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5484B1 - 생분해성 필름 또는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및 생분해성 필름 또는 시트용의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분해성 필름 또는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및 생분해성 필름 또는 시트용의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5484B1
KR100875484B1 KR20087020000A KR20087020000A KR100875484B1 KR 100875484 B1 KR100875484 B1 KR 100875484B1 KR 20087020000 A KR20087020000 A KR 20087020000A KR 20087020000 A KR20087020000 A KR 20087020000A KR 100875484 B1 KR100875484 B1 KR 100875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sheet
composition
less
st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7020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4793A (ko
Inventor
카즈히코 아오키
야스히로 이케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겐시료쿠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겐시료쿠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겐시료쿠엔지니어링
Publication of KR20080094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4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5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54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9/00Compositions of prote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6Applications of disintegrable, dissolvable or edible materials
    • B65D65/466Bio- or photodegradable packag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1Urea; Derivatives thereof, e.g. biure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2Cellulose; Modified cellul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00Compositions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L3/02Starch;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e.g. dextr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7/00Compositions of lignin-containing materials
    • C08L97/02Lignocellulosic material, e.g. wood, straw or bagas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J2301/02Cellulose; Modified cellul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J2303/02Starch;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e.g. dextr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8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14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polymeric 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 C08L2205/16Fibres; Fibr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34Nonself-supporting tubular film or bag [e.g., pouch, envelope, packet, etc.]
    • Y10T428/1345Single layer [continuous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058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grain, strips, or filamentary elements in respective layers or components in angular relation
    • Y10T428/24124Fib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 Bag Frame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수성 및 강도를 충분히 구비한 생분해성이 있는 필름이나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분 0 질량% 이상 35 질량% 이하, 단백질 20 질량% 이상 70 질량% 이하, 셀룰로오스 섬유 15 질량% 이상 60 질량% 이하, 요소 1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가 되도록 각 성분을 혼합하고, 그 혼합물 100 질량부에 대해 물 10 질량부 이상 100 질량부 이하를 첨가하며, 2축 믹서 등을 이용하여 잘 반죽하고, 약 120℃의 가열을 부가하면서 압연하여, 두께가 수십∼300 ㎛ 정도의 필름이나 시트를 얻는다.

Description

생분해성 필름 또는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및 생분해성 필름 또는 시트용의 조성물{BIODEGRADABLE FILM OR SHEET,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COMPOSITION FOR BIODEGRADABLE FILM OR SHEET}
본 발명은 농업용 시트나 쓰레기 봉투 등에 이용할 수 있는 생분해성을 갖는 필름 또는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및 상기 필름 또는 시트용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폴리젖산이나 지방산폴리에스테르 등의 생분해성 수지나 전분 등의 천연 소재를 주성분으로 한 수많은 생분해성 필름이나 시트가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일본 특허 공표 평성 10-511145호 공보(특허 문헌 1)에는, 열가소성전분과 생분해성의 폴리머 및 셀룰로오스 섬유 및 단백질 등으로 제작된 연신된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71201호 공보(특허 문헌 2)에는, 폴리젖산 등의 생분해성의 수지와 탄산칼슘 등의 무기충전제, 또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수용성 수지가 이용된 생분해성의 필름이나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평성 6-313063호 공보(특허 문헌 3)에는, 전분과 생분해성의 지방산폴리에스테르에 보강용 첨가제로서 단백질 및 천연고무가 첨가된 생분해성의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92554호 공보(특허 문헌 4)에는, 전분 등의 활성 수소를 갖는 생분해성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여 이것에 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 또한 요소나 글리세린, 나아가서는 셀룰로오스 등 천연 섬유가 이용된 생분해성의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05130호 공보(특허 문헌 5)에는, 전분과 요소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카르복실산기를 갖는 화합물을 칼슘염이나 알루미늄염 등의 염으로 가교하고, 글리세린이나 요소를 첨가한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생분해성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39496호 공보(특허 문헌 6)에는, 전분류와 그에 대해 60∼300%의 요소 및 10∼150 질량%의 글리세린 등의 다가알콜 나아가서는 천연 소재로서 종이나 삼 등의 섬유가 이용된 생분해성의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88295호(특허 문헌 7)에는, 옥수수글루텐밀과 천연고무에 가소제로서 요소가 이용된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표 제2002-512929호 공보(특허 문헌 8)에는, 전분과 단백질, 천연셀룰로오스 섬유 및 금속염수화물, 가소제로서 요소를 함유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생분해성의 필름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표 평성 10-511145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71201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평성 6-313063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92554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05130호 공보
[특허 문헌 6]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39496호 공보
[특허 문헌 7]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88295호 공보
[특허 문헌 8] 일본 특허 공표 제2002-512929호 공보
발명을 해결하기 위한 과제
그러나, 특허 문헌 1∼3에 기재된 생분해성의 필름 등에서는, 폴리머를 사용하기 때문에 비용이 비싸게 되어, 생분해성의 관점에서는 천연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허 문헌 4∼6에 기재된 생분해성 필름은, 소위 가소제로서 글리세린을 비롯한 다가알콜이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보존 중이나 사용 중에 글리세린 등이 배어나올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필름의 사용 목적에 제약이 생겨, 식품용의 랩으로서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특허 문헌 7의 필름은 글리세린의 다가알콜 등이 사용되지 않는 것이지만, 이용된 천연고무가 완전히 분해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특허 문헌 8의 필름은 금속염을 함유하기 때문에, 그대로 흙에 폐기한 경우에 환경 오염이 우려된다. 또한, 이 필름은 요소를 고농도로 함유하기 때문에, 질소의 배출 부하가 고조되고, 농업 용도에의 사용이 제약될 우려도 높다.
본 발명은 상기의 배경기술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은 내수성 및 강도를 충분히 구비하고, 또한 폴리머나 금속염, 질소 등 환경에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부하를 적게 한 생분해성이 있는 필름이나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 등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노력한 바, 단백질, 셀룰로오스 섬유 및 요소의 3성분, 혹은 그것에 필요에 따라 전분이 부가된 4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내수성이나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 필름이나 시트를 얻을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는 것에 이르렀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내수성 및 강도를 충분히 구비한 필름이나 시트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얇더라도 강도, 투명감이 있는 생분해성이 높은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질소의 함유량이 종래의 생분해성 필름 등에 비해 낮다. 이 때문에, 자연에 투기더라도 환경에 배출되는 질소 부하량이 적다. 따라서, 예컨대 농업 등에서 사용되는 방한용 시트나 가정에서 배출되는 생활 쓰레기용의 쓰레기 봉투 등의 용도에 알맞은 신규인 소재가 제공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생분해성 필름 또는 시트용 조성물은, 전분 0 질량% 이상 35 질량% 이하, 단백질 20 질량% 이상 70 질량% 이하, 셀룰로오스 섬유 15 질량% 이상 60 질량% 이하, 요소 1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로 이루어지고, 또한, 물을 가한 조성물은, 전분 0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 단백질 15 질량% 이상 60 질량% 이하, 셀룰로오스 섬유 10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 요소 0.75 질량% 이상 12 질량% 이하, 물 20 질량% 이상 60 질량% 이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용되는 전분은, 천연물 유래의 전분(천연 전분)뿐만 아니라, 천연 전분을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화학 수식을 행한 화학 수식 전분(chemically modified starch)용할 수도 있다.
천연 전분이란,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고구마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타피오카 전분, 사탕수수(소르검) 전분 등 각종 식물로부터 얻어지는 전분으로서, 기원이 되는 식물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전분 중에 함유되는 아밀로오스, 아밀로펙틴 함량도 특히 문제되지 않고, 고아밀로오스 옥수수 전분과 같이 아밀로오스 함량을 높인 전분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단일의 전분뿐만 아니라, 2종 이상의 천연 전분을 이용하여도 좋다.
화학 수식 전분은, 전분을 구성하는 글루코오스의 수산기에 치환기를 도입한 것이다. 치환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피수식 전분인 천연 전분의 종류도 한정되지 않는다. 화학 수식 전분으로서는, 예컨대, 히드록시프로필 전분, 카르복시메틸 전분, 아세틸화고아밀로오스 전분, 초산 전분, 말레산 전분, 옥테닐호박산 전분, 호박산 전분, 프탈산 전분, 히드록시프로필고아밀로오스 전분, 가교 전분, 인산 전분, 인산히드록시프로필디 전분이 예시된다. 이들의 화학 수식 전분도, 단일종에 한정되지 않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하여도 지장은 없다. 여기서 말하는 가교 전분이란, 인산염화물, 에피크롤히드린, 인산유도체 등의 여러 가지의 가교제에 의해 전분 분자를 가교한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용되는 단백질은, 식물 유래의 단백질이나 동물 유래의 단백질 모두 좋고, 합성 단백질이라도 좋다. 식물 유래의 단백질(식물성 단백질)에는, 예컨대, 대두단백, 밀단백, 쌀단백 등의 각종 콩류나 곡류로부터 얻어지는 단백질이 예시된다. 또한, 동물 유래의 단백질(동물성 단백질)에는, 예컨대, 젖단백 등 각종 동물, 조류, 어류 유래의 단백질이 예시된다. 또한, 이들의 단백질은 추출했을 뿐 정제하지 않은 조단백질뿐만 아니라, 농축한 농축 단백질이라도 좋다. 예컨대, 식물 유래의 단백이면, 대두 농축 단백, 동물 유래의 단백이면, 농축유 단백이 예시된다. 한편, 조단백질을 정제한 단백질이라도 좋고, 식물 유래의 단백질로서 글루텐, 제인, 홀데인, 아베닌, 카피린 등이 예시되고, 동물 유래의 단백질로서 카제인, 알부민, 콜라겐, 젤라틴, 케라틴 등이 예시된다. 이들의 단백질은 1종 혹은 2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용되는 셀룰로오스 섬유는, 천연 혹은 인공 셀룰로오스 섬유의 어느쪽이라도 좋다. 천연 유래의 셀롤 섬유에는, 각종의 식물, 예컨대 왕겨 등의 곡류의 종피, 풀, 목재, 짚, 사탕수수, 솜, 리프, 옥수수의 껍데기나 사탕수수를 짜낸 찌꺼기로부터 얻어진 버개스(bagasse) 신문지 등의 가공품이 예시된다. 이들의 셀룰로오스 섬유는, 짚이나 곡류의 종피 등을 건조시킨 후 섬유형으로 풀어, 그것을 임의로 적당한 길이에 절단하여 이용된다. 이용할 수 있는 셀룰로오스 섬유는, 굵기가 1∼100 ㎛ 정도, 길이가 10 ㎛∼30 mm 정도이지만, 가공품의 용도나 요구되는 강도 등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백질, 셀룰로오스 섬유 및 요소를 필수적인 성분으로 하여, 단백질을 조성물중 20 질량% 이상 70 질량% 이하, 셀룰로오스 섬유를 15 질량% 이상 60 질량% 이하, 요소 1% 이상 15 질량% 이하를 함유하고, 전분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조성물 중에 0 질량% 이상 35 질량% 이하를 함유하도록 조성된다. 또한, 이 때의 조성은 후술하는 물을 가하기 전 상태에 있는 조성물에 대해서이며 각 원료는 특별한 건조 처리나 함수 처리를 행하지 않는 통상의 보존 상태에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 이외에서도, 예컨대 단백질과 셀룰로오스 섬유 및 전분의 3성분으로부터 생분해성이 있는 시트형상물을 얻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시트형상물은 필름과 같이 막 두께가 두껍고, 유연성이나 신장성이 거의 없었다. 또한, 보존과 함께 시트형상물이 건조하여, 꺾이는 것과 같이 용이하게 파손되기 쉬운 것이었다. 본 발명자 등은, 이러한 상황 하의, 특정한 배합량비를 갖는 조성물에 요소를 첨가함으로써, 강도는 물론, 보수성이 향상하여, 유연성이 있는 시트형의 박막이 형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이 때, 단백질이 조성물중 20 질량% 미만이거나, 70 질량%를 초과하여 배합한 경우에는 필름형으로 성형할 수 없다. 또한, 셀룰로오스 섬유의 배합량이 15 질량%보다 적은 경우에도 필름형으로 형성할 수 없고, 그 배합량이 60 질량%보다 많으면 셀룰로오스 섬유의 배합량이 단백질에 비해 지나치게 많은 결과, 셀룰로오스 섬유의 배합량이 적은 경우와 동일하게 양호한 필름형으로 성형할 수 없다. 요소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필수 성분이다. 이 요소는, 합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필름에 있어서의 가소제로서의 사용이라고 하기보다, 얻어지는 필름 중의 수분을 유지하여, 이에 따라 필름에 유연성을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적어도 물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조성물 중에 1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2 질량% 이상의 배합량으로 한다. 또한, 환경에의 질소 부하를 적게 하기 위해서는 적은 쪽이 바람직하고, 많더라도 조성물 중에 15 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2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질량% 미만이다. 즉, 요소의 배합량은 1∼15 질량%, 바람직하게는 2∼12 질량% 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분은 필수가 아니라 임의의 성분으로서,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배합된다. 그 배합량은, 많더라도 조성물 중 35 질량% 이하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필름은, 단백질과 셀룰로오스 섬유 및 요소가 밸런스 좋게 배함됨으로써 얻어지는 것으로, 전분은 부형제(증량제)로서 생각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단백질, 셀룰로오스 섬유, 요소의 3성분이 밸런스 좋게 배합되어 있으면 좋지만, 거기에 배합되는 전분량이 많아지면 적절한 필름을 형성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생분해성 조성물은, 단백질, 셀룰로오스 섬유 및 요소를 필수적인 구성 성분으로 하고, 그 외에 전분을 배합한 것으로, 이들의 성분 이외에 글리세린이나 폴리에틸렌글리콜 등 가소제나 연화제, 금속염을 배합할 필요는 없다. 더구나, 본 발명의 가공품의 강도, 유연성 등의 물성을 본질적으로 바꾸지 않는 한, 착색료나 열착색 방지용의 안정제 등의 첨가제를 배합하는 것은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필름 등은 다음과 같이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즉, 필요한 성분을 물과 잘 혼합한 뒤에 충분히 혼련한다. 즉 소정의 배합량으로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뒤에 물을 가하여, 2축 믹서 등을 이용하여 충분히 교반 혼련한다. 이때, 각 성분과 물이 혼합하는 것만으로는 불충분하고, 대략 귓불 정도의 찰기, 바람직하게는 소위 국수 허리처럼 찰기가 생기는 정도까지 충분히 반죽한다.
이 경우의 물과 조성물과의 혼합비는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해, 물 10 질량부 이상 100 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물 25 질량부 이상 70 질량부 이하이지만, 적절하게, 상기 찰기를 얻을 수 있을 정도로 조정된다. 물이 10 질량부보다도 적으면 가루 날림이 생겨 충분히 반죽되지 않고, 또한, 100 질량부보다도 많으면 물이 지나치게 많고 부드럽게 되어, 적절한 찰기(국수허리)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또한, 전분, 단백질, 셀룰로오스 섬유 및 요소에 물을 첨가한 조성물에 있어서는, 20 질량% 이상 60 질량% 이하의 물이 함유되도록 하는 것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28 질량% 이상 52 질량%의 물이 함유되도록 한다.
얻어진 혼련물은, 예컨대, 그대로 필름 또는 시트형으로 가공된다. 필름 또는 시트로 하기 위해서는 혼련물을 프레스하면 좋고, 소위 압연 가공인 카렌더법이나 롤가공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프레스 시에는 가열 처리가 실시된다. 가열 처리는 100℃ 이상, 요소의 분해 온도인 약 135℃ 이하, 즉 100℃ 이상 135℃ 이하의 범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이상 130℃ 이하이다. 온도가 낮으면 충분한 강도나 투명성을 얻을 수 없고, 온도가 높으면 얻어진 필름이 갈색으로 변색되어, 수분이 감소하여 필름이라고 하기보다 유연성이 없는 판형물밖에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강하다. 프레스 시의 압력이나 시간은, 조성물의 배합이나 요구하고자 하는 막의 두께 등에 의해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지만, 그 일례를 들면, 120℃이면 5 MPa, 5분간 정도의 조건이다. 그러나, 가열하지 않고 상온에서 프레스하여도, 적절한 강도와 내수성이 있는 필름이나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요소를 함유하고 있고, 본 발명의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필름이나 시트는 보수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물을 첨가하여 잘 반죽한 상태의 중간품도 보수성이 있고, 보습 상태로 보관함으로써, 그 중간품을 이용하여 필름 등에 가공할 수도 있다. 즉, 상기 3성분 내지 4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에 물을 첨가하여 충분히 반죽한 조성물로서 제공할 수도 있다. 이 중간품으로서 제공되는 조성물은, 0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의 전분과, 15 질량% 이상 60 질량% 이하의 단백질과, 10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의 셀룰로오스와, 0.75 질량% 이상 12 질량% 이하의 요소와, 20 질량% 이상 60 질량% 이하의 물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요소가 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이다. 여기에 있어서 보습 상태에서의 보관이란, 반죽되어진 조성물로부터의 수분의 증발 비산이 거의 없는 상태를 나타내고, 예컨대 비닐 봉투 내에 보관하는 것이 예시된다. 그러나, 반드시 환경을 고습도로 유지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필름이나 시트의 두께는 수십∼300 ㎛ 정도로서, 0.5∼2 mm 정도의 두께가 있는 시트형상물로서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필름 등은 투명 내지 반투명으로서, 막 두께가 200 ㎛이면 물에 침지한 상태로 일주일 정도, 또한 막 두께가 1 mm이면 3주간 이상의 내수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필름 등은 적어도 10∼30 MPa 정도의 인장 강도를 갖는다. 그리고, 오일이나 왁스, 글리세린 등의 가소제가 사용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화학 물질 등이 배어나오지 않고, 생체에 대한 안전성에도 우수한 필름이나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금속염도 이용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분해에 의해 금속염이 배출되지 않고, 더구나, 요소의 함유량이 적기 때문에, 환경에 방출되는 질소량이 적으며, 소위 부영양화 등의 환경 오염의 염려도 적다.
본 발명의 필름이나 시트는, 식품용의 랩이나 포장용 시트, 농업용의 방한용시트 등으로서 2차 가공을 전혀 실시하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이들의 필름이나 시트에 봉투 가공 등의 2차 가공을 실시하여, 식품용의 포장 봉투나 보존 봉투, 소위 쓰레기 봉투나 레지스터 봉투 등 여러 가지의 형태로 가공하여 제공되는 경우도 있다. 봉투형으로의 가공 방법으로서, 예컨대 원재료인 시트와 동일한 조성물을 접착제로서 사용하여 봉투 가공하는 방법이나 가열할 때에 압착하는 부분의 압력을 높이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더구나,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는 충분한 내수성뿐만 아니라 높은 강도를 갖는 시트형상물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필름이나 시트뿐만아 니라, 컵이나 접시와 같은 식기류, 도시락통이나 테이크 아웃용의 포장 용기 등에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충분히 반죽한 조성물로부터 상기 온도에 가열하면서 소정의 형상으로 프레스 가공하면 좋다. 또한, 필요에 따라 내수용의 수지를또한 코팅하여도 지장이 없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대해 하기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실시예 1
우선, 전분, 단백, 셀룰로오스 섬유 및 요소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의 혼합· 프레스성, 박막성 형성에 대해 평가를 행했다.
옥수수 전분(와코순약(주)사제), 감자 전분(와코순약(주)사제), 쌀전분(와코순약(주)사제), 밀 전분(와코순약(주)사제), 밀 단백(오사다산업(주)사제「프메릿A」), 셀룰로오스 파이버(니혼제지 케미컬(주)제 KC 프록 #100메쉬 또는 #200),요소를 표 1과 같이 배합하고, 표 1에 나타내는 양의 물을 첨가하며, 2축 믹서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혼합 혼련했다. 이 혼련물을, 120℃의 가열 하에서 2축 프레스기에 의해 필름화를 시도했다. 이때의 혼합·프레스성 및 박막성 형성에 대해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혼합·프레스성은 조성물과 물로 충분히 반죽되었는지의 여부로 평가하고, 박막성 형성은 필름을 얻을 수 있는지의 여부로 평가했다. 또한, 표 2에는 물을 첨가한 조성물의 조성을 나타냈다.
[표 1]
Figure 112008058263691-pct00001
[표 2]
Figure 112008058263691-pct00002
〔강도 시험〕
표 1(표 2)에 있어서 양호한 혼합성 및 가열 프레스성이 좋은 시험 번호 18, 18(2)∼18(4) 및 37, 37(2)∼37(4)의 합계 8개의 조성물로부터, 120℃의 가열 프레스에 5 MPa, 5분간)에 의해 각종 필름을 제작하여, 이들 필름의 인장 강도를 측정 했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표 3]
Figure 112008058263691-pct00003
[내수성 평가〕
다음으로 상기 강도 시험에 있어서 이용된 8개의 조성물 및 시험 번호 36의 조성물로부터, 120℃의 가열 프레스(5 MPa, 5분간)에 의해 각종 필름을 제작하고, 이들 필름의 내수성을 평가했다. 평가는, 상온수에 침지했을 때에, 팽윤이 보이지 않고, 형상이 유지되어 있는지의 여부로 판정했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냈지만, 200 ㎛의 막 두께에서는 7일간, 1 mm의 막 두께에서는 24일 이상의 내수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참고로 상온에서 프레스 가공한 시트의 내수성도 아울러 평가했다.
[표 4]
Figure 112008058263691-pct00004
본 발명에 따르면, 지금까지 없는 강도와 내수성이 우수한 생분해성의 필름 또는 시트가 제공된다. 특히 내수성이 우수하고, 폴리젖산 등의 합성폴리머를 이용하지 않으며 전분이나 단백질 등의 천연소재만으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생분해성이 높고, 더구나 비교적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봉투형으로 가공하여 가정의 생활 쓰레기 등을 투입하고 그대로 폐기할 수 있다. 특히 질소 함유량이 적고, 금속염도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에의 부하도 적다.

Claims (8)

  1. 전분 0 질량% 이상 35 질량% 이하,
    단백질 20 질량% 이상 70 질량% 이하,
    셀룰로오스 섬유 15 질량% 이상 60 질량% 이하,
    요소 1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필름 또는 시트용 조성물.
  2. 제1항에 기재한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생분해성 필름 또는 시트.
  3. 제1항에 기재한 조성물에 물을 가하여 반죽한 후, 100℃ 이상 135℃ 이하의 가열하에 있어서, 압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필름 또는 시트.
  4. 제2항 또는 제3항에 기재한 생분해성 필름 또는 시트로부터 얻어진 봉투.
  5. 전분 0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
    단백질 15 질량% 이상 60 질량% 이하,
    셀룰로오스 섬유 10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
    요소 0.75 질량% 이상 12 질량% 이하,
    물 20% 이상 60 질량% 이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필 름 또는 시트용 조성물.
  6. 제5항에 기재한 조성물을 반죽함으로써 얻어진 생분해성 필름 또는 시트 제조용의 조성물.
  7. 제1항에 기재한 생분해성 조성물에 물을 가하여 반죽하는 공정 또는 제5항에 기재한 조성물을 반죽하는 공정,
    상기 반죽한 조성물을 가열하면서 프레스 처리하는 공정을 갖는 생분해성 필름 또는 시트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100℃ 이상 135℃ 이하로 가열하는 생분해성 필름 또는 시트의 제조 방법.
KR20087020000A 2007-12-13 2008-07-15 생분해성 필름 또는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및 생분해성 필름 또는 시트용의 조성물 KR1008754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322049 2007-12-13
JP2007322049A JP4077027B1 (ja) 2007-12-13 2007-12-13 生分解性フィルム又はシート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生分解性フィルム又はシート用の組成物
PCT/JP2008/062761 WO2009075122A1 (ja) 2007-12-13 2008-07-15 生分解性フィルム又はシート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生分解性フィルム又はシート用の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4793A KR20080094793A (ko) 2008-10-24
KR100875484B1 true KR100875484B1 (ko) 2008-12-22

Family

ID=39381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7020000A KR100875484B1 (ko) 2007-12-13 2008-07-15 생분해성 필름 또는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및 생분해성 필름 또는 시트용의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277718B2 (ko)
EP (1) EP2221344A4 (ko)
JP (1) JP4077027B1 (ko)
KR (1) KR100875484B1 (ko)
CN (1) CN101896553B (ko)
DE (1) DE112008000001T5 (ko)
WO (1) WO20090751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7027B1 (ja) * 2007-12-13 2008-04-16 株式会社原子力エンジニアリング 生分解性フィルム又はシート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生分解性フィルム又はシート用の組成物
GB2459524B (en) * 2007-12-13 2010-03-10 Nuclear Engineering Ltd Biodegradable film or sheet,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composition for biodegradable film or sheet.
JP2011110715A (ja) * 2009-11-24 2011-06-09 Hitachi Chem Co Ltd 易分解性フィルム及び易分解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01797999B (zh) * 2010-03-02 2011-08-17 昆明春叶塑料制成品有限公司 表面涂布热封层的天然纤维素烟用包装薄膜及其制备方法
WO2012064798A1 (en) * 2010-11-09 2012-05-18 Paper-Pak Industries Food package
EP3241677A1 (de) 2016-05-03 2017-11-0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Thermoformbarer mehrschichtverbund mit sauerstoffbarriere sowie protein enthaltende formulierung zur herstellung des mehrschichtverbundes
US11718464B2 (en) 2020-05-05 2023-08-08 Pratt Retail Specialties, Llc Hinged wrap insulated container
CN111875854A (zh) * 2020-08-06 2020-11-03 蔡伟华 一种环保易降解的塑料及其制备方法
EP4186817A1 (de) 2021-11-29 2023-05-31 Sebastian Karwatzki Beutelvorricht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1201A (ja) 2001-04-13 2002-12-26 Mitsui Chemicals Inc 生分解性樹脂組成物
JP2003292554A (ja) 2002-04-08 2003-10-15 Hiroshi Takimoto 生分解性化合物、生分解性組成物及びその成型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4759B2 (ja) * 1989-10-18 1994-12-21 工業技術院長 新規な複合材料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US5660900A (en) * 1992-08-11 1997-08-26 E. Khashoggi Industries Inorganically filled, starch-bound compositions for manufacturing containers and other articles having a thermodynamically controlled cellular matrix
US5508072A (en) * 1992-08-11 1996-04-16 E. Khashoggi Industries Sheets having a highly inorganically filled organic polymer matrix
JP2651884B2 (ja) 1993-04-30 1997-09-10 筒中プラスチック工業株式会社 生分解性を有する澱粉系組成物
US5736209A (en) * 1993-11-19 1998-04-07 E. Kashoggi, Industries, Llc Compositions having a high ungelatinized starch content and sheets molded therefrom
US5523293A (en) * 1994-05-25 1996-06-04 Iow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Soy protein-based thermoplastic composition for preparing molded articles
DE59506810D1 (de) 1994-12-22 1999-10-14 Biotec Biolog Naturverpack Technische und nichttechnische textile erzeugnisse sowie verpackungsmaterialien
US5665152A (en) 1995-11-29 1997-09-09 Midwest Grain Products Biodegradable grain protein-based solid articles and forming methods
JP3317624B2 (ja) * 1996-02-07 2002-08-26 理研ビタミン株式会社 生分解性複合材料の製造方法
JPH11198970A (ja) * 1998-01-12 1999-07-27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緩衝材シート及び緩衝容器成形用シート
JP3462741B2 (ja) 1998-01-16 2003-11-05 カネボウ株式会社 紙収納容器
US5922379A (en) 1998-05-05 1999-07-13 Natural Polymer International Corporation Biodegradable protein/starch-based thermoplastic composition
JP2001288295A (ja) 2000-04-03 2001-10-16 Oji Paper Co Ltd 生分解性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物
JP2003105130A (ja) 2001-09-28 2003-04-09 Hiroshi Takimoto 生分解性組成物及びその成形法
JP2004339496A (ja) 2003-04-21 2004-12-02 Hiroshi Takimoto 生分解性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基材
JP4077026B1 (ja) * 2007-11-02 2008-04-16 株式会社原子力エンジニアリング 生分解性組成物及び食品容器等の生分解性加工品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4077027B1 (ja) * 2007-12-13 2008-04-16 株式会社原子力エンジニアリング 生分解性フィルム又はシート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生分解性フィルム又はシート用の組成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1201A (ja) 2001-04-13 2002-12-26 Mitsui Chemicals Inc 生分解性樹脂組成物
JP2003292554A (ja) 2002-04-08 2003-10-15 Hiroshi Takimoto 生分解性化合物、生分解性組成物及びその成型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96553B (zh) 2012-10-03
US8277718B2 (en) 2012-10-02
JP2009144034A (ja) 2009-07-02
JP4077027B1 (ja) 2008-04-16
CN101896553A (zh) 2010-11-24
KR20080094793A (ko) 2008-10-24
DE112008000001T5 (de) 2010-05-27
US20100233396A1 (en) 2010-09-16
EP2221344A1 (en) 2010-08-25
EP2221344A4 (en) 2013-02-20
WO2009075122A1 (ja) 200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5484B1 (ko) 생분해성 필름 또는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및 생분해성 필름 또는 시트용의 조성물
Oluwasina et al. Influence of oxidized starch on physicomechanical, thermal properties, and atomic force micrographs of cassava starch bioplastic film
Shafqat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starch based bioplatics using varying plant-based ingredients, plasticizers and natural fillers
Tabasum et al. A review on blending of corn starch with natural and synthetic polymers, and inorganic nanoparticles with mathematical modeling
Silva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a low solubility edible film based on native cassava starch
Briassoulis An overview on the mechanical behaviour of biodegradable agricultural films
Gaspar et al. Reducing water absorption in compostable starch-based plastics
KR100983073B1 (ko) 생분해성 조성물 및 식품 용기 등의 생분해성 가공품 및 그 제조방법
Lu et al. Starch-based completely biodegradable polymer materials
US6323265B1 (en) Thermoplastic mixture containing 1,4-α-D-polyglucane, method for making the same and use thereof
Lawton Effect of starch type on the properties of starch containing films
Ghanbarzadeh et al. Biodegradable polymers
Andrade-Mahecha et al. Development and optimization of biodegradable films based on achira flour
US4133784A (en) Biodegradable film compositions prepared from starch and copolymers of ethylene and acrylic acid
US6406530B1 (en) Biopolymer-based thermoplastic mixture for producing biodegradable shaped bodies
Bakry et al. Effect of sorbitol at different concentrations on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gelatin/carboxymethyl cellulose (CMC)/chitosan composite films
US7067651B2 (en) Non-synthetic biodegradable starch-based composition for production of shaped bodies
Hernández-García et al. Thermoprocessed starch-polyester bilayer films as affected by the addition of gellan or xanthan gum
Adamu et al. Effect of glycerol on the properties of tapioca starch film
JP3912023B2 (ja) 生分解性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509527A (ja) ジアルデヒドデンプン及び天然高分子を含んで成る熱可塑性混合物
JP4574738B1 (ja) 生分解性成形品
JP4128612B1 (ja) 生分解性組成物及び強度部材等の生分解性加工品並びにその製造方法
GB2459524A (en) Biodegradable film or sheet,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composition for biodegradable film or sheet
Lau et al. Effect of glycerol concentrations on the mechan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chicken skin gelatin-tapioca starch composite fil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