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3654B1 - 강재 부방파제 - Google Patents

강재 부방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3654B1
KR100563654B1 KR1020030032916A KR20030032916A KR100563654B1 KR 100563654 B1 KR100563654 B1 KR 100563654B1 KR 1020030032916 A KR1020030032916 A KR 1020030032916A KR 20030032916 A KR20030032916 A KR 20030032916A KR 100563654 B1 KR100563654 B1 KR 100563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s
breakwater
sofa
steel
flo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2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0524A (ko
Inventor
박종배
박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to KR1020030032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3654B1/ko
Publication of KR20040100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0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3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3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재로 이루어진 부방파제에 관한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상,하판(11)(12)과 상기 상,하판(11)(12)의 좌우양측테두리와 상,하단이 직교하는 측판(13a)(13b)과 내부공간의 전,후면을 밀폐하는 전,후밀폐판(14)(15)으로 이루어져 해수면위로 뜨게 되는 직육면체상의 부상체부(10); 상기 부상체부(10)의 내부공간을 길이방향으로 분할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종격벽(21)과 상기 내부공간을 폭방향으로 분할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횡격벽(22)으로 이루어진 격벽부(20); 상기 측판(13a)(13b)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지지보(33)를 매개로 상기 측판(13a)(13b)과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외측소파판(31a)(31b)과 상기 측판(13a)(13b)의 하부단으로 부터 직하부로 일정깊이 연장되는 내측소파판(32a)(32b)을 갖추어 파에너지를 소산시키는 소파부(30)및 상기 외측소파판(31a)(31b)에 일단이 연결된 연결부재(42)의 타단을 해저면(B)에 고정하여 상기 부상체부(10)의 부유이동을 제한하는 계류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부방파제, 부상체부, 내,외측소파판, 격벽, 연결부재, 중량체, 맨홀,

Description

강재 부방파제{A STEEL FLOATING BREAKWATER}
도 1는 일반적인 중력식 방파제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a)는 혼성방파제이고,
b)는 경사방파제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재 부방파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재 부방파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재 부방파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재 부방파제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강재 부방파제에 채용되는 앙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강재 부방파제에 채용되는 중량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강재 부방파제에 채용되는 맨홀부재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단면도,
c)는 에어벤트관의 부분상세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부상체부 11 ...... 상판
12 ...... 하판 13a,13b ... 측판
20 ...... 격벽부 21 ....... 종격벽
22 ...... 횡격벽 22a,22b ... 수밀,비수밀격벽
25,35,35a ... 보강리브 30 ....... 소파부
31a,31b ... 외측소파판 32a,32b ... 내측소파판
40 ....... 계류부 42 ....... 연결부재
43 ....... 앙카 44 ....... 중량체
51 ...... 맨홀부재 52 ....... 등주
본 발명은 강재로 이루어진 부방파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조수간만의 차가 크고, 수심이 깊으며, 해저지반이 연약지반이며 비교적 정온한 해역에 설치되어 파에너지를 소산시키고, 항내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강재 부방파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파제는 항만시설이나 선박을 외해의 파랑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한 외곽시설로서 크게 구조상 사석(블록)방파제, 직립방파제, 혼성방파제, 소파블록피복식 혼성방파제및 경사방파제등과 같은 해저에 고정되는 중력식 구조물이다.
이러한 종래 중력식 방파제중 혼성방파제(100)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같이, 해저면(B)에 견고하게 지지되며 해수에 잠겨져서 해저수의 흐름을 차단하여 주는 하부구조물인 사석마운드(110)와, 상기 사석마운드(110)의 상부면에 지지되며 그 상부 일부가 해수표면위로 돌출되어 해수면(T)을 따라 전달되어 오는 파랑에너지를 흡수하여 주는 상부구조물인 케이슨(120)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상기 소파블록피복식 혼성방파제는 상기 케이슨(120)의 전면에 이형블록(미도시)을 설치하여 소파기능을 가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경사방파제(200)는 도 1(b)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부단이 해저면(B)에 견고하게 지지되고, 좌우양측면이 일정 각도로 경사진 사석마운드(210)와, 해수면(T)상에 노출되도록 상기 사석마운드(21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콘크리트캡(220)으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중력식 방파제는 그 하부구조물인 사석마운드(110)(210)가 깊은 부분의 해수 흐름을 차단하여 해수가 항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고 상부구조물인 케이슨(120)은 해수면을 따라 전달되어 오는 파랑에너지를 차단하여 방파기능을 수행하여 주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상기 중력식 방파제는 해저면에서 해수표면위까지 일체로 구축되는 구조물이기 때문에 그 구조물이 안정성이 있고 항내 정온도(靜穩度)를 충분히 유지하여 선박들을 안전하게 정박시켜 주는 장점을 가지는 것은 사실이나, 해수의 과도한 차단으로 항내의 해수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항내 수질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중력식방파제는 조석간만의 차가 큰 지역에서는 만조위시를 기준으로 하여 상부구조물을 설치해야만 하기 때문에 간조위시에는 상부구조물의 높이가 필요이상으로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하부구조물를 해저면에 견고하게 지지시키기 위해서는 과도한 양의 준설 및 재료의 증가를 초래할뿐만아니라 수중공사로 인해 공사여건이 좋지 않아서 공사가 지연되고 공사비가 급격히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항내의 정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해수순환을 원할하게 이하며, 수심이 깊고, 조석간만의 차가 심하며, 지반이 연약하여 방파제 설치가 난해한 곳에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파에너지를 소산시켜 투과파와 반사파를 저감할 수 있는 한편, 지상에서 제작되어 품질관리가 용이하고, 건설비용이 저렴하게 소요되는 강재 부방파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써,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상,하판과 상기 상,하판의 좌우양측테두리와 상,하단이 직교하는 측판과 내부공간의 전,후면을 밀폐하는 전,후밀폐판으로 이루어져 해수면위로 뜨게 되는 직육면체상의 부상체부;
상기 부상체부의 내부공간을 길이방향으로 분할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종격벽과 상기 내부공간을 폭방향으로 분할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횡격벽으로 이루어진 격벽부;
상기 측판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지지보를 매개로 상기 측판과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외측소파판과 상기 측판의 하부단으로 부터 직하부로 일정깊이 연장되는 내측소파판을 갖추어 파에너지를 소산시키는 소파부및
상기 외측소파판에 일단이 연결된 연결부재의 타단을 해저면에 고정하여 상기 부상체부의 부유이동을 제한하는 계류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부방파제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재 부방파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재 부방파제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재 부방파제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재 부방파제의 설치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방파제(1)는 도 2 내지 5에 도시한 바와같이, 곤란한 수심이 깊고, 조석간만의 차가 크며, 지반이 연약하여 중력식 방파제의 설치가 곤란한 위치에서 강재로 이루어진 부체일부가 해수면위로 부상되도록 내부에 밀폐공간을 형성하고, 부상된 부체의 부유이동이 곤란하도록 계류시킨 것으로서, 이러한 부방파제 는 부상체부(10), 격벽부(20), 소파부(30)및 계류부(40)등으로 구성된다.
즉, 해수면위로 뜨게 되는 직육면체상의 부상체부(10)는 용접구조용 압연강재로 이루어진 상,하판(11)(12), 측판(13a)(13b)및 전후밀폐판(14)(15)로 구성되는바, 상기 상,하판(11)(12)은 상하 일정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장방형의 판재이며, 상기 측판(13a)(13b)은 상기 상,하판(11)(12)의 좌우양측 테두리와 상,하단이 직교하도록 용접되어 측벽을 구성하는 장방형의 판재이다.
상기 전,후밀폐판(14)(15)은 상기 상,하판(11)(12)과 측판(13a)(13b)의 용접연결에 의해서 형성되는 사각단면상의 내부공간의 전,후면을 밀폐하도록 용접되는 용접구조용 강재이다.
그리고, 상기 부상체부(10)의 내부공간을 다수개로 분할하면서 뒤틀림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격벽부(20)는 종격벽(21)와 횡격벽(22)으로 구성되는바, 상기 종격벽(21)은 상기 부상체부(10)의 내부공간을 길이방향으로 분할하도록 선,후단이 상기 전,후면밀페판(14)(15)에 용접되고, 상,하부단이 상기 상,하판(11)(12)의 내측면에 용접되어 수직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용접구조용 강재이다.
상기 횡격벽(22)은 상기 부상체부(10)의 내부공간을 폭방향으로 분할하도록 선,후단이 상기 측판(13a)(13b)에 용접되고, 상,하부단이 상기 상,하판(11)(12)의 내측면에 용접되어 수직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판재이다.
여기서, 상기 횡격벽(22)은 전면이 개구되어 유체이동이 자유로운 비수밀격벽(22a)과 전면이 밀폐되어 유체이동을 차단하는 수밀격벽(22b)으로 구성되며, 상기 비수밀격벽(22a)과 수밀격벽(22b)은 상기 전,후밀폐판(14)(15)사이에서 일정간 격을 두고 교대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밀격벽(22b)과 인접하는 수밀격벽(22b)사이에는 부유력을 발생시키는 밀폐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하판(11)(12)및 측판(13a)(13b)의 내측면에는 상기 부상체부(10)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보강리브(25)를 용접하여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소파부(30)는 방파제에 부딪히는 파도에 의한 파에너지를 소산시키도록 외측소파판(31a)(31b)과 내측소파판(32a))(32b)으로 구성되는바, 상기 외측소파판(31a)(32b)은 상기 측판(13a)(13b)의 외측면에 선단이 용접되는 지지보(33)를 매개로 상기 측판(13a)(13b)과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용접구조용 강재이다.
상기 내측소파판(32a)(32b)은 상기 측판(13a)(13b)의 하부단에 상단이 용접되어 직하부로 일정길이 연장되고, 상기 측판(13a)(13b)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용접구조용 강재이다.
여기서, 상기 내,외측소파판(31a)(31b)(32a)(32b)의 내측면에는 각 하부단을 타고 넘어오는 파에너지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부단으로 절곡된 '┏' 단면상의 보강리브(35)를 각각 길이방향으로 용접하여 설치한다.
또한, 상기 내,외측소파판(31a)(31b)(32a)(32b)의 각 하부단에 장착되는 보강리브(35a)는 그 상측에 배치되는 보강리브(35)의 단부와 대향하도록 '┗'단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내측소파판(32a)(32b)의 하부단은 상기 외측소파판(31a)(31b) 의 하부단을 타고 넘어오는 투과파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외측소파판(31a)(31b)의 하부단보다 해저면방향으로 깊게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측판(13a)(13b)의 하부단으로부터 해저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성높이는 형성높이는 상기 부상체부(10)가 수중에 잠겨지는 부분의 깊이인 흘수(吃水)의 1.5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부상체부(10)의 부유이동을 제한하는 계류부(40)는 상기 외측소파판(31a)(31b)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체인연결용 플레이트(41)를 장착하고, 상기 플레이트(41)의 연결공에는 체인 또는 와이어와 같은 연결부재(42)의 일단을 연결하며, 상기 연결부재(42)의 타단은 해저면에 일정깊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앙카(anchor)(43)에 연결된다.
상기 앙카(43)는 도 6(a)에 도시한 바와같이, 중공원통형의 몸체(43a)와, 해저면에 일정깊이 삽입된 몸체(43a)의 회전이 곤란하도록 외주면에 장착되는 날개리브(43b)및 상기 연결부재(42)의 단부가 연결되는 연결고리(43c)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42)의 길이중간에는 해수면(T)과 해저면(B)사이에서 상기 연결부재의 하부처짐을 조절하여 부방파제(1)와 앙카(43)간의 거리를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중량체(44)를 장착하며, 상기 중량체(44)는 상기 연결부재(42)에 일단이 연결되는 보조연결부재(42a)의 타단에 매달리도록 설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부상체부(10)는 만조위시와 간조위시의 해수면 높이차이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연결부재(42)에 매달려 있는 중량체(44)에 의해서 연결부재(42)의 처짐정도가 조절된다. 즉, 조수간만의 차이에 맞추어 탄력적으로 부방파제(1)와 앙카(43)간의 거리를 보상하여 연결부재(42)에 과다한 장력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연결부재(42)의 단선사고에 의한 부방파제의 유실사고를 예방할 수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판(11)에는 도 7(a)(b)(c)에 도시한 바와같이, 불가피한 상기 연결부재(42)의 단선사고에 의하여 계류라인으로부터의 탈락하는 비상시 부상체부(10)의 내부공간으로 물을 채워넣어 이를 물밑으로 침수시킴으로서 선박과의 충돌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개방시 해수면으로부터 물을 채워넣을 수 있는 맨홀부재(51)를 구비한다.
상기 맨홀부재(51)는 상기 수밀격벽(22b)과 인접하는 또다른 수밀격벽(22b)사이에 적어도 1개이상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맨홀부재(51)는 상기 상판(11)의 상부면에 관통형성되는 개구부(51a)와, 상기 개구부(51a)의 외주근방에 볼트부재(51e)를 매개로 조립되는 커버(51b)와, 상기 상판(11)과 커버(51b)사이를 실링하는 가스켓(51c)과, 취부가 용이하도록 상기 커버(51b)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손잡이(51d)및 상기 부상체부(10)의 내부공간과 외기를 서로 연통시킬 수 있도록 상기 커버(51b)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에어벤트관(51e)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벤트관(51e)은 일단이 상기 커버(51b)에 연결되어 부상체부(1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커버(51b)의 상부면과 대응되도록 굴곡된 ∩자형의 중공파이프부재이다.
또한, 상기 상판(11)에는 야간및 안개발생시 해수면을 운항하는 선박과의 충 돌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방파제설치위치를 알려줄 수있도록 빛을 발생시키는 등주(52)를 적어도 1개이상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측소파판(31a)(31b)과 전, 후밀폐판(14)(15)이 서로 접하는 각 모서리부에는 해상을 떠다니는 선박을 포함하는 부유물과의 충돌시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완충재(53)를 교체가능하게 설치하여도 좋다.
한편, 상기 부방파제(1)는 대기에 노출되는 노출부위와 물에 침수되는 수중부위에서의 부식을 방지하여 강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내부면은 인체에 무해한 타르프리에폭시(tar free epoxy)를 이용하여 도장처리하고, 부식정도가 크고 빠르게 발생되는 외부 비말대구간은 후막형 에폭시계 방식도료를 이용하여 도장처리하는 한편, 수중부는 전기방식에 의한 부식방지공법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부방파제(1)는 상,하판(11)(12)및 측판(13a)(13a)으로서 직육면체상으로 이루어진 부상체부(10)의 내부에 형성된 밀폐공간에 의해서 해수면(T)상에 몸체일부가 항상 노출되도록 부유되어 있으며, 그 부유상태는 해저면(B)에 일단이 연결된 연결부재(42)에 의해서 계류되어 제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외해로부터 발생된 파도가 내해측으로 밀려오면서 상기 부상체부(10)의 좌우양측 외측에 설치된 외측소파판(31a)(31b)에 부딪히게 되면, 파 도의 파에너지는 1차로 상기 외측소파판(31a)(31b)과의 충돌에 의해서 감소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소파판(31a)(31b)의 하부단을 넘어 상기 외측소파판(31a)(31b)과 내측소파판(32a)(32b)사이의 유수실내로 유입되는 파도인 투과파는 상기 유수실내에서 발생되는 대규모의 와류에 의해서 상쇄되어 2차로 감소하게 되며, 이때, 상기 내측소파판(32a)(32b)의 외측벽에 부딪힌후 반사되는 반사파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유수실내에서 발생되는 와류는 해수면에 떠 있는 방파제가 파도의 파에너지에 의해서 상하로 움직일 때마다 발생되는 상하피스톤모드의 파랑공진에 의해서 발생되는 현상이다.
연속하여, 상기 내측소파판(32a)(32b)의 하부단을 타고 넘어오는 나머지 투과파는 상기 내측소파판(32a)(32b)의 내측면에 설치된 보강리브(35)에 의해서 3차로 감소시키으로서 외해로 부터 밀려오는 파도의 파에너지가 항만설비가 구비된 내해측으로 그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파에너지를 갖고 있지 않은 해수는 상기 부방파제의 하부와 해저면사이를 통하여 자유롭게 왕래하면서 순환되기 때문에 항내의 수질을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조수간만의 차이가 큰 해상에 설치된 부방파제(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간조위시 해수면(T)상에 연결부재(42)에 의해서 계류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만조위시 해수면(T1)이 일정높이(H) 높아지면, 이와 더불어 부방파제(1)가 상승되면서 상기 연결부재(42)의 길이중간에 매달려 있는 중량체(42)에 의해 하부처짐 이 많이 형성되어 있던 연결부재(42)의 하부처짐이 상대적으로 줄어들면서 해수면(T)의 높이변화에 맞추어 상기 부방파제(1)와 앙카(43)간의 거리를 보상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해수면(T)의 상승시 연결부재(42)에 과도한 장력이 인가되어 상기 연결부재(42)의 길이중간이 단선되어 부방파제(1)가 유실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사고예방책에도 불구하고, 연결부재(42)의 단선사고에 의하여 부방파제(1)가 해수면상에 표류하게 되면, 상기 부상체부(10)를 구성하는 상판(11) 상부면에 설치된 맨홀부재(51)의 커버(51b)를 분해하여 개구부(51a)를 개방하고, 개방된 개구부(51a)를 통하여 부상체부(10)의 내부공간으로 물을 채워넣는다. 이에 따라, 부력이 상실된 부방파제(1)는 해수면 이하로 침수되어 해수면을 운항하는 선박과의 충돌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공간에 형성된 밀폐공간에 의해 몸체일부가 해수면상에 부유할 수 있도록 구성된 부상체부의 좌우양측에 내,외측소파판을 갖춤으로서 외해로부터 내해측으로 밀려오는 파도와 내,외측소파판과의 충돌시 발생되는 와류에 의해서 파에너지를 소산시켜 내해측으로 파에너지가 그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외측소파판의 하부로는 해수순환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져 항내의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방파제와 앙카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중량체를 매달아 조수간만의 차에 의한 부방파제의 상하이동시 연결부재의 길이를 보상함으로서 연결부재의 단선사고에 의한 부방파제의 유실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의 단선사고에 의한 부방파제의 표류시 맨홀부재를 개방하고, 이를 통하여 물을 충진함으로서 부력이 상실된 부방파제를 해저면으로 침수시켜 선박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10)

  1.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상,하판(11)(12)과 상기 상,하판(11)(12)의 좌우양측테두리와 상,하단이 직교하는 측판(13a)(13b)과 내부공간의 전,후면을 밀폐하는 전,후밀폐판(14)(15)으로 이루어져 해수면(T)위에 뜨게 되는 직육면체상의 부상체부(10);
    상기 부상체부(10)의 내부공간을 길이방향으로 분할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종격벽(21)과 상기 내부공간을 폭방향으로 분할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횡격벽(22)으로 이루어진 격벽부(20);
    상기 측판(13a)(13b)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지지보(33)를 매개로 상기 측판(13a)(13b)과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외측소파판(31a)(31b)과 상기 측판(13a)(13b)의 하부단으로 부터 직하부로 일정깊이 연장되는 내측소파판(32a)(32b)을 갖추어 파에너지를 소산시키는 소파부(30)및
    상기 외측소파판(31a)(31b)에 일단이 연결된 연결부재(42)의 타단을 해저면(B)에 고정하여 상기 부상체부(10)의 부유이동을 제한하는 계류부(4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부방파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횡격벽(22)은 전면이 개구되어 유체이동이 자유로운 비수밀격벽(22a)과 전면이 밀폐되어 유체이동을 차단하는 수밀격벽(22b)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부방파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수밀격벽(22a)과 수밀격벽(22b)은 상기 전,후밀폐판(14)(15)사이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교대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부방파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판(11)(12)및 측판(13a)(13b)의 내측면에는 상기 부상체부(10)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보강리브(25)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부방파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측소파판(31a)(31b)(32a)(32b)의 내측면에는 각 하부단을 타고 넘어오는 파에너지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부단으로 절곡된 '┏' 단면상의 보강리브(35)를 각각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부방파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측소파판(31a)(31b)(32a)(32b)의 각 하부단에 장착되는 보강리브는 그 상측에 배치되는 보강리브(35)의 단부와 대향하도록 '┗'단면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강재 부방파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소파판(32a)(32b)의 하부단은 상기 외측소파판(31a)(31b)의 하부단을 타고 넘어오는 투과파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외측소파판(31a)(31b)의 하부단보다 해저면방향으로 깊게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부방파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42)의 길이중간에는 해수면(T)과 해저면(B)사이에서 상기 연결부재(42)의 하부처짐을 조절할 수 있는 중량체(44)를 장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부방파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1)에는 계류라인으로부터의 탈락시 부상체부(10)의 내부공간으로 물을 채워넣어 이를 물밑으로 침수시킬수 있도록 맨홀부재(51)를 장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부방파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부재(51)는 상기 상판(11)의 상부면에 관통형성되는 개구부(51a)와, 상기 개구부(51a)의 외주근방에 볼트부재(51e)를 매개로 조립되는 커버(51b)와, 상기 상판(11)과 커버(51b)사이를 실링하는 가스켓(51c)과, 취부가 용이하도록 상기 커버(51b)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손잡이(51d)및 상기 부상체부(10)의 내부공간과 외기를 서로 연통시킬 수 있도록 상기 커버(51b)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에어벤트관(51e)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부방파제.
KR1020030032916A 2003-05-23 2003-05-23 강재 부방파제 KR100563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2916A KR100563654B1 (ko) 2003-05-23 2003-05-23 강재 부방파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2916A KR100563654B1 (ko) 2003-05-23 2003-05-23 강재 부방파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0524A KR20040100524A (ko) 2004-12-02
KR100563654B1 true KR100563654B1 (ko) 2006-03-23

Family

ID=37377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2916A KR100563654B1 (ko) 2003-05-23 2003-05-23 강재 부방파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36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943B1 (ko) * 2007-03-05 2007-07-10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부방파제 및 그 표류 방지 장치
CN113897903B (zh) * 2021-11-19 2022-07-19 江苏科技大学 一种浮式消波装置及消波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0524A (ko) 200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609B1 (ko) 부유식 방파제
CA2980959C (en) Gravity-based foundation for the installation of offshore wind turbines
KR101291326B1 (ko) 쇄파능력이 향상된 콘크리트 부유식 방파제
KR100542331B1 (ko) 수중 수평판을 구비한 부방파제
KR102368919B1 (ko) 부력조절이 가능한 콘크리트 폰툰을 이용한 해상 부유식 소파제
CN111827201A (zh) 一种组合式防波堤
KR100563654B1 (ko) 강재 부방파제
KR100542332B1 (ko) 동요저감형 부방파제
KR100609095B1 (ko)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
KR100740533B1 (ko) 부유식 방파제
KR102253127B1 (ko) 다기능 부유체
KR100764915B1 (ko) 연장벽체를 포함하는 저중심형 부방파제
JPH0718641A (ja) 浮体式消波堤
CN216948071U (zh) 一种浮式防波堤单元及其系统
KR20200127564A (ko) 부력 보강용 에어파이프를 갖는 양식장용 부유식 구조물
KR100586636B1 (ko) 선박접안이 용이한 해수교환방파제
KR100562064B1 (ko) 부유식 방파제
KR101131879B1 (ko) 인공 수초를 이용한 부유식 방파제
JP3836816B2 (ja) 水循環型消波ケーソン
KR102495853B1 (ko) 파일형 유동방지유닛을 가지는 다기능 부유체
KR101326773B1 (ko) 부등침하에 대응이 용이한 항만구조물
JP2004161203A (ja) 浮体構造物の動揺低減装置
KR100195783B1 (ko) 복합구조식 방파제
JP3367768B2 (ja) 透過型消波構造物
KR100699274B1 (ko) 부유식 방파제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