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5482B1 - 탈부착 가능한 스퍼드 캔을 갖는 잭업 플랫폼 및 잭업 플랫폼의 스퍼드 캔 탈부착 방법 - Google Patents

탈부착 가능한 스퍼드 캔을 갖는 잭업 플랫폼 및 잭업 플랫폼의 스퍼드 캔 탈부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5482B1
KR101805482B1 KR1020110067402A KR20110067402A KR101805482B1 KR 101805482 B1 KR101805482 B1 KR 101805482B1 KR 1020110067402 A KR1020110067402 A KR 1020110067402A KR 20110067402 A KR20110067402 A KR 20110067402A KR 101805482 B1 KR101805482 B1 KR 101805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support leg
jack
detachable
spu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787A (ko
Inventor
이철우
정이용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7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5482B1/ko
Publication of KR20130005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5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5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2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placed by lower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to the bottom, e.g. with subsequent fixing thereto
    • E02B17/021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placed by lower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to the bottom, e.g. with subsequent fixing thereto with relative movement between supporting construction and plat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4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2B17/08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for raising or lowering
    • E02B17/0836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for raising or lowering with climbing jacks
    • E02B17/0872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for raising or lowering with climbing jacks with locking pins engaging holes or cam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20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 F03D13/22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wind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20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 F03D13/25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offshore instal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56Platforms with supporting legs
    • E02B2017/006Platforms with supporting legs with lattice style supporting le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56Platforms with supporting legs
    • E02B2017/0073Details of sea bottom engaging footing
    • E02B2017/0082Spudcans, skirts or extended fee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91Offshore structures for wind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7Offshore wind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8Onshore wind turbines

Abstract

본 발명은 탈부착 가능한 스퍼드 캔을 갖는 잭업 플랫폼 및 잭업 플랫폼의 스퍼드 캔 탈부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잭업 플랫폼의 스퍼드 캔을 해상 또는 육상에서 편리하게 탈부착할 수 있게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잭업 플랫폼은, 탈부착 가능한 스퍼드 캔을 갖는 잭업 플랫폼에 있어서, 상기 잭업 플랫폼을 지지하면서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지지레그(110); 상기 지지레그(110)의 하부를 수용하여 상기 지지레그(110)를 해저면에 안착시키는 스퍼드 캔(200); 및 상기 스퍼드 캔(200)을 상기 지지레그(110)에 탈부착하는 복수개의 탈부착수단(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탈부착 가능한 스퍼드 캔을 갖는 잭업 플랫폼 및 잭업 플랫폼의 스퍼드 캔 탈부착 방법{Jack-up Platform with Attaching And Detaching Spud Can and Attaching And Detaching Method of The Spud Can}
본 발명은 탈부착 가능한 스퍼드 캔을 갖는 잭업 플랫폼 및 잭업 플랫폼의 스퍼드 캔 탈부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잭업 플랫폼의 스퍼드 캔을 해상 또는 육상에서 편리하게 탈부착할 수 있게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지속적인 화석연료의 비용증가와 화석연료에서 발생되는 해로운 가스로 인한 환경파괴, 화석연료의 고갈 및 핵발전 에너지와 관련된 잠재적인 위험으로 인해,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도록 된 태양광 발전과, 바람의 힘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도록 된 풍력 발전이 그 대안으로 요구되고 있다.
특히, 풍력 발전은 자연상태의 무공해 에너지원으로 현재의 기술에 의한 대체에너지원 중 가장 경제성이 높은 에너지원이다. 이러한 풍력발전은 바람의 힘을 전기에너지로 전환시켜 발생되는 전력을 전력계통이나 수요자에 직접 공급하는 기술로서, 이러한 풍력발전을 이용한다면 산간이나 해안 오지 및 방조제 등 부지를 활용함으로써 국토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풍력발전 시스템은 가장 유력한 대체 에너지원으로 인정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도 세계기후 변화협약과 같은 국제 환경의 변화와 유가상승, 그리고 국내사용 에너지의 96%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현실적인 문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풍력발전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높다.
특히, 풍력발전 시스템은 구조나 설치 등이 간단하여 운영 및 관리가 용이하고 무인화 및 자동화 운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최근에 도입이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최근 유가 상승, 원전 반대 등의 경제적, 환경적 상황은 에너지원으로서 풍력 발전의 수요를 촉발하고 있다.
한편, 과거에는 풍력발전 구조물들이 주로 육상에서 이루어졌으나, 풍력 자원량, 미관, 장소의 제약 등의 문제로 인해 최근에는 해상에 대규모의 풍력단지를 건설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해상에 안전하게 풍력발전 구조물을 건설하기 위해서는 높은 위치에 설치될 블레이드 및 구조물(타워)에 대한 안전한 설치 공법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풍력발전 구조물의 설치를 전담하는 전용 선박(이하, '잭업 플랫폼'이라 한다)을 운용하고 있다.
잭업 플랫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20)에 설치된 긴 지지레그(30)를 지지대로 삼아 스스로 선체(20)를 공중에 부양하여 파도의 영향을 받지 않고 해상 풍력 발진 단지에 풍력발전기(미도시)를 설치하도록 목적된 선박이다.
이러한 잭업 플랫폼(10)은 해상 발전단지의 해서 지질 구조에 따라 스퍼드 캔(spud can;50)이라는 부가적인 장치를 지지레그(30) 하단부에 장착하여 해저(60)에 설치하는데, 필요에 따라 스퍼드 캔을 탈부착을 시켜 잭업 플랫폼의 활용도를 높이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잭업 플랫폼(10)은, 스퍼드 캔(50)을 조선소에서 미리 장착(영구결속형태)하여 해상에 설치하였고, 스퍼드 캔(50)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다른 해저로 잭업플랫폼의 이동 등)에는 잭업 플랫폼(10)을 조선소로 리도킹(re-docking)시켜 영구결속형태를 해체하여 교체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는 풍력발전기의 작업 중단 및 작업 기간 증가 등으로 설치비용을 증가시켰고, 잭업 플랫폼의 이동에 따른 여러가지 위험의 발생 가능성도 높이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잭업 플랫폼의 리도킹없이 해상에서 스퍼드 캔을 설치할 풍력발전단지의 헤저 지질구조에 따라 스퍼드 캔을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잭업 플랫폼의 활용도를 높이고, 탈부착관련 장비들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작업편이성을 향상하도록 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탈부착 가능한 스퍼드 캔을 갖는 잭업 플랫폼에 있어서, 상기 잭업 플랫폼을 지지하면서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지지레그(110); 상기 지지레그(110)의 하부를 수용하여 상기 지지레그(110)를 해저면에 안착시키는 스퍼드 캔(200); 및 상기 스퍼드 캔(200)을 상기 지지레그(110)에 탈부착하는 복수개의 탈부착수단(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스퍼드 캔을 갖는 잭업 플랫폼을 제공한다.
상기 스퍼드 캔(200)은, 내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레그(11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230); 상기 스퍼드 캔(200)의 외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탈부착수단(300)의 탈부착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탈부착 작업공간(215); 및 상기 수용공간(230)과 상기 탈부착 작업공간(215)을 구분하면서 상기 스퍼드 캔(200)의 구조를 보강하는 복수개의 제2 보강부재(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공간(230)은 단을 형성하되, 상기 단을 기준으로 상부에 상기 탈부착 작업공간(215)을 형성하며; 상기 단에 걸리도록 상기 지지레그의 하부측에 단을 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부착수단(300)은, 상기 지지레그(110) 및 제2 보강부재(220)를 관통하는 시어핀(310); 및 상기 지지레그(110)의 측면 및 제2 보강부재(220)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시어핀(310)이 관통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시어핀 홀(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레그(110)에 형성된 시어핀 홀(320)의 수밀을 위해 상기 지지레그(110)의 내면 측 시어핀 홀(320)에 설치되는 수밀판(4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밀판(400)과 상기 지지레그(11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레그(110)의 구조를 보강하되, 상기 시어핀(310)이 관통될 수 있는 시어핀 홀(320)이 형성되는 제1 보강부재(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부착수단(300)은, 상기 시어핀(310)이 상기 시어핀 홀(3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판(330); 및 상기 이탈방지판(330)을 상기 제2 보강부재(220)에 체결하는 체결수단(3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탈방지판(330)을 핸들링하는 핸들링 장치(3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개의 탈부착수단(300)은 상기 스퍼드 캔(200)의 중심점에 대해 균형을 이루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잭업 플랫폼은 풍력발전기 설치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탈부착 가능한 스퍼드 캔을 갖는 잭업 플랫폼의 스퍼드 캔 탈부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잭업 플랫폼의 지지레그(110) 하단부를 수용하는 스퍼드 캔(200)과 상기 지지레그(110)의 인접부위를 관통하는 탈부착수단(300)을 이용하여 상기 스퍼터 캔(200)을 상기 지지레그(110)에 탈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스퍼드 캔을 갖는 잭업 플랫폼의 스퍼드 캔 탈부착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달부착수단(300)은 스퍼드 캔(200)에 복수개 배치하되, 상기 스퍼드 캔(200)의 중심점에 대해 균형을 이루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퍼드 캔(200)은 해상에서 지지레그(110에 탈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잭업 플랫폼의 리도킹없이 해상에서 스퍼드 캔을 탈부착할 수 있어, 다양한 해저 지질구조에서도 잭업 플랫폼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잭업 플랫폼의 활용도가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수밀판을 부착함으로써 스퍼드 캔을 제거하여도 지지레그 내부공간의 수밀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스터드 캔을 탈부착수단에 의해 간단하게 지지레그와 탈부착할 수 있어 작업시수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시어핀을 사용함으로써 스퍼드 캔 또는 지지레그의 일방에서 스퍼드 캔의 탈부착작업을 할 수 있어 탈부착작업을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잭업 플랫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잭업 플랫폼의 지지레그에 설치된 스퍼드 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를 A 방향에서 본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을 B 방향에서 본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를 C 방향에서 본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를 D 방향에서 본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잭업 플랫폼의 지지레그에 설치된 스퍼드 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를 A 방향에서 본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을 B 방향에서 본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를 C 방향에서 본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4를 D 방향에서 본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인 잭업 플랫폼(100)은 스퍼드 캔(spud can)을 장착한 지지레그를 갖는 모든 선박 및 해양구조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잭업 플랫폼은 스퍼드 캔(spud can)을 장착한 레그를 갖는 모든 종류의 선종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잭업 플랫폼(100)은, 탈부착 가능한 스퍼드 캔을 갖는 잭업 플랫폼으로서, 지지레그(110), 스퍼드 캔(200), 탈부착수단(300)을 포함한다.
지지레그(110)는 잭업 플랫폼을 지지하면서 내부에 중공부를 갖도록 형성되며, 지지레그(110) 자체 중량을 줄이면서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자체 중량 및 재료비 절감을 목적으로 지지레그(110)의 외면을 트러스구조로 제작할 수도 있다.
스퍼드 캔(200)은 지지레그(110)의 하부를 수용하여 지지레그(110)를 해저면에 안착시키도록 하며,해저면과 접촉하는 지지레그(110)의 하단부를 크게 하는 효과를 주어 잭업 플랫폼이 해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스퍼드 캔(200)은 수용공간(230), 탈부착 작업공간(215), 제2 보강부재(220)로 구성될 수 있다.
수용공간(230)은 스퍼드 캔(200)의 내부측에 형성되어 지지레그(110)의 하부를 수용하며, 탈부착 작업공간(215)은 스퍼드 캔(200)의 외부측에 형성되어 복수개의 탈부착수단(300)을 지지레그(110)로부터 탈부착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 때, 수용공간(230)과 탈부착 작업공간(215)을 구분하면서 스퍼드 캔(200)의 구조를 보강하여 탈부착수단(300)에 의해 스퍼드 캔(200)이 지지레그(110)를 해저면에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제2 보강부재(220)를 설치할 수 있다.
제2 보강부재(220)는 복수개를 형성하여 지지레그의 하중이 스퍼드 캔에 분산되어 전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스퍼드 캔(200)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되도록 한다.
제2 보강부재(220)는 스퍼드 캔(200)의 구조물에 용접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230)에 단을 형성하고, 지지레그(110)의 하부 외면에도 단을 형성하여 서로 맞물리도록 한다면, 제2 보강부재(220)에 걸리는 하중이 더욱 분산될 수 있으므로 스퍼드 캔(200)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탈부착 작업공간(215)은 스퍼드 캔(200)의 상부(210)측에 형성할 수 있는데, 스퍼드 캔에 형성되는 단을 기준으로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부착수단(300)은 스퍼드 캔(200)을 지지레그(110)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며, 탈부착수단(300)은 해상 및 육상 등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고 스퍼드 캔(200)을 지지레그(200)와 탈부착할 수 있게 한다.
탈부착수단(300)으로 볼트 및 너트(미도시)를 사용할 수 있고, 볼트 및 너트가 지지레그(110) 및 스퍼드 캔(200)을 관통하여 양자가 연결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너트의 체결 작업은 볼트의 삽입 작업이 이루어지는 공간(예를 들어, 탈부착 작업공간(215))의 반대편 공간(지지레그 내부공간(150))에서 이루어져야 하므로 볼트 및 너트의 체결작업을 위해서는 2개의 공간이 필요해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불편을 방지하기 위해 볼트 및 너트 탈부착수단(300) 외에 아래에서 설명할 시어핀(310)을 사용한 탈부착수단(300)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볼트 및 너트 탈부착수단(300)을 사용하는 경우에, 추후 스퍼드 캔(200)을 지지레그(110)로부터 제거할 때 지지레그(110)의 내부에 대해 수밀이 필요한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볼트 삽입용 홀(hole)에 별도의 플러그 볼트 및 너트(plug bolt/nut)를 체결하여 수밀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탈부착수단(300)으로 시어핀(310) 및 시어핀 홀(320)을 사용할 수 있고, 시어핀(310)이 지지레그(110) 및 스퍼드 캔(200)을 관통하여 양자가 연결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시어핀(310)은 지지레그(110) 및 제2 보강부재(220)를 관통하며, 시어핀 홀(320)은 지지레그(110)의 측면 및 제2 보강부재(220)에 각각 형성되어 시어핀(310)이 지지레그(110) 및 제2 보강부재(220)를 관통하도록 안내한다.
시어핀(310)을 탈부착수단(300)으로 사용한다면, 볼트 및 너트 탈부착수단에 비해 시허핀을 설치하는 공간이 하나만 존재하여도 되며,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는 스퍼드 캔 상부(210)의 외부측에 탈부착 작업공간(215)이 설치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탈부착수단(예를 들어, 시어핀(310))을 홀(320)에 편리하게 삽입시키기 위해 홀(320) 하부에 가이드 부재(360)를 추가 설치 수 있다.
가이드 부재(360)의 상부면 높이를 홀(320)의 높이와 동일하도록 한다면, 시어핀(310)을 가이드 부재(360)의 상부면에 놓은 후 가이드 부재(360)의 상부면을 따라 시어핀(310)을 밀어서 홀(320)에 쉽게 삽입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작업환경을 개선하는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의 상부면 형상과 시어핀(310)이 가이드 부재에 놓이는 부분의 형상을 같도록 제작한 후 가이드 부재(360)의 상부면 중심과 시어핀 홀(320)의 중심이 맞도록 가이드 부재(360)를 설치한다면, 시어핀(310)을 시어핀 홀(320)에 정확하게 삽입하기 위해 시어핀(310)의 중심과 시어핀 홀(320)의 중심을 맞추지 않아도 시어핀(310)을 가이드 부재(360)의 상부면에 높고 홀(320) 내부로 밀면 자동으로 시어핀(310)과 시어핀 홀(320)의 중심이 맞게 되므로 작업자의 수고를 들 수 있게 된다.
이 때, 가이드 부재(360)는 아래에서 설명할 이탈 방지판(330)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제작하여야 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밀판(400)의 하단부 면의 높이까지 가이드 부재(360)의 상단부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시어핀(310)을 사용하는 탈부착수단(300)은, 수밀판(400)을 추가 설치할 수 있다.
추후에 스퍼드 캔(200)을 지지레그(110)로부터 제거하는 경우 지지레그(110)의 내부에 대해 수밀이 필요한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수밀판(400)에 의해 수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수밀판(400)은 지지레그(110)에 형성된 시어핀 홀(320)의 수밀을 위해 지지레그(110)의 내면 측 시어핀 홀(320)에 설치되며, 시어핀 홀(320)이 밀봉될 수 있도록 용접 등의 방법으로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잭업 플랫폼은 지지레그(110)와 시어핀(310) 및 스퍼드 캔(200)의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제1 보강부재(120)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제1 보강부재(120)는 수밀판(400)과 지지레그(110) 사이에 설치되어 지지레그(110)의 구조를 보강하며, 시어핀(310)이 관통될 수 있는 시어핀 홀(320)을 형성한다.
제1 보강부재(120)도 제2 보강부재와 마찬가지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레그의 하중이 분산되도록 하여, 탈부착수단(300) 및 지지레그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탈부착수단(300)은 시어핀(310)이 시어핀 홀(3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판(330) 및 이탈방지판(330)을 제2 보강부재(220)에 체결하는 체결수단(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수단(340)은 일반적인 볼트 및 너트를 사용하여 이탈방지판(330)을 제2 보강부재로부터 탈착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판(330)에는 이탈방지판(330)을 취급하는데 있어 편리하도록 핸들링장치(350)를 설치할 수 있으며, 도 4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U 볼트를 설치하여 U 볼트와 유압장치를 연결하여 유압장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거나, 인력에 의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복수개의 탈부착수단(300)은 스퍼드 캔(200)의 중심점에 대해 균형을 이루도록 배치할 수 있는데, 지지레그(110)의 지지력에 불균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지지레그(110) 및 탈부착수단(3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이러한 잭업 플랫폼은 풍력발전기 설치선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인 잭업 플랫폼의 스퍼드 캔 탈부착 방법은, 탈부착 가능한 스퍼드 캔을 갖는 잭업 플랫폼의 스퍼드 캔 탈부착 방법으로, 잭업 플랫폼의 지지레그(110) 하단부를 수용하는 스퍼드 캔(200)과 지지레그(110)의 인접부위를 관통하는 탈부착수단(300)을 이용하여 스퍼터 캔(200)을 지지레그(110)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달부착수단(300)은 스퍼드 캔(200)에 복수개 배치하되, 상술한 바와 같이, 스퍼드 캔(200)의 중심점에 대해 균형을 이루도록 배치할 수 있으며, 스퍼드 캔(200)은 해상에서 지지레그(110)에 탈부착할 수 있다.
해상에서 스퍼드 캔(200)을 탈부착하기 위해서는 해상에서 지지레그(110)를 상승시켜야 하는데, 이 경우 잭업 플랫폼을 해저면에 지지하던 지지레그(110)가 사라지게 되므로, 상승되는 지지레그(110)에 의한 잭업 플랫폼의 지지를 대신할 수 있도록 잭업 플랫폼(100)의 무게중심을 미리 상승되는 지지레그(110)의 반대측으로 옮겨 균형을 유지한 후 상승된 지지레그(110)로부터 스퍼드 캔(200)을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무게중심은 잭업 플랫폼의 밸러스트 수를 이용하여 잭업 플랫폼의 무게중심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는데, 밸러스트 수는 잭업 플랫폼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 밸러스트 탱크에 채워지는 해수이므로 잭업 플랫폼(100)의 무게중심 즉, 평형을 맞추기 위해 상승되는 지지레그(110)의 반대측으로 밸러스트 수를 이동시켜 잭럽플랫폼의 평형이 유지되도록 한다.
그러나, 잭업 플랫폼의 무게중심을 이동하기 위해 밸러스트 수의 이동 방법을 사용한다면, 잭업 플랫폼의 내부에 설치된 수십대의 펌프를 가동하여 밸러스트 수를 주입 또는 배출하여야 하므로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게 되는 바, 잭업 플랫폼에 설치된 크레인(미도시)의 붐(미도시)을 회전시켜 잭업 플랫폼의 무게중심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크레인 붐의 하중은 외팔보 형상으로 그 자체만으로도 고하중을 가져서 붐의 이동만으로도 상승된 지지레그(110)로 인한 발생할 수 있는 잭업 플랫폼의 불균형이 평형상태를 계속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크레인의 붐을 이동하는 것만으로도 무게중심을 이동시킬 수 있어 간단하게 잭업 플랫폼의 평형을 유지시킬 수 있게 한다. 잭업 플랫폼에 복수대의 크레인이 있다면 이들 모두를 무게중심을 맞추기 위해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밸러스트 수와 크레인을 조합하여 사용한다면 잭업 플랫폼의 무게중심을 보다 효과적으로 맞춰서 잭업 플랫폼의 평형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을 것이다.
지지레그(110)의 승강작업은 지지레그(110)에 부착된 지지레그 승강장치(미도시)에 의해 수행되며, 일반적인 지지레그의 승강장치, 예를 들면 유압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잭업 플랫폼은 지지레그(110)를 3개 이상 구비할 수 있으며, 스퍼드 캔(200)의 교체를 위해 지지레그(110)를 상승시켰을 때 밸러스트 수 또는 크레인에 의해 무게중심을 맞출 수 있기 위해서는 지지레그(110)가 최소 3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이 때, 탈부착 작업을 행하는 지지레그(110)를 제외한 나머지 지지레그(110)가 잭업 플랫폼(100)을 지지하게 되고, 밸러스트 수 또는 크레인이 무게중심을 맞춰 잭업 플랫폼의 균형을 맞추게 있게 된다.
탈부착에 사용되는 스퍼드 캔(200)은 바지선(미도시)을 이용하여 이동시켜 탈부착작업을 할 수 있는데, 교체를 위한 스퍼드 캔(200)을 바지선에 싣고 상승된 지지레그(110)의 인근으로 이동하고, 지지레그(110)의 하단부에 설치된 스퍼드 캔(200)을 해제한 후 새로운 스퍼드 캔(200)을 지지레그(110)에 설치하고, 교체된 스퍼드 캔(200)은 바지선에 의해 다시 운반되어 잭업 플랫폼에 보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승한 지지레그가 바치던 잭업플랫폼의 중량을 지지하기 위해 무게중심 이동이 아니라 바지선이 상상하는 지지레그의 인근 위치로 가서 잭업플랫폼을 지지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렇게 바지선에 의해 잭업플랫폼의 균형이 유지되므로 스퍼드 캔의 교체가 필요한 지지레그를 상승시킨 후 스퍼드 캔을 안전하게 탈부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0: 잭업 플랫폼의 선체 110: 지지레그
120: 제1 보강부재 150: 지지레그 내부공간
200: 스퍼드 캔 210: 스퍼드 캔 상부
215: 탈부착 작업공간 220: 제2 보강부재
230: 수용공간 250: 스퍼드 캔 하부
300: 탈부착수단 310: 시어핀
320: 시어핀 홀 330: 이탈방지판
340: 체결수단 350: 핸들링 장치
360: 가이드 부재 400: 수밀판

Claims (13)

  1. 탈부착 가능한 스퍼드 캔을 갖는 잭업 플랫폼에 있어서,
    상기 잭업 플랫폼을 지지하면서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지지레그(110);
    상기 지지레그(110)의 하부를 수용하여 상기 지지레그(110)를 해저면에 안착시키는 스퍼드 캔(200); 및
    상기 스퍼드 캔(200)을 상기 지지레그(110)에 탈부착하는 복수개의 탈부착수단(300);을 포함하고,
    상기 스퍼드 캔(200)은,
    내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레그(11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230);
    상기 스퍼드 캔(200)의 외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탈부착수단(300)의 탈부착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탈부착 작업공간(215); 및
    상기 수용공간(230)과 상기 탈부착 작업공간(215)을 구분하면서 상기 스퍼드 캔(200)의 구조를 보강하는 복수개의 제2 보강부재(220);을 포함하고,
    상기 탈부착수단(300)은,
    상기 지지레그(110) 및 상기 제2 보강부재(220)를 관통하는 시어핀(310);
    상기 지지레그(110)의 측면 및 상기 제2 보강부재(220)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시어핀(310)이 관통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시어핀 홀(320); 을 포함하며,
    상기 시어핀(310)은 상기 시어핀 홀(320)에 꼭 들어맞도록 삽입되어 상기 지지레그(110)와 상기 스퍼드 캔(200)에 작용하는 전단력(shearing force)을 지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스퍼드 캔을 갖는 잭업 플랫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수단(300)은,
    상기 시어핀 홀(320)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시어핀(310)이 상기 시어핀 홀(320)에 삽입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36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360)의 상부면의 형상은 상기 시어핀(310)이 가이드 부재에 놓이는 부분의 형상과 같도록 제작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360)의 상부면의 중심과 상기 시어핀 홀(320)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상기 가이드 부재(360)이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스퍼드 캔을 갖는 잭업 플랫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230)은 단을 형성하되, 상기 단을 기준으로 상부에 상기 탈부착 작업공간(215)을 형성하며;
    상기 단에 걸리도록 상기 지지레그의 하부측에 단을 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스퍼드 캔을 갖는 잭업 플랫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탈부착수단(300)은 상기 스퍼드 캔(200)의 중심점에 대해 균형을 이루도록 배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스퍼드 캔을 갖는 잭업 플랫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그(110)에 형성된 시어핀 홀(320)의 수밀을 위해 상기 지지레그(110)의 내면 측 시어핀 홀(320)에 설치되는 수밀판(40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스퍼드 캔을 갖는 잭업 플랫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밀판(400)과 상기 지지레그(11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레그(110)의 구조를 보강하되, 상기 시어핀(310)이 관통될 수 있는 시어핀 홀(320)이 형성되는 제1 보강부재(12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스퍼드 캔을 갖는 잭업 플랫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수단(300)은,
    상기 시어핀(310)이 상기 시어핀 홀(3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판(330); 및
    상기 이탈방지판(330)을 상기 제2 보강부재(220)에 체결하는 체결수단(34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스퍼드 캔을 갖는 잭업 플랫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판(330)을 핸들링하는 핸들링 장치(3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스퍼드 캔을 갖는 잭업 플랫폼.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잭업 플랫폼은 풍력발전기 설치선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스퍼드 캔을 갖는 잭업 플랫폼.
  10. 탈부착 가능한 스퍼드 캔을 갖는 잭업 플랫폼의 스퍼드 캔 탈부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퍼드 캔(200)은,
    상기 잭업 플랫폼을 지지하는 지지레그(11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230);
    상기 스퍼드 캔(200)의 외부측에 형성되어 탈부착수단(300)의 탈부착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탈부착 작업공간(215); 및
    상기 수용공간(230)과 상기 탈부착 작업공간(215)을 구분하면서 상기 스퍼드 캔(200)의 구조를 보강하는 복수개의 제2 보강부재(220);을 포함하고,
    (a) 상기 잭업 플랫폼의 지지레그(110)를 해상에서 상승시키는 단계;
    (b) 상기 잭업 플랫폼의 지지레그(110) 하단부를 수용하는 스퍼드 캔(200)과 상기 지지레그(110)의 인접부위를 관통하는 탈부착수단(300)을 이용하여 상기 스퍼드 캔(200)을 상기 지지레그(110)에 탈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지지레그(110)의 측면 및 상기 제2 보강부재(220)에 각각 형성된 시어핀 홀(320)에 시어핀(310)이 삽입되는 단계; 및
    (b-2) 상기 시어핀(310)이 상기 시어핀 홀(3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탈방지판(330)을 상기 제2 보강부재(220)에 체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탈부착 가능한 스퍼드 캔을 갖는 잭업 플랫폼의 스퍼드 캔 탈부착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b-1) 단계에서, 시어핀(310)은 상기 시어핀 홀(320)의 하부에 설치된 가이드 부재(360)를 따라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360)의 상부면의 형상은 상기 시어핀(310)이 가이드 부재에 놓이는 부분의 형상과 같도록 제작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360)의 상부면의 중심과 상기 시어핀 홀(320)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상기 가이드 부재(360)이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스퍼드 캔을 갖는 잭업 플랫폼의 스퍼드 캔 탈부착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수단(300)은 스퍼드 캔(200)에 복수개 배치하되, 상기 스퍼드 캔(200)의 중심점에 대해 균형을 이루도록 배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스퍼드 캔을 갖는 잭업 플랫폼의 스퍼드 캔 탈부착 방법.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스퍼드 캔(200)은 해상에서 지지레그(110에 탈부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스퍼드 캔을 갖는 잭업 플랫폼의 스퍼드 캔 탈부착 방법.
KR1020110067402A 2011-07-07 2011-07-07 탈부착 가능한 스퍼드 캔을 갖는 잭업 플랫폼 및 잭업 플랫폼의 스퍼드 캔 탈부착 방법 KR101805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402A KR101805482B1 (ko) 2011-07-07 2011-07-07 탈부착 가능한 스퍼드 캔을 갖는 잭업 플랫폼 및 잭업 플랫폼의 스퍼드 캔 탈부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402A KR101805482B1 (ko) 2011-07-07 2011-07-07 탈부착 가능한 스퍼드 캔을 갖는 잭업 플랫폼 및 잭업 플랫폼의 스퍼드 캔 탈부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787A KR20130005787A (ko) 2013-01-16
KR101805482B1 true KR101805482B1 (ko) 2018-01-10

Family

ID=47837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402A KR101805482B1 (ko) 2011-07-07 2011-07-07 탈부착 가능한 스퍼드 캔을 갖는 잭업 플랫폼 및 잭업 플랫폼의 스퍼드 캔 탈부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54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807B1 (ko) 2020-09-15 2022-01-2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의 링으로 지지된 탈부착식 푸팅과 레그의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978Y1 (ko) * 2012-12-17 2017-11-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탈부착 가능한 스퍼드 캔을 가지는 잭업 플랫폼
KR101435646B1 (ko) * 2013-03-06 2014-08-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스퍼드 캔 구조
KR200474540Y1 (ko) * 2013-03-29 2014-09-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표준 모듈화된 스퍼드캔을 갖는 부유식 구조물
KR101487424B1 (ko) * 2013-07-05 2015-01-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잭-업 작업선
GB2522942A (en) * 2013-07-19 2015-08-12 Ap Moeller Maersk As A jack-up rig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on location of operation
KR102006696B1 (ko) * 2017-11-28 2019-08-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교체 가능한 구조의 스퍼드캔
KR102016315B1 (ko) * 2017-12-08 2019-08-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스퍼드캔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807B1 (ko) 2020-09-15 2022-01-2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의 링으로 지지된 탈부착식 푸팅과 레그의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787A (ko)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5482B1 (ko) 탈부착 가능한 스퍼드 캔을 갖는 잭업 플랫폼 및 잭업 플랫폼의 스퍼드 캔 탈부착 방법
RU2459110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размещения гидроэлектрической турбины
KR101491740B1 (ko) 베이스 및 수력 터빈 설치 방법
KR101013789B1 (ko) 해상용 풍력발전기 설치방법 및 그 장치
CN102277878B (zh) 一种可浮运的浮式基础施工方法
KR101407431B1 (ko) 이동가능한 해상 풍력발전기 고정유닛 및 그를 구비한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용 작업선
US9004819B2 (en) Installation method and recovery method for offshore wind turbine
EP1843964A1 (en) Lifting device for a wind turbine generator
JP5791540B2 (ja) 洋上風車設置用船舶および洋上風車設置方法
EP2963183A1 (en) Offshore support structure, offshore tower installation with the offshore support structure and offshore wind power plant with the offshore tower installation
KR20170100603A (ko) 수중 전기 시스템을 위한 이동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39931A (ko) 잭업 플랫폼의 스퍼드 캔 탈부착 방법 및 시스템
JP5820953B1 (ja) 風力発電装置の組み付け方法、風力発電装置の分解方法、風力発電装置の設置方法、及び風力発電装置の作業用船舶
KR20140050186A (ko) 해상 풍력 발전장치 및 이의 급속 설치방법
CN105604058A (zh) 水域螺旋锚施工设备
KR20150018338A (ko) 이동가능한 해상 풍력발전기 고정유닛 및 그를 구비한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용 작업선
KR200484978Y1 (ko) 탈부착 가능한 스퍼드 캔을 가지는 잭업 플랫폼
WO2012060112A1 (ja) 洋上風車設置用船舶およびこれを用いた洋上風車設置方法
KR20120139932A (ko) 잭업 플랫폼의 스퍼드 캔 탈부착 방법 및 시스템
KR101297669B1 (ko) 해상풍력발전기 설치 전용선을 이용한 해상풍력발전기 설치방법
KR101724593B1 (ko) 전용 바지선을 이용한 풍력발전기의 해상 구축 방법
KR101484121B1 (ko)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
CN105443311A (zh) 固定于水底的潮流能发电装置
CN204226097U (zh) 固定于水底的潮流能发电装置
KR20150009414A (ko) 해상 풍력발전기를 안벽에서 조립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