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5156B1 -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5156B1
KR100875156B1 KR1020060137351A KR20060137351A KR100875156B1 KR 100875156 B1 KR100875156 B1 KR 100875156B1 KR 1020060137351 A KR1020060137351 A KR 1020060137351A KR 20060137351 A KR20060137351 A KR 20060137351A KR 100875156 B1 KR100875156 B1 KR 100875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substrate
region
cleaning
chuck
eb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7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2059A (ko
Inventor
민대홍
Original Assignee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7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5156B1/ko
Publication of KR20080062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2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5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5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1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1L21/31105Etching inorganic layers
    • H01L21/31111Etching inorganic layers by chemical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24Thermal treatment f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semiconductor bodies, e.g. annealing, sin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leaning Or Drying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공정을 수행하여 다수의 산화막을 EBR(edge bead removal) 영역과 베벨(bevel) 영역에 형성한 반도체 기판을 후면이 위로 향한 상태로 세정 척에 장착하는 단계; 상기 세정 척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세정 척 위에 구비된 세정액 노즐을 통해 세정액을 상기 반도체 기판의 후면으로 분출하는 단계; 상기 세정액이 상기 반도체 기판의 후면을 따라 상기 EBR 영역 내지 베벨 영역에 침투하도록, 상기 세정 척의 상측면에 구비된 분사부를 통해 질소 가스를 상기 반도체 기판의 EBR 영역 내지 베벨 영역까지 분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세정 척과 세정액 노즐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상기 반도체 기판을 탈착하여 열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EBR(edge bead removal) 영역, 베벨(bevel) 영역, 산화막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도 1a는 종래에 반도체 기판의 에지 부분에서 발생하는 에지 프로파일의 문제점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1b는 종래에 반도체 기판의 에지 부분에서 발생하는 원형 결함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에지 영역의 산화막을 제거하기 위한 세정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세정 척 몸체 11 : 유입부
12 : 분사부 20: 반도체 기판
30 : 세정액 노즐 40: 핀
100 : 세정 척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기판의 에지 부분에서 떨어진 산화막 파티클에 의해 발생하는 결함을 개선하기 위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소자의 제조 공정에서 반도체 기판의 에지 부분 중 EBR(edge bead removal) 공정이 이루어지는 EBR 영역과 경사진 부분인 베벨(Bevel) 영역은 패턴이 형성되지 않는 영역이므로, 제조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이종 막질들이 증착되어 누적되므로 취약한 적층(Stack)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적층 구조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티브 영역에 형성되는 산화막의 막질, 게이트를 구비하기 위한 산화막의 막질 및 다수의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증착되는 산화막 등의 다수의 산화막이 EBR 영역과 베벨 영역에도 형성되어, 막질 사이의 계면 접착력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유발시키게 되어 열처리(Thermal Process) 진행 중에 EBR 영역과 베벨 영역에서 적층 구조의 이종 막질 각각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로 인해 층분리(delamination) 현상이 발생하고, 어닐링 공정 등의 열처리가 수행됨에 따라 스트레스가 가중되어 실리콘 산화막 등이 들고 일어나는 현상인 들뜸 현상(peeling)이 발생할 수 있다.
결국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종 막질이 원형 형태로 분리되어 반도체 기판의 다이 영역 내에 침투하여 결함(Defect) 형태로 존재하게 되어 반도체 소자에 치명적인 손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반도체 기판의 에지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층분리(delamination) 현상과 들뜸 현상(peeling)에 의한 산화막 파티클로 인한 결함 발생을 개선하기 위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 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공정을 수행하여 다수의 산화막을 EBR(edge bead removal) 영역과 베벨(bevel) 영역에 형성한 반도체 기판을 후면이 위로 향한 상태로 세정 척에 장착하는 단계; 상기 세정 척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세정 척 위에 구비된 세정액 노즐을 통해 세정액을 상기 반도체 기판의 후면으로 분출하는 단계; 상기 세정액이 상기 반도체 기판의 후면을 따라 상기 EBR 영역 내지 베벨 영역에 침투하도록, 상기 세정 척의 상측면에 구비된 분사부를 통해 질소 가스를 상기 반도체 기판의 EBR 영역 내지 베벨 영역까지 분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세정 척과 세정액 노즐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상기 반도체 기판을 탈착하여 열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반도체 기판을 세정 척에 장착하는 단계는 상기 세정 척의 상측면에 구비된 다수의 핀을 이용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을 지지하면서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세정액은 HF를 TMH(Tetra Methyl Ammonium Hydroxide)에 40 ~ 50%로 혼합한 세정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질소 가스를 상기 반도체 기판의 EBR 영역 내지 베벨 영역까지 분사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반도체 기판의 면에 대해 10°~ 20°의 각도 범위에서 설정되어 상기 질소 가스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질소 가스를 상기 반도체 기판의 EBR 영역 내지 베벨 영역까지 분사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분사부에서 분사되는 질소 가스의 분사압은 상기 세정 척의 회전수에 따라 설정되어, 상기 세정 척의 회전수가 1000rpm인 경우 상기 질소 가스의 분사압은 200 ~ 400lpm(liter per minute)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에지 영역의 산화막을 제거하기 위한 세정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은 다수의 공정을 수행하여 반도체 기판(20) 상에 액티브 영역에 산화막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증착된 산화막(도시하지 않음)과, 게이트를 구비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산화막(도시하지 않음)과, 다수의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증착되는 산화막 및 질화막 등의 다수의 막질(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 상태에서, 이와 같은 다수의 막을 구비한 반도체 기판(20)에 대해 열처리 공정을 수행하기 전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 척(100)에 장착하여 에지 영역의 산화막을 제거하기 위한 세정 공정을 수행한다.
세정 척(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 몸체(10), 척 몸체(10) 내부에 질소 가스를 유입하는 유입부(11), 유입부(11)로부터 유입된 질소 가스를 소정의 각도로 반도체 기판(20)의 에지 부분으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부(12), 척 몸체(10) 상측에 반도체 기판(20)을 장착하여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핀(40) 및 척 몸체(10) 상측에 장착된 반도체 기판(20)에 대응하여 세정액을 반도체 기판(20)의 후면으로 분사하는 세정액 노즐(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분사부(12)는 반도체 기판(20)의 에지 부분, 즉 EBR 영역과 베벨 영역으로 질소 가스를 분사하는 폭이 좁아지는 개구부로서, 세정 척(100)의 상부면에서 원형 형태로 구비되어 유입부(11)로부터 유입된 질소 가스가 좁아지는 폭의 개구를 통해 분사된다.
세정액 노즐(30)은 외부에 연결되어 반도체 기판(20)의 EBR 영역과 베벨 영역에 적층된 다수의 산화막을 제거하기 위한 세정액, 예를 들어 HF를 TMH(Tetra Methyl Ammonium Hydroxide)에 40 ~ 50%, 바람직하게는 49%로 혼합한 세정액을 반도체 기판(20)의 후면으로 분출하는 노즐부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구성의 세정 척(100) 상측에 반도체 기판(20)의 후면이 세정액 노즐(30)에 마주보는 상태로, 즉 반도체 기판(20)의 후면이 위로 오게 하도록 다수의 핀(40)에 의해 지지하면서 장착하고, 세정 척(100)의 척 몸체(10) 자체가 소정의 회전수로 회전하며, 척 몸체(10)가 회전함에 따라 세정액 노즐(30)을 통해 세정액을 반도체 기판(20)의 후면으로 분출한다.
이때, 분출된 세정액이 반도체 기판(20)의 후면을 따라 반도체 기판(20)의 EBR 영역과 베벨 영역으로 흐르게 되어 EBR 영역과 베벨 영역의 산화막을 제거하며, 이러한 세정액이 반도체 기판(20)의 EBR 영역과 베벨 영역을 거쳐 다이 영역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동시에 분사부(12)를 통해 질소 가스를 반도체 기 판(20)의 EBR 영역 또는 베벨 영역으로 분사할 수 있다.
여기서, 분사부(12)를 통해 분사되는 질소 가스는 척 몸체(10)의 회전수에 따라 척 몸체(10)의 회전수가 높아짐에 따라 질소 가스의 분사량이 낮아지도록 조절되어, 예를 들어 척 몸체(10)의 회전수가 1000rpm인 경우 질소 가스는 분사부(12)에서 200 ~ 400lpm(liter per minute)으로 분사될 수 있고, 반도체 기판(20)의 면에 대해 반도체 기판(20)의 EBR 영역 또는 베벨 영역으로 10°~ 20°의 각도 범위에서 설정되어 분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사부(12)를 이용하여 반도체 기판(20)의 다이 영역으로 세정액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반도체 기판(20)의 EBR 영역과 베벨 영역에 적층된 산화막을 제거하므로, 이후 수행되는 공정과정에서 반도체 기판(20)의 EBR 영역과 베벨 영역에서 각종 산화막 막질들의 상이한 열팽창 계수로 인한 층간 분리현상으로 산화막 파티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반도체 기판(20)의 EBR 영역과 베벨 영역에서 산화막 파티클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종래에 산화막 파티클이 다이 영역 내부로 침투하여 결함(Defect)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하여 반도체 소자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전술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반도체 기판의 EBR 영역과 베벨 영역에 적층된 산화막을 제거하므로, 이후 수행되는 열처리 공정과정에서 EBR 영역과 베벨 영역의 각종 산화막 막질들의 상이한 열팽창 계수로 인한 층간 분리현상으로 발생하는 산화막 파티클을 억제하여, 종래에 산화막 파티클이 다이 영역 내부로 침투하여 결함(Defect)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반도체 소자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6)

  1. 다수의 공정을 수행하여 다수의 산화막을 EBR(edge bead removal) 영역과 베벨(bevel) 영역에 형성한 반도체 기판을 후면이 위로 향한 상태로 세정 척에 장착하는 단계;
    상기 세정 척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세정 척 위에 구비된 세정액 노즐을 통해 세정액을 상기 반도체 기판의 후면으로 분출하는 단계;
    상기 세정액이 상기 반도체 기판의 후면을 따라 상기 베벨 영역과 EBR 영역을 거쳐 상기 반도체 기판의 다이 영역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세정 척의 상측면에 구비된 분사부를 통해 질소 가스를 상기 반도체 기판의 EBR 영역 또는 베벨 영역으로 분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세정 척과 세정액 노즐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상기 반도체 기판을 탈착하여 열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을 세정 척에 장착하는 단계는
    상기 세정 척의 상측면에 구비된 다수의 핀을 이용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을 지지하면서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은 HF를 TMH(Tetra Methyl Ammonium Hydroxide)에 40 ~ 50%로 혼합한 세정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 가스를 상기 반도체 기판의 EBR 영역 또는 베벨 영역으로 분사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반도체 기판의 면에 대해 10°~ 20°의 각도 범위에서 설정되어 상기 질소 가스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 가스를 상기 반도체 기판의 EBR 영역 또는 베벨 영역으로 분사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분사부에서 분사되는 질소 가스의 분사압은 상기 세정 척의 회전수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척의 회전수가 1000rpm인 경우 상기 질소 가스의 분사압은 200 ~ 400lpm(liter per minute)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0060137351A 2006-12-29 2006-12-29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875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7351A KR100875156B1 (ko) 2006-12-29 2006-12-29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7351A KR100875156B1 (ko) 2006-12-29 2006-12-29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2059A KR20080062059A (ko) 2008-07-03
KR100875156B1 true KR100875156B1 (ko) 2008-12-22

Family

ID=39814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7351A KR100875156B1 (ko) 2006-12-29 2006-12-29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51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4142B1 (ko) * 2021-10-15 2023-10-05 엘에스이 주식회사 스핀 척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1355B1 (ko) * 1997-11-28 2003-08-19 엔이씨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기판의세정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1355B1 (ko) * 1997-11-28 2003-08-19 엔이씨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기판의세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2059A (ko) 200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10216B (zh) 湿蚀刻方法、基板液处理装置以及存储介质
CN100382248C (zh) 单晶片清洗装置及其清洗方法
JP3405312B2 (ja) 塗布膜除去装置
US20070000524A1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US6770151B1 (en) Drying a substrate using a combination of substrate processing technologies
KR100900517B1 (ko) 디바이스 소자 제조 방법 및 다이싱 방법
JP2016127080A (ja) 基板処理装置および基板処理方法
JP2016039186A (ja) ウエーハの加工方法
KR20070052321A (ko) 대상물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WO2015116348A1 (en) Improved wafer coating
JP2000228389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9181026A (ja) 半導体装置の製造装置
KR100875156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60041961A (ko) 메사형 반도체 장치의 제법
KR100696955B1 (ko) 웨이퍼 에지의 베벨 식각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베벨 식각방법
US2009017022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JP2018206851A (ja) 基板処理方法および基板処理装置
KR101292221B1 (ko) 매엽식 세정 및 건조 장치, 매엽식 세정 및 건조 방법
CN112864013B (zh) 半导体器件处理方法
KR20170036953A (ko) 엘이디 공정용 메탈 스트립 장치 및 방법
JP5849201B2 (ja) 切り残し部除去装置
KR20150104935A (ko) 관통전극 웨이퍼 제조방법
WO2014010589A1 (ja) リフトオフ装置およびリフトオフ方法
KR100493558B1 (ko) 스핀 식각 장치
JP7076966B2 (ja) 基板および半導体デバイス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