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2979B1 - 화장품용 콜라겐 펩타이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화장품용 콜라겐 펩타이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2979B1
KR100862979B1 KR1020070141652A KR20070141652A KR100862979B1 KR 100862979 B1 KR100862979 B1 KR 100862979B1 KR 1020070141652 A KR1020070141652 A KR 1020070141652A KR 20070141652 A KR20070141652 A KR 20070141652A KR 100862979 B1 KR100862979 B1 KR 100862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gen
activated carbon
acid
cosmetics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1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3711A (ko
Inventor
장부식
이미진
김태영
Original Assignee
씨엔에이바이오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엔에이바이오텍(주) filed Critical 씨엔에이바이오텍(주)
Priority to KR1020070141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2979B1/ko
Publication of KR20080063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3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2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2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B01D15/26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separation mechanism
    • B01D15/265Adsorption chromat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에 적합한 콜라겐펩타이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성, 동물성 및 해양성의 원료를 전처리 및 열탕처리한 각각의 수용성 콜라겐 용액을 활성탄층에 통과시켜 얻은 수용성 콜라겐 용액을 약산 용액에서 효소반응시키고 활성탄층에 통과시켜 각각의 가수분해된 콜라겐펩타이드를 얻는다. 이들의 콜라겐펩타이드 용액을 각각 또는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식품용 또는 화장품용 조성물을 얻는다.
종래의 콜라겐은 중화 및 탈염 공정이 필요하고, 잔존의 염류로 인하여 식품 또는 화장품에 사용이 제한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콜라겐 펩타이드는 제조공정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활성탄으로 탈색(취)하였으므로 고순도이며 또한 무색(취)하여 화장품 또는 식품에 손쉽게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콜라겐 펩타이드, 화장품, 보습, 주름살

Description

화장품용 콜라겐 펩타이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omposition of Collagen Peptides for Cosmetic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장품용에 적합한 콜라겐펩타이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과실류, 채소류, 종자류, 견과류, 버섯류 등의 식물성 원료와 우피, 돈피 등의 동물성 원료 및 해조류, 어류, 어류비늘, 어피 등의 해양성 원료를 전처리 및 열탕처리하여 얻은 각각의 수용성 콜라겐 용액을 활성탄층에 통과시켜 수용성 콜라겐 용액을 얻고, 이들의 분리액을 약산 용액에서 효소반응시키고 활성탄층에 통과시켜 가수분해 콜라겐을 얻어 각각의 원료에서 얻어진 가수분해 콜라겐펩타이드를 각각 또는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식품용 조성물을 얻는다.
일반적으로 콜라겐(Collagen)은 경단백질 또는 교원질(膠原質)이라고도 하며 무척추동물이나 척추동물 등의 다세포동물에 널리 분포하며 양적으로도 가장 많이 발견되는 경단백질이다. 포유류에서는 전체 단백질의 약 1/4을 차지하며 동물의 결합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한 섬유 모양의 장력이 매우 강한 경단백질로서 힘줄 이나 인대에서 힘을 손실 없이 전달한다. 콜라겐의 기본적 구조단위는 분자량 약 30만의 트로포콜라겐(母膠原質)이다. 이 분자는 3가닥의 폴리펩티드사슬이 오른쪽꼬임의 3중나선구조로 되어 있다. 트로포콜라겐분자는 회합하여 콜라겐섬유(교원섬유)를 형성하는데 각 분자는 축방향으로 1/4씩 어긋나게 배열되어 64㎚ 간격의 독특한 줄무늬를 형성하면서 동물의 생장과 함께 분자 사이에 다리 걸친 구조가 생겨 불용성으로 된다. 그러나 콜라겐을 열수나 희산 또는 묽은 알칼리에서 오래 끓이면 물에 녹는 유도단백질 젤라틴으로 변한다. 콜라겐 펩타이드는 아미노산 중에서 유황을 함유한 아미노산은 적은 편이며 글리신, 프롤린, 히드록시프롤린, 글루타민산 등으로 구성된 섬유성 단백질의 일종으로 1,000여개의 아미노산이 모여 가늘고 긴 띠의 형상을 지닌 경단백질로서 사람의 몸에서 장기를 감싸는 막, 관절 연골, 눈의 각막, 뼈와 피부 등에 주로 존재하고, 특히 피부 속 진피층의 구성 성분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콜라겐의 주된 기능은 피부의 견고성, 조직의 저항력과 결합력, 세포접착의 지탱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콜라겐은 고령화 및 자외선 조사에 의한 광노화로 인하여 피부의 두께가 얇아지고 이러한 현상은 피부의 주름 형성에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소득수준이 높아지고 노령화사회로 접어 들면서 피부 노화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진전되어 콜라겐의 피부에 대한 기능이 밝혀지고 있다. 그 중에서 콜라겐의 합성 촉진에 의해 콜라겐 대사가 활발해지면 진피 메트릭스의 성분이 증가되어 주름개선, 탄력증진, 피부강화 및 상처치유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주장에 따라 콜라겐합성 촉진물질인 레티논산(retinoic acid), TGF(transforming growth factor), 동물유래 태반(placenta), 베투린산(betulinic acid), 클로렐라추출물 등을 피부강화용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한 제품들이 많이 출시되었으나 크게 각광을 받지 못하였다. 또한 콜라겐을 피부 보호용 화장품 조성물로 하는 콜라겐을 배합한 제품들이 다수 판매되고 있으나, 피부 표면에 도포하는 화장품은 고분자인 콜라겐의 경피흡수가 어려워 피부의 보습작용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있다.
최근 들어 콜라겐 펩타이드는 건강식품, 외과용 또는 안과용 치료제 또는 화장품용 첨가제로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로서 이들 천연에서 추출한 콜라겐 펩타이드가 식품학적, 약제학적 및 화장품으로 볼때 법적으로 허용된 부형제와 함께 사용되어야 하고 또한 보습효과와 주름살 개선 효과를 나타내려면 이들 부형제와 혼화성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화장품은 얼굴을 포함한 신체의 특정 부위에서 피부와 반응하여 원하는 효과를 나타내게 하는 것이므로 수용성 및 유화성이 중요한 과제이다. 콜라겐 원료로부터 추출된 콜라겐 펩타이드의 피부에 대한 감응도 및 흡수에 의한 보습성과 주름살개선 효과는 해양성, 식물성 및 동물성이 각각 다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콜라겐 펩타이드는 가격이나 유행 또는 계절적인 요인에 의해서 공급이 제한받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콜라겐의 경합제품과 비교하여 가격이 비싸다고 느끼면 구입을 기피하는 경우가 있고, 사회적으로 소비자들이 웰빙(well-being)과 같이 자연주의를 추구하는 분위기가 되거나 또한 구제역 및 광우병 등과 같은 질병이 돌게 되면 동물성 콜라겐의 기피현상이 심화되기 때문에 이를 대체할 수 있는 해양성 또는 식물성 콜라겐 펩타이드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착안하여 피부보호에 우수한 효과를 가지 면서 공급에 제한을 받지 않으면서 해양성, 식물성 및 동물성 콜라겐 펩타이드를 개발하여 서로 보완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피부보호용 조성물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로 한국특허출원 1998-36067(콜라겐 합성촉진제를 함유한 피부용 조성물)은 콜라겐 합성 촉진제로 곽향, 첨호중에서 1종 이상을 주름개선, 탄력증진 작용이 있는 피부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한국특허공개 2000-13588(콜라겐 합성 촉진제를 포함하는 주름개선, 탄력증진, 및 창상치유용 피부 조성물)은 상륙, 토사자, 백자강잠 추출물 중에서 하나이상을 피부 조성물로 사용하는 것이다.
한국특허공개 2000-77321(해산물 유래콜라겐 화장품 조성물)은 해산물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화장용 또는 약학적 제품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한국 특허공개2003-74999(사람 콜라겐)는 자가 세포침투성 Tat펩타이드가 결합된 융합펩타이드를 화장료로 사용하는 것이다.
한국특허공개 2004-55931(콜라겐 펩타이드의 제법 및 용도) 어류 및 축산물뼈를 처리하여 추출한 콜라겐 펩타이드에 관한 것이다.
그밖에 한국특허공개 2003-74577(멸균된 순수 수용성 콜라겐 펩타이드의 제조방법)는 우피, 돈피, 소뼈, 어류 등에 산, 알칼리 처리하여 콜라겐 펩타이드를 추출한 후, 단백질분해효소로 저분자화하여 살균, 건조하는 방법이다.
한국특허공개 2004-27283(식물성 및 마린 콜라겐펩타이드 제조방법)은 식물성과 해양성 원료를 쵸핑하여 유기산용액에 침지시켜 단백질가수분해 효소 처리한 후 콜라겐 펩타이드 수용액을 가열에 의해 효소를 실활시켜 멸균한 후, 여과하여 콜라겐 펩타이드 수용액을 얻는다.
한국특허공개 2006-81671(콜라겐, 펩타이드를 함유한 황토 파우더 조성물 형성 및 그 제조방법)은 어류 비늘, 어피, 돈피를 가열하여 젤라틴을 추출하고 에탄올로 분해시켜 콜라겐과 젤라틴 농축액에 황토분말을 넣고 열풍건조하여 황토와 젤라틴 혼합물을 얻어 분말화시키는 방법이다.
한국특허공개 2004-74598(어린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은 생선 비늘로부터 가수분해하여 가용성, 보습성 및 착색성 등이 우수한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이다. 그러나 이들 종래기술은 원료로부터 콜라겐을 추출하는 방법으로서 본 발명과 기술적 구성이 다른 것이다.
종래의 콜라겐은 강산 분위기에서 효소분해하면 가수분해는 잘 되지만 가수분해물은 산성이 되므로 알칼리로 중화한 후 별도로 염을 제거하더라도, 완벽하게 염분이 제거되기 어렵기 때문에 무염 제품을 요구하는 식품, 의약품 또는 화장품의 특별한 용도에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중화 및 탈염이 필요하게 되어 제조공정이 길어지게 되고 생산성이 나쁘며, 범용적으로 다양한 규격의 콜라겐 펩타이드를 사용하는 데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미세하게 쵸핑된 해양성 원료를 열탕처리하여 얻은 수용성 콜라겐 용액을 약산성 분위기하에서 효소분해시켜 얻은 가수분해 콜라겐 용액으로부터 중성영역의 콜라겐 펩타이드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염기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별도의 중화공정이 없어도 간편하고 품질 좋은 콜라겐 펩타이드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식물성 또는 해양성의 원료로부터 추출된 콜라겐 펩타이드가 각각 또는 균일한 비율로 혼합되어 구성되는 콜라겐 펩타이드 조성물로서, 보습용 또는 주름살 개선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콜라겐 펩타이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콜라겐 펩타이드 조성물은 식품에 사용할 경우 노화, 변색 및 열화방지 효과가 있고, 화장품으로 사용 시 피부의 수분함유량을 높여 보습성을 유지시키고 세포증식에 의한 주름살 개선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식품용 또는 화장품용 콜라겐 펩타이드 조성물을 나타낸다.
상기에서 화장품용 조성물은 식물성, 동물성 또는 해양성의 원료로부터 추출된 콜라겐 펩타이드가 각각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이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식품용 콜라겐은 식품 노화방지 또는 보존성향상에 효능이 있다.
상기에서 화장품용 콜라겐은 보습성 또는 주름살개선에 효능이 있다.
본 발명은 식품용 또는 화장품용 콜라겐 펩타이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콜라겐 원료를 열탕처리 및 탈취하여 얻은 수용성 콜라겐을 산성용액에서 효소처리 및 탈취하여 얻은 가수분해 콜라겐을 액상 또는 건조하여 분말로 식품용 또는 화장품용 콜라겐 펩타이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상기의 콜라겐 펩타이드 조성물 제조시 콜라겐 원료는 식물성, 동물성 또는 해양성에서 유래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콜라겐 펩타이드 조성물 제조시 산성용액은 초산, 사과산, 마레인산, 호박산, 또는 구연산의 유기산 용액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콜라겐 펩타이드 조성물 제조시 효소는 트립신, 파파인, 펩신 또는 알칼라제 중의 어느 1종 이상을 0.1∼0.5wt%를 첨가하여 45∼55℃로 2∼24시간 동안 가수분해시킬 수 있다.
콜라겐 펩타이드 조성물 제조시 탈취는 활성탄, 아황산 또는 오존을 사용할 수 있다.
종래의 콜라겐은 강산으로 가수분해하고 강염기로 중화한 후 투석이나 이온교환에 의한 탈염을 했으나, 완벽하게 염류가 제거되기 어려워 식품, 의약품 또는 화장품에 사용이 제한되어져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강산 대신에 약산의 유기산을 이용하므로 별도의 중화공정이 필요하지 않아 제조공정이 간편하고 다목적용 품질 좋은 콜라겐 펩타이드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식물성, 동물성 및 해양성의 원료를 전처리 및 열탕처리한 각각의 수용성 콜라겐 용액을 활성탄층에 통과시켜 수용성 콜라겐 용액을 얻고, 이 수용성 콜라겐 용액을 약산 용액에서 효소 반응시키고 활성탄층에 통과시켜 가수분해 콜라겐을 얻어 각각 또는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식품용 또는 화장품용 조성물을 얻는다.
본 발명의 추출된 콜라겐으로부터 불순물과 이취를 제거하기 위한 흡착제로 활성탄 중에서 작업성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입상활성탄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입상활성탄(Activated Granular Carbon)은 기공(Pore Size)이 10∼20Å의 미세(g당 1,000㎟ 이상의 표면적)을 가지며, 입도가 90-95% 이상(10∼50mesh)으로 충전밀도 는 0.48-0.56(g/cc) 이하로 구성되어 있어 표면에 존재하는 탄소원자의 관능기가 주위의 액체 또는 기체에 인력을 가하여 피흡착질의 분자(산 또는 염기)를 흡착하는 성질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다양한 원료로부터 추출한 수용성 콜라겐과 가수분해된 콜라겐을 통액시켜 순수한 고품질의 콜라겐 펩타이드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의 콜라겐 펩타이드는 활성탄으로 탈색 및 탈취하였으므로 무색(취)하여 어떠한 용도로 쓰이더라도 특별히 전처리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에 제한을 받는 의약품, 화장품 또는 식품에 자유롭게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1. 콜라겐 펩타이드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의 콜라겐 펩타이드는 동물성, 해양성 또는 식물성 콜라겐 원료를 전처리, 열탕처리, 지육분리, 탈취(활성탄처리)하여 수용성 콜라겐을 얻고, 상기 수용성 콜라겐을 유기산처리, 효소처리, 탈취(활성탄처리)하여 동물성, 해양성 또는 식물성 유래의 가수분해 콜라겐 펩타이드를 얻을 수 있다(도 1 참조).
1) 해양성유래 콜라겐 펩타이드 추출물
해양성유래 콜라겐은 어류, 어류비늘, 어피, 연체동물 및 갑각류 등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을 수 있다. 해양성유래 콜라겐은 특유의 비린 냄새를 내고 보관 중에 쉽게 변질되면서 악취를 내므로 제조 과정에서 활성탄, 아황산(Meta-Bisulfite) 또는 오존(Ozone)으로 탈취하여 원료로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해양성 원료를 정제수로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원료 1kg에 대하여 정제수 4리터(L)를 넣고 쵸파로 10∼100㎛ 이하의 크기로 잘게 분쇄한 후, 마쇄 처리 한 원료에 오존을 통과시켜 탈취 처리한다. 탈취한 해양성 원료를 95∼105℃에서 60∼120분간 열탕처리하여 원심분리한 후 얻은 여액을 5∼10℃로 냉각시켜 데칸타를 이용하여 상층부의 지방과 불순물을 제거한 후, 1차 수용성 콜라겐을 얻는다. 1차 수용성 콜라겐 1kg을 초산, 사과산, 말레인산, 호박산, 구연산 또는 기타의 유기산 0.3∼0.5% 용액에 넣고 트립신, 파파인, 펩신, 바실러스 서브틸러스(알칼라제) 등의 단백질분해효소 1종 이상을 0.1∼0.5w%를 첨가하여 45∼55℃로 2∼24시간 동안 가수분해시킨 후, 75∼85℃로 효소를 실활시켜 원심분리한 후, 활성탄층을 통과시켜 2차 가수분해된 콜라겐을 얻는다. 가수분해된 액상의 콜라겐펩타이드를 동결건조기 또는 분무건조기를 이용하여 분말의 콜라겐 펩타이드를 얻는다.
2) 식물성유래 콜라겐 펩타이드 추출물
식물성유래 콜라겐은 당근, 홍삼, 솔잎, 참깨, 팽이버섯, 느타리버섯 등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을 수 있다. 식물은 특유의 불쾌한 냄새가 적으므로 식물성 원료를 정제수로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원료 1kg에 대하여 정제수 4리터를 넣고 쵸파로 10∼100㎛ 이하의 크기로 잘게 분쇄한 후, 분쇄물 1kg을 초산, 사과산, 구연산 또는 기타의 유기산 0.3∼0.5% 용액에 넣고 트립신, 파파인, 펩신, 바실러스 서브틸러스 등의 단백질분해효소 1종 이상을 0.1∼0.5w%를 첨가하여 45∼55℃로 2∼24시간 동안 가수분해시킨다. 가수분해된 용액을 75∼85℃에서 효소를 실활시켜 원심분리한 후, 활성탄층을 통과시켜 가수분해된 콜라겐을 얻는다. 전기의 식물성 원료로부터 열탕처리하여 얻은 수용성 콜라겐을 약산성의 유기산용액에서 효소분해시켜 얻은 가수분해된 액상의 콜라겐 펩타이드를 동결건조기 또는 분무건조기를 이 용하여 분말의 콜라겐 펩타이드를 얻는다.
3) 동물성유래 콜라겐 펩타이드 추출물
동물성유래 콜라겐은 돈피, 우피, 돈골 및 우골 등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을 수 있다. 동물성유래 원료를 정제수로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원료 1kg에 대하여 정제수 4리터를 넣고 쵸파로 10∼100㎛ 이하의 크기로 잘게 분쇄한다. 동물성 원료를 95∼105℃에서 60∼120분간 열탕처리하여 원심분리한 후 얻은 여액을 5∼10℃로 냉각시켜 데칸타를 이용하여 상층부의 지방과 불순물을 제거한 후, 활성탄층을 통과시켜 1차 수용성 콜라겐을 얻는다. 1차 수용성 콜라겐 1kg을 초산, 사과산, 구연산 또는 기타의 유기산 0.3∼0.5% 용액에 넣고 트립신, 파파인, 펩신, 바실러스 서브틸러스 등의 단백질분해효소 1종 이상을 0.1∼0.5w%를 첨가하여 45∼55℃로 2∼24시간 동안 가수분해시킨다. 가수분해된 용액을 75∼85℃에서 효소를 실활시켜 원심분리한 후, 활성탄층을 통과시켜 2차 가수분해된 콜라겐을 얻는다. 가수분해된 콜라겐펩타이드를 동결건조기 또는 분무건조기를 이용하여 분말의 콜라겐 펩타이드를 얻는다.
2. 콜라겐 펩타이드 조성물
식물성유래 원료, 동물성유래 원료, 해양성유래 원료를 대상으로 하여 얻은 추출물로부터 화장품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각각의 콜라겐 펩타이드를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화장품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추출물과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이상과 같이 설명되지만, 보다 상 세한 것은 다음의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식물성유래 콜라겐 펩타이드 추출물
식물성유래 콜라겐은 당근, 홍삼, 참깨, 팽이버섯을 혼합하여 정제수로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원료 1kg에 대하여 정제수 4리터를 넣고 쵸파로 10㎛로 분쇄한 후, 100℃에서 90분간 열탕처리하여 원심분리한 후 얻은 여액을 7℃로 냉각시켜 지방과 불순물을 제거하여 수용성 콜라겐을 얻었다. 수용성 콜라겐 1kg을 초산 0.4% 용액에 넣고 단백질분해효소 트립신을 0.3w%를 첨가하여 50℃로 12시간 동안 가수분해시킨 후, 80℃로 효소를 실활시켜 원심분리하여 가수분해된 콜라겐을 얻었다. 가수분해된 콜라겐 펩타이드를 분무건조기를 이용하여 분말의 콜라겐 펩타이드를 얻었다.
<실시예 2> 동물성 콜라겐 추출물
동물성유래 콜라겐은 돈피를 정제수로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원료 1kg에 대하여 정제수 4리터를 넣고 쵸파로 10㎛로 분쇄하였다. 동물성 원료를 105℃에서 120분간 열탕처리하여 원심분리한 후 얻은 여액을 10℃로 냉각시켜 상층부의 지방과 불순물을 제거하여 수용성 콜라겐을 얻었다. 수용성 콜라겐 1kg을 사과산 0.3% 용액에 넣고 파파인의 단백질분해효소를 0.5w%를 첨가하여 45℃로 24시간 동안 가수분해시켜 85℃로 효소를 실활시켜 원심분리한 후 가수분해된 콜라겐을 얻었 다. 가수분해된 콜라겐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분말의 콜라겐 펩타이드를 얻었다.
<실시예 3> 해양성 콜라겐 추출물
해양성유래 콜라겐은 생선 껍질과 해파리를 정제수로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원료 1kg에 대하여 정제수 4리터를 넣고 쵸파로 50㎛로 분쇄 하였다.해양성 원료에 오존을 통과시켜 탈취 처리한 원료를 95℃에서 60분간 열탕처리하여 원심분리한 후, 얻은 여액을 5℃로 냉각시켜 지방과 불순물을 제거하여 수용성 콜라겐을 얻었다. 수용성 콜라겐 1kg을 구연산 0.5% 용액에 넣고 펩신의 단백질분해효소 0.5w%를 첨가하여 55℃로 24시간 동안 가수분해시킨 후, 75℃로 효소를 실활시켜 원심분리하여 가수분해된 콜라겐을 얻었다. 가수분해된 콜라겐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분말의 콜라겐 펩타이드를 얻었다.
<실시예 4> 3종 추출물이 혼합된 조성물(식물성,동물성,해양성)
실시예 1 내지 3에서 얻은 식물성유래 콜라겐 추출물과 동물성유래 콜라겐 추출물 및 해양성유래 콜라겐 추출물을 1 : 1: 1의 동일한 비율로 혼합하여 3종 추출물이 혼합된 조성물을 얻었다(도 2 c 참조).
<실시예 5> 2종 추출물의 조성물(식물성,동물성)
실시예 1 내지 2에서 얻은 식물성유래 콜라겐 추출물과 동물성유래 콜라겐 추출물을 1: 1의 동일한 비율로 혼합하여 2종 추출물이 혼합된 조성물을 얻었다(도 2a 참조).
<실시예 6> 2종 추출물의 조성물(식물성,해양성)
실시예 1과 3에서 얻은 식물성유래 콜라겐 추출물과 해양성유래 콜라겐 추출물을 1: 1의 동일한 비율로 혼합하여 2종 추출물이 혼합된 조성물을 얻었다(도 2b 참조).
<실시예 7> 2종 추출물의 조성물(동물성,해양성)
실시예 2와 3에서 얻은 동물성유래 콜라겐 추출물과 해양성유래 콜라겐 추출물을 1: 1의 동일한 비율로 혼합하여 2종 추출물이 혼합된 조성물을 얻었다.
<적용예 1>; 식품의 노화방지 효과
상기의 콜라겐 펩타이드와 그 조성물을 이용하여 쌀밥, 김밥, 식빵, 두부, 한천묵을 대상으로 노화방지 및 보존성향상 효과를 파악해 보기로 하였다. 노화방지 효과는 조리한 음식 또는 재료에 콜라겐 펩타이드를 0.05∼0.2중량% 섞거나 골고루 뿌려 실온에서 24∼72시간 경과한 후, 보관시 딱딱해지거나 굳는 정도와 변색등을 육안관찰과 관능검사를 통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S; 대단히 양호, A;양호, B;보통, C; 불량)를 표 1에 나타냈다.
표 1. 식품 노화방지 효과(예 1∼5)
Figure 112007095091386-pat00001
(상기의 구분 중에서 콜라겐은 식;식물성, 동;동물성, 해;해양성을 나타냄)
상기의 결과로부터 콜라겐 펩타이드를 첨가한 군에서 잘 딱딱해지지 않고 변색도 덜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적용예 2>; 보존성향상 효과
상기의 콜라겐 펩타이드와 그 조성물을 이용하여 죽과 밥에 첨가시 보존성향상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쌀죽, 전복죽, 잡곡밥, 현미밥에 대하여 콜라겐 펩타이드를 0.05∼0.2중량% 섞거나 골고루 뿌려 실온에서 24∼72시간 경과한 후, 썩는 냄세(이취)를 파악하여 비교군과 대비하여 그 결과(S;대단히 양호, A;양호, B;보통, C; 불량)를 표 2에 나타냈다. 한편 보존성향상 효과를 정량적으로 판단하기 위하여 콜라겐 펩타이드 첨가군과 대조군의 총균수를 비교하였다. 총균수는 검체 12. 5g에 112.5ml의 펩톤수를 가한 후, 균질화한 것을 검액으로 사용하여 검액 1ml로 희석한 후, 각 단게별로 1ml를 멸균된 페트리디시 3매에 무균적으로 분주하고 46∼47℃로 유지한 PCA(plate count agar) 15ml를 무균적으로 가하여 검액과 혼합하였다. 고형화 후 배지를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평판당 50∼400개의 집락을 생성한 평판을 선택하여 집락수를 계수시료 g당 cfu를 구하였다.
표 2. 보존성향상 효과
Figure 112007095091386-pat00002
표 2의 보존성을 판단한 육안관찰과 총균수 측정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콜라겐 펩타이드를 첨가한 군에서 월등히 보존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제조예> 영양크림
상기과 같이하여 얻은 콜라겐 펩타이드 추출물과 조성물에 대하여 화장품을 만들어 피부미용 효과가 있는 지 확인해 보기로 하였다.
표. 3 제조예 1∼7
Figure 112007095091386-pat00003
<실험예 1> 피부 수분 함유량 측정
본 발명의 조성물로부터 피부의 보습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피부수분 함유량을 측정기(IMPEDANCE METER, SKICON-200 IBS JAPAN)를 이용하여 검체로 동식물성 혼합 콜라겐(고형분 1.0%)을 대조군으로 식물성 콜라겐 (고형분 1.0%), 동물성 콜라겐 (고형분 1.0%), 해양성 콜라겐 (고형분 1.0%) 및 정제수를 대상으로 하여 20세 여성의 오른쪽 팔 안쪽에 각 시료 약 1㎖를 도포하고, 30분 후에 남아 있는 액을 제거하고 피부의 전기 전도도를 경과 시간마다 측정하여 그 결과를 다음의 표 2와 같이 나타냈다.
표 4. 피부 수분 함유량 측정 결과 (단위: Ω)
구 분 0 (sec) 30 (sec) 60 (sec) 150 (sec) 240 (sec) 330 (sec) 420 (sec) 510 (sec)
동식물성혼합 콜라겐(동량) 118 1350 490 280 210 200 195 195
식물성콜라겐 120 1480 560 320 280 270 260 260
동물성콜라겐 115 1150 300 150 140 135 130 130
해양성콜라겐 110 1105 280 130 125 120 120 115
정제수 80 800 180 120 115 110 80 60
상기의 결과로부터 식물성 콜라겐〉동식물성혼합 콜라겐〉동물성콜라겐 〉해양성콜라겐〉정제수 순으로 보습성이 높게 나타났다.
<실험예 2>; 피부 수분 손실량 측정
본 발명의 조성물로부터 피부의 보습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피부수분 손실량을 측정기(TEWAMETER TM210, COURAGE + 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검체로 동식물성 혼합 콜라겐 (고형분 10.0%)을 대조군으로 식물성 콜라겐(고형분 10.0%), 동물성 콜라겐(고형분 10.0%), 해양성 콜라겐(고형분 10.0%), 5% butyl alcohol solution, 정제수를 대상으로 하여 22~29세의 남녀 3명을 모니터하여, 좌우 팔 안쪽에 각 시료를 약 1㎖를 1일 3회 도포한 후, 항온 항습실 (23℃, 습도 50%)에서 30분간 안정을 취하고 2초 간격으로 3분간 전 수치의 평균치를 피검 부위의 TEWL치라 한다. 정제수의 TEWL의 변화율을 100으로 하였을 때 각 검체의 변화율을 살펴본 결과 다음의 표 3과 같다.
표 5. 피부 손실량 측정 결과(TEWL 수치 변화율)
구 분 결 과
동식물성 혼합 콜라겐 35.0%
식물성 콜라겐 31.2%
동물성 콜라겐 42.5%
해양성 콜라겐 44.5%
5% butyl alcohol solution 50.0%
정제수 100%
이상의 결과로부터 피부에서의 수분 손실량은 정제수 〉5% 부틸알콜 용액 〉해양성콜라겐 〉동물성콜라겐 〉동식물성 혼합 콜라겐 〉식물성콜라겐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실험예 3>; 주름개선 효과(동물실험)
추출물의 주름살 개선 효과를 알아 보기 위하여 10% 증류수에 녹여 광에 의해 유발된 헤어리스 마우스(6주령, 주름살은 태양광자극기로 2MED로 1주일에 3일 10주간 조사하여 주름살을 형성시킴)에 10% 추출물을 1일 2회 0.5ml/cm2(건조추출물로 50 mg/cm2)씩 6주간 처리한 군을 대조군(무첨가)을 대상으로 주름살 개선 정도를 시료 처리 부위를 육안과 사진 촬영을 통해 육안으로 판정하였다. 각군의 개체수를 5개로하여 개선 정도를 상, 중, 하, 무로 표기하여 표 4에 나타냈다.
표 6. 주름살개선 효과
구 분
대조군 0 0 0 5
식물성 1 2 2 0
동물성 3 1 1 0
해양성 1 4 0 0
<실험예 4> 주름 개선 효과(인체실험)
실시예에서 제조된 추출물(해양성, 식물성, 동물성)의 콜라겐 펩타이드의 주름개선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여성(35∼45세 4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당 5명씩 눈 부위(상,하) 주름에 추출물을 화장료 팩을 만들고,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을 포함하여 각각 2개월간 1일 2회씩 바르도록 하여 주름 개선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개선의 정도를 파악한 바, 본 발명의 추출물은 눈 부위에서 뚜렷한 주름 개선 효과가 있었다. 이를 통하여 추출물을 피부용 화장품에 사용시 표 5와 같 이 주름살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되었다.
표 7. 주름살 개선 효과
구 분
실시예 1 1 2 1 1
실시예 2 1 1 1 1
실시예 3 2 1 1 1
실시예 4 3 1 1 -
실시예 5 2 1 1 1
실시예 6 2 1 1 -
실시예 7 1 2 1 -
비교예 - - 1 4
상기의 결과로부터 콜라겐 펩타이드는 각각 또는 혼합할 경우 주름살개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수분해된 콜라겐 펩타이드 제조공정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콜라겐 펩타이드 조성물의 제조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a는 동물성 유래 콜라겐 펩타이드 및 식물성 유래 콜라겐 펩타이드가 혼합된 혼합 콜라겐 펩타이드 조성물을 나타내고,
도 2b는 해양성 유래 콜라겐 펩타이드 및 식물성 유래 콜라겐 펩타이드가 혼합된 혼합 콜라겐 펩타이드 조성물을 나타내고,
도 2c는 동물성 유래 콜라겐 펩타이드, 식물성 유래 콜라겐 펩타이드 및 해양성 유래 콜라겐 펩타이드가 혼합된 혼합 콜라겐 펩타이드 조성물을 나타낸다.

Claims (4)

  1. 삭제
  2. 식물성 또는 해양성에서 유래한 콜라겐 원료를 95~105℃에서 60~120 분간 열탕처리하는 단계;
    상기 열탕처리한 콜라겐 원료를 아황산, 오존 및 입상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1종을 사용하여 탈취시켜 수용성 콜라겐을 얻되, 상기 입상 활성탄이 10∼20Å의 크기와 g당 1,000㎟ 이상의 표면적을 갖는 미세기공을 가지며, 상기 입상 활성탄의 입도가 90-95%이고, 입자의 크기가 10∼50 메쉬이며, 충전밀도가 0.48-0.56(g/cc)인 단계;
    상기에서 얻은 수용성 콜라겐을 산성용액에서 0.1∼0.5 wt%의 효소를 첨가하여 45∼55℃로 12∼24시간 동안 가수분해하고, 아황산, 오존 및 입상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1종을 사용하여 탈취시켜 가수분해 콜라겐을 얻되, 상기 입상 활성탄이 10∼20Å의 크기와 g당 1,000㎟ 이상의 표면적을 갖는 미세기공을 가지며, 상기 입상 활성탄의 입도가 90-95%이고, 입자의 크기가 10∼50 메쉬이며, 충전밀도가 0.48-0.56(g/cc)인 단계;
    상기에서 얻은 가수분해 콜라겐을 액상 또는 건조하여 분말화 하는 단계; 및
    상기에서 얻은 액상 또는 분말 형태의 가수분해 콜라겐을 균일한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콜라겐 펩타이드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산성용액은 초산, 사과산, 마레인산, 호박산 및 구연산으로 이루어진 유기산 용액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콜라겐 펩타이드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효소는 트립신, 파파인, 펩신 및 알칼라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콜라겐 펩타이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70141652A 2007-12-31 2007-12-31 화장품용 콜라겐 펩타이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62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652A KR100862979B1 (ko) 2007-12-31 2007-12-31 화장품용 콜라겐 펩타이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652A KR100862979B1 (ko) 2007-12-31 2007-12-31 화장품용 콜라겐 펩타이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0373A Division KR100827389B1 (ko) 2007-01-02 2007-01-02 식품용 콜라겐펩타이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3711A KR20080063711A (ko) 2008-07-07
KR100862979B1 true KR100862979B1 (ko) 2008-10-13

Family

ID=39815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1652A KR100862979B1 (ko) 2007-12-31 2007-12-31 화장품용 콜라겐 펩타이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297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4235A2 (ko) * 2010-11-30 2012-06-07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피부 미백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3844326A (zh) * 2013-08-27 2014-06-11 吴长海 一种抗紫外线饮料及其制备方法
KR102299846B1 (ko) 2021-03-04 2021-09-09 농업회사법인 (주)로가 히비스커스 콜라겐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60564A1 (de) * 2010-11-15 2012-05-16 Gelita Ag Verwendung von Kollagenhydrolysat zur Verbesserung der Gesundheit der menschlichen Haut, Haare und/oder Nägel
KR101451971B1 (ko) * 2012-07-26 2014-10-23 영산홍어(주) 어류껍질 유래의 콜라겐 펩타이드 대량생산방법
KR101663030B1 (ko) * 2014-12-11 2016-10-14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황기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KR102014949B1 (ko) 2018-03-02 2019-08-27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당나귀 껍질 아교로부터 분리한 항산화 펩타이드
KR102100866B1 (ko) * 2018-05-30 2020-04-1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 단백질 분해효소액을 이용한 돈피 콜라겐의 제조방법
CN112625121A (zh) * 2020-12-30 2021-04-09 海南省焕颜茹玉生物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从鱼皮中提取小分子活性肽的方法及应用
KR102534346B1 (ko) * 2021-01-21 2023-05-19 코스맥스 주식회사 살구 유래 콜라겐 성분의 농축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60190B1 (ko) * 2021-06-29 2023-07-27 코스맥스 주식회사 앵두 유래 콜라겐 성분의 농축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3980121B (zh) * 2021-10-22 2023-05-23 四川大学 一种调节控制重建胶原蛋白分子量分布的方法
KR102529252B1 (ko) * 2022-08-25 2023-05-04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수국으로부터 분리한 저분자 콜라겐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26056B1 (ko) * 2022-08-30 2023-04-27 한국콜마주식회사 식물성 콜라겐의 제조방법
KR102655580B1 (ko) * 2023-11-27 2024-04-09 주식회사 올바른 피부 진정 효과를 지닌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8597A (ja) 2002-02-15 2003-08-27 Yaizu Suisankagaku Industry Co Ltd 魚類由来のコラーゲンペプチド及びその製造方法、該コラーゲンペプチドを含有する飲食品及び化粧品
KR20040027283A (ko) * 2003-05-21 2004-04-01 김태영 식물성 및 마린 콜라겐펩타이드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8597A (ja) 2002-02-15 2003-08-27 Yaizu Suisankagaku Industry Co Ltd 魚類由来のコラーゲンペプチド及びその製造方法、該コラーゲンペプチドを含有する飲食品及び化粧品
KR20040027283A (ko) * 2003-05-21 2004-04-01 김태영 식물성 및 마린 콜라겐펩타이드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4235A2 (ko) * 2010-11-30 2012-06-07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피부 미백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2074235A3 (ko) * 2010-11-30 2012-07-26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피부 미백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US9770404B2 (en) 2010-11-30 2017-09-26 Amorepacific Corporation Cosmetic composition for whitening and improving the resilience of skin
CN103844326A (zh) * 2013-08-27 2014-06-11 吴长海 一种抗紫外线饮料及其制备方法
KR102299846B1 (ko) 2021-03-04 2021-09-09 농업회사법인 (주)로가 히비스커스 콜라겐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3711A (ko) 2008-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2979B1 (ko) 화장품용 콜라겐 펩타이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27389B1 (ko) 식품용 콜라겐펩타이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ao et al. Processing and characterization of silk sericin from Bombyx mori and its application in biomaterials and biomedicines
Gómez-Estaca et al. Incorporation of antioxidant borage extract into edible films based on sole skin gelatin or a commercial fish gelatin
JP5276813B2 (ja) エラスチン分解ペプチド並びにエラスチン及びその酵素分解ペプチドの製造方法
WO2006080768A1 (en) Anti-aging cosmetic composition
CN109152724A (zh) 掌状红皮藻和茉莉的协同提取物、包含该协同提取物的组合物及其用途
WO2019142829A1 (ja) プロテオグリカン及びこれを含む健康食品、健康飲料、医薬品組成物又は化粧料組成物の製造方法
KR20200030779A (ko) 킬레이트 콜라겐 펩타이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120426A (ko) 갈조류 추출물, 효모 추출물 및 아스코르브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23532093A (ja) 植物性コラーゲン及び植物性ムチンを含む植物抽出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74598A (ko) 어린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KR102358623B1 (ko) 콜라겐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0910120B1 (ko) 오징어 외피 유래 콜라겐 및 이를 함유한 미용 마스크 팩
KR101645238B1 (ko) 피부주름개선용, 피부탄력유지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4075636A (ja) コラーゲン代替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KR101673226B1 (ko) 편백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40111B1 (ko) 나노콜라겐펩타이드 킬레이트 미네랄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 화장품 조성물
KR102322269B1 (ko) Ca-콜라겐 펩타이드의 킬레이트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618726B1 (ko) 명태껍질로부터 엘라스틴을 포함하는 단백질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CN105168092B (zh) 具有生物活性和保湿美白功能的洁面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2932999A (zh) 一种护肤大鲵混合精油及其制备方法
JPH0665041A (ja) 皮膚外用剤
KR100844386B1 (ko) 오징어 콜라겐으로부터 피부주름 억제활성을 갖는펩타이드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제조물
CN114209609B (zh) 护肤组合物及其制备方法、以及面膜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