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1875B1 - 금융기관의 카드 발급 및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금융기관의 카드 발급 및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1875B1
KR100861875B1 KR1020070020535A KR20070020535A KR100861875B1 KR 100861875 B1 KR100861875 B1 KR 100861875B1 KR 1020070020535 A KR1020070020535 A KR 1020070020535A KR 20070020535 A KR20070020535 A KR 20070020535A KR 100861875 B1 KR100861875 B1 KR 100861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box
issuing
financial institution
issu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0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3733A (ko
Inventor
오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푸른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푸른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푸른기술
Priority to KR1020070020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1875B1/ko
Publication of KR20080083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3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1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1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융기관의 경쟁심화에 따라 고객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위하여 용도별 카드를 발급함에 있어 신속한 발급 및 카드재고 관리를 위한 금융기관의 카드 발급 및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금융기관에서 카드의 발급에 있어 카드의 종류 선택, 현재 카드의 잔량 조회 등을 단일의 장비에서 처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금융기관에서 카드 발급에 소요되는 시간의 단축 및 카드의 재고량을 실시간(real-time)으로 파악할 수 있어 업무의 효율을 최대한으로 향상할 수 있도록 하고, 금융기관에서 카드 발급 업무 시 고객이 요청하는 카드의 종류를 선택하면 해당 카드가 들어있는 박스(box)로 픽업-모듈(pickup-module)이 이동하여 박스로부터 해당 카드를 인출하여 배출구로 이송시킴으로써, 카드 배출에 정확성과 편리성을 도모해준다.
금융 카드발급, 카드관리, 카드 수량 조사

Description

금융기관의 카드 발급 및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card issue/management of banking organ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기관의 카드 발급 및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융기관의 카드 발급 및 관리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카드 발급 및 관리 시스템 중 카드 박스에 저장된 카드의 배출을 위한 기구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금융기관의 카드 발급 및 관리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5는 도 4에서 카드 발급 루틴의 일 실시 예를 보인 흐름도.
도 6은 도 4에서 카드 잔량 조회 루틴을 보인 흐름도.
도 7은 도 4에서 카드박스 ID조사 루틴을 보인 흐름도.
도 8은 도 4에서 카드박스 내의 카드 수량 조사 루틴을 보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영업점 시스템
110… 통신장치
120… 지점 서버
130… 카드 발급 및 관리기
132… 제어부
133… 카드 저장부
134… 카드 이송부
135… 카드 픽업부
136… 카드 배출부
137… 카드 회수부
200… 전산 센터
본 발명은 금융기관의 카드 발급 및 관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금융기관의 카드관리를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한 금융기관의 카드 발급 및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기관은 고객이 카드 발급을 요청하면 담당 직원이 지점 창고에서 해당 카드를 찾아 카드 발행기에서 엠보싱 및 MS 기록하고, 직원의 금융단말에서 전산등록을 한 후에 고객에게 지급한다. 여기서 카드 발급 이전에 승인이라든지 기타 카드 발급에 필요한 사항은 모두 충족되었다고 가정한다. 아울러 카드의 수불을 맞추기 위하여 담당자가 주기적으로 각 카드별 발행수량과 창고에 남아 있는 잔고를 수작업으로 확인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카드 발급 방법은 카드의 수급(受拂)을 맞추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각 카드별 발행수량과 창고에 남아 있는 잔고를 확인하는 수작업을 수행하므로 금융기관의 업무 효율을 떨어뜨리고, 창고의 재고 확인을 하기 전에는 분실 여부를 알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금융기관에서 카드 발급 및 관리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금융기관의 카드관리를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한 금융기관의 카드 발급 및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금융기관이 카드를 새로 발급할 때 카드 발급 및 관리시스템에서 카드를 발급하고 즉석에서 기존의 카드기록시스템에서 카드를 기록한 후에 고객에게 카드를 제공하여, 기존에 비하여 발급에 소요되는 절차와 시간을 대폭으로 감소시키도록 한 금융기관의 카드 발급 및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드 발급 및 관리기에 상급기관으로부터 수급 받은 각각의 카드 수량과 각 카드의 현재 수량, 각 카드의 발급 수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금융기관의 관리 업무를 줄여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하도록 한 금융기관의 카드 발급 및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금융기관의 카드 발급 및 관리 시스템은,
금융기관의 영업점에 설치되어 카드를 보관하고, 호스트(HOST)의 명령에 의하여 카드를 박스(BOX)(카드 보관함)에서 픽-업(PICK-UP)하고, 그 카드를 배출구로 이동시킨 후, 그 결과를 호스트에 통보하는 기능 및 처리 결과를 저장 및 처리 요청시 해당 자료를 호스트로 송부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직원이 호스트에서 각각의 박스에 카드가 몇 장 들어갔는지를 계원 단말기에서 셋(SET)하면 계원단말기에서 각 박스에 남아있는 카드의 수량을 수시로 확인할 수 있으며, 카드가 발급되고 나서 박스에 남아 있는 수량이 규정한 것보다 적은 경우에는 계원 단말에 수량이 적게 남아있음을 통보할 수 있는 기능을 갖도록 구현되며, 아울러 호스트 명령에 의해서도 해당 박스에 몇 장이 들어있는지를 조회한 후에 결과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더 포함한다.
또한, 통신망을 통해 업무용 컴퓨터와 연결되어 업무용 컴퓨터로부터 전달받은 명령에 따라 카드의 발급, 카드의 잔량 조회, 저장 카드의 종류 확인, 카드의 잔량 세트(SET), 기기의 처리 내역 일지(JOURNAL) 제공 등의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자체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어 카드발급 요청에 대한 결과를 수행한 후에 어떤 단말, 어떤 ID, 어떤 CARD, 발급 카드 명 등을 기록으로 남겨 조회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혹시나 금융사고가 발생한 후에 해당 카드의 이력 조회가 가 능하도록 구현한다.
이와 같이 구현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전산센터 등으로부터 받은 카드를 카드 발급 및 관리기에 장착하여 수급과 발급에 따르는 관리업무를 카드 발급 및 관리기가 관리함으로 카드 분실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고, 실시간 및 온-라인으로 카드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직원의 단순 업무를 줄여줌으로써 금융기관의 생산성을 향상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금융기관은 일반 시중 은행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기관의 카드 발급 및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금융기관의 카드 발급 및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은, 크게 영업점 시스템(100)과 전산 센터(200)로 대별되며, 영업점 시스템(100)은 영업점 장비들을 상호 연결하는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Local area network : LAN)을 통해 영업점 시스템(100) 내의 카드 관리 시스템의 처리 내역을 동시에 보관하는 지점 서버(120)와 업무용 컴퓨터의 지시에 따라 동작하는 카드 발급 및 관리기(130)와 영업점 직원이 카드 발급 업무 등을 처리하는 데 사용되는 컴퓨터단말기인 직원 단말(141, 142 ~ 141+N)을 연결해주는 라우터 등의 통신장치(110)가 구비된다. 아울러 전산업무를 총괄 관리하는 전산센터(200)와의 연결도 상기 통신장치(110)를 통해 연결된다.
전산 센터(200)는 각 영업점 시스템(100)의 카드 발급 및 관리기(130)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센터 단말(250)로 구성되어, 각 영업점의 카드관리상태를 WAN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감시 및 조회하며, 그 결과를 센터 서버(220)에 기록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전산 센터(200) 역시 라우터 등의 통신 장치(240)가 부가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융기관의 카드 발급 및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여기서 참조부호 131은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직류(DC) 전원을 원활하게 공급해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전원부로서, 통상의 상용 교류 전원을 정류하여 직류 전원으로 만드는 전원 공급 장치이다.
참조부호 132는 카드 발급 및 관리기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업무용 단말과의 통신, 각 구성의 동작 및 감시 기능을 수행하며, 일반적인 중앙처리장치(CPU)이거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의미한다.
참조부호 133은 각각의 카드를 저장하고 있는 카드박스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고 관리하는 카드 저장부이고, 참조부호 134는 카드가 저장된 카드 박스의 이송 또는 픽업한 카드를 이송하는 카드이송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135는 상기 카드이송부(134)가 카드박스 위치까지 이송한 다음에 카드를 1장씩 픽업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카드 픽업부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136은 상기 카드 픽업부(135)에서 픽업한 카드를 담당직원이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위치까지 이송하여 운용하기 편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카드 배출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137은 상기 카드 배출부(136)에 의해 카드 배출이 실행된 후에 배출한 카드가 요청한 것과 다른 경우에 이 카드를 담당직원이 회수함에 넣은 경우 그 회수 카드의 재고를 관리하는 카드 회수부를 나타낸다.
여기서 카드 발급 및 관리기(130)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각각의 카드 박스에 기록된 카드박스 ID를 판독하고, 해당 카드박스 내에 저장된 카드의 수량을 산출하는 리더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금융기관의 카드 발급 및 관리시스템은, 업무용 단말에서 카드 발급을 신청하면 고객의 신용도 등에 따라 카드의 발급 여부가 확인되고, 카드 발급이 가능한 고객에 대해서 고객의 정보와 카드정보를 입력하고 카드발급 명령을 실행하면, 카드 발급 및 관리기(130)의 제어부(132)에서 이를 인지하고, 카드 이송부(134)를 컨트롤하게 된다. 카드 이송부(134)는 카드 저장부(133)에서 해당 카드박스를 이송하게 되고, 카드박스가 정해진 위치까지 이송되면 카드 픽업부(135)에서 해당 카드 1장을 픽업하게 되고, 픽업이 이루어진 카드는 다시 카드 이송부(134)를 통해 정해진 위치로 이송된다. 이후 카드 배출부(136)에 의해 배출이 이루어진다. 배출된 카드를 확인한 담당자가 자신이 발급하고자 하는 카드가 아닐 경우에는 배출된 카드를 회수함에 넣게 되고, 카드 회수부(137)는 회수되는 카드가 존재할 경우 해당 카드의 재고를 다시 관리하게 된다. 이때 회수 카드가 원래의 카드 박스로 회수되는 과정은 카드 배출의 역순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카드 발급 및 관리 시스템 중 카드 박스에 저장된 카드의 배출을 위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금융기관의 카드 발급 및 관리 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서, S는 단계(Step)를 나타낸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무용 단말로부터 카드 발급 신청이 접수되고 고객 신원 확인이 이루어진 후 카드발급 화면을 호출하는 단계(S101 ~ S105)와; 상기 카드발급 화면상에서 고객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S107)와; 상기 입력 정보가 확인된 후 카드 발급 명령에 따라 카드 발급 루틴을 실행하는 단계(S109, S111, S200)와; 상기 카드 발급 완료 후 카드 발급 정보를 전산 센터에 저장하는 단계(S113)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금융기관의 카드 발급 및 관리 방법은, 카드 잔량 조회가 요청되는 경우 카드 잔량 조회 루틴을 수행하는 단계(S115, S300)와; 카드 박스 ID 조사가 요청되는 경우 카드 박스 ID 조사 루틴을 수행하는 단계(S117, S400)와; 카드 수량 조회가 요청되는 경우 카드박스 내의 카드 수량을 조회하는 루틴을 수행하는 단계(S119, S500)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금융기관의 카드 발급 및 관리 시스템은, 업무용 단말에서 카드발급을 신청하면(S101), 고객의 신용도 등에 따라 카드의 발급 여부를 확인하여 발급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S103). 카드발급이 가능한 고객일 경우 카드발급 화면을 호출하고(S105), 상기 카드 발급 화면에서 고객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S107). 여기서 입력되는 고객 정보는 통상의 시중 은행이나 카드사에서 카드 발급을 위해 입력하는 정보이다. 정보 입력 후에는 입력된 정보가 맞는지를 확인하는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S109). 다음으로, 입력된 정보가 정확할 경우에는 카드발급명령을 실행하게 되고, 카드 발급 명령이 실행되면(S111), 카드 발급 루틴(S200)을 실행하여 카드를 즉석에서 발급해주게 된다. 여기서 카드 발급시에는 고객이 발급을 요청한 카드를 배출구(도 3 참조)로 보내고, 그 처리 결과를 처리요청한 업무용 단말에 통보하고 처리 내역을 전산 센터(200)에 저장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도 5는 상기 카드 발급 루틴의 일 실시 예를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드 발급이 신청되면, 해당 카드박스를 픽업 위치로 이송하는 단계(S201, S203)와; 상기 이송된 카드박스로부터 카드를 픽업하는 단계(S205)와; 상기 픽업한 카드를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단계(S207)와; 상기 카드 배출 후 카드 발급 정보를 저장하고, 카드 발급을 요청한 단말로 카드 발급 결과를 통보해주는 단계(S209)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카드 발급 과정은, 업무용 단말 또는 카드 발급 및 관리기에서 방출하고자 하는 카드를 선택한 후에 해당 카드를 방출부(배출부)로 이송하여 배출하게 된다.
즉, 업무용 단말 또는 카드 발급 및 관리기에서 카드 발급이 신청되고, 배출하고자 하는 카드를 선택한 후에 발급을 실행하면(S201), 카드 발급 및 관리기의 카드 이송부(134)에 의해 해당 카드가 저장된 카드 박스가 픽업 위치로 이송하게 된다(S203). 이후 카드 픽업부(135)의 픽업모듈에 의해 해당 카드 박스에서 카드 1장을 픽업하게 된다(S205). 카드를 픽업한 픽업모듈은 카드 배출구로 이동을 한 후에 카드를 배출하게 되고(S207), 카드 배출이 완료되면 그 처리 결과를 카드 발급 및 관리기에 저장하며 처리 결과는 업무용 단말인 경우에는 통신선을 이용하여 결과를 전송하며 카드 발급 및 관리기일 경우에는 화면에 표시한다(S209).
도 6은 본 발명에서 카드 잔량 조회 루틴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드 잔량 조회가 요청되면 카드 잔량을 조회하여 그 결과를 표시 또는 통보해주는 단계(S301)와; 상기 카드 잔량 조회 후 보충이 요구되는 경우 카드를 보충할 카드 박스를 배출구로 이송시키는 단계(S303, S305)와; 상기 배출구로 이송된 카드 박스가 분리된 후 카드가 보충되고 이송 모듈에 재장착된 후 카드 보충 수량이 입력되면, 카드 회수부에 의해 카드 수량을 확인하여 저장하는 단계(S307 ~ S313)와; 상기 이송모듈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이송시키는 단계(S315)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도 6은 카드 발급 및 관리 시스템에서 카드 잔량 조회 또는 업무용 단말에서 카드의 잔량을 확인하고 카드를 충전하는 과정을 설명한 것이다.
업무용 단말 또는 카드 발급 및 관리기에서 카드 잔량에 대한 조회 요청이 발생하면 이를 확인하여 통신망을 통해 업무용 단말에 전송하거나 카드 발급 및 관리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해주게 된다(S301).
카드 잔량 조회 후 카드 보충이 필요한 경우(S303), 보충이 필요한 카드박스를 지정하여 그 카드 박스를 도 7의 배출구로 이송하는 명령을 수행하여 영업점 직원이 카드박스를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킨다(S305). 그런 후에 카드박스를 이송모듈에서 분리한다(S307). 분리한 카드박스에 카드를 보충하고(S309), 카드를 보충한 카드박스를 이송모듈에 재장착한다(S311). 카드 회수부에 의해 카드보충수량이 자동으로 확인되어 카드 수량이 저장되기도 하고, 영업점 관리 담당이 직접 카드 발급 및 관리기에 기록할 수도 있다(S313). 그리고 이송모듈에 있는 카드박스를 원래 위치로 이송하는 명령을 수행하면, 이송모듈에 의해 카드박스가 원래의 위치로 이송된다. 이송이 완료된 후에, 다른 카드박스에 보충이 필요한 여부를 확인하여 보충이 필요하면 전술한 단계 S303으로 이동하여 그 이하의 단계를 반복 수행하고, 보충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카드 잔량 조회 루틴을 종료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카드박스 ID조사 루틴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드 발급 및 관리기에 장착되어 있는 카드 박스의 ID(Identify)의 수량 조사 명령이 발생하면 새로운 조회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401, S403)와; 상기 확인 결과 새로운 조사 명령일 경우 각 박스 ID를 스캔하고, 그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S405, S407)와; 상기 저장한 카드박스 ID 조사 결과를 화면에 표시하고 응답을 수행하며, 상기 확인 결과 새로운 조사 명령이 아닐 경우 이전에 조사된 카드박스 ID 수량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고 응답해주는 단계(S409)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카드박스 ID조사 루틴은, 카드 발급 및 관리기에 장착되어 있는 카드박스 ID의 수량을 조사하기 위한 명령은 카드 발급 및 관리기 및 영업점 단말에서 실행할 수 있으며, 그 결과는 요청한 시스템으로 전달한다.
먼저, 카드박스 ID조사 명령에 대한 처리는 카드 발급 및 관리기의 프로그램이 가지고 있는 데이터를 바로 표시해주고 응답하는 방법과 새로이 모든 카드박스 ID를 조사하여 표시 및 응답해주는 방법으로 대별된다.
카드 박스 ID 조사 명령이 실행되고(S401), 새로운 조회 요구인지를 확인하여(S403), 새로운 조회 요구가 아닌 경우에는 이전에 조사하여 저장해 놓은 카드박스 ID수량 조사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해주고, 조사 명령을 요청한 시스템으로 응답을 해준다(S409). 이와는 달리 새로운 조회 요청일 경우에는, 도 7의 픽업 유닛(모듈)(135a)이 순차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카드 박스(133a)로 이동하여 박스 ID를 검색(SCANNING)한다(S405). 이 동작이 완료되면 검색 결과를 저장하게 되고(S407), 다음으로, 현재 동작을 요청한 장비에 해당 결과를 전송한다. 이때 카드 발급 및 관리 시스템 내부에서 명령이 수행되었을 경우에는 표시장치에 해당 결과를 표시하게 된다(S409).
도 8은 본 발명에서 카드박스 내의 카드 수량 조사 루틴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드 발급 및 관리기에 장착되어 있는 카드 박스 내의 카드 수량 조사 명령이 발생하면 새로운 조회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501, S503)와; 상기 확인 결과 새로운 조사 명령일 경우 각 박스 내의 카드 수량을 스캔하고, 그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S505, S507)와; 상기 저장한 카드 수량 조사 결과를 화면에 표시하고 응답을 수행하며, 상기 확인 결과 새로운 조사 명령이 아닐 경우 이전에 조사된 카드 수량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고 응답해주는 단계(S509)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카드 수량 조사 루틴은, 금융기관의 영업점에서 카드의 관리실태를 조사해야 하는 경우 등에 있어 유용하며, 또한 실제 카드 발급 및 관리기가 가지고 있는 데이터와 실제 카드박스에 있는 카드의 수량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명령은 업무용 단말 또는 카드 발급 및 관리기 내부에서 할 수 있다.
카드박스 내의 카드 수량 조사 명령에 대한 처리는 카드 발급 및 관리기의 프로그램이 가지고 있는 데이터를 바로 표시해주고 응답하는 방법과 새로이 모든 카드박스 내의 카드 수량을 조사하여 표시 및 응답해주는 방법으로 대별된다.
카드 박스 내의 카드 조사 명령이 실행되고(S501), 새로운 조회 요구인지를 확인하여(S503), 새로운 조회 요구가 아닌 경우에는 이전에 조사하여 저장해 놓은 카드박스 내의 카드 수량 조사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해주고, 조사 명령을 요청한 시스템으로 응답을 해준다(S509). 이와는 달리 새로운 조회 요청일 경우에는, 도 7의 픽업 유닛(모듈)(135a)이 각 카드박스 위치로 가서 카드를 셀 수 있는 장치를 이용하여 카드 박스(예를 들어, 133a) 내의 카드 수량을 조사하게 된다(S505). 이 동작이 완료되면 검색 결과를 저장하게 되고(S507), 다음으로 현재 동작을 요청한 장비에 해당 결과를 전송한다. 이때 카드 발급 및 관리 시스템 내부에서 명령이 수행되었을 경우에는 표시장치에 해당 결과를 표시하게 된다(S509).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 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금융기관의 카드 발급에 따르는 관리업무를 카드 발급 및 관리기가 하게 되므로 금융기관의 업무 절차를 대폭 감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금융기관의 영업점 창고에 보관하고 있는 각종 카드를 카드 발급 및 관리 시스템 내부에 보관을 하게 되므로 담당 직원만이 카드 발급 및 관리 시스템을 열 수 있으므로 금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보안효과가 있는 장점도 있다.

Claims (13)

  1. 영업점 장비들을 상호 연결하는 통신망을 통해 카드 발급 및 관리기와 지점 서버와 직원 단말을 상호 연결해주고, 전산센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영업점 시스템과, 상기 영업점 시스템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금융기관의 전산업무를 총괄 관리하는 상기 전산센터를 포함하되,
    상기 카드 발급 및 관리기는,
    관리기에서 사용하는 직류(DC) 전원을 원활하게 공급해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전원부와;
    상기 카드 발급과 카드 저장 및 이송, 카드 배출 및 카드 회수에 대한 제어를 담당하며, 발생한 데이터의 저장을 제어하고, 상기 카드 발급 및 관리기 내의 각 기기의 동작 및 감시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와;
    각각의 카드를 저장하고 있는 다수의 카드박스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고 관리하는 카드 저장부와;
    카드가 저장된 카드 박스의 이송 또는 픽업한 카드를 이송하는 카드 이송부와;
    상기 카드 이송부가 카드박스 위치까지 이송한 이후에 해당 카드 박스에서 카드를 픽업하는 카드 픽업부와;
    상기 카드 픽업부에서 픽업한 카드를 담당직원이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배출구를 통해 배출해주는 카드 배출부와;
    배출한 카드가 회수함을 통해 회수되면 그 회수 카드의 재고를 관리하는 카드 회수부와;
    상기 다수의 카드 박스에 기록된 카드박스 고유번호(ID)를 판독하고, 해당 카드박스 내에 저장된 카드의 수량을 산출하는 리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기관의 카드 발급 및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저장부는,
    금융기관의 카드 관리 부서에서 수령한 각각의 카드를 보관할 수 있는 여러 개의 카드박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기관의 카드 발급 및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이송부는,
    상기 카드 저장부 내에 구비된 카드박스를 배출구에서 카드박스 장착 위치까지 이송하고 그 카드박스를 장착위치에 고정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기관의 카드 발급 및 관리 시스템.
  6. 전원부와 제어부와 카드저장부와 카드 이송부와 카드 픽업부와 카드 배출부와 카드 회수부와 리더기를 포함하는 카드 발급 및 관리기를 구비한 카드 발급 및 관리 시스템을 구비한 금융기관에서의 카드 발급 및 관리 방법에 있어서,
    업무용 단말로부터 카드 발급 신청이 접수되고 고객 신원 확인이 이루어진 후 카드발급 화면을 호출하는 단계와;
    상기 카드발급 화면상에서 고객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 정보가 확인된 후 카드 발급 명령에 따라 카드 발급 루틴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카드 발급 완료 후 카드 발급 정보를 전산 센터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카드 잔량 조회가 요청되는 경우 카드 잔량 조회 루틴을 수행하는 단계와;
    카드 박스 ID 조사가 요청되는 경우 카드 박스 ID 조사 루틴을 수행하는 단계와;
    카드박스 내의 카드 수량 조회가 요청되는 경우 카드박스 내의 카드 수량을 조회하는 루틴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기관의 카드 발급 및 관리 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발급 루틴은,
    카드 발급이 신청되면, 해당 카드박스를 픽업 위치로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송된 카드박스로부터 카드를 픽업하는 단계와;
    상기 픽업한 카드를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단계와;
    상기 카드 배출 후 카드 발급 정보를 저장하고, 카드 발급을 요청한 단말로 카드 발급 결과를 통보해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기관의 카드 발급 및 관리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잔량 조회 루틴은,
    카드 잔량 조회가 요청되면 카드 잔량을 조회하여 그 결과를 표시 또는 통보해주는 단계와;
    상기 카드 잔량 조회 후 보충이 요구되는 경우 카드를 보충할 카드 박스를 배출구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상기 배출구로 이송된 카드 박스가 분리된 후 카드가 보충되고 이송 모듈에 재장착된 후 카드 보충 수량이 입력되면, 카드 회수부에 의해 카드 수량을 확인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이송모듈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이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기관의 카드 발급 및 관리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박스 ID조사 루틴은,
    카드박스 ID조사 명령에 대해 카드 발급 및 관리기의 프로그램이 가지고 있는 데이터를 바로 표시해주고 응답하는 방법과 새로이 모든 카드박스 ID를 조사하여 표시 및 응답해주는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카드박스 ID조사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기관의 카드 발급 및 관리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박스 ID조사 루틴은,
    카드 발급 및 관리 시스템에 장착되어 있는 카드 박스의 ID(Identify)의 수량 조사 명령이 발생하면 새로운 조회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 결과 새로운 조사 명령일 경우 각 박스 ID를 스캔하고, 그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한 카드박스 ID 조사 결과를 화면에 표시하고 응답을 수행하며, 상기 확인 결과 새로운 조사 명령이 아닐 경우 이전에 조사된 카드박스 ID 수량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고 응답해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기관의 카드 발급 및 관리 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박스 내의 카드 수량 조사 루틴은,
    카드박스 내의 카드 수량 조사 명령에 대해 카드 발급 및 관리기의 프로그램이 가지고 있는 데이터를 바로 표시해주고 응답하는 방법과 새로이 모든 카드박스 내의 카드 수량을 조사하여 표시 및 응답해주는 방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카드박스 내의 카드 수량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기관의 카드 발급 및 관리 방법.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박스 내의 카드 수량 조사 루틴은,
    카드 발급 및 관리 시스템에 장착되어 있는 카드 박스 내의 카드 수량 조사 명령이 발생하면 새로운 조회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 결과 새로운 조사 명령일 경우 각 박스 내의 카드 수량을 스캔하고, 그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한 카드 수량 조사 결과를 화면에 표시하고 응답을 수행하며, 상기 확인 결과 새로운 조사 명령이 아닐 경우 이전에 조사된 카드 수량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고 응답해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기관의 카드 발급 및 관리 방법.
KR1020070020535A 2007-02-28 2007-02-28 금융기관의 카드 발급 및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61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535A KR100861875B1 (ko) 2007-02-28 2007-02-28 금융기관의 카드 발급 및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535A KR100861875B1 (ko) 2007-02-28 2007-02-28 금융기관의 카드 발급 및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3733A KR20080083733A (ko) 2008-09-19
KR100861875B1 true KR100861875B1 (ko) 2008-10-08

Family

ID=40024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0535A KR100861875B1 (ko) 2007-02-28 2007-02-28 금융기관의 카드 발급 및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18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3077A (ko) 2018-10-17 2020-04-27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금융자동화 카드 관리장치
KR20200044493A (ko) * 2018-10-19 2020-04-29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스마트 금융 시재 관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831B1 (ko) * 2017-09-14 2019-04-05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카드발급장치 및 금융기기
KR102472851B1 (ko) * 2020-12-09 2022-12-02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카드 발급 및 보충이 가능한 카드 관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1612U (ko) * 1998-12-04 2000-07-05 윤학범 카드자동판매기용 카드 잔량감지장치
KR20040100071A (ko) * 2003-05-21 2004-12-02 에프원 주식회사 카드 분류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60125284A (ko) * 2005-06-02 2006-12-06 엘지엔시스(주) 은행 계원용 복합 단말 장치
KR20070001342A (ko) * 2005-06-29 2007-01-0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카드 발급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1612U (ko) * 1998-12-04 2000-07-05 윤학범 카드자동판매기용 카드 잔량감지장치
KR20040100071A (ko) * 2003-05-21 2004-12-02 에프원 주식회사 카드 분류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60125284A (ko) * 2005-06-02 2006-12-06 엘지엔시스(주) 은행 계원용 복합 단말 장치
KR20070001342A (ko) * 2005-06-29 2007-01-0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카드 발급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3077A (ko) 2018-10-17 2020-04-27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금융자동화 카드 관리장치
KR20200044493A (ko) * 2018-10-19 2020-04-29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스마트 금융 시재 관리장치
KR102122286B1 (ko) 2018-10-19 2020-06-15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스마트 금융 시재 관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3733A (ko) 2008-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90452B2 (ja) 入出金予約システムとそのための装置
KR100861875B1 (ko) 금융기관의 카드 발급 및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615313A (zh) 使用合同取消预测的商业活动辅助装置和商业活动辅助方法
JP7345238B2 (ja) ガスボンベ関連商品の販売機および倉庫、販売システムおよび倉庫の管理システム、ならびにガスボンベ関連商品の販売機の管理方法および倉庫の管理方法
JP2013228920A (ja) 店舗内外現金在庫管理システム
JP7441542B2 (ja) 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商品販売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6118876A (ja) 貨幣管理システム及び貨幣管理方法
US6115696A (en) Transport instruction management and distribution network
JP6945509B2 (ja) 現金管理装置、現金管理方法、及び現金管理プログラム
CN112308496A (zh) 一种移库系统及移库方法
JP5589438B2 (ja) 入金機および現金管理システム
US9361935B2 (en) Content publishing system, publishing method for a content publishing system, and publishing terminal
JP2012068983A (ja) 貨幣収納装置、貨幣引渡方法および管理装置
JP6370731B2 (ja) 入出金システム
JP7050252B2 (ja) 入出金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7039156A (ja) 消耗品管理システム、そのサーバ、消耗品管理用媒体、およびその方法
JP4230476B2 (ja) 金融機関業務処理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2342682A (ja) 電子マネー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CN103403750A (zh) 信息终端合作系统以及方法
CN102177531A (zh) 有价介质管理系统以及有价介质管理方法
JP2004265200A (ja) 店頭受付システムおよびその受付管理サーバとそのプログラム並びにそれにより蓄積した来店履歴の活用方法
JP4541478B2 (ja) 決済管理システム
US20230298426A1 (en) Mixed denomination cash cassette currency counter
JP2022097727A (ja) 商品販売データ処理システム
JPH06231341A (ja) 自動取引装置監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