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446B1 - 해양 구조물의 지지구조물 - Google Patents

해양 구조물의 지지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1446B1
KR101711446B1 KR1020140184460A KR20140184460A KR101711446B1 KR 101711446 B1 KR101711446 B1 KR 101711446B1 KR 1020140184460 A KR1020140184460 A KR 1020140184460A KR 20140184460 A KR20140184460 A KR 20140184460A KR 101711446 B1 KR101711446 B1 KR 101711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cket
leveling
pinion gear
le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4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5034A (ko
Inventor
엄기성
최재권
정재훈
함형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4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1446B1/ko
Publication of KR20160075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5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4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2B17/08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for raising or lowe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52Submerged foundations, i.e. submerged in open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7Offshore wind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켓 타입의 지지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구조물은 해양 구조물을 지지하고, 레그를 포함하는 자켓부; 레그가 삽입되어, 자켓부를 지지하는 파일부; 및 파일부에 삽입된 레그와 파일부 사이에 배치된 레벨링부를 포함하되, 레벨링부는 레그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몸체부와 몸체부 내에 배치되어, 톱니를 노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피니언 기어부를 포함하고, 레그는, 외주면에 배치되고, 레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랙 기어부를 포함하되, 랙 기어부와 피니언 기어부는 서로 맞물린다.

Description

해양 구조물의 지지구조물{SUPPORTING STRUCTURE FOR MARINE STRUCTURE}
본 발명은 해양 구조물의 지지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자켓 타입의 지지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 구조물의 지지구조물은 해상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상부 구조물과 대부분 해수면 아래에 잠겨있는 하부 구조(sub structure), 해저면 아래의 지반에 고정되는 지반 구조(foundation)로 구성되며, 상부의 고하중의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러한 지지구조물이 사용되는 일 예를 들면, 해상에 설치되어 발전을 하는 해상 풍력발전기를 들 수 있으며, 해상 풍력 발전기는 크게 발전기의 구성물과 지지구조물로 나눌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지지구조물은 타워와 같은 상부 구조물, 하부 구조, 지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발전기의 구성물은 블레이드, 허브, 나셀 등으로 구성되어 바람의 운동에너지를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한 기계 에너지로 변환하여 전기를 생산하며, 지지구조물은 발전기 구성물이 안전하게 지지구조물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구조물은 육상에서의 풍력 발전기와는 달리 다양한 해상 환경 하중을 받기 때문에 해상 환경 하중을 견디며 풍력 발전기의 발전기 구성물(나셀, 허브 등)을 안정하게 지탱해주어야 하므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해상 지지구조물에는 모노파일(mono pile) 타입, 트라이포드(tri-pod) 타입, 자켓(jaket) 타입, 중력(gravity based) 타입 등 다양한 형식의 지지구조물이 있으며, 모노파일 타입은 현재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지지구조물이다.
모노파일 타입은 해저면에 대구경의 파일을 뚫어 고정하는 방식으로, 대단위 단지의 경우 경제성이 뛰어나지만,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터빈 용량이 커지고, 이에 따라 모노파일에 대한 구경이 커지는 점이 있다.
한편, 자켓 타입은 수심 20~80m에 설치 가능하며 대수심 해양에 사용하는 구조물이고, 널리 사용되고 있어, 신뢰성이 높다.
일반적으로, 자켓 구조물의 상단부에는 플랫폼이 설치되고, 상단 플랫폼에 자켓 구조물의 하단부까지는 대략 3 내지 4도의 경사를 이루는 4개의 레그(leg)가 설치된다. 그리고, 자켓 구조물 주위에는 상기 자켓 구조물을 해저에 고정하기 위한 파일(pile)이 설치된다. 상기 파일을 통해 자켓 구조물을 고정 시킨 후, 해저에 고정시킴으로써 자켓 구조물에 대한 설치가 완료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 방법을 통해 자켓 구조물을 해저에 고정시키는 것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자켓 구조물 하부의 해저 지형상태에 따라 자켓 구조물이 초기 설계된 위치와 다를 경우, 파일의 높낮이를 조정하여 자켓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자켓 구조물의 수평도를 맞추는 작업 즉, 레벨링(leveling) 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즉, 해상 크레인이 자켓 구조물을 매달고 있는 상태에서, 다이버가 바닷속으로 들어가 해저 지형을 고려하여 자켓 레벨링 하는 종래의 방법은 매우 불편하고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나아가, 숙련도를 요구하는 다이버를 통해 작업이 이루어짐으로써 비용이 증가하여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자켓 구조물의 레벨링을 간이하고 경제적으로 할 수 있는 지지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구조물은 해양 구조물을 지지하고, 레그를 포함하는 자켓부; 상기 레그가 삽입되어, 상기 자켓부를 지지하는 파일부; 및 상기 파일부에 삽입된 레그와 상기 파일부 사이에 배치된 레벨링부를 포함하되, 상기 레벨링부는 상기 레그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내에 배치되어, 톱니를 노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피니언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는, 외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레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랙 기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랙 기어부와 상기 피니언 기어부는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상기 파일부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레벨링부를 받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부는 상기 피니언 기어부에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부는 복수 개의 피니언 기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피니언 기어부는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구조물은 해양 구조물을 지지하는 자켓부; 상기 자켓부를 지지하는 자켓 지지부; 상기 자켓 지지부가 삽입되고, 상기 자켓 지지부를 지지하는 파일부; 및 상기 파일부에 삽입된 자켓 지지부와 상기 파일부 사이에 배치된 레벨링부를 포함하되, 상기 레벨링부는 상기 자켓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내에 배치되어, 톱니를 노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피니언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는, 외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레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랙 기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랙 기어부와 상기 피니언 기어부는 서로 맞물릴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파일부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레벨링부를 받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부는 상기 피니언 기어부에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구조물은 해양 구조물을 지지하고, 레그를 포함하는 자켓부; 상기 레그에 삽입되고, 상기 자켓부를 지지하는 파일부; 및 상기 레그에 삽입된 파일부와 상기 레그 사이에 배치된 레벨링부를 포함하되, 상기 레벨링부는 상기 파일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내에 배치되어, 톱니를 노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피니언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부는 외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파일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랙 기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랙 기어부와 상기 피니언 기어부는 서로 맞물릴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레벨링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부는 상기 피니언 기어부에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구조물은 자켓 구조물이 포함하는 각 레그들의 높낮이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잠수부의 투입 및 크레인의 반복 작업이 없어도, 자켓 구조물의 레벨링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지지구조물은 보다 간이하고 경제적인 방법을 통하여, 레벨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구조물이 포함하는 레벨링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면에서 표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나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나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나 구성요소를 다른 소자나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나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나 구성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지지구조물(100)은 자켓부(10), 레그(20), 파일부(30) 및 레벨링부(40)을 포함한다.
자켓부(10)는 자켓 타입의 구조물 형태 즉, 골조구조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자켓부(10)의 상부에는 풍력발전 구조체와 같은 해양 구조물이 배치될 수 있다.
자켓부(10)는 자켓파일(10a)과 자켓파일(10a) 사이를 연결하여 구조를 보강하는 브레이스(10b)를 포함할 수 있다. 자켓파일(10a)는 해수면에 대하여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자켓파일(10a) 및 브레이스(10b)는 하중 감소 및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스틸(steel)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브레이스(10b)는 자켓파일(10a) 각각을 서로 연결할 수 있으나, 비용 및 효율성 측면에서 인접하는 자켓파일(10a) 사이를 연결하고,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십자 형태로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브레이스(10b)는 복수 개의 자켓파일(10a)의 거동을 일체화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자켓부(10)에 작용하는 파력 및 상부에 배치되는 해양 구조물의 하중에 대해 복수 개의 자켓파일(10a)이 일체로 저항할 수 있게 되어, 자켓부(10) 전체의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자켓파일(10a) 및/또는 브레이스(10b)는 하중 감소를 위하여, 속이 빈 원통형의 강관 등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자켓파일(10a) 하단은 레그(20)과 연결될 수 있으며, 레그(20)는 해수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레그(20)는 파일부(3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파일부(30)는 속이 빈 원통형의 강관 등일 수 있으며, 해저면(200) 하부에 매설되는 매설 영역과 해저면(200) 상부로 노출되는 노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파일부(30)는 해수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파일부(30)와 파일부(30) 내로 삽입된 레그(20) 사이에는 레벨링부(40)가 배치될 수 있다. 레벨링부(40)가 배치된 영역에서, 레그(20)과 파일부(30)는 도면에 점선으로 도시된 높이조절영역(A)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높이조절영역(A)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3은 상기 지지구조물이 포함하는 레벨링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를 통하여, 도 1의 높이조절영역(A) 내에서의 레그(20), 파일부(30) 및 레벨링부(40)의 구성과 레그(20)의 높이조절방법을 설명한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레그(20)는 파일부(30)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레벨링부(40)는 피니언 기어부(pinion gear)(40a), 몸체부(40b), 힌지(40c), 기어축(40d) 및 체결부(40e)를 포함할 수 있다.
레그(20)의 표면에는 피니언 기어부(40a)와 대응되어 맞물릴 수 있는 랙 기어부(rack gear)(20a)가 배치될 수 있다. 랙 기어부(20a)는 레그(2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톱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랙 기어부(20a)의 배치 길이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파일부(30)은 레벨링부(40)와 레그(20)의 하중을 받칠 수 있는 지지부(30a)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30a)는 레벨링부(40)를 받칠 수 있으며, 레벨링부(40)는 랙 기어부(20a)와 맞물린 피니언 기어부(40a)를 통해, 레그(2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벨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레벨링부(40)가 포함하는 피니언 기어부(40a)의 회전을 통하여, 레그(20)의 랙 기어부(20a)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레그(20)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하나의 레그(20)를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레벨링부(40)는 자켓부(10)와 연결되는 복수 개의 레그(20)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레벨링부(40)를 통해, 각 자켓파일(10a)과 연결된 각 레그(2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자켓부(10)의 레벨링을 전체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도 3의 (a)는 레벨링부(40)가 부착된 상태를, 도 3의 (b)는 레벨링부(40)가 탈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레벨링부(40)는 힌지(40c) 및 체결부(40e)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레그(20)와 용이한 탈부착이 가능하다.
레벨링부(40)는 몸체부(40b) 내에 기어축(40d)을 통하여 피니언 기어부(40a)를 고정시킬 수 있다. 피니언 기어부(40a)는 몸체부(40b) 밖으로 톱니를 노출시킬 수 있고, 노출된 톱니는 레그(40)의 랙 기어부(40a)와 맞물릴 수 있다. 피니언 기어부(40a)는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각 피니언 기어부(40a)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몸체부(40b)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4개의 피니언 기어부(40a)가 상하좌우로 배치된 것을 도시하였다. 이 경우, 레벨링부(40)는 레그(20)에 동력을 골고루 전달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피니언 기어부(40a)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피니언 기어부(40a) 각각은 도시된 바와 같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 개의 피니언 기어부(40a) 각각은 해수면에 대하여,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레벨링부(40)는 레그(20)와 함께 파일부(30) 내에 삽입되므로, 파일부(3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레그(20)를 감싸는 레벨링부(40)는 파일부(30) 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레벨링부(40)의 형상이 원형인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레벨링부(40)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레벨링부(40)는 동력 공급부를 일체로 또는 별개의 구성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공급부는 레벨링부(40)가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피니언 기어부(40a)에 동력을 공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레그(20)가 파일부(30) 내에 삽입되는 대신에, 자켓 지지부(50)가 삽입되는 것을 제외하고, 도 2에 따른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파일부(30) 내에 자켓 지지부(50)가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켓 지지부(50)는 상부에 지지판(50b)을 포함하고, 측면에는 랙 기어부(50a)를 포함할 수 있다.
자켓 지지부(50) 또는 자켓 지지부(50)가 포함하는 지지판(50b) 상에 자켓부(10)이 배치될 수 있다. 자켓 지지부(50) 상에 지지판(50b)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지지판(50b)은 레그(20) 말단의 단면적보다 넓은 상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지판(50b)는 자켓부(10)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대적으로 가벼운 자켓 지지부(50)를 통해 레벨링을 수행한 후에, 자켓부(10)를 자켓 지지부(50) 상에 크레인을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레벨링 시에 상대적으로 적은 동력을 소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파일부(30)와 레벨링부(40)가 결합되어, 레그(20) 내에 삽입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2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레그(20)는 지지부(20b)를 포함하고, 지지부(20b) 하부에 레벨링부(40)이 배치될 수 있다. 파일부(30)은 랙 기어부(30b)를 포함하며, 랙 기어부(30b)는 레벨링부(40)의 피니언 기어부(40a)와 맞물릴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레벨링부(40)가 파일부(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랙 기어부(30b)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상하로 이동하는 레벨링부(40)를 통해, 지지부(20b)를 통해 레그(20)로 동력이 전달되어, 레그(20)의 상하방향 이동이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자켓부
10a: 자켓파일
10b: 브레이스
20: 레그
20a, 50a: 랙 기어부
30: 파일부
40: 레벨링부
40a: 피니언 기어부
50: 자켓 지지부
100: 지지구조물
200: 해저면

Claims (4)

  1. 해양 구조물을 지지하고, 레그를 포함하는 자켓부;
    일부가 해저면 하부에 매설되며 해저에서 상기 레그가 삽입되어 상기 자켓부를 지지하는 파일부; 및
    해저에서 상기 파일부에 삽입된 레그와 상기 파일부 사이에 배치된 레벨링부를 포함하되,
    상기 레벨링부는 상기 레그를 감싸고, 힌지를 중심으로 움직일 수 있는 한 쌍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내에 배치되어, 톱니를 노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피니언 기어부, 상기 한 쌍의 몸체부를 회전식으로 연결하는 상기 힌지 및 상기 한 쌍의 몸체부를 서로 마주보도록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는, 외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레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랙 기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랙 기어부와 상기 피니언 기어부는 서로 맞물린 지지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부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레벨링부를 받치는 지지구조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부는 상기 피니언 기어부에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지지구조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부가 복수 개의 피니언 기어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피니언 기어부는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된 지지구조물.
KR1020140184460A 2014-12-19 2014-12-19 해양 구조물의 지지구조물 KR101711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460A KR101711446B1 (ko) 2014-12-19 2014-12-19 해양 구조물의 지지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460A KR101711446B1 (ko) 2014-12-19 2014-12-19 해양 구조물의 지지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5034A KR20160075034A (ko) 2016-06-29
KR101711446B1 true KR101711446B1 (ko) 2017-03-02

Family

ID=56365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4460A KR101711446B1 (ko) 2014-12-19 2014-12-19 해양 구조물의 지지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14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234B1 (ko) * 2016-12-05 2018-06-15 현대건설주식회사 해상구조물용 석션 버켓 기초 및 이를 포함하는 해상구조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8831A (ja) * 2004-07-14 2006-02-02 Taisei Corp ジャケット支持高さ調整架台
KR100867012B1 (ko) * 2007-05-17 2008-11-10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지주식 부방파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080U (ko) * 2007-03-20 2008-09-24 지수용 각 다리별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테이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8831A (ja) * 2004-07-14 2006-02-02 Taisei Corp ジャケット支持高さ調整架台
KR100867012B1 (ko) * 2007-05-17 2008-11-10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지주식 부방파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5034A (ko) 201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27732B2 (ja) 浮体構造物
KR101697676B1 (ko) 수력 터빈 지지 시스템 및 방법
EP2428443B1 (en) Installation method and recovery method for offshore wind turbine
KR101189681B1 (ko) 해상용 풍력발전기의 지지장치
EP2183480A2 (en) Mountings
KR102144423B1 (ko) 반잠수식 풍력발전기 및 이의 설치 및 해체 방법
JP2011157971A (ja) 洋上風車を支持するための支持構造体
US20180030680A1 (en) Structures for offshore installations
KR101488292B1 (ko)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 시스템
KR101805482B1 (ko) 탈부착 가능한 스퍼드 캔을 갖는 잭업 플랫폼 및 잭업 플랫폼의 스퍼드 캔 탈부착 방법
US20170159260A1 (en) Offshore support structure, offshore tower installation with the offshore support structure and offshore wind power plant with the offshore tower installation
KR101422227B1 (ko) 부유식 구조물
KR20150088886A (ko) 안정화된 수력 터빈 시스템
KR101665979B1 (ko) 콘크리트 베이스를 이용한 해상풍력 지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TW202214485A (zh) 用於支撐風力渦輪機的離岸半潛式平台及離岸發電設施
KR101711446B1 (ko) 해양 구조물의 지지구조물
KR102192116B1 (ko) 스파형 풍력발전기 및 이의 설치 및 해체 방법
KR101383159B1 (ko) 암반 설치용 중력식 해상풍력 기초 슬래브
KR101843446B1 (ko) 수력 터빈 시스템
KR20130047950A (ko) 해상 풍력 발전기의 지지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
CN206971249U (zh) 一种四角套柱导管架组装风电基础
KR20130107707A (ko) 해상 풍력발전기용 하이브리드 부유식 지지구조
CN113212657A (zh) 一种自安装式海上平台
CN203336038U (zh) 一种石油管道与平台交接管件
KR101411515B1 (ko) 부유식 구조물의 스퍼드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