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2621B1 -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 및 그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 및 그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2621B1
KR100862621B1 KR1020070063822A KR20070063822A KR100862621B1 KR 100862621 B1 KR100862621 B1 KR 100862621B1 KR 1020070063822 A KR1020070063822 A KR 1020070063822A KR 20070063822 A KR20070063822 A KR 20070063822A KR 100862621 B1 KR100862621 B1 KR 100862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ase
diaphragm
control valve
outer circum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3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장식
Original Assignee
동일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일기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일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3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26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2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2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71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with an inse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09Distribution members
    • F04B27/1018Cylindrical distribu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81Casings,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4Measures to avoid lubricant contaminating the pumped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4Provisions for readily assembling or disassemb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22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by means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대하여 다이어프램 외주에 러버를 매개로 하여 하우징 내부의 진공상태를 더욱 신뢰성 높게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그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샤프트(110)에 연결된 볼(111)의 위치에 따라 단속되는 다수의 유로(Ps, Pc, Pd)가 형성된 바디(100)와, 상기 바디(100)의 일측에 마련된 케이스(200)와, 상기 샤프트(110)에 연결된 다이어프램(30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케이스(200)에 조립되어 그 내부에 진공상태가 유지되는 하우징(400)을 포함하는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300)의 외주 일면은 상기 케이스(200)의 외주연에 용접되며; 상기 다이어프램(300)의 외주 이면과 상기 하우징(400) 사이에 러버패킹(500)이 개입되고; 상기 하우징(400)의 외주연은 상기 케이스(200)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진공상태에서 컬링 성형되며; 상기 케이스(200)의 외주면에는 컬링 성형된 상기 하우징(400)의 외주연이 걸쳐지는 단턱부(210)가 절입 형성되며, 이 단턱부(210) 내에는 에폭시 몰딩(600)이 이루어져, 온도에 따른 특성변화 요인을 제거하고, 제조공정 상의 난해함을 해소시킴으로써 제어밸브에 대한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동시에, 생산단가를 낮추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가변용량, 압축기, 제어밸브, 진공, 컬링(curling)

Description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 및 그 조립방법{Control valve for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control valve}
도 1은 종래의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대한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대한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대한 제2실시예에 있어서
조립 이전의 다이어프램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바디 110 : 샤프트
111 : 볼 200 : 케이스
210 : 단턱부 300 : 다이어프램
400 : 하우징 410 : 코일스프링
500 : 러버패킹 510 : 러버
600 : 에폭시 몰딩 Ps, Pc, Pd : 유로
본 발명은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대하여 다이어프램 외주에 러버를 매개로 하여 하우징 내부의 진공상태를 더욱 신뢰성 높게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그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한 것으로써, 온도에 따른 특성변화 요인을 제거하고, 제조공정 상의 난해함을 해소시킴으로써 제어밸브에 대한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동시에, 생산단가를 낮추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에어컨디셔너에는 압축기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압축기로는 최근 들어 토출 용량을 가변 시킬 수 있는 가변용량 압축기가 널리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가변용량 압축기에는 토출 용량을 가변 시키기 위하여 사판(斜板)의 경사각 제어를 실시하는 제어밸브가 마련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를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종래의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11)에 연결된 볼(11a)의 위치에 따라 단속되는 다수의 유로(Ps, Pc, Pd)가 형성된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일측에 마련된 케이스(20)와, 상기 샤프트(11)에 연결된 다이어프램(diaphragm)(3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케이스(20)에 조립되어 그 내부에 진공상태가 유지되는 하우징(40)을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다이어프램(30)의 도면상 좌측에는 진공상태의 하우징(40) 내부에 코일스프링(41)이 마련되어 서포트(support)(31)를 통해 상기 다이어프램(30)을 탄성 지지하며, 상기 다이어프램(30)의 도면상 우측에는 케이스(20) 내부에 상기 샤프트(11)가 또 다른 서포트(32)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다이어프램(30)의 변형에 따라 볼(11a)이 연동 하여 바디(10)에 형성된 다수의 유로(Ps, Pc, Pd)를 선택적으로 단속 또는 개도량 조절을 하게된다.
예를 들어, Ps는 압축기의 흡입 압력이 작용하는 유로로써, Ps에 작용하는 압력이 증가할 경우, 다이어프램(30)이 도면상 좌측으로 변형된다.
이에 따라, 상기 다이어프램(30)에 샤프트(11)를 통해 연결된 볼(11a)은 Pc, 즉 압축기의 크랭크 케이스에 압력을 작용시키는 유로를 폐쇄시키게 됨으로써, 크랭크 케이스의 압력이 감소하게 되어 실린더의 행정거리가 증가하면서 냉매의 토출량을 증대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Pd는 압축기의 토출 압력이 작용하는 유로이다.
이와 같이 작동하는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있어서 주변 온도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정확한 작동을 하기 위해서는, 하우징(40) 내부가 진공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해야만 한다.
종래의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있어서 하우징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 지하면서 다이어프램을 사이에 두고 케이스에 조립하는 선행기술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4-239235호 및 미국 특허공보 제6543672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4-23923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진공상태에서 국부적인 고주파 유도 가열을 통해 다이어프램을 사이에 두고 하우징과 케이스를 상호 융접(融接)하는 것은,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의 장기간 사용 시 조립부위에 균열이 발생하는 등 내구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이뿐 아니라, 미국 특허공보 제654367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외부에 별도의 홀(hole)을 형성하여 하우징과 케이스를 상호 조립한 후, 이 홀을 통하여 하우징 내부를 진공상태로 하는 것은, 진공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홀을 코킹(caulking) 후 다시 솔더링(soldering)을 실시해야만 하는 것으로 그 조립이 매우 어렵다는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 및 그 조립방법을 개선하여 하우징 내부의 진공상태를 더욱 신뢰성 높게 유지할 수 있어, 온도에 따른 특성변화 요인을 제거하고, 제조공정 상의 난해함을 해소시킴으로써 제어밸브에 대한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동시에, 그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으로써 생산단가를 낮추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 및 그 조립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대한 제1실시예는, 샤프트에 연결된 볼의 위치에 따라 단속되는 다수의 유로가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측에 마련된 케이스와, 상기 샤프트에 연결된 다이어프램을 사이에 두고 상기 케이스에 조립되어 그 내부에 진공상태가 유지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의 외주 일면은 상기 케이스의 외주연에 용접되며; 상기 다이어프램의 외주 이면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러버패킹이 개입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주연은 상기 케이스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진공상태에서 컬링 성형되며;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는 컬링 성형된 상기 하우징의 외주연이 걸쳐지는 단턱부가 절입 형성되며, 이 단턱부 내에는 에폭시 몰딩이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1실시예의 조립방법은, 상기 케이스의 외주연에 다이어프램을 용접하는 제1단계와; 상기 하우징 내에 러버패킹을 삽입한 후, 상기 하우징 내부로 상기 다이어프램이 용접된 케이스를 가조립하는 제2단계와; 진공상태를 유지하는 컬링장치 내에 상호 가조립된 상기 하우징과 케이스를 거치 시킨 후, 상기 하우징이 상기 케이스를 감싸도록 컬링을 수행하는 제3단계와;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 형성된 단턱 내부에 에폭시를 도포 하여, 컬링된 상기 하우징의 외주연과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 사이에 몰딩을 실시하는 제4단계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대한 제2실시예는, 샤프트에 연결된 볼의 위치에 따라 단속되는 다수의 유로가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측에 마련된 케이스와, 상기 샤프트에 연결된 다이어프램을 사이에 두고 상기 케이스에 조립되어 그 내부에 진공상태가 유지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그 외주연이 러버 내에 위치하도록 일체로 인서트 사출 성형되어 상기 하우징과 케이스 사이에 개입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주연은 상기 케이스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진공상태에서 컬링 성형되며;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는 컬링 성형된 상기 하우징의 외주연이 걸쳐지는 단턱부가 절입 형성되며, 이 단턱부 내에는 에폭시 몰딩이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2실시예의 조립방법은, 상기 다이어프램의 외주연을 금형 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러버를 통해 일체로 인서트 사출 성형하는 제A단계와; 상기 하우징 내에 러버가 일체로 인서트 사출 성형된 다이어프램을 삽입한 후, 상기 하우징에 내부로 상기 케이스를 가조립하는 제B단계와; 진공상태를 유지하는 컬링장치 내에 상호 가조립된 상기 하우징과 케이스를 거치 시킨 후, 컬링을 수행하는 제C단계와;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 형성된 단턱 내부에 에폭시를 도포 하여, 컬링된 상기 하우징의 외주연과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 사이에 몰딩을 실시하는 제D단계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대한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대한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대한 제2실시예에 있어서 조립 이전의 다이어프램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 및 그 조립방법에 대한 제1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상태가 아닌 일반 대기환경에서 다이어프램(300)을 케이스(200)에 먼저 용접한 후, 진공상태에서 다이어프램(300)을 사이에 두고 하우징(400)을 케이스(200)에 컬링을 통해 조립하여, 상기 하우징(400)과 다이어프램(300) 사이에 러버패킹(500)이 개입됨으로써, 하우징(400) 내부에 진공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유지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제어밸브는 차량용 에어컨디셔너에 사용되는 가변용량 압축기에 적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는 샤프트(110)에 연결된 볼(111)의 위치에 따라 단속되는 다수의 유로(Ps, Pc, Pd)가 형성된 바디(100)와, 상기 바디(100)의 일측에 마련된 케이스(200)와, 상기 샤프트(110)에 연결된 다이어프램(30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케이스(200)에 조립되어 그 내부에 진공상태가 유지되는 하우징(400)을 포함한다.
도 2에 있어서, 도면부호 310 및 320은 다이어프램(300)의 양측에 마련된 서포트이며, Ps, Pc, 그리고 Pd는 각각 압축기의 흡입 압력이 작용하는 유로, 압축기의 크랭크 케이스에 압력을 작용시키는 유로, 그리고 압축기의 토출 압력이 작용하는 유로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는 종래의 기술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그 작동예는 생 략하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한 요부에 대해서만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 및 그 조립방법을 이하 함께 설명한다.
우선, 다이어프램(300)은 대략 얇은 원형 막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 외주 일면(一面)(도면상 우측면)은 상기 바디(100)에 체결된 케이스(200)의 외주연에 용접(도 2에 있어서 A부위)되어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다이어프램(300)의 외주 이면(裏面)(도면상 좌측면)과 상기 하우징(400) 사이에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러버패킹(rubber packing)(500)이 개입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400)은 그 테두리가 대략 계단형상으로 절곡 성형된 것으로, 이 하우징(400)의 외주연은 상기 케이스(200)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진공상태에서 컬링 성형됨으로써, 다이어프램(300)을 사이에 두고 하우징(400)과 케이스(200)가 상호 조립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케이스(200)의 외주면에는 컬링 성형된 상기 하우징(400)의 외주연이 걸쳐지는 단턱부(210)가 절입 형성되며, 이 단턱부(210) 내에는 에폭시 몰딩(600)이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400) 내부의 진공상태는 1차적으로 러버패킹(500)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2차적으로는 상기 에폭시 몰딩(600)에 의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진공상태를 더욱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대한 제1실시예의 조립방법은 먼저, 제1단계로 상기 케이스(200)의 외주연에 다이어프램(300)을 대기환경에서 용접 한다.
그리고, 제2단계로는 상기 하우징(400) 내에 러버패킹(500)을 삽입한 후, 상기 하우징(400) 내부로 상기 다이어프램(300)이 용접된 케이스(200)를 가조립 한다.
이때에는 상기 하우징(400)의 개구 모서리가 안쪽으로 컬링 되기 이전 상태로서, 단지 상기 하우징(400)의 개구 모서리 안쪽에 다이어프램(300)이 용접된 케이스(200)의 개구 모서리가 위치하게 된다.
이후, 제3단계로는 진공상태를 유지하는 컬링장치 내에 위와 같이 상호 가조립된 상기 하우징(400)과 케이스(200)를 거치 시킨 후, 상기 하우징(400)의 개구 모서리가 상기 케이스(200)의 개구 모서리를 감싸도록 컬링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400)과 케이스(200)가 상호 조립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제4단계로는 상기 케이스(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단턱부(210) 내에 에폭시(epoxy)를 도포 하여, 컬링된 상기 하우징(400)의 외주연과 상기 케이스(200)의 외주면 사이에 몰딩을 실시하여, 컬링된 하우징(400)의 끝단과 케이스(200)의 외주면 사이에 생길 수 있는 미세한 틈새까지도 확실하게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 및 그 조립방법에 대한 제2실시예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어프램(300)의 외주연에 러버(510)를 일체로 인서트 사출 성형한 후, 진공상태에서 다이어프램(300)을 사이에 두고 하우징(400)을 케이스(200)에 컬링을 통해 조립하여, 상기 하우징(400)과 케이스(200) 사이에는 다이어프램(300)에 일체로 인서트 사출 성형된 러버(510)가 협지됨으로써, 하우징(400) 내부에 진공상태가 더욱 견고하게 유지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 및 그 조립방법에 대하여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함께 설명한다.
우선, 다이어프램(30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외주연이 러버(510) 내에 위치하도록 일체로 인서트 사출 성형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다이어프램(300)의 외주연 및 이에 일체로 인서트 사출 성형된 러버(510)는 상기 하우징(400)의 내주면 내경에 대응하여 직각으로 절곡 성형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하우징(400) 내에 다이어프램(300)을 손쉽게 끼워 놓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러버(510)가 하우징(400)과 케이스(200) 사이의 기밀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러버(510)가 일체로 인서트 사출 성형된 다이어프램(300)이 상기 하우징(400)과 케이스(200) 사이에 협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400)은 그 테두리가 대략 계단형상으로 절곡 성형된 것으로, 이 하우징(400)의 외주연은 상기 케이스(200)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진공상태에서 컬링 성형됨으로써, 러버(510)와 일체를 이루는 다이어프램(300)을 사이에 두고 하우징(400)과 케이스(200)가 상호 조립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케이스(200)의 외주면에는 컬링 성형된 상기 하우징(400)의 외주연이 걸쳐지는 단턱부(210)가 절입 형성되며, 이 단턱부(210) 내에는 에폭시 몰딩(600)이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400) 내부의 진공상태는 1차적으로 다이어프램(300)에 일체로 인서트 사출 성형된 러버(510)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2차적으로는 상기 에폭시 몰딩(600)에 의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진공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대한 제2실시예의 조립방법은 먼저, 제A단계로 다이어프램(300)의 외주연을 금형 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러버(510)를 통해 일체로 인서트 사출 성형함으로써, 다이어프램(300)과 러버(510)가 서로 일체를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다이어프램(300)을 직각으로 음각 성형된 금형 내에서 러버(510)로 인서트 사출 성형을 실시하여, 상기 다이어프램(300)의 외주연과 러버(510)는 상기 하우징(400)의 내주면 내경에 대응하여 직각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위에서 이미 설명한 것과 같이, 이후 조립 시 상기 하우징(400) 내에 다이어프램(300)을 손쉽게 끼워 놓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러버(510)가 하우징(400)과 케이스(200) 사이의 기밀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B단계로는 상기 하우징(400) 내에 러버(510)가 일체로 인서트 사출 성형된 다이어프램(300)을 삽입한 후, 상기 하우징(400)에 내부로 상기 케이 스(200)를 가조립 한다.
이 때에는 상기 하우징(400)의 개구 모서리가 안쪽으로 컬링 되기 이전 상태로서, 단지 상기 하우징(400)의 개구 모서리 안쪽에 러버(510)가 일체로 인서트 사출 성형된 다이어프램(300)이 삽입되어 케이스(200)의 개구 모서리 사이에 위치한다.
이후, 제C단계로는 진공상태를 유지하는 컬링장치 내에 위와 같이 상호 가조립된 상기 하우징(400)과 케이스(200)를 거치 시킨 후, 상기 하우징(400)의 개구 모서리가 상기 케이스(200)의 개구 모서리를 감싸도록 컬링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400)과 케이스(200)가 상호 조립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제D단계로는 상기 케이스(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단턱부(210) 내에 에폭시(epoxy)를 도포 하여, 컬링된 상기 하우징(400)의 외주연과 상기 케이스(200)의 외주면 사이에 몰딩을 실시하여, 컬링된 하우징(400)의 끝단과 케이스(200)의 외주면 사이에 생길 수 있는 미세한 틈새까지도 확실하게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 및 그 조립방법에 있어서, 제1실시예는 다이어프램(300)을 대기환경에서 케이스(200)에 먼저 용접한 후, 상기 다이어프램(300)을 사이에 두고 진공상태에서 하우징(400)과 케이스(200)를 컬링을 통해 상호 조립함으로써, 하우징(400) 내부를 진공상태로 하는 것이 매우 용이할 뿐 아니라, 러버패킹(500) 및 에폭시 몰딩(600)에 의하여 2중으 로 보다 견고하게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는 탁월한 이점을 갖게 된다.
이뿐 아니라,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다이어프램(300)의 외주연에 러버(510)를 일체로 인서트 사출 성형해 놓음으로써, 다이어프램(300)을 사이에 두고 진공상태에서 하우징(400)과 케이스(200)를 컬링을 통해 상호 조립하는 것이 더욱 더 용이할 뿐 아니라, 다이어프램(300)에 일체로 인서트 사출 성형된 러버(510)와 에폭시 몰딩(600)에 의하여 이 또한 2중으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 및 그 조립방법은 기존에 비하여 진공상태를 신뢰성 높게 유지할 수 있어 가변용량 압축기의 제어를 더욱 정확하게 실시하는 제어밸브를 제공할 뿐 아니라, 그 조립방법이 매우 용이하여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 및 그 조립방법을 개선하여 하우징 내부의 진공상태를 더욱 신뢰성 높게 유지할 수 있어, 온도에 따른 특성변화 요인을 제거하고, 제조공정 상의 난해함을 해소시킴으로써 제어밸브에 대한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동시에, 그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으로써 생산단가를 낮추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6)

  1. 샤프트에 연결된 볼의 위치에 따라 단속되는 다수의 유로가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측에 마련된 케이스와, 상기 샤프트에 연결된 다이어프램을 사이에 두고 상기 케이스에 조립되어 그 내부에 진공상태가 유지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의 외주 일면은 상기 케이스의 외주연에 용접되며;
    상기 다이어프램의 외주 이면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러버패킹이 개입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주연은 상기 케이스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진공상태에서 컬링 성형되며;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는 컬링 성형된 상기 하우징의 외주연이 걸쳐지는 단턱부가 절입 형성되며, 이 단턱부 내에는 에폭시 몰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
  2. 샤프트에 연결된 볼의 위치에 따라 단속되는 다수의 유로가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측에 마련된 케이스와, 상기 샤프트에 연결된 다이어프램을 사이에 두고 상기 케이스에 조립되어 그 내부에 진공상태가 유지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그 외주연을 감싸도록 러버가 일체로 인서트 사출 성형되어 상기 하우징과 케이스 사이에 개입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주연은 상기 케이스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진공상태에서 컬링 성형되며;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는 컬링 성형된 상기 하우징의 외주연이 걸쳐지는 단턱부가 절입 형성되며, 이 단턱부 내에는 에폭시 몰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의 외주연 및 이에 일체로 인서트 사출 성형된 러버는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대응하여 직각으로 절곡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
  4. 제 1항의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의 조립방법으로,
    상기 케이스의 외주연에 다이어프램을 용접하는 제1단계와;
    상기 하우징 내에 러버패킹을 삽입한 후, 상기 하우징 내부로 상기 다이어프램이 용접된 케이스를 가조립 하는 제2단계와;
    진공상태를 유지하는 컬링장치 내에 상호 가조립된 상기 하우징과 케이스를 거치 시킨 후, 상기 하우징이 상기 케이스를 감싸도록 컬링을 수행하는 제3단계와;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 형성된 단턱 내부에 에폭시를 도포 하여, 컬링된 상 기 하우징의 외주연과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 사이에 몰딩을 실시하는 제4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의 조립방법.
  5. 제 2항의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의 조립방법으로,
    상기 다이어프램의 외주연을 금형 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러버가 일체로 인서트 사출 성형되는 제A단계와;
    상기 하우징 내에 러버가 일체로 인서트 사출 성형된 다이어프램을 삽입한 후, 상기 하우징에 내부로 상기 케이스를 가조립 하는 제B단계와;
    진공상태를 유지하는 컬링장치 내에 상호 가조립된 상기 하우징과 케이스를 거치 시킨 후, 컬링을 수행하는 제C단계와;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 형성된 단턱 내부에 에폭시를 도포 하여, 컬링된 상기 하우징의 외주연과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 사이에 몰딩을 실시하는 제D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의 조립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A단계는 직각으로 음각 성형된 금형 내에서 인서트 사출 성형을 실시하여, 상기 다이어프램의 외주연과 러버는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대응하여 직각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의 조립방법.
KR1020070063822A 2007-06-27 2007-06-27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 및 그 조립방법 KR100862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3822A KR100862621B1 (ko) 2007-06-27 2007-06-27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 및 그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3822A KR100862621B1 (ko) 2007-06-27 2007-06-27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 및 그 조립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2621B1 true KR100862621B1 (ko) 2008-10-09

Family

ID=40153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3822A KR100862621B1 (ko) 2007-06-27 2007-06-27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 및 그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26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708B1 (ko) * 2009-09-30 2016-03-3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제어밸브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8312A (ko) * 1998-05-15 1999-12-27 요코야마 다카요시 가변용량형압축기용압력조정밸브
JP2001349277A (ja) 2000-06-07 2001-12-21 Tgk Co Ltd 可変容量圧縮機用制御弁の真空室形成方法
JP2002161853A (ja) 2000-11-30 2002-06-07 Mitsubishi Heavy Ind Ltd 圧縮機の能力制御弁
KR20040010100A (ko) * 2002-07-24 2004-01-31 다이헤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어밸브
JP2004218443A (ja) 2003-01-09 2004-08-05 Tgk Co Ltd 圧力制御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8312A (ko) * 1998-05-15 1999-12-27 요코야마 다카요시 가변용량형압축기용압력조정밸브
JP2001349277A (ja) 2000-06-07 2001-12-21 Tgk Co Ltd 可変容量圧縮機用制御弁の真空室形成方法
JP2002161853A (ja) 2000-11-30 2002-06-07 Mitsubishi Heavy Ind Ltd 圧縮機の能力制御弁
KR20040010100A (ko) * 2002-07-24 2004-01-31 다이헤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어밸브
JP2004218443A (ja) 2003-01-09 2004-08-05 Tgk Co Ltd 圧力制御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708B1 (ko) * 2009-09-30 2016-03-3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제어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2328B2 (en) Valve and fluid control appratus
US9237854B2 (en) Valve, fluid control device
KR100494262B1 (ko) 펌프 및 그 제조방법
EP1052407B1 (en) Compact pump
US6843643B2 (en) Valve mounting arrangement in a diaphragm pump
JP2020531762A (ja) 電動弁
US20150078611A1 (en) Joint speaker surround and gasket,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KR101690128B1 (ko) 밀폐형 압축기
KR100862621B1 (ko)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 및 그 조립방법
TW200521324A (en) Diaphragm pump
JP2001123958A (ja) ダイアフラム式燃料ポンプ
EP1462696B1 (en) Control valv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01354027A (zh) 封闭式压缩机用吸入消声器
KR20050063599A (ko) 밀폐형 압축기
WO2007070317B1 (en) Button diaphragm piston pump
JP4197436B2 (ja) ダイヤフラムポンプ
JP2001349279A (ja) 可変容量圧縮機用制御弁
JPH11303755A (ja) 密閉型電動圧縮機
JP4341046B2 (ja) 圧電型アクチュエータ
KR200337978Y1 (ko) 공기펌프
JP4453114B2 (ja) 圧電型アクチュエータ
KR101762710B1 (ko) 차량용 연료 파이프의 접속장치
JP4170776B2 (ja) 圧力制御弁
KR101637449B1 (ko) 밀폐형 압축기의 제조방법
JP2015117679A (ja) 密閉型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