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5208B1 -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5208B1
KR100865208B1 KR1020067021684A KR20067021684A KR100865208B1 KR 100865208 B1 KR100865208 B1 KR 100865208B1 KR 1020067021684 A KR1020067021684 A KR 1020067021684A KR 20067021684 A KR20067021684 A KR 20067021684A KR 100865208 B1 KR100865208 B1 KR 100865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ceiving
capsule
video signal
color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1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4863A (ko
Inventor
도시아끼 시게모리
세이이찌로 기모또
마나부 후지따
아야꼬 나가세
아끼라 마쯔이
가즈따까 나까쯔찌
Original Assignee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04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4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5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5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1Capsule endoscopes for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11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 A61B1/00016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using wireless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59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identification means for the endosco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73Colour balance circuits, e.g. white balance circuits or colour temperatur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4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23/88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lour balance, e.g. white-balance circuits or colour temperature contro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doscope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캡슐형 내시경(3)으로부터 영상 신호와 함께 무선 송신되는 캡슐 ID와 WB 데이터를 수신 회로(11)에서 추출하여, 제어부(C)에 출력하고, 이 제어부(C)에서 소정 기간 연속하여 이들 데이터의 동일성을 판단하여, 동일한 경우에는, 제어부(C)가 이때의 WB 데이터를 고정하고, 이 이후에는 이 고정된 WB 데이터를 이용하여, 신호 처리 회로(12)가 수신한 영상 신호의 화상 처리를 행함으로써,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프레임의 송신중에 발생한 캡슐형 내시경으로부터 수신 장치에의 캡슐 ID나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의 송신 에러에 의한 화상의 무효화를 방지한다.
캡슐 ID, WB 데이터, 캡슐형 내시경, 수신 자켓, 화이트 밸런스

Description

수신 장치{RECEIVING DEVICE}
본 발명은, 피검체 내에 도입된 피검체 내 도입 장치, 예를 들면 경구형의 캡슐형 내시경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영상 신호를 피검체 밖의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신한 무선 영상 신호의 화상 처리를 행하는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내시경 분야에서는, 촬상 기능과 무선 통신 기능이 장비된 캡슐형 내시경이 등장하고 있다. 이 캡슐형 내시경은, 관찰(검사)을 위하여 피검체인 피검자의 입으로부터 삼켜진 후, 피검자의 생체(인체)로부터 자연 배출될 때까지의 관찰 기간, 예를 들면 위, 소장 등의 장기 내부(체강 내)를 그 유동 운동에 수반하여 이동하고, 촬상 기능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촬상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이들 장기 내를 이동하는 이 관찰 기간, 캡슐형 내시경에 의해 체강 내에서 촬상된 화상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Bluetooth 등의 무선 통신 기능에 의해, 피검체의 외부로 송신되고, 외부의 수신 장치 내에 설치된 메모리에 축적된다. 피검자가 이 무선 통신 기능과 메모리 기능을 구비한 수신 장치를 휴대함으로써, 피검자는, 캡슐형 내시경을 삼킨 후, 배출될 때까지의 관찰 기간이라도, 부자유스러움을 겪지 않고 자유롭게 행동이 가능하게 된다. 관찰 후에는, 의사 혹은 간호사 에 의해, 수신 장치의 메모리에 축적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체강 내의 화상을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수단에 표시시켜 진단을 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신 장치는, 캡슐형 내시경으로부터 송신되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안테나를 피검체 외부에 분산 배치하고, 영상 신호의 수신 오류가 적은 1개의 안테나를 선택 절환하여 영상 신호를 수신하며, 이 영상 신호를 화상 처리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에는, 캡슐의 제조 번호 등의 고유 번호에 대응한 캡슐 ID를, 캡슐의 영상 신호에 중첩하여 프레임 구성으로 외부에 송신함으로써, 식별자 설정을 위한 캡슐측 스위치를 불필요하게 하고, 식별자 정보량을 적게 하는 의료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3-325439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이 특허 문헌 1에서는,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프레임의 통신중에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의 송신 에러가 발생하면, 그 프레임 데이터 전부가 무효화되어, 수신측의 체외 장치에 의해 정상적인 화상을 기록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프레임의 송신중에 발생한 캡슐형 내시경으로부터 수신 장치로의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의 송신 에러에 의한 화상의 무효화를 방지할 수 있는 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신 장치는, 이동하는 송신 장치로부터 무선 송신되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상기 영상 신호와 함께, 상기 무선 송신되는 색 조정용 정보 및 상기 송신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 수단이 소정 기간, 상기 색 조정용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한 쪽의 동일한 정보를 연속하여 수신한 경우, 또는 가장 많이 수신한 경우에, 상기 색 조정용 정보를 고정(lock)하는 고정 제어 수단과, 상기 고정된 색 조정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한 영상 신호의 화상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2의 발명에 따른 수신 장치는, 상기 발명에서, 상기 고정 제어 수단은, 상기 고정 후에,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식별 정보가, 상기 고정 시의 식별 정보와 상이한 경우에, 상기 색 조정용 정보의 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화상 처리 수단은, 상기 수신된 색 조정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한 영상 신호의 화상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3의 발명에 따른 수신 장치는, 이동하는 송신 장치로부터 무선 송신되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상기 영상 신호와 함께, 상기 무선 송신되는 색 조정용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 수단이 소정 기간, 동일 내용의 색 조정용 정보를 연속하여 수신한 경우, 또는 가장 많이 수신한 경우에, 상기 색 조정용 정보를 고정하는 고정 제어 수단과, 상기 고정된 색 조정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한 영상 신호의 화상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로부터 영상 신호와 함께 무선 송신되는 색 조정용 정보(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이하, 「WB 데이터」라고 함)와 송신 장치의 식별 정보(이하, 「캡슐 ID」라고 함) 중 적어도 한 쪽의 동일 정보를, 소정 기간 연속하여 수신 장치가 수신한 경우에, WB 데이터를 고정하고, 이 이후에는 고정한 WB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신한 영상 신호의 화상 처리를 행함으로써,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프레임의 송신중에 발생한 캡슐형 내시경으로부터 수신 장치로의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의 송신 에러에 의한 화상의 무효화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를 구비한 무선형 피검체 내 정보 취득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주요부에서의 화상 처리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5는 마찬가지로, 주요부에서의 처리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부호의 설명>
1 : 피검체
2 : 수신 장치
2a : 수신 자켓
2b : 외부 장치
3 : 캡슐형 내시경
4 : 표시 장치
5 : 휴대형 기록 매체
11 : 수신 회로
12 : 신호 처리 회로
12a : WB 조정부
12b : 동시화부
12c : 압축부
13 : 기억부
14 : 표시부
15 : 샘플 홀드 회로
16 : A/D 변환부
17 : 전력 공급부
A1∼An : 수신용 안테나
C : 제어부
C1 : 선택 제어부
CON : 접속부
CON1∼CONn : 커넥터
SC : 절환 제어부
SW : 절환 스위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수신 장치의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5의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 실시예가 가능하다.
〈제1 실시예〉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를 구비한 무선형 피검체 내 정보 취득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에서, 무선형 피검체 내 정보 취득 시스템은, 무선 수신 기능을 갖는 수신 장치(2)와, 피검체(1) 내에 도입되어, 체강 내 화상을 촬상하여 수신 장치(2)에 대하여 영상 신호 등의 데이터 송신을 행하는 캡슐형 내시경(피검체 내 도입 장치)(3)을 구비한다. 또한, 무선형 피검체 내 정보 취득 시스템은, 수신 장치(2)가 수신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체강 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4)와, 수신 장치(2)와 표시 장치(4)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기 위한 휴대형 기록 매체(5)를 구비한다. 수신 장치(2)는, 피검체(1)에 의해 착용되는 수신 자켓(2a)과,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처리 등을 행하는 외부 장치(2b)를 구비한다.
표시 장치(4)는, 캡슐형 내시경(3)에 의해 촬상된 체강 내 화상 등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형 기록 매체(5)에 의해 얻어지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 표시를 행하는 워크스테이션 등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장치(4)는, CRT 디스플레이, 액정 디스플레이 등에 의해 직접 화상을 표시하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프린터 등과 같이, 다른 매체에 화상을 출력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휴대형 기록 매체(5)는, 외부 장치(2b) 및 표시 장치(4)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며, 양자에 대하여 삽착(揷着)되었을 때에 정보의 출력 또는 기록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는, 휴대형 기록 매체(5)는, 캡슐형 내시경(3)이 피검체(1)의 체강 내를 이동하고 있는 동안은, 외부 장치(2b)에 삽착되어 캡슐형 내시경(3)으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기록한다. 그리고, 캡슐형 내시경(3)이 피검체(1)로부터 배출된 후, 즉, 피검체(1) 내부의 촬상이 종료한 후에는, 외부 장치(2b)로부터 취출되어 표시 장치(4)에 삽착되며, 이 표시 장치(4)에 의해, 휴대형 기록 매체(5)에 기록된 데이터가 읽어내어지는 구성을 갖는다. 예를 들면, 외부 장치(2b)와 표시 장치(4)의 데이터의 수수를, 컴팩트 플래시(등록 상표) 메모리 등으로 구성되는 휴대형 기록 매체(5)에 의해 행함으로써, 외부 장치(2b)와 표시 장치(4) 사이가 유선으로 직접 접속된 경우보다도, 피검체(1)가 체강 내의 촬영중에 자유롭게 동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여기에서는, 외부 장치(2b)와 표시 장치(4) 사이의 데이터의 수수에 휴대형 기록 매체(5)를 사용했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외부 장치(2b)에 내장형의 다른 기록 장치,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를 이용하여, 표시 장치(4)와의 사이의 데이터의 수수를 위하여, 쌍방을 유선 또는 무선 접속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다음에, 도 2의 블록도를 이용하여 수신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신 장치(2)는, 캡슐형 내시경(3)으로부터 무선 송신된 체강 내의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신 장치(2)는, 피검체(1)에 의해 착용 가능한 형상을 갖고, 수신용 안테나(A1 내지 An)를 구비한 수신 자켓(2a)과, 수신 자켓(2a)을 통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의 처리 등을 행하는 외부 장치(2b)를 구비한다. 또한, 각 수신용 안테나(A1 내지 An)는, 직접 피검체(1)의 외표면에 접착하여, 수신 자켓(2a)에 설치되지 않아도 되며, 또한 수신 자켓(2a)에 착탈 가능한 것이어도 된다.
외부 장치(2b)는, 캡슐형 내시경(3)으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의 처리를 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외부 장치(2b)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수신용 안테나(A1 내지 An)의 접속 절환을 행하는 절환 스위치(SW)와, 이 절환 스위치(SW)의 후단에 접속되고, 절환 스위치(SW)에 의해 절환 접속된 수신용 안테나(A1 내지 An)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증폭하여, 복조하는 수신 회로(11)를 갖고, 또한 수신 회로(11)의 후단에는, 신호 처리 회로(12)와 샘플 홀드 회로(15)가 접속된다. 샘플 홀드 회로(15)의 후단에는, A/D 변환부(16)가 더 접속된다.
제어부(C)는, 제어 수단으로서의 선택 제어부(C1)를 갖고, 신호 처리 회로(12), A/D 변환부(16), 휴대형 기록 매체(5)에 대응하는 기억부(13), 표시부(14) 및 절환 제어부(SC)를 접속한다. 절환 제어부(SC)는, 강도 수신 안테나 번호(N1) 및 영상 수신 안테나 번호(N2)를 갖고, 이들 번호 정보를 기초로, 절환 스위치(SW)의 절환 지시를 행함과 함께, 샘플 홀드 회로(15), A/D 변환부(16) 및 선택 제어부(C1)의 처리 타이밍을 지시한다. 전력 공급부(17)는, 예를 들면 시판되는 건전지로 이루어지고, 전술한 각 내부 기기에의 전력 공급을 행한다.
외부 장치(2b)의 절환 스위치(SW)는, 절환 제어부(SC)로부터의 절환 지시에 기초하여, 수신용 안테나(A1 내지 An)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 회로(11)에 출력한다. 여기에서, 절환 스위치(SW)는, 수신용 안테나(A1 내지 An)의 배치 위치에 각각 대응하여 각 수신용 안테나(A1 내지 An)를 접속하는 안테나 절환 수단으로서의 접속부(CON)를 갖는다.
이 접속부(CON)는, 각 커넥터(CON1 내지 CONn)의 접속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 기능을 갖고 있다. 예를 들면, 커넥터(CON1)에 대하여, 접속부(CON)는, 안테나 미접속 검지부를 갖고 있어, 커넥터(CON1)가 접속부(CON)에 접속되었을 때에, 검지 신호로서의 전압 신호가 선택 제어부(C1)에 출력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고, 다른 커넥터(CON2 내지 CONn)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인 안테나 미접속 검지부를 갖는다. 따라서, 선택 제어부(C1)는, 이 전압 신호의 유무를 검지함으로써, 커넥터(CON1), 즉, 수신용 안테나(A1)가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마찬가지의 검지부를 각 커넥터(CON2 내지 CONn)에 대응시켜 갖게 함으로써, 선택 제어부(C1)는, 각 수신용 안테나(A1 내지 An)의 접속 상태의 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 수신 수단으로서의 수신 회로(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신호를 증폭하고, 복조한 영상 신호(S1)를 신호 처리 회로(12)에 출력함과 함 께, 증폭된 무선 신호의 수신 전계 강도인 수신 강도 신호(S2)를 샘플 홀드 회로(15)에 출력한다. 신호 처리 회로(12)에 의해 처리된 영상 데이터는, 제어부(C)에 의해 기억부(13)에 기억됨과 함께, 표시부(14)에 의해 표시 출력된다. 샘플 홀드 회로(15)에 의해 샘플 홀드된 신호는, A/D 변환부(16)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제어부(C)에 취득되며, 가장 큰 수신 전계 강도를 수신한 수신용 안테나를 영상 신호 기간의 수신용 안테나로서 선택함과 함께, 이 선택된 수신용 안테나 이외의 수신용 안테나를 순차적으로, 강도 수신 기간의 수신용 안테나로서 선택하고, 각각의 수신용 안테나 번호를, 영상 수신 안테나 번호(N2), 강도 수신 안테나 번호(N1)로 하는 신호(S4)로서 절환 제어부(SC)에 출력한다. 여기에서, 선택 제어부(C1)가 절환 대상의 수신용 안테나로서 설정하는 것은, 신호(S6)를 기초로 실제로 접속된 수신용 안테나(A1 내지 An)만을 대상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C)는, 강도 수신 기간의 수신 전계 강도 및 영상 수신 기간의 수신 전계 강도를, 그때 선택된 수신용 안테나와 대응지어 영상 데이터와 함께 기억부(13)에 기억시킨다. 이 기억된 각 수신용 안테나의 수신 전계 강도는, 영상 데이터가 수신되었을 때의 체강 내 캡슐형 내시경(3)의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정보로 된다.
절환 제어부(SC)는, 선택 제어부(C1)에 지시된 강도 수신 안테나 번호(N1)와 영상 수신 안테나 번호(N2)를 유지하고, 강도 수신 기간에는 강도 수신 안테나 번호(N1)에 대응하는 수신용 안테나(A1 내지 An)를 선택 접속하도록 절환 스위치(SW)에 지시하고, 영상 수신 기간에는 영상 수신 안테나 번호(N2)에 대응하는 수신용 안테나(A1 내지 An)를 선택 접속하도록, 절환 스위치(SW)에 지시하는 신호(S5)를 절환 스위치(SW)에 출력함과 함께, 샘플 홀드 회로(15)에 의한 샘플 홀드 타이밍을 지시하는 신호(S3a), A/D 변환부(16)에 의한 A/D 변환 타이밍을 지시하는 신호(S3b), 선택 제어부(C1)에 의한 선택 제어 타이밍을 지시하는 신호(S3c)를 출력한다.
또한, 수신 회로(11)는, 수신한 프레임 내의 캡슐 ID와 WB 데이터의 추출 및 출력을, 수신한 프레임마다 행한다. 제어부(C)는, 고정(lock) 제어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입력되는 캡슐 ID와 WB 데이터가, 동일 내용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부(C)는, 도시하지 않은 내부 메모리를 갖고, 입력되는 캡슐 ID와 WB 데이터를, 이 내부 메모리에 기억시킴과 함께, 감시하고 있으며, 동일한 캡슐 ID와 WB 데이터가 소정 기간, 연속하여 입력되면, WB 데이터(예를 들면 WB 계수치)를 그 동일 내용의 WB 데이터에 고정(lock)한다. 그리고, 제어부(C)는, 고정 후에는 고정된 WB 데이터를, 고정 전에는 수신한 WB 데이터를 신호 처리 회로(12)에 출력하고 있어, 화상 처리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구비하는 신호 처리 회로(12)는, 이 WB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신 회로(11)로부터 입력하는 영상 신호(S1)의 화상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즉, 신호 처리 회로(12)는, 도 3의 블록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신 회로(11)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S1)의 WB 조정을 행하는 WB 조정부(12a)와, WB 조정이 행해진 영상의 재현 처리를 행하는 동시화부(12b)와, 재현된 영상의 압축을 행하는 압축부(12c)를 구비한다. 즉, WB 조정부(12a)는, 제어부(C)로부터 입력되는 WB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S1)의 WB 조정을 행하고, 이 영상 신호를 동 시화부(12b)에 출력하며, 동시화부(12b)는, 각 화소에 대하여 R, G, B의 색정보를 획득하는 화상 재현 처리를 행한다. 또한, 압축부(12c)는, 이 화상 재현된 영상 데이터를, 예를 들면 JPEG나 MPEG의 부호화 등의 압축을 하고 제어부(C)에 출력한다. 제어부(C)는, 이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기록 수단으로서의 기억부(13)에 기록시키고 있다.
다음에, 도 3에 도시한 주요부에서의 화상 처리 동작의 일례를, 도 4의 플로우차트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4에서, 우선 시스템의 초기 설정 등이 종료하면, 제어부(C)는, WB 데이터의 고정을 해제한다(스텝 101). 그리고, 수신 회로(11)는,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프레임의 수신을 행하고, 이 프레임 내로부터 캡슐 ID 및 WB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어부(C)에 출력한다(스텝 102). 제어부(C)에서는, 수신 회로(11)로부터의 캡슐 ID 및 WB 데이터를 취득하여, 내부 메모리에 기억시킴과 함께, 소정 기간 동일한 캡슐 ID와 동일한 WB 데이터가 연속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103).
여기에서, 우선 처음에는, 소정 기간 동일한 캡슐 ID와 동일한 WB 데이터가 연속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제어부(C)는, WB 데이터가 고정 완료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104).
여기에서, 제어부(C)는, WB 데이터가 고정 완료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수신한 WB 데이터를 신호 처리 회로(12)에 출력하여, 이 WB 데이터에 기초하는, 영상 신호의 화상 처리를 신호 처리 회로(12)에 행하게 하여, 이 화상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기억부(13)에 기록한다(스텝 105). 또한, WB 데이터가 고정 완료 상태인 경우에는, 고정된 WB 데이터를 신호 처리 회로(12)에 출력하여, 이 WB 데이터에 기초하는, 영상 신호의 화상 처리를 신호 처리 회로(12)에 행하게 하여, 이 화상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기억부(13)에 기록한다(스텝 107).
또한, 스텝 103에서, 소정 기간 캡슐 ID와 WB 데이터의 수신이 행해지고, 소정 기간 동일한 캡슐 ID와 동일한 WB 데이터가 연속한 경우에는, 제어부(C)는, 이 동일한 WB 데이터를 고정하고(스텝 106), 고정한 WB 데이터를 신호 처리 회로(12)에 출력하여, 이 WB 데이터에 기초하는, 영상 신호의 화상 처리를 신호 처리 회로(12)에 행하게 하여, 이 화상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기억부(13)에 기록한다(스텝 107). 이 실시예에서는, 프레임 수신마다, 소정 기간에서의 캡슐 ID와 WB 데이터의 동일한 연속성이 판단되고, 스텝 106의 WB 데이터 고정의 동작은, 이 판단마다 행해져, 새로운 WB 데이터가 항상 갱신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캡슐 ID와 WB 데이터가 변화해도, 스텝 103에서, 소정 기간 동일한 연속성이 판단되면, 그 변화한 새로운 WB 데이터가, 화상 처리의 기초로서 제어부(C)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소정 기간에 동일한 캡슐 ID 및 WB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는, 동일한 WB 데이터를 고정하고, 이때의 WB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신하는 영상 신호의 화상 처리를 행함으로써, 영상 신호 수신중에 캡슐 ID나 WB 데이터의 통신 에러가 발생하여, 캡슐 ID나 WB 데이터가 일시적으로 변화하여도,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프레임의 송신중에 발생한 캡슐형 내시경으로부터 수신 장치에의 캡슐 ID나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의 송신 에러에 의한 화상의 무효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캡슐 ID 및 WB 데이터가 소정 기간 연속한 경우에, WB 데이터를 고정하도록 설정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캡슐 ID와 WB 데이터 중 어느 한 쪽이 소정 기간 연속한 경우에, WB 데이터를 고정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 동일 내용의 WB 데이터의 연속성만을 판단하는 경우, 수신 회로(11)에서의 캡슐 ID의 추출과 출력은 불필요하다.
또한, 이 발명에서는, 소정 기간 내에 동일한 캡슐 ID 및 WB 데이터가 수신되는 빈도를 검출하여, 가장 많이 수신된 빈도가 높은 조의 WB 데이터를 고정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WB 데이터가 고정 완료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수신한 WB 데이터로 화상 처리를 행하도록 설정했지만, 미리 결정된 평균적인 WB 데이터를 사용하여 화상 처리를 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실시예〉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주요부에서의 처리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의 수신 장치의 주요부에서의 블록 구성은, 도 3과 마찬가지이다.
이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제1 실시예에 기술한 고정 조건(소정 기간 중, 동일한 캡슐 ID 및 WB 데이터를 연속하여 수신) 중, WB 데이터의 고정 후에, 고정 시의 캡슐 ID와 수신한 캡슐 ID가 상이한 경우에, WB 데이터의 고정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1 실시예에 기술한 도 4의 플로우차트와 마찬가지로, 도 5에서, 제어부(C)가 WB 데이터의 고정을 해제하면(스텝 201), 수신 회로(11)는, 수신한 프레임 내로부터 캡슐 ID 및 WB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어부(C)에 출력한다(스텝 202). 제어부(C)는, 캡슐 ID 및 WB 데이터가 입력되면, 이미 WB 데이터가 고정 완료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203).
여기에서, 우선 처음에는, WB 데이터가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다음에 제어부(C)는, 입력된 캡슐 ID 및 WB 데이터가 상기 고정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204).
여기에서는, 아직 상기 고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기 때문에, 수신한 프레임 내에 포함되어 있는 WB 데이터를 신호 처리 회로(12)에 출력하여, 이 WB 데이터에 기초하는, 영상 신호의 화상 처리를 신호 처리 회로(12)에 행하게 한다(스텝 205). 또한, 고정 조건을 만족시킨 경우에는, 그때의 WB 데이터를 고정하고(스텝 208), 고정한 WB 데이터를 신호 처리 회로(12)에 출력하여, 이 WB 데이터에 기초하는, 영상 신호의 화상 처리를 신호 처리 회로(12)에 행하게 하여, 이 화상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기억부(13)에 기록한다(스텝 207).
또한, 스텝 203에서, WB 데이터가 이미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신한 캡슐 ID가 고정 시의 캡슐 ID와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206).
여기에서, 수신한 캡슐 ID와 고정 시의 캡슐 ID가 동일한 경우에는, 고정된 WB 데이터를 신호 처리 회로(12)에 출력하여, 이 WB 데이터에 기초하는, 영상 신호의 화상 처리를 신호 처리 회로(12)에 행하게 하여, 이 화상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기억부(13)에 기록한다(스텝 207). 또한, 수신한 캡슐 ID와 고정 시의 캡슐 ID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현재 고정되어 있는 WB 데이터의 고정을 해제하고(스텝 209), 수신한 WB 데이터를 신호 처리 회로(12)에 출력하여, 이 WB 데이터에 기초하는, 영상 신호의 화상 처리를 신호 처리 회로(12)에 행하게 하여, 이 화상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기억부(13)에 기록한다(스텝 205).
이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소정 기간에 동일한 캡슐 ID 및 WB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는, 동일한 WB 데이터를 고정하고, 이때의 WB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신하는 영상 신호의 화상 처리를 행함으로써, 영상 신호 수신 중에 캡슐 ID나 WB 데이터의 통신 에러가 발생하여, 캡슐 ID나 WB 데이터가 변화해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프레임의 송신중에 발생한 캡슐형 내시경으로부터 수신 장치에의 캡슐 ID나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의 송신 에러에 의한 화상의 무효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고정 조건을 만족시키기 전 및 수신한 캡슐 ID가 고정 시의 캡슐 ID와 상이한 경우에는, 고정을 해제하고 수신한 WB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의 화상 처리를 행하므로, 캡슐 ID가 상이한 경우 등에 대하여, 적절한 WB 데이터로 화상 처리를 행할 수 있고, 또한 유연하게 송신 에러에 대응할 수 있어, 화상의 무효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영상 신호의 프레임 송신 도중에, 수신한 캡슐 ID가 고정 시의 캡슐 ID와 상이한 경우에는, 고정을 해제하고 수신한 WB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의 화상 처리를 행하여 기억부에 기록하도록 설정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다른 캡슐 ID를 수신한 경우에는, 그 영상 데이터를 기억부에 기록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영상 데이터의 기록을 행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캡슐형 내시경으로부터의 영상 데이터의 혼입이나 영상 데이터의 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변형예는, 제1 실시예에도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기술한 소정 기간 내에 동일한 캡슐 ID 및 WB 데이터가 수신되는 빈도를 검출하여, 가장 많이 수신된 빈도가 높은 조의 WB 데이터를 고정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제2 실시예에 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신 장치는, 인체의 내부에 도입되어, 피검 부위를 관찰하는 의료용 관찰 장치에 유용하고, 특히,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프레임의 송신중에 발생한 캡슐형 내시경으로부터 수신 장치에의 캡슐 ID나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의 송신 에러에 의한 화상의 무효화를 방지하는데 적합하다.

Claims (3)

  1. 이동하는 송신 장치로부터 무선 송신되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상기 영상 신호와 함께, 상기 무선 송신되는 색 조정용 정보 및 상기 송신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 수단이 소정 기간 동안 상기 색 조정용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한쪽의 동일한 정보를 연속하여 수신한 경우, 상기 동일한 내용의 색 조정용 정보를 고정(lock)하거나, 소정 기간 수신된 상기 색 조정용 정보 중 수신 빈도가 가장 많은 색 조정용 정보를 고정하는 고정 제어 수단과,
    상기 고정된 색 조정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한 영상 신호의 화상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제어 수단은, 상기 고정 후에,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식별 정보가, 상기 고정 시의 식별 정보와 상이한 경우에, 상기 색 조정용 정보의 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화상 처리 수단은, 상기 수신된 색 조정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한 영상 신호의 화상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3. 이동하는 송신 장치로부터 무선 송신되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상기 영상 신호와 함께, 상기 무선 송신되는 색 조정용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 수단이 소정 기간 동안 상기 색 조정용 정보로서 동일 내용의 정보를 연속하여 수신한 경우 상기 동일 내용의 색 조정용 정보를 고정(lock)하거나, 소정 기간 동안 수신된 상기 색 조정용 정보 중 수신 빈도가 가장 많은 색 조정용 정보를 고정하는 고정 제어 수단과,
    상기 고정된 색 조정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한 영상 신호의 화상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KR1020067021684A 2004-04-19 2005-03-29 수신 장치 KR1008652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22653A JP4262632B2 (ja) 2004-04-19 2004-04-19 受信装置
JPJP-P-2004-00122653 2004-04-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4863A KR20070004863A (ko) 2007-01-09
KR100865208B1 true KR100865208B1 (ko) 2008-10-23

Family

ID=35196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1684A KR100865208B1 (ko) 2004-04-19 2005-03-29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80765B2 (ko)
EP (1) EP1741379B1 (ko)
JP (1) JP4262632B2 (ko)
KR (1) KR100865208B1 (ko)
CN (1) CN100441138C (ko)
DE (1) DE602005027833D1 (ko)
WO (1) WO20051021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47075B2 (ja) * 2005-08-30 2011-12-2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受信装置
JP4855771B2 (ja) 2005-12-20 2012-01-18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体内画像撮影装置および体内画像撮影システム
JP4868905B2 (ja) * 2006-03-24 2012-02-0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受信装置
US8063933B2 (en) * 2006-03-27 2011-11-22 Given Imaging Ltd. Battery contacts for an in-vivo imaging device
JP2007319442A (ja) * 2006-06-01 2007-12-13 Fujifilm Corp カプセル内視鏡システム、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2008307122A (ja) * 2007-06-12 2008-12-25 Olympus Corp 体内情報取得装置
JP6177083B2 (ja) * 2013-10-02 2017-08-0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データ受信装置、カプセル内視鏡システム、データ受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201618709A (zh) * 2014-11-27 2016-06-01 圻逸科技有限公司 數位可抽換式內視鏡
CN105743722B (zh) * 2014-12-09 2019-12-10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
CN109770835B (zh) * 2019-02-15 2021-08-13 重庆金山医疗器械有限公司 胶囊式内窥镜系统功能检测装置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5844A (ja) 2000-03-03 2001-09-11 Asahi Optical Co Ltd カプセル内視鏡
JP2003325439A (ja) * 2002-05-15 2003-11-18 Olympus Optical Co Ltd カプセル型医療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29367C2 (de) * 1995-08-10 1997-08-21 Wolf Gmbh Richard Vorrichtung zur Farbtonkorrektur bei von einer Videokamera aufgenommenen Farbbildern
AU2223999A (en) * 1998-01-12 1999-07-26 David Monroe Apparatus for capturing, converting and transmitting a visual image signal via adigital transmission system
IL132944A (en) 1999-11-15 2009-05-04 Arkady Glukhovsky Method for running a photo collection process
IL143260A (en) 2001-05-20 2006-09-05 Given Imaging Ltd Array and method for locating an intra-body signal source
US20030043263A1 (en) * 2001-07-26 2003-03-06 Arkady Glukhovsky Diagnostic device using data compression
JP3974769B2 (ja) * 2001-11-06 2007-09-1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カプセル型医療装置
US6695772B1 (en) * 2001-11-26 2004-02-24 Visionary Biomedical, Inc. Small diameter cannula devices, systems and methods
JP3513506B2 (ja) * 2002-02-20 2004-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ホワイトバランス補正装置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撮像装置、及びホワイトバランス補正方法
CN100341459C (zh) * 2002-08-05 2007-10-10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 医用无线电胶囊
CN1809309B (zh) * 2003-06-24 2010-11-10 奥林巴斯株式会社 胶囊型内窥镜以及胶囊型内窥镜系统
JP2005124961A (ja) * 2003-10-27 2005-05-19 Olympus Corp カプセル型医療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5844A (ja) 2000-03-03 2001-09-11 Asahi Optical Co Ltd カプセル内視鏡
JP2003325439A (ja) * 2002-05-15 2003-11-18 Olympus Optical Co Ltd カプセル型医療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41379B1 (en) 2011-05-04
US7880765B2 (en) 2011-02-01
EP1741379A4 (en) 2010-07-28
JP2005304595A (ja) 2005-11-04
KR20070004863A (ko) 2007-01-09
JP4262632B2 (ja) 2009-05-13
CN1942132A (zh) 2007-04-04
US20070058036A1 (en) 2007-03-15
DE602005027833D1 (de) 2011-06-16
CN100441138C (zh) 2008-12-10
EP1741379A1 (en) 2007-01-10
WO2005102143A1 (ja) 2005-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5208B1 (ko) 수신 장치
JP4472585B2 (ja) 送信装置および被検体内情報取得システム
EP2000074B1 (en) Reception device
JP4789607B2 (ja) 受信装置
JP5622350B2 (ja) 被検体内導入装置および被検体内情報取得システム
AU2005283435B2 (en) Capsule-type endoscope
EP1920704A1 (en) Receiver apparatus
JP4847075B2 (ja) 受信装置
JP4767631B2 (ja) 受信装置
EP1922981B1 (en) Receiver apparatus and intra-subject information acquiring system
JP2005192819A (ja) 受信装置
US20070081077A1 (en) Receiver for subject insertable device
JP2005304512A (ja) 医療装置
JP4663279B2 (ja) 受信装置、医療装置および識別情報生成登録方法
JP4418327B2 (ja) 受信装置および医療装置
JP4823621B2 (ja) 受信装置、送信装置及び送受信システム
JP4892065B2 (ja) 受信装置および被検体内情報取得システム
JP2007111265A5 (ko)
JP2005223427A (ja) 受信装置
JP2006320649A (ja) 受信装置および受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