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2229B1 - 낮은 인덕턴스를 갖는 자동차 배터리 - Google Patents

낮은 인덕턴스를 갖는 자동차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2229B1
KR100862229B1 KR1020070017756A KR20070017756A KR100862229B1 KR 100862229 B1 KR100862229 B1 KR 100862229B1 KR 1020070017756 A KR1020070017756 A KR 1020070017756A KR 20070017756 A KR20070017756 A KR 20070017756A KR 100862229 B1 KR100862229 B1 KR 100862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terminals
low inductance
present
electrod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7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8119A (ko
Inventor
김정호
이희재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70017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2229B1/ko
Publication of KR20080078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8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2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2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낮은 인덕턴스를 가진 배터리는 배터리 케이스의 한 면 위에 배치된 제1 전극 단자 및 상기 면, 또는 이와 인접한 다른 면 위의 지근 거리에 배치된 제2 전극 단자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낮은 인덕턴스를 갖는 자동차 배터리{AUTOMOBILE BATTERY WITH LOW INDUCTANCE}
도 1은 종래의 배터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낮은 인덕턴스를 가진 배터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낮은 인덕턴스를 가진 배터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낮은 인덕턴스를 가진 배터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21, 31, 41 : 양극 단자
12, 22, 32, 42 : 음극 단자
23: 펜스
13, 24, 33, 43 : 배터리 케이스
본 발명은 자동차용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낮은 인덕턴스를 갖는 자동차용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의 자동차에는 많은 수의 다양한 전자 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거의 대부분의 자동차에는 엔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전자 제어 장치(ECU)가 장착되어 있으며, 고급 자동차들의 경우에는 미러, 핸들, 좌석, 도어 등에 다양한 많은 수의 편의 장치들이 추가된다. 이러한 자동차의 기능과 성능에 관련된 전자 장치들 뿐만 아니라, 운전자나 탑승자의 기호에 맞게 오디오, 비디오 시스템 등도 장착되고 있다.
다양한 종류의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전자 장치들과 모터, 전열기 등의 전장품들은 각자의 동작에 서로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장치에서 넓은 대역에 걸쳐 잡음이 생성됨으로써 전자 제어 장치가 오동작할 수도 있고, 에어컨을 구동할 때에는 큰 출력이 필요한 오디오 시스템의 동작을 방해할 수 있다. 이렇듯, 자동차 내부에 장착된 전장품 사이의 전기적 간섭 현상도 있을 수 있으며, 자동차 외부에 다른 전자 제품에 대해 전자기 간섭 현상을 일으킬 수도 있다. 자동차의 전장품과 전자 제품들이 요구하는 전체 전력 소모량이 크다는 점과 공급해야 하는 전류량이 시간에 따라 급변한다는 점도 자동차 전장품들이 오동작을 일으킬 가능성을 높인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서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는 엔진에 부착된 직류 발전기와 배터리이다. 이중에 배터리는 엔진이 멈춰있을 때에는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으로서 동작하기도 하지만, 엔진이 동작하는 동안에는 충전과 방전이 동시에 이뤄진 다. 배터리는 그 자체로 대형 커패시터로 작용하여 자동차 내의 전장품들에서 발생하는 저주파 노이즈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종래의 배터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배터리는 양극(+) 단자(11)와 음극(-) 단자(12)가 배터리 케이스(13)의 상면에 멀리 떨어져 배치되어 있는데, 이는 사용 중에 공구에 의해 단락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런데, 이렇게 단자들을 멀리 떨어뜨린 구조에서는 사용을 위해 전원 케이블들을 단자에 장착할 경우 큰 인덕턴스를 유발한다. 결국, 종래의 배터리는 수 KHz 이상에서는 커패시터로서의 특성이 사라지고 인덕터로 동작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은 배터리의 노이즈 차단기능을 수 KHz까지만 효력을 나타나게 한다.
자동차 내의 전장품들이 사용하거나 발생시키는 주파수 대역이 점점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주파수 대역에서는 종래의 배터리로 충분한 노이즈 차단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노이즈를 차단하기 위한 별도의 대응책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낮은 인덕턴스를 갖는 자동차용 배터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는 배터리 케이스,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한 면 위에 배치된 제1 전극 단자 및 상기 제1 전극 단자와 같은 면 위의 지근 거 리에 배치된 제2 전극 단자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단자는 스터드(stud)형 단자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전극 단자 사이에 상기 제1 및 제2 전극 단자보다 높도록 형성된 펜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단자는 스크류(screw)형 단자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는 배터리 케이스,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한 면 위에 배치된 제1 전극 단자 및 상기 제1 전극 단자가 배치된 면과 모서리를 공유하는 다른 면 위에 상기 제1 전극 단자와 지근 거리에 배치된 제2 전극 단자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단자는 스터드형 단자이거나, 스크류형 단자일 수 있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낮은 인덕턴스를 가진 배터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는 종래의 배터리와 마찬가지로 돌출된 스터드(stud)형 양극 단자(21) 및 음극 단자(22)를 가지고 있지만, 단자들 사이에 펜스(23)가 추가로 단자들(21, 22)의 높이보다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는 단자들(21, 22)의 사이가 상대적으로 가깝기 때문에 종래의 배터리에 비해 인덕턴스가 훨씬 줄어든다. 따라서, 종래의 배터리에 비해 높은 주파수의 노이즈도 차단할 수 있다. 또, 단자들(21, 22) 사이에 펜스(23)가 구비되므로 전원 케이블을 장착할 시에 장착 공구가 닿음으로써 단락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낮은 인덕턴스를 가진 배터리를 예 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는 배터리 케이스(33)의 한 면 위에, 종래의 배터리와 다른 형태인, 스크류(screw) 형의 양극 단자(31) 및 음극 단자(32)를 가진다. 도 2의 배터리와는 달리, 단자들 사이에 펜스가 불필요하다.
상기 배터리는 단자들(31, 32)의 사이가 상대적으로 가깝기 때문에 종래의 배터리에 비해 인덕턴스가 훨씬 줄어든다. 따라서, 종래의 배터리에 비해 높은 주파수의 노이즈도 차단할 수 있다. 또, 스크류 형의 단자를 채용하기 때문에 단자들(31, 32) 사이의 펜스가 없더라도 전원 케이블을 장착할 시에 장착 공구가 닿음으로써 단락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낮은 인덕턴스를 가진 배터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는 배터리 케이스(43)의 인접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양극 단자(41)와 음극 단자(42)를 배치한 구조로, 도 2의 배터리와는 달리 단자들(41, 42) 사이에 펜스가 불필요하다. 이때, 단자들(41, 42)의 형태는 스터드형 단자도 장착이 가능하고 스크류형 단자도 장착이 가능하다. 다만, 단자들(41, 42)의 사이가 최단거리가 되도록 배치하여야 인덕턴스를 충분히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낮은 인덕턴스를 가지는 배터리는 단자들의 간격을 좁힘으로써 인덕턴스를 낮추어 종래에 비해 높은 주파수 대역의 노이즈도 차단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배터리 케이스;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한 면 위에 배치된 제1 전극 단자; 및
    노이즈를 차단하도록 상기 제1 전극 단자와 같은 면 위의 지근 거리에 배치된 제2 전극 단자를 포함하는 배터리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단자는 스터드(stud)형 단자이고,
    상기 제1 및 제2 전극 단자 사이에 상기 제1 및 제2 전극 단자보다 높도록 형성된 펜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70017756A 2007-02-22 2007-02-22 낮은 인덕턴스를 갖는 자동차 배터리 KR100862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756A KR100862229B1 (ko) 2007-02-22 2007-02-22 낮은 인덕턴스를 갖는 자동차 배터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756A KR100862229B1 (ko) 2007-02-22 2007-02-22 낮은 인덕턴스를 갖는 자동차 배터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119A KR20080078119A (ko) 2008-08-27
KR100862229B1 true KR100862229B1 (ko) 2008-10-09

Family

ID=39880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7756A KR100862229B1 (ko) 2007-02-22 2007-02-22 낮은 인덕턴스를 갖는 자동차 배터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222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6452U (ko) * 1986-01-17 1987-07-24
JPH03182054A (ja) * 1989-12-09 1991-08-08 Yuasa Battery Co Ltd 鉛蓄電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6452U (ko) * 1986-01-17 1987-07-24
JPH03182054A (ja) * 1989-12-09 1991-08-08 Yuasa Battery Co Ltd 鉛蓄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119A (ko) 2008-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42593B2 (ja) 電力変換装置
US6674180B2 (en) Power supply for a hybrid electric vehicle
US10118495B2 (en) Vehicle power distribution having relay with integrated voltage converter
JP5110110B2 (ja) 車両用電源装置
US7717747B2 (en) Power inverter connector having integrated current sensors
WO2010095606A1 (ja) 電荷サプライヤ
US20110115287A1 (en) Vehicular power supply circuit
CN109866707B (zh) 电气设备的车载构造
US10518722B2 (en) Automotive power supply device
KR20090009554A (ko) 자동차용 배터리 이퀄라이져
JP2005261047A (ja) 車両用電源装置
KR100862229B1 (ko) 낮은 인덕턴스를 갖는 자동차 배터리
JP2013166513A (ja) 車両用電源回路及び車両用電気接続箱
JP6263615B2 (ja) 端子窪みに組み込まれた始動電流制限器
JP5186029B2 (ja) 制御基板及び電動圧縮機の制御装置
JP2009166630A (ja) 車両用電装システム
CN107521353B (zh) 增程式电动汽车
CN202669693U (zh) 电路板式保险丝盒总成
WO2018079135A1 (ja) 配線モジュール
JP2010116021A (ja) 車両用バッテリの配置構造
JP5661163B1 (ja) 車両用電源装置
JP2012199483A (ja) 車両用多層配線基板、およびこの基板を用いた車両用電動コンプレッサ
CN213485280U (zh) 一种用于车用发动机舱的中央电气盒
JP2005218256A (ja) 車載用電力変換装置
KR102631926B1 (ko) 컨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