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0427B1 - 편광판용 보호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편광판 - Google Patents

편광판용 보호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편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0427B1
KR100880427B1 KR1020080055481A KR20080055481A KR100880427B1 KR 100880427 B1 KR100880427 B1 KR 100880427B1 KR 1020080055481 A KR1020080055481 A KR 1020080055481A KR 20080055481 A KR20080055481 A KR 20080055481A KR 100880427 B1 KR100880427 B1 KR 100880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resin
film
polariz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5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정
박진세
정대일
Original Assignee
박기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정 filed Critical 박기정
Priority to KR1020080055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04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0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0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1Anti-st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광판용 보호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편광판에 관한 것으로, 대전방지 코팅액에 이형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이형필름을 사용하지 않아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함과 동시에 폐기물의 발생이 적어 환경에 대한 유해성이 저감된 편광판용 보호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편광판용 보호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편광판 {Protective film for polarizing plate and polarizing plat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편광판용 보호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편광판에 관한 것으로, 대전방지 코팅액에 이형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이형필름을 사용하지 않아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함과 동시에 폐기물의 발생이 적어 환경에 대한 유해성이 저감된 편광판용 보호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소자는 경략, 박형, 저전력 구동, 풀 컬러, 고해상도 구현 등의 특징으로 인해 그 응용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으며, 컴퓨터, 노트북, PDA, 휴대폰, HDTV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액정 표시소자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제어용 스위치들에 인가되는 영상 신호에 따라 광의 투과량이 조절되어 액정 표시소자의 패널에 원하는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액정 표시소자는 액정 셀 매트릭스에 특정 파장의 광이 입사되고, 액정층을 통과한 편광을 통과시켜 광효율을 높이기 위해 편광판을 액정 패널에 부착하게 된다. 편광이란 광의 진행 방향에 수직인 여러 방향의 광 중에서 특정 방향으로 강하게 진동하고 있는 광을 의미하며, 편광판은 여러 방향으로 진동하면서 입 사하는 자연광을 한쪽 방향으로만 진동하는 광, 즉 편광이 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기 편광판은 편광자 및 지지체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의 필름을 연신시켜, 요오드와 이색성 염료의 용액에 침지하여 요오드 분자와 분자를 연신 방향으로 일정하게 배열시킴으로써 얻어지며, 요오드 분자와 염료분자는 이색성을 보이므로 연신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은 흡수하고, 수직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은 투과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그러나 편광자는 그 자체가 투과축의 방향에 대한 기계적인 강도가 약하고 열이나 수분에 의해 수축하는 등에 의해 편광 기능이 떨어지므로 지지체층 사이에 개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편광판의 상부 및 하부에는 점착제에 의해 보호필름이 부착된다. 상기 보호필름은 각종 조립 공정에 있어서 편광판 표면을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차후 편광판을 액정 패널에 부착하는 공정 수행시 상기 편광판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보호필름이 부착된 편광판은 공정 진행 중 편광판의 불량 및 기타 불량의 검출을 검사하는 단계에서 일시적으로 보호필름을 탈착한 후 재부착하게 된다.
이와 같은 편광판용 보호필름이 구비하여야 할 기능으로서는, 부착공정에서 롤 상태의 보포필름이 풀릴 때 또는 부착 공정 등에서의 마찰에 희한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1010Ω/sq. 미만의 대전방지성, 롤 상태의 필름이 최소한의 힘으로 풀릴 수 있는 이형성, 검사와 운반 공정 등에서 외부의 충격 및 긁힘에 대한 내 마모성, 편광판 재단 공정 중에 재단면에서 배어나온 점착제가 표면에 쉽게 오염되지 말아야 하며, 오염이 된 후에는 제거가 용이해야 하는 방오성, 검사 공정에서 표면의 손상이나 오염이 보호필름에서 발생한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알콜 등의 용제 및 온수를 통한 수세 공정에서 요구되는 내용제성 및 내수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편광판의 보호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보호필름의 구조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필름층인 보호필름층과 이형필름층으로 나뉘어지며, 상기 보호필름층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2)의 양면에 대전방지층(1) 및 점착층(3)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형필름층은 폴리에스테르계 필름(2) 상에 이형층(4)이 존재하여 상기 보호필름층의 점착층(3)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구조를 갖는 보호 필름은 이형 필름층을 떼어 내면서 보호필름층을 목목적하는 편광판 상에 점착시키게 된다. 그 결과 편광판의 바로 상층부터 점착층(3), 폴리에스테르계 필름(2) 및 대전방지층(1)의 구조를 갖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편광판용 보호필름은 이형필름의 사용으로 인하여 재료비가 증가하고, 폐기물이 다량 발생하여 환경에 유해하며, 편광판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이형필름을 제거하는 번거로운 공정이 요구되어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1 과제는,
보호필름층을 구성하는 대전방지층에 추가로 이형성을 부여하여 이형필름층을 제거한 편광판용 보호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2 과제는 상기 편광판용 보호필름을 구비한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1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일면 상에 형성된 점착층; 및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다른 일면 상에 형성된 이형성 대전방지층;을 구비하며,
상기 이형성 대전방지층은 결착수지 100중량부, 이형성 수지 5 내지 1,000중량부, 경화용 촉매 3 내지 200중량부, 중화제 0.1 내지 20중량부, 용제 1 내지 200중량부 및 대전방지제 3 내지 400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착수지로서는 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아크릴-우레탄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이형성 수지로서는 반응성 유기 관능기를 갖는 실록산 에멀젼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이형성 대전방지층은 상기 결착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중화제 0.1 내지 20중량부 및 용제 1 내지 200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이형성 대전방지층은 상기 결착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방오제를 0.1 내지 400중량부의 함량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지체층 사이에 개재된 편광자의 상부 및 하부에 상기 보호필름이 구비된 편광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용 보호필름은 이형필름을 사용하지 않아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함과 동시에 폐기물의 발생이 적어 환경에 대한 유해성이 저감되므로 다양한 종류의 편광판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용 보호필름은 이형필름층의 기능을 대전방지층에 통합시킴으로써 그 구조가 단순해지고, 제조 공정도 단순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용 보호필름의 구조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계 필름(2)의 일면 상에 이형성 대전방지층(5)이 형성되고, 다른 일면 상에 점착층(3)이 형성된다. 즉 한장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2)을 사용하는 것만으로 보호필름이 완성되며, 별도의 이형 필름이 필요하지 않게 되므로, 편광판 부착 과정에서 번거로운 이형지 제거 공정이 요구되지 않아 사용이 편리하며, 폐기되는 이형지가 발생하지 않아 환경에 대한 부담을 감소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이형필름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단순한 대전방지층이 아닌 이형성 대전방지층(5)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대전방지층이 이형성을 지님으로써 상기 보호필름을 롤 형태로 권취하여 장시간 보관하는 경우에도 점착층(3)과 접촉하는 대전방지층(5)이 상기 점착층(3)과 서로 달라 붙지 않고 대전방지층(5) 상에 잔류물의 존재 없이 롤로부터 상기 보호필름을 쉽게 풀어 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편광판용 보호 필름은 폴리에스테르계 필름(2);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일면 상에 형성된 점착층(3); 및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다른 일면 상에 형성된 이형성 대전방지층(5);을 구비한다.
상기 편광판용 보호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계 필름(2)은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필름으로서, 투명성, 기계적 강도, 광학적 등방성 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폴리에스테르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에틸렌글리콜-테레프탈산-이소프탈산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에틸렌글리콜-헥사메틸렌디메타놀-테레프탈산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폴리아릴레이트 등의 공지의 필름화 가능한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비용적으로도 유리하고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으로는, 무연신 필름보다는 1축 연신이나 2축 연신 등의 연신필름이 투명성 및 기계적 강도 면에서 바람직하다. 특히 연신필름인 경우에는, 광학적 이방성이 적은, 즉 광학적 등방성이 좋은 것이 편광을 분산시키지 않는 측면에서 바람직하고, 또한 1축 연신 필름에 비해 2축 연신 필름이 이와 같은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필름(2)의 두께는, 용도에 따라 적절한 두께로 하 는 것이 바람직한 바, 예컨대 10~500㎛, 바람직하게는 25~300㎛이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동종의 폴리에스테르에 의한 단층의 필름 이외에, 동종 또는 이종의 폴리에스테르에 의한, 단층 또는 2층 이상의 적층체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아울러,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필름(2)은, 필요에 따라 적절한 자외선흡수제, 대전방지제 등의 공지의 첨가제를 적절하게 첨가하여도 좋다.
또는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필름(2)의 점착층(3)을 형성할 예정인 면 위에, 각종 점착성 향상화 처리를 실시하여, 폴리에스테르계 필름(2)과 점착층(3) 사이의 점착력을 강화하여도 좋다. 이러한 점착성 향상화 처리로서는, 예컨대 코로나방전처리, 플라스마 처리, 화염(프레임 처리), 각종 앵커제 도장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앵커제로서는, 예컨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필름(2)의 일면 상에 형성되는 이형성 대전방지층(5)은 결착수지 100중량부, 이형성 수지 5 내지 1,000중량부, 경화용 촉매 3 내지 200중량부 및 대전방지제 3 내지 400중량부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이형성 대전방지층(5)을 구성하는 결착수지는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에 대한 접착성을 발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우레탄계 수지(예를 들어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계 우레탄 수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 수지), 아크릴계 수지(예를 들어 스타이렌 아크릴계 수지), 아크릴-우레탄계 수지, 변성된 실리콘 우레탄계 수지, 변성된 실리콘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중 에서도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계 우레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이형성 대전방지층(5)에 이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이형성 수지는 반응성 유기 관능기의 실록산 에멀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형성 수지의 함량은 상기 결착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00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함량이 5중량부 미만이면 충분한 이형성의 부여가 곤란하며, 1,00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대전방지성이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이형성 대전방지층(5)에 사용되는 이형성 수지는 반응성 수지로서 그 반응을 완료시키기 위해 해당하는 적절한 촉매제의 사용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이형성 수지로서 사용되는 실리콘 수지의 경화반응 메커니즘은 두 가지 열 경화 반응, 예를 들어 부가경화 반응과 축합경화 반응이 있다. 상기 축합경화 반응은 경화용 촉매로서 주석 촉매를 사용하는 것으로 초기 경화가 끝나면 반응이 완료되기 위해서 후경화 기간이 필요한 반응이다. 상기 부가경화 반응은 경화용 촉매로서 백금 또는 로듐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경화용 촉매의 함량은 상기 결착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20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촉매 함량이 3중량부 미만이면 충분한 경화 반응이 얻어질 수 없고, 20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지나친 경화 반응으로 인해 점착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이형성 대전방지층(5)에 사용되는 대전방지제는 대전방지 및 전도성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유기계나 무기계의 화합물이 사용된다. 예컨대, 유기계 화합물의 대전방지제로는, 양이온계 대전방지제, 음이온계 대전방지제, 양성계 대전방지제, 비이온계 대전방지제, 유기금속계 대전방지제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이들 대전방지제는 저분자 화합물 이외에 고분자 화합물로도 사용된다. 또한, 대전방지제로는, 도전성 폴리머인 폴리 싸이오펜, 폴리 아세틸렌, 폴리 아닐린, 폴리 피롤 등도 사용된다. 그 외에 상기 대전방지제로는 예컨대 금속산화물로 이루어진 도전성 미립자 등도 사용된다. 도전성 미립자의 입경은 투명성 면에서, 예컨대 평균 입경 0.1nm 내지 0.1㎛ 정도이다. 한편, 상기 금속산화물으로는, 예컨대, ZnO, CeO2, Sb2O2, SnO2, ITO(인듐 도프 산화주석), In203, Al2O3, ATO(안티몬 도프 산화주석), AZO(알르미늄 도프 산화아연)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독일 H.C.Starck사에서 제조한 Baytron P AG , Baytron PH 또는 Baytron P (Polyethylene dioxythiophene)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대전방지제의 함량은 상기 결착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400중량부의 함량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함량이 3중량부 미만이면 충분한 대전 방지 성능을 얻을 수 없고, 40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초과하는 함량으로 인한 경제적 이익이 거의 없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이형성 대전방지층(5)은 적당한 두께로 하면 좋고, 통상적으로는 0.01 내지 5㎛ 정도가 좋다. 상기 이형성 대전방지층은 공지의 각종 도장공법을 적의 채용해서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이형성 대전방지층(5)은 상기 결착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중화제 0.1 내지 20중량부 및 용제 1 내지 200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중화제로서는 알킬 알칸올아민계인 DMEA (N,N-Dimethylethanolamine), 아미 노 알콜인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을 물에 5% 내지 10%로 희석한 제품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용제로는 NMP (N-Methylpyrrolidone), DMSO(Dinethyl sulfoxide)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형성 대전방지층(5)은 상기 결착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실리콘 오일, 실리콘수지 등의 규소계 화합물, 불소계 계면활성제, 불소계 수지 등의 불소계 화합물, 폴리 에틸렌계 왁스 등의 방오제를 0.1 내지 400중량부의 함량으로 더 포함하여 발수성과 방오성을 추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형성 대전방지층을 구성하는 각종 성분들은 증류수 또는 이온 교환수를 알콜류와 혼합하여 얻어진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100 내지 400%로 희석함으로써 대전방지 성능을 확인하는 표면 전기저항값과 필름 상에 도포되는 고형분의 도포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희석된 이형성 대전방지층 형성용 도포액은 이를 공지의 도장 공법으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상에 도포함으로써 이형성 대전방지층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혼합용매를 형성하는 알코올류로서는 이소프로필 알코올, 에탄올 또는 메탄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형성 대전방지층(5)을 구성하는 각 성분들을 혼합하여 도포액을 형성하는 경우, 각 성분의 첨가 순서도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예를 들어 그 투입 순서는 pH 값이 다른 대전방지제와 수지 간의 배합 순서이다. pH 값이 산성인 대전방지제를 우선 가하고, 여기에 중화제를 사용하여 pH 값을 7 내지 10의 값으로 조정한 후, 여기에 결착수지 등의 기타 성분을 첨가하여 도포액을 형성함으로써 씨드화(seeding) 및 겔화(Gelling) 현상을 예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이형성 대전 방지층(5)은 폴리에스테르계 필름(2)의 일면 상에 형성되며, 다른 일면 상에는 점착층(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s) 점착층(3)은 점착성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공지의 도포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점착성 수지로서는 비닐 알코올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러버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하이브리드계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한 보호필름은 편광판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지지체층 사이에 개재된 편광자로 구성된 편광판의 상부 및 하부에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 싸이오펜(Baytron P AG, 제조사 독일 H.C.Starck) 12g, 수분산 우레탄 수지 (Turboset 2025, 제조사 Lubrizol) 7g, 유기 관능기의 실록산 에멀젼(Syl-Off 7920, 제조사 Dow Corning) 5g, 백금촉매 (Syl-Off 7924, 제조사 Dow Corning) 1g, 순수 57g, 이소프로필 알코올 18g 등을 교반 속도 800 ~ 1,000rpm 하에서 1시간 이상 혼합하여 이형성 대전방지층 형성용 도포액 100g을 제조하였다.
두께 38㎛의 PET 필름 표면에 상기 이형 대전방지성 도포액을 습도막 5㎛으로 도포하고, 100℃에서 30초간 건조하여 이형 대전방지성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그 배면에 아크릴계 약박리형 점착액을 습도막 80㎛으로 도포하고, 100℃에 서 30초간 건조하여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이형 대전방지성 도포액 25g에 순수 15g, 이소프로필 알코올 23g, 메탄올 37g을 교반 속도 800 ~ 1,000rpm 하에서 1시간 이상 혼합하여 같은 방법으로 이형성 대전방지층 형성용 도포액 100g을 제조하였다.
두께 38㎛의 PET 필름 표면에 상기 이형 대전방지성 도포액을 습도막 5㎛으로 도포하고, 100℃에서 30초간 건조하여 이형 대전방지성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그 배면에 아크릴계 약박리형 점착액을 습도막 80㎛으로 도포하고, 100℃에서 30초간 건조하여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박리력 측정
박리력을 측정하기 위해 실시예 1과 2에서 제조한 이형 대전방지성 보호필름을 실온에 60분간 방치한 후, 니또덴코사의 31B 접착테이프를 도포면에 압착롤러로 부착하였다. 이 중 한가지 타입은 실온(온도 15~25℃, 습도 60~80%)에서 1주일간, 또다른 한 타입은 온도 80℃, 습도 60%의 항온항습 조건의 챔버에 1주일간 각각 방치하였다.
표 1>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온방치시편 항온항습시편 실온방치시편 항온항습시편
표면전기저항(Ω/sq) 106 106 109 109
내마모성
내용제성
발수성
박리력(gf/25mm) 3 ~ 5g 3 ~ 5g 6 ~ 8g 5 ~ 8g
상기 표면전기저항은 VERMASON사의 H780를 이용하여 온도 23℃, 습도 55%하 에서 측정하였다.
상기 내마모성은 러빙시험기를 사용하여 1kg의 하중으로 100회 왕복하여 표면의 손상을 육안 관찰하였다. 이때, ○ : 표면변화 없음. ㅧ : 도막의 탈락 발생을 나타낸다.
상기 내용제성은 러빙시험기를 사용하여 부직포에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흡수시킨 후, 300g의 하중으로 5회 왕복하여 표면의 손상을 육안 관찰하였다. 이때, ○ : 표면변화 없음. ㅧ : 도막의 탈락 발생을 나타낸다.
상기 발수성은 보호필름의 표면에 3ml의 물을 적하 후 50g의 하중으로 러빙 후 다시 물을 적하하고 물을 털어 내어 물튀김 현상을 확인하였다.
상기 박리력은 KS A 1107의 점착테이프 점착력 시험법 중 180°당겨 벗김 법을 변형한 시험법으로 실시하였다. 이 시험법은 점착 박리력이 1500gf/25mm의 양면 테이프 위에 상기 실시예 1과 2에서 준비한 시편을 각각 5매씩을 자동 압착 롤러를 사용하여 SUS 304 기판에 부착한 후, 실온에서 30분간 방치 후 박리력을 체크하여 그 범위를 측정하였다.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형성 대전방지층을 형성한 보호필름의 경우, 표면 전기저항이 실온과 항온항습 후에도 일정한 값을 유지하였고, 내마모성, 내용제성, 발수성이 우수하여 제품의 운송 및 수세공정에 적당한 물성을 가지고 있으며, 박리력이 우수하였고, 양호한 외관을 유지하였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른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편광판용 보호필름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용 보호필름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Claims (6)

  1.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일면 상에 형성된 점착층; 및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다른 일면 상에 형성된 이형성 대전방지층;
    을 구비하며,
    상기 이형성 대전방지층이 결착수지 100중량부, 이형성 수지 5 내지 1,000중량부, 경화용 촉매 3 내지 200중량부, 중화제 0.1 내지 20중량부, 용제 1 내지 200중량부 및 대전방지제 3 내지 400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착수지가 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또는 아크릴-우레탄계 수지이며,
    상기 이형성 수지가 반응성 유기 관능기를 갖는 실록산 에멀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용 보호필름.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성 대전방지층이 상기 결착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중화제 0.1 내지 20중량부 및 용제 1 내지 200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용 보호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성 대전방지층이 상기 결착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방오제를 0.1 내지 400중량부의 함량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용 보호필름.
  6. 지지체층 사이에 개재된 편광자의 상부 및 하부에 상기 제1항, 제4항 또는 제5항에 따른 보호필름이 구비된 편광판.
KR1020080055481A 2008-06-13 2008-06-13 편광판용 보호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편광판 KR100880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5481A KR100880427B1 (ko) 2008-06-13 2008-06-13 편광판용 보호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편광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5481A KR100880427B1 (ko) 2008-06-13 2008-06-13 편광판용 보호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편광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0427B1 true KR100880427B1 (ko) 2009-01-29

Family

ID=40483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5481A KR100880427B1 (ko) 2008-06-13 2008-06-13 편광판용 보호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편광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04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794B1 (ko) 2009-10-12 2011-03-17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광학용 표면보호필름
KR20180086138A (ko) * 2017-01-20 2018-07-30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KR20210020348A (ko) 2019-08-14 2021-0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표면 보호 필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207B1 (ko) * 1999-10-01 2006-06-07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표면보호 필름 및 이로 이루어진 적층체
KR100686781B1 (ko) 2006-02-28 2007-02-2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대전방지층을 갖는 이방성 도전 필름
KR100718848B1 (ko) * 2005-11-30 2007-05-17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070052899A (ko) * 2005-11-18 2007-05-23 장관식 대전방지 박리필름, 이를 이용한 대전방지 점착 박리필름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207B1 (ko) * 1999-10-01 2006-06-07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표면보호 필름 및 이로 이루어진 적층체
KR20070052899A (ko) * 2005-11-18 2007-05-23 장관식 대전방지 박리필름, 이를 이용한 대전방지 점착 박리필름및 그 제조방법
KR100718848B1 (ko) * 2005-11-30 2007-05-17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686781B1 (ko) 2006-02-28 2007-02-2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대전방지층을 갖는 이방성 도전 필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794B1 (ko) 2009-10-12 2011-03-17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광학용 표면보호필름
KR20180086138A (ko) * 2017-01-20 2018-07-30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KR102637902B1 (ko) * 2017-01-20 2024-02-20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KR20210020348A (ko) 2019-08-14 2021-0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표면 보호 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27691B (zh) 带粘合剂的树脂膜及使用其的光学层叠体
CN109154690B (zh) 层叠膜及图像显示装置
CN103930942B (zh) 具有粘接剂层的图像显示装置用单元及使用了该单元的图像显示装置
JP6741477B2 (ja) 偏光フィルム、粘着剤層付き偏光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CN101563633B (zh) 偏振板及液晶显示装置
KR101375948B1 (ko) 점착 보호필름
TW201930065A (zh) 積層體
KR20100058462A (ko) 복합 편광판, 적층 광학 부재 및 그것들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TW200403149A (en) Surface protection film for optical film
KR20140031924A (ko) 복합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54728A (ko) 대전 방지성 점착형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CN110730717B (zh) 光学膜、剥离方法及光学显示面板的制造方法
JP6121204B2 (ja) タッチパネル用積層体およびタッチパネル用積層体の製造方法
KR101991970B1 (ko) 점착제층 형성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CN103992751A (zh) 压敏粘合性组合物、压敏粘合剂以及压敏粘合片
KR20070042453A (ko)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
TWI706172B (zh) 偏光板組及液晶面板
KR100880427B1 (ko) 편광판용 보호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편광판
TW201830103A (zh) 偏光板及液晶顯示裝置
CN111480100B (zh) 偏振片用层叠体、偏振片、层叠体膜卷、及其制造方法
KR20160115765A (ko)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KR20180010155A (ko) 세퍼레이터 필름 적층 점착제층을 지닌 광학 필름
TW202001308A (zh) 偏光薄膜、附黏著劑層之偏光薄膜及影像顯示裝置
JP6594782B2 (ja) 粘着剤層付き偏光板
JP2001031924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