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7012B1 - 지주식 부방파제 - Google Patents

지주식 부방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012B1
KR100867012B1 KR1020070047994A KR20070047994A KR100867012B1 KR 100867012 B1 KR100867012 B1 KR 100867012B1 KR 1020070047994 A KR1020070047994 A KR 1020070047994A KR 20070047994 A KR20070047994 A KR 20070047994A KR 100867012 B1 KR100867012 B1 KR 100867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body
floating
breakwater
guide
s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7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수
안동근
김현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to KR1020070047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70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주식 부방파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식 부방파제는 해저면에 하부단이 고정되는 일정높이의 수직부재를 복수개 구비하는 지주부 ; 상기 수직부재와 대응하는 영역에 복수개의 안내배치부를 구비하고, 밀폐된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부상체부 ; 및 상기 안내배치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부재를 따라 상기 부상체부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상체부의 움직임을 상하방향의 운동변위만으로 제한하면서 좌우방향의 운동변위를 억제하여 소파능력 및 파랑 제어능력을 향상시키고, 부상체부의 상부공간에 대한 활용도를 높이고, 이상기후발생시 부상체부를 해수면으로부터 상승대피시킬 수 있다.
Figure R1020070047994
부방파제, 부상체, 안내배치부, 지주부, 수직부재, 부체승하강부, 연결판

Description

지주식 부방파제{Pile Type Floating Breakwater}
도 1는 일반적인 중력식 방파제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a)는 혼성방파제이고,
b)는 경사방파제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식 부방파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식 부방파제에 채용되는 안내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식 부방파제에 채용되는 안내부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원형 중공파이프에 안내부가 구비되는 단면도이고,
(b)는 사각 중곡파이프에 안내부가 구비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식 부방파제에 채용되는 연결판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식 부방파제에 채용되는 부체승하강부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부체승하강부의 분해사시도이고,
(b)는 부체승하강부의 작동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지주부 12 : 수직부재
20 : 부상체부 22 : 안내배치부
30 : 안내부 32 : 안내롤러
34 : 회전지지축 40 : 연결판
50 : 부체승하강부 52 : 구동모터
본 발명은 지주식 부방파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부상체부의 움직임을 상하방향의 운동변위만으로 제한하면서 좌우반향의 운동변위를 억제하여 소파성능 및 파랑 제어능력을 향상시키고, 부상체부의 상부공간에 대한 활용도를 높이며, 이상기후발생시 부상체부를 상승 대피시켜 설비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지주식 부방파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파제는 항만시설이나 선박을 외해의 파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외곽시설로서 크게 구조상 사석(블록) 방파제, 직립 방파제, 혼성 방파제, 소파블록 피복식 혼성 방파제및 경사 방파제등과 같은 해저에 고정되는 중력식 구조물이다.
이러한 종래 중력식 방파제중 혼성 방파제(100)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저면(B)에 견고하게 지지되며 해수에 잠겨져서 해저수의 흐름을 차단하여 주 는 하부 구조물인 사석 마운드(110)와, 상기 사석 마운드(110)의 상부면에 지지되며 그 상부 일부가 해수 표면위로 돌출되어 해수면(T)을 따라 전달되어 오는 파랑 에너지를 흡수하여 주는 상부 구조물인 케이슨(120)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상기 소파블록 피복식 혼성 방파제는 상기 케이슨(120)의 전면에 이형블록(미도시)을 설치하여 소파기능을 갖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경사 방파제(200)는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단이 해저면(B)에 견고하게 지지되고, 좌우 양측면이 일정 각도로 경사진 사석 마운드(210)와, 해수면(T)상에 노출되도록 상기 사석 마운드(21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캡(220)으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중력식 방파제는 그 하부 구조물인 사석 마운드(110)(210)가 깊은 부분의 해수 흐름을 차단하여 해수가 항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고 상부구조물인 케이슨(120)은 해수면을 따라 전달되어 오는 파랑 에너지를 차단하여 방파기능을 수행하여 주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상기 중력식 방파제는 해저면에서 해수표면위까지 일체로 구축되는 구조물이기 때문에 그 구조물이 안정성이 있고 항내 정온도(靜穩度)를 충분히 유지하여 선박들을 안전하게 정박시켜 주는 장점을 가지는 것은 사실이나, 해수의 과도한 차단으로 항내의 해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항내 수질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중력식 방파제는 조석간만의 차가 큰 지역에서는 만조위시를 기준으로 하여 상부구조물을 설치해야만 하기 때문에 간조위시에는 상부 구조물의 높이가 필 요이상으로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하부 구조물를 해저면에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서는 과도한 양의 준설 및 재료의 증가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수중공사로 인해 공사여건이 좋지 않아서 공사가 지연되고 공사비가 급격히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중력식 방파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해수면에 부상체를 띄우고 이를 체인이나 케이블을 매개로 해저면에 고정함으로서 외해로부터 내해측으로 밀려오는 파랑를 반사시키거나 소멸시키는 부방파제가 알려져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4-0100524호(공개일 2004.12.02.)에는 해수면에 부상되는 부방파제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부방파제는 현수형상의 유동적 체인이나 케이블에 의해서 계류되어 지지되어 부상체부의 부체동요에 대하여 비교적 움직임이 자유롭기 때문에 외부의 외력에 대한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기능을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부상체부가 설치되는 해수면의 변화가 큰 경우, 이에 수반하여 해수면의 높이변화에 따라 부상체부의 상하운동 변위량도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고, 파랑에너지에 의해서 부상체부의 좌우운동 변위량 및 롤링 변위량도 크게 나타나기 때문에 파랑을 제어하는 능력 및 파도에너지를 저감시키는 소파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부상체부의 상하, 좌우, 롤링 및 전후운동방향의 변위량이 커지면, 부방파제 및 이에 설치된 시설물에 대한 관리가 어렵고, 부방파제의 상부공간에 대한 활용도가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방파제의 움직임에 대한 자유도가 너무 높기 때문에 해수면에 설치된 부방파제에 대한 주기적으로 정렬관리가 요구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폭풍,태풍 및 해일과 같은 이상기후 발생시 계류라인에 계류된 부상체부를 해수면으로부터 안전하게 대피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계류라인의 파단시 부상체부가 고파랑에 표류하여 떠다니면서 다른 구조물에 충격을 가하게 되는 2차피해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써, 지주식 부방파제는 해저면에 하부단이 고정되는 복수의 수직부재로 구성되는 지주부와; 수직부재가 결합되는 안내부가 구비되고, 밀폐된 내부공간이 구비되어 해수의 부력에 의해 수직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부상체부와; 이상 기후 발생시 부상체부를 해수면으로부터 대피시키기 위해 부상체부를 선택적으로 승하강시킬수 있도록, 부상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부체승하강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부체승하강부는 수직부재의 외부면에 구비되는 피동기어와; 피동기어에 기어물림되는 구동기어가 구비되는 구동모터와; 구동기어가 구비되는 구동모터가 장착되며, 구동기어가 피동기어에 선택적으로 맞물리어 부상체부를 승하강시키도록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안내블록; 및 부상체부에 구비되며, 상부안내블록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부안내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수직부재는 상부단에 부상체부의 상부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부상체부는 안내배치부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안내부는 안내배치부의 내부면에 고정설치되는 중공형 사각박스와, 상기 사각박스의 내부면에 설치되는 롤러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수직부재의 외부면에 외접하는 복수개의 안내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안내롤러는 롤러브라켓의 내부면에 형성된 조립홈에 조립되는 조립턱을 구비하는 내부브라켓에 회전지지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사각박스는 상부단과 하부단에 상기 수직부재가 관통하는 관통하는 관통공을 각각 형성하는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사각박스는 외부면에 제1나사공을 형성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돌출부와 대응하는 안내배치부의 내부면에는 상기 제1나사공과 일치되어 체결부재로서 체결되는 제2나사공을 형성한 결합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른 한편, 부상체부는 인접하는 다른 부상체부와 연결되는 연결판을 추가 포함하고, 연결판의 일단은 부상체부의 상부면 일측단에 힌지부재를 매개로 연결되고, 연결판의 타단에는 인접하는 다른 부상체부의 상부면에 접하는 접촉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삭제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식 부방파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부방파제(1)는 지주부(10), 부상체부(20) 및 안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주부(10)는 일정높이를 갖는 수직부재(12)를 복수개 구비하고, 상기 수직부재(12)는 하부단이 해저면에 고정되는 고정 구조물이다.
이러한 수직부재(12)는 내부공간이 비어 있는 중공형 강관 파이프부재로 구비되며, 그 내부는 강성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도록 콘크리트와 같은 충진재(12a)가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부재(12)는 도 4(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원통형 또는 사각원통형으로 구비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 또는 오각형과 같은 다각형태의 중공파이프부재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수직부재(12)의 상부단에는 상기 부상체부(20)의 상부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부상체부(20)가 간섭되어 걸리는 스토퍼(15)를 추가하여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재(12)는 부방파제가 설치되는 수심깊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해저구조물에 지지되는바, 이러한 해저 구조물은 수심이 깊은 곳에서 상기 수직부재(12)의 수직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수직부재(12)사이에 복수개의 강재(14)들을 서로 엇갈리게 고정하는 재킷(jacket)파일 형식의 래티스(Lattice) 구조 또는 해저면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인 케이슨 구 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심이 얕은 곳에 구비되는 해저구조물은 상기 수직부재(12)의 수직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중력식 교각기초구조, 파일구조 및 케이슨 기초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상체부(20)는 해수면에 뜰 수 있도록 내부에 밀폐된 내부공간을 갖는 직육면체상의 강재구조물이며, 이러한 부상체부(20)에는 상기 수직부재(12)와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안내부(30)가 배치되는 안내배치부(22)를 복수개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안내배치부(22)는 부상체부(20)의 각 모서리부에 외측으로 개방되는 형태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부상체부의 내측에 외측으로 개방되지 않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부상체부(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판(20a,20b), 전,후면 밀폐판(20c) 및 측판으로 이루어져 해수면 위로 뜰 수 있도록 내부에 밀폐공간을 갖는 부상체가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상체부(20)의 내부면에는 복수개의 보강재(20d)가 구비되며, 상기 부상체부(20)의 내부에는 밀폐공간을 분할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내부밀폐판(20e)을 구비한다.
상기 상,하판은 상하 일정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장방형의 판재이고, 상기 측판은 상기 상,하판의 좌우양측 테두리와 상,하단이 서로 직교하도록 용접 또는 체결방식으로 좌우 양측벽을 구성하는 장방형의 용접구조용 강판재이다.
상기 전,후면 밀폐판은 상기 상,하판과 측판의 연결에 의해서 형성되는 사각단면상의 내부공간의 전,후면을 밀폐하도록 연결되는 용접구조용 강판재이다.
이에 따라, 상기 부상체부(20)가 2개 이상의 부상체로 구성되는 경우, 전방 부상체의 후면 밀페판과 후방 부상체의 전면밀폐판은 서로 다른 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공동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부(30)는 상기 부상체부(20)의 안내배치부(22)마다 각각 설치되어 해저면에 하부단이 위치고정되는 고정구조물인 수직부재(12)를 따라 이동대상물인 부상체부(20)의 상하이동을 해수면의 높이변화에 맞추어 안내하는 것이다.
이러한 안내부(3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박스(31), 안내롤러(32) 및 롤러브라켓(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바, 상기 사각박스(31)는 상기 안내배치부(22)의 내부면에 별도의 체결부재로서 교체가능하게 고정설치되는 박스구조물이며, 상기 안내롤러(32)는 상기 수직부재(12)의 외부면에 외접하는 롤러부재이고, 상기 롤러브라켓(33)은 상기 사각박스(31)의 내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롤러(32)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ㄷ'단면상의 구조물이다.
여기서, 상기 롤러브라켓(33)은 4개의 수직판으로 이루어지는 사각박스의 내부면에 용접 또는 체결방식으로 고정설치되며, 상기 사박박스(31)의 내부면에는 박스형태의 구조물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보강용 수평벽체(31a)를 복수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안내롤러(32)는 상기 롤러브라켓(33)으로부터 분리하여 새로운 것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롤러브라켓(33)에 교체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 직하다.
상기 안내롤러(32)는 'ㄷ'단면상의 내부브라켓(35)에 회전지지축(34)을 매개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내부브라켓(35)은 상기 롤러브라켓(33)의 내부면에 형성된 조립홈(33a)으로 삽입되어 조립되는 조립턱(35a)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조립홈(33a)의 하부단에는 상기 내부브라켓(35)의 하부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조립터(35a)의 하부단이 걸리는 이탈방지용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안내롤러(32)의 교체작업은 상기 롤러브라켓(33)에 조립된 내부브라켓(35)을 외부로 분리한 다음 새로운 안내롤러(32)가 장착된 내부브라켓(35)을 롤러브라켓(33)에 재장착하는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사각박스(31)의 상부단과 하부단에는 상기 사각박스(31)의 내부에 설치된 부품을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상,하부커버(38,39)를 각각 구비한다.
이러한 상,하부커버(38,39)에는 상기 수직부재(12)가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부재(12)의 외경크기보다 큰 내경크기를 갖는 관통공(38,39a)을 각각 관통형성한다.
한편, 상기 사각박스(31)는 외부면에 제1나사공(36a)을 형성하는 돌출부(36)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36)와 대응하는 안내배치부(22)의 내부면에는 상기 제1나사공(36a)과 일치되는 제2 나사공(37a)을 형성한 결합부(37)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부(36)와 결합부(37)의 중첩에 의하여 겹쳐지는 제 1,2 나사공(36a,37a)을 통하여 체결부재(B)를 체결하게 되면, 상기 사각박스(31)는 상기 부상체부(20)에 구비되는 안내배치부(22)에 교체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37)는 상기 안내배치부(22)의 내부면에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된 요홈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상체부(20)는 도 2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다른 부상체부(20')와 연결되는 연결판(40)을 구비함으로서 부상체부(20)와 인접하는 부상체부(20)간의 인적, 물적 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연결판(40)은 일단이 상기 부상체부(20)의 상부면 일측단에 힌지부재(41)를 매개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판부재이고, 상기 연결판(40)의 타단에는 상기 인접하는 다른 부상체부(20')의 상부면에 접하는 접촉부재(42)를 갖추어 상기 부상체부(20)와 인접하는 다른 부상체부(20')간의 높이차에 관계없이 항상 연결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힌지부재(41)가 구비되는 연결판(40)의 일단은 상기 부상체부(20)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단이고, 상기 접촉부재(42)가 구비되는 연결판(40)의 타단은 상기 인접하는 부상체부(20')의 상부면에 접하여 이동가능한 자유단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접촉부재(42)는 상기 연결판(40)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부상체부(20)와 다른 부상체부(20')간의 높이차 발생시 상기 부상체부(20')의 상부면에 접하여 회전되는 롤러부재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슬라이딩 패드로 구비되어 마찰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슬라이딩이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부상체부(20)는 도 6(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풍이나 태풍과 같은 이상 기후발생시 해수면으로 부터 중량물인 부상체부(20)를 일정높이 인위적으로 승강시키고, 하강시킬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는 부체승하강부(5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부체승하강부(50)는 상기 수직부재(12)의 외부면에 구비되는 피동기어(16)와 기어물림되는 구동기어(56)를 구동축 선단에 구비하는 구동모터(52)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동모터(52)는 충전지 또는 태양전지와 같은 전원인가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인가시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재이며, 상기 구동모터(52)의 구동축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부재(12)에 형성된 피동기어(16)와 기어물림되는 구동기어(56)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52)는 상기 부상체부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하부안내블록(55)에 대하여 수평이동이 가능한 상부안내블록(57)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부 안내블록(55)은 상기 부상체부(20)의 상부면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상부 안내블록(57)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안내턱이나 안내홈과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피조립물을 상기 부상체부(20)에 구비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태풍과 같은 이상기상 발생시 상기 부상체부(20)를 해수면으로부터 인위적으로 일정높이 상승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구동모터(52)가 구비된 상부안내블록(57)을 상기 수직부재(12)측으로 수평이동시켜 구동기어(56)와 피동기아(16)간의 기어물림이 이루어진 후 상기 구동모터(52)를 회전구동시킨다.
본 발명의 부방파제(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밀폐된 공간을 구비하는 부상체부(20)가 해수면(T1)상에 몸체일부가 항상 노출되도록 부유된다.
이러한 부상체부(20)의 각 모서리부에 형성된 안내배치부(22)에는 복수개의 안내롤러(32)를 구비하는 안내부(30)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부(30)에는 해저면에 하부단이 고정된 수직부재(12)가 각각 배치되고, 상기 안내롤러(32)는 도 3과 도 4(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부재(12)의 외부면과 외접하여 롤러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해수면에 떠 있는 부상체부(20)는 해수면이 높아지거나 낮아지면, 상기 수직부재(12)에 외접하는 안내롤러(32)에 의해서 상기 부상체부(20)는 수직부재(12)를 따라 수직방향인 상하방향으로만 운동변위가 제한되면서 부유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외해로부터 발생된 파랑이 내해측으로 밀려오면서 상기 부상체부(20)에 부딪히게 되면, 파랑 에너지는 상기 부상체부(20)의 외부면과의 충돌에 의해서 감소되고, 수면상부에서 원운동을 하는 물입자 운동의 구속 억제력이 높아져 부상체부를 통과하는 투과율을 낮추게 된다.
한편, 상기 부방파제(1)는 물입자의 원호운동으로 인해 부상체부(20)에 작용 하는 수평력에 의해서 스웨이(Sway)운동을 유발하게 되지만, 상기 부상체부(20)는 수직부재(12)에 의해서 상하방향의 운동변위만 발생되도록 제한되기 때문에 상기 부상체부(20)의 롤링변위,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의 흔들림은 발생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해수면의 높이가 조석간만의 차이에 의해서 상승되거나 하강되면, 해수면에 부유되어 있는 부상체부(20)는 안내부(30)에 설치된 안내롤러(32)가 수직부재(12)의 외부면에 외접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해수면의 높이변화에 따라 상하이동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부상체부(20)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다른 부상체부(20')와 연결되는 연결판(40)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판(40)은 일단에 구비된 힌지부재(41)가 상기 부상체부(20)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연결판(40)의 타단에 구비되는 접촉부재(42)는 상기 인접하는 부상체부(20')의 상부면에 접하여 이동가능한 자유단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부상체부(20)와 이에 인접하는 부상체부(20')간의 높이차가 발생하여도 이들 사이의 연결상태를 항상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부상체부(20,20')의 상부에서 이루어지는 인적, 물적 이동을 보다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하고, 부상체부의 상부공간에 대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부방파제(1)에는 도 6(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상조건에 따라 부상체부(20)를 인위적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는 부체승하강부(50)를 구비하는바, 폭풍, 태풍과 같은 이상 기후발생시 부상체부(20)를 해수면으로부터 인위적으 로 일정높이 상승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구동모터(52)가 구비된 상부안내블록(57)을 상기 수직부재(12)측으로 수평이동시켜 구동기어(56)와 피동기어(16)간의 기어물림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52)에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서 상기 구동기어(56)를 정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면, 상기 수직부재(12)에 구비되는 피동기어(16)와 상기 구동기어(56)간의 기어물림에 의해서 상기 부상체부(20)는 수직부재(12)를 따라 일정높이 상승되고, 상기 구동모터(52)의 구동이 중단되면 상승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상기후시 중량물인 부상체부(20)를 해수면으로 부터 일정높이 인위적으로 승강시켜 대피시킴으로서 파력에 의한 부방파제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해수면상에 몸체일부가 부유되는 부상체부가 해저면에 하부단이 고정된 수직부재를 따라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함으로서 부방파제의 운동변위를 상하방향으로 제한하기 때문에 부방파제의 전후, 좌우방향 의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수면상부에서 원운동을 하는 물입자 운동의 구속억제력이 높아져 투과율을 저감시키고, 소파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부상체부와 인접하는 부상체부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판을 구비함으로서 부상체부간의 높이차에 관계없이 연결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부방파제의 상부공간에서 물적, 인적 교류를 안정적으로 보장하고,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부상체부를 일정높이 상승시킬 수 있는 부체승하강부를 구비함으로서, 이상기후발생시 중량물인 부상체부를 해수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상승시켜 대피시킬 수 있기 때문에, 파력에 의하여 부방파제가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Claims (8)

  1. 해저면에 하부단이 고정되는 복수의 수직부재로 구성되는 지주부와;
    상기 수직부재가 결합되는 안내부가 구비되고, 밀폐된 내부공간이 구비되어 해수의 부력에 의해 수직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부상체부와;
    이상 기후 발생시 상기 부상체부를 해수면으로부터 대피시키기 위해 상기 부상체부를 선택적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부체승하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부체승하강부는
    상기 수직부재의 외부면에 구비되는 피동기어와;
    상기 부상체부에 구비되는 안내블록에 의해 선택적인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며, 안내블록에 의한 이동에 의해 상기 피동기어와 선택적으로 기어물림이 이루어지는 구동기어가 구비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식 부방파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70047994A 2007-05-17 2007-05-17 지주식 부방파제 KR100867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994A KR100867012B1 (ko) 2007-05-17 2007-05-17 지주식 부방파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994A KR100867012B1 (ko) 2007-05-17 2007-05-17 지주식 부방파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5961A Division KR100867016B1 (ko) 2008-09-01 2008-09-01 지주식 부방파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7012B1 true KR100867012B1 (ko) 2008-11-10

Family

ID=40283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7994A KR100867012B1 (ko) 2007-05-17 2007-05-17 지주식 부방파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701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249B1 (ko) * 2008-10-31 2011-03-31 이정상 수위에 따라 자동 높이가 조절되는 방파제 및 방파제 겸용 계류장
KR20160073441A (ko) * 2014-12-16 2016-06-2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안침식 2중 방지형 해안 구조물
KR20160075034A (ko) * 2014-12-19 2016-06-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양 구조물의 지지구조물
KR20160124340A (ko) * 2015-04-17 2016-10-27 덴버코리아이엔씨 주식회사 해양오염방지시스템
KR101838724B1 (ko) * 2015-02-27 2018-03-14 우도영 친환경 수상구조물
CN109295917A (zh) * 2017-07-25 2019-02-01 万达商业规划研究院有限公司 兼顾美观和稳定性的隐蔽式浮码头及其定位方法
KR20220023253A (ko) * 2020-08-20 2022-03-02 (주) 백건준설 준설 작업용 부선
JP7300218B1 (ja) 2022-07-19 2023-06-29 富士海事工業株式会社 係留設備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5710A (ja) * 1989-10-09 1991-05-29 Hachiro Naka 浮消波装置
JPH1025726A (ja) * 1996-07-11 1998-01-27 Mitsubishi Heavy Ind Ltd 透過型消波構造物
JPH10266158A (ja) * 1997-03-25 1998-10-06 Shimizu Corp 浮き消波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5710A (ja) * 1989-10-09 1991-05-29 Hachiro Naka 浮消波装置
JPH1025726A (ja) * 1996-07-11 1998-01-27 Mitsubishi Heavy Ind Ltd 透過型消波構造物
JPH10266158A (ja) * 1997-03-25 1998-10-06 Shimizu Corp 浮き消波堤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249B1 (ko) * 2008-10-31 2011-03-31 이정상 수위에 따라 자동 높이가 조절되는 방파제 및 방파제 겸용 계류장
KR20160073441A (ko) * 2014-12-16 2016-06-2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안침식 2중 방지형 해안 구조물
KR101673473B1 (ko) * 2014-12-16 2016-11-0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안침식 2중 방지형 해안 구조물
KR101711446B1 (ko) * 2014-12-19 2017-03-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양 구조물의 지지구조물
KR20160075034A (ko) * 2014-12-19 2016-06-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양 구조물의 지지구조물
KR101838724B1 (ko) * 2015-02-27 2018-03-14 우도영 친환경 수상구조물
KR20160124340A (ko) * 2015-04-17 2016-10-27 덴버코리아이엔씨 주식회사 해양오염방지시스템
KR101698960B1 (ko) * 2015-04-17 2017-02-02 덴버코리아이엔씨 주식회사 해양오염방지시스템
CN109295917A (zh) * 2017-07-25 2019-02-01 万达商业规划研究院有限公司 兼顾美观和稳定性的隐蔽式浮码头及其定位方法
KR20220023253A (ko) * 2020-08-20 2022-03-02 (주) 백건준설 준설 작업용 부선
KR102379129B1 (ko) * 2020-08-20 2022-03-25 (주)백건준설 준설 작업용 부선
JP7300218B1 (ja) 2022-07-19 2023-06-29 富士海事工業株式会社 係留設備
JP2024012760A (ja) * 2022-07-19 2024-01-31 富士海事工業株式会社 係留設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7012B1 (ko) 지주식 부방파제
US7744310B2 (en) Hydrostatically operated variable height bulkhead
CA2980959C (en) Gravity-based foundation for the installation of offshore wind turbines
CN111088780A (zh) 一种浮箱式横移挡潮闸闸门结构
CN111827201A (zh) 一种组合式防波堤
EP3748085A1 (en) Flood barrier
EP1456479B1 (en) Flexible water gate
JP4936262B1 (ja) ユニット堤体及びこれを用いた堤防
JP6768611B2 (ja) 防潮堤
JP6492340B2 (ja) 非常用防護装置
CN109736261B (zh) 港口防波堤与海上阻水坝及其安装方法
KR100952910B1 (ko) 부양식 수문 독 및 그의 선박 건조방법
KR100609095B1 (ko)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
JP7292111B2 (ja) 波力発電装置
CN111893946A (zh) 一种移动式防浪码头
KR101402763B1 (ko) 수상시설용 롤링피칭 감쇠장치
CN211571644U (zh) 一种浮箱式横移挡潮闸闸门结构
KR100867016B1 (ko) 지주식 부방파제
KR100973090B1 (ko) 교량 보호용 선박 통행유도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85915B1 (ko) 부유식 수상 구조물의 시공구조
KR20140022999A (ko) 반잠수식 드릴링 유닛의 애지머스 스러스터 설치방법
JPH10266158A (ja) 浮き消波堤
KR102495853B1 (ko) 파일형 유동방지유닛을 가지는 다기능 부유체
CN214656752U (zh) 一种漂浮式防波堤
KR100563654B1 (ko) 강재 부방파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