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0890B1 - 사출성형으로 생산된 김발장 - Google Patents

사출성형으로 생산된 김발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0890B1
KR101710890B1 KR1020140069480A KR20140069480A KR101710890B1 KR 101710890 B1 KR101710890 B1 KR 101710890B1 KR 1020140069480 A KR1020140069480 A KR 1020140069480A KR 20140069480 A KR20140069480 A KR 20140069480A KR 101710890 B1 KR101710890 B1 KR 101710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ver
seated
biting
injection molding
fing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9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1024A (ko
Inventor
김우성
Original Assignee
김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성 filed Critical 김우성
Priority to KR1020140069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890B1/ko
Publication of KR20150141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1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성형으로 생산된 김발장에 관한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김을 표면에 붙여 건조한 후 분리시켜 마른김을 제조하는 김발장을 제공하되 상기 김발장의 종방향으로 신축이 용이하고, 또 마른김을 성형하는 김성형틀과 김발장 표면 사이로 물김이 누수되지 않도록 하며, 또 복수의 발장살을 연이어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도록하되
상기 연결부를 달리하여 물김이 안착되는 부분은 신축성을 높게하고 물김이 안착되지 않은 부분은 신축성을 낮게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구성은 다음과 같다.
행방향 양단에 김발장(2)을 걸수있는 복수의 걸고리삽입구(3)가 있고, 복수의 발장살(4)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발장살(4)을 서로 일정간격 이격시킨 상태로 행방향으로 연이어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5, 5')를 포함한 김발장(2)에 있어서
상기 김발장(2)은 물김이 안착되는 부분은 신축성을 높게하고 물김이 안착되지 않은 부분은 신축성을 낮게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사출성형으로 생산된 김발장{Cultivating laver formed by injection molding}
본 발명은 사출성형으로 생산된 김발장에 관한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김을 표면에 붙여 건조한 후 분리시켜 마른김을 제조하는 김발장을 제공하되 상기 김발장의 종방향으로 신축이 용이하고, 또 마른김을 성형하는 김성형틀과 김발장 표면 사이로 물김이 누수되지 않도록 하며, 또 복수의 발장살을 연이어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도록하되
상기 연결부를 달리하여 물김이 안착되는 부분은 신축성을 높게하고 물김이 안착되지 않은 부분은 신축성을 낮게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마른김은 양식장에서 채취한 해태 엽체를 잘게 세절한 후 물에 혼합하여 만든 물김을 발장에 얇게 펼쳐 건조한 후 마른 김을 발장으로부터 분리하여 생산하게 된다.
최근에는 노동력을 절감하고 생산량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해태건조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해태건조기는 세절된 물김을 발장 위에 얇게 펼치는 김 성형부와 성형된 김을 가압 탈수하는 탈수부와 탈수된 김을 건조시키는 건조부와 건조된 김을 발장으로부터 분리하는 탈거부로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며, 다수의 발장이 설치된 체인을 상기 공정을 따라 순환시키면서 마른 김을 생산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에 이용되는 해태건조발장은 견고하면서도 탄성을 가지며 수분 등의 유통성이 좋아야 하고, 김 건조의 초기 단계에서는 해태와의 부착성을 가지며 마지막 단계에서는 해태와의 박리도 용이해야 하는 조건을 충족 시키기 위해 대나무나 합판재질을 일정크기로 쪼개어 실로 엮어서 사용하고 있다.
즉, 종래의 해태 건조 발장은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나무나 프라스틱으로 된 발장살(102)을 엮음실(103)로 단단히 엮어서 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발장은 발장살(102)이나 엮음실(103)의 신축성이 그다지 크지 않기 때문에 제7도에 나타낸 해태건조기의 탈거부에 있는 발장가압부(501)가 발장의 중심부를 가압할 때 발장에 성형·건조된 마른김이 쉽게 분리되는지 않고 엮음실(103)에 엉킨 김이 찢어지거나 달라붙어 불량품을 생산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이러한 발장은 사용시간이 오래 경과되면 발장의 엮음실(103)에 이물질이 침착되어 김이 달라붙어 찢어지거나
많은 불량품이 생산되므로 발장을 자주 교체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할양으로 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 10-2010-0068234호 신축구조형 해태건조발장을 아래와 같이 개시하고 있다.
아래 종래처럼 다수의 가로부재와 세로부재를 결합하지않고 도 15와 같이, 대신 한판의 프라스틱 판재로 된 발장(201)의 내측에 종횡방향으로 엇갈려 교대로 배치된 다수의 선형(線形) 절개부(01, 02)를 형성하여 탈거부에서 발장(201)의 중심부를 가압할 때 발장의 이격부가 마름모꼴로 균일하게 벌어져 종·횡방향으로 신축변형되므로 건조된 마른김을 쉽게 박리시켜 탈거할 수 있고, 탈거한 마른김이 축지( 紙) 및 파지(破紙)가 없어 제품의 미관과 품질이 개선되며, 프라스틱 판재를 압출성형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생산하여 제조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신축구조형 해태건조발장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신축구조형 해태건조발장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첫째, 발부재(200)를 서로 연결시키는 프레임지지대(104) 및 세로부재(120)들이 김 건조과정에 김과 함께 수축되지 않아 김이 부서지거나 터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되면 해태건조발장으로 사용할 수 없다.
둘째, 테두리부분에 물김이 테두리를 벗어나지 않도록 차단벽을 성형하지 않아 김 성형틀과 발부재 사이의 공간으로 물김이 흘러 김성형틀 외부로 흘러나가게되고(누수), 그로 인해 김 테두리가 거칠어 마른김이 상품성이 떨어진다.(본원발명 도 5 참조)
셋째, 물김이 안착되는 표면과 물김이 안착되지 않은 테두리부분으로 구분되되 물김 건조과정에 물김이 안착되는 표면은 건조실의 고온에 의해 그다지 변형이 발생하지 않으나 첨부한 도 11의 사진과 같이 물김이 안착되지 않은 부분은 걸고리삽입구 양방향에 변형이 발생되어 해태건조발장을 재차사용할 수 없게된다.
여기서 참고로, 새로운 김발장을 개발하는데는 실험에 따른 비용이 만만치 않아 실험을 반복할 수 없다.
그 이유를 설명하고자 한다.
김발장을 사출성형하기 위해서는 김발장을 성형하는 금형을 제작해야하는데 첨부된 도면과 같이 가늘고 긴 발장살(도 11 참조)을 약 130개가 형성되도록 금형에 조각하되 사출물이 조각 전체에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제작해야한다.
따라서 그 비용이 만만치 않다.
또, 시사출 과정에 필연적으로 금형을 수정해야 하는데 그 수정을 하게되면 개발자가 원하는 김발장을 기대할 수 없어 고가의 금형을 패기해야 하는 일들이 발생된다.
그리고, 금형제작 후 김을 성형하고 건조하고 건조된 김을 탈거하는 김생산기계에서 김생산 가능 여부를 확인 한다. 즉, 샘플생산을 하게된다.
상기 김생산기계에는 김발장이 약 3만2천장이 장착된다.
이렇게 한번 실험하는데 수만장이 장착됨으로 그 비용(김생산기계 1일 사용 비용이 약 4천만원 임)이 만만치안아 실험을 반복할 수 없다.
그러므로 고도한 설계능력에 의해 설계단계에서 문제점을 해결해야만 실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실패 확률을 낮출 수 있다. 참고하기 바란다.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원은,
물김을 표면에 붙여 건조한 후 분리시켜 마른김을 제조하는 김발장을 제공하되 상기 김발장의 종방향으로 신축이 용이하고, 또 마른김을 성형하는 김성형틀과 김발장 표면 사이로 물김이 누수되지 않도록 하며, 또 복수의 발장살을 연이어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도록하되,
상기 연결부를 달리하여 물김이 안착되는 부분은 신축성을 높게하고 물김이 안착되지 않은 부분은 신축성을 낮게하는 김발장을 제공하고자 한다.
첨부된 도시에 의해 구성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김발장(2)에 있어서, 상기 김발장(2)은 물김이 안착되는 부분은 신축성을 높게하고 물김이 안착되지 않은 부분은 신축성을 낮게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행방향 양단에 김발장(2)을 걸수있는 복수의 걸고리삽입구(3)가 있고, 복수의 발장살(4)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발장살(4)을 서로 일정간격 이격시킨 상태로 행방향으로 연이어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5, 5')를 포함한 김발장(2)에 있어서
상기 김발장(2)은 복수의 발장살(4)을 연이어 연결하는 연결부(5)를 갖도록하되
상기 연결부(5, 5')를 형태 및 두께를 달리하여 물김이 안착되는 부분은 신축성을 높게하고 물김이 안착되지 않은 부분은 신축성을 낮게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5, 5')는 행방향으로 수축과 평창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아치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김발장(2)은 물김 건조과정에 수축되는데 그 수축이 종 방향으로 쉽게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면서 동시에 김성형틀(30)의 테두리 저면과 김발장(2) 표면 사이의 틈새를 막아주는 차단벽(6)이 물김이 안착되는 물김 테두리부에 위치되도록 복수의 발장살(4)에 각각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김발장(2)의 행방향 양단의 연결부(5')는 아치형상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서 물김을 표면에 붙여 건조한 후 분리시켜 마른김을 제조하는 김발장을 제공하되 상기 김발장의 종방향으로 신축되도록 함으로서, 마른김이 터지거나 파쇄되지 않고,
또 마른김을 성형하는 김성형틀과 김발장 표면 사이로 물김이 누수되지 않도록 차단벽을 갖도록함으로서 물김이 김성형틀 외부로 누수되지 않으며,
또 복수의 발장살을 연이어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도록하되
상기 연결부를 달리하여 물김이 안착되는 부분은 신축성을 높게하고 물김이 안착되지 않은 부분은 신축성을 낮게함으로서 후술에서 상세히 밝혀지겠지만 물김이 안착되지 안는 부분에 고온에 의해 가열되더라도 그 부분이 변형되지 않는다.
상기 이상의 효과는 구체적인 내용에 더 밝혀진다.
제 1도는 본 발명은 사출성형으로 생산된 김발장의 사시도,
제 2도는 제 1도의 가), 나) 부분 확대도,
제 3도는 본 발명은 사출성형으로 생산된 김발장의 평면도,
제 4도는 본 발명은 사출성형으로 생산된 김발장의 실시예로서,
가)는 김발성형틀을 김발장 표면인 평면에 안착한 다음 물김을 김발성형틀 내에 충전한 상태이며,
나)는 가)의 상태에서 김발성형틀을 제거한 상태를 보인 상태이다.
제 5도는 제 4도의 가)의 김발장의 행방향의 측면도,
제 6도는 제 4도의 가)의 김발장의 종방향의 측면도,
제 7도는 본 발명은 사출성형으로 생산된 김발장의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제 8도는 본 발명은 사출성형으로 생산된 김발장의 행방향을 단면한 측면 사시도,
제 9도는 본 발명은 사출성형으로 생산된 김발장의 일부를 확대한 것으로서
물김이 김발장 표면에 안착된 상태를 저면에서 바라본 상태의 설명도이다.
가)는 물김이 안착된상태에서 발장상의 간격(300)에 변화가 없는 상태이고,
나)는 물김이 가)의 상태에서 마르게 되면 발장살의 간격(300')이 수축된 상태이다.
제 10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실시예의 사시도,
제 11도는 본 발명의 연구과정에서 발생된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
제 12도는 물김이 본원의 발장살에 안착된 상태를 보인 설명도,
제 13도는 종래의 해태건조발장 평면도,
제 14도는 발장프레임에 체결한 종래의 해태건조발장 사시도.
제 15도는 종래의 신축구조형 해태건조발장 평면도.
참고로, 첨부한 도면은 가늘고 긴 복수의 발장살(4)로 이루어져 있어 흑백도면으로 첨부하게 되면 이해하기가 다소 불편하다.
그러므로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컬러사진으로 첨부하였다.
그리고 첨부한 도면의 제품은 사출성형으로 하나의 금형에 의해 성형된다.
첨부한 도시에 의해 설명하면, 김발장(2)에 있어서, 상기 김발장(2)은 물김이 안착되는 부분은 신축성을 높게하고 물김이 안착되지 않은 부분은 신축성을 낮게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김이 안착되지 않는 부분에 신축성을 낮게하기 위해서는 물김이 안착된 부분의 발장살(4)은 유연성이 높게하고 물김이 안착되지 않는 발장살은 발장살의 유연성을 낮게하면된다
예를들어 발장살(4)의 지름을 크게하거나 작게하는 방법으로 유연성을 조절하면된다
그리고, 행방향 양단에 김발장(2)을 걸수있는 복수의 걸고리삽입구(3)가 있고, 복수의 발장살(4)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발장살(4)을 서로 일정간격 이격시킨 상태로 행방향으로 연이어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5, 5')를 포함한 김발장(2)에 있어서,
상기 김발장(2)은 복수의 발장살(4)을 연이어 연결하는 연결부(5, 5')를 갖도록하되
상기 연결부(5)를 형태 및 두께를 달리하여 물김이 안착되는 부분은 신축성을 높게하고 물김이 안착되지 않은 부분은 신축성을 낮게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내지 4도를 살펴보면 행방향 양단에 발장살(4)을 연이어 연결시킨 연결부(5)가 도4, 10도에서 확인 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물김이 안착된 부분과 비교할 경우 상기 연결부(5')의 면적이 더 넓게 형성하거나 더 촘촘하게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형성하게되면 물김이 안착되지 않은 발장살(4)이 건조실의 고온에 노출되더라도 행방향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만약, 발장살(4)을 연결하는 연결부(5, 5')를 복수의 발장살(4) 전체에 균등하게 형성할 경우 첨부한 도 11과 같이 행방향 양단이 드러난 상태에서 원상태로 복원이 되지낳아 김발장을 패기 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여기서 참고, 발장살(2)은 신축성이 있어야 함으로 연결부(5, 5')를 발장살(4) 전체에 촘촘하게 연결할 수 없다.
다음은 또 다른 기술을 설명하기 위해 재차 연결부(5, 5')을 설명하기로 한다.
연결부(5)는 행방향으로 수축과 팽창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아치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상기 연결부(5)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연결부(5)를 아치형상으로 형성하게 되면 종방향으로 팽창과 수축이 용이하여 물김 건조 과정에 마른김이 수축하면 김발장(2)또한 행방향으로 수축된다.
이와 같이 마른김이 김발장(2)과 함께 수축되므로 마른김이 터지거나 파쇄되지 않는다.
만약, 물김이 마르는 과정에 김발이 수축되지 않으면 마른김이 터지거나 부서져 김으로서의 상품성이 상실된다.
상기 마른김 수축과정에 종 방향은 터질염려가 없다.
그 이유는 발장살(4)의 길이방향에 있기 때문에 마른김이 미끌리면서 수축하기 때문이다.
다음은 차단벽(6)을 설명하기로 한다.
김발장(2)은 물김 건조과정에 수축되는데, 종방향으로 수축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면서 동시에 김성형틀의 테두리 저면과 김발장(2) 표면 사이의 틈새를 막아주는 차단벽(6)이 물김이 안착되는 물김 테두리부에 위치되도록 복수의 발장살(4)에 각각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6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차단벽(6)이 있으므로 인해 그 차단벽에 의해 발장살(4)과 김성형틀(30)의 테두리 저면 사이가 차단되어 물김이 그 사이를 통해 김성형틀(30) 외부로 누수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만약, 차단벽이 없게되면, 김발장(2)의 표면과 김성형틀(30)의 테두리 저면 사이로물김이 누수되어 마른김의 테두리가 요철형상과 같이 거칠어 상품성이 떨어진다.
그리고, 도시한 도 12와 같이 차단벽(6)은 복수의 발장살(4)에 각각 돌출되어 있다.
그러므로 그 돌출된 차단벽(6)에 의해 물김의 테두리가 걸리게 되어 마른김 건조 과정에 종방향으로 필요이상 수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김발장(2)의 행방향 양단의 연결부(5')는 걸고리삽입구(3) 방향을 넓게(종방향으로 날게) 하고 김발장의 중앙부로 향할수록 점차 좁게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2 : 김발장 3 : 걸고리삽입구
4 : 발장살 5,5' : 연결부
6 : 차단벽

Claims (4)

  1. 행방향 양단에 김발장(2)을 걸수있는 복수의 걸고리삽입구(3)가 있고 복수의 발장살(4)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발장살(4)을 서로 일정간격 이격시킨 상태로 행방향으로 연이어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5, 5')를 포함한 김발장(2)에 있어서
    상기 김발장(2)은 물김이 안착되는 부분은 신축성을 높게하고 물김이 안착되지 않은 부분은 신축성을 낮게하며,
    김성형틀(30)의 테두리 저면과 김발장(2) 표면 사이의 틈새를 막아주는 차단벽(6)이 물김이 안착되는 물김 테두리부에 위치되도록 복수의 발장살(4)에 각각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으로 생산된 김발장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40069480A 2014-06-09 2014-06-09 사출성형으로 생산된 김발장 KR101710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480A KR101710890B1 (ko) 2014-06-09 2014-06-09 사출성형으로 생산된 김발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480A KR101710890B1 (ko) 2014-06-09 2014-06-09 사출성형으로 생산된 김발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024A KR20150141024A (ko) 2015-12-17
KR101710890B1 true KR101710890B1 (ko) 2017-02-28

Family

ID=55080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9480A KR101710890B1 (ko) 2014-06-09 2014-06-09 사출성형으로 생산된 김발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08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288B1 (ko) 2018-03-13 2019-12-06 강경민 해태 건조용 발장
KR102149403B1 (ko) 2019-08-19 2020-08-28 김성주 김발장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080Y1 (ko) * 2008-12-16 2010-03-15 김광민 해태 건조용 발장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8002A (ko) * 2010-01-11 2010-02-16 황인영 신축구조형 해태건조발장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080Y1 (ko) * 2008-12-16 2010-03-15 김광민 해태 건조용 발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024A (ko) 2015-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7512B2 (en) Method for knitting integral shoe upper fabric by circular knitting machine and integral shoe upper fabric thereof
KR101710890B1 (ko) 사출성형으로 생산된 김발장
RU2017102999A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ерфорированного полотна
KR20140010357A (ko) 김 건조용 발장의 제조방법 및 그 발장
KR20140085397A (ko) 다단계 신축형 김 건조용 발장
KR20100068234A (ko) 신축구조형 해태건조발장
KR200472841Y1 (ko) 신발 결착구
KR102053288B1 (ko) 해태 건조용 발장
KR20100109737A (ko) 식생매트 고정용 생분해성 팩
US20150359297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braid tip and a braid
KR101279786B1 (ko) 해태 건조용 발장
CN205902892U (zh) 鞋带改良结构
US20160095390A1 (en) Knot retainer
TWI649042B (zh) 鞋撐
EP2478147B1 (en) Auxiliary device for clothes lines
KR20160015917A (ko) 김 분리가 용이한 발장
US20150272285A1 (en) Tape for Derlin Zipper
KR20170017539A (ko) 해태 건조용 사출 성형 발장
KR102149403B1 (ko) 김발장
JP3219688U (ja) 海苔簀
CN220601952U (zh) 一种弹性生物材料冻干模具
KR20110007837U (ko) 신발로부터의 탈거가 개선된 신발 라스트
CN204599552U (zh) 硅胶鞋带
CN102823671A (zh) 一种工艺花茶加工方法
KR20150001234U (ko) 브루니안 링크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