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9610B1 -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문 장금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문 장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9610B1
KR100869610B1 KR1020077002860A KR20077002860A KR100869610B1 KR 100869610 B1 KR100869610 B1 KR 100869610B1 KR 1020077002860 A KR1020077002860 A KR 1020077002860A KR 20077002860 A KR20077002860 A KR 20077002860A KR 100869610 B1 KR100869610 B1 KR 100869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door
locking
cam
guide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2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5300A (ko
Inventor
와젠스벨드 리드위지 씨. 반
겐스케 이마조우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77002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9610B1/ko
Publication of KR20070065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5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9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9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B66B13/18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without manually-operable devices for completing locking or unlocking of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장 구역 이외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정전하더라도, 잠금 부재가 잠금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의 경사 및 설치를 고려한, 문 구동 장치에 의존하지 않는 엘리베이터 칸의 문 잠금 장치를 얻는다.
본 발명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장 구역에 있는 경우에 브래킷과 함께 이동하여, 가이드 면에 걸어 맞춤하여 래치를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에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캠과,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중에 캠을 가이드 면과 걸어 맞춤하지 않는 퇴피 위치에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캠은 캠의 소정량의 이동중에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소정량을 넘는 이동에서는 구동력을 유지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승강장 구역, 엘리베이터 칸, 잠금 장치, 캠, 래치, 액추에이터, 가이드 면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문 장금 장치{ELEVATOR CAR DOOR LOCKING APPARATUS}
통상의 작동에서는, 엘리베이터의 문은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상에 배치된 문 구동 장치에 의해 자동적으로 열린다. 예를 들면, 정전으로 인하여 층간에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하는 경우, 승객이 엘리베이터 칸의 문을 수동으로 강제로 연다. 따라서, 이러한 수동에 의한 개방을 방지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칸의 문 장금 장치(car door locking apparatus)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문 구동 장치에 의존하지 않으며, 또한 편심 엘리베이터 칸 하중(eccentric car loading)으로 인한 몇 가지의 가능한 엘리베이터 칸 경사를 고려하여서, 문을 승강장 구역(landing zone)이외에서 잠그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문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문 구동 장치 또는 문 결합 기구(door coupling mechanism )의 움직임에 의해 동작하는 많은 엘리베이터 칸의 문 장금 장치가 있다. 이들 엘리베이터 칸의 문 잠금 장치에는, 변경을 가하지 않으면 기존의 문 구동 장치 또는 문 결합 기구에 적용할 수 없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또한, 1개의 기구에 복수의 기능을 조합하고 있기 때문에 설치 허용 오차(installation tolerance)가 보다 심해진다.
예를 들면, 영국 특허 제 22O6331 호 명세서에는, 문 구동 장치 또는 문 결합 기구에 의존하지 않는 엘리베이터 칸의 문 장금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 종래의 제 1 엘리베이터 칸 문 장금 장치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 기구(8, 1O), 전동식 액추에이터(13) 및 승강로(hoistway) 내의 정지 가이드면(12)으로 이루어지며, 이들이 조합되어 3의 가능한 잠금 부재 위치를 만들어낸다.
그리고, 액추에이터(13)가 레버(9)를 끌어올리면, 잠금 부재(5)가 회동점(pivot point) A 주위에 시계 방향으로 래치가 핀(4)에 끼워 맞춤하는 제 1 잠금 위치까지 회동한다. 이에 의해, 문(1, 2)의 개방 동작이 저지된다. 또한, 액추에이터(13)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 상기 레버(9)는 중력으로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잠금 부재(5)는 회동점 A 주위에 반시계 방향으로 래치(6)가 핀(3)에 끼워 맞춤하는 제 2 잠금 위치까지 회전한다. 이에 의해, 문(1, 2)의 개방 동작이 저지된다. 또한, 가이드 면(12)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롤러(11)는 이 가이드 면(12)에 접촉하여, 레버(8 및 10)의 링크 연결 레버 기구에 의해 잠금 부재(5)가 래치(6, 7)이 핀(3, 4)과 거리(1) 떨어지는 잠금 해제 위치에 유지된다. 이에 의해, 문(1, 2)의 개방 동작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 4934488 호 명세서에도 동일한 엘리베이터 칸의 문 잠금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 종래의 제 2 엘리베이터 칸의 문 잠금 장치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 기구(17), 전동식 액추에이터(18) 및, 승강로 내의 정지 가이드 면(19)으 로 이루어지며, 이것들이 조합되어 3개의 가능한 문 잠금 위치를 만들어낸다.
롤러(17a)를 구비하고 링크 연결된 레버(17b)를 갖는 잠금 부재(16)는, 전동 액추에이터(18)에 의해 가이드 면(19)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상부 돌기(16c)가 규제 부재(restriction element)(15)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 1 잠금 위치(C)까지 회전한다. 액추에이터(18)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잠금 부재(16)는 하부 돌기(16d)가 규제 부재(15)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 2 잠금 위치(B)까지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롤러(17a)가 가이드 면(19)에 접촉하면, 잠금 부재(16)는 제 2 잠금 위치(B)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A)에 회전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시의 제어는,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 개시로부터 소정의 지시된 층의 직전까지 액추에이터(18)를 여자 상태(energized)로 하고, 지시된 층의 직전에서 액추에이터(18)를 비여자 상태로 한다.
상기 종래의 제 1 엘리베이터 칸의 문 잠금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장 구역 이외에 위치하는 상태로 정전한 경우, 잠금 부재(5)는 제 1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를 경유하여 제 2 잠금 위치에 회전한다. 그 때문에, 정전중에 문(1, 2)이 층간에서 열리는 경우, 잠금 부재(5)가 제 2 잠금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잠금 해제되는 짧은 시간이 항상 존재한다.
상기 종래의 제 2 엘리베이터 칸의 문 잠금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장 구역 이외에 위치하는 상태로 정전한 경우, 잠금 부재(16)는 제 1 잠금 위치(C)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A)를 경유하여 제 2 잠금 위치(B)로 회전한다. 그 때문에, 정전중에 문이 층간에서 열리는 경우, 잠금 부재(16)가 제 2 잠금 위치(B)에 도달하기 전에 잠금 해제되는 짧은 시간이 항상 존재한다.
편심 엘리베이터 칸 하중 및 항상 존재하는 틈새, 또는 엘리베이터 칸의 안내의 유연성(flexibility)으로 인하여 엘리베이터 칸의 경사가 발생한다. 승강로 내의 가이드 면에 접촉할 수 있는 롤러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의 기구를 사용한 엘리베이터 칸의 문 잠금 장치의 경우에, 가이드 면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엘리베이터 칸의 경사는 롤러의 이동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가이드 면 설치 허용 오차는 가능한 롤러 이동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상기의 종래의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잠금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의 경사 및 설치 허용 오차의 결과로서 잠금 부재에 다른 회전이 생긴다. 그 때문에, 잠금 부재의 회전이 변동할 가능성이 있으며, 그것은 층 및 실제의 엘리베이터 칸 하중에 관계된다. 이것은 가능한 잠금 고장 레벨을 높인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잠금 부재가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의 2개 상태를 취하도록 구성하여,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장 구역 이외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정전하더라도, 잠금 부재가 잠금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의 경사 및 설치를 고려한, 문 구동 장치에 의존하지 않는 엘리베이터 칸의 문 잠금 장치를 얻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장 구역에 없을 때에 이 엘리베이터 칸의 미닫이를 잠그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문 잠금 장치에 있어서, 각 승강장 위치에서 승강로 내에 장착된 가이드 면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장착된 잠금 기구부를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잠금 기구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고정 상태로 장착된 지지체와; 상기 문의 이동 경로 내에 위치하여 이 문의 개방 동작을 규제하는 잠금 위치와, 이 문의 이동 경로 이외에 위치하여 이 문의 개방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잠금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상기 지지체에 장착된 잠금 부재와; 상기 지지체에 상기 가이드 면에 대해 접리(接籬)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중은, 상기 가이드 면으로부터 이반(離反)하는 퇴피 위치(retracted position)에 있고, 상기 잠금 부재를 잠금 위치에 유지시키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착상시는, 상기 가이드 면과 걸어 맞춤하는 작동 위치에 있고, 상기 가이드 면으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잠금 부재를 상기 잠금 위치로부터 상기 잠금 해제 위치에 이동시키는 작동부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작동 위치에 있으며, 상기 가이드 면으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소정량 이동했을 때에, 상기 잠금 부재의 상기 잠금 해제 위치로의 이동이 완료하고, 이 소정량을 넘어 이동했을 때에는, 상기 잠금 부재의 상기 잠금 해제 위치가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잠금 부재가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중에 잠금 위치를 취하며, 착상시에 잠금 해제 위치를 취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중에 정전이 되더라도 잠금 위치가 유지된다. 또, 작동부가 소정량을 넘어 이동했을 때에는, 잠금 부재의 잠금 해제 위치가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소정량을 엘리베이터 칸의 경사 및 설치 허용 오차가 최악인 경우에 있어서의 작동부의 이동량으로 설정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의 경사 및 설치 허용 오차가 잠금 부재의 잠금 해제 위치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문 잠금 장치를 승강장측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문 잠금 장치를 엘리베이터 칸측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문 잠금 장치에 있어서의 승강장 구역 내에서 잠금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문 잠금 장치에 있어서의 승강장 구역 내에서 액추에이터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계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문 잠금 장치에 있어서의 승강장 구역 내에서 액추에이터의 비작동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문 잠금 장치에 있어서의 승강장 구역 내에서 캠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문 잠금 장치에 있어서의 승강장 구역 이외에서 액추에이터의 비작동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문 잠금 장치에 있어서의 승강장 구역 내에서의 잠금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문 잠금 장치에 있어서의 승강장 구역 내에서의 잠금 해제 상태를 브래킷측에서 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문 잠금 장치에 있어서의 승강장 구역 내에서의 잠금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문 잠금 장치에 있어서의 승강장 구역 내에서의 잠금 해제 상태를 지지판측에서 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문 잠금 장치에 있어서의 승강장 구역 내에서의 잠금 상태를 설명하는 캠 주위의 확대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문 잠금 장치에 있어서의 승강장 구역 내에서의 잠금 해제 상태를 설명하는 캠 주위의 확대 측면도.
도 14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문 잠금 장치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15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문 잠금 장치의 다른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일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문 잠금 장치의 일실시예를 2개의 다른 시점에서 나타내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의 문 잠금 장치(22)는 엘리베이터 칸에 장착된 잠금 기구부(locking mechanism portion)(23)와, 각 승강장 위치에서 승강로 내에 장착된 가이드 면(24)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잠금 기구부(23)가 엘리베이터 칸의 문턱(car sill)(20)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 위치에만 제한되는 일은 없다. 또, 가이드 면(24)이 각 승강장에서 승강로 내에 정지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잠금 기구부(23)가 가이드 면(24)과 마주보는 위치에 있으며, 또한 잠금 기구부(23)의 전자 작동식 액추에이터(38)가 작동하지 않는, 즉 급전되지 않는 경우를 제외하고, 엘리베이터 칸의 문 잠금 장치(22)는 미닫이(sliding door)(21)가 열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어서, 잠금 기구부(23)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지지체(27)는 길이가 긴 지지암(27A)과, 지지암(27A)의 타단측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판(27B)을 구비하고 있다. 이 지지암(27A)은 상단을 엘리베이터 칸의 문턱(20)의 위쪽으로 연장시키고, 또한 하단측을 엘리베이터 칸의 문턱(2O)의 아래쪽에 매달고, 엘리베이터 칸 틀(car frame)(도시생략)에 정지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판(27B)이 면 방향을 수직으로 하여 지지암(27A)의 일측에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잠금 부재로서의 래치(25)가, 지지암(27A)의 상단에 힌지 점(26)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된 수평 위치(잠금 위치)에서는, 래치(25)는 문(21)의 이동 경로 내에 위치하여 문(21)을 열 수 없다. 또, 최대 회 전 위치(잠금 해제 위치)에서는, 래치(25)는 문(21)의 이동 경로 이외에 위치하여 문(21)을 열 수 있다. 또한, 래치(25)의 질량 중심이 항상 엘리베이터 칸의 문(21)과 힌지 점(26)과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구멍 방향을 수직으로 하는 홈 구멍(30)은 지지판(27B)에 지지암(27A)이 근접하여 구멍이 내어져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축 부재(29)가 홈 구멍(30)에 안내되어 수직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와이어 또는 로드(28)가, 일단을 힌지 점(26)으로부터 편심 상태로 래치(25)에 접속되어 타단을 축 부재(29)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축 부재(29)가 홈 구멍(30)에 안내되어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와이어 또는 로드(28)가 아래쪽으로 끌어당겨진다. 이에 의해, 래치(25)가 도 3에 도시된 힌지 점(26)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문(21)의 이동 경로 이외에 이동하여, 문(21)의 잠금이 해제된다. 또한, 본예 이외에 홈 구멍(3O) 내의 축 부재(29)를 대신하는 다른 수직 가이드도 적용할 수 있다.
브래킷(37)이 지지체(27)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가이드 레일(36)이 길이 방향을 수평으로 하여 지지판(27B)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3개의 롤러(35)가 수평축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브래킷(37)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2개의 롤러(35)가 위쪽으로부터 가이드 레일(36)에 걸쳐지고, 남은 1개의 롤러(35)가 아래쪽으로부터 가이드 레일(36)에 대어져 브래킷(37)이 지지판(27B)에 장착된다. 이에 의해, 브래킷(37)은 가이드 면(24)에 대해 접리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수평 가이드가 지지판(27B)에 장착 된 가이드 레일(36)과, 브래킷(37)에 장착된 3개의 롤러(35)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나, 대신에 다른 가이드 시스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캠(32)이 브래킷(37)에 장착되어 그것과 함께 이동한다. 캠(32)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면(24)의 방향으로 낮아지는 경사 부분(32a)을 가지며, 축 부재(29)가 경사 부분(32a)에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캠(32)이 브래킷(37)의 이동과 함께 가이드 면(24)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면, 그 결과로서 축 부재(29)가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축 부재(29)의 이러한 하부 이동의 결과, 와이어 또는 로드(28)에 인장력이 가해진다.
다음으로, 브래킷(37)의 구동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전자 작동식 액추에이터(38)가 브래킷(37)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레버(33)가 액추에이터(38)의 구동축(38a)에 고착되어 있다. 또한, 롤러(31)가 레버(33)의 자유단에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이 액추에이터(38)는, 작동시에 레버(33)를 수평 위치로부터 일정 각도에 걸쳐 회전시킬 수 있다. 레버(33)가 회전한 결과, 롤러(31)와 가이드 면(24)과의 사이에 일정한 갭이 생긴다. 이 갭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중은 롤러(31)와 가이드 면(24)은 전혀 접촉하지 않는다. 상기 액추에이터(38)가 작동하지 않는, 즉 급전되지 않는 경우, 리턴 스프링(도시생략)은 레버(33)를 확실하게 수평 위치에 되돌려서 유지한다. 그 경우, 가이드 면(24)이 존재하면, 그 가이드 면(24)과 롤러(31)의 위치에 얼마인가의 중복(overlap)이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장 구역 내에 없는 경우, 롤러(31)를 링크 연결한 레버(33)는 수평 위치까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브래킷(37)은 표준 설정 위치(default position)에 머문다. 그러나,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장 구역 내에 있는 경우, 롤러(31)는 레버(33)가 수평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가이드 면(24)에 접촉한다. 따라서, 레버(33)가 수평 위치까지 회전을 계속할 수 있는 것은, 브래킷(37)이 가이드 면(24)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할 때뿐이다.
스프링(39)이 브래킷(37)을 가이드 면(24)의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브래킷(37)과 지지판(27B)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그에 의해, 액추에이터(38)가 레버(33)를 롤러(31)와 함께 가이드 면(24)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회전시킨 후, 브래킷(37)이 표준 설정 위치에 확실히 되돌아오도록 할 수 있다.
고무 스토퍼(34)는 브래킷(37)의 표준 설정 위치를 결정하는 것으로 브래킷(37)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브래킷(37)이 스프링(39)의 가압력에 의해 가이드 면(24)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할 때, 스토퍼(34)는 지지판(27B)에 접촉하여 브래킷(37)의 이동이 저지된다. 이에 의해, 브래킷(37)이 표준 설정 위치를 유지된다.
여기서, 로프 또는 로드(28), 축 부재(29), 롤러(31), 캠(32), 브래킷(37), 액추에이터(38) 등에 의해 잠금 기구부(23)의 작동부가 구성되어 있다.
계속해서, 액추에이터(38)의 작용에 대해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는 액추에이터(38)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액추에이터(38)가 작동하면, 레버(33)는 링크 연결된 롤러(31)와 함께 가이드 면(24)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회전된다. 이 레버(33)의 회전의 결과, 롤러(31)가 가이드 면(24)에 대해 갭을 갖는 퇴피 위치에 위치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중에 승강장을 통과할 때에 롤러(31)가 가이드 면(24)과 접촉함으로써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방지한다.
도 5는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장 구역 내에 있어 액추에이터(38)가 작동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레버(33)는 중력 및 리턴 스프링력에 의해 수평 위치까지 회전하도록 한다. 그러나, 가이드 면(24)이 존재하기 때문에, 레버(33)가 수평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롤러(31)가 가이드 면(24)에 접촉해 버린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33)가 수평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 회전하면, 가이드 면(24)으로부터 롤러(31)에 대해 반력(反力)이 발생한다. 이 반력이 브래킷(37)에 전달되고, 이 브래킷(37)을 가이드 면(24)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킨다. 브래킷(37)을 가이드 면(24)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키는 힘이, 레버(33)를 수평 위치까지 회전시키기 위한 힘보다 작은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브래킷(37)에 링크 연결된 캠(32)은, 롤러(31)가 가이드 면(24)과 걸어 맞춤하는 작동 위치에 위치하고, 브래킷(37)과 함께 가이드 면(24)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한다. 문(21)의 잠금이 해제된다.
도 7은,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장 구역 내에 없을 때에 액추에이터(38)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롤러(31)가 가이드 면(24)에 접촉하지 않고, 상기 레버(33)는 수평 위치까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가이드 면(24)으로부터의 반력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상기 브래킷(37)은 이동하도록 가압되지 않으므로 표준 설정 위치에 머문다. 문(21)은 잠금된 채로 된다.
도 8 내지 도 11은,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장 구역 내에 있으며, 잠금 해제 위치에 있는 잠금 장치(22)의 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 액추에이터(38)는 작동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레버(33)가 링크 연결된 롤러(31)와 함께 수평 위치까지 회전하여 가이드 면(24)으로부터 롤러(31)에 대한 반력이 발생하여, 브래킷(37)이 링크 연결된 캠(32)과 함께 가이드 면(24)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한다. 상기 브래킷(37)은 지지체(27)(지지판(27b))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안내된다. 이 때, 브래킷(37)과 지지체(27)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스프링(39)은 브래킷(37)의 이동에 의해 압축된다. 스프링(39)의 힘은, 롤러(31)가 가이드 면(24)에 접촉하지 않게 되면 바로 상기 브래킷(37)을 표준 설정 위치에 되돌리는데 충분한 크기이다. 스프링(39)의 힘은, 레버(33)를 수평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힘보다 작으며, 그 때문에 적어도 액추에이터(38)의 리턴 스프링의 힘보다 작다. 상기 가이드 면(24)으로부터 멀어지는 캠(32)의 이동에 의해, 축 부재(29)는 홈 구멍(30)에 안내되어 눌러 내져진다. 축 부재(29)의 이 변위에 의해, 와이어 또는 로드(28)가 끌어내려져, 래치(25)가 힌지점(26)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이에 의해, 래치(25)는 문(21)의 이동 경로 이외에 회전하고, 문(21)은 잠금되지 않게 된다. 즉,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장 구역 내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래치(25)는 잠금 해제 위치에 유지되어 문(21)이 개방 동작할 수 있다.
또한, 홈 구멍(slotted hole)(30) 대신에, 다른 수직 가이드 시스템을 적용할 수도 있다.
래치(25)의 회전에는 2개의 극단 위치, 즉 A) 문(21)을 잠그는 회전각(잠금 위치), 및 B) 문(21)의 잠금을 해제하는 회전각(잠금 해제 위치)이 있다. 문(21)을 잠금 해제하기 위한 최대 회전각은, 몇 가지의 이유에서 제한하지 않으면 안 된다. 제 1 이유는, 래치(25)가 회전하는 각도가 너무 큰 경우, 래치(25)가 엘리베이터 칸의 문턱선으로부터 돌출하는 양이 너무 큰 것이다. 이것은, 승강장의 문 장치의 부품의 방해가 될 우려가 있다. 제 2 이유는, 와이어 또는 로드(28)가 파손한 경우에 래치(25)가 중력에 의해 항상 잠금되는 것을 보증하기 위해, 래치(25)의 질량 중심을 항상 엘리베이터 칸의 문(21)과 힌지 점(26)과의 사이에 위치시켜야 하는 것이다. 래치(25)의 최대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해, 축 부재(29)의 이동도 제한해야 한다. 축 부재(29)의 이동은 역시 캠(32)의 형상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캠(32) 및 축 부재(29)의 관계를 도 12 및 도 13에 근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나타낸다.
상기 캠(32)은 경사 부분(32a) 및 수평 부분(32b)으로부터 이루어진다. 경사 부분(32a)의 하면은,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면(24)의 방향으로 낮아지는 경사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 수평 부분(32b)의 하면은, 경사 부분(32a)의 하면의 하단으로부터 가이드 면(24)의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수평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축 부재(29)가 경사 부분(32a)과 접촉하고 있는 경우에, 축 부재(29)는 캠(32)의 이동에 의해 홈 구멍(3O)에 안내되어 높이 위치를 변경하면서, 경사 부분(32a)의 하면 위를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 때, 래치(25)를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이 발생한다. 또, 축 부재(29)가 수평 부분(32b)과 접촉하고 있는 경우에는, 축 부재(29)는 캠(32)의 이동 에 의해 높이 위치를 변경하는 일 없이 수평 부분(32b)의 하면 위를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 때, 래치(25)를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에 이동시키는 구동력이 유지된다.
브래킷(37)의 이동이 엘리베이터 칸의 경사 및 설치 허용 오차에 의해 결정되는 일정 범위 내에서 변동하기 때문에 이 형상이 선택된다. 엘리베이터 칸의 경사 및 설치 허용 오차는 롤러(31)와 가이드 면(24) 사이의 중복 거리에, 즉 레버(33)를 수평으로 하기 위한 브래킷(37)의 가능 변위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축 부재(29)가 캠(32)의 경사 부분(32a)의 하면과 접촉하고 있는 동안, 래치(25)는 소정의 최대 회전각까지 회전한다. 캠(32)의 형상은, 경사 부분(32a)의 하면의 길이 및 각도가, 엘리베이터 칸의 경사 및 설치 허용 오차가 최악의 경우인 상태에서 래치(25)를 최대 회전각까지 회전시키는데 충분하도록 설계된다. 그 경우, 상기 캠(32)은 최단 거리(소정량)를 이동한다. 한편, 상기 캠(32)은 이 엘리베이터 칸의 경사 및 설치 허용 오차가 최악인 경우의 편성 이외의 모든 상태에서 보다 긴 거리를 이동한다. 캠(32)의 이 연속 이동중, 축 부재(29)는 캠(32)의 수평 부분(32b)의 하면을 따라 진행하고, 그 때문에 래치(25)는 최대 회전 위치에 유지된다.
도 12에서는, 캠(32)이 아직 표준 설정 위치에 있다. 축 부재(29)는 위쪽 위치에 있으며, 캠(32)의 경사 부분(32a)의 하면에 접촉하고 있다. 와이어 또는 로드(28)는 인장되어 있지 않으며, 그 때문에 래치(25)는 아직 잠금 위치에 있다. 도 13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의 경사 및 설치 허용 오차가 최악인 경우의 편성으로 인하여, 캠(32)이 가이드 면(24)으로부터 최단 거리(소정량)만큼 멀어지도록 이동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축 부재(29)는 캠(32)의 수평 부분(32b)의 하면에 도달할 때까지 캠(32)의 경사 부분(32a)의 하면을 따라 하부에 이동하고, 래치(25)는 최대 회전 위치로의 이동을 완료한다. 그리고, 이 엘리베이터 칸의 경사 및 설치 허용 오차가 최악인 경우의 편성 이외의 모든 상태에서는, 캠(32)이 가이드 면(24)으로부터 더욱 멀어지도록 이동한다. 이 캠(32)의 최단 거리를 넘는 이동중, 축 부재(29)는 캠(32)의 이 수평 부분(32b)의 하면을 따라 진행한다. 그러나, 와이어 또는 로드(28)는 그 이상으로 내려가지 않으며, 그렇기 때문에 래치(25)는 최대 회전 위치에 있는 채로 유지된다.
또한, 축 부재(29)가 캠(32)의 경사 부분(32a) 및 수평 부분(32b)의 하면을 직접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축 부재(29)에 롤러를 장착하여 축 부재(29)가 롤러를 회전하면서 캠(32)의 경사 부분(32a) 및 수평 부분(32b)의 하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축 부재(29)가 캠(32)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할 때의 마찰력 및 접촉 마모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잠금 장치(22)는,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 개시로부터 소정이 지시된 층에 착상하기 직전까지 액추에이터(38)는 여기 상태로 되며, 착상 직전에 액추에이터(38)는 비여기 상태로 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중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러(31)와 가이드 면(24)과의 사이에 갭이 생겨 있으며, 롤러(31)와 가이드 면(24)과의 접촉에 의한 소음 및 진동의 발생이 방지된다. 이 때, 상기 래치(25)는 잠금 위치에 유지되어 문(21)의 개방 동작이 저지된다. 또, 엘리베이터 칸이 착상하면,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캠(32)이 브래킷(37)과 함께 가이드 면(24)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고, 래치(25)가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정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문(21)의 개폐 동작이 실시된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장 구획 이외에 있을 때에 정전이 되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33)가 수평 위치까지 회전한다. 이 때, 상기 가이드 면(24)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캠(32)이 브래킷(37)과 함께 가이드 면(24)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일이 없으며, 래치(25)가 잠금 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정전시에 문(21)을 수동으로 여는 것이 저지된다.
또, 상기 잠금 장치(22)는 문 구동 장치에 의존하지 않으므로, 기존의 문 구동 장치나 문 결합 기구에 변경을 가하지 않고 기존 설치된 엘리베이터에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캠(32)이 경사 부분(32a)과 수평 부분(32b)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의 경사 및 설치 허용 오차가 최악인 경우에, 브래킷(37)과 함께 캠(32)을 이동시켜 래치(25)를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최대 회전 위치)까지 회전시켰을 때, 축 부재(29)가 경사 부분(32a)의 하면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경사 부분(32a)의 하면의 길이 및 각도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의 경사 및 설치 허용 오차가 최악인 경우라도 래치(25)를 최대 회전 위치까지 회전시킬 수 있다. 또, 이 엘리베이터 칸의 경사 및 설치 허용 오차가 최악인 경우의 편성 이외의 모든 상태의 경우의 캠(32)의 최대 이동량은, 엘리베이터 칸의 경사 및 설치 허용 오차가 최악인 경우의 캠(32)의 최대 이동량보다 커진다. 그러 나, 이 캠(32)의 최대 이동량은 축 부재(29)가 경사 부분(32a)으로부터 수평 부분(32b)으로 이동하게 하고 그 다음 수평 부분(32b)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래치(25)의 최대 회전 위치는 유지된다. 따라서, 래치(25)의 최대 회전 위치가 엘리베이터 칸의 경사 및 설치 허용 오차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래치(25)는 엘리베이터 칸의 문턱선으로부터 과도하게 돌출하여 승강장의 문 장치의 부품과 완충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 래치(25)의 질량 중심이 항상 엘리베이터 칸의 문(21)과 힌지 점(26)과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와이어 또는 로드(28)가 파손한 경우에도, 래치(25)가 중력에 의해 항상 잠금 위치에 회전하여 잠금 상태가 보증된다. 또한, 래치(25)를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용수철을 부가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잠금 장치는 가이드 면(24)을 제외하고 잠금 장치(22) 전체를 공장에서 조립할 수 있다. 그것은, 현장에서 피트(pit) 내에 선 자세로 몇개의 볼트 접속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면(24)은 조절 가능하게 하기 위한 슬롯을 설치한 가이드 면 브래킷에 의해서 각 승강장에 장착할 수 있다. 이들 브래킷은, 공장에서 승강장의 문의 지지틀에 미리 설치해 둘 수 있다. 최하층의 승강장에서의 가이드 면(24)의 위치는, 현장에서 피트 내에 선 자세로 조절할 수 있다. 이 가이드 면(24)의 위치는, 예를 들어 피아노선(piano wire)을 사용함으로써, 그 밖의 승강장의 가이드 면(24)의 위치의 기준으로서 이용된다. 문의 이동 방향의 가이드 면(24)의 위치의 정확도는, 가이드 면(24)의 폭이 충분하기 때문에 그다지 높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달성 가능한 이점은 다음과 같다.
문 구동 장치에 의존하지 않는다,
엘리베이터 칸의 높이에 좌우되지 않는다,
문의 패널의 종류에 좌우되지 않는다,
정전의 경우인지, 또는 엘리베이터 칸이 경사진 경우라도 적당한 잠금 기능을 얻을 수 있다.
현장에서 설치하기 쉽다.

Claims (7)

  1.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장 구역에 없을 때에 이 엘리베이터 칸의 미닫이(sliding door)를 잠그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문 잠금 장치에 있어서,
    각 승강장 위치에서 승강로 내에 장착된 가이드 면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장착된 잠금 기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잠금 기구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고정 상태로 장착된 지지체와,
    상기 문의 이동 경로 내에 위치하여 이 문의 개방 동작을 규제하는 잠금 위치와, 이 문의 이동 경로 이외에 위치하여 이 문의 개방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잠금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상기 지지체에 장착된 잠금 부재와,
    상기 지지체에 상기 가이드 면에 대해 접리(接離)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중은 상기 가이드 면으로부터 이반하는 퇴피 위치(retracted position)에 있고, 상기 잠금 부재를 잠금 위치에 유지시키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착상시는, 상기 가이드 면과 걸어 맞춤하는 작동 위치에 있으며, 상기 가이드 면으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잠금 부재를 상기 잠금 위치로부터 상기 잠금 해제 위치에 이동시키는 작동부를 가지며,
    상기 작동부는, 상기 작동 위치에 있으며, 상기 가이드 면으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소정량 이동했을 때에, 상기 잠금 부재의 상기 잠금 해제 위치로의 이동 이 완료하며, 이 소정량을 넘어 이동했을 때에는, 상기 잠금 부재의 상기 잠금 해제 위치가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문 잠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지지체에 상기 가이드 면에 대해 접리(接離)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면에 접촉하여 이 브래킷을 이 가이드 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키는 롤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문 잠금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여자 상태에서 상기 롤러를 상기 작동 위치로부터 상기 퇴피 위치에 이동시키는 전자 작동식 액추에이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문 잠금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잠금 부재에 기계적으로 결합된 축 부재와, 상기 축 부재에 접하도록 상기 브래킷에 장착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착상했을 때에 이 브래킷과 함께 이동하고, 상기 잠금 부재를 상기 잠금 위치로부터 상기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상기 축 부재에 생기게 하는 캠을 가지며,
    상기 캠은, 이 캠의 상기 소정량의 이동중은 상기 구동력을 상기 축 부재에 발생시키고, 이 소정량을 넘는 이 캠의 이동중은 상기 구동력을 유지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문 잠금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는, 와이어에 의해 상기 축 부재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문 잠금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는, 로드에 의해 상기 축 부재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문 잠금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경사 부분 및 수평 부분을 가지며,
    상기 캠이 상기 소정량을 이동할 때, 상기 축 부재는 상기 경사 부분을 따라 진행하여 상기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잠금 부재가 상기 잠금 위치로부터 상기 잠금 해제 위치에 진행하고, 그 후 이 캠이 이 소정량을 넘어 이동할 때, 상기 축 부재가 수평 부분을 따라 진행하고 이 구동력을 유지하며, 그에 따라 잠금 부재를 상기 잠금 해제 위치에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문 잠금 장치.
KR1020077002860A 2007-02-05 2005-01-28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문 장금 장치 KR100869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2860A KR100869610B1 (ko) 2007-02-05 2005-01-28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문 장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2860A KR100869610B1 (ko) 2007-02-05 2005-01-28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문 장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5300A KR20070065300A (ko) 2007-06-22
KR100869610B1 true KR100869610B1 (ko) 2008-11-21

Family

ID=38364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2860A KR100869610B1 (ko) 2007-02-05 2005-01-28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문 장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961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07122A (en) 1987-07-18 1989-01-25 Mitsubishi Electric Corp Door lock for an elevator car
JPH0680364A (ja) * 1992-09-02 1994-03-22 Toshiba Corp エレベー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07122A (en) 1987-07-18 1989-01-25 Mitsubishi Electric Corp Door lock for an elevator car
JPH0680364A (ja) * 1992-09-02 1994-03-22 Toshiba Corp エレベ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5300A (ko) 2007-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92207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の戸ロック装置
JP4644125B2 (ja) 伸縮式敷居を有するエレベーターアセンブリー
JP5570598B2 (ja) エレベータカー・ドアによって軸ドアをエントレインさせるためのデバイス
CN111039133B (zh) 电梯层站门解锁系统
US8607937B2 (en) Elevator door system comprising a car door locking mechanism
JP5649721B2 (ja) エレベータドア連結器アセンブリ
JP6388418B1 (ja) エレベータ装置
JP5312449B2 (ja) エレベーターのカゴドアロック装置
KR101153123B1 (ko)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도어로크장치
US20040251086A1 (en) Elevator installation with a buffer for creating a zone of protection in an elevator installation and a method of creating a zone of protection
JPH08208161A (ja) エレベータカーのドアの鎖錠装置ならびにカードアの鎖錠および開錠方法
EP0850189B1 (en) Procedure for moving the landing door of an elevator, and a door coupler
EP1841681B1 (en) Elevator car door locking apparatus
KR100869610B1 (ko)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문 장금 장치
JP4680795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113544076B (zh) 电梯的轿厢门装置
JP4038067B2 (ja) ロック装置を有するエレベーターのかご室ドア装置
US11286134B2 (en) Elevator car door coupling systems
KR100812483B1 (ko) 엘리베이터 카 문의 인터록 장치
JP2784582B2 (ja) 軌道車両システムにおける乗降扉装置
CN115697879A (zh) 电梯的轿厢门装置
JP2017088368A (ja) 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