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5917A - 김 분리가 용이한 발장 - Google Patents

김 분리가 용이한 발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5917A
KR20160015917A KR1020140098908A KR20140098908A KR20160015917A KR 20160015917 A KR20160015917 A KR 20160015917A KR 1020140098908 A KR1020140098908 A KR 1020140098908A KR 20140098908 A KR20140098908 A KR 20140098908A KR 20160015917 A KR20160015917 A KR 20160015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openings
drying
laver
interconn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8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덕
Original Assignee
김영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덕 filed Critical 김영덕
Priority to KR1020140098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5917A/ko
Publication of KR20160015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59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 분리가 용이한 발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다에서 채취된 김을 일정한 크기로 건조시키는 발장에서 건조 완료된 김을 발장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한 발장에 관한 것으로서, 발장에 구성되는 다수개의 발장살을 상호 연결하는 접점부를 상기 발장살의 길이방향과 축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하여 각각의 접점부와 접점부 사이에 관통 홍을 형성하되, 상기 접점부를 중심으로 발장의 전면부와 후면부로 상호 교차 돌출되도록 발장살을 형성시켜 김 분리가 용이한 발장을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어, 발장살을 접점부를 중심으로 발장의 전면부와 후면부로 상호 교차, 돌출되도록 하여 건조 완료되어 팽창 시, 발장살에 닿게 되는 김의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어 분리가 용이하며, 발장살과 발장살을 상호 연결하는 접점부로 인해 발생되는 관통 홈으로 인해 김과 닿게 되는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넓어져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는 김 분리가 용이한 발장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김 분리가 용이한 발장{ Laver is easily separated drying }
본 발명은 김 분리가 용이한 발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다에서 채취된 김을 일정한 크기로 건조시키는 발장에서 건조 완료된 김을 발장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한 발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김은 바다 김 양식장에서 채취한 김 엽체를 잘게 세절한 후 물에 혼합하여 만든 물김을 발장에 얇게 펼쳐서 건조한 후 건조된 김을 발장으로부터 분리시켜 생산하게 된다.
30여년 전부터 노동력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자동화된 김건조 시스템이 개발되어 보급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김건조 시스템은 세절된 물김을 발장위에 분사시켜 얇게 펼치는 성형부와, 성형된 김을 가압 탈수하는 탈수부와, 탈수된 김을 건조시키는 건조부와, 건조된 김을 발장으로부터 분리하는 탈리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수의 발장이 설치된 발장걸이를 체인 컨베이어에 의해 상기 공정을 순환시키면서 건조김을 생산하도록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에 사용되는 김 건조용 발장은 견고하면서 탄성을 보유해야 하며, 물이 쉽게 빠질 수 있게 유통성이 좋아야 하며, 통기성이 높아 공기와의 접촉이 원활하여 건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김건조의 초기단계에서는 김과의 부착성이 우수해야 하고, 마지막 단계에서는 발장으로부터 박리가 용이해야 하는 등의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김을 건조시키는 발장은 대나무를 가늘게 쪼갠 후 이를 발의 형태로 엮거나 압출기로 압출시킨 합성수지봉을 실을 이용하여 발의 형태로 엮어준 것을 사용하며, 발장의 표면으로 대나무나 합성수지봉을 엮는 실이 노출되어 있다.
이에 종래에는 등록특허 10-0966152호의 ‘김 건조용 발장’과, 공개특허 10-2014-0010357호의 ‘김 건조용 발장의 제조방법 및 그 발장’및 공개특허 10-2014-0085397호의 ‘다단계 신축형 김 건조용 발장’이 개시되어 있다.
물과 혼합된 김을 발장위에 분사 적재시켜 탈수를 하고 건조를 시키게 되면, 김이 건조될 때 실에 달라붙게 되거나 발장의 합성수지봉과 합성수지봉 사이의 틈에 김이 삽입되어 다리를 형성하게 되어 김이 발장에 달라붙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발장에서 김을 떼어낼 때 김이 손상되는 한편 발장에서 김이 완전하게 탈리되지 못하고 일부가 붙어있게 되어 발장을 장시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면사 또는 합성사로 엮어진 발장이 김의 건조 후 탈리단계에서 수 백회이상 발장이 신장되는 과정에서 실이 탄성을 잃어 늘어나게 되면서 발장의 합성수지봉과 합성수지봉 사이의 틈이 커지기 때문에 발생한다.
특히 기존의 발장은 합성수지봉을 실로 엮어준 형태로 제작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발장을 사용하는 경우 김이 수지봉의 표면에 전체적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탈수와 건조가 진행되기 때문에 김의 안쪽은 수지봉 표면에 거의 대부분 부착되게 된다.
따라서 공기와 접촉하는 김의 면적이 김의 바깥 부분에 한정되어 건조가 효율적으로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발장에 구성되는 다수개의 발장살을 상호 연결하는 접점부를 상기 발장살의 길이방향과 축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하여 각각의 접점부와 접점부 사이에 관통 홍을 형성하되, 상기 접점부를 중심으로 발장의 전면부와 후면부로 상호 교차 돌출되도록 발장살을 형성시켜 김 분리가 용이한 발장을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측과 하측에 발장을 걸림 할 수 있는 걸림 홈이 형성되고, 중심부에 다수개의 발장살이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발장살을 상호 연결하는 접점부가 구성된 김 건조용 발장에 있어서, 상기 발장살은 다수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며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발장살을 상호 연결하는 접점부가 구성되되, 상기 접점부는 다수개의 발장살을 상호 연결하며, 각각의 발장살과 발장살 사이에 상기 발장살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며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발장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접점부로 인해 관통 홈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발장살은 상기 발장살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구성되는 접점부를 중심으로 발장의 전면부와 후면부로 상호 교차, 돌출되도록 파형을 이루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분리가 용이한 발장을 제공함으로서 그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김 분리가 용이한 발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다에서 채취된 김을 일정한 크기로 건조시키는 발장에서 건조 완료된 김을 발장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한 발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발장에 구성되는 다수개의 발장살을 상호 연결하는 접점부를 상기 발장살의 길이방향과 축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하여 각각의 접점부와 접점부 사이에 관통 홍을 형성하되, 상기 접점부를 중심으로 발장의 전면부와 후면부로 상호 교차 돌출되도록 발장살을 형성시켜 김 분리가 용이한 발장을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김 분리가 용이한 발장에 의하면, 발장살을 접점부를 중심으로 발장의 전면부와 후면부로 상호 교차, 돌출되도록 하여 건조 완료되어 팽창 시, 발장살에 닿게 되는 김의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어 분리가 용이하며, 발장살과 발장살을 상호 연결하는 접점부로 인해 발생되는 관통 홈으로 인해 김과 닿게 되는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넓어져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는 등 그 효과가 대단한 발명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인 발장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에 대한 확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발장의 구성요소 중 발장살과 접점부의 확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와 B-B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발장살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도 4의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와 그에 따른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4의 (B)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도 6의 접점부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도 2에 도 8의 접점부를 적용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이에 본 발명인 김 분리가 용이한 발장에 대해 설명하면,
상측과 하측에 발장을 걸림 할 수 있는 걸림 홈이 형성되고, 중심부에 다수개의 발장살이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발장살을 상호 연결하는 접점부가 구성된 김 건조용 발장에 있어서, 상기 발장살은 다수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며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발장살(10)을 상호 연결하는 접점부(20)가 구성되되, 상기 접점부(20)는 다수개의 발장살(10)을 상호 연결하며, 각각의 발장살(10)과 발장살(10) 사이에 상기 발장살(1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며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발장살(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접점부(20)로 인해 관통 홈(h)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발장살(10)은 접점부(20)를 중심으로 발장(100)의 전면부와 후면부로 상호 교차되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발장살(10)은 사용에 따라 측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점부(20)는 발장살(10)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 또는 전, 후면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상기 접점부(20)는 상호 연결되는 발장살(10)의 내측 일정 부분을 감싸며 상기 발장살(1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인 김 분리가 용이한 발장에 대해 도 1 내지 도 9를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발장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상측 또는 하측에 발장을 걸림 할 수 있는 걸림 홈이 형성되고, 중심부에 다수개의 발장살이 구성된다.
상기 다수개의 발장살은 각각의 발장살을 상호 연결하는 접점부로 일정 간격 이격되며 연결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발장은 발장살에 닿게 되는 김의 면적이 넓어 건조 완료된 김에 대해 분리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발장살에 닿은 부분에 대해서는 건조가 완벽히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김에 대해 불량률이 발생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한 것으로써, 상기한 상측 또는 하측에 발장을 걸림 할 수 있는 걸림 홈이 형성되고, 중심부에 다수개의 발장살이 구성되는 것을 동일하다.
이에 본 발명의 핵심구성인 발장살(10)은 다수개가 구성되며 각각의 발장살이 일정 간격 이격되며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발장살(10)을 상호 연결하는 접점부(20)가 형성되게 되어 다수개의 발장살(10)을 상호 연결하고 있다.
상기한 접점부(20)는 다수개 구성되는 각각의 발장살(10)을 상호 연결하며, 각각의 발장살(10)과 발장살(10) 사이에 상기 발장살(1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며 다수개가 형성된다. 이는 다수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며 구성되는 발장살(10)에 대해 각각의 발장살(10)을 상호 연결하며, 발장살(10)의 길이에 따라 상기 발장살(1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접점부(20)가 일정 간격 이격되며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접점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발장살(10a)과 제 2발장살(10b)을 상호 연결하되,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하여 각각 연결되는 접점부(20)의 내측에는 관통 홈(h)을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제 2발장살(10b)과 제 3발장살(10c) 사이에도 접점부(20)가 다수개 일정 간격 이격되며 형성되는데, 이때 형성되는 접점부(20)는 상기 제 1발장살(10a)과 제 2발장살(10b)을 상호 연결한 접점부(20)로 인해 형성된 관통 홈(h)의 중심부분 축 선상에 제 2발장살(10b)과 제 3발장살(10c)을 상호 연결하며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접점부(20)는 제 1, 2발장살(10a, 10b) 사이에 형성되는 관통 홈(h)의 중심부분 축 선상에 제 2, 3발장살(10b, 10c)을 상호 연결하는 접점부(20)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3발장살(10b, 10c) 사이에 형성되는 관통 홈(h)의 중심부분 축 선상에 제 1, 2발장살(10a, 10b)을 상호 연결하는 접점부(20)가 형성되며, 상기한 방식으로 다수개 구성되는 발장살(10)을 상호 연결하는 접점부(20)가 형성되며, 그로 인해 다수개의 관통 홈(h)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발장살(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장살(1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구성되는 접점부(20)를 중심으로 발장(100)의 전면부와 후면부로 상호 교차되며 파형을 이루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한 발장살(10)의 파형 형상으로 인해 전면부 또는 후면부로 돌출된 부분이 김과 닿게 되고, 그로 인해 김이 닿게 되는 면적을 최소화하였다.
상기한 발장살(10)은 사용에 따라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김이 닿게 되는 면적을 더욱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며, 이는 사용에 따라 가변될 수 있으므로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형상 또는 상기한 설명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접점부(20)는 도 6, 8,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장살(10)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 또는 전, 후면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는 접점부(20)를 중심으로 일정 곡선을 형성하며 파형을 이루는 발장살의 전 면부 또는 후면부의 최고 높이에 닿게 되는 김을 접점부(20)에서도 닿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접점부(20)는 상호 연결되는 발장살(10)의 높이보다 높게 하여, 김이 접점부(20)가 형성된 부분의 발장살(10)에는 닿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접점부(20)는 상호 연결되는 발장살(10)의 내측 일정 부분을 감싸며 상기 발장살(1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상기 접점부(20)가 상호 연결되는 발장살(1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 시, 상기 접점부(20)와 발장살(20) 사이의 틈새로 김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고, 김이 닿게 되는 부분의 형상을 아크형상 또는 각형상으로 하여 접점부(20)와 닿은 김도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접점부(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연결되는 발장살(10)의 내측 일정 부분을 감싸게 하였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발장살(10)을 접점부(20)를 중심으로 발장(100)의 전면부와 후면부로 상호 교차, 돌출되도록 파형을 이루도록 하여, 김이 건조 완료되어 팽창 시, 발장살(10)에 닿게 되는 김의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어 분리가 용이하며, 발장살(10)과 발장살(10)을 상호 연결하는 접점부(20)로 인해 발생되는 관통 홈(h)으로 인해 김과 닿게 되는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넓어져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는 등 그 효과가 대단한 발명이라 하겠다.
100 : 발장
10 : 발장살
20 : 접점부
h : 관통 홈

Claims (4)

  1. 상측과 하측에 발장을 걸림 할 수 있는 걸림 홈이 형성되고, 중심부에 다수개의 발장살이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발장살을 상호 연결하는 접점부가 구성된 김 건조용 발장에 있어서,
    상기 발장살은 다수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며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발장살(10)을 상호 연결하는 접점부(20)가 구성되되,
    상기 접점부(20)는 다수개의 발장살(10)을 상호 연결하며, 각각의 발장살(10)과 발장살(10) 사이에 상기 발장살(1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며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발장살(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접점부(20)로 인해 관통 홈(h)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발장살(10)은 상기 발장살(1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구성되는 접점부(20)를 중심으로 발장(100)의 전면부와 후면부로 상호 교차, 돌출되도록 파형을 이루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분리가 용이한 발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장살(10)은 사용에 따라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분리가 용이한 발장.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20)는 상호 연결되는 발장살(1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분리가 용이한 발장.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20)는 상호 연결되는 발장살(10)의 내측 일정 부분을 감싸며 상기 발장살(1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분리가 용이한 발장.








KR1020140098908A 2014-08-01 2014-08-01 김 분리가 용이한 발장 KR201600159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908A KR20160015917A (ko) 2014-08-01 2014-08-01 김 분리가 용이한 발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908A KR20160015917A (ko) 2014-08-01 2014-08-01 김 분리가 용이한 발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917A true KR20160015917A (ko) 2016-02-15

Family

ID=55356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8908A KR20160015917A (ko) 2014-08-01 2014-08-01 김 분리가 용이한 발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59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957A (ko) 2018-03-13 2019-09-23 강경민 해태 건조용 발장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957A (ko) 2018-03-13 2019-09-23 강경민 해태 건조용 발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057832T3 (es) Procedimiento para deshidratar tomates.
CN104178818B (zh) 缫丝方法
CN103692527B (zh) 一种竹条成型的加工方法
WO2007146249A3 (en) Egg product and production method
KR20160015917A (ko) 김 분리가 용이한 발장
CN104390429B (zh) 一种静电场和干风相结合的干燥装置
KR101710890B1 (ko) 사출성형으로 생산된 김발장
KR102053288B1 (ko) 해태 건조용 발장
CN104534820A (zh) 一种微波真空干燥中药材白芍的加工方法
CN104172076A (zh) 一种八角鲜果加工方法
CN104287648A (zh) 一种清洗装置用清洗机架
CN103993420A (zh) 一种无结承重网及其编织方法
CN107279969A (zh) 一种食用菌加工方法
CN205860672U (zh) 一种多方位油茶籽干燥箱
DU et al. Early effects of forest harvesting gap on understory plant diversity of three different plantations in Baiyun Mountain, China
CN109170776A (zh) 水煮花生的制作方法
CN103315038B (zh) 一种干贝的加工方法
CN204617017U (zh) 一种蘑菇脱水装置
CN204409494U (zh) 适用于干豆角加工的豇豆热烫装置的豇豆夹紧固定机构
CN104522858A (zh) 一种大蒜的干燥方法
KR20030051513A (ko) 원형홍삼제조방법
CN105146373A (zh) 一种玉兰片的制备方法
CN107127797A (zh) 竹笋成丝器
CN107319408A (zh) 一种经冷冻在火龙果渣中提取食品药品添加剂的制备方法
UA79698U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порошков из стевии (stevia rebaudia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