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9095B1 -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 - Google Patents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9095B1
KR100609095B1 KR1020060044692A KR20060044692A KR100609095B1 KR 100609095 B1 KR100609095 B1 KR 100609095B1 KR 1020060044692 A KR1020060044692 A KR 1020060044692A KR 20060044692 A KR20060044692 A KR 20060044692A KR 100609095 B1 KR100609095 B1 KR 100609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block
upper body
press
vertical
s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4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배
안동근
박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to KR1020060044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90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9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9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50Anchored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52Submerged foundations, i.e. submerged in ope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부방파제의 부유이동을 제한하도록 부방파제에 일단이 연결된 일정길이의 계류라인의 타단과 연결되어 해저면에 고정되는 앵커블록에 있어서, 상기 해저면과 직교하도록 해저면에 침하되는 수직한 몸체를 갖추어 수평저항력을 발생시키는 하부본체 ; 상기 하부본체의 상단에 상기 해저면과 평행하도록 구비되는 수평한 몸체를 갖추어 상기 해저면과의 접촉면에서 면압을 발생시키는 상부본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방파제를 일정장소에 정착시키기 위한 계류라인을 해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하면서 과도한 하강침하를 방지하고, 수평력에 대하여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효과가 얻어진다.
부방파제, 앵커블록, 수직벽, 수평저항력, 면압, 중량체

Description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A Light Weight Anchor Block of Press-in Type}
도 1는 일반적인 중력식 방파제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a)는 혼성방파제이고,
b)는 경사방파제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부방파제가 앵커블록에 계류되는 상태도이다.
도 3(a)는 일반적인 부방파제의 계류라인이 콘크리트 앵커블록에 계류되는 상태도이다.
도 3(b)는 일반적인 부방파제의 계류라인이 석션파일에 계류되는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의 제1 실시예를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의 제1 실시예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의 제1 실시예에 도어가 구비된 사시도이다.
도 7(a)(b)는 본 발명에 따른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의 제1 실시예에 도어가 작동되는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의 제2 실시예를 상부에서 바라본 사 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의 제2 실시예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의 제3 실시예를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의 제3 실시예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을 해저면에 설치하는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a,1b : 앵커블록 10,10a,10b : 하부본체
11,12 : 제1,2 수직벽 11a : 수직벽체
11b : 수직파이프 13 : 절개부
14,15 : 제1,2 보강판 16 : 계류플레이트
20,20a,20b : 상부본체 22 : 개구부
24 : 고정리브 30 : 중량체
본 발명은 앵커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부방파제를 일정장소에 정착시키기 위한 계류라인을 해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하면서 과도한 하강침하를 방지하고, 수평력에 대하여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파제는 항만시설이나 선박을 외해의 파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외곽시설로서 크게 구조상 사석(블록) 방파제, 직립 방파제, 혼성 방파제, 소파블록 피복식 혼성 방파제및 경사 방파제등과 같은 해저에 고정되는 중력식 구조물이다.
이러한 종래 중력식 방파제중 혼성 방파제(100)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저면(B)에 견고하게 지지되며 해수에 잠겨져서 해저수의 흐름을 차단하여 주는 하부 구조물인 사석 마운드(110)와, 상기 사석 마운드(110)의 상부면에 지지되며 그 상부 일부가 해수 표면위로 돌출되어 해수면(T)을 따라 전달되어 오는 파랑 에너지를 흡수하여 주는 상부 구조물인 케이슨(120)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상기 소파블록 피복식 혼성 방파제는 상기 케이슨(120)의 전면에 이형블록(미도시)을 설치하여 소파기능을 갖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경사 방파제(200)는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단이 해저면(B)에 견고하게 지지되고, 좌우 양측면이 일정 각도로 경사진 사석 마운드(210)와, 해수면(T)상에 노출되도록 상기 사석 마운드(21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캡(220)으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중력식 방파제는 그 하부 구조물인 사석 마운 드(110)(210)가 깊은 부분의 해수 흐름을 차단하여 해수가 항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고 상부구조물인 케이슨(120)은 해수면을 따라 전달되어 오는 파랑 에너지를 차단하여 방파기능을 수행하여 주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상기 중력식 방파제는 해저면에서 해수표면위까지 일체로 구축되는 구조물이기 때문에 그 구조물이 안정성이 있고 항내 정온도(靜穩度)를 충분히 유지하여 선박들을 안전하게 정박시켜 주는 장점을 가지는 것은 사실이나, 해수의 과도한 차단으로 항내의 해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항내 수질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중력식 방파제는 조석간만의 차가 큰 지역에서는 만조위시를 기준으로 하여 상부구조물을 설치해야만 하기 때문에 간조위시에는 상부 구조물의 높이가 필요이상으로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하부 구조물를 해저면에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서는 과도한 양의 준설 및 재료의 증가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수중공사로 인해 공사여건이 좋지 않아서 공사가 지연되고 공사비가 급격히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중력식 방파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수면(T)에 부유체(300)를 띄우고 이를 체인이나 케이블과 같은 계류라인(310)을 매개로 해저면(B)에 고정되는 앵커블록(320)에 고정함으로서 외해로부터 내해측으로 밀려오는 파도를 반사시키거나 소멸시키는 부방파제가 알려져 있다.
상기 계류라인(31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수면에 떠있는 부방파 제(300)가 입사파에 의한 수평이동시 계류장력이 걸리는 것을 감안하여 해저면(B)으로부터 이격되는 현수구간(A,A1)과 해저면(B)에 접촉되는 완충구간(B,B1)을 갖게 된다.
이러한 계류라인의 길이는 수심의 5배에 조수간만의 차를 고려하여 설정되며, 상기 계류라인이 일직선으로 당겨진다고 할 경우 해저면(B)에 대한 계류라인의 설치각도는 10도 미만으로 설계된다.
즉, 상기 부방파제(300)가 입사파에 의해서 도면상 좌측으로 수평이동되는 경우, 계류라인(310)의 현수구간(A1)은 증가하는 반면에 완충구간(B1)은 상대적으로 감소되면서 상기 현수구간(A1)에 걸리는 계류장력이 증가되고, 이로 인하여 계류라인(310)이 충격파단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중량물의 침하가 용이한 연약지반으로 구성되는 해저면(B)에 고정되는 고정구조물이 중력식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앵커블록(320)인 경우, 도 3(a)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앵커블록(320)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자중에 의해서 계류라인(310)을 끌고 가면서 지반내로 점차 침하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부방파제(300)의 수평이동시 계류장력을 완충시킬 수 있는 완충구간을 감소시키고, 계류라인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어 부방파제(300)의 과다한 부유이동시 계류장력의 과다증가로 라인이 단선되는 사고를 유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앵커블록(320)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앵커블록(320)과 중간블록(330)이 올려지는 연약한 지반을 일정깊이로 넓은면적에 대하여 강성을 갖을수 있도록 모래나 콘크리트 등으로 치환하 는등 연약지반 처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수중에서 이러한 작업을 하는것은 매우 난해할 뿐만 아닐 고가의 시공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중량물의 침하가 용이한 연약지반으로 구성되는 해저면(B)에 고정되는 고정구조물이 파일항타 앵커링 또는 석션파일(320a)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석션파일(320a)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약지층의 깊이(H)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층(B1)에 고정되도록 직하부로 가해지는 반복적인 타격력에 의해서 연약지층을 통과하여 지지층(B1)에 강제 압입고정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석션파일(320a)에 하단이 연결된 계류라인(310)는 초기에 사전에 설정된 완충구간과 현수구간을 유지하게 되지만, 시간이 경과하면서 계류라인인 계류라인(310)이 연얀지층에 침하되면서 현수구간의 계류라인이 하부로 늘어지면서 계류장력을 저하시키는 것이다.
계류장력이 저하되어 손실되면, 입사파에 의하여 수평이동되는 부방파제의 운동/소파특성이 변형되고, 부방파제의 위치가 변경되며, 부방파제를 유지관리하는데 소요되는 경비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부방파제를 일정장소에 정착시키기 위한 계류라인을 해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하면서 과도한 하강침하를 방지하고, 수평력에 대하여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써, 본 발명은, 부방파제의 부유이동을 제한하도록 부방파제에 일단이 연결된 일정길이의 계류라인의 타단과 연결되어 해저면에 고정되는 앵커블록에 있어서, 상기 해저면과 직교하도록 해저면에 침하되는 수직한 몸체를 갖추어 수평저항력을 발생시키는 하부본체 ; 상기 하부본체의 상단에 상기 해저면과 평행하도록 구비되는 수평한 몸체를 갖추어 상기 해저면과의 접촉면에서 면압을 발생시키는 상부본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본체는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제1 수직벽과, 상기 제1 수직벽의 양단과 직각으로 교차하여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제2 수직벽을 포함하는 사각틀형상으로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수직벽과 제2 수직벽중 어느 하나의 수직벽은 해저면과 대응하는 하단에 절개부를 구비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2 수직벽은 상기 상부본체의 외측테두리보다 내측으로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서로 마주하는 수직벽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판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본체는 외부면에 상기 계류라인의 타단이 연결되는 계류플레이트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본체는 상부면 중앙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관통형성한 금속판재로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상부본체에 일단이 선회작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와, 상기 도어가 상기 하부본체내로 진입되지 못하도록 상기 개구부에 장착되는 스토퍼를 추가 구비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토퍼는 해수가 자유롭게 유출입되는 메쉬형 메탈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본체는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중량체를 추가 구비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본체는 상부면에 상기 중량체가 탑재되어 고정되는 고정리브를 구비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량체는 상기 상부본체의 상부면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고정바에 끼워져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을 몸체에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본체는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에 상단이 고정되고,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수직벽체로 구비되고, 상기 상부본체는 상기 하부본체의 상단이 일체로 고정되도록 성형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본체는 내측면에 일단이 용접되고 상기 수평본체에 상단이 일체로 고정되는 보강판을 구비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본체는 외부면에 상기 계류라인의 타단이 연결되는 연결고리를 구비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고리는 상기 수직벽체와 대응하는 상부본체의 외부면에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본체는 상기 상부본체의 하부에 상단이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상부본체의 외측테두리와 나란하게 일정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수직파이프이고, 상기 상부본체는 상기 수직파이프의 상단이 일체로 고정되도록 성형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직파이프는 상단이 상기 상부본체의 상부면에 노출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수직파이프는 서로 마주하도록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본체는 외부면에 상기 계류라인의 타단이 연결되는 연결고리를 구비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고리는 상기 수직파이프와 대응하는 상부본체의 외부면에 구비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의 제1 실시예를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의 제1 실시예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앵커블록(1)은 도 4와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수면에 떠 있는 부방파제를 일정장소에 정착시키기 위한 계류라인을 해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하면서 과도한 침하를 방지하고, 수평력에 대하여 충분히 대응할 수 있도록 초연약지반의 해저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이는 하부본체(10)와 상부본체(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본체(10)는 상기 부방파제(300)의 수평이동시 계류라인을 통하여 전달되는 외력에 대한 수평저항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수직한 몸체가 해저면에 하강침하되어 해저면과 직교하는 것이다.
이러한 하부본체(10)는 상기 상부본체(20)의 하부면에 일체로 용접되어 고정되는 사각틀형상의 철판 구조물이며, 이는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제1 수직벽(11)과, 상기 제1 수직벽(11)의 좌우양단과 직각으로 교차하여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제2 수직벽(1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서로 마주하는 제1 수직벽(11)은 서로 동일한 길이로 구비되고, 상기 서로 마주하는 제2 수직벽(12)은 서로 동일한 길이로 구비될 수 있지만, 상기 제1 수직벽(11)과 제2 수직벽(12)은 상기 상부본체(20)의 하부면에 제공되는 설치면적내에서 서로 다른 길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수직벽(11)과 제2 수직벽(12)중 어느 하나의 수직벽은 해저면과 대응하는 하단에 절개부(13)를 구비한다.
이러한 절개부(13)가 수직벽의 하단에 형성되면, 상기 앵커블록(1)의 자중에 의한 침하시 하부본체(10)와 상부본체(20)사이에 채워지는 해수가 상기 절개부(13) 를 통하여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앵커블록(1)가 해저면에 배치되는 초기설치작업이 보다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본체(2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2 수직벽(11)(12)은 상기 상부본체(20)의 외측테두리보다 항상 내측에 위치되도록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앵커블록(1)의 자중에 의한 침하시 상부본체(20)의 하부면과 해저면간의 면압은 상기 제1,2 수직벽(11)(12)을 중심으로 내,외측에서 동시에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서로 마주하는 제1 수직벽(11)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보강판(14)을 구비하며, 상기 서로 마주하는 제2 수직벽(12)사에도 적어도 하나의 제2 보강판(15)을 구비한다.
상기 제1,2 수직벽(11)(12)의 수직상태를 안정적으로 보강하도록 제1,2 보강판(14)(15)이 동시에 구비되면 이들은 서로 직각으로 교차되고, 교차점은 서로 일체가 되도록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10)를 구성하는 제1,2 수직벽(11)(12)중 해저면과 보다 많은 접촉면적을 갖는 수직벽의 외부면에는 상기 부방파제(300)에 일단이 연결된 계류라인(310)의 타단이 연결되는 계류플레이트(16)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상부본체(20)는 하부면에 상기 하부본체(10)를 구성하는 제1,2수직벽(11)(12)의 상단이 용접되어 고정되고, 상기 해저면(B)과 평행하도록 구비되는 수평한 몸체를 갖추어 상기 해저면과의 접촉면에서 더이상의 하강침하를 곤란하게 하는 면압을 발생시키는 사각판상의 금속구조물이다.
이러한 상부본체(20)의 상부면 중앙영역에는 해저면을 상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22)를 관통형성하여 구비한다.
상기 개구부(22)를 상부본체(20)의 상부면에 구비하게 되면, 상기 앵커블록의 자중에 의한 침하시 하부본체(10)와 상부본체(20)사이에 채워지는 해수가 상기 개구부(22)를 통하여 상부로 용이하게 배출되고, 이로 인하여 앵커블록(1)이 해저면(B)에 배치되는 초기설치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개구부(22)가 형성된 상부본체(20)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22)를 개폐하는 도어(40)와 이에 접하는 스토퍼(41)를 구비한다.
상기 도어(40)는 상기 개구부(22)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금속판재이며, 그 일단은 상기 상부본체(20)의 상부면이나 상기 개구부(22)의 내부면에 힌지구(42)를 매개로 하여 선회작동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41)는 상기 도어(40)가 상기 개구부(22)를 통과하여 하부본체(10)내부로 불필요하게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개구부(22)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토퍼(41)는 상기 하부본체(10)에 구비되는 제1,2 보강판(14)(15)에 의해서도 상기 도어(40)가 하부본체(10)내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으며, 상기 개구부(22)에 해수가 자유롭게 유출입되는 메쉬형 메탈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본체(20)에 구비되는 도어(40)는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앵커블록(1)의 설치시 해수가 상기 개구부(22)를 통하여 하부로부터 상부로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선회되고, 상기 앵커블록(1)이 해저면에 안착되면 자중에 의해서 상기 도어(40)는 힌지축(42)을 중심으로 하여 하방선회되고, 상기 스토퍼(41)와 접해질때 상기 개구부(22)를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앵커블록(1)이 상방으로 인발될때 인발력에 대한 저항력이 보다 증대시키고, 상부측의 해수가 개구부(22)를 통해 하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도어(40a)는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22)의 서로 마주하는 내부면에 좌우한쌍으로 구비되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본체(20)의 상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체(30)를 추가하여 구비할 수도 있으며, 상기 중량체(30)가 올려지는 상부몸체(20)의 상부면에는 상기 중량체(30)가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고정리브(24)를 구비한다.
이러한 중량체(30)가 상부본체(20)의 상부면에 탑재하게 되면, 앵커블록(1)의 자중이 증가되기 때문에 설치 후 상부본체 주변의 지반이 수중흐름 등으로 인해 세굴 유실되었을 경우, 상부본체의 접지면적이 줄어들게 되고, 면압이 감소 하게되면 다시 중량체(30)의 자중에 의하여 평형상태의 면압을 유지할수 있도록 앵커블럭(1)이 자동적으로 압입되는 것을 돕게 된다.
한편, 상기 중량체(30)는 상기 상부본체(20)의 상부면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고정바(35)에 끼워져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31)을 몸체에 구비한다.
또한, 상기 고정바(35)는 상단에 수나사부를 구비하고, 이에 체결되는 고정너트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본체(20)의 상부면에 하부단이 일체로 구비되는 고정 바(35)에 상기 관통공(31)을 맞추어 중량체(30)를 배치하게 되면, 앵커블록(1)에 영구하중으로 구비되는 중량체(30)가 상부본체(20)로부터 분리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의 제2 실시예를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의 제 2 실시예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앵커블록(1a)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8과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수면에 떠 있는 부방파제와 연결된 계류라인을 해저면(B)에 안정적으로 고정하면서 과도한 침하를 방지하고, 수평력에 대하여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저항력을 갖도록 연약지반의 해저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이는 하부본체(10a)와 상부본체(20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앵커블록(1a)의 자중에 의해서 해저면에 침하되는 하부본체(10a)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상부몸체(20a)에 상단이 일체로 고정되고,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수직벽체(11a)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해저면과 직교하는 수직벽체(11a)는 앵커블록(1a)의 자중에 의한 침하시 해저면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침하후 해저면에 대하여 수평저항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수직한 금속판재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본체(10a)를 구성하는 수직벽체(11a)와 상부본체(20a)사이에는 상기 수빅벽체(11a)의 수직상태를 보강하도록 구비되는 보강판(14a)을 갖추 며, 이러한 보강판(14a)은 상기 수직벽체(11a)의 내측면에 일단이 용접되어 고정되고, 상기 상부본체(20a)에 상단이 일체로 매입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본체(20a)는 상기 하부본체(10a)인 수직벽체(11a)의 각 상단이 일체로 고정되도록 콘크리트로서 직육면체의 구조물로서 성형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이다.
또한, 상기 상부본체(20a)의 외부면에는 상기 부방파제(300)와 연결되는 계류라인(310)의 타단이 연결되는 연결고리(26a)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연결고리(26a)는 수평저항력을 발생시키도록 해저면(B)으로 침하되는 수직벽체(11a)와 대응하는 상부본체(20a)의 외부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의 제3 실시예를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의 제3 실시예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앵커블록(1b)은 제1,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10과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수면(T)에 떠 있는 부방파제와 연결된 계류라인을 해저면(B)에 안정적으로 고정하면서 과도한 침하를 방지하고, 수평력에 대하여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저항력을 갖도록 해저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이는 하부본체(10b)와 상부본체(2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앵커블록(1b)의 자중에 의해서 해저면에 침하되는 하부본체(10b)는 콘 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상부본체(20b)에 상단이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상부본체(20b)의 외측테두리와 나란하게 일정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수직파이프(11b)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해저면(B)과 직교하는 수직파이프(11b)는 앵커블록(1a)의 자중에 의한 침하시 해저면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침하후 해저면에 대하여 수평저항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중공파이프부재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파이프(11b)의 상단이 상기 상부본체(20b)의 상부면을 통하여 상부로 개구상태로 노출되도록 구비하면, 앵커블록의 자중에 의한 침하시 지반이 중공형 파이프부재를 통하여 상부로 용이하게 배출되고, 이로 인하여 앵커블록(1b)이 해저면(B)에 배치되는 초기설치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본체(20b)의 하부면에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수직파이프(11b)는 상기 상부본체(20b)의 하부면에 다른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다른 수직파이프와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본체(20b)는 상기 하부본체(10b)를 구성하는 수직파이프(11b)의 상단을 일체로 고정되도록 콘크리트로서 직육면체상으로 성형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이다.
또한, 상기 상부본체(20b)의 외부면에는 상기 부방파제(300)와 연결되는 계류라인(310)의 타단이 연결되는 연결고리(26b)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연결고리(26b)는 수평저항력을 발생시키도록 해저면(B)으로 침하 되는 수직파이프(11b)와 대응하는 상부본체(20b)의 외부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앵커블록(1)(1a)(1b)중 중량체(30)가 상부본체(20a)에 올려지는 앵커블록(1)을 해저면에 설치하는 작업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량물인 앵커블록(1)을 이송하는 크레인(410)을 구비하는 바지선(400)의 상부에 설치대상물인 앵커블록(1)과 중량체(30)의 다층으로 적층하여 적재한다.
상기 앵커블록(1)과 중량체(30)를 적재한 바지선(400)은 설치장소에서 크레인(410)을 이용하여 적재된 앵커블록(1)을 하나씩 이송하여 연약지반층으로 이루어진 해저면(B)에 착저시킨다.
상기 앵커블록(1)은 수직한 몸체를 갖는 제1,2수직벽(11)(12)으로 이루어진 하부본체(10)가 해저면에 직교하기 때문에, 앵커블록(1)의 자중에 의해서 연약지반층으로 이루어진 해저면(B)으로 서서히 침하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본체(10)가 해저면(B)에 보다 빠른 속도로 침하되도록 상부본체(20)의 상부면에 중량체(30)가 올려져 자중을 가중시킬 수도 있으며, 상기 중량체(30)의 탑재수는 해저면(B)의 지반강도를 고려하여 가감할 수 있다.
연속하여, 상기 앵커블록(1)의 하부몸체(10)가 해저면(B)에 완전히 침하될때 상기 해저면(B)은 상기 상부몸체(20)의 하부면과 면접하면서 면압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상기 앵커블록(1)이 해저면으로 과도하게 침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해저면(B)과 상부본체(20)의 하부면과의 접촉시 해저면의 연약지반층은 상기 상부본체(20)의 상부 중앙영역에 개구형성된 개구부(22)를 통하여 상부로 배출되지만, 상기 개구부(22)를 제외한 대부분의 영역이 상기 해저면과 접하여 면압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앵거블록(1)이 해저면으로 과도하게 침아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연속하여, 상기 앵커블록(1)의 하부본체(10)가 해저면에 완전히 침하되고, 상부본체(20)의 하부면과 해저면(B)이 접하여 면압이 발생될때, 상기 상부본체(20)상에 탑재되어 있던 중량물(30)은 모두 또는 일부를 제거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해저면에 침하되어 고정된 앵커블록(1)이 체인, 와이어와 같은 계류라인(310)을 매개로 부유물인 부방파제(300)와 연결된 후, 입사파에 의해서 상기 부방파제(300)가 수평이동되면, 상기 계류라인에 걸리는 장력에 의해서 상기 앵커블록(1)을 수평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때, 상기 앵커블록(1)의 하부본체를 구성하는 제1,2 수직벽이 해저면에 완전히 침하되어 장력에 대한 수평저항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앵커블록의 해저면에 확고히 위치고정하여 계류라인의 현수구간과 완충구간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상부본체(20)는 해저면과의 면압에 의해서 시간이 경과하면서 해저면으로 과도하게 침하되는 것 방지하여 상기 계류라인의 현수구간과 완충구간이 가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 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앵커블록의 자중에 의하여 해저면에 수직상태로 침하되어 수평력에 대한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하부본체와, 하부본체의 완전침하시 해저면과 하부면이 접하여 더이상의 하강침하가 곤란하도록 면압을 발생시키는 상부본체를 구비함으로서, 부방파제를 일정장소에 정착시키기 위한 계류라인을 해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하면서 과도한 하강침하를 방지하고, 수평방향의 외력에 대하여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수평저항력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계류라인에 과도한 장력이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계류라인이 파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초연약지반층에서 블록의 장기적인 하강침하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보다 가벼운 무게를 갖고 부피가 크기를 갖도록 경량구조의 블록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한번에 다량의 앵커블록을 배에 선적하여 해저면에 시공할 수 있어 시공기간을 단축하고,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블록을 적재하는 야적장 및 제작장의 규모를 상대적으로 작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연약지반층의 해저면에 설치하는 경우, 종래와 같이 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한 추가시공비가 소요되지 않아 공사비용을 가일층 절감할 수 있다.

Claims (21)

  1. 부방파제의 부유이동을 제한하도록 부방파제에 일단이 연결된 일정길이의 계류라인의 타단과 연결되어 해저면에 고정되는 앵커블록에 있어서,
    상기 해저면과 직교하도록 해저면에 침하되는 수직한 몸체를 갖추어 수평저항력을 발생시키는 하부본체 ;
    상기 하부본체의 상단에 상기 해저면과 평행하도록 구비되는 수평한 몸체를 갖추어 상기 해저면과의 접촉면에서 면압을 발생시키는 상부본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본체는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제1 수직벽과, 상기 제1 수직벽의 양단과 직각으로 교차하여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제2 수직벽을 포함하는 사각틀형상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벽과 제2 수직벽중 어느 하나의 수직벽은 해저면과 대응하는 하단에 절개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수직벽은 상기 상부본체의 외측테두리보다 내측으로 위치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마주하는 수직벽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판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본체는 외부측면에 상기 계류라인의 타단이 연결되는 계류플레이트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본체는 상부면 중앙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관통형성한 금속판재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상부본체에 일단이 선회작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와, 상기 도어가 상기 하부본체내로 진입되지 못하도록 상기 개구부에 장착되는 스토퍼를 추가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해수가 자유롭게 유출입되는 메쉬형 메탈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본체는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중량체를 추가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본체는 상부면에 상기 중량체가 탑재되어 고정되는 고정리브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는 상기 상부본체의 상부면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고정바에 끼워져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을 몸체에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본체는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면에 상단이 고정되고,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수직벽체로 구비되고, 상기 상부본체는 상기 하부본체의 상단이 일체로 고정되도록 성형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본체는 내측면에 일단이 용접되고 상기 수평본체에 상단이 일체로 고정되는 보강판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본체는 외부측면에 상기 계류라인의 타단이 연결되는 연결고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리는 상기 수직벽체와 대응하는 상부본체의 외부측면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본체는 상기 상부본체의 하부에 상단이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상부본체의 외측테두리와 나란하게 일정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수직파이프이고, 상기 상부본체는 상기 수직파이프의 상단이 일체로 고정되도록 성형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파이프는 상단이 상기 상부본체의 상부면에 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수직파이프는 서로 마주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본체는 외부측면에 상기 계류라인의 타단이 연결되는 연결고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리는 상기 수직파이프와 대응하는 상부본체의 외부면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
KR1020060044692A 2006-05-18 2006-05-18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 KR100609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4692A KR100609095B1 (ko) 2006-05-18 2006-05-18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4692A KR100609095B1 (ko) 2006-05-18 2006-05-18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9095B1 true KR100609095B1 (ko) 2006-08-08

Family

ID=37185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4692A KR100609095B1 (ko) 2006-05-18 2006-05-18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909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702B1 (ko) 2012-06-27 2012-10-12 뉴마린엔지니어링(주) 설치와 이동이 용이한 부표용 침추
KR101557361B1 (ko) * 2015-06-17 2015-10-08 (주)아진이엔지 회전식 복합 앵커블록
KR20160149123A (ko) 2015-08-19 2016-12-27 (주)진양이엔지 회전식 복합 앵커블록
KR102389114B1 (ko) * 2021-07-20 2022-04-21 주식회사 혜인이엔씨 해안침식 저감을 위해 수중에서 시공되는 해수 소통형 수중 수평방파제 및 시공 방법
CN116812079A (zh) * 2022-08-10 2023-09-29 交通运输部南海航海保障中心广州航标处 一种新型浮动标志固定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702B1 (ko) 2012-06-27 2012-10-12 뉴마린엔지니어링(주) 설치와 이동이 용이한 부표용 침추
KR101557361B1 (ko) * 2015-06-17 2015-10-08 (주)아진이엔지 회전식 복합 앵커블록
KR20160149123A (ko) 2015-08-19 2016-12-27 (주)진양이엔지 회전식 복합 앵커블록
KR102389114B1 (ko) * 2021-07-20 2022-04-21 주식회사 혜인이엔씨 해안침식 저감을 위해 수중에서 시공되는 해수 소통형 수중 수평방파제 및 시공 방법
CN116812079A (zh) * 2022-08-10 2023-09-29 交通运输部南海航海保障中心广州航标处 一种新型浮动标志固定装置
CN116812079B (zh) * 2022-08-10 2023-12-19 交通运输部南海航海保障中心广州航标处 一种浮动标志固定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82781B (zh) 用于在海洋环境中利用重力铺设建筑物、设备和风力涡轮机的基础的海事结构
KR101291326B1 (ko) 쇄파능력이 향상된 콘크리트 부유식 방파제
KR100609095B1 (ko)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
CN102080364B (zh) 桩承式沉箱海堤的施工方法
KR102368919B1 (ko) 부력조절이 가능한 콘크리트 폰툰을 이용한 해상 부유식 소파제
JP2008190200A (ja) プレキャスト擁壁およびプレキャスト擁壁の構築方法
KR101104030B1 (ko) 부유식 방파제
KR101006982B1 (ko) 진자형 가두리 양식 시설물
KR100542331B1 (ko) 수중 수평판을 구비한 부방파제
JP3713263B2 (ja) パイル基礎を用いる防波堤構造物
KR102071271B1 (ko) 활동파괴 저항성능이 향상된 콘크리트 케이슨 및 그 시공방법
KR101041282B1 (ko) 해상 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0429685Y1 (ko) 조립식 부교
KR100677898B1 (ko) 오탁방지막 설치용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오탁방지막의설치방법
KR100418268B1 (ko) 교각의 기초 시공용 분할형 우물통과 그 시공방법
KR100403641B1 (ko) 교각의 기초 시공용 일체형 우물통 시공방법
KR20120011120A (ko) 수중교각설치공사를 위한 방수커튼의 제작과 설치
KR101122544B1 (ko) 연약지반용 파일 지지식 소파 방파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542332B1 (ko) 동요저감형 부방파제
KR100715146B1 (ko) 자중앵커
JP3500321B2 (ja) 海上浮体式消波堤
US20140369755A1 (en) Buoyancy compensated erosion control module
KR102636337B1 (ko) 해양 부유 구조물 계류 방법 및 해양 부유 구조물 계류 시스템의 계류줄 교체 방법
KR101326773B1 (ko) 부등침하에 대응이 용이한 항만구조물
KR102649078B1 (ko) 계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