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4107B1 - 고불투명도 및 고탄성 특성을 가진 다층 접착지 - Google Patents

고불투명도 및 고탄성 특성을 가진 다층 접착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4107B1
KR100864107B1 KR1020060108992A KR20060108992A KR100864107B1 KR 100864107 B1 KR100864107 B1 KR 100864107B1 KR 1020060108992 A KR1020060108992 A KR 1020060108992A KR 20060108992 A KR20060108992 A KR 20060108992A KR 100864107 B1 KR100864107 B1 KR 100864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adhesive
layer
lamination
st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8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0965A (ko
Inventor
정양진
김영오
이승한
김태영
홍창석
Original Assignee
한국조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조폐공사 filed Critical 한국조폐공사
Priority to KR1020060108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4107B1/ko
Publication of KR20080040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0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4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4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D21H27/40Multi-ply at least one of the sheets being non-planar, e.g. crêp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per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여러 장의 종이에 빛을 흡수하는 흑색물질을 포함하는 소정의 접착제로 합지하여 빛의 투과를 최소로 하고, 여러 층의 합지층에 의하여 종이를 구부렸을 때의 복원력이 우수한 종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합지 종이는 놀이용카드(플레잉카드)용지 등에 이용할 수 있다.
합지, 복원력, 플레잉카드

Description

고불투명도 및 고탄성 특성을 가진 다층 접착지{MULTI-LAYER LAMINATED PAPER WITH HIGH OPACITY AND ELASTICI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다층 접착지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는 여러 장의 종이를 소정의 접착제로 합지하므로써 종이의 광학적특성(높은 불투명도) 및 물리적특성(고탄성 및 굴곡 복원력)이 개선된 종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방식으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196070호에서는 1층의 원지에 빛 차단 기능을 가지는 그라이아 인쇄를 실시한 후 여기에 폴리우레탄접착제로 도포한 후 다른 원지와 합지하는 방식이었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283924호에서는 1층의 원지에는 빛 차단기능을 가지는 그라비아 인쇄를 하고, 다른 1층의 원지에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합지하는 방식이었다. 이들 방법에 의하면 2장의 종이를 빛 차단기능이 있는 그라비아 잉크로 인쇄층을 형성하고 합지하는 방식이었다.
상기 방식으로 합지를 하여 카드를 제조하게 되면 접착층이 충분한 복원력을 가지지 못하여, 종이를 구부렸을 때 복원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불투명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그라비아 방식에 의한 빛 차단 기능은 접착제와 카본(카본블랙, 활성탄, 또는 탄소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의 혼합액으로 합지하여 빛을 차단한 경우보다 빛의 차단 능력이 떨어지며, 카드를 타격하였을 때의 타격음이 둔탁한 결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의 불량한 빛 투과성 및 굴곡 복원력이 개선된 합지 및 이러한 합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다량의 카본 블랙을 접착제에 첨가함으로써 불투명도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사용시 금속성 타격 음향을 내는 합지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4장의 종이(2장의 외지(표면 및 이면지), 2장의 내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종이를 이용하여 각각 1차합지를 실시하고, 이들 종이를 다시 2차 합지하는 방식으로 종래의 특허발명과 비교하여 종이의 굴곡 복원력이 월등히 개선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방법은 제2합지시 많은 양의 카본(카본블랙, 활성탄 또는 탄소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접착제에 혼합하여 제2접착층을 구성함으로써 종이의 뒤비침을 방지하는 불투명도가 증가될 뿐만 아니라, 특유의 금속성 음향을 가지는 효과를 가질 수 있는 방법이다.
본 발명은 4장의 종이로 구성된 다층 접착지의 제조방법으로서, 외지와 내지를 전분, 폴리우레탄,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을 혼합한 접착제로 1차 합지시켜 제 1합지층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합지에 사용된 접착제에 카본(카본블랙, 활성탄 또는 탄소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첨가된 접착제를 상기 제조된 제 1합지층의 내지 표면에 도포하여 두 롤의 제 1합지층의 내지측을 서로 2차 합지시키거나, 제 1합지층의 내지측에 그라비아 잉크로 인쇄한 후에 1차 합지에 사용된 접착제로 두 롤의 제 1합지층의 내지측을 서로 2차 합지시켜 제2합지층을 생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층 접착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차 합지층을 엠보싱처리한 후 상기와 같은 방식의 접착제로 2차 합지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다층 접착지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내지는 평량 40~100g/m2의 비도공지이며, 임의의 문양으로 엠보싱 처리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외지는 평량 70~150g/m2의 편면도공지이며, 1차 합지에 사용되는 전분 접착제는 산화전분, 양성전분, 또는 전분을 기초로 하는 접착제이며, 글리세린이 임의로 첨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2차 합지 시에 사용되는 접착제는 1차 합지에 사용된 접착제에 카본(카본블랙, 활성탄 또는 탄소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첨가된 접착제이며, 카본은 접착제 중량을 기준으로 1~30%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서는 최종 합지층의 표면을 구성하는 종이(외지)는 인쇄적성 및 광학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공지로 제조하고 마찰특성을 부여하는 엠보싱처리를 하여 표면지(외지)로 사용한다. 그러나 표면지(외지)는 엠보싱처리 하지 않은 도공지를 이용하여 1차합지를 한 후 엠보싱처리 할 수도 있다. 또한 이들 각각의 표면지에 비용적 및 기공도가 큰 비도공지를 내지로 하여 1차 합지를 실시한다. 1차 합지의 접착제로는 전분, 폴리우레탄,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을 혼합한 접착제를 사용하며, 1~10g/m2의 도포량으로 종이에 도포한 후 합지하고 건조하여 제 1합지층을 제조하며, 글리세린이 임의로 접착제에 첨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1차 합지된 표면 또는 이면 합지는 다시 2차 합지를 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하는 접착제로는 1차 합지에 사용한 접착제에 카본블랙을 첨가하여 접착을 한다. 카본(카본블랙, 활성탄 또는 탄소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첨가량은 접착제 고형분에 대하여 1~30 중량퍼센트이다. 이들 접착제는 제1합지층의 한면 또는 다른 제 1합지층의 한면에 1~20g/m2의 도포량으로 종이에 도포한 후 합지하고 건조하여 제 2합지층을 제조한다. 2차 합지시 다른 방법으로는 먼저 1차 합지를 할 때 제 2합지층의 접착면에 빛 차단 기능을 가지는 그라비아 잉크로 인쇄한 후에 1차 합지에 사용한 접착제로 도포하여 합지하는 방식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제조공정에 있어서 접착제의 도포방법은 롤전이방식, 블레이드방식, 에어 나이프(Air knife) 방식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방법에 구애받지 않고 오직 접착제를 요구되는 도포량으로 종이에 도포할 수 있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또한 합지된 종이의 건조방식으로는 열풍건조, IR건조, 드럼건조 방식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2차 합지까지 완료된 종이는 건조 직후 소정의 크기로 단재하거나, 롤 상태로 감은 직후 단재를 실시하기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종이 건조 직후 단재하는 것이 두꺼운 종이에서 기인하는 기계적인 컬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지는 외지 및 내지를 1차 합지한 후 이들 1차 합지된 종이를 다시 2차 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렇게 2차 합지까지 완료된 종이는 서로 다른 2종의 종이특성 및 접착제 성분에 기인하여 종이의 굴곡 후 원상태로 되돌아오는 복원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제 2접착층에 첨가된 카본블랙의 특성에 기인하여 종이의 불투명도가 향상되어 뒤비침이 방지되고, 특유의 타격 음향을 가지므로 놀이용 카드에 적합한 종이가 제조될 수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합지를 하기 위한 원지로서 외지는 평량 80g/m2의 편면 도공지를 제조하고, 제조된 도공지는 격자문양의 엠보싱 처리를 하였다. 내지는 30~35oSR의 고해도를 가지는 침엽수펄프와 활엽수 펄프의 비율을 7:3으로 혼합하고, 충전제로서 탈크와 탄산칼슘을 펄프에 대하여 각각 3중량퍼센트 첨가하여 평량 60g/m2의 종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종이의 제반 특성은 다음 표와 같다.
항 목 내 지 외 지
섬유조성(침엽수/활엽수) 70/30 30/70
평량(g/m2) 60 80
두께(㎛) 약 75 약 80
인장강도 (kg/15mm, MD/CD) 5.0/2.0 4.5/2.0
인열강도(g) 43/45 56/62
스티프니스 (gcm, MD/CD) 0.9/0.4 1.4/1.2
기공도(ml/min.) 250 0
인장강도, 인열강도 및 스티프니스는 TAPPI(미국제지공업연합회)의 측정방법에 의거하여 실험하였다. 인장강도는 종이를 양쪽에서 잡아당기는데 견디는 힘을 측정하는 것이고, 인열강도는 종이를 찢을 때 견디는 힘을 의미한다. 또한 스티프니스는 종이를 구부렸을 때 저항하는 힘을 측정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원지(내지 및 외지)는 상기와 같이 충분히 호화된 접착제를 이용하여 종이합지기를 이용하여 1차 합지하고, 건조하여 2롤의 제 1합지층을 제조하였다. 본 제 1합지층을 제조하기 위한 접착제의 조성분은 다음 표와 같으며 5g/m2의 도포량으로 접착제를 도포하였다.
조성분 함량(중량%)
산화전분 25
폴리우레탄수지 5
글리세린 3
67
이 2롤의 제 1합지층은 다시 카본블랙이 혼합된 접착제를 이용하여 2차 합지하고 건조하여 제 2합지층을 제조하였다(도 1참조). 2차 합지에 사용된 접착제의 조성은 다음 표와 같으며 10g/m2의 도포량으로 접착제를 도포하였다.
조성분 함량(중량%)
산화전분 25
폴리우레탄수지 5
글리세린 3
카본블랙 5
62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의 접착제 조성분에서 폴리우레탄수지를 첨가하지 않았으며, 나머지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다층 접착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의 접착제 조성분에서 글리세린을 첨가하지 않았으며, 나머지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다층 접착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평량 140g/m2의 편면 엠보싱 도공지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의 2차 접착제 조성분으로 10g/m2의 도포량으로 도포한 후 합지하여 건조하여 다층 접착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평량 140g/m2의 편면도공지를 이용하여 격자문양의 엠보싱 처리를 실시하였다. 도공되지 않은 면에 먹색 그라비아 인쇄를 하였으며, 접착제를 이용하여 합지를 하여 건조하였다. 접착제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수지를 이용하였으며, 도포량은 10g/m2으로 하였다.
시험
다음 표는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제조된 종이의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분인 방법으로 제조된 것이고, 비교예는 종래기술에 의거하여 제조된 방법이다.
항 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평량(g/m2) 300 300 300 290 290
두께(㎛) 310 310 310 300 300
인장강도 (kg/15mm) MD 33 32 34 27 27
CD 16 14 14 10 11
인열강도 (g, 1매) MD 53 53 54 39 40
CD 62 62 61 43 43
스티프니스 (gcm, MD) 83 79 85 64 68
굴곡복원력(%)※1 98 94 95 84 75
굴곡부분 상태※2 매우양호 양호 양호 접힘표시 일부관찰 매우불량
※ 1. 가로(CD방향) 5cm, 세로(MD방향) 10cm 로 종이를 재단 한 후, 가로선을 1분간 마주 잡은 후 3분 동안 자유 상태로 방치하였을 때 종이가 복원되는 정도.
※ 2. 굴곡복원력 시험을 5회 반복하였을 때 굴곡부분(접힘부분)의 종이 변형 상태.
상기 표에서 관찰되는 바와 같이 4장의 종이를 합지한 실시예 1~3의 경우가 2장의 종이를 합지한 비교예 1 및 비교예 2와 비교하여 제반 강도적 성질이 월등히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특히 놀이용카드의 성질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종이의 스티프니스 및 굴곡복원력, 그리고 굴곡 후 굴곡부분의 보존성이 훨씬 우수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표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폴리우레탄 및 글리세린을 첨가한 실시 예 1이 첨가하지 않은 실시예 2와 실시예 3보다 제반 특성이 양호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굴곡복원력 및 굴곡부분 상태에서 좋은 결과를 보여 주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종이를 4층으로 구성시키고 있으며 2차에 걸친 합지 접착을 하여 종이의 복원력 특성을 향상시키며, 또한 2차 합지시에 접착제 조성물에 카본을 첨가함으로써 불투명도를 증가시키고 있고 금속성 타격 음향을 나타내는 다층 접착지를 제공하고 있다.

Claims (13)

  1. 4장의 종이로 구성된 다층 접착지의 제조방법으로서,
    평량 70~150g/m2의 편면도공지인 외지와 평량 40~100g/m2의 비도공지인 내지를 전분, 폴리우레탄,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을 혼합한 접착제로 1차 합지시켜 제 1합지층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합지에 사용된 접착제에 카본을 첨가한 접착제를 상기 제 1합지층의 내지 표면에 도포하여 두 롤의 제 1합지층의 내지측을 서로 2차 합지시키거나, 제 1합지층의 내지측에 그라비아 잉크로 인쇄한 후에 1차 합지에 사용된 접착제로 두 롤의 제 1합지층의 내지측을 서로 2차 합지시켜 제2합지층을 생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층 접착지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외지가 1차 합지층의 형성 전에 엠보싱처리되거나 1차 합지층이 엠보싱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접착지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1차 합지에 사용되는 전분 접착제가 산화전분, 양성전분, 또는 전분을 기초로 하는 접착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접착지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카본이 1차 합지에 사용된 접착제의 중량을 기준으로 1~30%의 양으로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접착지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카본은 카본블랙, 활성탄 및 탄소섬유가 각각 단독으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서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접착지 제조방법.
  8. 제 1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서 평량 70~150g/m2의 편면도공지인 외지와 평량 40~100g/m2의 비도공지인 내지로부터 제조된 다층 접착지.
  9. 삭제
  10. 삭제
  11. 제 8항에 있어서, 외지가 엠보싱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접착지.
  12. 제 8항에 있어서, 1차 합지에 사용되는 전분 접착제가 산화전분, 양성전분, 또는 전분을 기초로 하는 접착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접착지.
  13. 제 8항에 있어서, 카본이 1차 합지에 사용된 접착제의 중량을 기준으로 1~30%의 양으로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접착지.
KR1020060108992A 2006-11-06 2006-11-06 고불투명도 및 고탄성 특성을 가진 다층 접착지 KR100864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8992A KR100864107B1 (ko) 2006-11-06 2006-11-06 고불투명도 및 고탄성 특성을 가진 다층 접착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8992A KR100864107B1 (ko) 2006-11-06 2006-11-06 고불투명도 및 고탄성 특성을 가진 다층 접착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0965A KR20080040965A (ko) 2008-05-09
KR100864107B1 true KR100864107B1 (ko) 2008-10-17

Family

ID=39648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8992A KR100864107B1 (ko) 2006-11-06 2006-11-06 고불투명도 및 고탄성 특성을 가진 다층 접착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410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8289B1 (ko) * 2000-01-07 2002-10-25 주식회사 나노텍 고강도 다겹지
KR20050079894A (ko) * 2004-12-28 2005-08-11 지리산한지(유) 이중지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8289B1 (ko) * 2000-01-07 2002-10-25 주식회사 나노텍 고강도 다겹지
KR20050079894A (ko) * 2004-12-28 2005-08-11 지리산한지(유) 이중지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0965A (ko) 2008-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32604B1 (en) Multi-ply paper produc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EP2510065B1 (en) Nonwoven substrate for joint tape and joint tape that is dimensionally stable and foldable without losing mechanical strength containinh said substrate
JP4905274B2 (ja) 不燃性化粧板
JP6117133B2 (ja) 白板紙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10005881A (ko) 단일 겹 티슈 웹으로부터 제조된 여러 겹 티슈 제품
JP4130880B2 (ja) 壁装材
KR0177023B1 (ko) 전통한지를 이용한 종이류 제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64107B1 (ko) 고불투명도 및 고탄성 특성을 가진 다층 접착지
JP4253331B2 (ja) 多層抄き板紙及び紙製容器
JP4779366B2 (ja) 壁紙
JP5122995B2 (ja) 樹脂塗工シート
JP4437669B2 (ja) 紙壁紙
JP2004345696A (ja) ライナー紙
JP2019098603A (ja) 壁装材料
JP5454296B2 (ja) 化粧板用紙
JP3818129B2 (ja) 壁装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67835A (ko) 양면 인쇄성이 향상된 한지의 제조방법
JP4433551B2 (ja) 段ボールシート
JP4533937B2 (ja) 床材用含浸紙
JP2006161168A (ja) 化粧板用薄葉紙
JP4779367B2 (ja) 壁紙
JP4492079B2 (ja) 樹脂含有紙及びそれを基材とする積層耐水紙
JP2020139233A (ja) 段ボール用ライナ、段ボールシート、積層体及び家具
JP6077432B2 (ja) バルカナイズドファイバーの製造方法
CN216107831U (zh) 一种加厚复合包装特种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