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0177B1 - 내장형 안테나를 갖는 디지털 방송수신기 - Google Patents

내장형 안테나를 갖는 디지털 방송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0177B1
KR100860177B1 KR1020070056702A KR20070056702A KR100860177B1 KR 100860177 B1 KR100860177 B1 KR 100860177B1 KR 1020070056702 A KR1020070056702 A KR 1020070056702A KR 20070056702 A KR20070056702 A KR 20070056702A KR 100860177 B1 KR100860177 B1 KR 100860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reception
low noise
tuner
broadcast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6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권
우상래
이춘
홍성룡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6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01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0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0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085Flexible aerials; Whip aerials with a resilient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294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a low noise amplifier [LN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내면에 수신 방향이 서로다른 2개 이상의 안테나를 밀착 설치하되 복수의 안테나를 튜너 전단에 설치된 저잡음증폭기와 상호 연결함에 따라 실내 수신환경에서도 수신레벨과 잡음특성에 관계없이 안정되고 우수한 수신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안테나가 내장된 디지털방송 수신기를 제공한다.
DTV, 안테나, 내장, 저잡음증폭기, 튜너

Description

내장형 안테나를 갖는 디지털 방송수신기{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WITH ANTENNA OF INSIDE TYPE}
도 1a는 종래의 실내 수신안테나를 갖는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b는 도 1a의 수신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내장형 안테나를 갖는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도시한 분리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내장형 안테나를 갖는 방송수신기의 수신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내장형 안테나를 갖는 방송수신기의 수신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디지털 방송수신기 101: 전면패널
105: 백 커버 110: 안테나
130: 가변 감쇠기 150: 저잡음증폭기(LNA)
170: 튜너 190: 방송신호처리부
본 발명은 안테나가 내장된 디지털 방송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송수신기에 방송수신용 안테나를 내장함에 따라 방송수신기의 외부에 별도의 안테나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내장형 안테나를 갖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이 시작된 이후로 디지털 텔레비전의 보급은 대형 텔레비전을 위주로 시장에 널리 보급되어 있는 상태이며, 최근 들어 가정 내에 작은 방이나 부엌 등에 쉽게 이동 설치 가능한 보조 텔레비전의 용도로서 소형 디지털 텔레비전도 개발되어 보급 중에 있다.
또한, 현재 지상파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실내 전용 수신안테나도 이미 개발되어 시중에 보급 중에 있으며, 공청 안테나 또는 케이블 방송을 통한 재전송 서비스가 안되는 지역에서는 실내 수신안테나를 사용하여 지상파 디지털방송을 수신하는 시청자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도 1a는 종래의 실내 수신안테나를 갖는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b는 도 1a의 수신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에서와 같이 실내 수신환경에서 실내 수신안테나(11)를 사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특히 일정수준 이상의 수신신호 세기 및 신호대잡음비(signal-to-noise ratio)를 확보한 신호를 수신해야 하며, 이때 튜너(13)의 최대 수신감도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실제로 실내 수신 채널환경은 수신 전력레벨이 낮고 다중경로(multipath) 수신 현상 등에 의해 상당히 열악한 상태이며, 사용하는 수신안테나(11)와 디지털 텔레비전(10)의 수신회로(13; 튜너) 간에 성능의 최적화가 되어 있지 않아서 사용 안테나(11)에 따라 수신 성능에 있어 많은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지상파 디지털방송을 실내 수신안테나(11)를 사용하여 수신하는 경우에 있어 현재까지 개발된 실내 수신안테나(11)들은 안테나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한 형태의 형상과 연결케이블(12) 등에 의해 일정한 설치 공간을 점유하고 있기 때문에 실내의 주위 환경과 조화되지 못하여 미관과 사용상의 편의에 있어 사용자에게 거부감을 주는 문제가 있으며, 옥내의 작은 방이나 부엌 등에 이동 설치하여 사용되는 보조 텔레비전의 용도인 소형 디지털 텔레비전에서도 디지털 방송을 시청하려면 추가적으로 안테나를 더 설치하거나 벽에 설치된 신호 포트인 월잭(wall jack)에 케이블을 연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디지털 텔레비전(10)의 튜너(13)의 수신감도는 잡음레벨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게 되는 데, 지상파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있어 잡음레벨은 인접 채널신호에 의한 방해신호의 레벨을 제외하고는 보통 열잡음레벨 정도의 수준이다. 예를 들어, 아래 수학식 1과 같이 대역폭 6MHz에서의 열잡음레벨이 -106dBm이고, 튜너(13)의 잡음지수(NF; Noise figure)가 8dB이며, 방송신호처리부(15)의 TOV(threshold of visibility)의 이론치인 15dB를 고려하였을 때, 튜너(13)의 한계 최대 수신감도는 아래 수학식 2와 같이 대략 -83dBm가 된다.
Figure 112007042138278-pat00001
여기서, k는 볼츠만 정수로 1.380x10-23[dBm/kHz]이고, T는 절대온도(300K)이며, B는 6MHz 대역폭을 나타낸다.
Figure 112007042138278-pat00002
따라서, 수학식 2와 같이 튜너(13)의 잡음지수(NF)를 보다 더 개선할 수 있다면 수신회로의 수신감도에 대한 성능은 더욱 개선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방송수신기에 스트립, 필름 및 슬롯 형태 등의 플렉서블(Flexible)한 소형 안테나를 내장함에 따라 방송수신기의 외측에 별도의 안테나의 설치가 필요없어 설치 및 사용이 편리한 내장형 안테나를 갖는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지털 방송수신기에 스트립, 필름 및 슬롯 형태 등의 안테나를 내장하되 수신 방향이 서로다른 2개 이상의 안테나를 설치함에 따라 실내 수신환경에서도 내장형 안테나를 이용하여 안정된 수신 감도를 확보할 수 있 는 내장형 안테나를 갖는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내측에 수신 방향이 서로다른 2개 이상의 안테나를 설치하되 복수의 안테나를 튜너 전단에 설치된 저잡음증폭기와 상호 연결함에 따라 실내 수신환경에서도 수신레벨과 잡음특성에 관계없이 안정되고 우수한 수신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안테나를 내장한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방송수신기에 내장되는 안테나; 및 상기 안테나와 튜너 사이에 설치되어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의 잡음을 최소화하여 증폭하는 저잡음증폭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테나는 수신 방향이 서로다른 적어도 2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테나와 저잡음증폭기 사이에 설치되어 수신 전력레벨이 높을 경우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수신된 전력레벨을 감쇠시키는 가변감쇠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튜너는 저잡음증폭기로부터 출력되는 수신 전력레벨을 체크하여 수신 전력레벨이 일정 전력레벨이 되도록 상기 가변감쇠기의 감쇠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테나는 필름패턴 타입과 스트립 타입 및 슬롯 타입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안테나는 백 커버의 내면에 설치되며, 백 커버의 내면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연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수단은, 방송수신기에 내장되되 수신 방향이 서로다른 복수의 안테나; 상기 각 안테나와 튜너 사이에 각기 설치되어 각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의 잡음을 최소화하여 증폭하는 저잡음증폭기; 및 상기 각각의 저잡음증폭기를 통해 출력되는 수신신호의 전력레벨을 비교하여 수신특성이 더 양호한 특정 안테나의 출력신호를 선택하여 수신하는 튜너;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테나와 저잡음증폭기 사이에 각기 설치되어 수신 전력레벨이 높을 경우 튜너의 이득제어신호에 따라 수신된 전력레벨을 감쇠시키는 가변감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내장형 안테나를 갖는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도시한 분리도로서, 방송수신기(100)의 백 커버(105)와, 백 커버(105)의 내면에 설치된 안테나(110)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안테나(110)는 방송수신기(100)의 전면패널(101)의 후면에 설치된 백 커버(105)의 내면에 밀착 설치되되 수신 방향이 서로다른 적어도 2개 이상의 안테나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안테나(110)의 위치를 백 커버(105)의 내면에 설치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방송수신기의 내측 어느 곳에 설치하 여도 무방하다.
도 2a에서는 광대역 필름패턴 타입의 안테나(110)가 백 커버(105)의 내면(106)에 밀착 설치되어 있으며, 필름패턴 타입의 안테나(110)는 자체가 연성이 있는 것으로 백 커버(105)의 굴곡이 있는 부분에서 쉽게 접을 수 있으며, 전파의 편파 및 지향성에 따라 필름패턴 타입의 안테나(110)는 백 커버(105)에 적절한 위치에 복수개(111, 115)가 설치된다.
도 2b에서는 광대역 스트립 타입의 안테나(110)가 백 커버(105)의 내면(106)에 밀착 설치되어 있으며, 스트립 타입의 안테나(110)는 자체가 연성이 있는 것으로 백 커버(105)의 굴곡이 있는 부분에서 쉽게 접을 수 있으며, 전파의 편파 및 지향성에 따라 스트립 타입의 안테나(110)는 백 커버(105)에 적절한 위치에 복수개(111, 115)가 설치된다.
도 2c에서는 광대역 슬롯 타입의 안테나(110)가 백 커버(105)의 내면(106)의 좌우측에 각각 밀착 설치되어 있으며, 슬롯 타입의 안테나(110)는 백 커버(105)의 굴곡이 있는 부분에서 쉽게 접을 수 있도록 연성(flexible)을 갖는 인쇄회로기판(PCB)으로 이루어져 있다.
아울러, 도 2a 및 2b에서와 같이 복수의 안테나(111, 115)에서 신호케이블(117)을 공통으로 인출함에 따라 각 안테나(111, 115)에 수신된 신호를 결합하여 수신회로로 공급하거나 또는 도 2c와 같이 복수의 안테나(111, 115)에서 신호케이블(118, 119)을 각각 인출함에 따라 각 안테나(111, 115)에 수신된 신호를 수신회로로 각기 공급할 수 있다.
즉, 안테나(110)는 백 커버(105)의 내면에 내장이 용이한 필름패턴, 스트립 및 슬롯 형태 등으로 수신 방향이 서로다른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설치된 복수의 안테나(111, 115) 중 수신특성이 가장 좋은 안테나(111 또는 115)를 선택하거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110)를 통해 들어오는 신호들을 결합(combine)하여 실내 수신환경에서도 항상 최적의 수신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안테나(110)를 복수개로 설치하여 수신전파의 커버리지를 확장하여 최상의 수신성능을 발휘하도록 구현하였지만, 안테나(110)를 복수개가 아니라 1개만 설치하여도 방송 수신에는 문제가 없다.
아울러, 백 커버(105)의 구조는 방송수신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그 크기도 제품에 따라 차이가 난다. 그리고 백 커버(105)의 내면 구조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굴곡이 있어 안테나(110)를 설치하기에는 용이하지 못하므로, 안테나(110)는 백 커버(105)의 형태에 따라 구부릴 수 있을 정도의 유연성을 가지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아울러, 안테나(110)를 필름패턴이나 스트립(Strip), 마이크로스트립 및 슬롯 등과 같이 박막 타입으로 제작함에 따라 소형화가 가능하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내장형 안테나를 갖는 방송수신기의 수신회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수신회로는 안테나(110), 가변감쇠기(130), 저잡음증폭기(150), 및 튜너(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안테나(110)는 방송수신기의 백 커버(105)의 내면에 밀착 설치되되 수신 방향이 서로다른 적어도 2개 이상의 안테나(111, 115)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가변감쇠기(130)는 안테나(110)와 저잡음증폭기(150) 사이에 설치되어 수신 전력레벨이 높을 경우 튜너(170)의 이득제어신호(RF AGC)에 따라 수신된 전력레벨을 감쇠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저잡음증폭기(150)는 상기 안테나(110)와 튜너(170) 사이에 설치되어 안테나(110)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의 잡음을 최소화하여 증폭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튜너(170)는 상기 저잡음증폭기(150)로부터 출력되는 수신 전력레벨을 체크하여 수신 전력레벨이 일정 전력레벨이 되도록 상기 가변감쇠기(130)의 감쇠율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튜너(170)를 통해 출력된 방송신호는 방송신호처리부(190)로 인가되어 비디오 및 오디오로 분리된 후 디코딩 등과 같은 과정을 통해 적절하게 처리된다.
즉, 튜너(170)의 전단에 낮은 잡음지수(NF)를 갖는 저잡음증폭기(150; LNA)를 설치하여 신호를 증폭하게 되고, 튜너(170)는 수신된 전계레벨이 강전계 레벨이면 가변감쇠기(130)로 이득제어신호(RF AGC)를 출력하여 수신신호를 일정레벨로 가변 감쇠시켜 수신하게 된다.
이와 같이 디지털 방송수신기(100)에 안테나(110)를 내장할 경우에 수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감쇠기(130)와 저잡음증폭기(150)와 같은 수신회로를 추가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잡음증폭기(150)의 경우에는 증폭이득이 높고 잡음지수는 낮은 것이 좋은 데, 이는 부품의 가격과 비례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증폭이득이 대략 20dB 이상이고, 잡음지수가 대략 2dB 이하인 것을 사용하면 무방하다.
아울러, 상기 저잡음증폭기(150)의 전단에 가변감쇠기(130)를 설치함에 따라 튜너(170)는 가변감쇠기(130)를 통해 수신신호의 전력레벨을 조절하여 수신 전력레벨의 세기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수신 성능을 유지할 수가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내장형 안테나를 갖는 방송수신기의 수신회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수신회로는 복수의 안테나(110), 복수의 가변감쇠기(130), 복수의 저잡음증폭기(150), 및 튜너(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도 3a에서는 복수의 안테나(110)의 출력을 단일 신호케이블(117)로 결합한 경우를 나타내었으며, 도 3b의 경우에는 복수의 안테나(110)의 출력을 각각의 신호케이블(118, 119)을 이용하여 분리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 3a는 복수의 안테나(111, 115)를 통해 들어오는 신호들을 결합(combine)하여 실내 수신환경에서도 항상 최적의 수신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도 3b는 설치된 복수의 안테나(111, 115) 중 튜너(170)는 수신특성이 좋은 안테나(111 또는 115)의 출력신호를 선택하여 수신하게 된다.
도 3a 및 도 3b의 경우에는 수신회로의 구성이 다소 상이하지만, 각 구성들의 기능은 동일하다.
즉, 안테나(110)는 방송수신기의 백 커버(105)의 내면에 밀착 설치되되 수신 방향이 서로다른 제 1 및 제 2 안테나(111, 115)로 이루어져 있다.
가변감쇠기(130)는 안테나(110)와 저잡음증폭기(150) 사이에 각기 설치되어 수신 전력레벨이 높을 경우 튜너(170)의 이득제어신호에 따라 수신된 전력레벨을 감쇠시키는 제 1 및 제 2 가변감쇠기(131, 135)로 이루어져 있다.
저잡음증폭기(150)는 상기 제 1 및 제 2 가변감쇠기(131, 135)와 튜너(170) 사이에 각기 설치되어 각 가변감쇠기(131, 135)를 통해 출력된 방송신호의 잡음을 최소화하여 증폭하는 제 1 및 제 2 저잡음증폭기(151, 155)로 이루어져 있다.
튜너(170)는 제 1 및 제 2 저잡음증폭기(151, 155)로부터 각기 출력되는 수신 전력레벨을 체크하여 수신 전력레벨이 일정 전력레벨이 되도록 제 1 또는 제 2 가변감쇠기(131 또는 135)의 감쇠율을 제어함과 아울러 제 1 및 제 2 안테나(111, 115)를 통해 출력되는 수신신호의 전력레벨을 비교하여 수신특성이 더 양호한 제 1 또는 제 2 안테나(111 또는 115)의 출력신호를 선택하여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튜너(170)를 통해 출력된 방송신호는 방송신호처리부(190)로 인가되어 비디오 및 오디오로 분리된 후 디코딩 등과 같은 과정을 통해 적절하게 처리된다.
이와 같이 방송수신기에 안테나(110)를 내장할 경우에 수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감쇠기(130)와 저잡음증폭기(150)와 같은 수신회로를 추가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수신방향이 서로다른 복수의 안테나(110) 중 튜너(170)는 수신특성이 좋은 안테나(111 또는 115)의 출력신호를 선택하여 수신함에 따라 열악한 실내 수신환경에서도 우수한 수신 성능을 확보할 수가 있다.
일반적으로 중계소로부터 전송되는 지상파 방송신호를 실내 환경에서 수신하는 경우에 있어 수신회로의 수신 감도에 대한 개선이 중요하다. 이에 대한 일반적인 개선 방안으로는 수신회로의 전체 잡음지수를 낮추는 것이다.
따라서, 수신회로의 전체 잡음지수를 낮추기 위해 본 발명과 같이 수신회로의 초단에 잡음지수가 낮고 이득이 높은 저잡음증폭기(150; LNA)를 적용하면 수신회로의 잡음지수는 초단에 잡음지수의 영향을 주로 받음에 따라 전체 잡음지수가 낮아지게 된다.
예를 들어, 잡음지수(NF; Noise Figure)가 2dB이고 이득이 20dB인 저잡음증폭기(150; LNA)를 잡음지수(NF)가 8dB인 튜너(170)의 전단부에 적용하면, 수신회로의 전체 잡음지수(F)는 저잡음증폭기(150)의 잡음인자(F1)와 이득(G) 및 튜너(170)의 잡음인자(F2)에 의해 결정되며, 이는 아래 수학식 3과 같이 계산된다. 여기서 잡음지수(NF)는 잡음인자(F)의 dB단위 표현이며, NF[dB] = 10*Log(F)의 관계를 갖는다.
Figure 112007042138278-pat00003
여기서, F1은 저잡음증폭기(150)의 잡음인자이고, G1은 저잡음증폭기(150)의 이득이며, F2는 튜너(170)의 잡음인자를 나타낸다.
상기 잡음인자(F)의 값인 1.85037을 dB 단위인 잡음지수로 환산하면, 총 잡음지수(NF)는 2.67dB로 주로 수신회로의 초단에 설치된 저잡음증폭기(150; LNA)의 잡음지수에 의해 좌우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수신회로의 최소 수신감도는 수학식 1 내지 3에 따라 가변감쇠기(130)의 손실(attenuator loss)인 0.5dB을 고려하면 아래 수학식 4와 같이 계산된다.
Figure 112007042138278-pat00004
즉, 수신회로에서 초단의 잡음지수(NF)를 보다 더 개선할 수 있다면 수신회로의 수신감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방송수신기(100)에 안테나(110)를 내장하더라도 튜너(170)의 전단에 저잡음증폭기(150)를 부가하면, 종래의 최소 수신감도(-83dBm)보다 낮은 -84dBm 내지 -87dBm의 전력레벨에서도 수신이 가능함에 따라 간단한 방식을 통해 종래보다 우수한 수신감도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안테나를 1개만 설치하거나 다양한 형태의 플렉서블한 박막 형태로 설계할 수 있음은 당연하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안테나를 디지털 방송수신기에 내장함으로써, 방송수신기의 외측에 별도의 안테나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고, 특히 안테나를 이동이 용이한 소형 디지털 방송수신기에 적용할 경우에는 방송수신기를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고 세팅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튜너 전단에 저잡음증폭기와 가변감쇠기를 설치하여 안테나와 연결함으로써, 수신 전계레벨에 따라 자동으로 이득을 조절하여 항상 양호한 수신감도로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 방향이 서로다른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하여 수신 신호레벨에 따라 수신 특성이 가장 좋은 안테나를 통해 수신할 수 있어 우수한 수신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1)

  1. 방송수신기에 내장되되, 수신 방향이 서로다른 복수의 안테나;
    상기 각 안테나와 튜너 사이에 각기 설치되어 각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의 잡음을 최소화하여 증폭하는 저잡음증폭기;
    상기 각각의 저잡음증폭기를 통해 출력되는 수신신호의 전력레벨을 비교하여 수신특성이 더 양호한 특정 안테나의 출력신호를 선택하여 수신하는 튜너;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안테나는 백 커버의 내면에 설치되되, 필름패턴 타입과 슬롯 타입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안테나를 갖는 디지털 방송수신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와 저잡음증폭기 사이에 설치되어 수신 전력레벨이 높을 경우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수신된 전력레벨을 감쇠시키는 가변감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안테나를 갖는 디지털 방송수신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튜너는 저잡음증폭기로부터 출력되는 수신 전력레벨을 체크하여 수신 전력레벨이 일정 전력레벨이 되도록 상기 가변감쇠기의 감쇠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안테나를 갖는 디지털 방송수신기.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백 커버의 내면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연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안테나를 갖는 디지털 방송수신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잡음증폭기는 증폭이득이 20dB 이상이고, 잡음지수가 2dB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안테나를 갖는 디지털 방송수신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070056702A 2007-06-11 2007-06-11 내장형 안테나를 갖는 디지털 방송수신기 KR100860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702A KR100860177B1 (ko) 2007-06-11 2007-06-11 내장형 안테나를 갖는 디지털 방송수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702A KR100860177B1 (ko) 2007-06-11 2007-06-11 내장형 안테나를 갖는 디지털 방송수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0177B1 true KR100860177B1 (ko) 2008-09-24

Family

ID=40023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6702A KR100860177B1 (ko) 2007-06-11 2007-06-11 내장형 안테나를 갖는 디지털 방송수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01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14976B2 (en) 2012-05-25 2015-1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584U (ko) * 1998-06-29 2000-01-25 전주범 텔레비전용 동선 안테나 및 이를 내장하는 텔레비전
KR20060016374A (ko) * 2004-08-17 2006-02-22 주식회사 팬택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KR20060132117A (ko) * 2005-06-17 2006-12-21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통신/방송 신호 수신용 내장형 안테나
KR20070027350A (ko) * 2005-09-06 2007-03-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안테나를 내장한 디지털 튜너
JP2007104495A (ja) 2005-10-06 2007-04-19 Hitachi Cable Ltd アンテナモジュール、無線装置および携帯無線端末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584U (ko) * 1998-06-29 2000-01-25 전주범 텔레비전용 동선 안테나 및 이를 내장하는 텔레비전
KR20060016374A (ko) * 2004-08-17 2006-02-22 주식회사 팬택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KR20060132117A (ko) * 2005-06-17 2006-12-21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통신/방송 신호 수신용 내장형 안테나
KR20070027350A (ko) * 2005-09-06 2007-03-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안테나를 내장한 디지털 튜너
JP2007104495A (ja) 2005-10-06 2007-04-19 Hitachi Cable Ltd アンテナモジュール、無線装置および携帯無線端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14976B2 (en) 2012-05-25 2015-1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US9712793B2 (en) 2012-05-25 2017-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90972A1 (en) Wireless redistribution system for terrestrial digital television broadcasting
JP4276664B2 (ja) 地上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放送の送受信装置
JP2008160336A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
JP2002050976A (ja) アンテナユニットおよび受信機
KR100860177B1 (ko) 내장형 안테나를 갖는 디지털 방송수신기
US7408594B2 (en) Electronic switch for TV signal booster
US20050071878A1 (en) Cradle, radio frequency receiving system, and radio frequency receiving method
JP2005312043A (ja) テレビ受信用増幅装置
JP4017620B2 (ja) 地上波デジタルtv放送の無線再配信システム
KR100864452B1 (ko) 차량용 안테나 장치
JP2001308636A (ja) 受信システム
JP4017619B2 (ja) 地上波デジタルtv放送の無線再配信システム
JP2004128720A (ja) 室内再送信システム及び室内再送信装置
KR101070044B1 (ko) Agc 스위칭기능을 갖는 디지털 튜너
KR100664256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수신 감도 개선을 위한 장치
JPH1028246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527077B1 (ko) 광대역 송수신 안테나 및 접힌 테이퍼드 슬롯 안테나
JP4612394B2 (ja) テレビ受信用増幅装置
JP2006067369A (ja) テレビ受信用増幅装置
JP2006100864A (ja) 地上波デジタルtv放送の無線再配信システム
JP2003298438A (ja) Csチューナー
KR100652961B1 (ko) 채널전환속도를 향상시키는 방송수신장치 및 방송수신방법
Bendov Smart, active, and concealable antenna array for portable television reception
JPH01274593A (ja) 衛星放送受信機画質表示装置
JP2001333009A (ja) 小型中継増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12