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4518B1 - 동화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동화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4518B1
KR100874518B1 KR20070024547A KR20070024547A KR100874518B1 KR 100874518 B1 KR100874518 B1 KR 100874518B1 KR 20070024547 A KR20070024547 A KR 20070024547A KR 20070024547 A KR20070024547 A KR 20070024547A KR 100874518 B1 KR100874518 B1 KR 100874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ture signal
picture
compressed
signal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24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7309A (ko
Inventor
시니치로 고토
류스케 히라이
노보루 야마구치
와타루 아사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70097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7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4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4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77Motion compensation with bidirectional frame interpolation, i.e. using B-pi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H04N19/43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motion estimation or compen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05Selection of the reference unit for prediction within a chosen coding or prediction mode, e.g. adaptive choice of position and number of pixels used for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Select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transforms or standards, e.g. selection between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and sub-band transform or selection between H.263 and H.26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6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6Availability of hardware or computational resources, e.g. encoding based on power-saving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H04N19/159Prediction type, e.g. intra-frame, inter-frame or bidirectional frame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picture, frame or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colour or a chrominance compon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H04N19/42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characterised by memory arrangements
    • H04N19/42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characterised by memory arrangements using memory downsizing methods
    • H04N19/428Recompression, e.g. by spatial or temporal dec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4Decod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video decoders which are a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en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spatial sub-sampling or interpolation, e.g. alteration of picture size or resol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동화상 복호화 장치는, 동화상 신호를 위한 예측 화상 신호를 이용해서 동화상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기(101)와,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압축하는 압축 장치(115),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저장하는 제1메모리(113), 압축된 화상 신호를 저장하는 제2메모리(114), 제2메모리로부터 판독된 압축된 화상 신호를 신장하는 신장 장치(116), 화상 유니트에서의 동화상 부호화 데이터와 블록 유니트에서의 예측 모드의 코딩 형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기준 화상 신호로서 제1메모리로부터 판독된 복호화된 화상 신호와 압축/신장 화상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기(120) 및, 예측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기준 화상 신호 상에서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는 움직임 보상기(106)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화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VIDEO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동화상 복호화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움직임 보상 예측 프레임간 부호화의 예측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메모리 밴드폭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하는 동화상 복호화 장치의 복호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복호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제1실시예의 다른 복호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제1복호화 모드 선택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제2복호화 모드 선택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제3복호화 모드 선택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제4복호화 모드 선택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제5복호화 모드 선택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제6복호화 모드 선택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제7복호화 모드 선택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3은 비압축 화상(non-compressed picture)을 이용해서 매크로블록의 유니트에서 실행된 복호화 프로세스의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14는 압축 화상(compressed picture)을 이용해서 매크로블록의 유니트에서 실행된 복호화 프로세스의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15는 제1예로서의 복호화된 화상을 위한 압축장치의 블록도,
도 16은 제1예로서의 복호화된 화상을 위한 신장장치(decompression device)의 블록도,
도 17은 도 16의 신장장치의 변형의 블록도,
도 18은 제2예로서의 복호화된 화상을 위한 압축장치의 블록도,
도 19는 제2예로서의 복호화된 화상을 위한 신장장치의 블록도,
도 20은 제3예로서의 복호화된 화상을 위한 압축장치의 블록도,
도 21은 제3예로서의 복호화된 화상을 위한 신장장치의 블록도,
도 22는 제2실시예에 따른 동화상 복호화 장치의 블록도,
도 23은 제3실시예에 따른 동화상 복호화 장치의 블록도,
도 24는 제4실시예에 따른 동화상 복호화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동화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MPEG-2(ISO/IEC 13818-2| ITU-T Rec. H.262), MPEG-4(ISO/IEC 14496-2), 또는 H.264(ITU-T Rec. H.264| ISO/IEC 14496-10)과 같은 동화상 부호화 국제표준 시스템은 프레임간(inter-frame) 또는 필드간(inter-field) 예측 부호화와 같은 상호-예측 부호화(inter-predictive encoding)를 채택한다. 상호-예측 부호화를 기초로 부호화된 동화상 데이터의 복호화 프로세스에 있어서, 예측 화상이 화상 메모리에 저장된 다수의 프레임의 다수의 기준 화상을 이용해서 움직임 보상에 의해 발생된다.
기준 화상을 저장하기 위한 화상 메모리는 DRAM과 같은 외부 메모리 또는 복호화 LSI에 설치된 내부 메모리를 이용한다. 예측 화상이 발생되는 경우, 화상 메모리가 빈번하게 억세스된다. 따라서, 넓은 메모리 밴드폭이 필요로 된다. 증가되는 메모리 밴드폭을 위해, 데이터 비트 폭의 증가에 기인해서 다수의 LSI의 핀이 증가되어야만 하거나 외부 메모리의 수 또는 동작 주파수가 증가 되어야만 한다.
메모리 억세스, 즉 메모리 밴드폭의 주파수를 줄이기 위해, 복호화된 화상을 압축하고 압축된 복호화된 화상을 화상 메모리에 저장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에 있어서, 화상 메모리에 저장된 복호화된 화상이 기준 화상 또는 디스플레이를 위한 재구성된 화상으로서 이용되고, 이는 화상 메모리로부터 판독되어 신장된다.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 제2000-50272호 및 일본 공개특허 제2000-78568호에 따르면, 복호화된 화상은 필터링에 의해 압축된 화상으로 변환되어 화상 메모리에 저장된다. 기준 화상은 화상 메모리로부터 판독된 압축된 화상을 신장함으로써 발생된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0-4440호에 따르면, 복호화 프로세스가 동화상 부호화 데이터의 저주파수 성분만을 이용하는 압축된 화상을 기초로 이루어진다. 기준 화상은 하다마드(Hadamard) 변환 및 양자화에 의해 복호화된 화상을 압축함으로써 발생되고, 화상 메모리에 저장된다. 복호화 시, 화상 메모리로부터 판독된 압축된 기준 화상이 역양자화(dequantization) 및 역하다마드 변환(inverse Hadamard transform)에 의해 신장된다.
상기한 종래 기술에 의해 설명된 메모리 밴드폭 감소 기술에 있어서, 하다마드 변환 및 양자화와 같은 역행할 수 없는 압축 및 신장의 필터링 또는 프로세스가 기준 화상을 발생시키기 위해 복호화된 화상에 대해 수행된다. 결과적으로, 복호화 프로세스에 기인하는 압축 왜곡이 기준 화상에 중첩된다. MPEG와 같은 동화상 부호화 시스템의 경우, 기준 화상의 왜곡이 다음 복호화 화상에 중첩되고, 그 왜곡이 겹쳐진 복호화 화상이 다음 기준 화상으로서 이용된다. 이러한 방법에서, 복호화시 발생되는 왜곡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축적되어, 재구성된 화상에서는 큰 잡음으로 느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화상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동화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발명에 따른 동화상 복호화 장치는,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동화상 신호를 위한 예측 화상 신호를 이용해서 동화상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기와; 압축된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압축하도록 구성된 압축 유니트;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저장하는 제1메모리; 압축된 화상 신호를 저장하는 제2메모리; 압축/신장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2메모리로부터 판독된 압축된 화상 신호를 신장하도록 구성된 신장 유니트; 화상 유니트에서의 동화상 부호화 데이터와 블록 유니트에서의 예측 모드의 코딩 형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기준 화상 신호로서 제1메모리로부터 판독된 복호화된 화상 신호와 압축/신장 화상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기 및; 예측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기준 화상 신호 상에서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는 움직임 보상기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제1실시예)
이하, 예시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동화상 복호화 장치에는 MPEG-2와 같은 움직임 보상 예측을 이용하는 부호화 시스템에 의해 이동 화상을 부호화함으로써 발생된 동화상 부호화 데이터(100)(예컨대, MPEG-2 비트 스트림)가 제공된다. 동화상 부호화 데이터(100)는 가변길이 디코더(101)에 의해 가변-길이 복호화되는 바, 즉 가변-길이 코드를 복호화하는 처리가 이루어진다. 가변길이 디코더(101)는 양자화된 직교 변환 계수(quantized orthogonal transform coefficient)(예컨대, DCT 계수) 및 부호화 모드 정보(119)를 발생시킨다.
부호화 모드 정보(119)는 동화상 부호화 데이터의 코딩 형태, 즉 화상 유니트에서의 코딩 형태(부호화된 화상 형태), 픽셀 블록 유니트(예컨대, 매크로블록 유니트에서)(부호화 매크로블록 형태) 또는 픽셀 블록 유니트에서의 예측 모드의 코딩 형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양자화된 직교 변환 계수는 역양자화기(102; dequantizer)에 의해 역양자화된다. 역양자화된 직교 변환 계수는 예측 에러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역직교 변환기(103)로 역직교 변환된다.
가산기(104)는 역직교 변환기(103)로부터 출력되는 예측 에러 신호와 픽셀 블록의 유니트에서의 움직임 보상기(106)로부터 출력되는 예측 화상 신호(107)를 가산해서, 픽셀 블록의 유니트에서의 복호화된 화상 신호(108)를 발생시킨다. 픽셀 블록은 다수의 픽셀 또는 1차원 블록을 포함하는 2차원 블록이다. 복호화된 화상 신호(108)는 외부 메모리(112)의 제1프레임 메모리(113)에 기록된다. 복호화된 화상 신호(108)는 압축장치(115)에 의해 압축된다. 압축장치(115)에 의해 발생된 압축된 화상 신호는 제2프레임 메모리(114)에 기록된다. 제1프레임 메모리(113) 및 제2프레임 메모리(114)는 도 1의 예에서 외부 메모리(112)(복호화 LSI의 외측의 DRAM과 같은 메모리)에 제공된다. 그러나, 내부 메모리(복호화 LSI에 설치되는 메모리)에 제공될 수도 있다.
기준 화상 선택기(120)는 가변길이 디코더(101)로부터 출력되는 부호화 모드 정보(119)(부호화된 화상 형태, 부호화 매크로블록 형태 또는 픽셀 블록 유니트에서의 예측 모드)에 따라 복호화 모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복호화 모드를 위해 적절한 기준 화상 신호를 선택한다. 즉, 기준 화상 선택기(120)는, 기준 화상 신호로서, 선택된 복호화 모드에 따라, 제1프레임 메모리(113)로부터 판독된 복호화된 화상 신호 또는 신장장치(116)로 제2프레임 메모리(114)로부터 판독된 압축된 화상 신호를 신장함으로써 발생된 화상 신호(이하, 압축/신장 화상 신호로 칭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이하, 복호화 모드 선택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기준 화상 선택기(120)로 선택된 기준 화상 신호는 움직임 보상기(106)에 입력된다. 제2프레임 메모리(114)로부터 판독된 압축된 화상 신호는 제2신장장치(117)로 신장된다. 제2신장장치(117)로부터 출력된 화상 신호는 압축장치(115)에 의해 압축된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신장함으로써 얻어지는 신호이고, 제2프레임 메모리(114)에 저장되며, 압축/신장 신호로서 언급된다.
압축/신장 화상 신호는 종단 프로세서(105; back end processor)에 공급된다. 종단 프로세서(105)는 디스플레이에서 이용하기 위한 화상 신호(110)(재구성된 신호로 칭함)를 출력하기 위해 입력 압축/신장 화상 신호에 대해 스케일링(scaling), 엣지 증강(edge enhancing), 칼라 보정과 같은 후처리를 수행한다. 재구성된 화상 신호(110)는 이동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에 공급된다.
일반적으로, 동화상 복호화 프로세스는 (a) 화상 메모리에 복호화된 화상 신호의 기록, (b) 디스플레이를 위한 화상 메모리로부터 복호화된 화상 신호의 판독, 즉 재구성된 화상 신호의 발생, (c) 예측 화상 신호의 발생을 위한 화상 메모리로부터 기준 화상 신호의 판독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화상 메모리에 대한 단위 시간 당 전송 데이터의 양, 즉 메모리 밴드폭이 상당히 증가한다. 특히, 고품질 프레임(고품질 텔레비전:HDTV)과 같은 높은 픽셀 비율의 동화상 신호의 동화상 부호화 데이터가 복호화될 때, 매우 넓은 메모리 밴드폭이 요구된다.
통상적으로, 넓은 메모리 밴드폭에 대응하기 위해, 다수의 화상 메모리가 동시에 전송되어지는 데이터의 비트 폭을 증가시키도록 병렬로 배열되어, 고속 전송을 허용하는 메모리 소자가 이용된다. 이러한 이유에 대해, 화상 메모리의 비용은 상당히 동화상 복호화 장치의 수행 비용에 영향을 미친다. 움직임 보상된 예측에 의해 부호화된 이동 화상 데이터가 복호화될 때, 움직임 벡터에 의해 지시된 화상 메모리에서의 위치의 픽셀 블록에 대한 랜덤 억세스는 기준 화상 신호를 판독하는데 필요로 된다. 따라서, 메모리 억세스의 오버헤드(overhead)가 증가하고 특히 높은 밴드폭이 요구된다.
복호화된 화상 신호가 연속적으로 픽셀 블록의 유니트에서의 화상 메모리에 기록된다. 더욱이, 디스플레이를 위한 복호화된 화상 신호가 연속적으로 라인의 유니트에서의 화상 메모리로부터 판독된다. 따라서, 복호화된 화상 신호의 기록/판독을 위한 메모리 억세스의 오버헤드가 감소된다.
제1실시예에 있어서, 넓은 메모리 밴드폭의 요구를 갖는 기준 화상 신호는 예측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외부 메모리(112)로부터 판독되고, 전체 메모리 밴드폭과 복호화 장치의 비용을 낮추기 위해 전송 데이터의 양이 감소된다. 즉, 제1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메모리(112)에 통상의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잠정적으로 저장하는 제1프레임 메모리(113)만이 아니라 압축장 치(115)에 의해 압축된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잠정적으로 저장하는 제2프레임 메모리(114)가 또한 제공된다.
기준 화상 신호의 획득을 위해, 기준 화상 선택기(120)는, 부호화된 화상 형태를 나타내는 부호화 모드 정보에 대응하는 복호화 모드, 부호화 매크로블록 형태 또는 예측 모드에 따라, (a) 화상 신호가 외부 메모리(112)로부터 판독될 때 제1프레임 메모리(113)로부터 판독된 비압축된 복호화된 화상 신호 또는 (b) 신장장치(116)로 제2프레임 메모리(114)로부터 판독된 압축된 화상 신호를 신장함으로써 얻어진 화상 신호를 선택한다.
상기한 동화상 복호화 장치에 따르면, 화상 신호가 외부 메모리(112)로부터 판독될 때 메모리 밴드폭이 화상 메모리로부터 비압축된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항상 판독함으로써 기준 신호를 발생시키는 종래의 동화상 복호화 장치에 비해 효과적으로 감소된다.
기준 화상 신호가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압축하고, 화상 메모리에 화상 신호를 잠정적으로 저장하며, 화상 메모리로부터 판독된 화상 신호를 신장함으로써 발생될 때, 기준 화상 신호의 왜곡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축적되어, 재구성된 화상 신호에 큰 잡음이 중첩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는 제1실시예에 의해 해결된다.
이하, 제1실시예에 따른 동화상 복호화 장치의 동작이 도 2 내지 도 5에서 언급하는 배경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동화상 복호화 장치 또는 메모리 밴드폭을 줄이는 동화상 복호화 장치의 동작과 비교되어 설명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임 보상된 예측 프레임간 부호화의 MPEG-2 예측 구조에 있어서, I0, P1,---은 동화상 부호화 데이터의 각 코드화된 화상의 프레임을 나타내고, 화살표는 기준 화상으로부터 부호화된 화상까지의 프레임간 예측의 관계를 나타낸다. I, P, B는 각각 내부 프레임 부호화 화상(intra frame encoded picture)(I 화상), 전방 예측 부호화 화상(forward prediction encoded picture)(P 화상), 양방향 예측 부호화 화상(bidirectional predictive encoded picture)(B 화상)을 가리킨다. I, P, B에 부가된 숫자는 디스플레이 프레임의 순서를 나타낸다. 이전에 설명한 부호화된 화상 형태는 I 화상, P 화상 또는 B 화상을 나타낸다.
종래의 동화상 복호화 장치에 있어서, 먼저 I0 화상이 복호화되고, P3 화상이 기준 화상으로서 I0 화상의 복호화된 화상을 이용해서 복호화된다. 더욱이, B1 및 B2 화상이 기준 화상으로서 I0 및 P3 화상의 복호화된 화상을 이용해서 복호화된다. P6 화상이 기준 화상으로서 P3 화상의 복호화 화상을 이용해서 복호화된다. 이러한 방법에서, 복호화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메모리 밴드폭을 감소시키도록 고려된 종래 기술의 동화상 복호화 장치의 복호화 동작이 도 3을 참조해서 설명된다. 화상의 부호화 순서는 도 2와 유사하다. 먼저, I0 화상이 복호화되고, 이어 I0 화상의 복호화된 화상이 역행할 수 없는 압축/신장 프로세스 되며, 그에 따라 압축/신장 화상(400)이 발생된다. 역행할 수 없는 압축 프로세스에 기인해서 야기되는 압축 잡음(도 3에서 심볼 *로 나타냄)이 압축/신장 화상(400)에 중첩된다. P3 화상이 기준 화상으로서 압축/신장 화 상(400)을 이용해서 복호화되기 때문에, 압축/신장 화상(400)에 중첩된 잡음은 P3 화상 그대로 복호화된 화상에 중첩된다. 역행할 수 없는 압축/신장 프로세스가 압축/신장 화상(401)을 발생시키도록 P3 화상의 복호화된 화상에 대해 수행된다. 압축 잡음이 또 역행할 수 없는 압축 프로세스에 기인해서 압축/신장 화상(401)에 중첩된다.
B1 및 B2 화상은 기준 화상으로서 압축/신장 화상(400,401)을 이용해서 복호화된다. 압축/신장 화상(400,401)의 압축 잡음은 B1 및 B2 화상의 복호화된 화상에 중첩된다. 그러나, B 화상의 양방향 예측에서, 예측 화상이 2개의 기준 화상의 평균으로 형성되므로, 기준 화상의 압축에 기인하는 랜덤 압축 잡음이 기준 화상을 평균함으로써 감소된다. 계속해서, P6 화상이 압축/신장 화상(401)을 이용해서 복호화된다. 더욱이, 압축/신장 화상(402)을 발생시키도록 역행할 수 없는 압축 프로세스가 P6 화상의 복호화된 화상에서 수행된다. 더욱이 역행할 수 없는 압축 프로세스에 기인해서 압축 잡음이 압축/신장 화상(402)에 누적되어 중첩된다.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복호화 프로세스에서, 기준 화상의 압축 프로세스에 기인하는 압축 잡음이 프레임간 예측 코딩의 구조에 따라 시간이 지만에 따라 축적된다. 축적된 압축 잡음이 또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복호화된 화상에 중첩된다. 결과적으로, 재구성된 화상 신호는 화상 품질이 극도로 저하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따른 동화상 복호화 장치의 복호화 동작을 나타낸다. 화상의 복호화 순서는 도 1 및 도 2와 유사하다. 먼저, I0 화상이 도 2와 마찬가지로 복호화된다. I0 화상의 복호화된 화상이 역행할 수 없는 압축 프로세스되고 잠정적으로 제2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된다. 더욱이, 복호화된 화상이 압축/신장 화상(410)을 발생시키도록 신장된다. 압축 잡음(도 3에서 심볼 *로 나타냄)이 역행할 수 없는 압축 프로세스에 기인해서 압축/신장 화상(410)에 중첩된다. P3 화상이 기준 화상으로서 압축/신장 화상(410) 뿐만 아니라 I0 화상의 비압축 복호화된 화상을 이용함으로써 복호화된다. 기준 화상의 압축에 기인하는 압축 잡음이 P3 화상의 복호화된 화상에 중첩되지 않는다.
역행할 수 없는 압축 프로세스가 압축/신장 화상(411)을 발생시키도록 P3 화상의 복호화된 화상에 대해 수행된다. 역행할 수 없는 압축 프로세스에 기인해서 압축 잡음이 압축/신장 화상(411)에 중첩된다. B1 및 B2 화상이 기준 화상으로서 압축/신장 화상(410,411)을 이용하여 복호화된다. 압축/신장 화상(410,411)의 압축 잡음이 B1 및 B2 화상의 복호화된 화상에 중첩된다. 그러나, B 화상의 양방향 예측에 있어서, 2개의 기준 화상의 평균이 예측 화상을 형성하여, 기준 화상 신호의 압축에 기인하는 랜덤 압축 잡음이 기준 화상을 평균함으로써 감소된다. P6 화상이 기준 화상으로서 P3 화상의 비압축 복호화된 화상을 이용해서 복호화된다.
이러한 방법에서, 제1실시예에 따른 동화상 복호화 장치는 기준 화상으로서 비압축 복호화된 화상(예컨대, I0 화상의 복호화된 화상)을 이용함으로써 P 화상을 복호화하여 기준 화상의 압축 프로세스에 기인하는 압축 잡음이 축적되지 않는다. 한편, 기준 화상으로서 복호화된 화상을 이용할 수 없는 B 화상이 기준 화상으로서 압축/신장 화상을 이용하여 복호화되므로, 화상의 판독과 관련한 메모리 밴드폭이 감소될 수 있다. B 화상의 복호화된 화상이 기준 화상으로서 이용되지 않기 때문에, 기준 화상의 압축 잡음의 잠정적 축적이 수행되지 않아, 결과적으로 화상 품질이 극도로 저하되지 않는다. B 화상의 양방향 예측은 2개의 기준 화상의 판독을 필요로 함으로써, P 화상의 메모리 밴드폭 보다 더 넓은 메모리 밴드폭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기준 화상으로서 압축/신장 화상을 이용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피크 메모리 밴드폭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따른 동화상 복호화 장치의 다른 복호화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압축된 화상(420)을 발생시키도록 I0 화상의 복호화된 화상에서 압축(430)이 수행된다. 계속해서, 도 4와 유사하게 기준 화상으로서 I0 화상의 비압축 복호화된 화상을 이용해서 P3 화상이 복호화된다. P3 화상의 복호화된 화상이 압축된 화상(423)을 발생시키도록 압축된다. B1 화상이 I0의 비압축된 복호화된 화상과 P3 화상을 이용해서 복호화되고 압축된 화상(420,423)이 그들을 압축함으로써 얻어진다.
B 화상은 전방 기준 프레임(여기서는, I0 화상)만에 의해 예측된 전방 예측 픽셀 블록(fw)과, 후방 기준 프레임(여기서는, P3 화상)만에 의해 예측된 후방 예측 픽셀 블록(bw) 및, 양방향 기준 프레임(여기서는, I0 및 P3 화상)의 예측적 화상의 평균에 의해 예측된 양방향 예측 픽셀 블록(bi)을 포함한다. 즉, B 화상의 예측 픽셀 블록이 전방 예측 픽셀 블록, 후방 예측 픽셀 블록 또는 양방향 예측 픽셀 블록인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픽셀 유니트에서의 예측 모드가 B 화상을 위해 준비된다.
도 5의 복호화 동작에 있어서, 전방 예측 픽셀 블록(fw)이 기준 화상으로서 I0 화상의 비압축 복호화된 화상을 이용해서 복호화되고, 후방 예측 픽셀 블록(bw)이 기준 화상으로서 P3 화상의 비압축 복호화된 화상을 이용해서 복호화된다. 이러한 방법에서, 전방 예측 픽셀 블록 또는 후방 예측 픽셀 블록은 복호화를 위해 오직 하나의 기준 화상만을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더 넓은 메모리 밴드폭이 필요로 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방 예측 픽셀 블록과 후방 예측 픽셀 블록에 대응하는 복호화된 화상이 상기한 바와 같이 기준 화상으로서 압축 잡음이 없는 것을 포함하는 비압축 복호화된 화상을 이용함으로써 열화로부터 방지된다. 양방향 예측 픽셀 블록(bi)의 경우, 압축된 화상(420,423)이 외부 메모리로부터 판독되고, 예측 화상이 기준 화상으로서 화상(420,423) 상에서 신장(431,432)을 수행함으로써 얻어진 2개의 압축/신장 화상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2개의 기준 화상의 평균에 의해 발생된다. 일반적으로, 2개의 기준 화상을 필요로 하는 양방향 예측 픽셀 블록은 넓은 메모리 밴드폭을 요청한다. 한편, 도 5의 복호화 동작에 따르면, 압축된 화상이 외부 메모리에 저장되고, 예측 화상 신호가 기준 화상으로서 외부 메모리로부터 판독된 압축된 화상을 신장시킴으로써 얻어진 압축/신장 화상을 이용해서 발생된다. 이러한 복호화 동작은 메모리 밴드폭을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양방향 예측 픽셀 블록의 경우, 예측 화상이 2개의 기준 화상의 평균에 의해 발생된다. 따라서, 기준 화상의 압축 잡음이 평균화됨으로써 감소되어, 결과적으로 화상 품질 저하가 억제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서, B 화상의 양방향 예측 픽셀 블록만이 기준 화상으로서 압축/신장 화상을 이용해서 움직임 보상된 예측에 의해 복호화된다. 따라서, 메모 리 밴드폭의 피크가 감소될 수 있다. 더욱이, 압축/신장 화상을 이용함으로써 얻어진 복호화된 화상의 화상 품질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기준 화상으로서 이용되지 않는 B1 화상의 복호화된 화상이 압축되어 압축된 화상(421)으로서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다. 기준 화상으로서 이용되는 I 및 P 화상의 복호화된 화상의 경우, 비압축 복호화된 화상 신호 및 압축된 화상 신호의 양쪽이 외부 메모리에 잠정적으로 저장된다. B 화상의 복호화된 화상의 경우, 압축된 화상 신호만이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다. B2 화상은 B1 화상과 마찬가지로 복호화된다. 계속해서, P4 화상이 복호화된다. P4 화상은 디스플레이의 순서로 P3 화상을 따른다.
MPEG-2 시스템에 있어서, 시간의 면에서 I 또는 P 화상을 따르는 P 화상에 대해, 예측 화상으로 되는 2개의 기준 픽셀 블록의 평균을 가정하도록 하나의 기준 픽셀 블록을 이용하는 전방 예측 픽셀 블록 뿐만 아니라 2중 프라임 예측으로서 언급된 예측 모드의 블록(2중 프라임 예측 픽셀 블록으로 언급됨)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시간의 면에서 I 또는 P 화상을 따르는 P 화상에 대해, 예측 픽셀 블록이 단일 기준 화상의 이용을 만드는 전방 예측 픽셀 블록인지 다수의 기준 화상의 이용을 만드는 2중 프라임 예측 픽셀 블록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픽셀 블록의 유니트에서의 예측 모드를 준비한다. 2중 프라임 예측은 B 화상의 양방향 예측과 마찬가지로 2개의 기준 화상의 판독을 필요로 하고, 따라서 넓은 메모리 밴드폭이 요구된다.
도 5의 복호화 동작에 따르면, 시간 방향으로 연속하는 2개의 P 화상(예컨 대, P3 및 P4 화상)의 뒤쪽 상의 P 화상(여기서는, P4 화상)에서, 전방 예측 픽셀 블록(fw)이 비압축 기준 화상(여기서는, P3 화상)을 이용해서 복호화된다. 2중 프라임 예측 픽셀 블록의 경우,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압축된 화상(423)의 2개의 기준 블록이 판독되어 각각 신장 프로세스(433,434) 된다. 피크 메모리 밴드폭이 2개의 신장된 기준 블록의 평균으로부터 예측 화상을 발생시킴으로써 감소된다. 2중 프라임 예측에 있어서, 예측 화상이 B 화상의 양방향 예측과 마찬가지로 2개의 기준 화상의 평균 또는 그들의 선형 합에 의해 발생된다. 압축된 화상의 압축 잡음이 기준 화상을 평균함으로써 감소되어, 화상 품질의 저하가 최소화된다. 압축된 화상(424)이 압축 프로세스(435)를 P4 화상의 복호화된 화상에 대해 수행함으로써 발생되어,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다.
복호화된 화상이 부호화 순서에서 디스플레이 순서로 재순서화함으로써 디스플레이된다. 도 5의 복호화 동작에 있어서, 외부 메모리(112)에 저장된 압축된 화상(420,421,423,424)이 디스플레이 순서로 판독되고, 신장장치(117)로 신장되며, 이어 이동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종단 프로세서(105)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로 보내진다. 이러한 방법에서 압축/신장 화상이 이동 화상을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해 이용될 때, 디스플레이에 이용하기 위한 외부 메모리(112)로부터 판독되어지는 복호화된 화상 데이터의 양이 감소되어, 메모리 밴드폭의 감소를 허용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더욱이, B 화상이 기준 화상으로서 이용되지 않기 때문에, 압축된 화상만이 오직 외부 메모리(112)에 잠정적으로 저장된다. 결과적으로, 외부 메모리(112)에 기록되어지는 화상 데이터의 양이 감소될 수 있게 된다.
이상을 요약하면, 제1실시예에 의해 다음과 같은 이점을 얻게 된다.
(1) 외부 메모리(112)로부터 화상을 랜덤하게 독출하는 경우, 압축된 화상은 넓은 메모리 밴드폭을 필요로 하는 2개의 기준 화상을 이용하는 예측 픽셀 블록을 복호화함과 더불어 기준 화상으로서 이용되지 않는 B 화상을 복호화할 때 판독된다. 결과적으로, 화상의 랜덤 판독시의 메모리 밴드폭이 크게 감소될 수 있다.
(2) 복호화된 화상이 외부 메모리(112)에 기록될 때, 기준 화상으로서 이용되지 않는 B 화상의 복호화된 화상이 압축되고, 이어 외부 메모리(112)에 저장됨으로써, 메모리 밴드폭이 감소될 수 있다.
(3) 복호화된 화상이 이동 화상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외부 메모리(112)로부터 판독될 때, 재구성된 동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압축된 복호화된 화상(압축된 화상)이 외부 메모리(112)로부터 판독되어 신장된다. 결과적으로, 메모리 밴드폭이 감소될 수 있게 된다.
(4) 기준 화상으로서 이용된 I 및 P 화상의 복호화된 화상이 외부 메모리(112)에 기록될 때, 압축된 복호화된 화상 뿐만 아니라 비압축 복호화된 화상이 외부 메모리(112)에 기록되어야만 한다. 결과적으로, 메모리 밴드폭이 증가한다. 그러나, 연속하는 어드레스에 따라 복호화된 화상이 메모리에 기록되므로, 메모리 억세스의 오버헤드가 기준 화상의 판독과 비교해서 충분히 작다. 더욱이, 메모리 밴드폭의 증가가 다른 메모리 밴드폭의 감소와 비교해서 작다.
이러한 방법에서, 복호화 프로세스의 전체 메모리 밴드폭은 통상의 동화상 복호화 장치에 비해 크게 감소된다. 즉, 제1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메모리의 비 트 폭과 외부 메모리들의 수는 외부 메모리에 대한 메모리 밴드폭의 감소에 의해 감소될 수 있게 된다. 외부 메모리를 위한 동작 클럭은 그 수가 감소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화상 품질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동화상 복호화 장치의 저비용 및 저전력 소모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복호화 모드 선택 방법)
본 실시예에 있어서, 비압축 복호화된 화상 또는 압축된 화상의 어느 하나로부터 기준 화상을 선택하는 것과 비압축 복호화 화상 또는 압축된 복호화된 화상의 어느 하나로부터 디스플레이되어지는 복호화된 화상을 선택하는 것이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가능하다. 비압축 복호화된 화상이 디스플레이에서 이용하기 위해 기준 화상과 재구성된 화상의 양쪽과 함께 이용될 때, 복호화 모드가 통상의 복호화 모드와 유사하다.
다음의 설명에서, 기준 화상과 재구성된 화상을 위한 비압축 복호화된 화상을 이용하는 통상 복호화 모드가 "풀 복호화(full decode)"로 언급된다. 기준 화상으로서 압축/신장 화상을 이용하는 복호화 모드는 "압축 기준 복호화(compression reference decode)"로 언급된다. 기준 화상으로서 비압축 복호화된 화상을 이용하는 복호화 모드는 "풀 기준 모드(full reference mode)"로 언급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 다양한 복호화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1복호화 모드 선택 방법)
도 6은 제1복호화 모드 선택 방법의 절차를 나타낸다. 제1복호화 모드 선택 방법에 따르면, 복호화 모드가 부호화된 이동 화상 시퀀스의 유니트에서 선택된 다. 먼저, 부호화된 동화상 시퀀스의 프레임 율과 화상 크기의 정보가 판독된다(단계 S100). 프레임 율은 단위 시간 당 픽셀 율[초 당 픽셀의 수: PPS(the number of pixels per second)]을 계산하기 위해 화상 크기에 의해 승산된다(단계 S101). 임계(TH1)가 단계(S101)에서 계산된 픽셀 율과 비교된다(단계 S102). 픽셀 율이 TH1 이하이면, 풀 복호화 모드가 선택된다(단계 S103). 픽셀 율이 TH1 이상이면, 압축 기준 모드가 선택된다(단계 S104). 외부 메모리(112)의 메모리 밴드폭이 픽셀 율과 비례 관계로 되도록 통상적으로 가정되어질 수 있다. 임계(TH1)가 복호화 장치가 풀 복호화 모드나 최대 픽셀 율 이하에서 처리될 수 있는, 최대 픽셀 율로 설정될 때, 화상 품질 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한 최적 복호화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제2복호화 모드 선택 방법)
이하, 도 7을 참조하면서 실시예에 따른 제2복호화 모드 선택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2복호화 모드 선택 방법에 있어서, 동작 모드가 제1복호화 모드 선택 방법과 마찬가지로 부호화된 동화상 시퀀스의 유니트에서 선택된다. 부호화된 동화상 시퀀스의 프레임 율과 화상 크기의 정보가 제1복호화 모드 선택 방법과 마찬가지로 판독된다(단계 S110). 픽셀 율[초 당 픽셀(PPS)]이 화상 크기와 프레임 율을 승산함으로써 계산된다(단계 S111). 단계(S111)에서 계산된 픽셀 율은 제1임계(TH1)와 비교된다(단계 S112). 픽셀 율이 TH1 이하이면, 풀 복호화 모드가 선택된다(단계 S113).
픽셀 율이 TH1 이하가 아니면, 픽셀 율은 제2임계(TH2)와 비교된다(단계 S114). 픽셀 율이 TH2 이하이면, 압축/비압축 스위칭 모드가 기준 화상을 위해 선택되고, 비압축 모드가 재구성된 화상을 위해 선택된다(단계 S115). 압축/비압축 모드에서, 제1프레임 메모리(113)로부터 판독되는 비압축 복호화된 화상과 제2프레임 메모리(114)로부터 판독된 복호화된 화상을 신장함으로써 얻어진 압축/신장 화상이 적응적으로 스위치된다. 비압축 모드에 있어서, 비압축 복호화된 화상이 선택된다(단계 S115).
픽셀 율이 TH2 이상이면, 압축/비압축 모드가 단계(S115)와 마찬가지로 기준 화상을 위해 선택되고, 압축/신장 화상을 이용하는 압축 모드가 재구성된 화상을 위해 선택된다(단계 S117). 임계(TH2)는 임계(TH1) 보다 더 큰 값이고, 복호화 장치가 단계(S115)의 프로세스 보다 더 정확히 부호화된 동화상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즉 메모리 밴드폭이 부족하지 않은 이러한 값으로 설정된다.
동일한 픽셀 율의 동화상 부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해 필요한 메모리 밴드폭은 단계 S117, S115, S113의 순서로 증가된다. 따라서, 입력 동화상 부호화된 데이터의 픽셀 율에 따라, 제2복호화 모드 선택 방법의 이용은 화상 품질 저하가 최소화되는 최적 복호화 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3복호화 모드 선택 방법)
도 8을 참조하면서 제3복호화 모드 선택 방법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의 플로우차트에 있어서, 픽셀 율과 제3임계(TH3)를 비교하기 위한 단계(S116)가 도 7의 플로우차트에 부가된다. 단계(S116)에서 픽셀 율이 TH3를 넘으면, 기준 화상 및 재구성된 화상을 위해 압축 모드가 항상 선택된다(단계 S119). 즉, 단계(S119)에서 기준 화상 및 재구성된 화상을 발생시키기 위해 압축된 복호화된 화상이 제2프레임 메모리(114)로부터 판독된다. 기준 화상 및 재구성된 화상은 제프레임 메모리(114)로부터 판독된 압축된 복호화된 화상을 신장시킴으로써 얻어진 압축/신장 화상을 이용해서 발생된다.
단계(S116)에서 픽셀 율이 TH3 이상이 아니면, 압축/비압축 모드가 단계(S115)와 같이 기준 화상을 위해 선택되고, 압축/신장 화상을 이용하는 압축 모드가 재구성된 화상을 위해 선택된다(단계 S117). 도 8의 다른 단계는 도 7의 단계와 유사하다. 임계(TH3)는 임계(TH2) 보다 더 큰 값이고, 복호화가 단계(S117)에서 수행될 수 있는 최대 픽셀 율로부터 결정된다.
동일한 픽셀 율의 동화상 부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해 필요한 메모리 밴드폭은 단계 S119, S117, S115, S113의 순서로 증가된다. 따라서, 제3복호화 모드 선택 방법의 이용은, 픽셀 율에 따라 입력 동화상 부호화된 데이터를 위해, 화상 품질 저하가 최소화되는 최적 복호화 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4복호화 모드 선택 방법)
도 9를 참조하면서 제4복호화 모드 선택 방법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4복호화 모드 선택 방법에 있어서, 동작 모드가 동화상 부호화 데이터(100)의 부호화된 화상의 유니트에서 선택된다. 복호화가 시작될 때(단계 S120), 헤더 정보(화상 헤더 정보)가 모든 부호화된 화상을 판독한다(단계 S121). 이는 부호화된 화상이 기준 화상인가의 여부(기준 화상으로서 내부-부호화된 화상인가의 여부)를 화상 헤더 정보에 따라 결정한다(단계 S122). 동화상 부호화 데이터(100)의 부호화 방법이 MPEG-2인 예의 경우, 화상 헤더 정보는 화상 신호의 신택스 엘리먼트(syntax element)에 대응하는 코딩 형태(picture_coding_type)를 체크하도록 단계(S122)에서 분석된다. 이러한 코딩 형태가 B 화상이면, "No(아니오)", 즉 어떠한 부호화된 화상이 기준 화상이 아님이 결정된다. 이러한 코딩 형태가 I 또는 P 화상이면, "Yes(예)", 즉 어떠한 부호화된 화상이 기준 화상임이 결정된다.
동화상 부호화 데이터(100)의 부호화 시스템이 H.264이면, H.264 표준으로 규정된 NAL 유니트 신택스의 "nal_ref-idc"가 단계(S122)에서 언급된다. "nal_ref-idc"의 값이 0이면, 부호화된 화상은 기준 화상이 아니다. 따라서, "No", 즉 단계(S122)에서 어떠한 부호화된 화상이 기준 화상이 아님이 결정된다. "nal_ref-idc"의 값이 0이 아니면, 부호화된 화상은 기준 화상이다. 따라서, "Yes", 즉 단계(S122)에서 어떠한 부호화된 화상이 기준 화상임이 결정된다.
단계(S122)에서 "Yes"가 선택되는 부호화된 화상이 풀 기준 복호화 모드에 의해 복호화된다(단계 S123). 단계(S123)에서 "No"가 선택되는 부호화된 화상이 기준 화상으로서 제2프레임 메모리(114)로부터 판독된 압축된 복호화된 화상을 신장함으로써 얻어진 압축/신장 화상을 이용하는 압축 기준 복호화 모드에 의해 복호화된다(단계 S124).
계속해서, 복호화가 계속되는가의 여부가 점검된다(단계 S125). 복호화가 계속적으로 수행될 때, 다음 화상을 복호화하기 위해 프로세스가 단계(S121)로 되돌아 간다. 복호화가 중지되면, 복호화가 단계(S126)에서 종료된다.
이러한 방법에서, 제4복호화 모드 선택 방법에 따르면, 기준 화상으로서 이 용된 부호화된 화상 상에서 통상적인 풀 기준 복호화를 수행함으로써 시간 방향에서의 기준 화상의 압축에 기인하는 압축 잡음의 전파를 방지할 수 있다. 부호화된 화상이 기준 화상으로서 이용되지 않을 때, 압축/신장 화상이 기준 화상으로서 이용됨으로써, 기준 화상에서 이용하기 위한 화상을 판독하기 위한 메모리 밴드폭이 감소된다. 따라서, 복호화된 화상의 화상 품질 저하가 억제되면서 효과적으로 메모리 밴드폭이 감소될 수 있다.
(제5복호화 모드 선택 방법)
도 10을 참조하면서 제5복호화 모드 선택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5복호화 모드 선택 방법에 있어서, 복호화 모드가 제4복호화 모드 선택 방법과 마찬가지로 부호화된 화상의 유니트에서 선택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풀 기준 복호화(단계 S123)와 압축 기준 프레임 메모리를 이용하는 압축 기준 복호화(단계 S124)의 선택은, 복호화되어지는 부호화된 화상이 기준 화상으로서 이용되는가의 여부를 단계(S122)에서 결정함으로써 수행된다.
제5복호화 모드 선택 방법에 있어서, 외부 메모리(112)를 위한 억세스의 부하(load)가 측정되고(단계 S140), 측정된 부하가 주어진 값 보다 더 큰 과부하(overload)인가의 여부가 점검된다(단계 S141). 과부하인 경우, 압축 기준 복호화 모드가 선택된다(단계 S124). 부하가 주어진 값 보다 더 낮을 때 통상적인 풀 기준 복호화 모드가 선택된다(단계 S123).
이러한 방법에서, 제5복호화 모드 선택 방법에 따르면, 최적 복호화 모드가 외부 메모리(112)를 위한 억세스의 부하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복호화 프로세스에서 화상 품질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메모리 억세스의 과부하에 기인하여 붕괴되는 것으로부터 복호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6복호화 모드 선택 방법)
도 11을 참조하면서 제6복호화 모드 선택 방법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6복호화 모드 선택 방법에 있어서, 복호화 모드가 부호화된 픽셀 블록의 유니트에서 선택된다. 부호화된 화상의 복호화가 시작될 때(단계 S130), 소정 매크로블록의 헤더 정보가 부호화의 유니트에서 판독된다(단계 S131). 판독된 헤더 정보에 따라, 복호화되어지는 픽셀 블록을 위한 예측 모드가 "다중-기준 예측 모드", 즉 다중 기준 화상을 이용하는 예측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모드인가의 여부가 결정된다(단계 S132).
명백히 예측 화상 신호가 다수의 기준 화상의 평균 또는 다중 기준 예측 모드에서의 그들의 선형 합에 의해 발생된다. 예측 모드가 단계(S132)에서 다중-기준 예측 모드로 되도록 결정될 때, 제2프레임 메모리(114)로부터 판독된 압축된 복호화 화상을 신장함으로써 얻어진 압축/신장 화상을, 기준 화상으로서, 이용하는 압축 기준 복호화 모드에 의해 수행된다(단계 S133). 예측 모드가 다중-기준 예측 모드가 아님이 단계(S132)에서 결정될 때, 즉 예측 모드가 단일 기준 화상을 이용하는 예측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단일 기준 예측 모드로 되도록 결정될 때, 부호화된 화상이 통상적인 풀 기준 복호화 모드에 의해 복호화된다(단계 S134). 이러한 복호화는 부호화된 화상에서의 모든 매크로블록에 대해 수행된다(단계 S135). 부호화된 화상의 모든 매크로블록이 완전하게 복호화되면, 부호화 된 화상의 복호화가 종료된다(단계 S136).
다중-기준 예측 모드가 적용되는 픽셀 블록은 기준 화상을 판독하기 위해 높은 메모리 밴드폭을 필요로 한다. 한편, 단일 기준 예측 모드의 경우에는 필요한 메모리 밴드폭이 작다.
제6복호화 모드 선택 방법에 따르면, 복호화 모드가 부호화된 픽셀 블록의 유니트에서의 다른 프레임간 예측 모드에 따라 스위치된다. 명백히,
(1) 메모리 밴드폭이 증가하는 다중-기준 예측 모드에서, 복호화는 압축 기준 복호화 모드에서 수행된다.
(2) 단일-기준 예측 모드에서, 복호화는 비압축 복호화 모드에서 수행된다.
결과적으로, 피크 메모리 밴드폭을 감소시키면서 재구성된 화상의 화상 품질 저하가 최소로 되도록 억제될 수 있다.
(제7복호화 모드 선택 방법)
도 12를 참조하면서 제7복호화 모드 선택 방법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7복호화 모드 선택 방법은 제6복호화 모드 선택 방법과 마찬가지로 부호화된 픽셀 블록의 유니트에서의 동작 모드를 선택한다. 제6복호화 모드 선택 방법에서, 풀 기준 복호화 모드(단계 S134) 또는 압축 기준 프레임 메모리를 이용하는 압축 기준 복호화 모드(단계 S133)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픽셀 블록(매크로블록)의 예측 모드에 의해 선택된다(단계 S132).
제7복호화 모드 선택 방법에서, 외부 메모리(112)를 위한 메모리 억세스의 부하가 측정된다(단계 S142). 측정된 부하가 주어진 값 보다 더 큰 과부하인가의 여부가 점검된다(단계 S143). 과부하의 경우, 압축 기준 복호화 모드가 선택된다(단계 S133). 부하가 주어진 값 이하일 때, 통상적인 풀 기준 복호화 모드가 선택된다(단계 S134). 이러한 복호화 모드 선택은 모든 매크로블록(MB)이 단계(S135)에서 완전히 종료되는 것이 결정될 때까지 픽셀의 유니트에서 수행된다.
이러한 방법에서, 제7복호화 모드 선택 방법에 따르면, 최적 복호화 모드가 메모리 억세스의 부하에 따라 픽셀의 유니트에서 선택될 수 있기 때문에, 복호화 프로세스에서 화상 품질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메모리 억세스의 과부하에 기인하여 붕괴되는 것으로부터 복호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풀 기준 복호화 프로세스)
도 6 내지 도 12에 도시된 풀 기준 복호화의 프로세스(단계 S103, S113, S123, S134)가 매크로블록의 유니트에서 풀 기준 복호화 프로세스의 흐름을 나타낸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각 부호화된 매크로블록의 복호화가 시작될 때(단계 S150), 부호화된 매크로블록 데이터의 엔트로피 코드(entropy code)가 양자화된 직교 변환 계수, 예측 모드 및 움직임 벡터의 정보를 발생시키도록 복호화된다(단계 S151). 단계(S151)에서 발생된 직교 변환 계수는 예측 에러 신호(E)를 발생시키도록 역양자화(dequantization)(단계 S152) 및 역직교 변환(inverse orthogonal transform)(단계 S154) 된다.
기준 화상 신호가 단계(S151)에서 발생된 예측 모드와 움직임 벡터 정보를 기초로 판독되고(단계 S153), 예측 화상(P)이 예측 모드에 따라 발생된다(단계 S155). 예측 에러 신호(E)와 발생된 예측 화상(P)이 복호화된 화상을 발생시키도록 부가된다(단계 S156). 발생된 복호화된 화상이 제1프레임 메모리(113)에 기록되고(단계 S157), 압축 프로세스를 통해(단계 S158) 제2프레임 메모리(114)에 기록된다(단계 S159). 복호화된 화상이 부호화된 화상의 화상 형태와 다음의 규칙에 따라 프레임 메모리(113,114)에 기록된다.
(규칙 1) 부호화된 화상이 기준 화상으로서 이용된다(MPEG-2의 경우 I 및 P 화상): 비압축 복호화된 화상이 제1프레임 메모리(113)에 기록되고, 압축/신장 복호화 화상이 제2프레임 메모리(114)에 기록된다.
(규칙 2) 부호화된 화상이 기준 화상으로서 이용되지 않는다(MPEG-2의 경우 B 화상): 압축/신장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재구성된 화상 신호가 이용될 때, 압축된 화상이 제2프레임 메모리(114)에 기록되지만(단계 S159), 제1프레임 메모리(113)에 비압축 복호화된 화상의 기록(단계 S157)은 수행되지 않는다.
비압축 복호화된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재구성된 화상 신호가 이용될 때, 복호화된 화상의 압축(단계 S158) 및 제2프레임 메모리(114)에 압축된 화상의 기록(단계 S159)이 수행되지 않지만, 비압축 복호화된 화상이 제1프레임 메모리(113)에 기록된다(단계 S157).
(압축 기준 복호화 프로세스)
도 6 내지 도 12에 도시된 압축 기준 복호화의 프로세스(단계 S104, S115, S117, S119, S124, S133)가 매크로블록의 유니트에서 실행된 압축 기준 복호화 프로세스의 흐름을 나타낸 도 1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14에 있어서, 예측 에러 신호(E)를 발생시키기 이전의 프로세스는 도 13의 풀 복호화의 프로세스와 유사하다. 예측 화상(P)은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기준 화상으로서 압축/신장 화상을 이용하여 발생된다. 압축 화상이 엔트로피 복호화 프로세스(단계 S151) 및 움직임 벡터 정보(단계 S161)에 의해 발생된 예측 모드를 기초로 제2프레임 메모리(114)로부터 판독된다. 판독 압축된 화상이 신장된다(단계 S162). 예측 화상(P)이 기준 화상으로서 단계(S162)에 의해 얻어진 압축/신장 화상을 이용해서 발생된다(단계 S155).
복호화된 화상이 이러한 방법에서 발생된 예측 에러 신호(E)와 예측 화상(P)을 부가함으로써 발생된다(단계 S156). 복호화된 화상이 도 13의 풀 기준 복호화와 마찬가지로 규칙 1 및 2에 따라 프레임 메모리(113,114)에 기록된다.
실시예에 따른 동화상 복호화 장치의 복호화된 화상의 압축/신장 프로세스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압축/신장 프로세스의 제1구체예)
도 15 및 도 16은 복호화된 화상의 압축/신장 프로세스의 제1구체예를 나타낸다. 압축/신장 방법의 제1예에 있어서, 복호화된 화상 신호(500)가 4×4-픽셀 블록 또는 8×8-픽셀 블록의 2차원 블록의 유니트 또는 4×1-픽셀 블록 또는 8×1-픽셀 블록의 1차원 블록의 유니트에서의 도 15에 도시된 [도 1의 압축장치(115)에 대응하는]압축장치에 입력된다. 도 15에 도시된 압축장치에서, 하다마드 변환이 모든 입력 블록에 대해 하다마드 변환장치(501)에 의해 수행된다. 하다마드 변환에 의해 얻어진 변환 계수는 비선형 양자화기(502)로 비선형 양자화됨으로써 데이 터의 양을 압축하게 된다. 비선형 양자화된 변환 계수(503)의 정보가 압축된 화상 신호로서 프레임 메모리(114)에 저장된다.
압축된 화상 신호(510), 즉 비선형 양자화된 변환 계수가 도 16에 도시된 신장 장치에 대해 제2프레임 메모리(114)로부터 판독된다. 신장장치에 입력되는 압축된 화상 신호(510)는 비선형 양자화기(511)에 따라 비선형 양자화되고, 비선형 양자화된 변환 계수가 역하다마드 변환장치(512)에 따라 역하다마드 변환됨으로써 신장된 화상 신호(513)(압축/신장 화상 신호)가 발생된다.
(신장 프로세스의 변형)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신장 프로세스의 변형을 나타내고, 여기서 저역통과 필터(520)가 역하다마드 변환장치(512)의 후단에 배치된다. 압축/신장 프로세스의 제1구체예에 있어서, 양자화 프로세스가 이용되므로, 신장된 화상 신호(513)는 압축/신장 프로세스의 압축 잡음이 중첩된 압축장치에 입력되는 복호화된 화상 신호(500)이다. 제1압축/신장 프로세스가 픽셀 블록의 유니트에서 실행된 하다마드 변환과 비선형 양자화를 기초하므로, 압축 잡음은 픽셀 블록 유니트의 잡음이다. 픽셀 블록 유니트의 잡음은 픽셀 블록 사이의 경계에서 압축/신장 화상 상의 계단화된(stepped) 비연속을 야기시킨다. 제거되어지는 이러한 계단화된 압축 잡음에 대해 압축/신장 화상 상에서 저역통과 필터링을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도 17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계단화된 잡음에 기인하여 야기된 고주파수 성분이 저역통과 필터(520)에 의해 비선형 역양자화 및 역하다마드 변환에 의해 제공된 압축/신장 화상(513)으로부터 제거되므로, 압축 및 신장에 기인하여 야기되는 압축 왜곡이 감소되고, 결과적으로 주로 화상 품질 저하가 감소된 화상이 재구성될 수 있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동화상 복호화 장치에 있어서, 제2프레임 메모리(114)에 잠정적으로 저장되고 예측 화상을 발생시키기 위해 기준 화상으로서 그로부터 판독되는 압축된 화상을 신장시키기 위한 신장장치(116)는 바람직하기는 도 16에 도시된 저역통과 필터가 없는 신장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제2프레임 메모리(114)에 잠정적으로 저장되고 디스플레이를 위해 그로부터 판독되는 압축된 화상을 신장시키기 위한 신장장치(117)는 바람직하기는 도 17에 도시된 저역통과 필터(520)를 포함하는 신장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즉, 압축 잡음이, 저역통과 필터(520)에 따라, 주로 화상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디스플레이에 이용하기 위한 재구성된 화상으로부터 제거된다. 압축된 화상 신호가 기준 화상으로서 판독되는 경우, 복호화 프로세스를 위한 계산 양이나 하드웨어 비용이 저역통과 필터를 생략함으로써 감소된다. 디스플레이되어지는 재구성된 화상의 주관적 화상 품질을 개선하는 동안, 복호화 프로세스를 위한 계산 양이나 하드웨어 비용이 최소화될 수 있다.
(압축/신장 프로세스의 제2구체예)
도 18 및 도 19는 복호화된 화상의 압축/신장 프로세스의 제2구체예를 나타낸다. 제2압축/신장 방법에 있어서, 도 18에 도시된 [도 1의 압축장치(115)에 대응하는]압축장치는 복호화된 화상 신호(530)를 2차원 또는 1차원 저역통과 필터(531)를 이용해서 2차원 또는 1차원 대역 제한한다. 그 후, 압축 프로세스가 압축된 화상(533)을 발생시키도록 서브샘플링 장치(532; subsampling device)로 수 평 및 수직 방향의 한쪽 또는 양쪽에서의 픽셀을 서브샘플링함으로써 수행된다.
압축된 화상(540)이 도 19에 도시된 신장장치에 입력된다. 신장 프로세스가 오버샘플링 장치(541; oversampling device) 및 저역통과 필터(542)를 이용해서 보간(interpolation)함으로써 압축된 화상 신호(540) 상에서 수행되고, 그에 따라 신장된 화상 신호(543)(압축/신장 화상 신호)가 발생된다.
(압축/신장 프로세스의 제3구체예)
복호화된 화상의 압축/신장 프로세스의 제3구체예가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압축/신장 프로세스의 제3구체예에 있어서, 4-점(point) 1차원 하다마드 변환이 복호화된 화상 신호의 휘도신호 상에서 수행되고, 선형 양자화가 dc 성분 상에서 수행되며, 비선형 양자화가 ac 성분 상에서 수행되어, 결과적으로 데이터 양이 1/2로 압축된다. 컬러-차이 신호에 대해, 수평방향의 모든 2개의 픽셀이 평균된다. 즉, 수평 픽셀이 1/2로 서브-샘플(sub-sampled)됨으로써, 데이터 양이 1/2로 압축된다.
도 20에 도시된 압축장치에 따르면, 복호화된 화상 신호에서 휘도 신호의 각 픽셀은 8비트로 구성되고, 수평 방향으로 연속하는 4픽셀은 4×1 하다마드 변환장치(600)에 입력된다. 하다마드 변환장치(600)는 하다마드 변환에 의해 발생된 10비트의 하다마드 변환 계수를 출력한다. 식 (1)은 4×1 하다마드 변환장치(600)의 동작을 나타낸다.
Figure 112007020257210-pat00001
여기서, Y0, Y1, Y2, Y3는 입력 픽셀 신호이고, Y'0, Y'1, Y'2, Y'3는 출력신호로서의 하다마드 변환 계수를 나타낸다.
하다마드 변환 계수의 최대 주파수 성분(Y'3)은 생략되고, 비트 쉬프터(601)에 따라 계수(Y'0, Y'1, Y'2)가 2비트 만큼 쉬프트되며, 8비트의 신호로 선형-양자화된다. 8비트의 신호로 양자화된 하다마드 변환 계수의 dc 성분(Y'0)은 그대로 멀티플렉서(604)를 매개로 출력된다. 하다마드 변환 계수의 중간영역 주파수 성분(Y'1,Y'2)은 비트 쉬프터(601)에 따라 8비트의 신호로 양자화되고, 이어 각각 비선형 양자화 테이블(602,603)을 이용해서 5비트 및 3비트의 신호로 양자화된다. 8비트의 신호로 양자화된 dc 성분과 5비트 및 3비트의 신호로 양자화된 중간영역 주파수 성분은 멀티플렉서(604)에 의해 비트 유니트로 멀티플렉스되어 16비트의 신호로서 출력된다.
프로세스에 의해, 복호화된 화상 신호의 휘도 성분이 4픽셀×8비트의 32비트의 신호에서 16비트의 신호로 변환된다. 즉, 데이터 양이 1/2로 감소된다. 복호화된 화상 신호의 컬러-차이 신호는 8비트의 Cb신호와 8비트의 Cr신호로 구성된다. Cb 및 Cr신호는 2개의 픽셀의 평균을 계산하기 위해 수평적으로 2개의 픽셀의 유니트에서의 서브샘플링 장치(605)에 입력되어 출력된다. 각 Cb 및 Cr신호의 수평적으로 2개의 픽셀의 평균은 8비트 정도로 된다. Cb 및 Cr신호는 16비트의 신호를 얻기 위해 멀티플렉서(606)로 멀티플렉스된다.
상기한 프로세스는 컬러-차이 신호를 1/2로 서브-샘플하고, 1/2로 압축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방법에서, 도 20의 압축장치는 하다마드 변환에 의해 압축되어지는 복호화된 화상 신호의 1/2 이상으로 주파수 성분을 유지하면서 신호 분배를 위해 최적화된 비선형 양자화에 의해 휘도 신호와 관련되는 압축 잡음을 억제하여, 1/2로 데이터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한편, 컬러-차이 신호는 낮아지는 고주파수 성분의 중요성을 이용해서 간단히 계산함으로써 수평적으로 1/2로 서브-샘플되어, 낮은 비용으로 1/2로 신호의 데이터 양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화상 품질 저하를 억제하면서 낮은 계산 양과 적은 하드웨어에 따라 복호화된 화상을 압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1은 도 20의 압축장치에 따라 압축된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신장하는 신장장치를 나타낸다. 도 21의 신장장치에서, 16비트의 모든 4개의 픽셀에 대해 휘도신호를 압축함으로써 얻어진 신호가 비트 분할 장치(704)에 입력된다. 비트 분할 장치(704)는 16비트 신호를 휘도신호의 dc 성분에 대응하는 8비트 신호와 그 중간영역 주파수 성분에 대응하는 5비트 신호 및 3비트 신호로 분할한다. 중간영역 주파수 성분의 2개의 신호는 각각 비선형 역양자화 테이블(702,703)에 의해 역양자화된다. dc 성분 및 역양자화된 중간영역 주파수 성분이 4×1 역하다마드 변환장치(700)에 입력된다. 더욱이, 0이 최대 주파수 성분에 대응하는 계수로서 역하다마드 변환장치(700)에 입력된다. 역하다마드 변환장치(700)로 4×1 역하다마드 변환된 휘도 신호가 4개 픽셀의 유니트에서의 신장된 복호화된 화상 신호로서 출력 된다.
컬러-차이 신호와 관련하여, 각 Cb 및 Cr 신호가 모든 2개의 픽셀에 의해 압축됨과 더불어 멀티플렉스되는 16비트 신호가 비트 분할 장치(706)에 입력된다. 8비트 Cb 및 Cr 신호가 비트 분 할장치(706)로부터 출력된다. 8비트 Cb 및 Cr 신호 각각은 수평의 2-픽셀 신호에 대해 업-샘플(up-sampled) 되는 바, 즉 픽셀에서 2중이고, 2-픽셀 데이터로서 출력된다. 이러한 방법에서의 휘도 신호에 대해 도 21의 신장장치가 비선형 역 양자화 및 역하다마드 변환에 의해 압축 전에 복호화된 화상 신호의 1/2 이상의 주파수 성분을 재구성할 수 있다. 칼라-차이 신호는 필셀의 2중이라고 불리워지는 매우 간단한 프로세스에 의해 신장될 수 있다. 따라서, 화상 품질 저하를 억제하면서 적은 계산 양과 적은 하드웨어로 압축된 복호화된 화상을 신장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2실시예)
도 22는 제2실시예에 따른 동화상 복호화 장치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 복호화된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제2프레임 메모리(114)에 저장된 압축된 화상 신호가 판독되어 제2신장장치(117)로 신장되고, 이어 재구성된 화상 신호(110)를 발생시키기 위해 종단 프로세서(105)로 보내진다. 한편, 제2실시예에서, 복호화된 화상 신호(109)가 압축된 화상 신호를 저장하는 제2프레임 메모리(114)로부터는 판독되지 않지만,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압축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저장하는 제1프레임 메모리(113)로부터 판독되어, 종단 프로세서(105)로 공급된다. 따라서, 도 1의 제2신장장치(117)가 불필요하게 된다.
비압축 복호화된 화상 신호가 이러한 방법에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종단 프로세서(105)에 입력될 때, 압축 잡음이 감소되어 화상 품질이 거의 저하되지 않은 동화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제2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에 이용하기 위한 복호화된 화상 신호(109)의 데이터 판독 및 전송 양은 제1실시예에 비해 증가한다. 더욱이, B 화상의 복호화된 화상이 비압축에 의해 제1프레임 메모리(113)에 기록되어져야만 하므로, 필요한 메모리 밴드폭이 증가한다. 그러나, 제2프레임 메모리(114)에 저장된 압축된 화상 신호는, 일반적으로 높은 메모리 밴드폭을 요구하는 기준 화상 신호가 판독될 때,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용될 수 있고, 메모리 밴드폭이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전체 메모리 밴드폭이 통상적인 복호화 장치에 비해 감소될 수 있다.
(제3실시예)
도 23은 제3실시예에 따른 동화상 복호화 장치를 나타낸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실시예에서, 재구성된 화상 신호(110)의 품질, 즉 디스플레이 화상의 화상 품질 및 메모리 밴드폭의 감소된 양 사이에는 트레이드 오프(trade-off)가 있다. 제3실시예는 제1 및 제2실시예의 방법을 적응적으로 선택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도 23에 따르면, 제1프레임 메모리(113)로부터 판독된 비압축 복호화된 화상 신호와 제2프레임 메모리(114)로부터 판독되어 제2신장장치(117)로 신장되는 압축/신장 화상 신호 사이에서 스위치하여 선택적으로 그들을 종단 프로세서(105)로 공급하는 스위치(121)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을 기초로, 스위치(121)가 동작되어 메모리 밴드폭의 많은 감소된 양을 만드는 경우에 제2신장장치(117)로부터의 압축/신장 화상 신호가 종단 프로세서(105)공급되고, 디스플레이 화상의 화상 품질을 우선화하는 경우에 비압축 복호화된 화상 신호가 종단 프로세서(105)에 공급된다.
(제4실시예)
도 24에 도시된 제4실시예에 따른 동화상 복호화 장치에서, 잡음 제거기(301)가 가산기(104)와 압축장치(115) 사이에 제공된다. 잡음 제거기(301)는 가산기(104)로부터 출력된 복호화 화상 신호(108)로부터 잡음을 제거한다. 잡음이 제거된 복호화된 화상 신호가 압축장치(115)에 의해 압축되어 제2프레임 메모리(114)에 저장된다.
제4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메모리의 메모리 밴드폭이 이전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감소된다. 잡음 제거기(301)는 MPEG-2 등에 따라 압축된 동화상 부호화 데이터(100)의 블록 왜곡 또는 모스키토(mosquito) 잡음과 같은 압축 방법에 대해 고유한 코딩 왜곡을 제거하도록 제공된다. 잡음 제거기(301)는 양자화 단계 크기나 가변길이 디코더(101)로부터 발생된 부호화 모드와 같은 정보를 이용해서 적응적으로 잡음을 제거한다.
통상적인 동화상 복호화 장치에 있어서, 부호화와 다른 잡음 제거 프로세스가 복호화 루프에 적용되는 경우, 복호화된 화상에서의 왜곡을 야기시키도록 기준 화상의 부호화 및 복호화 사이에서 불일치가 야기된다. 제4실시예에서, 압축되지 않은 비압축 복호화된 화상 신호 상에서는 잡음 제거가 수행되지 않고, 복호화된 화상 신호 상에서만 압축이 수행되어 제2프레임 메모리(114)에 저장된다. 결과적 으로, 기준 화상 신호로서 비압축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이용하는 복호화 프로세스는 부호화 및 복호화 사이에서 불일치를 야기시키지 않게 된다.
기준 화상 신호로서 압축된 화상 신호를 이용하는 복호화 프로세스는 압축 잡음의 감소 뿐만 아니라 동화상 부호화 데이터(100)의 잡음 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잡음 제거가 된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압축 및 신장함으로써 얻어진 동화상 신호가 종단 프로세서(105)를 통해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공급되므로, 전체 메모리 밴드폭을 감소시키는 동안 잡음이 감소된 고품질 동화상을 재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복호화된 화상 신호와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압축함으로써 얻어진 압축된 화상 신호의 양쪽이 메모리에 저장되고, 복호화 시 기준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메모리로부터 적응적으로 판독되어지는 화상 신호가 선택된다. 결과적으로, 복호화 시 메모리 밴드폭을 감소시킴과 더불어 품질이 극도로 저하되는 것으로부터 재구성된 화상을 방지하면서 시간이 지남에 따른 복호화 및 전파에 기인하여 야기되는 왜곡을 최소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재구성된 화상은 복호화의 시에 메모리 밴드폭를 감소시 키는 동안 기준 화상을 발생시키는 프로세스에서 압축의 이용에 기인하여 야기되는 왜곡의 잠정적 분산(temporarily-spread)을 최소화함으로써 화상 품질이 크게 저하되는 것으로부터 방지된다.

Claims (20)

  1. 삭제
  2.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동화상 신호를 위한 예측 화상 신호를 이용해서 동화상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단계와;
    압축된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압축하는 단계;
    제1메모리에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저장하는 단계;
    제2메모리에 압축된 화상 신호를 저장하는 단계;
    압축/신장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2메모리로부터 판독된 압축된 화상 신호를 신장하는 단계;
    화상 유니트에서의 동화상 부호화 데이터와 블록 유니트에서의 예측 모드의 코딩 형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기준 화상 신호로서 제1메모리로부터 판독된 복호화된 화상 신호와 압축/신장 화상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예측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기준 화상 신호 상에서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는 단계를 갖추어 이루어지되,
    선택하는 단계가, 화상 유니트에서의 코딩 형태가 복호화된 화상 신호가 기준 화상 신호로서 이용되는 코딩 형태일 때 제1메모리로부터 판독된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선택하고, 화상 유니트에서의 코딩 형태가 복호화에 의해 발생된 복호화된 화상 신호가 기준 화상 신호로서 이용되지 않는 코딩 형태를 나타낼 때 압축/신장 화상 신호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화 방법.
  3.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동화상 신호를 위한 예측 화상 신호를 이용해서 동화상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단계와;
    압축된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압축하는 단계;
    제1메모리에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저장하는 단계;
    제2메모리에 압축된 화상 신호를 저장하는 단계;
    압축/신장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2메모리로부터 판독된 압축된 화상 신호를 신장하는 단계;
    화상 유니트에서의 동화상 부호화 데이터와 블록 유니트에서의 예측 모드의 코딩 형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기준 화상 신호로서 제1메모리로부터 판독된 복호화된 화상 신호와 압축/신장 화상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예측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기준 화상 신호 상에서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는 단계를 갖추어 이루어지되,
    화상 유니트에서의 코딩 형태가 I 화상, P 화상, B 화상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고, 선택하는 단계가, 복호화된 화상 신호가 P 화상을 나타낼 때 제1메모리로부터 판독된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선택하고, 복호화된 화상 신호가 B 화상을 나타낼 때 압축/신장 화상 신호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화 방법.
  4.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동화상 신호를 위한 예측 화상 신호를 이용해서 동화상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단계와;
    압축된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압축하는 단계;
    제1메모리에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저장하는 단계;
    제2메모리에 압축된 화상 신호를 저장하는 단계;
    압축/신장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2메모리로부터 판독된 압축된 화상 신호를 신장하는 단계;
    화상 유니트에서의 동화상 부호화 데이터와 블록 유니트에서의 예측 모드의 코딩 형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기준 화상 신호로서 제1메모리로부터 판독된 복호화된 화상 신호와 압축/신장 화상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예측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기준 화상 신호 상에서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는 단계를 갖추어 이루어지되,
    선택하는 단계가, 블록 유니트에서의 예측 모드가 움직임 보상에서의 기준 화상 신호의 단일 블록으로부터 예측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모드를 나타낼 때 제1메모리로부터 판독된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선택하고, 블록 유니트에서의 예측 모드가 기준 화상 신호의 다수의 블록의 평균 또는 움직임 보상에서의 블록의 선형 합에 의해 예측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모드를 나타낼 때 압축/신장 화상 신호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화 방법.
  5.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동화상 신호를 위한 예측 화상 신호를 이용해서 동화상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단계와;
    압축된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압축하는 단계;
    제1메모리에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저장하는 단계;
    제2메모리에 압축된 화상 신호를 저장하는 단계;
    압축/신장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2메모리로부터 판독된 압축된 화상 신호를 신장하는 단계;
    화상 유니트에서의 동화상 부호화 데이터와 블록 유니트에서의 예측 모드의 코딩 형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기준 화상 신호로서 제1메모리로부터 판독된 복호화된 화상 신호와 압축/신장 화상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예측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기준 화상 신호 상에서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는 단계를 갖추어 이루어지되,
    블록 유니트에서의 예측 모드는 B 화상의 예측 픽셀 블록이 전방 예측 픽셀 블록과 후방 예측 픽셀 블록 및 양방향 예측 픽셀 블록 중 어느 하나임을 나타내고, 선택하는 방법은, 블록 유니트에서의 예측 모드가 전방 예측 픽셀 블록 또는 후방 예측 픽셀 블록으로부터 예측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모드를 나타낼 때 제1메모리로부터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선택하고, 블록 유니트에서의 예측 모드가 양방향 예측 픽셀 블록으로부터 예측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모드를 나타낼 때 압축/신장 화상 신호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화 방법.
  6.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동화상 신호를 위한 예측 화상 신호를 이용해서 동화상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단계와;
    압축된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압축하는 단계;
    제1메모리에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저장하는 단계;
    제2메모리에 압축된 화상 신호를 저장하는 단계;
    압축/신장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2메모리로부터 판독된 압축된 화상 신호를 신장하는 단계;
    화상 유니트에서의 동화상 부호화 데이터와 블록 유니트에서의 예측 모드의 코딩 형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기준 화상 신호로서 제1메모리로부터 판독된 복호화된 화상 신호와 압축/신장 화상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예측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기준 화상 신호 상에서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는 단계를 갖추어 이루어지되,
    블록 유니트에서의 예측 모드가, 적어도 P 화상의 예측 픽셀 블록이 단일 기준 화상을 이용하는 전방 예측 픽셀 블록과 다수의 기준 화상을 이용하는 2중 프라임 예측 픽셀 블록의 어느 하나를 표현하는 모드를 나타내고, 선택하는 단계가, 블록 유니트에서의 예측 모드가 전방 예측 픽셀 블록으로부터 예측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모드를 나타낼 때 제1메모리로부터 판독된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선택하고, 블록 유니트에서의 예측 모드가 2중 프라임 예측 픽셀 블록으로부터 예측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모드를 나타낼 때 압축/신장 화상 신호의 2개의 기준 블록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화 방법.
  7. 삭제
  8.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동화상 신호를 위한 예측 화상 신호를 이용해서 동화상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기와;
    압축된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압축하도록 구성된 압축 유니트;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저장하는 제1메모리;
    압축된 화상 신호를 저장하는 제2메모리;
    압축/신장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2메모리로부터 판독된 압축된 화상 신호를 신장하도록 구성된 신장 유니트;
    화상 유니트에서의 동화상 부호화 데이터와 블록 유니트에서의 예측 모드의 코딩 형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기준 화상 신호로서 제1메모리로부터 판독된 복호화된 화상 신호와 압축/신장 화상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기 및;
    예측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기준 화상 신호 상에서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는 움직임 보상기를 구비하여 구성되되,
    선택기가, 화상 유니트에서의 코딩 형태가 복호화기에 의해 발생된 복호화된 화상 신호가 기준 화상 신호로서 이용되는 코딩 형태를 나타낼 때 제1메모리로부터 판독된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선택하고, 화상 유니트에서의 코딩 형태가 복호화기에 의해 발생된 복호화된 화상 신호가 기준 화상 신호로서 이용되지 않는 코딩 형태를 나타낼 때 압축/신장 화상 신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화 장치.
  9.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동화상 신호를 위한 예측 화상 신호를 이용해서 동화상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기와;
    압축된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압축하도록 구성된 압축 유니트;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저장하는 제1메모리;
    압축된 화상 신호를 저장하는 제2메모리;
    압축/신장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2메모리로부터 판독된 압축된 화상 신호를 신장하도록 구성된 신장 유니트;
    화상 유니트에서의 동화상 부호화 데이터와 블록 유니트에서의 예측 모드의 코딩 형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기준 화상 신호로서 제1메모리로부터 판독된 복호화된 화상 신호와 압축/신장 화상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기 및;
    예측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기준 화상 신호 상에서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는 움직임 보상기를 구비하여 구성되되,
    화상 유니트에서의 코딩 형태가 I 화상, P 화상, B 화상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고, 선택기가, 복호화기에 의해 발생된 복호화된 화상 신호가 P 화상을 나타낼 때 제1메모리로부터 판독된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선택하고, 복호화기에 의해 발생된 복호화된 화상 신호가 B 화상을 나타낼 때 압축/신장 화상 신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화 장치.
  10.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동화상 신호를 위한 예측 화상 신호를 이용해서 동화상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기와;
    압축된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압축하도록 구성된 압축 유니트;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저장하는 제1메모리;
    압축된 화상 신호를 저장하는 제2메모리;
    압축/신장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2메모리로부터 판독된 압축된 화상 신호를 신장하도록 구성된 신장 유니트;
    화상 유니트에서의 동화상 부호화 데이터와 블록 유니트에서의 예측 모드의 코딩 형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기준 화상 신호로서 제1메모리로부터 판독된 복호화된 화상 신호와 압축/신장 화상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기 및;
    예측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기준 화상 신호 상에서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는 움직임 보상기를 구비하여 구성되되,
    선택기가, 블록 유니트에서의 예측 모드가 움직임 보상기에서의 기준 화상 신호의 단일 블록으로부터 예측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모드를 나타낼 때 제1메모리로부터 판독된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선택하고, 블록 유니트에서의 예측 모드가 기준 화상 신호의 다수의 블록의 평균 또는 움직임 보상기에서의 블록의 선형 합으로부터 예측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모드를 나타낼 때 압축/신장 화상 신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화 장치.
  11.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동화상 신호를 위한 예측 화상 신호를 이용해서 동화상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기와;
    압축된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압축하도록 구성된 압축 유니트;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저장하는 제1메모리;
    압축된 화상 신호를 저장하는 제2메모리;
    압축/신장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2메모리로부터 판독된 압축된 화상 신호를 신장하도록 구성된 신장 유니트;
    화상 유니트에서의 동화상 부호화 데이터와 블록 유니트에서의 예측 모드의 코딩 형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기준 화상 신호로서 제1메모리로부터 판독된 복호화된 화상 신호와 압축/신장 화상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기 및;
    예측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기준 화상 신호 상에서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는 움직임 보상기를 구비하여 구성되되,
    블록 유니트에서의 예측 모드는 B 화상의 예측 픽셀 블록이 전방 예측 픽셀 블록과 후방 예측 픽셀 블록 및 양방향 예측 픽셀 블록 중 어느 하나임을 나타내고, 선택기가, 블록 유니트에서의 예측 모드가 전방 예측 픽셀 블록 또는 후방 예측 픽셀 블록으로부터 예측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모드를 나타낼 때 제1메모리로부터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선택하고, 블록 유니트에서의 예측 모드가 양방향 예측 픽셀 블록으로부터 예측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모드를 나타낼 때 압축/신장 화상 신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화 장치.
  12.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동화상 신호를 위한 예측 화상 신호를 이용해서 동화상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기와;
    압축된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압축하도록 구성된 압축 유니트;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저장하는 제1메모리;
    압축된 화상 신호를 저장하는 제2메모리;
    압축/신장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2메모리로부터 판독된 압축된 화상 신호를 신장하도록 구성된 신장 유니트;
    화상 유니트에서의 동화상 부호화 데이터와 블록 유니트에서의 예측 모드의 코딩 형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기준 화상 신호로서 제1메모리로부터 판독된 복호화된 화상 신호와 압축/신장 화상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기 및;
    예측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기준 화상 신호 상에서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는 움직임 보상기를 구비하여 구성되되,
    블록 유니트에서의 예측 모드가, 적어도 P 화상의 예측 픽셀 블록이 단일 기준 화상을 이용하는 전방 예측 픽셀 블록과 다수의 기준 화상을 이용하는 2중 프라임 예측 픽셀 블록의 어느 하나를 표현하는 모드를 나타내고, 선택기가, 블록 유니트에서의 예측 모드가 전방 예측 픽셀 블록으로부터 예측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모드를 나타낼 때 제1메모리로부터 판독된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선택하고, 블록 유니트에서의 예측 모드가 2중 프라임 예측 픽셀 블록으로부터 예측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모드를 나타낼 때 압축/신장 화상 신호의 2개의 기준 블록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화 장치.
  13.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동화상 신호를 위한 예측 화상 신호를 이용해서 동화상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기와;
    압축된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압축하도록 구성된 압축 유니트;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저장하는 제1메모리;
    압축된 화상 신호를 저장하는 제2메모리;
    압축/신장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2메모리로부터 판독된 압축된 화상 신호를 신장하도록 구성된 신장 유니트;
    화상 유니트에서의 동화상 부호화 데이터와 블록 유니트에서의 예측 모드의 코딩 형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기준 화상 신호로서 제1메모리로부터 판독된 복호화된 화상 신호와 압축/신장 화상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기 및;
    예측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기준 화상 신호 상에서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는 움직임 보상기를 구비하여 구성되되,
    압축/신장 화상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동화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재구성된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는 프로세서를 더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화 장치.
  14.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동화상 신호를 위한 예측 화상 신호를 이용해서 동화상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기와;
    압축된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압축하도록 구성된 압축 유니트;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저장하는 제1메모리;
    압축된 화상 신호를 저장하는 제2메모리;
    압축/신장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2메모리로부터 판독된 압축된 화상 신호를 신장하도록 구성된 신장 유니트;
    화상 유니트에서의 동화상 부호화 데이터와 블록 유니트에서의 예측 모드의 코딩 형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기준 화상 신호로서 제1메모리로부터 판독된 복호화된 화상 신호와 압축/신장 화상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기 및;
    예측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기준 화상 신호 상에서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는 움직임 보상기를 구비하여 구성되되,
    제1메모리로부터 판독된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동화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재구성된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는 프로세서를 더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화 장치.
  15.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동화상 신호를 위한 예측 화상 신호를 이용해서 동화상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기와;
    압축된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압축하도록 구성된 압축 유니트;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저장하는 제1메모리;
    압축된 화상 신호를 저장하는 제2메모리;
    압축/신장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2메모리로부터 판독된 압축된 화상 신호를 신장하도록 구성된 신장 유니트;
    화상 유니트에서의 동화상 부호화 데이터와 블록 유니트에서의 예측 모드의 코딩 형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기준 화상 신호로서 제1메모리로부터 판독된 복호화된 화상 신호와 압축/신장 화상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기 및;
    예측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기준 화상 신호 상에서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는 움직임 보상기를 구비하여 구성되되,
    압축/신장 화상 신호와 제1메모리로부터 판독된 복호화된 화상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기와, 동화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재구성된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는 선택기에 따라 선택된 화상 신호를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더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화 장치.
  16.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동화상 신호를 위한 예측 화상 신호를 이용해서 동화상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기와;
    압축된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압축하도록 구성된 압축 유니트;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저장하는 제1메모리;
    압축된 화상 신호를 저장하는 제2메모리;
    압축/신장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2메모리로부터 판독된 압축된 화상 신호를 신장하도록 구성된 신장 유니트;
    화상 유니트에서의 동화상 부호화 데이터와 블록 유니트에서의 예측 모드의 코딩 형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기준 화상 신호로서 제1메모리로부터 판독된 복호화된 화상 신호와 압축/신장 화상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기 및;
    예측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기준 화상 신호 상에서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는 움직임 보상기를 구비하여 구성되되,
    복호화된 화상 신호에 포함된 부호화 잠음을 제거하는 잡음 제거기를 더 갖추어 구성되고, 압축 유니트가 부호화 잡음이 제거된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압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화 장치.
  17.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동화상 신호를 위한 예측 화상 신호를 이용해서 동화상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기와;
    압축된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압축하도록 구성된 압축 유니트;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저장하는 제1메모리;
    압축된 화상 신호를 저장하는 제2메모리;
    압축/신장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2메모리로부터 판독된 압축된 화상 신호를 신장하도록 구성된 신장 유니트;
    화상 유니트에서의 동화상 부호화 데이터와 블록 유니트에서의 예측 모드의 코딩 형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기준 화상 신호로서 제1메모리로부터 판독된 복호화된 화상 신호와 압축/신장 화상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기 및;
    예측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기준 화상 신호 상에서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는 움직임 보상기를 구비하여 구성되되,
    압축 유니트가 대역제한 필터링 및 서브-샘플링에 의해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압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화 장치.
  18.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동화상 신호를 위한 예측 화상 신호를 이용해서 동화상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기와;
    압축된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압축하도록 구성된 압축 유니트;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저장하는 제1메모리;
    압축된 화상 신호를 저장하는 제2메모리;
    압축/신장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2메모리로부터 판독된 압축된 화상 신호를 신장하도록 구성된 신장 유니트;
    화상 유니트에서의 동화상 부호화 데이터와 블록 유니트에서의 예측 모드의 코딩 형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기준 화상 신호로서 제1메모리로부터 판독된 복호화된 화상 신호와 압축/신장 화상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기 및;
    예측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기준 화상 신호 상에서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는 움직임 보상기를 구비하여 구성되되,
    압축 유니트가 하다마드 변환 및 비선형 양자화에 의해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압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화 장치.
  19.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동화상 신호를 위한 예측 화상 신호를 이용해서 동화상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기와;
    압축된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압축하도록 구성된 압축 유니트;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저장하는 제1메모리;
    압축된 화상 신호를 저장하는 제2메모리;
    압축/신장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2메모리로부터 판독된 압축된 화상 신호를 신장하도록 구성된 신장 유니트;
    화상 유니트에서의 동화상 부호화 데이터와 블록 유니트에서의 예측 모드의 코딩 형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기준 화상 신호로서 제1메모리로부터 판독된 복호화된 화상 신호와 압축/신장 화상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기 및;
    예측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기준 화상 신호 상에서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는 움직임 보상기를 구비하여 구성되되,
    압축 유니트가, 복호화된 화상 신호에서의 휘도 신호를 하다마드 변환 및 비선형 양자화하고, 복호화된 화상 신호에서의 컬러-차이 신호를 대역제한 필터링 및 서브 샘플링함으로써 복호화된 화상 신호를 압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화 장치.
  20. 삭제
KR20070024547A 2006-03-28 2007-03-13 동화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08745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88883A JP4384130B2 (ja) 2006-03-28 2006-03-28 動画像復号方法及び装置
JPJP-P-2006-00088883 2006-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7309A KR20070097309A (ko) 2007-10-04
KR100874518B1 true KR100874518B1 (ko) 2008-12-16

Family

ID=38519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24547A KR100874518B1 (ko) 2006-03-28 2007-03-13 동화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53767B2 (ko)
EP (1) EP1853067A1 (ko)
JP (1) JP4384130B2 (ko)
KR (1) KR100874518B1 (ko)
CN (1) CN10108001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9408A (ko) * 2018-12-25 2020-07-03 샤먼 시그마스타 테크놀로지 엘티디. 영상 복호화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21196B2 (en) * 2006-11-02 2012-02-21 Cor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threaded video decoding
KR100939917B1 (ko) 2008-03-07 2010-02-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움직임 예측을 통한 부호화 시스템 및 움직임 예측을 통한부호화 방법
JP2009267689A (ja) * 2008-04-24 2009-11-12 Panasonic Corp 動画像符号化装置、及び動画像符号化方法
US9326004B2 (en) * 2008-06-03 2016-04-26 Broadcom Corporation Reduced memory mode video decode
US8326075B2 (en) 2008-09-11 2012-12-04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video encoding using adaptive loop filter
US20100098166A1 (en) * 2008-10-17 2010-04-2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Video coding with compressed reference frames
KR101539260B1 (ko) 2008-12-02 2015-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선택적 영상정보 무손실 압축, 복원 장치 및 방법
TWI387317B (zh) * 2008-12-11 2013-02-2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產生重新取樣參考畫面之裝置及其方法與影像解碼系統
CN101847394B (zh) * 2009-03-26 2012-03-07 珠海扬智电子有限公司 用以解码及显示视讯文件的存储器映射方法及装置
TW201101840A (en) * 2009-06-30 2011-01-01 Sunplus Technology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memory access bandwidth in video decoding
CN101841711B (zh) * 2010-04-17 2012-01-04 上海交通大学 用于视频解码的反量化装置及其实现方法
WO2012005106A1 (ja) * 2010-07-08 2012-01-12 日本電気株式会社 映像復号装置、映像符号化装置、映像復号方法、映像符号化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491382B (zh) 2010-07-13 2017-07-04 日本电气株式会社 视频解码装置、视频解码方法以及程序
US8503528B2 (en) * 2010-09-15 2013-08-06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encoding video using temporal filter
JP5496047B2 (ja) * 2010-10-07 2014-05-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再生方法、画像再生装置、画像再生プログラム、撮像システム、および再生システム
JP5850214B2 (ja) * 2011-01-11 2016-02-03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CN103283231B (zh) * 2011-01-12 2018-04-27 西门子公司 在视频编码器中参考图像的压缩和解压缩
AU2012205813B2 (en) * 2011-01-14 2016-07-07 Vidyo, Inc. High layer syntax for temporal scalability
CN102685475B (zh) * 2011-03-11 2015-04-29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视频减帧率的隔行压缩显示方法及其系统
JP5736863B2 (ja) * 2011-03-15 2015-06-17 富士通株式会社 トランスコード装置及びトランスコード方法
US8780996B2 (en) 2011-04-07 2014-07-15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video data
US8780971B1 (en) 2011-04-07 2014-07-15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of encoding using selectable loop filters
US8781004B1 (en) 2011-04-07 2014-07-15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encoding video using variable loop filter
WO2012160614A1 (ja) * 2011-05-25 2012-11-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動画像復号装置
US9521434B2 (en) * 2011-06-09 2016-12-13 Qualcomm Incorporated Internal bit depth increase in video coding
US8885706B2 (en) 2011-09-16 2014-11-11 Google Inc. Apparatus and methodology for a video codec system with noise reduction capability
KR101885341B1 (ko) * 2011-10-20 2018-08-07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와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
US9268723B2 (en) * 2011-12-21 2016-02-23 Intel Corporation Dram compression scheme to reduce power consumption in motion compensation and display refresh
TWI606718B (zh) * 2012-01-03 2017-11-21 杜比實驗室特許公司 規定視覺動態範圍編碼操作及參數
JP5727398B2 (ja) 2012-01-26 2015-06-0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動画像符号化方法,動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動画像符号化プログラム
US9131073B1 (en) 2012-03-02 2015-09-08 Google Inc. Motion estimation aided noise reduction
JP6064992B2 (ja) * 2012-03-28 2017-01-25 日本電気株式会社 ノイズ除去処理システム、ノイズ除去処理回路、プログラム、ノイズ除去処理方法
US9344729B1 (en) 2012-07-11 2016-05-17 Google Inc. Selective prediction signal filtering
JP5969914B2 (ja) * 2012-12-20 2016-08-17 株式会社日立情報通信エンジニアリング 動画像圧縮伸張装置
US10102613B2 (en) 2014-09-25 2018-10-16 Google Llc Frequency-domain denoising
JP6453652B2 (ja) 2015-01-09 2019-01-16 株式会社東芝 映像伝送システム
CN106303544B (zh) 2015-05-26 2019-06-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视频编解码方法、编码器和解码器
KR101770300B1 (ko) 2015-06-09 2017-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CN107736027B (zh) * 2015-06-12 2021-06-01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图像编码方法、图像解码方法、图像编码装置及图像解码装置
KR102171119B1 (ko) * 2015-11-05 2020-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개의 블록 기반의 파이프라인을 이용한 데이터 처리 속도 개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6679290B2 (ja) * 2015-11-30 2020-04-15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TWI601410B (zh) * 2016-01-11 2017-10-01 晨星半導體股份有限公司 視訊串流解碼方法及視訊串流解碼系統
CN107820095B (zh) * 2016-09-14 2020-01-03 北京金山云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长期参考图像选择方法及装置
JP2019080291A (ja) * 2017-10-27 2019-05-23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US10659797B2 (en) * 2017-10-31 2020-05-19 Google Llc Video frame codec architectures
US11308873B2 (en) * 2019-05-23 2022-04-19 Samsung Display Co., Ltd. Redundancy assisted noise control for accumulated iterative compression error
US11245931B2 (en) 2019-09-11 2022-02-08 Samsung Display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GBG conversion
KR20210077087A (ko) 2019-12-16 2021-06-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구동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1516477B2 (en) 2021-02-11 2022-11-29 Qualcomm Incorporated Intra block copy scratch frame buff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5260A (ko) * 2001-03-12 2002-12-20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비디오 인코더 및 재코딩 장치
KR20030001625A (ko) * 2001-06-25 2003-01-08 (주)아이디스 동영상 압축시 예측 프레임 생성 및 재생 방법
KR20040074725A (ko) * 2003-02-18 2004-08-26 (주) 멀티비아 이동통신 단말기용 동영상 부호화 시스템 및 방법
JP2004254344A (ja) * 2004-05-06 2004-09-09 Kddi Corp 符号化動画像再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6968A (en) * 1993-03-11 1994-12-27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Adaptive compression of digital video data using different modes such as PCM and DPCM
DE69619002T2 (de) * 1995-03-10 2002-11-21 Toshiba Kawasaki Kk Bildkodierungs-/-dekodierungsvorrichtung
US5777677A (en) * 1996-02-09 1998-07-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roximate MPEG decoder with compressed reference frames
US6744925B2 (en) * 1996-03-19 2004-06-0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ncoding apparatus, decoding apparatus, encoding method, and decoding method
US6477202B1 (en) * 1997-09-03 2002-11-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atus of layered picture coding, apparatus of picture decoding, methods of picture decoding, apparatus of recording for digital broadcasting signal, and apparatus of picture and audio decoding
JP3568392B2 (ja) 1998-06-17 2004-09-22 三洋電機株式会社 動画像復号化装置
JP2000050272A (ja) 1998-07-31 2000-02-18 Sony Corp 復号化装置及び方法
JP2000078568A (ja) 1998-08-28 2000-03-14 Sony Corp 復号化装置及び方法
JP2001257887A (ja) * 2000-03-14 2001-09-21 Fuji Xerox Co Ltd 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画像復号装置ならびに画像符号化方法および画像復号方法
US20020075961A1 (en) * 2000-12-19 2002-06-20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on Frame-type dependent reduced complexity video decoding
JP3643777B2 (ja) * 2001-02-28 2005-04-27 三洋電機株式会社 動画像復号装置および動画像復号方法
US7266150B2 (en) * 2001-07-11 2007-09-04 Dolby Laboratories, Inc. Interpolation of video compression frames
US6983017B2 (en) * 2001-08-20 2006-01-03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reduced memory mode for high-definition television
US7085421B2 (en) * 2002-08-05 2006-08-01 Shih-Zheng Kuo Image processing method for facilitating data transmission
JP2005020294A (ja) * 2003-06-25 2005-01-20 Sony Corp ブロック歪低減装置
JP2005124091A (ja) * 2003-10-20 2005-05-12 Sony Corp 復号装置及び復号方法
CN101924945B (zh) * 2004-03-08 2012-07-18 三叉微系统(远东)有限公司 具有可变压缩比和用于存储及检索参考帧数据的缓冲器的视频解码器
KR100640876B1 (ko) * 2004-11-17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방송 수신기의 비디오 디코딩 시스템
US7949044B2 (en) * 2005-04-12 2011-05-24 Lsi Corporation Method for coefficient bitdepth limitation, encoder and bitstream generation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5260A (ko) * 2001-03-12 2002-12-20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비디오 인코더 및 재코딩 장치
KR20030001625A (ko) * 2001-06-25 2003-01-08 (주)아이디스 동영상 압축시 예측 프레임 생성 및 재생 방법
KR20040074725A (ko) * 2003-02-18 2004-08-26 (주) 멀티비아 이동통신 단말기용 동영상 부호화 시스템 및 방법
JP2004254344A (ja) * 2004-05-06 2004-09-09 Kddi Corp 符号化動画像再生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9408A (ko) * 2018-12-25 2020-07-03 샤먼 시그마스타 테크놀로지 엘티디. 영상 복호화 장치 및 방법
KR102174900B1 (ko) * 2018-12-25 2020-11-05 샤먼 시그마스타 테크놀로지 엘티디. 영상 복호화 장치 및 방법
US10931957B2 (en) 2018-12-25 2021-02-23 Xiamen Sigmastar Technology Ltd. Image decryption apparatus and method of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84130B2 (ja) 2009-12-16
KR20070097309A (ko) 2007-10-04
EP1853067A1 (en) 2007-11-07
CN101080014A (zh) 2007-11-28
US8553767B2 (en) 2013-10-08
US20070230572A1 (en) 2007-10-04
JP2007266970A (ja) 2007-10-11
CN101080014B (zh) 2011-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4518B1 (ko) 동화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10349051B1 (en) Adaptive filtering based upon boundary strength
JP3118237B1 (ja) 画像予測復号化方法
KR101322498B1 (ko) 부호화 장치, 부호화 방법 및 프로그램
JP4393875B2 (ja) 複雑さの軽減された復号化に適したシングルレイヤビデオ符号化されたビットストリームを供給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00254450A1 (en) Video coding method, video decoding method, video coding apparatus, video decoding apparatus, and corresponding program and integrated circuit
KR20040054776A (ko) 고레벨 화소-그리드 모션 보상을 사용하여 복잡성을감소시키기 위한 디코딩
US680429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ducing requantization-originated generational error in predictive video streams using motion compensation
US20030138048A1 (en) Macroblock coding using luminance data in analyzing temporal redundancy of a picture, biased by chrominance data
EP1720356A1 (en) A frequency selective video compression
JP4318019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3599942B2 (ja) 動画像符号化方法、及び動画像符号化装置
US5614953A (en) Image signal decoding apparatus having an encoding error compensation
JP4292659B2 (ja) 画像情報変換装置及び画像情報変換方法
JP2000165875A (ja) メモリ量の少ない動画像解像度変換符号化・復号装置
JP3343554B1 (ja) 画像予測復号化方法及び画像予測符号化装置
JP3157144B1 (ja) 画像予測復号化方法
JP3343553B1 (ja) 画像予測符号化装置及び方法
JP2002359852A (ja) 画像予測復号化装置及び方法
JPH10164594A (ja) 動画像の圧縮符号化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4292658B2 (ja) 画像情報変換装置及び画像情報変換方法
JP2012209873A (ja) 動画像符号化装置及び動画像符号化方法
JP2004215296A (ja) 画像予測符号化方法及び装置
JP2001145108A (ja) 画像情報変換装置及び方法
JP2012209874A (ja) 動画像復号化装置及び動画像復号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