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9572B1 - 코어 셀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코어 셀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9572B1
KR100869572B1 KR1020070009718A KR20070009718A KR100869572B1 KR 100869572 B1 KR100869572 B1 KR 100869572B1 KR 1020070009718 A KR1020070009718 A KR 1020070009718A KR 20070009718 A KR20070009718 A KR 20070009718A KR 100869572 B1 KR100869572 B1 KR 100869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omer
weight
delete delete
core
emul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9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1635A (ko
Inventor
김중현
이정민
정연재
최성욱
이선종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09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9572B1/ko
Publication of KR20080071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1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9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9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3/00Colloid chemistry, e.g. the production of colloidal materials or their solu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01J13/02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01J13/20After-treatment of capsule walls, e.g. hardening
    • B01J13/22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3/00Colloid chemistry, e.g. the production of colloidal materials or their solu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01J13/02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01J13/06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by phase separation
    • B01J13/14Polymerisation; cross-l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1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12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derived from five- or six-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other than imides
    • C08G61/123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derived from five- or six-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other than imides derived from five-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 C08G61/126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derived from five- or six-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other than imides derived from five-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with a five-membered ring containing one sulfur atom in the ring

Abstract

본 발명은 단량체가 라디칼 중합되어 형성된 코어, 상기 코어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코어의 외벽을 형성하는 폴리티오펜 또는 이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셀을 포함하는 코어 셀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어 셀 나노입자는 고체상태에서 우수한 발광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단량체들의 중합속도 차이와 무유화중합법을 이용하여 제조됨으로써 종래의 시드중합법에 의한 나노입자 제조방법과 달리 하나의 공정으로 용이하게 나노입자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코어 셀, 나노입자, 라디칼 중합, 폴리티오펜, 폴리티오펜 유도체

Description

코어 셀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Core Shell Nanoparticle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어 셀 나노입자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어 셀 나노입자의 TEM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어 셀 나노입자의 액체(a,b)와 고체(c,d) 상태에 365nm의 빛을 조사하였을 경우의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어 셀 나노입자의 액체(a) 및 고체(c) 상태에서의 PL 데이터이다.
본 발명은 코어 셀(Core Shell)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량체를 라디칼 중합시켜 형성된 코어, 상기 코어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코어의 외벽을 형성하는 티오펜 중합체로 이루어진 셀을 포함하는 코어 셀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코어 셀 나노입자는 고체상태에서 발광효율을 높임으로서 LCD, OLED등의 발광소자 또는 전기발광소자 등의 응용성을 향상시키는바, 보다 구체적으로 발광 고분자인 폴리티오펜을 셀에 도입하여 고체상태에서 기존의 발광고분자 또는 알킬기가 치환된 폴리티오펜보다 발광특성이 우수하다.
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거나 전기 에너지를 광 에너지로 변환하는 광전자 소자(optoelectronic device), 특정적으로 반도체 광전자 소자는 정보/전자산업에서 정보 및/또는 에너지 등을 전달함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반도체 광전자 소자는 크게 전기발광 소자, 반도체 레이저소자, 수광소자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평판 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는 기존의 CRT 방식에 의한 화상구현의 불편함을 해소한 경박단소, 기술적으로는 CRT 수준 또는 그 이상의 표현 가능성을 지닌 소자를 총칭한다.
초기 평판 디스플레이는 벽걸이 TV가 주요 용도였지만, 21세기 정보화, 멀티미디어 시대를 맞아 컴퓨터 모니터, 노트북, PC, PDA 단말기 등 많은 용도로 개발되었다. 또한, 이제까지 대부분의 디스플레이는 빛이 제공되는 수광형이었지만, 자기 발광형인 디스플레의 경우 응답속도가 수광형 디스플레이 보다 빠르고, 자기 발광형이므로 배면광(backlight)이 필요 없고, 좋은 휘도를 갖는 등 다양한 장점이 있어 최근 상기 자기 발광형 디스플레이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한편, 무기물로 이루어진 전기발광(EL) 소자의 경우 구동전압이 교류 200V 이상 필요하고, 소자의 제작방법이 진공 증착으로 이루어지므로 대형화가 어렵고 가격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1987년 이스트만 코닥(Eastman Kodak)에서 알루미나-퀴논(alumina-quinone) 이라는 π-공액 구조를 갖는 색소로 제작된 소자가 발표된 이후로 유기물을 이용한 전기발광(EL) 소자의 연구가 활발해졌다. 특히, 유기물의 경우 합성 경로가 간단하여 다양한 형태의 물질 합성이 용이하며 색상 튜닝(color tuning)이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기계적 강도가 낮고, 열에 의한 결정화가 일어난다는 단점이 있어 이를 보완한 고분자 구조를 갖는 유기 전기발광 소자로의 대체가 진행되고 있다.
고분자 주쇄에 있는 π-전자 파동함수의 중첩에 의해 에너지 준위가 전도대와 가전도대로 분리되고 그 에너지 차이에 해당하는 밴드 간격(band gap) 에너지에 의하여 고분자의 반도체적인 성질이 결정되며 완전 색상(full color)의 구현이 가능하다. 이러한 고분자를 "π-전자공액 고분자(π-conjugated polymer)"라고 한다.
이러한 고분자의 전기발빛에 대한 연구는 1974년 게이이치 가네토 그룹(Keiichi Kaneto group)에 의해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가 높은 전기장에서 전기발광을 한다고 발표되었으나 그 후로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지 못하다가 1990년에 폴리(p-페닐렌비닐렌)[poly(p-phenylene vinylene): PPV]로 만들어진 발광소자가 처음으로 발표되면서 π-전자 공액 고분자를 이용한 전기발광 디스플레이(electroluminescence display)로의 응용을 집중적으로 하고 있다.
한편, 대부분의 자기발광 및 전기발광고분자들은 고체상태에서의 발광효율이 낮아 그 응용에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용액상태에서 고체상태로 상이 변할 경우, 퀀칭(quenching) 등의 영향으로 인해 고체상태가 용액상태일 때 보다 발광효율이 1/10 내지 1/40로 저하되는 문제점이 보고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서 고체상태의 자기발광 및 전기발광고분자의 가공 및 응용에 많은 제약을 받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발광 및 전도성 고분자인 폴리티오펜을 셀에 도입하여 기존의 발광고분자들 또는 알킬기가 치환된 폴리티오펜보다 고체상태에서 발광특성이 우수한 코어 셀 입자, 특정적으로 코어 셀 나노입자를 제조하고자 한다.
여기서, 전술한 폴리티오펜은 유기용매에 잘 녹지 않아 가공성이 용이하지 않고, 폴리머 주사슬(Backbone)의 분자의 활동성이 제한되어 광화학적 성질에 영향을 미치며, 폴리티오펜의 도핑단계뿐만 아니라 도핑 되지 않는 단계에서 매우 불안정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티오펜 합성공정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였는바, 상기 새로운 티오펜 합성공정은 기존의 공정과는 달리 화학적 합성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것이 잘 알려진 쿠마다(Kumada) 커플링, 스틸(Stille) 커플링과 스츠키(Suzuki) 커플링 등의 금속 촉매에 의한 아릴-아릴 커플링 반응으로 현재까지 보편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전술한 새로운 합성방법은 공정상 여러 가지 문제, 예를 들면 과량의 산화제를 제거하는 공정을 별도로 요구되고, 도핑이라는 추가 반응공정을 거쳐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어 상업화하기 힘들 뿐만 아니라 사용되는 출발물질 및 촉매가 고가라는 문제점 등이 있다.
이에, 폴리티오펜 제조를 위해 에멀젼 공정을 도입함으로써, 생산비용을 낮추고, 공정을 단순화하여 폴리티오펜의 가공성과 화학적 안정성을 개선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에멀젼 공정의 일례로서, 수용액 또는 알콜류의 연속상에서의 티오펜 중합은 N. Toshima 및 S. Hara[Progress in Polymer Science, 20권, 155-183페이지(1995)]와 M. Lapkowski[Synthetic Metals, 407권, 41-43페이지(1991)]등에 의해 선행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상기 에멀젼 공정에 있어서, 전제 조건으로 반응 연속상(Continuous medium)이 수상인 바, 이러한 수용액 연속상에서의 수득률은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전도도 역시 측정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 등이 있다.
최근 들어,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N.Ballav와 M. Biswas[Polymer International, 53권, 198-203페이지(2004)]는 N-비닐카바졸과 티오펜의 단량체를 이용한 현탁중합으로부터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고 개시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상에 분산된 형태로의 입자 제조는 티오펜 단량체를 단독으로 산화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에멀젼 공정은 티오펜을 산화시킬 수 있는 양쪽성(Amphiphilic)의 도메인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철염(FeCl3)양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공정 조건을 제공 할 수 있는 나노 반응기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술의 일례로서 대한민국특허공개 특2003-0045686호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티오펜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및 다가 음이온을 포함하는 라텍스의 수분산액을 동결 건조하여 얻을 수 있는 재분산성 또는 가용성 생성물을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특허공개 특2002-0040586호는 무수 용매 또는 저 수분 함량용매에서 제조하고 반응 중에 상전이 촉매(18-크라운-6; 용매 중에서 산화제의 용해도를 증가시킴)를 첨가하여 무수 용매 또는 저 수분 함량 용매 중에서 쉽게 용해되거나 분산될 수 있는 고품질 폴리티오펜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종래기술에서는 분산에 의한 고분자 용액의 고형분 함량(wt%)이 낮고, 이를 동결 건조하여 고농도의 고형분 함량을 얻을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지만, 분산공정에 있어 낮은 고형분 함량은 입자화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폴리티오펜의 제조방법으로서 비수용성 에멀젼 중합을 통해 3,4-에틸렌디옥시티오펜을 제조하는 방법이 있지만, 이는 과량의 철염을 사용하므로 내화학성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어, 전도성 또는 정전기 방지 도막 등으로 사용될 경우 제품의 품질에 불리한 영향을 미칠 수 있고, 과량의 분산 안정제를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 등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로 제조된 폴리티오펜은 용매에 녹지 않고 용융도 되지 않기 때문에 가공하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폴리티오펜에 여러 가지 곁가지를 도입하여 가공성을 높이려는 연구가 많이 진 행된 바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서, 기존에 수성공정이 개발된바 있으나, 나노입자와 같은 구조체 형태의 모폴로지 조절이 불가능하였으며 폴리티오펜 또는 이의 유도체가 지닌 가공성이 낮다는 단점을 극복하지는 못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하던 중 종래의 중합공정인 비수용성 연속상에서 과량의 철염을 사용하여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티오펜 단량체를 중합하는 공정과는 차별되도록 산화제로서 극미량의 철염과 상기 철염이 환원될 경우 이를 다시 산화시킬 수 있는 다른 산화제를 이용하여 수상에서 중합함으로써 입자화된 에멀젼을 제조할 경우, 가공성이 우수하고 수상에서 청색으로부터 적색까지의 입자 발광 특성이 개선된 티오펜 중합체로 코어의 외벽을 제조할 수 있다는 점을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반응속도가 빠르고 기계적 물성이 좋은 고분자로 코어를 형성하고, 상기 코어의 외주면에 외벽으로서 자기발광 및 전기발광을 하는 티오펜 중합체로 이루어진 셀을 형성시킨 코어 셀 나노입자를 제공하는 것에 기술적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산화력을 갖는 두 가지 산화제를 이용한 산화 중합법을 통하여 상기 코어 셀 나노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기술적 과 제가 있다.
한 가지 관점에서, 본 발명은 단량체가 라디칼 중합되어 형성된 코어, 상기 코어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코어의 외벽을 형성하는 티오펜 중합체로 이루어진 셀을 포함하는 코어 셀 나노입자를 제공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코어 셀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전자재료, 광학재료, 토너 및/또는 잉크를 제공한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ⅰ) 티오펜 중합체용 단량체 중량 대비 1000 내지 1300중량%의 물을 질소퍼징하여 산소를 제거한 후 라디칼 중합용 단량체 중량대비 0.001 내지 100중량%의 소듐파라스타이렌설포네이트 및 라디칼 중합용 단량체 중량대비 0.00004 내지 0.04중량%의 탄산수소나트륨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ⅱ) 상기 단계 ⅰ) 혼합물을 70 내지 80℃의 온도범위로 가열한 뒤 티오펜 중합체용 단량체, 상기 티오펜 중합체용 단량체 중량 대비 10 내지 300중량%의 라디칼 중합용 단량체, 상기 티오펜 중합체용 단량체 중량 대비 50 내지 1000중량%의 제 1 산화제를 상기 라디칼 중합용 단량체 중량대비 0.01 내지 10중량%의 라디칼 개시제와 혼합한 에멀젼 제조단계; ⅲ) 상기 단계 ⅱ)의 에멀젼에 개시제로서 제 2 산화제를 티오펜 중합체용 단량체 중량 대비 0.1 내지 10중량%로 혼합한 뒤 10 내지 30분 동안 교반하는 에멀젼 제조단계; 및 ⅳ) 상기 단계 ⅲ)의 에멀젼을 70 내지 80℃의 온도에서 6 내지 12시간동안 교반하여 에멀젼을 산화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어 셀 나노입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어 셀 나노입자(Core Shell Nanoparticles)는 반응속도가 빠르고 기계적 물성이 좋은 고분자로 코어를 형성하고, 상기 코어의 외주면에 외벽으로서 자기발광 및 전기발광 특성을 갖는 티오펜 중합체로 이루어진 셀을 형성시킨 구조로서, 고체상태에서의 발광효율이 우수하여 가공 및 응용성 좋은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당업계이 통상적인 코어 셀 나노입자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에 따른 코어 셀 나노입자에 해당 될 것이다.
이때, 상기 코어 셀 나노입자의 크기는 가공 및 응용성이 우수한 50nm 내지 1㎛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코어 셀 나노입자를 구성하는 코어는 단량체를 라디칼 중합시켜 형성된 것으로서, 빛에 대한 반응속도가 빠르고, 기계적 물성이 좋으며, 외벽을 형성하는 티오펜 중합체와 서로 반응하지 않는 물질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폴리스타이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피리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추천하기로는 폴리스타이렌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티오펜 중합체는 전술한 코어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코어의 외벽, 즉 셀(shell)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자기발광 및 전기발광 특성을 갖고, 제조공정에 따라 수상에서 청색으로부터 적색에 이르기까지 입자발광 특성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재료, 광학재료, 토너 및/또는 잉크 등은 티오펜 중합체를 포함하는 전자재료, 광학재료, 토너 및/또는 잉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제품이라면 어떠한 제품도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재료, 광학재료, 토너 및/또는 잉크에 해당될 것이며, 바람직한 전자재료로는 광전압 전지, 콘덴서(전해질 대용으로 사용함)와 PCB(printed circuit board)기판 코팅제(기존의 금속 도금 대체로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음) 및/또는 대전방지제(코팅 등을 통해서 플라스틱, 고분자 등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정전기 발생을 방지함)가 있고, 바람직한 광학재료로는 전기발광 장치, 예를 들면 유기 광발산다이오드 및 디스플레이가 있고, 특히 바람직한 광학재료로는 LCD와 같은 평면 패널 디스플레이와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장치, ITO(indium tin oxide) 기판의 구멍분사층(hole injecting layer) 또는 발광층(emitting layer)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량체, 특정적으로 라디칼 중합되기 위한 단량체는 라디칼 중합반응을 통해 코어 셀 나노입자의 코어로 제조되는 출발물질로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라디칼 중합반응이 가능한 단량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닐클로라이드, 비닐피리딘, 스타이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좋고, 추천하기로는 스타이렌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티오펜은 중합반응을 통해 코어 셀 나노입자의 셀로 제조되는 출발물질, 즉 단량체로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티오펜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라디칼 개시제는 라디칼 중합반응을 하여 코어를 형성하는 단량체가 라티칼 중합반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개시제로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개시제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퍼설페이드계 및/또는 아조비스계 개시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그 사용량은 라디칼 중합용 단량체 중량대비 0.01 내지 1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소듐파라스타이렌설포네이트(sodium 4-styrenesulfonate)는 스타이렌의 코모노머이자 설포네이트기가 치환된 물질로서 수상에서 중합될 경우 정전기적 안정성을 제공하는 무유화제중합의 핵심물질인바, 그 사용량은 전체 라디칼 중합용 단량체 중량대비 0.001 내지 10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탄산수소나트륨은 상기 소듐파라스타이렌설포네이트와 함께 물에 혼합됨으로써 혼합용액을 염기성이 되도록 하여 전해질 효과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그 사용량은 극소량, 바람직하게는 전체 라디칼 중합용 단량체 중량대비 0.00004 내지 0.04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물은 본 발명에 따른 출발물질인 티오펜 중합체용 단량체, 특정적으로 티오펜, 라디칼 중합용 단량체, 제 1 산화제, 소듐파라스타이렌설포네이트 또는 탄산수소나트륨이 혼합되기 위한 용매인바, 바람직하게는 질소를 이용하여 퍼징(purging)함으로써 산소가 제거된 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DDI 물(Deionized distilled water, DDI Water)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추천하기로는 산소가 제거된 DDI 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DDI 물은 탈이온된 증류수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산화제는 상기 티오펜 중합체용 단량체, 특정적으로 티오펜을 산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산화제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금속산화물, 예컨대 FeCl3/H2O2, FeCl3/O2, FeCl3/HMnO4 및 FeCl3/F2, CuCl2/H2O2, CuCl2/HMnO4 등의 철착화물, 철염 또는 염화구리(Ⅱ)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좋고, 그 사용량은 상기 티오펜 중합체용 단량체 중량 대비 0.1 내지 1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제 2 산화제의 사용량이 상기 티오펜 중합체용 단량체 중량 대비 0.1중량% 이하이면 중합반응 속도가 매우 느려지고, 그 사용량이 10중량% 이상이면 중합반응속도와 전기 전도도는 증가하지만 제조되는 티오펜 중합체의 물성 예를 들면, 광도 및 전기 발광 세기가 감소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 2 산화제는 중합반응을 위한 출발물질의 혼합물, 예를 들면 티오펜 중합체용 단량체, 특정적으로 티오펜, 라디칼 중합용 단량체, 제 1 산화제 및 DDI 물에 개시제로서 직접 혼입될 수 있지만, 특정적으로 DDI 물에 용해된 상태로 상기 출발물질의 혼합물로 혼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 1 산화제는 상기 제 2 산화제가 티오펜 중합체용 단량체, 특정적으로 티오펜을 산화시켜 환원될 경우, 환원된 제 2 산화제를 다시 산화시켜 제 2 산화제가 산화력을 갖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제 2 산화제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산화력을 갖는 산화제가 좋은바, 추천하기로는 과산화류[H2O2, (NH4)2S2O8] 또는 산소산류[HMnO4, HNO3, HClO4], 할로겐류[F2, Cl2, Br2]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그 사용량은 티오펜 중합체용 단량체 중량 대비 50 내지 1000중량%가 좋다.
한편,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원 발명에 따른 코어 셀 나노입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거시적인 관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코어 셀을 형성하기 위한 에멀젼은 입자형태로 존재하는 바, 상기 입자, 바람직하게는 나노입자는 산화방법을 통해 중합되어 코어 셀 입자, 바람직하게는 코어 셀 나노입자가 제조된다.
이때, 상기 입자, 바람직하게는 나노입자는 계면에서 티오펜 중합체용 단량체를 산화시켜 중합되도록 구성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입자, 바람직하게는 나노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을 통칭하여 산화중합 에멀젼 공정이라 지칭할 수 있으며, 특정적으로 중합을 위한 유화제를 사용하지 아니하므로 무유화제중합 공정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코어 셀 나노입자의 제조방법은 일반적인 에멀젼 중합(emulsion polymerization)방법을 포함하는 유화공정, 예를 들면 단량체에 대한 개시방법에 따라 퍼설페이드계 및 아조비스계를 이용한 라디칼 개시방법, Cu(Ⅱ), Fe(Ⅲ) 및 Cerium(Ⅳ) 등의 금속계 산화제를 이용한 산화 개시방법, 비스설페이트/Fe(Ⅲ), 비스설페이트/Ag(Ⅰ) 및 Cu(Ⅱ)/타이오설페이트 등에 의한 산화 개시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출발물질로 사용되는 티오펜 중합체용 단량체, 특정적으로 티오펜 및 라디칼 중합용 단량체의 특성상 높은 산화력을 필요로 하고 중합 후 생성되는 코어 셀의 물성에 미치는 전이금속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특정적으로 산화 개시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 2 산화제, 바람직하게는 금속산화제 등을 사용하는 에멀젼 산화중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코어 셀 나노입자의 제조방법은 무유화제중합을 통해 종래 에멀젼 중합에서 사용하던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유화제를 제거하는 과정을 생략하여 제조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중합과정 중 출발물질의 중합속도 차이를 이용하여 코어 셀 나노입자를 제조하므로 종래의 시드 중합과 비교하여 공정이 단순화된다는 특징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코어 셀 나노입자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ⅰ) 티오펜 중합체용 단량체 중량 대비 1000 내지 1300중량%의 물을 질소퍼징하여 산소를 제거한 후 라디칼 중합용 단량체 중량대비 0.001 내지 100중량%의 소듐파라스타이렌설포네이트 및 라디칼 중합용 단량체 중량대비 0.00004 내지 0.04중량%의 탄산수소나트륨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ⅱ) 상기 단계 ⅰ) 혼합물을 70 내지 80℃의 온도범위로 가열한 뒤 티오펜 중합체용 단량체, 상기 티오펜 중합체용 단량체 중량 대비 10 내지 300중량%의 라디칼 중합용 단량체, 상기 티오펜 중합체용 단량체 중량 대비 50 내지 1000중량%의 제 1 산화제를 상기 라디칼 중합용 단량체 중량대비 0.01 내지 10중량%의 라디칼 개시제와 혼합한 에멀젼 제조단계;
ⅲ) 상기 단계 ⅱ)의 에멀젼에 개시제로서 제 2 산화제를 티오펜 중합체용 단량체 중량 대비 0.1 내지 10중량%로 혼합한 뒤 10 내지 30분 동안 교반하는 에멀젼 제조단계; 및
ⅳ) 상기 단계 ⅲ)의 에멀젼을 70 내지 80℃의 온도에서 6 내지 12시간동안 교반하여 에멀젼을 산화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계 ⅲ)의 제 2 산화제는 필요에 따라 상기 물, 바람직하게는 DDI 물에 용해된 상태로 에멀젼에 혼합된 뒤 교반되어 에멀젼을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질소퍼징은 질소를 이용하여 물을 퍼징(purging)함으로써 물에 포함된 산소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당업계의 통산적인 질소퍼징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전술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코어 셀 나노입자는 가공성 및 기계적 물성이 좋고, 입자 발광 특성을 나타내므로 전자재료, 광학재료, 토너 및/또는 잉크 등에 사용될 수 있고, 더 나아가 유기발광 소재, 에너지변환 및 에너지저장 소재, 대전방지 소재, 전하조절 소재, 전기전도성층 소재, 패턴제조 소재, 프린팅 잉크 소재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어 셀 나노입자는 고체상태에서 우수한 발광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단량체들의 중합속도 차이와 무유화제중합법을 이용하여 제조됨으로써 종래의 시드중합법에 의한 나노입자 제조방법과 달리 하나의 공정으로 용이하게 나노입자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ⅰ) 티오펜 중합체용 단량체 중량 대비 1000 내지 1300중량%의 물을 질소퍼징하여 산소를 제거한 후 라디칼 중합용 단량체 중량대비 0.001 내지 100중량%의 소듐파라스타이렌설포네이트 및 라디칼 중합용 단량체 중량대비 0.00004 내지 0.04중량%의 탄산수소나트륨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ⅱ) 상기 단계 ⅰ) 혼합물을 70 내지 80℃의 온도범위로 가열한 뒤 티오펜 중합체용 단량체, 상기 티오펜 중합체용 단량체 중량 대비 10 내지 300중량%의 라디칼 중합용 단량체, 상기 티오펜 중합체용 단량체 중량 대비 50 내지 1000중량%의 제 1 산화제를 상기 라디칼 중합용 단량체 중량대비 0.01 내지 10중량%의 라디칼 개시제와 혼합한 에멀젼 제조단계;
    ⅲ) 상기 단계 ⅱ)의 에멀젼에 개시제로서 제 2 산화제를 티오펜 중합체용 단량체 중량 대비 0.1 내지 10중량%로 혼합한 뒤 10 내지 30분 동안 교반하는 에멀젼 제조단계; 및
    ⅳ) 상기 단계 ⅲ)의 에멀젼을 70 내지 80℃의 온도에서 6 내지 12시간동안 교반하여 에멀젼을 산화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어 셀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칼 중합용 단량체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닐클로라이드, 비닐피리딘, 스타이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셀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산화제의 산화력이 제 2 산화제의 산화력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셀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물이 탈이온화된 증류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셀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15. 제 1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산화제가 금속산화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셀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16. 제 1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산화제가 과산화류, 산소산류, 할로겐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셀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KR1020070009718A 2007-01-31 2007-01-31 코어 셀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69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718A KR100869572B1 (ko) 2007-01-31 2007-01-31 코어 셀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718A KR100869572B1 (ko) 2007-01-31 2007-01-31 코어 셀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635A KR20080071635A (ko) 2008-08-05
KR100869572B1 true KR100869572B1 (ko) 2008-11-21

Family

ID=39882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9718A KR100869572B1 (ko) 2007-01-31 2007-01-31 코어 셀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95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523B1 (ko) * 2008-04-04 2011-07-20 주식회사 제이앤드제이 캐미칼 비닐계 또는 아크릴계 고분자 코어 및 전도성 고분자 쉘을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의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KR20180047245A (ko) * 2016-10-31 2018-05-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고점도 전도성 고분자 분산액 및 이의 제조방법
US10804043B2 (en) 2017-12-27 2020-10-13 Korea University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Method of preparing core-shell structure nanoparticle using structure-guided combustion wav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0308B1 (ko) * 2011-06-07 2018-08-21 주식회사 한국엔티켐 다층구조의 전도성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180475A (zh) * 2019-04-03 2019-08-30 沈阳化工大学 一种核壳粒子的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34733A (ja) * 1990-02-08 1991-10-18 Lintec Corp マイクロカプセル型複合導電性材料、その製造方法及び該材料から成る導電性樹脂成形体
JP2001266651A (ja) 2000-01-13 2001-09-28 Maruo Calcium Co Ltd コア/シェル状導電性有機−無機複合体とその製造方法、及び該複合体含有組成物
JP2003003037A (ja) 2001-06-25 2003-01-08 Mitsubishi Chemicals Corp 水性樹脂エマルジョン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コーティング剤
KR20030006948A (ko) * 2001-07-09 2003-01-23 주식회사 큐시스 전기전도성 폴리(싸이오펜) 비-수계 분산액, 이의제조방법 및 이의용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34733A (ja) * 1990-02-08 1991-10-18 Lintec Corp マイクロカプセル型複合導電性材料、その製造方法及び該材料から成る導電性樹脂成形体
JP2001266651A (ja) 2000-01-13 2001-09-28 Maruo Calcium Co Ltd コア/シェル状導電性有機−無機複合体とその製造方法、及び該複合体含有組成物
JP2003003037A (ja) 2001-06-25 2003-01-08 Mitsubishi Chemicals Corp 水性樹脂エマルジョン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コーティング剤
KR20030006948A (ko) * 2001-07-09 2003-01-23 주식회사 큐시스 전기전도성 폴리(싸이오펜) 비-수계 분산액, 이의제조방법 및 이의용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523B1 (ko) * 2008-04-04 2011-07-20 주식회사 제이앤드제이 캐미칼 비닐계 또는 아크릴계 고분자 코어 및 전도성 고분자 쉘을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의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KR20180047245A (ko) * 2016-10-31 2018-05-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고점도 전도성 고분자 분산액 및 이의 제조방법
US10804043B2 (en) 2017-12-27 2020-10-13 Korea University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Method of preparing core-shell structure nanoparticle using structure-guided combustion wa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635A (ko) 200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79714B (zh) 空穴注入层/传输层组合物及装置
KR100961803B1 (ko) 셀레늄 함유 전기전도성 폴리머 및 전기전도성 폴리머를제조하는 방법
CN1934725B (zh) 导电有机聚合物/纳米颗粒复合物及其使用方法
JP4464277B2 (ja) 導電性有機ポリマー/ナノ粒子複合材料およびその使用方法
US7071289B2 (en) Polymers comprising thieno [3,4-b]thiophen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EP1862487B1 (en)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s and method of making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s
KR100869572B1 (ko) 코어 셀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90140219A1 (en) Selenium Containing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s and Method of Making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s
JP2005536595A (ja) 導電性ポリアニリンの安定な水性分散系の直接製造方法
KR101050523B1 (ko) 비닐계 또는 아크릴계 고분자 코어 및 전도성 고분자 쉘을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의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KR101269492B1 (ko) 유-무기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84913B1 (ko) 티오펜 에멀젼의 산화중합에 의한 폴리티오펜 나노입자와이의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De Paoli et al. Conductive polymer blends: preparation, properties and applications
WO2012169768A2 (ko) 다층구조의 전도성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03531B1 (ko) 폴리티오펜 또는 폴리티오펜 유도체가 전도성 유화제로둘러싸여 있는 나노입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219638B1 (ko) 전도성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KR101152287B1 (ko) 유-무기 발광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Xia et al. Transparent conducting polymers
KR100241114B1 (ko) 전기화학적 발광 디스플레이의 발광층용 고분자 조성물
KR101000496B1 (ko) 가용성 폴리(3,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 나노분말의 제조방법
KR101480635B1 (ko) 전도성 유화제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전도성 나노입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35690A (ko) 전도성 수분산성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