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9414A - 해상 풍력발전기를 안벽에서 조립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해상 풍력발전기를 안벽에서 조립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9414A
KR20150009414A KR20130141851A KR20130141851A KR20150009414A KR 20150009414 A KR20150009414 A KR 20150009414A KR 20130141851 A KR20130141851 A KR 20130141851A KR 20130141851 A KR20130141851 A KR 20130141851A KR 20150009414 A KR20150009414 A KR 20150009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ffshore wind
crane
wind power
generator
power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41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호
Original Assignee
이레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레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이레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20130141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9414A/ko
Publication of KR20150009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94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 풍력발전기를 안벽에서 조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작업선을 이동시켜 안벽에 접안시키는 선박 접안단계; 상기 안벽에 위치한 크레인을 이용하여 해상 풍력발전기의 지주를 기립한 상태로 상기 작업선에 탑재하는 단계; 기립된 상태의 상기 지주에 상기 크레인을 이용하여 해상 풍력발전기의 발전기몸체를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발전기몸체에 프로펠러를 장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해상 풍력발전기를 안벽에서 조립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해상 풍력발전기를 안벽에서 조립하는 방법{Assembling Method of Sea Wind Power Generator at Quay Wall}
본 발명은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상에 설치되는 해상 풍력발전기를 안벽을 이용하여 선박에 조립 장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풍력발전기는 바람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를 말한다. 풍력발전기는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육상에 설치되는 육상 풍력발전기와, 해상에 설치되는 해상 풍력발전기로 분류될 수 있다.
해상 풍력발전기는 선박을 이용하여 설치될 장소로 운반된 후 시공이 이루어진다. 이때, 해상 풍력발전기의 크기 및 적재 안정성에 따라서 운반과 설치방법이 달라지게 된다.
해상 풍력발전기는 그 규모가 작을 경우에는 각 구성물이 조립된 상태로 선박에 적재되어 운반하여 설치장소에서 바로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해상 풍력발전기의 용량이 5 MW를 넘게 되거나 해상의 기후 조건이 매우 나쁜 환경에서 설치할 경우에는 해상 풍력발전기가 분리되어 선박에 적재된 상태로 이동한 후, 해상에서 각 구성요소를 조립하여 시공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해상 풍력발전기를 분리하여 선박으로 운반하고, 이를 다시 시공장소에서 조립하여 설치하는 것은 매우 많은 시간과 비용을 낭비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13013호 (2012.10.12. 공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종래의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선박의 경우처럼, 해상 풍력발전기를 조립이 완료된 상태로 세워서 선박에 탑재한 후 해상으로 운송하여 설치하면 해상풍력발전기의 설치가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해상 풍력발전기의 용량이 5MW 를 넘게 되는 경우(7 MW의 경우 중량이 약 1100톤을 초과함), 선박에 탑재하기 위해서 제조공장으로부터 해상 풍력발전기를 조립이 완료된 상태로 운반하거나 세워진 상태로 선박에 탑재하여, 설치장소로 이동하여 설치하는 것은 실제로 불가능에 가깝다.
그러므로 본 출원인은 제조 공장에서 부품별로 분해된 해상 풍력발전기를 선박에 조립과 동시에 세워서 탑재하여 이동 설치할 수 있도록 해상 풍력발전기를 안벽에서 조립하는 방법에 대한 특허를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작업선을 이동시켜 안벽에 접안시키는 선박 접안단계; 상기 안벽에 위치한 크레인을 이용하여 해상 풍력발전기의 지주를 기립한 상태로 상기 작업선에 탑재하는 단계; 기립된 상태의 상기 지주에 상기 크레인을 이용하여 해상 풍력발전기의 발전기몸체를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발전기몸체에 프로펠러를 장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해상 풍력발전기를 안벽에서 조립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선박 접안단계는 상기 작업선에 형성된 설치홀이 상기 안벽에 인접하도록 상기 작업선을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안벽에 인접한 상기 작업선을 정박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업선을 정박시키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작업선의 이동탑재부가 이동하여 상기 설치홀을 덮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주는 상기 이동탑재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주는 다수개의 지주봉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개의 지주봉이 각각 상기 크레인에 의해 기립된 상태로 상기 작업선에 탑재되는 지주봉 탑재단계; 및 상기 인접한 지주봉들을 용접하는 지주봉 용접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전기몸체에 프로펠러를 장착하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이동탑재부가 상기 설치홀을 개방하도록 복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작업선을 이동시켜 안벽에 접안시키는 선박 접안단계; 상기 안벽에 위치한 크레인을 이용하여 해상 풍력발전기의 지주를 기립한 상태로 상기 작업선에서 조립하는 단계; 상기 크레인과 상기 지주와의 이격거리가 소정의 작업거리보다 짧은 경우, 상기 크레인을 이용하여 기립된 상지 지주를 상기 작업선의 설치홀 아래로 일정 높이만큼 이동시켜 작업거리를 확보하는 단계; 리프트부를 이용하여 상기 지주의 위치를 고정하는 단계; 기립된 상태의 상기 지주에 상기 크레인을 이용하여 해상 풍력발전기의 발전기몸체를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발전기몸체에 프로펠러를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해상 풍력발전기를 안벽에서 조립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지주는 다수개의 지주봉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개의 지주봉이 각각 상기 크레인에 의해 기립된 상태로 상기 작업선에 탑재되는 지주봉 탑재단계; 및 상기 인접한 지주봉들을 용접하는 지주봉 용접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박 접안단계는 상기 작업선에 형성된 설치홀이 상기 안벽에 인접하도록 상기 작업선을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안벽에 인접한 상기 작업선을 정박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박 접안단계 이후에는 상기 작업선의 이동탑재부가 이동하여 상기 설치홀을 덮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주는 상기 이동탑재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크레인을 이용하여 기립된 상지 지주를 설치홀 아래로 일정 높이만큼 이동시켜 작업거리를 확보하는 단계 이전에는 상기 이동탑재부의 제1블록을 이동하여 설치홀을 개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전기몸체에 프로펠러를 장착하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리프트를 이용하여 상기 지주를 설치홀의 상부로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주가 상기 설치홀의 상부로 위치하면, 상기 이동탑재부의 제1블록을 이동하여 설치홀을 덮는 단계; 및 상기 리프트가 상기 지주를 내려서 상기 이동탑재부의 제1블록에 장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주가 장착된 상기 이동탑재부가 상기 설치홀을 개방하도록 복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상 풍력발전기를 안벽에서 조립하는 방법에 따르면, 안벽에서 해상 풍력발전기의 부품들을 세워서 작업선에 안전하게 조립함과 동시에 탑재할 수 있고, 해상으로 안전하게 이동하여 설치장소에 빠르게 설치할 수 있다.
그러므로 대한민국 정부는 2019년까지 서남해 인근에 2.5 GW 발전용량의 해상 풍력발전 단지를 구축하는 해상 풍력발전 종합추진 계획을 발표하여 추진하고 있는데, 본 발명은 정부 정책에 발맞추어 해상 풍력발전기 시설 일체를 저비용으로 정확하고, 안전하고, 빠른 설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해상 풍력발전기를 안벽에 설치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설치용 작업선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가이드부, 이동탑재부 및 리프트부가 구체화된 실시형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은 도 2의 가이드부와 이동탑재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요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리프트부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 풍력발전기를 안벽에 설치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에 의한 방법을 보여주는 측면 동작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상 풍력발전기를 안벽에 설치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6에 의한 방법을 보여주는 측면 동작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작업선은 다양한 용량의 해상 풍력발전기를 해상에서 부품별로 조립하면서 세울 수 있고, 세워진 상태로 설치장소까지 이동한 후 기초파일에 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작업선은 5 MW 이상 용량, 즉 높이 117m, 무게 1200 ton이 되는 7 MW 해상 풍력발전기를 해상에서 조립, 운반, 시공 등 일련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해상 풍력발전기를 안벽에 설치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설치용 작업선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가이드부, 이동탑재부 및 리프트부가 구체화된 실시형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은 도 2의 가이드부와 이동탑재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요부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1의 리프트부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작업선(1)은 크게 선박본체(100), 플로팅레그부(200), 가이드부(300), 이동탑재부(400), 리프트부(500), 앙카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해상 풍력발전기(10)는 크게는 지주(11), 발전기몸체(12), 프로펠러(13)의 3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주(11)는 원기둥 형상으로 길게 이루어져 해상에 설치되며, 발전기몸체(12)는 지주(11)의 상부에 설치된다. 프로펠러(13)는 바람에 의해 회전하면서 발전기몸체(12)가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지주(11)는 타워(tower)로, 발전기몸체(12)는 나셀(nacelle) 또는 허브(hub)로, 프로펠러(13)는 블레이드(blade)로 불리울 수 있는 등 해상 풍력발전기(10)의 다른 명칭으로 불리울 수 있다.
지주(11)에는 운반과 설치에 사용되는 후크고리(11a)가 다수개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크고리(11a)는 후크가 걸리어질 수 있도록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해상 풍력발전기(10)의 무게 중심을 고려한 위치인 지주(11)의 상부 영역에 4개가 부착될 수 있다. 후크고리(11a)는 러그, 연결고리 등 다양한 명칭을 가질 수 있으며, 후크고리(11a)의 개수, 크기,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실시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해상 풍력발전기(10)를 선박에 지주(11)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조립 탑재할 수 있고, 설치장소까지 운반하여 바로 시공할 수 있다.
선박본체(100)는 주된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선박몸체, 바지선본체, 작업선본체, 선체 등으로 호칭될 수 있다. 선박본체(100)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적으로는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네 모서리 가장자리가 완만하게 절단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선박본체(100)에는 기초파일, 해상 풍력발전기(10) 등이 설치되도록 하는 설치홀(110)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치홀(110)은 선박본체(100)의 진행방향의 전방 영역이 내측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설치홀(110)은 선박의 진행방향 반대쪽이나 측면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선박본체(100)의 내측으로 함몰되지 않고 선박본체(100)의 일면에 인접 배치된 공간을 의미할 수도 있다.
플로팅레그부(200)는 선박본체(100)에 승하강되도록 설치된다. 플로팅레그부(200)는 선박본체(100)가 해상에서 수직방향으로 부유할 수 있도록 선박본체(100)의 해상에서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플로팅레그부(200)는 선박을 해수면 상에서 부유하는 상태로 그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므로, 종래 선박을 해수면 위로 상승시켜 고정하는 잭업레그(특허문헌 1)와는 구별된다.
잭업타입의 잭업레그는 선박을 수면위에서 일정 높이 상승시킨 상태에서 선박 자체의 하중을 지지해야 하기 때문에 선박의 규모가 커지는 경우에는 잭업레그를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7 MW 급 정도의 해상 풍력발전기를 설치하는 작업선처럼, 선박의 규모가 매우 커지는 상황에서는 잭업레그만으로 선박의 하중을 온전하게 지지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플로팅레그부(200)는 선박의 하중을 해수와 나누어 부담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선의 규모가 매우 커지는 상황에서도 효율적으로 선박의 위치를 고정하면서 해상 풍력발전기를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플로팅레그부(200)는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로팅레그부(200)는 선박본체(100)의 가장자리 영역에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플로팅레그부(200)는 보다 상세하게는 레그(210), 레그지지대(220), 레그윈치(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레그(210)는 선박본체(100)에 대해 수직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해저면에 삽입되는 부분을 이룬다. 선박본체(100)에는 레그(2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레그홀(Leg Hall)이 관통형성된다. 레그(210)는 해저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가 뾰족한 형상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레그지지대(220)는 레그(210)를 이동가능하게 감싸도록 레그홀(210)에 인접하도록 선박본체(100)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그지지대(220)는 레그(210)의 단면 형상보다 조금 더 큰 형상의 안지름을 갖도록 레그(210)를 동심원상으로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레그지지대(220)에 의해 레그(210)는 해수면의 요동방향을 따라 어느 정도는 유동할 수 있게 된다.
레그윈치(230)는 레그(210)를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레그윈치(230)는 레그(210)를 해수면 아래로 내리거나 다시 선박본체(100)로 상승시키도록 레그(210)와 연결될 수 있다. 물론, 레그(210)의 승하강 형태는 레그(210)의 자중, 해수면의 유입 등 다양한 방법이 강구될 수 있다. 그 밖에 레그(210)가 레그지지대(220)에서 고정하거나 이동할 수 있도록 레그(210)의 위치를 고정하는 클러치(240, 25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러치(240, 250)는 레그(210)와 레그지지대(220)의 선택적인 접촉 등이 가능한 볼트조임, 가압 밀착방식 등으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가이드부(300)는 해상 풍력발전기(10)를 탑재하거나 설치홀(110)로 이동시켜 해상에 설치하는 것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부(300)는 수직 방향으로 다수의 층을 이루도록 다수의 레일을 가지며, 설치홀(110)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주보는 한 쌍의 레일들은 설치홀(110)을 중심으로 측면(사이드)에 길게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300)는 설치홀(110)의 사이드에 위치하므로 사이드구조물로 칭할 수도 있다.
가이드부(30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선박본체(100)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프레임 형상의 가이드본체(30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본체(301)에는 다수개의 레일이 층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레일들의 구성은 후술한다.
이동탑재부(400)는 해상 풍력발전기(10)의 지주(11)를 고정하면서 해상 풍력발전기(10)를 기립시켜 선박본체(100)에 탑재하도록 한다. 이동탑재부(400)는 상술한 한 쌍의 가이드부(300)를 따라 이동하면서 해상 풍력발전기(10)를 설치홀(11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탑재부(400)는, 마주보는 한 쌍의 레일을 따라 각각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지주(11)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다수의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블록은 해상 풍력발전기(10)를 안정적으로 고정 및 이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3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다수의 블록은 2개 내지는 그 이상의 개수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3개의 블록들은 순차적으로 제1블록(410), 제2블록(420), 제3블록(43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블록(410), 제2블록(420), 제3블록(430)은 제1차 판넬, 제2차 판넬, 제3차 판넬로 부를 수도 있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제1블록(410) 내지 제3블록(430)은 선형 이동수단을 포함하면서 한 쌍의 가이드부(30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형 이동수단은 리니어모터, 스키드(skid) 등일 수 있다.
제1블록(410)은 설치홀(110)에 인접하도록 위치하며 지주(11)의 하부를 고정할 수 있다. 제1블록(410)은 탑재패널(411)과, 탑재패널(411)의 상부에서 돌출되어 지주(11)의 하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돌기(41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주(11)의 하부는 기초파일 및 고정돌기(4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탑재패널(411)은 설치홀(110)의 상부에 위치할 경우 설치홀(110)을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제2블록(420)은 제1블록(410)의 상부에서 이격되며 지주(11)를 감싸도록 고정하면서 가이드부(300)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3블록(430)은 제2블록(420)의 상부에서 이격되며 지주(11)를 감싸도록 고정하면서 가이드부(300)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블록(420) 및 제3블록(43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고정패널(422, 432)과 회동패널(423, 424, 433, 434)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정패널(422, 432)은 지주(11)가 삽입 장착되는 지주삽입공(421, 431)이 형성된다. 회동패널(423, 424, 433, 434)은 지주삽입공(421, 431)을 개폐하도록 고정패널(422, 43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지주(11)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주삽입공(421, 431)은 지주(11)의 지름보다 다소 크게 형성되어 지주(11)가 수평방향을 따라 위치가 이탈되지 않게 하면서도 수직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필요에 따라, 제1블록(410)은 설치홀(110)의 상부로 지주(11)를 이동시킨 후 설치홀(110)을 개방하기 위해서 원위치로 돌아갈 수 있다. 이때, 제2블록(420)과 제3블록(430)은 지주삽입공(421, 431)과 설치홀(110)의 위치를 나란하게 유지시키도록 함으로써 리프트부(500)가 지주(11)를 정밀하게 설치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이동탑재부(400)는 한 쌍의 가이드부(300)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고 상술한 바 있다. 여기서 한 쌍의 가이드부(300)는 이동탑재부(400)의 다수의 블록과 대응되는 레일들의 개수를 가질 수 있다.
즉, 한 쌍의 레일들은 설치홀(110)에 인접하도록 제1블록(410)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레일(310), 제2블록(420)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레일(320) 및 제3블록(430)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3레일(330)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탑재부(400)는 해상 풍력발전기(10)를 선택적으로 고정 탑재하면서 가이드부(300)를 통해 설치홀(110)을 향해 이동하거나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리프트부(500)는 이동탑재부(400)에 의해 설치홀(110)로 이동한 해상 풍력발전기(10)의 지주(11)를 들어올려 설치홀(110) 하부에 위치한 기초파일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리프트부(500)는 해상 풍력발전기(10)를 승하강시키도록 가이드부(300)에 장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프트부(500)는 설치홀(110)의 상부 영역에 위치한 가이드부(300)의 상부 영역에 장착될 수 있다. 리프트부(500)는 로프, 후크, 크레인, 갠트리 등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프트부(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와이어(510), 와이어연결부재(520), 승하강로프(530), 로프지지대(540)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와이어(510)는 설치홀(110)의 상부에 위치한 지주(11)의 후크고리(11a)에 연결되도록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와이어연결부재(520)는 다수개의 후크와이어(510)를 고정하며 지주(11)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연결부재(520)는 4개의 연결바(521)들이 사각형상을 이루도록 서로 결합될 수 있다. 4개의 연결바(521)들의 각 모서리에는 4개의 후크와이어(510)들이 고정되면서 지주(11)의 4개의 후크고리(11a)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후방에 위치한 연결바(521)는 회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지주(11)가 내측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내부공간을 개폐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승하강로프(530)는 일측은 와이어연결부재(520)와 결합되고, 타측은 모터 또는 유압장치 등과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승하강로프(530)는 와이어연결부재(520)를 승하강킴으로써 지주(11)를 수직방향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다. 로프지지대(540)는 승하강로프(530)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며 가이드부(300)에 결합될 수 있다. 로프지지대(54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승하강로프(530)는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지주(11)의 승하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 또는 유압장치 등과 연결된 측의 승하강로프(530)가 수직 아래로 감아져 내려가면 지주(11)는 상승하고, 반대로 승하강로프(530)가 풀어지게 되면 지주(11)는 하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리프트부(500)는 지주(11)를 고정한 이동탑재부(400)가 설치홀(110)로 이동하였을 때, 지주(11)에 연결될 수 있다. 리프트부(500)는 설치홀(110)로 이동한 이동탑재부(400)의 제1블록(410)이 원위치로 복귀하기 전에 지주(11)를 일정높이 들어서 이동탑재부(400)의 고정돌기(412)로부터 지주(11)의 하부가 분리될 수 있도록 해상 풍력발전기를 지지할 수 있다.
이어서 제1블록(410)은 설치홀(110)의 상부로 지주(11)를 이동시킨 후 원위치로 돌아갈 수 있다. 이때, 제2블록(420)과 제3블록(430)은 지주(11)의 위치가 흔들리지 않도록 이동하지 않고 설치홀(110)의 상부에서 지주(11)를 지지한다.
리프트부(500)는 지주삽입공(421, 431)과 설치홀(110)의 상부에 위치한 기초파일의 위치를 나란하게 유지시키면서 지주(11)를 내려서 설치홀(110)에 위치한 기초파일에 결합시킴으로 해상 풍력발전기(10)의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앙카부(600)는 해상 풍력발전기(10)를 기초파일에 시공하기 전에, 플로팅레그부(200)와 함께 선박본체(100)를 안정적으로 정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앙카부(600)는 선박본체(100)의 가장자리 영역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앙카부(600)는 선박본체(100)의 각 모서리마다 2쌍씩, 총 8쌍으로 이루어지며, 앙카부(600)는 해저면에 선박본체(100)가 정박되도록 하는 앙카(610)와, 앙카(610)를 승하강시키는 윈치(6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해상 풍력발전기를 안벽에서 조립 설치하는 방법과, 해상 풍력발전기의 규모가 커지는 경우를 상정하여 2개의 실시형태로 분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 풍력발전기를 안벽에 설치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고, 도 7은 도 6에 의한 방법을 보여주는 측면 동작도이다.
도 6 및 도 7과 전술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해상 풍력발전기를 안벽에서 조립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작업선(1)을 이용하여 안벽(5)에서 해상 풍력발전기(10)를 세운 상태로 조립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안벽(5, 岸壁)은 해안에 구축한 구조물로서, 선박의 일측을 육상에 붙여놓고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만든 선박의 정박장 역할을 하는 시설물을 의미한다. 안벽(5)은 암벽 등 다른 명칭으로도 불리울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벽(5)은 해상에 다수의 기초파일(P)들을 설치하고, 해안(L)과 기초파일(P)들의 상부에 콘크리트 등의 구조물을 설치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안벽(5)에는 해상 풍력발전기(10)를 구성하는 각 부품들과, 크레인(C)이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해상 풍력발전기(10)를 구성하는 지주(11)는 1개로 구성될 수도 있고, 다수개의 지주봉(11-1, 11-2)들이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크레인(C)은 중량물을 들어올릴 수 있으며, 안벽(5)에서 사용가능하도록 이동수단이 장착된 이동용 크레인(C)일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크레인(C)은 안벽(5) 위에서 고정되는 고정용 크레인(C)이 사용될 수도 있다.
먼저, 일반적인 규모의 해상 풍력발전기(10)를 안벽(5)에서 조립 설치하는 방법은 작업선(1)을 이동시켜 안벽(5)에 접안시키는 선박 접안단계(S100)와, 안벽(5)에 위치한 크레인(C)을 이용하여 해상 풍력발전기(10)의 지주(11)를 기립한 상태로 작업선(1)에 탑재하는 단계(S200)와, 기립된 상태의 지주(11)에 크레인(C)을 이용하여 해상 풍력발전기(10)의 발전기몸체(12)를 조립하는 단계(S300)와, 크레인(C)을 이용하여 발전기몸체(12)에 프로펠러(13)를 장착하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선박 접안단계(S100)는 작업선(1)에 형성된 설치홀(110)이 안벽(5)에 인접하도록 작업선(1)을 이동시키는 단계가 먼저 수행된다. 이때, 이동탑재부(400)는 설치홀(110)은 개방하는 위치에서 접근할 수 있다.
이어서, 안벽(5)에 인접한 작업선(1)을 정박시키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때, 작업선(1)을 정박시켜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레그(210), 앙카(6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그(210), 앙카(610)만 사용될 수도 있고, 둘다 사용될 수도 있다.
작업선(1)을 정박시키는 단계 이후에는 작업선(1)의 이동탑재부(400)가 이동하여 설치홀(110)을 덮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지주(11)는 이동탑재부(400)에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탑재부(400)는 제1블록(410) 내지 제3블록(430)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주(11)의 하부는 제1블록(410)에 고정되고 제2블록(420) 및 제3블록(43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가 되면서 작업선(1)에 탑재될 수 있다.
한편, 크레인(C)이 지주(11)를 기립한 상태로 작업선(1)에 탑재하는 과정은 지주(11)가 1개인 경우에는 1회 작업으로 마무리될 수 있다.
그러나 지주(11)가 다수개의 지주봉(11-1, 11-2)을 포함할 경우에는 다수개의 지주봉(11-1, 11-2)이 각각 크레인(C)에 의해 기립된 상태로 작업선(1)에 탑재되는 지주봉(11-1, 11-2) 탑재단계와, 인접한 지주봉(11-1, 11-2)들을 용접하는 지주봉(11-1, 11-2) 용접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지주(11)가 기립된 상태로 이동탑재부(400)에 장착되면, 크레인(C)에 의해 순차적으로 발전기몸체(12)와, 프로펠러(13)를 조립 장착하게 된다. 이때, 각 부품들간에는 용접 등의 조립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에 의하여, 지주(11), 발전기몸체(12), 프로펠러(13)는 설치홀(110)에 위치한 이동탑재부(400)에 의해 조립되면서 탑재될 수 있다.
나아가 발전기몸체(12)에 프로펠러(13)를 장착하는 단계 이후에는 작업선(1)이 해상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이동탑재부(400)가 설치홀(110)을 개방하도록 원 위치로 복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이동탑재부(400)와 함께 해상 풍력발전기(10)는 선박의 내측영역으로 이동하면서 더욱 안정적으로 선박에 탑재된 상태가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상 풍력발전기를 안벽에 설치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고, 도 9 내지 도 11은 도 6에 의한 방법을 보여주는 측면 동작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해상 풍력발전기(10)를 안벽(5)에서 조립하는 방법은 작업선(1)을 이동시켜 안벽(5)에 접안시키는 선박 접안단계(S100)와, 안벽(5)에 위치한 크레인(C)을 이용하여 해상 풍력발전기(10)의 지주(11)를 기립한 상태로 작업선(1)에서 조립하는 단계(200)와, 크레인(C)과 지주(11)와의 이격거리가 작업거리보다 가까운 경우, 크레인(C)을 이용하여 기립된 지주(11)를 작업선(1)의 설치홀(110) 아래로 일정 높이만큼 이동시켜 작업거리를 확보하는 단계(S250)과, 리프트부(500)를 이용하여 지주(11)의 위치를 고정하는 단계(S260)과, 기립된 상태의 지주(11)에 크레인(C)을 이용하여 해상 풍력발전기(10)의 발전기몸체(12)를 조립하는 단계(S300) 및 크레인(C)을 이용하여 발전기몸체(12)에 프로펠러(13)를 장착하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거리는 크레인(C)의 메인붐(Main Boom)과 들어올리는 물체와 간섭되지 않으면서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는 거리를 말하며, 크레인(C)의 무게중심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크레인(C)과 지주(11)와의 이격거리가 작업거리보다 가까운 경우에는 크레인(C)의 무게중심이 무너지거나 크레인(C)과 지주(11) 간에 충격이 발생하여 시공이 불안전해질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작업거리는 10m일 수 있으며, 물체의 형상이나 견인위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크레인(C)과 지주(11)와 이격거리가 작업거리보다 가까운 경우, 작업거리를 확보하는 단계(S250)가 필요한 것이다.
한편, 선박 접안단계(S100)는 작업선(1)에 형성된 설치홀(110)이 상기 안벽(5)에 인접하도록 작업선(1)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안벽(5)에 인접한 작업선(1)을 정박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선(1)의 레그가 하강하여 작업선(1)이 안벽(5)이 접안된 상태로 위치가 고정된다.
선박 접안단계(S100) 이후에는 작업선(1)의 이동탑재부(400)가 이동하여 설치홀(110)을 덮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지주(11)는 이동탑재부(400)에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탑재부(400)는 제1블록(410) 내지 제3블록(430)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주(11)의 하부는 제1블록(410)에 고정되고 제2블록(420) 및 제3블록(43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가 되면서 작업선(1)에 탑재될 수 있다.
그리고 지주 설치단계(S200)에서 지주(11)는 1개일 수 있지만, 전술한 실시 형태처럼 다수개의 지주봉(11-1, 1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지주봉(11-1, 11-2)이 각각 크레인(C)에 의해 기립된 상태로 상기 작업선(1)에 탑재되는 지주봉(11-1, 11-2) 탑재단계와, 인접한 지주봉(11-1, 11-2)들을 용접하는 지주봉(11-1, 11-2) 용접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주(11)가 2개의 지주봉(11-1, 11-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지주봉(11-1, 11-2)은 그 이상의 개수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주(11)가 이동탑재부(400)에 조립 장착되면, 크레인(C)과 지주(11)와의 이격거리가 작업거리보다 짧은 경우가 발생한다. 여기서 작업거리는 해상 풍력발전기(10)의 발전기몸체(12)와 프로펠러(13)를 크레인(C)으로 안정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거리를 말한다고 전술한 바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지주(11)의 높이를 낮출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크레인(C)을 이용하여 기립된 지주(11)를 작업선(1)의 설치홀(110) 아래로 일정 높이만큼 이동시켜 안전한 작업거리를 확보하는 단계(S250)가 수행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C)을 이용하여 지주(11)를 일정높이 들어올려 이동탑재부(400)의 제1블록(410)을 지주(11)에서 분리하고(S230), 이동탑재부(400)의 제1블록(410)을 이동하여 설치홀(110)을 개방시킨다(S240).
이어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C)을 이용하여 지주(11)가 설치홀(110)을 통과하여 바다속으로 지주(11)의 아래부분이 일정 높이만큼 잠길 수 있도록 하여 작업거리를 확보하게 된다. 이때, 리프트부(500)가 지주(11)를 고정한 후, 크레인(C)은 지주(11)의 고정을 해제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1)가 아래로 내려가 크레인(C)이 발전기몸체(12)를 안전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소정의 작업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크레인(C)은 발전기몸체(12)를 들어 지주(11)에 설치할 수 있다. 발전기몸체(12)와 지주(11)는 조립된 후 용접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C)을 이용하여 프로펠러(13)가 발전기몸체(12)에 장착되면, 해상 풍력발전기(10)는 기립된 상태로 조립이 완성될 수 있다. 즉, 상술한 일련의 과정에 의하여, 지주(11), 발전기몸체(12), 프로펠러(13)들은 설치홀(110)에 위치한 이동탑재부(400)에 의해 조립되면서 탑재될 수 있다.
다음으로 발전기몸체(12)에 프로펠러(13)를 장착하는 단계 이후에는 선박에 안정적으로 탑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동작이 더 수행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리프트부(500)를 이용하여 지주(11)를 설치홀(110)의 상부로 위치시키는 단계(S500)가 수행되고, 지주(11)가 설치홀(110)의 상부로 위치하면 이동탑재부(400)의 제1블록(410)을 이동하여 설치홀(110)을 덮는 단계(S510)가 수행된다.
이어서 리프트가 지주(11)를 내려서 이동탑재부(400)의 제1블록(410)에 장착되는 단계(S520)가 계속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에 의하여, 지주(11), 발전기몸체(12), 프로펠러(13)는 설치홀(110)에 위치한 이동탑재부(400)에 의해 조립되면서 탑재될 수 있다.
나아가 발전기몸체(12)에 프로펠러(13)를 장착하는 단계 이후에는 작업선(1)이 해상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이동탑재부(400)가 설치홀(110)을 개방하도록 원 위치로 복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이동탑재부(400)와 함께 해상 풍력발전기(10)는 작업선(1)의 내측영역으로 이동하면서 더욱 안정적으로 작업선(1)에 탑재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해상 풍력발전기를 안벽에서 조립하는 방법에 따르면, 안벽에서 해상 풍력발전기의 부품들을 세워서 작업선에 안전하게 조립함과 동시에 탑재할 수 있고, 해상으로 안전하게 이동하여 설치장소에 빠르게 설치할 수 있다.
그러므로 대한민국 정부는 2019년까지 서남해 인근에 2.5 GW 발전용량의 해상 풍력발전 단지를 구축하는 해상 풍력발전 종합추진 계획을 발표하여 추진하고 있는데, 본 발명은 정부 정책에 발맞추어 해상 풍력발전기 시설 일체를 저비용으로 정확하고, 안전하고, 빠른 설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작업선 10 : 해상 풍력발전기
11 : 지주 12 : 발전기몸체 13 : 프로펠러
100 : 선박본체 110 : 설치홀 200 : 플로팅레그부
210 : 레그 220 : 레그지지대 230 : 레그윈치
300 : 가이드부 301 : 가이드본체 310 : 제1레일
320 : 제2레일 330 : 제3레일 400 : 이동탑재부
410 : 제1블록 420 : 제2블록 430 : 제3블록
411 : 탑재패널 412 : 고정돌기 421, 431 : 지주삽입공
422, 432 : 고정패널 423, 424, 433, 434 : 회동패널
500 : 리프트부 510 : 후크와이어 520 : 와이어연결부재
530 : 승하강로프 540 : 로프지지대 600 : 앙카부
610 : 앙카 620 : 윈치

Claims (1)

  1. 작업선을 이동시켜 안벽에 접안시키는 선박 접안단계;
    상기 안벽에 위치한 크레인을 이용하여 해상 풍력발전기의 지주를 기립한 상태로 이동탑재부에 고정하여 작업선에 탑재하는 단계;
    기립된 상태의 상기 지주에 상기 크레인을 이용하여 해상 풍력발전기의 발전기몸체를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발전기몸체에 프로펠러를 장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해상 풍력발전기를 안벽에서 조립하는 방법.
KR20130141851A 2013-11-21 2013-11-21 해상 풍력발전기를 안벽에서 조립하는 방법 KR201500094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1851A KR20150009414A (ko) 2013-11-21 2013-11-21 해상 풍력발전기를 안벽에서 조립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1851A KR20150009414A (ko) 2013-11-21 2013-11-21 해상 풍력발전기를 안벽에서 조립하는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3473A Division KR101411934B1 (ko) 2013-05-31 2013-07-16 해상 풍력발전기를 안벽에서 조립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414A true KR20150009414A (ko) 2015-01-26

Family

ID=52572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41851A KR20150009414A (ko) 2013-11-21 2013-11-21 해상 풍력발전기를 안벽에서 조립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94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4318A1 (ko) * 2015-06-16 2016-12-22 이레오션 주식회사 해상파일 설치장치
KR102062204B1 (ko) * 2018-08-30 2020-01-03 유한회사 티오씨 해상풍력타워의 일괄 설치 및 운반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4318A1 (ko) * 2015-06-16 2016-12-22 이레오션 주식회사 해상파일 설치장치
KR102062204B1 (ko) * 2018-08-30 2020-01-03 유한회사 티오씨 해상풍력타워의 일괄 설치 및 운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1934B1 (ko) 해상 풍력발전기를 안벽에서 조립하는 방법
EP3342699A1 (en) Floating offshore platform
JP6039097B2 (ja) 浮遊輸送および設置構造体、および浮遊風力タービン
KR102033794B1 (ko) 해상 풍력 터빈용 토대, 그 해상 풍력 터빈 및 그 설치 방법
JP2011183835A (ja) 甲板昇降式作業台船及び洋上風力発電施設の施工方法
KR20120047740A (ko) 갑판승강식작업대선 및 이를 이용한 해상풍력발전시설의 시공방법
CN104040075A (zh) 一种用于安装海上塔的方法
CN103228909A (zh) 用于安装海上塔的方法
CN101837929B (zh) 一种在滩涂区域驳船吊装风机的作业方法
WO2014187977A1 (en) Deep-draft floating foundation for wind turbine with clustered hull and compartmented ballast section and self-erecting pivoting installation process thereof
KR101790970B1 (ko) 육상에서 조립한 해상풍력발전기의 해상에서의 설치방법
CA2916763A1 (en) Platform for tidal turbines
US8555599B2 (en)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f a civil engineering structure and associated system
EP4139205A1 (en) A self-propelled floating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on
KR101401985B1 (ko) 수상구조물 설치용 잭업식 플로팅 크레인
JP6124064B2 (ja) 洋上風力発電施設の建造・運搬方法
KR20150018338A (ko) 이동가능한 해상 풍력발전기 고정유닛 및 그를 구비한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용 작업선
KR20150009414A (ko) 해상 풍력발전기를 안벽에서 조립하는 방법
JP5555272B2 (ja) 洋上風力発電施設の施工方法
KR20150011296A (ko) 해상 풍력발전기 고정유닛 및 그를 구비한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용 작업선
JP2021076043A (ja) 洋上風車の据付方法
KR101297669B1 (ko) 해상풍력발전기 설치 전용선을 이용한 해상풍력발전기 설치방법
JP2012112370A (ja) 洋上風車設置用船舶およびこれを用いた洋上風車設置方法
KR101383287B1 (ko) 해상기둥구조물에서의 중량물 이송방법 및 이를 위한 중량물 이송장치
KR101415932B1 (ko) 해상 풍력발전기 기초구조물 설치용 작업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