982-01-30 Idemitsu Petrochem Co Ltd Laver drying plate
KR910004353B1 (ko) * 1984-12-14 1991-06-26 짓소 가부시끼가이샤 합성수지제 해태발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18490U (ko) * 1978-02-09 1979-08-18
JPS5718967A (en) 1980-07-07 1982-01-30 Idemitsu Petrochem Co Ltd Laver drying plate
KR910004353B1 (ko) * 1984-12-14 1991-06-26 짓소 가부시끼가이샤 합성수지제 해태발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0357A (ko) * 2013-12-31 2014-01-24 황용안 김 건조용 발장의 제조방법 및 그 발장
KR101640746B1 (ko) 2013-12-31 2016-07-20 황용안 김 건조용 발장의 제조방법 및 그 발장
KR101580489B1 (ko) * 2015-05-14 2015-12-28 강영기 실치포 제조판
KR20160099443A (ko) 2015-05-28 2016-08-22 복판규 해태 건조용 발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067A (ko) 2009-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1164B1 (ko) 해태 건조용 발장
KR20100018002A (ko) 신축구조형 해태건조발장
BRPI0919731A2 (pt) rede, em particular para um cesto de piscicultura e um método e dispositivo para sua produção
KR20140010357A (ko) 김 건조용 발장의 제조방법 및 그 발장
KR102053288B1 (ko) 해태 건조용 발장
CN204427864U (zh) 一种带提手的砧板
KR20120109093A (ko) 해태 건조용 발장
CN204427862U (zh) 一种砧板
KR101710890B1 (ko) 사출성형으로 생산된 김발장
KR101150047B1 (ko) 벽 장식재
KR102149403B1 (ko) 김발장
CN107361510B (zh) 一种手柄、带手柄的工具以及将柔性材料连接手柄的方法
KR20120000168U (ko) 실리콘 김밥말이
KR102061010B1 (ko) 밭작물 덮개용 비닐 고정구
KR102208098B1 (ko) 해태 건조 발장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해태 건조 발장
CN1232197C (zh) 固定和/或组合装置
JP3914870B2 (ja) 建築物の軒先構造
CN216796706U (zh) 一种新型鞋带扣
CN208889696U (zh) 一种便于层叠的led贴片支架片
KR200372583Y1 (ko) 농작물용 비닐지 고정구
KR200413238Y1 (ko) 톱날 연결구와 톱자루
KR200471695Y1 (ko) 곶감 건조기
KR200285262Y1 (ko) 농산물 건조줄
CN205913220U (zh) 一体型晒衣架
CN202774481U (zh) 鞋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