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1530B1 - 커넥터용 소켓 및 그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커넥터용 소켓 및 그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1530B1
KR100871530B1 KR1020020009278A KR20020009278A KR100871530B1 KR 100871530 B1 KR100871530 B1 KR 100871530B1 KR 1020020009278 A KR1020020009278 A KR 1020020009278A KR 20020009278 A KR20020009278 A KR 20020009278A KR 100871530 B1 KR100871530 B1 KR 100871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hole
shutter member
socke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9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0803A (ko
Inventor
우치다신지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0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0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1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1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the light guide being disconnectable from the opto-electronic element, e.g. mutually self align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6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coupling with sources of high radiant energy, e.g. high power lasers, high temperature light sources
    • G02B2006/4297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coupling with sources of high radiant energy, e.g. high power lasers, high temperature light sources having protection means, e.g. protecting humans against accidental exposure to harmful laser 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47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means preventing fibre end damage, e.g. recessed fibre surfaces
    • G02B6/3849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means preventing fibre end damage, e.g. recessed fibre surfaces using mechanical protective elements, e.g. caps, hoods, sealing membran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7Connectors fixed to housings, casing, frames or circuit boar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소켓과 케이스체를 간단한 구조로 하고, 먼지, 티끌 등의 이물질의 진입을 저지하는 수단을 소켓내에 간단히 장착시킬수 있게 한 커넥터용 소켓을 제공한다.
플러그가 삽입되는 공동부와, 이 공동부내에 형성된 팽창부와, 이 팽창부의 거의 중심에 위치하고 플러그선단이 삽입되는 관통구멍과, 또한 관통구멍의 타단에 대치한 접속자를 구비한다.
하우징본체로의 셔터부재, 탄성체, 접속자는 간극부로부터 순차 삽입되고, 뚜껑체를 간극부에 끼워넣고 장착시키므로서 각 부품이 하우징본체내에 장착 고정된다.
한편, 하우징본체내에 있어서는 관통구멍의 측면벽을 일부 절단 개공부를 형성하고, 이 개공부에 셔터부재를 삽입하고 이 셔터부재는 탄성체의 가세력에 의해 관통구멍이 폐쇄되고, 플러그의 삽입에 의해 이 폐쇄가 개방된다.

Description

커넥터용 소켓 및 그 조립방법{SOCKET FOR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광커넥터용 소켓을 나타낸 것으로서, 광커넥터용 소켓을 구성하는 부품을 분해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광커넥터용 소켓에 사용되는 하우징본체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동 도(A)는 정면도, 동 도(B)는 측면도, 동 도(C)는 도 1의 1점쇄선 A-A'로부터 절단한 단면도, 동 도(D)는 배면도, 동 도(E)는 상면도, 동 도(F)는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광커넥터용 소켓에 사용되는 뚜껑체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동 도(A)는 정면도, 동 도(B)는 측면도, 동 도(C)는 배면도, 동 도(D)는 상면도, 동 도(E)는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광커넥터용 소켓에 사용되는 셔터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동 도(A)는 정면도, 동 도(B)는 측면도, 동 도(C)는 배면도, 동 도(D)는 상면도, 동 도(E)는 탄성체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광커넥터용 소켓에 사용되는 광소자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동 도(A)는 정면도, 동 도(B)는 측면도, 동 도(C)는 상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광커넥터용 소켓에 부품의 조립을 단면도를 사용해서 설명한 것으로서, 동도 (A)∼(E)는 셔터부재, 탄성체, 광소자 및 뚜껑체가 하우징본체에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광커넥터용 소켓과 플러그의 결합을 단면도를 사용해서 설명한 것으로서, 동 도(A)∼(C)는 플러그가 소켓에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한 광커넥터용 소켓에 사용되는 하우징본체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동 도(A)는 정면도, 동 도(B)는 단면도, 동 도(C)는 배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한 광커넥터용 소켓에 사용되는 뚜껑체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동 도(A)는 정면도, 동 도(B)는 측면도, 동 도(C)는 배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한 광커넥터용 소켓에 사용되는 한쌍의 셔터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동 도(A)는 정면도, 동 도(B)는 측면도, 동 도(C)는 배면도, 동 도(D)는 상면도.
또, 동 도(A')는 정면도, 동 도(B')는 측면도, 동 도(C')는 배면도, 동 도(E)는 탄성체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한 광커넥터용 소켓의 하우징본체에, 셔터부재, 탄성체, 광소자 및 뚜껑체가 조립되는 상태를 설명한 것으로서, 동 도(A)는 단면도, 동 도(B)는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한 광커넥터용 소켓과 플러그의 결합을 단면도를 사용해서 설명한 것으로서, 동 도(A)∼(C)는 플러그가 소켓에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관한 광커넥터용 소켓에 사용되는 하우징본체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동 도(A)는 정면도, 동 도(B)는 단면도, 동 도(C)는 배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관한 광커넥터용 소켓에 사용되는 뚜껑체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동 도(A)는 정면도, 동 도(B)는 측면도, 동 도(C)는 배면도, 동 도(D)는 상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관한 광커넥터용 소켓에 사용되는 한쌍의 셔터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동 도(A)는 정면도, 동 도(B)는 측면도, 동 도(C)는 배면도, 동 도(D)는 상면도.
또, 동 도(A')는 정면도, 동 도(B')는 측면도, 동 도(C')는 배면도, 동 도(E)는 탄성체의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관한 광커넥터용 소켓의 하우징본체에 셔터부재, 탄성체, 광소자 및 뚜껑체가 조립되는 상태를 설명한 것으로서, 동 도(A)는 정면도, 동 도(B)는 단면도, 동 도(C)는 배면도, 동 도(D)는 도 (A)의 1점쇄선 A-A'로 절단한 단면도.
도 17은, 종래기술에 관한 커넥터용 소켓으로서, 플러그와 소켓의 결합전의 상태를 단면도를 사용해서 설명한 것으로서, 동 도(A)는 플러그의 일부분을 절단한 단면도, 동 도(B)는 소켓의 단면도.
도 18은, 종래기술에 관한 다른 커넥터용 소켓으로서, 플러그와 소켓의 결합전의 상태를 단면도를 사용해서 설명한 것으로서, 동 도(A)는 플러그의 일부분을 절단한 단면도, 동 도(B)는 소켓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A,10B : 하우징본체 20,20A,20B : 공동부
22,22A,22B : 관통부 23,23A,23B : 돌출부
24,24A,24B : 개공부(개방부) 25 : 계단부
50,50Aa,50Ab,50Ba,50Bb : 셔터부재
56a,56Aa,56Ab,56Ba,56Bb : 경사선단부
58,58Aa,58Ab,58Ba,58Bb : 경사면 59A,59B : 돌출편
60,60Aa,60Ab,60Ba,60Bb : 탄성체
70,70A,70B : 광소자 80,80A,80B : 뚜껑체
본 발명은 커넥터용 소켓에 관한 것이며, 특히 거치용의 DVD, TV, STB(세트톱박스 : 위성방송의 어댑터장치), CD, MD, 앰프 등의 디지털신호 입출력장치에 설치되는 광커넥터에 아주 적합한 소켓에 관한 것이다.
이제까지의 커넥터용 소켓, 예를들면, 광커넥터용 소켓은, 플러그 삽입구멍 에 광커넥터의 플러그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때에, 먼지, 티끌 등의 이물질이 들어가 삽입구멍의 안쪽방향에 배치된 광소자의 송/수광면이 오염되므로서, 광전달효율이 저하되어, 소정의 광신호전달이 되지 않게 될 우려가 있었다.
또, 광소자가 발광하고 있는 경우, 광이 밖으로 누설되어 삽입구멍을 들여다보는 등의 경우, 눈이 상하게 되는 등의 일이 있었다.
이 때문에, 이제까지의 광커넥터용 소켓은, 플러그 삽입구멍의 내부구조와 거의 동등한 형상을 갖는 캡을 준비해 두어, 플러그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플러그 삽입구멍에 끼워넣어 폐쇄시키므로서, 먼지, 티끌 등의 이물질의 진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눈의 손상을 방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캡은, 소켓과는 별개체이기 때문에, 사용시에 캡을 벗겨낸 때에 분실하기 쉽고, 분실한채 그대로 두면,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해 버린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플러그 삽입구멍의 전면에 셔터부재를 배치한 광커넥터용 소켓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평 2000-131564호에는 플러그 삽입구멍의 전면에 셔터기구를 설치한 광커넥터용 소켓이 제안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여기에 제안되어 있는 소켓의 개요를 설명한다.
도 17은, 플러그 및 소켓의 단면도이며, 동 도(A)는 플러그의 일부분을 절단한 단면도, 동 도(B)는 소켓의 단면도로서 한쌍의 셔터기구를 갖는 소켓과 플러그가 결합되기 전의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 소켓(200)은, 플러그(100)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한쌍의 셔터부재(210a, 210b)가 각각의 탄성체(240a, 240b)에 의해 플러그 삽입구멍(202)의 입구측으로 가세되고 있기 때문에, 삽입구멍(202)의 입구측이 이 한쌍의 셔터부재(210a, 210b)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플러그(100)가 삽입되어, 탄성체(240a, 240b)에 의한 가세력 이상의 힘으로 삽입되기 시작하면, 플러그선단부(106)로서 각 셔터부재(210a, 210b)의 각 전면벽이 밀리고, 각 셔터부재(210a, 210b)가 축(220a, 220b)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각 셔터부재(210a, 210b)의 선단부는 플러그 삽입구멍(202)의 안쪽방향으로 밀어 넣어진다.
또, 플러그(100)가 삽입되면, 가이드기구로서의 긴구멍형상의 각 투과구멍(230a, 230b)으로 가이드되기 시작하고, 각각 상하의 공간(250a, 250b)으로 각 셔터부재(210a, 210b)가 이동된다.
이 이동궤적은 동 도면의 2점쇄선으로 나타나 있다.
또한, 삽입이 진행되면, 플러그선단부(106)는, 삽입구멍(202) 안쪽의 돌출부(205)에 형성된 구멍(204)내로 삽입되어 유지된다.
플러그선단부(106)는, 구멍(204)내에 삽입되면, 광섬유(107)의 선단이 광소자(300)와 맞닿거나 근접되어 광신호의 송수신이 행해진다.
또, 101은 플러그본체, 103은 걸어맞춤 돌출부, 105는 오목부, 또한 109는 돌기부이며, 결합시에 돌기부(109)는 소켓의 오목부(206)에 끼워삽입되어, 플러그선단부(106)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역으로, 플러그(100)를 삽입구멍(202)으로부터 빼내는 경우에는 역의 동작이 되어, 각 셔터부재(210a, 210b)는 긴구멍형상의 각 투과구멍(230a, 230b)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각 탄성체(240a, 240b)에 의한 가세력에 의해 삽입구멍(202)의 입구측으로 자동복귀한다.
그러나, 이 구조에 의하면, 플러그 삽입구멍(202)은, 플러그의 걸어맞춤볼록부(103)를 삽입하는 공간과, 이 공간에 연달아 형성한 입구측의 가장자리부에 각각 각 셔터부재(210a, 210b)를 각각 독립적으로 격납시키는 공간(250a, 250b)과, 각 셔터부재(210a, 210b)를 상기 입구측과 상기 각 공간 사이에서 가이드하는 가이드기구로서의 긴구멍형상의 각 투과구멍(230a, 230b)을 형성하지 않으면 안되고, 부품수가 많아 소켓하우징의 구조도 복잡하고, 부품의 조립도 용이하지 않았었다.
또, 상기 공보에는 하나의 셔터기구를 갖는 소켓이 제안되어 있다.
도 18은, 플러그 및 소켓의 단면도이며, 동 도(A)는 플러그의 일부분을 절단한 단면도, 동 도(B)는 소켓의 단면도로서, 하나의 셔터기구를 갖는 소켓과 플러그가 결합되기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셔터기구를 갖는 소켓(200A)은, 플러그(100A)를 삽입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셔터(210A)가 탄성체(240A)에 의해 플러그 삽입구멍(202A)의 입구측으로 가세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구멍(202A)의 입구측이 셔터부재(210A)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플러그(100A)가 탄성부재(240A)에 의한 가세력 이상의 힘으로 삽입되기 시작하면, 플러그선단부(106A)에 셔터부재(210A)의 전면벽이 맞닿아서 밀 려, 셔터부재(210A)가 축(220A)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플러그 선단부(106A)가 삽입구멍(202A)의 안쪽방향으로 들어오게 된다.
이 이동궤적은 파선으로 나타나 있다.
또, 밀어넣으면, 플러그걸어맞춤볼록부(103A) 하측의 단부가, 삽입구멍(202A)의 입구측 저면에 슬라이드 접촉하는, 한편, 플러그걸어맞춤볼록부(103A) 상측의 단부(105A)가 셔터부재(210A)의 전면에 맞닿으며, 더욱 플러그(100A)를 삽입하면, 셔터부재(210A)는 삽입구멍(202A)의 공간내에 수평상태로 격납되고, 플러그선단부(106A)는 삽입구멍(202A) 안쪽의 돌출부(205A)에 형성된 구멍(204A)내로 삽입되어 유지된다.
플러그선단부(106A)가 구멍(204A)내에 삽입되어 유지되므로서, 광섬유(107A)의 선단이 광소자(300A)와 맞닿거나 근접되어 광신호의 송수신이 행해진다.
역으로, 플러그(100A)를 삽입구멍(202A)으로부터 빼내는 경우에는, 역의 동작이 되고, 셔터부재(210A)는 탄성체(240A)에 의한 가세력에 의해 삽입구멍(202A)의 입구측으로 자동복귀한다.
이 구조에 의하면, 플러그 삽입구멍(202A)은 플러그(100A)의 걸어맞춤볼록부(103A)를 삽입하는 공간(250A)과 이 공간(250A)에 연달아 형성된 셔터부 (210A)를 수평격납가능한 공간(260A)을 필요로 하고, 또한 삽입구멍(202A)의 안쪽방향의 치수는 셔터부(210A)의 높이방향치수 보다도 약간 크게 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때문에, 도 18(B)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는 부분이 방해가 되어 성 형시에 삭제하지 않으면 안된다.
즉, 도 18(B)에서 볼 수 있는 플러그 삽입구멍(202A)의 안쪽의 공동을 넓게 하기 위해 돌출부(205A), 안쪽벽부분, 또한 내벽부를 삭제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와같은 구조변경에 의해, 돌출부(205A)의 길이가 짧게 되고, 그에 수반하여 구멍(204A)의 안쪽이 작아지기 때문에, 플러그선단부(106A)의 유지가 불안정하게 될 우려가 있다.
한편, 이 소켓을 EIAJ 규격에 적합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이 부분의 규격의 변경이 필요하게 되는 등의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들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이하를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커넥터용 소켓의 신뢰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는 커넥터용 소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먼지, 티끌 등의 이물질의 진입을 방지하는 커넥터용 소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 소켓을 구성하는 부품수를 적게 하고, 간단한 구조로 조립이 용이한 커넥터용 소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소켓을 구성하는 부품수를 적게 하고, 간단한 구조로 조립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부품의 교환, 보수 등을 용이하게 하는 커넥터용 소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 EIAJ 규격을 변경하는 일 없이, 먼지 등의 이물질의 진입을 방지하고, 또한 광의 누설을 없게 하는 커넥터용 소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의 수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관한 커넥터용 소켓은, 플러그가 삽입되는 공동부와, 이 공동부내에 형성된 돌출부와, 이 돌출부의 거의 중심에 위치하고 플러그선단이 삽입되는 관통구멍과, 관통구멍의 내단에 대치한 접속자를 구비한 커넥터용 소켓에 있어서, 관통구멍 내단의 측면벽을 일부절단 개공부(開孔部)를 형성하여, 이 개공부에 셔터부재를 삽입하고, 이 셔터부재는 탄성체의 가세력에 의해 관통구멍이 폐쇄되고 플러그의 삽입에 의해 폐쇄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셔터부재에 의해 플러그가 삽입되기 전에 있어서는, 관통구멍이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소켓내로의 이물질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관한 커넥터용 소켓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소켓에 있어서, 개공부를 관통구멍의 수평방향의 좌우 또는 수직방향의 상하의 어느것인가의 한쪽벽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셔터부재에 의해, 플러그가 삽입되기 전에 있어서는, 관통구멍이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소켓내로의 이물질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관한 커넥터용 소켓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소켓에 있어서, 셔터부재의 선단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이 경사면의 선단부가 개공부의 대면벽에 맞닿아서 관통구멍을 폐쇄하며, 경사면이 플러그 선단에 의해 압압되 는데 수반해서 셔터부재가 탄성체의 가세력에 대항해서 이동하여 폐쇄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셔터부재에 의해, 플러그가 삽입되기 전에 있어서는, 관통구멍이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소켓내로의 이물질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경사면을 형성하므로서 셔터기구의 동작이 원활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관한 커넥터용 소켓은, 청구항 3에 기재된 소켓에 있어서, 셔터부재의 경사선단부가 개공부의 대면벽에 맞닿는 부분에 홈부 혹은 계단부를 형성하여, 경사선단부가 홈부내로 들어가든가, 혹은 계단부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셔터부재에 의해, 플러그가 삽입되기 전에 있어서는, 관통구멍이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소켓내로의 이물질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경사면을 형성하므로서, 셔터기구의 동작이 원활하게 되고, 홈부 혹은 계단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이물질의 진입이 보다 효과적으로 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관한 커넥터용 소켓은, 플러그가 삽입되는 공동부와, 이 공동부내에 형성된 돌출부와, 이 돌출부의 거의 중심에 위치하고, 플러그선단이 삽입되는 관통구멍과, 이 관통구멍의 내단에 대치한 접속자를 구비한 커넥터용 소켓에 있어서, 관통구멍 내단의 대향측면벽을 일부절단한 개방부를 형성하고, 이 개방부로 한쌍의 셔터부재를 삽입하며, 각 셔터부재의 일단은 각각 탄성체에 의해 가세됨과 동시에 타단은 상호 접촉시켜 관통구멍을 폐쇄시키고, 플러그의 삽입에 의해 폐쇄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쌍의 셔터부재에 의해, 플러그가 삽입되기 전에 있어서는, 관통구멍이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소켓내로의 이물질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관한 커넥터용 소켓은, 청구항 5에 기재된 소켓에 있어서, 관통구멍 내단의 수직방향의 대향측면벽을 일부절단한 개방부를 형성하고, 이 개방부로 한쌍의 셔터부재를 삽입하며, 각 셔터부재의 일단은 각각 탄성체에 의해 가세됨과 동시에 타단은 상호 접촉시켜 관통구멍을 폐쇄시키고, 플러그의 삽입에 의해 폐쇄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쌍의 셔터부재에 의해, 플러그가 삽입되기 전에 있어서는, 관통구멍이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소켓내로의 이물질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관한 커넥터용 소켓은, 청구항 5에 기재된 소켓에 있어서, 관통구멍 내단의 수평방향의 대향측면벽을 일부절단한 개방부를 형성하고, 이 개방부에 한쌍의 셔터부재를 삽입하며, 각 셔터부재의 일단은 각각 탄성체에 의해 가세됨과 동시에 타단은 상호 접촉시켜 관통구멍을 폐쇄시키고, 플러그의 삽입에 의해 폐쇄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쌍의 셔터부재에 의해 플러그가 삽입되기 전에 있어서는, 관통구멍이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소켓내로의 이물질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관한 커넥터용 소켓은, 청구항 5 내지 7에 기재된 어느것인가의 소켓에 있어서, 각 셔터부재의 선단부에 단면을 조금 남기고 경사면을 형성하고, 각 셔터부재의 선단면을 맞닿게 해서 관통구멍을 폐쇄시키며, 경사면이 플러그선단으로 압압되는 것에 수반하여 각 셔터부재가 탄성체의 가세력에 대항해 서 이동하므로서 폐쇄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쌍의 셔터부재에 의해, 플러그가 삽입되기 전에 있어서는, 관통구멍이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소켓내로의 이물질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경사면을 형성하므로서 셔터기구의 동작이 원활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9에 관한 커넥터용 소켓은, 청구항 8에 기재된 소켓에 있어서, 각 셔터부재의 단부에 선단면을 조금 남기고 경사면을 형성하며, 이중 한쪽의 경사면의 선단에 탄성을 갖는 돌출편을 설치하여, 각 셔터부재의 단면을 접촉시킨 때에 돌출편이 다른 경사면에 탄성접촉하여 관통구멍을 완전히 폐쇄시키고, 그 경사면이 플러그선단으로 압압되는 것에 수반해서 각 셔터부재가 탄성체의 가세력에 대항해서 이동하여 폐쇄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셔터부재에 의해 플러그가 삽입되기 전에 있어서는, 관통구멍이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소켓내로의 이물질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경사면을 형성하므로서 셔터기구의 동작이 원활하게 되고, 또한 이물질의 진입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0에 관한 커넥터용 소켓은, 청구항 1 내지 9에 기재된 어느것인가의 커넥터용 소켓에 있어서, 플러그가 광커넥터용 플러그이며, 또한 접속자가 광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광커넥터용 플러그와의 결합에 있어서, 플러그와의 결합이 이루어지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 소켓내로의 이물질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하우징본체는 EIAJ 규격을 변경하는 일 없이, 광커넥터용 플러그에 적용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1에 관한 커넥터용 소켓은, 청구항 1 내지 9에 기재된 어느것인가의 커넥터용 소켓에 있어서, 플러그가 전기커넥터용 플러그이며, 또한 접속자가 전기접속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소켓내로의 이물질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2에 관한 커넥터용 소켓의 조립방법은, 청구항 1 내지 11에 기재된 어느것인가의 커넥터용 소켓에 있어서, 커넥터하우징본체의 배면에 간극부를 형성하여, 이 간극부로부터 셔터부재, 소자부재를 삽입하여, 간극부에 하우징을 장착시키므로서, 셔터부재, 소자부재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조립방법에 의하면, 간극부의 형상이 성형하기 쉽고, 또한 이 간극부로부터 소켓을 구성하는 부품을 삽입, 장착시킬수 있기 때문에 조립이 간단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3에 관한 커넥터용 소켓의 조립방법은, 청구항 1 내지 11에 기재된 어느것인가의 커넥터용 소켓에 있어서, 커넥터하우징본체의 배면에 간극부를 형성하고, 뚜껑체의 정면에 소자부재를 장착시키며, 이 간극부로부터 셔터부재를 삽입하여 간극부에 하우징을 장착시키는 것에 의해 셔터부재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조립방법에 의하면, 간극부의 형상이 성형하기 쉽고, 또한 이 간극부로부터 소켓을 구성하는 부품을 삽입, 장착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조립이 간단하게 된다.
또, 뚜껑체에 소자부재를 장착시키고 있기 때문에, 보다 조립이 간단하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광커넥터용 소켓에 대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광커넥터용 소켓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반의 전기적 커넥터로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광커넥터용 소켓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은 광커넥터용 소켓을 구성하는 부품을 분해한 사시도.
도 2는, 하우징본체로서, 동 도(A)는 정면도, 동 도(B)는 측면도, 동 도(C)는 도 1의 1점쇄선 A-A'로부터 절단한 단면도, 동 도(D)는 배면도, 동 도(E)는 상면도, 동 도(F)는 저면도.
도 3은, 뚜껑체로서, 동 도(A)는 정면도, 동 도(B)는 측면도, 동 도(C)는 배면도, 동 도(D)는 상면도, 동 도(E)는 저면도.
도 4는, 셔터부재로서, 동 도(A)는 정면도, 동 도(B)는 측면도, 동 도(C)는 배면도, 동 도(D)는 상면도, 동 도(E)는 탄성체의 측면도.
도 5는, 광소자로서, 동 도(A)는 정면도, 동 도(B)는 측면도, 동 도(C)는 상면도이다.
도 1은 광커넥터용 소켓을 구성하는 부품을 분해한 사시도로서, 각 부품이 측면으로부터 도시되어 있고, 이 소켓은, 하우징본체(10), 셔터부재(50), 이 셔터부재(50)를 가세하는 탄성부재(60), 광소자(70), 뚜껑체(80)로 되어 있다.
이 중, 하우징본체(10)는, 이미 EIAJ 규격에 적합시키고, 동 규격의 플러그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본체(10)는, 동 규격을 변경하지 않고 후술하는 셔터부재를 장착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소켓을 구성하는 개개의 부품 및 그 조립방법을 순차로 상세히 설명한다.
하우징본체(10)는, 상면(11), 저면(12), 정면(13), 배면(14), 및 양 측면(15)을 구비한 거의 직방체형상을 이루고, 전체가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정면(13)에는 후술하는 플러그가 삽입되는 공동부가 형성되고, 상면(11)의 바로 아래에는 부착용 관통구멍(45), 저면(12)에는 기기로의 부착용다리부(40a, 40b, 40c)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본체(10)의 배면에는, 복수의 부품(50, 60, 70, 80)을 순차로 삽입하고, 각 부품을 하우징본체(10)에 조립하기 위한 간극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부(30)는, 부착용관통부(45)의 바로 아래로부터 저면(12)으로 향하여 2분된 측면벽(14a, 14b)으로 형성되고, 그 간극은 셔터부재(50), 광소자(70)를 삽입시킬 수 있는 폭으로 설정되며, 뚜껑체(80)와는 끼워넣기에 의해 걸어맞출수 있는 폭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 이 간극부(30)의 안쪽으로의 깊이, 즉 배면(14)으로부터 정면(13) 방향으로 향해서의 안쪽으로의 깊이는, 거의 하우징본체(10)의 중앙부에 달하는 길이로 하고, 간극부(30)의 수직방향의 길이는, 부착구멍(45)의 바로 아래로부터 저면의 아래쪽으로 뻗고 하단은 개방되어, 간극부(30)의 전체형상은 입구로부터 보면, 거의 터널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간극부(30)는, 배면 및 저면이 개방되어 거의 터널형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금형이 간단히 되어 성형시의 성형이 용이하게 된다.
또, 간극부를 형성하는 각 측면벽(14a, 14b)에는, 후술하는 뚜껑체(80)의 돌기부와 걸어맞추어지는 복수의 오목부(15a, 15b, 15c, 16c)와, 뚜껑체(80)의 가이드돌기와 걸어맞추어지는 홈부(3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셔터부재(50)는(도 4 참조), 거의 직방체의 원주형상을 이루고, 각 벽면(51∼54)의 능각부가 모떼기 되어, 하우징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하방향으로의 슬라이드이동이 원활하게 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면(55)에는 탄성체(60), 예를들면, 코일·스프링이 삽입될 수 있는 저면이 있는 구멍(57)이 형성되어 있다.
저면(56)은, 단면(56)을 일부 남긴 경사단부(56a)로 하고, 이 경사단부(56a)로부터 정면(54)으로 향하여, 소정의 각도를 갖는 경사면(58)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각도는, 플러그선단이 맞닿은 후, 이 경사면이 강하게 압압된 때에 플러그 선단이 이 경사면을 슬라이드 이동하고 셔터부재(50)를 밀어올려, 셔터부재(50)가 원활히 이동하는 각도로 되어 있다.
셔터부재(50)의 저면이 있는 구멍(57), 및 경사면(58)의 형상은, 도 4 (A)∼(D)에 상세히 나타나 있다.
또, 동 도(D)의 모떼기는 생략되어 있다.
광소자(70)는(도 1,5 참조), 발광 혹은 수광소자의 어느 것이라도 되고, 머리부와 단자부로 이루어진다.
머리부(71)는, 거의 블록형상을 이루고, 전면에 수광 혹은 발광부(72)를 구비하고 있다.
또, 단자부는 3개의 단자(73a)∼(73c)를 구비하고, 수광 혹은 발광부(7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광소자(70) 대신에, 공지의 전기적접속자, 즉, 수컷형 접속부재 혹은 암컷형접속부재를 사용해도 된다.
뚜껑체(80)는(도3 참조), 하우징본체(10)의 간극부(30)에 끼워 넣어지고, 이 간극부(30)를 덮는 것으로서, 간극부(30)와 거의 동일한 가늘고 긴 블록형상을 하고 있다.
그 머리부에는, 간극부(30)의 홈부(31)와 걸어맞추는 제1가이드부(81), 머리부(82)의 아래에는, 동일하게 홈부(32a, 32b)와 걸어맞추어지는 한쌍의 제2가이드부(86a, 86b), 또 머리부로부터 동체부(83), 둔부(84)에 걸쳐 팽창되고, 각 측면벽에 간극부(30)의 각 걸어맞춤오목부(15a∼15c, 16a∼16c)와 스냅 걸어맞춤하여 뚜껑체를 고정시키는 돌기부(85a, 85b, 87a, 87b, 88a, 88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도 1, 도 3(A)∼(E) 참조).
이 뚜껑체(80)는, 하우징본체(10)의 간극부(30)를 덮는 것이기 때문에, 간극부(30)의 형상변경에 수반하여 임의로 변경할 수 있으며, 또한 결합수단도 상기 스냅결합 대신에, 슬라이드 끼워맞춤, 혹은 단순히 끼워넣는 수단을 사용해도 된다.
또, 이 뚜껑체(80)의 정면에 전술한 광소자(70)를 끼워넣어 위치결정하는 홈부를 형성하여, 이 홈부에 광소자(70)를 장착시켜도 된다.
도 2(A)∼(F)를 참조해서, 하우징본체(10)의 외관 및 내부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우징본체(10)의 정면에, 후술하는 플러그를 삽입하는 공동부(20)가 구비되고, 이 공동부(20)내의 안쪽방향으로 돌출부(23), 또 이 돌출부(23)의 중심에 관통구멍(2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관통구멍(22)은, 외단에 플러그선단부가 삽입되어 유지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내단에 광소자(70)와 대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간극부(30)에는, 광소자(70)를 위치결정 장착시키는 계단부(34a) 및 뚜껑체(80)의 동체부(83), 둔부(84)를 수용하는 계단부가 간극부(30)의 양 측의 내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관통구멍(22)의 내단과 가까운 위치의 저면에, 계단부(25)가 형성되어 있고, 이 계단부(25)는 셔터부재(50)가 하강한 위치에서 경사면(58)과 맞닿도록 되어 있다.
이 계단부 대신에 경사면의 단부가 삽입되는 큰 홈부(도시생략)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26a, 26b는 플러그의 가이드돌기와 슬라이드식으로 걸어맞추어지고, 플러그를 위치결정하는 가이드홈이다(도 2(A) 참조).
도 2(C)는, 도 1의 1점쇄선 A-A'으로부터 절단한 단면도이며, 동 도면 (C)에 는 2분된 한쪽의 측면벽(14a)이 나타나 있으나, 양 측면벽(14a, 14b)은 좌우 대칭형상으로 다른 측면벽(14b)도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
관통구멍(22)의 계단부(25)가 형성된 저면과는 반대의 상측벽에, 관통구멍(22)의 상측벽 일부를 남기고 타단까지 절단한 개공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단개공부(24)는, 관통구멍(22)과 연통하고 있을뿐만 아니라 간극부(30)와도 연통하고 있다.
그리고, 이 개공부(24)의 크기는 셔터부재(50)를 위로부터 끼워삽입할 수 있고, 또한 이 셔터부재(50)가 하우징본체(10)에 장착되는 때에, 상하방향으로 원활히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절단개공부(24)는 간극부(30)와 연통하고 있기 때문에, 개공부(24)로의 부품의 삽입이 용이하게 된다.
또, 이 개공부(24) 위쪽의 간극부(30)는, 부착용관통구멍(45)의 바로근처까지 확대되어, 간극부의 천정면과의 사이에 탄성체(60)가 신축하고, 탄성체(60)가 신장한 상태에서 셔터부재의 선단부(56a)가 관통구멍(22)의 저면 오목부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도 2(C), 도 6(D) 참조).
또한, 도 2(D)에 있어서의 15a∼15c, 16a∼16c는, 하우징본체(10)에 뚜껑체(80)가 장착된 상태로부터 뚜껑체(80)를 분리하는 때에, 분리용의 공구, 가늘고 긴 공구를 삽입하는 구멍이다.
다음에, 도 6(A)∼(E)를 참조해서, 셔터부재(50), 탄성체(60), 광소자(70), 및 뚜껑체(80)를 하우징본체(10)에 조립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셔터부재(50)의 저면이 있는 구멍(57)에 탄성체(60)의 일단이 삽입되어, 셔터부재(50)가 조립된다.
다음에, 이 셔터부재(50)는 경사부(58)로부터 개공부(24)로 삽입되고, 셔터부재(50) 및 탄성체(60)가 직립배치된다(도 6(B) 참조).
또, 광소자(70)가 간극부(30)에 삽입되고, 최후로 뚜껑체(80)가 간극부(30)에 장착된다.
이 뚜껑체의 장착에 의해, 셔터부재(50), 탄성체(60), 광소자(70)는, 간극부(30)내에 위치결정 고정된다(도 6(D) 참조).
셔터부재(50), 탄성체(60), 광소자(70)의 각 부품이 간극부(30)내에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셔터부재(50)는, 그 선단부(56a)가 관통구멍(22)의 저면 오목부에 맞닿고, 경사면(58)도 계단부(25)에 맞닿게 된다.
한편, 광소자(70)의 발광 혹은 수광면(72)은 셔터부재(50)의 배면(53)에 맞닿거나 근접하게 된다.
따라서, 이 셔터부재(50)에 의해 관통구멍(22)은 폐쇄되므로서, 먼지, 티끌 등의 이물질의 진입은 차단되어, 광소자(70)로 도달하는 일은 없게 된다.
또, 광소자(70)로부터의 광도 이 셔터부재로 차광되어, 밖으로 광이 누설되는 일은 없어진다(도 6(D, E) 참조).
또한, 계단부(25) 대신에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선단부(56a)가 이 홈부에 삽입되고, 같은 모양의 기능을 나타 낼 수 있다.
다음에, 도 7(A)∼(C)를 참조해서, 이 소켓과 플러그와의 결합을 설명한다.
플러그는, 이미 공지의 것으로서, 예를들면, EIAJ 규격에 적합한 것이 사용된다.
플러그(100)가 공동부의 개방구멍에 삽입되면, 플러그선단부(106)는 셔터부재의 경사부(58)에 맞닿게 된다(도 7(A) 참조).
이 상태로부터, 더욱 플러그를 삽입하면, 플러그선단부(106)가 경사부 (58)에 강하게 닿아서, 선단부(106)가 경사면(58)을 슬라이드 이동하여, 셔터부재 (50)가 탄성체(60)의 가세력에 대항해서 위쪽으로 이동이 개시된다(도 7(b) 참조).
더욱 플러그가 삽입되면, 셔터부재(50)는 더욱 위쪽으로 이동하여, 셔터부재(50)의 선단부(56a)가 플러그(100)의 선단(106)상에 탑재되고, 동시에, 광섬유 (107)의 선단부는 광소자(70)의 수광 내지 발광면에 근접 내지 맞닿게 된다(도 7(C) 참조).
역으로, 플러그(100)를 빼내면, 셔터부재(50)는 탄성체(60)의 가세력에 의해 강하하므로서, 광소자(70)의 전면이 폐쇄되어, 본래의 상태가 된다(도 7(A) 참조).
이 실시형태에서는, 개공부를 수직방향의 위쪽의 측면벽에 형성한 소켓을 설명했으나, 이 개공부는 이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관통구멍의 수평방향의 좌우 또는 수직방향의 아래쪽의 어느것인가의 한쪽 측면벽에 형성해도 된다.
이에 의해 셔터부재는 개공부로의 삽입방향, 및 이동방향은 변하지만, 기능은 달라지지 않는다.
도 8∼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한 광커넥터용 소켓으로서, 셔터 기구를 상하로 한쌍 설치한 것이 제1실시형태와 다르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하우징본체의 공통하는 부분의 설명을 생략하고, 셔터기구의 부분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하우징본체로서, 동 도(A)는 정면도, 동 도(B)는 단면도, 동 도(C)는 배면도.
도 9는 뚜껑체로서, 동 도(A)는 정면도, 동 도(B)는 측면도, 동 도(C)는 배면도.
도 10은 한쌍의 셔터부재로서, 동 도(A)는 정면도, 동 도(B)는 측면도, 동 도(C)는 배면도, 동 도(D)는 상면도.
또, 동 도(A')는 정면도, 동 도(B')는 측면도, 동 도(C')는 배면도, 동 도(E)는 탄성체의 측면도이다.
도 8∼도 12를 참조하면, 하우징본체(10A)는, 돌출부(23A)의 밑뿌리부분에 절단간격부(30A)와 연통되는 개방부(24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단에 의해 돌출부(23A)의 밑뿌리부분은 간극부(30A)의 안쪽벽면으로부터 돌출되게 된다.
또, 간극부(30A)에는 하우징본체(10A)의 수직방향으로 큰폭으로 확대된 공간이 형성되고, 그 넓기는 후술하는 한쌍의 셔터부재(50Aa, 50Ab)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크기로 되어 있다.
또한, 셔터부재(50Aa, 50Ab)의 수직방향으로의 배열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셔터부재의 폭과 거의 동등한 홈 내지 계단부를 간극부의 벽면에 형성해도 된다(도 8(A)∼(C) 참조).
뚜껑체(80A)는, 하우징본체(10A)의 간극부(30A)를 덮는 것으로서, 그 형상은, 간극부(30A)에 끼워 삽입장착할 수 있도록 동일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전체형상은 가늘고 긴 직방체형상을 하고 있고, 머리부에 간극부의 홈에 삽입안내되는 안내돌기(81A), 목부에 같은 모양으로 홈과 걸어맞추어지는 한쌍의 돌기(86Aa, 86Ab), 또 동체부로부터 둔부에 걸쳐서 광소자(70A)가 끼워넣어지는 홈부(89)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홈부(89)의 형상은, 광소자(70A)의 머리부가 끼워넣어지는 공간과, 각 단자부가 끼워넣어지는 홈(89Aa)∼(89Ac)으로 이루어진다.
한쌍의 셔터부재(50Aa, 50Ab)는, 거의 직방체의 기둥형상을 이루고, 그 선단은 쐐기형상을 하고 있다.
양 셔터부재는, 한쪽의 셔터부재(50Ab)의 경사면의 연장선상에 돌출편(59A)이 설치되어 있는 것만이 다를뿐이며, 동일형상을 하고 있다.
각 셔터부재(50Aa, 50Ab)의 상면에는, 탄성체(60A), 예를들면 코일·스프링이 삽입될 수 있는 저면이 있는 구멍(57Aa, 57Ab)이 있고, 선단부에는, 저면의 일부(56Aa, 56Ab)를 남기고, 소정의 각도를 갖는 경사면(58Aa, 58A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셔터부재(50Aa, 50Ab)의 저면이 있는 구멍(57Aa, 57Ab) 및 경사면(58Aa, 58Ab)의 형상은, 도 10(A∼D, A'∼C')에 상세히 나타나 있다.
이 경사면은, 저면(56Aa, 56Ab)을 조금 남기고 남겨진 저면벽(56Aa, 56Ab)으 로부터 소정각도로 경사시켜, 쐐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셔터부재(50Ab)의 경사면의 연장선상(저면벽(56Ab)의 방향으로)에 탄성을 갖는 돌출편(59A)이 폭전체에 성형시에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편은, 셔터부재의 어느것인가 한쪽에 설치되면 되며, 경사면(56Aa)에 설치해도 된다.
60Aa, 60Ab는 탄성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하우징본체(10Aa)로의 각 부품(50Aa, 50Ba, 70A)의 조립은 다음과 같이 하여 행해진다.
우선, 한쌍의 셔터부재(50Aa, 50Ab)의 저면이 있는 구멍(57Aa, 57Ab)에 탄성체(60Aa, 60Ab)를 장착시킨다.
이어서, 각 탄성체가 장착된 셔터부재(50Aa, 50Ab)를 경사 선단부(56Aa, 56Ab)의 선단에 맞추어, 각 경사면이 대향하고 관통구멍(22A)으로 향하도록 해서 하우징본체(10A)의 간극부(30A)로부터 안쪽방향으로 삽입한다.
한편, 뚜껑체(80A)의 홈부(89)에 광소자(70A)를 장착시킨다.
이어서, 이 광소자(70A)가 장착된 뚜껑체(80A)를 상기 간극부(30A)에 끼워장착한다(도 11(A, B) 참조).
이 끼워장착하는 것에 의해, 한쌍의 셔터부재(50Aa, 50Ab)는 위치결정된다.
또, 셔터부재(50Ab)의 경사면(58Ab)에 돌출편(59A)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양 셔터부재(50Aa, 50Ab)의 경사부의 단면(56Aa, 56Ab)이 접합된 상태에서, 이 돌출편(59A)이 다른 셔터부재(59Aa)의 경사면(58Aa)에 압축접촉하여 폐쇄가 보다 완 전하게 된다.
플러그(100A)가 공동부의 개방구멍에 삽입되면, 플러그선단부(106A)는 각 셔터부재(50Aa, 50Ab)의 경사부(58Aa, 58Ab)에 맞닿게 된다(도 12(A) 참조).
이 상태로부터, 더욱 플러그(100A)가 삽입되면, 플러그(100A)의 선단부(106A)가 양 경사부(58Aa, 58Ab)에 강하게 맞닿게 되어, 선단부(106A)가 경사면(58Aa, 58Ab)상을 슬라이드 이동하고, 각 셔터부재(50Aa, 50Ab)가 탄성체 (60Aa, 60Ab)의 가세력에 대항해서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이 개시된다(도 12(B) 참조).
더욱 플러그(100A)가 삽입되면, 각 셔터부재(50Aa, 50Ab)는, 더욱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각 셔터부재(50Aa, 50Ab)의 선단부가 플러그(100)의 선단(106A) 상에 탑재되고, 동시에, 선단부(106A)의 광섬유(107A)는 광소자(70A)의 수광 내지 발광면에 근접 내지 맞닿게 된다(도 12(C) 참조).
역으로, 플러그(100A)를 빼내면, 각 셔터부재(50Aa, 50Ab)는 탄성체(60Aa, 60Ab)의 가세력에 의해 이동하므로서, 광소자(70A)의 전면이 폐쇄되어 본래의 상태가 된다(도 12(A) 참조).
이 실시형태에서는, 소켓을 구성하는 하우징본체의 성형이 용이하게 되고, 또한, 셔터부재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셔터기구의 개폐동작이 하나의 셔터부재를 사용한 것에 비해 신속하게 되고, 또한 뚜껑체에 소자를 조립하므로서 하우징본체로의 부품의 조립이 간단해진다.
도 13∼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관한 광커넥터용 소켓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셔터기구를 수평방향으로 한 쌍 설치한 것이 제2실시형태와 다르다.
그러므로, 하우징본체의 공통하는 부분의 설명을 생략하고, 셔터기구의 부분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은 하우징본체로서, 동 도(A)는 정면도, 동 도(B)는 단면도, 동 도(C)는 배면도.
도 14는 뚜껑체로서, 동 도(A)는 정면도, 동 도(B)는 측면도, 동 도(C)는 배면도, 동 도(D)는 상면도.
도 15는 한쌍의 셔터부재로서, 동 도(A)는 정면도, 동 도(B)는 측면도, 동 도(C)는 배면도, 동 도(D)는 상면도.
또, 동 도(A')는 정면도, 동 도(B')는 측면도, 동 도(C')는 배면도, 동 도(E)는 탄성체의 측면도이다.
도 13∼도 16을 참조하면, 하우징본체(10B)는 돌출부(23B)의 밑뿌리부분에 절단간극부(30B)와 연통하게 되는 개방부(24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단에 의해 돌출부(23B)의 밑뿌리부분은 간극부(30B)의 내벽으로부터 돌출하게 된다.
또, 간극부(30B)에는 하우징본체(10B)의 수평방향으로 큰폭으로 확대된 공간이 형성되고, 그 넓이는, 후술하는 한쌍의 셔터부재(50Ba, 50Bb)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크기로 되어 있다.
또한, 셔터부재(50Ba, 50Bb)의 수평방향으로의 배열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셔터부재의 폭과 거의 동등한 홈 내지 계단부를 간극부의 벽면에 설치해도 된다(도 13(A)∼(C) 참조).
뚜껑체(80B)는, 하우징본체(10B)의 간극부(30B)를 덮는 것으로서, 그 형상은, 간극부(30B)에 끼워삽입하여 장착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전체형상은 직방체형상을 하고 있고, 어깨부의 양 측면에 간극부의 홈에 삽입안내하는 한쌍의 안내돌기(86Ba, 86Bb)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정면에는, 광소자(70B)가 끼워넣어지는 홈부(89B)가 형성되고, 이 홈부(89B)의 형상은, 광소자(70B)의 머리부를 끼워넣고, 또한 각 단자부(도 5 참조)가 끼워넣어지는 홈(89Ba)∼(89Bc)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쌍의 셔터부재(50Ba, 50Bb)는, 거의 직방체의 원주상을 하고, 그 선단은 쐐기형을 이루고 있다.
양 셔터부재는, 한쪽의 셔터부재(50Bb)의 경사면의 연장선상에 돌출편(59B)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다를뿐이며 동일한 형상을 하고 있다.
각 셔터부재(50Ba, 50Bb)의 상면에는, 탄성체(60Ba, 60Bb), 예를들면, 코일·스프링이 삽입될 수 있는 저면이 있는 구멍(57Ba, 57Bb), 저면에는, 저면의 일부(56Ba, 56Bb)를 남기고, 소정의 각도를 갖는 경사면(58Ba, 58B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쪽의 셔터부재(50Bb)의 경사면의 연장선상에 탄성을 갖는 돌출편(59B)이 폭 전체에 형성되어 있다.
셔터부재(50Ba, 50Bb)의 저면이 있는 구멍(57Ba, 57Bb) 및 경사면(58Ba, 58Bb), 및 돌출편(59B)의 형상은, 도 15(A∼D, A'∼C')에 상세히 나타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하우징본체(10B)로의 각 부품(50Ba, 50Bb, 60Ba, 60Bb, 70B)의 조립은, 다음과 같이 해서 행해진다.
우선, 한쌍의 셔터부재(50Ba, 50Bb)의 저면이 있는 구멍(57Ba, 57Bb)에 탄성체(60Ba, 60Bb)를 장착시킨다.
이어서, 각 탄성체가 장착된 셔터부재(50Ba, 50Bb)를 경사부(56Ba, 56Bb)의 선단을 맞추어, 각 경사면이 대향하고 관통구멍(22B)으로 향하도록 해서, 하우징본체(10B)의 간극부(30B)로부터 안쪽방향으로 삽입한다(도 13(B) 참조).
한편, 뚜껑체(80B)의 홈부(89B)에 광소자(70B)를 장착시킨다.
이어서, 이 광소자(70B)가 장착된 뚜껑체(80B)를 상기 간극부(30B)에 끼워장착한다(도 16(A, B) 참조).
이 끼워맞춤에 의해, 한쌍의 셔터부재(50Ba, 50Bb)는 위치결정된다.
또, 셔터부재(50Bb)의 경사면(58Bb)에 돌출편(59B)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양 셔터부재(50Ba, 50Bb)의 경사부의 단면(56Ba, 56Bb)가 접합된 상태에서, 이 돌출편(59B)이 다른 셔터부재(50Ba)의 경사면(58Bb)에 압축접촉되어, 폐쇄가 보다 완전하게 된다(도 16(D) 참조).
이 소켓(10B)의 플러그와의 결합, 이탈은, 상기 소켓(10A)과 플러그(100A)의 결합, 이탈과 동일하고, 각 셔터부재(50Ba, 50Bb)의 이동방향이 다를 뿐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소켓을 구성하는 하우징본체의 성형이 용이하게 되고, 또한 셔터부재가 2분으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셔터기구의 개폐동작이 하나의 셔터부재를 사용한 것에 비해 신속하게 하게 되고, 또한, 뚜껑체에 소자를 조립하므 로서 하우징본체로의 부품의 조립이 간단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켓을 구성하는 부품수를 적게 하고, 간단한 구조로 조립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부품의 교환, 보수 등을 용이하게 한 커넥터용 소켓이 제공된다.
또한, EIAJ규격을 변경하는 일 없이, 먼지 등의 이물질의 진입을 방지하고, 또한 광의 누설을 없게 한 커넥터용 소켓이 제공된다.

Claims (13)

  1. 플러그가 삽입되는 공동부와, 상기 공동부내에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중심에 위치하고 플러그선단이 삽입되는 관통구멍과, 상기 관통구멍의 내단에 대치한 접속자를 구비한 커넥터용 소켓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 내단의 측면벽을 일부절단한 개공부를 형성하여, 상기 개공부에 셔터부재를 삽입하며, 상기 셔터부재는, 탄성체의 가세력에 의해 상기 관통구멍이 폐쇄되고, 플러그의 삽입에 의해 그 폐쇄가 개방되며, 상기 접속자는 광소자이고, 상기 광소자의 발광 혹은 수광면은 셔터부재의 측벽에 맞닿음 내지 접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소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공부를 상기 관통구멍의 수평방향의 좌우 또는 수직방향의 상하의 어느것인가의 일측벽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소켓.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재의 선단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의 선단부가 상기 개공부의 대면벽에 맞닿아서 상기 관통구멍을 폐쇄하며, 상기 경사면이 플러그선단에 의해 압압되는데 수반하여 셔터부재가 탄성체의 가세력에 대항해서 이동하므로서 상기 폐쇄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소켓.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재의 경사선단부가 상기 개공부의 대면벽에 맞닿는 부분에 홈부 혹은 계단부를 형성하여, 상기 경사선단부가 상기 홈부내로 들어가던가 혹은 계단부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소켓.
  5. 플러그가 삽입되는 공동부와, 상기 공동부내에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중심에 위치하고 플러그선단이 삽입되는 관통구멍과, 상기 관통구멍의 내단에 대치한 접속자를 구비한 커넥터용 소켓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 내단의 대향측면벽을 일부절단한 개방부를 형성하여, 상기 개방부에 한쌍의 셔터부재를 삽입하며, 상기 각 셔터부재의 일단은 각각 탄성체에 의해 가세되고, 타단은 상호 접촉시켜 상기 관통구멍을 폐쇄시키며, 플러그의 삽입에 의해 그 폐쇄가 개방되고, 상기 접속자는 광소자이며, 상기 광소자의 발광 혹은 수광면은 셔터부재의 측벽에 맞닿음 내지 접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소켓.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 내단의 수직방향의 대향측면벽을 일부절단한 개방부를 형성하여, 이 개방부에 한쌍의 셔터부재를 삽입하며, 상기 각 셔터부재의 일단은 각각 탄성체에 의해 가세되고, 타단은 상호 접촉시켜 상기 관통구멍을 폐쇄시키며, 플러그의 삽입에 의해 그 폐쇄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소켓.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 내단의 수평방향의 대향측면벽을 일부절단한 개방부를 형성하여, 이 개방부에 한쌍의 셔터부재를 삽입하며, 상기 각 셔터부재의 일단은 각각 탄성체에 의해 가세되고, 타단은 상호 접촉시켜 상기 관통구멍을 폐쇄시키며, 플러그의 삽입에 의해 그 폐쇄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소켓.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셔터부재의 선단부에 단면을 남기고 경사면을 형성하며, 각 셔터부재의 선단면을 맞닿게 해서 상기 관통구멍을 폐쇄시키고, 상기 경사면이 플러그 선단으로 압압되는 것에 수반하여 각 셔터부재가 탄성체의 가세력에 대항해서 이동하므로서 그 폐쇄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소켓.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 셔터부재의 선단부에 단면을 남기고 경사면을 형성하고, 이중 한쪽 경사면의 선단에 탄성을 갖는 돌출편을 설치하여, 각 셔터부재의 선단면을 접촉시킨 때에, 상기 돌출편이 다른 경사면에 탄성접촉하여 상기 관통구멍을 완전히 폐쇄시키고, 상기 경사면이 플러그선단으로 압압되는 것에 수반하여 각 셔터부재가 탄성체의 가세력에 대항해서 이동하므로서, 상기 폐쇄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소켓.
  10.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플러그가 광커넥터용 플러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소켓.
  11. 삭제
  12. 커넥터하우징본체의 배면에 간극부를 형성하여, 상기 간극부로부터 셔터부재 및 소자부재를 삽입하고, 상기 간극부에 뚜껑체를 장착시킴으로써, 셔터부재 및 소자부재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의 조립방법.
  13. 커넥터하우징본체의 배면에 간극부를 형성하고, 뚜껑체의 정면에 소자부재를 장착시키며, 상기 간극부로부터 셔터부재를 삽입하고 상기 간극부에 뚜껑체를 장착시키는 것에 의해, 셔터부재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의 조립방법.
KR1020020009278A 2001-03-01 2002-02-21 커넥터용 소켓 및 그 조립방법 KR1008715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57483 2001-03-01
JP2001057483A JP2002260774A (ja) 2001-03-01 2001-03-01 コネクタ用ソケット及びその組立て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0803A KR20020070803A (ko) 2002-09-11
KR100871530B1 true KR100871530B1 (ko) 2008-12-05

Family

ID=18917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9278A KR100871530B1 (ko) 2001-03-01 2002-02-21 커넥터용 소켓 및 그 조립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793402B2 (ko)
EP (1) EP1237231B1 (ko)
JP (1) JP2002260774A (ko)
KR (1) KR100871530B1 (ko)
CN (1) CN1229663C (ko)
DE (1) DE60216993T2 (ko)
TW (1) TW5563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61470B2 (en) 2003-01-10 2007-08-28 J.S.T. Mfg. Co., Ltd. Optical receptacle adapted for connection to an optical plug
JP4074835B2 (ja) * 2003-05-29 2008-04-16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光リセプタクル
JP2005077989A (ja) * 2003-09-03 2005-03-24 Jst Mfg Co Ltd コネクタ装置
WO2005106552A1 (ja) * 2004-04-28 2005-11-10 Honda Tsushin Kogyo Co., Ltd 光コネクタの接続構造並びにそのような接続構造を備えた光コネクタプラグ及び光デバイス
KR100812775B1 (ko) 2006-08-18 2008-03-12 (주)대영오앤이 Ccfl을 pcb 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소켓의 하우징
CN101212548B (zh) 2006-12-31 2010-05-19 北京爱国者妙笔数码科技有限责任公司 利用点读操控装置操控电视机顶盒的系统
CN101854007B (zh) * 2009-04-02 2012-08-2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TWI420759B (zh) * 2009-04-03 2013-12-21 Hon Hai Prec Ind Co Ltd 電連接器
CN101872041B (zh) * 2009-04-27 2012-08-2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光电连接器
US8579518B2 (en) * 2010-03-19 2013-11-12 Corning Incorporated Optical receptacles and systems and devices including optical receptacles
US8727636B2 (en) * 2010-03-19 2014-05-20 Corning Incorporated Fiber optic interface device with positionable cleaning cover
JP5080624B2 (ja) * 2010-08-31 2012-11-2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光電複合コネクタ及びそのレセプタクル
JP2013125219A (ja) * 2011-12-15 2013-06-24 Kel Corp 光コネクタ装置
JP5541637B2 (ja) * 2012-03-21 2014-07-09 サミー株式会社 光ファイバコネクタ
TWI600228B (zh) * 2017-01-10 2017-09-21 Pei-Lin Huang Socket structure
CN115425451A (zh) * 2021-05-13 2022-12-02 深南电路股份有限公司 一种遮挡组件及其线缆适配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1564A (ja) * 1998-04-20 2000-05-12 Hosiden Corp 光コネクタのソケット
KR200192441Y1 (ko) * 1997-03-15 2000-09-01 한영희 콘센트 안전장치
KR20010084128A (ko) * 2000-02-24 2001-09-06 이장우 콘센트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15569C3 (de) * 1973-03-28 1980-01-24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Verschluß für ein Kontaktfedern enthaltendes Gehäuse
JPS5033292U (ko) * 1973-07-21 1975-04-10
US4379607A (en) * 1980-10-06 1983-04-12 Slater Electric Inc. Shuttered receptacle
US4544219A (en) * 1984-06-01 1985-10-01 Harvey Hubbell Incorporated Shuttered electrical receptacle
IT1230054B (it) * 1989-07-05 1991-09-27 Bassani Spa Dispositivo di sicurezza per la protezione degli alveoli di una presa di corrente elettrica.
JPH09178976A (ja) * 1995-12-22 1997-07-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コネクタ
JP3263629B2 (ja) * 1997-06-19 2002-03-04 三洋電機株式会社 電子機器コネクタ
US5967815A (en) * 1998-03-19 1999-10-19 Marc A. Schlessinger Variable orientation switching type electrical receptacle
DE19919591C2 (de) * 1999-04-29 2001-12-20 Tyco Electronics Logistics Ag Steckverbindung für Lichtwellenleiter
US6217353B1 (en) * 1999-12-01 2001-04-17 Aurise Inc. Structure of a safety recepta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441Y1 (ko) * 1997-03-15 2000-09-01 한영희 콘센트 안전장치
JP2000131564A (ja) * 1998-04-20 2000-05-12 Hosiden Corp 光コネクタのソケット
KR20010084128A (ko) * 2000-02-24 2001-09-06 이장우 콘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37231B1 (en) 2006-12-27
DE60216993T2 (de) 2007-05-10
US6793402B2 (en) 2004-09-21
KR20020070803A (ko) 2002-09-11
JP2002260774A (ja) 2002-09-13
US20020122633A1 (en) 2002-09-05
DE60216993D1 (de) 2007-02-08
CN1374541A (zh) 2002-10-16
EP1237231A1 (en) 2002-09-04
CN1229663C (zh) 2005-11-30
TW556370B (en) 2003-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1530B1 (ko) 커넥터용 소켓 및 그 조립방법
US5941737A (en) Double retaining connector
US5605472A (en) Connector fitting detection mechanism
US6692274B2 (en) Connector provided with a moving plate
JP5085694B2 (ja) 光コネクタ
US20080020639A1 (en)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it
JP2002170622A (ja) コネクタ
US6375504B1 (en) Connector and a cap therefor
US20020142655A1 (en) Connector
EP1100156A1 (en) A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EP1001289B1 (en) Fail-safe optical connector
KR20080084732A (ko) 전기 커넥터
EP1085617B1 (en) A connector
US6416344B2 (en) Connector and a method for detaching housings thereof
JP3760433B2 (ja) レセプタクル
JPH09245869A (ja) 端子係止具付きコネクタ
US7261470B2 (en) Optical receptacle adapted for connection to an optical plug
JP3433689B2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3687537B2 (ja) 分割コネクタ
JP2000241671A (ja) 誤嵌合防止キーを備えたプラグイン光コネクタ
US20030211785A1 (en) Split-type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it
JPH10289747A (ja) 雌型コネクタ
EP0865112B1 (en) Low insertion force connector assembly
JP7484769B2 (ja) コネクタ
JP2000241670A (ja) 誤挿入防止突起を備えた光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